KR20210066494A -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 Google Patents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494A
KR20210066494A KR1020190155797A KR20190155797A KR20210066494A KR 20210066494 A KR20210066494 A KR 20210066494A KR 1020190155797 A KR1020190155797 A KR 1020190155797A KR 20190155797 A KR20190155797 A KR 20190155797A KR 20210066494 A KR20210066494 A KR 20210066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hape
space
clothes
shap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수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이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이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이모션
Priority to CN201980028804.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196343A/zh
Priority to PCT/KR2019/016643 priority patent/WO2021107202A1/ko
Priority to KR1020190155797A priority patent/KR20210066494A/ko
Priority to US17/050,037 priority patent/US11321935B2/en
Publication of KR2021006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494A/ko
Priority to KR1020210082444A priority patent/KR102458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50Lighting effects
    • G06T15/503Blending, e.g. for anti-alia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5Fusion techniques
    • G06F18/251Fusion techniques of input or preprocess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50Lighting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50Lighting effects
    • G06T15/506Illumination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16Clo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2Colour editing, changing, or manipulating; Use of colou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24Style var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chitectu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경 요소를 고려한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의상 표시의 배경이 되는 제1 공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의상을 관찰하고자 하는 제1 관찰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관찰 방향에 따른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관찰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상에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할 때,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과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의 융합이 필요한 융합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융합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상에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METHOD FOR 3D MODELING OF CLOTHING}
본 발명은 배경 요소를 고려한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는 것 이외에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의상 선택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사람들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또는 자신이 선호하는 색상과 디자인의 의상을 입거나 소유함으로써, 자기 만족과 더불어 대외적인 이미지 또한 향상시키게 된다.
의상을 디자인하여 제작하고 이를 판매하는 의상관련업은 종래의 오프라인 이외에 최근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활성화되고 있는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서도 널리 확장되고 있다. 특히 의상에 관심이 많은 ??은이들의 사회진출이 두드러짐에 따라 이러한 의상관련업은 향후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되는 사업분야이다.
현재 오프라인 상에서 진행되고 있는 의상 제작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디자이너들이 향후 출시하고자 하는 의상에 대한 디자인 작업을 실시하여 패턴을 제작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패턴들을 봉제하여 샘플을 제작한다. 샘플이 제작되면 자체 회의(품평회)를 통해 디자인을 평가한 후, 소비자들의 반응, 즉 상업성이 높을 것이라 예상되는 디자인의 샘플에 대해서 의상제작 업체 측에 생산을 의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향후 생산될 의상의 디자인 작업과 디자인에 따른 패턴 제작, 그리고 제작된 패턴들을 서로 연결하는 봉제 작업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이처럼 디자인 작업, 패턴 제작, 봉제 작업이 수작업으로 진행될 경우, 다수의 인력이 많은 시간을 들여 작업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제작 단가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완성도 높은 의상 디자인을 일부 수정을 하고자 하는 경우, 패턴을 수정하여 전술한 과정을 무수히 많이 반복해야 하므로, 제품개발을 위한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이러한 과정을 일부 전산화하여 컴퓨터상에서 패턴을 제작하는 방법이 일부 사용되고 있기는 하나, 완성된 의상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여전히 수작업으로 시제품을 완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의상의 제작단계에서, 제작중인 의상이 다양한 사이즈의 신체에 부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상이 사람의 신체에 착용되었을 때의 상황을 보다 자연스럽게 모델링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공간에서 의상을 모델링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공간에서의 광 조건까지 고려하여 의상을 모델링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경 요소를 고려한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의상 표시의 배경이 되는 제1 공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의상을 관찰하고자 하는 제1 관찰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관찰 방향에 따른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관찰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상에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할 때,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과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의 융합이 필요한 융합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융합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상에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과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이 접하는 부분인 제1 융합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이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에 비치는 부분인 제2 융합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융합 부분에서의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색상과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색상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융합 부분의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융합 부분에서의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모양과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모양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융합 부분의 모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상기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관찰 방향을 상기 제1 관찰 방향에서 제2 관찰 방향으로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관찰 방향에 따른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및 상기 융합 부분 각각을 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상기 제1 관찰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공간에서 광의 조사 방향인 광 조사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 조사 방향에 따른 광을 고려하여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 조사 방향에 따른 광을 고려하여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광 조사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의상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구(sphere) 형상의 공간에 상기 제1 공간을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 형상의 공간의 관통 향하는 복수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상기 광 조사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심에 위치하는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 상기 제1 관찰 방향 및 상기 광 조사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 형상의 공간의 내측면에 투영된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상기 제1 관찰 방향 및 상기 광 조사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상의 제작단계에서 제작중인 의상이 다양한 사이즈의 신체에 부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상이 사람의 신체에 착용되었을 때의 상황을 보다 자연스럽게 모델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공간에서 의상을 모델링 할 수 있으며, 특히 자연스러운 의상의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공간에서의 광 조건까지 고려하여 의상의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상 모델링의 각 단계에서 의상의 수정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패턴 데이터 생성 화면(410)의 예시이다.
도 4는 의상의 입체 형상을 표시한 화면(420)의 예시이다.
도 5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관찰 방향을 결정하는 화면(430)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가 광 조사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가 제1 융합 부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가 제2 융합 부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수행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 서버(200) 및 네트워크(30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단말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 상호간에 및/또는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30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 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01, 102, 103, 104)을 사용자 단말(100)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서버(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10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버(20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네트워크(300)를 통해 패턴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200)는 이러한 요청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 생성된 패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100)과 서버(200)는 메모리(111, 211), 프로세서(112, 212), 통신 모듈(113, 21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114, 21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1, 21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1, 21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111, 21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113, 213)을 통해 메모리(111, 21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200))이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111, 21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2, 21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11, 211) 또는 통신 모듈(113, 213)에 의해 프로세서(112, 21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2, 212)는 메모리(111, 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13, 213)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서버(2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단말(미도시) 또는 다른 서버(미도시)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0)의 프로세서(112)가 메모리(1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1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버(20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200) 프로세서(21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13)과 네트워크(300)를 거쳐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 모듈(113)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수신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4, 214)는 입출력 장치(1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때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3차원으로 모델링 된 의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14, 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1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이 사용자 단말(100)의 프로세서(112)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의상의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상의 '패턴 데이터'는 의상의 제작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셋(Data set)를 의미할 수 있다. 가령 패턴 데이터는 의상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트의 모양, 치수 정보, 스티치 정보, 소재 정보, 랜드마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속성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Part)는 해당 의상의 제작에 사용되는 의상의 적어도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파트는 해당 의상의 제작을 위해 재단한 천 조각을 의미할 수도 있고, 해당 의상의 제작에 사용되는 단추, 지퍼, 기타 결합을 위한 부재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스티치(Stitch) 정보'는 전술한 파트들의 결합을 위한 정보로, 가령 재단된 천 조각들의 봉제선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스티치 정보는 파트간의 결합 시에 사용되는 소재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소재의 결합 시 사용 형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스티치 정보가 재단된 천 조각 들의 봉제선에 관한 정보인 경우, 스티치 정보는 봉제 땀 수에 관한 정보, 봉제에 사용되는 실의 색상, 굵기 및 소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티치 정보는 파트들 간의 결합 방식, 결합 신축성 및 결합 강도와 같은 결합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소재 정보'는 해당 소재에 관한 시각적 정보 및 해당 소재에 관한 물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소재에 관한 시각적 정보는 해당 소재의 색상, 해당 소재의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소재에 관한 물성 정보는 해당 소재의 두께, 밀도, 탄성, 신축성, 통기성, 마모성 및 투광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소재 정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소재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질이라면, 본 발명의 소재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이와 같은 소재 정보를 해당 소재의 제조사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111)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전술한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의상의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비로부터 상술한 패턴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의상의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비는 가령 복수의 영상 센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거리 센서를 포함하여, 의상의 3차원 정보를 스캔(Scan)하는 방식으로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비일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패턴 데이터 생성 장비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은 패턴 데이터 생성 화면(410)의 예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면(410)은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의 모양을 편집하기 위한 영역(411), 의상의 3차원 공간상에서의 형상을 표시하는 영역(412) 및 의상을 표시할 때의 다양한 속성값을 설정하거나 파트의 속성이나 파트들 간의 스티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영역(4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화면(410)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의상에 대한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는 파트의 모양을 편집하기 위한 영역(411)에서, 파트(411a 내지 411g)의 2차원 공간상에서의 모양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파트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의상에 대한 패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12)는 파트의 모양 외에도, 의상의 패턴 데이터를 구성하는 다양한 항목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입력들에 기초하여 의상의 패턴 데이터를 생성 및/또는 편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는 특정 의상의 패턴 데이터 생성을 위한 사용자의 일련의 입력 및/또는 조작을 메모리(111)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112)는 이러한 패턴 데이터를 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서버(200) 및/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의상의 패턴 데이터를 로드 할 수 있다. 이때 패턴 데이터를 '로드(Load)'하는 것은, 해당 패턴 데이터를 표시, 편집 및/또는 수정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 메모리(111) 및/또는 서버(200)로부터 해당 패턴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전술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패턴 데이터가 복수인 경우, 패턴 데이터의 로드는 메모리(111)에 저장된 복수의 패턴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패턴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패턴 데이터의 로드는 사용자가 서버(200)로부터 특정 패턴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패턴 데이터의 로드와 유사하게, 해당 패턴 데이터에 대응되는 의상이 입혀질 바디에 대한 바디 데이터를 로드 할 수 있다. 이때 '바디 데이터'에는 해당 바디의 사이즈, 각 부분의 비율, 인종, 성별 및 피부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사용자의 바디 데이터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바디 데이터에 포함되는 전술한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수정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사용자의 성별을 남성에서 여성으로 수정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바디 데이터에 포함되는 성별에 관한 정보를 남성에서 여성으로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로드 한 의상의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의상의 입체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입체 형상은 패턴 데이터에 기초한 의상의 3차원 공간상에서의 모양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패턴 데이터와 별도로 로드 된 바디 데이터를 고려하여 의상의 입체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바디 데이터 및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상의 입체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의상의 입체 형상을 표시한 화면(420)의 예시이다.
도 3과 마찬가지로, 화면(420)은 의상의 3차원 공간상에서의 형상을 표시하는 영역(421), 의상을 구성하는 파트의 모양을 표시하거나 편집하기 위한 영역(422) 및 의상을 표시할 때의 다양한 속성값을 설정하기 위한 영역(4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의상의 3차원 공간상에서의 형상을 표시하는 영역(421)에, 바디 데이터에 기초한 바디의 3차원 형상(421a) 및 이러한 바디의 3차원 형상(421a)을 고려한 의상의 3차원 형상(421b)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의상의 입체 형상(421b)을 표시함에 있어서, 바디의 3차원 형상(421a)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의상의 입체 형상(421b)을 표시함에 있어서 의상 표시의 배경이 되는 공간을 고려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의상 표시의 배경이 되는 제1 공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의상을 관찰하고자 하는 제1 관찰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공간은 사용자가 의상을 모델링하고자 하는 가상의 공간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제1 공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바닥 형상을 갖는 실내공간일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변과 같은 실외공간일 수도 있다.
도 5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관찰 방향을 결정하는 화면(430)의 예시이다. 이때 화면(430)은 바디의 3차원 형상(432), 의상의 표시(입체) 형상(433) 및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34)을 표시하는 3차원 표시 영역(43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2)는 표시 영역(43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관찰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표시 영역(431)상의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관찰 방향을 제3 관찰 방향에서 제1 관찰 방향으로 변경할 수도 있고, 제1 관찰 방향에서 제2 관찰 방향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2)는 화면(430)상에 제공되는 소정의 관찰 방향 전환 인터페이스(미도시)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관찰 방향을 결정하거나 관찰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2)는 사용자에게 현재 관찰 방향인 제1 관찰 방향을 알려주기 위한 방향 인디케이터(435)를 표시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는 표시 영역(431)상의 어느 하나의 지점에 드래그 입력을 수행하면서 인디케이터(435)를 관찰함으로써 관찰 방향의 변화를 보다 더 잘 확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제1 공간 상에서의 광의 조사 방향인 광 조사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가 광 조사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모델링 하고자 하는 의상(462)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구(sphere) 형상의 공간(460)에 제1 공간(461)을 대응시킬 수 있다. 이때 구 형상의 공간(460)에 제1 공간(461)을 대응시키는 것은 가령 제1 공간(461)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구 형상의 공간(460)의 내측면에 투영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제1 공간이 대응된 구 형상의 공간(460)에서, 구 형상의 공간(460)을 관통하는 복수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463)을 광 조사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 조사 방향은 화면에 표시된 구 형상의 공간(460)에 대한 방향을 특정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광 조사 방향은 의상의 표시 형상 및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상의 3차원 모델링에 있어서 광 조건 까지도 고려하여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제1 관찰 방향에 따른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의상의 측면을 관찰하는 관찰 방향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상의 정면을 관찰하는 제1 관찰 방향으로 관찰 방향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행한 경우, 프로세서(112)는 정면에서 의상을 관찰할 때의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도 6에 도시된 구 형상의 공간(460)을 제공(표시)하는 경우, 표시된 구 형상의 공간(460)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464)입력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제1 관찰 방향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향(464) 입력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에 따라 광 조사 방향이 결정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2)는 결정된 광 조사 방향에 따른 광을 고려하여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광 조사 방향을 고려하여 의상의 표시 형상 중 적어도 일부분의 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분에 그림자에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제1 관찰 방향에 따른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도 있다. 가령 사용자가 의상의 측면을 관찰하는 관찰 방향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상의 정면을 관찰하는 제1 관찰 방향으로 관찰 방향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행한 경우, 프로세서(112)는 제1 관찰 방향을 고려하여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에 따라 광 조사 방향이 결정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2)는 결정된 광 조사 방향에 따른 광을 고려하여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광 조사 방향을 고려하여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중 적어도 일부분의 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분에 그림자에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상에 의상의 표시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할 때,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제1 공간의 표시 형상과 의상의 표시 형상의 융합이 필요한 융합 부분을 추출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의상의 표시 형상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이 접하는 부분인 제1 융합 부분을 융합 부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는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이 의상의 표시 형상에 비치는 부분인 제2 융합 부분을 융합 부분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융합 부분 및 제2 융합 부분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가 제1 융합 부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의상의 표시 형상(441) 상에서 의상의 표시 형상(441)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42)이 접하는 부분인 제1 융합 부분을 융합 부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의상의 표시 형상(441)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42)이 '접하는 부분'은 두 형상의 경계가 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부분 화면(440P)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의상의 표시 형상(441)의 오른쪽 어깨 부분의 일부분을 제1 융합 부분(443)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가 제2 융합 부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의상의 표시 형상(451) 상에서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52)이 의상의 표시 형상(451)에 비치는 부분인 제2 융합 부분을 융합 부분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의상의 표시 형상(451) 상에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52)이 '비치는 것'은 의상의 소재 특성으로 인해 의상을 통하여 내경이 드러나 보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부분 화면(450P)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의상의 표시 형상(451)의 왼쪽 다리 부분의 일 부분을 제2 융합 부분(453)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융합 부분에서의 의상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색상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색상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융합 부분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비율은 광 조사 방향 및 의류의 패턴 데이터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는 융합 부분에서의 의상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모양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모양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융합 부분의 모양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상황에서, 제1 융합 부분(443)의 색상을 결정함에 있어서, 의상의 표시 형상(441)에 따른 표시 색상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42)에 따른 표시 색상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상황에서, 제2 융합 부분(453)의 색상을 결정함에 있어서, 의상의 표시 형상(451)에 따른 표시 색상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52)에 따른 표시 색상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는 제2 융합 부분(453)의 표시 모양을 결정함에 있어서, 의상의 표시 형상(451)에 따른 표시 모양(즉 레이스 모양)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52)에 따른 표시 모양(땅과 바다의 모양)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2)는 소정의 단위 크기 단위로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12)는 소정의 개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픽셀 블록 단위로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할 수도 있고, 픽셀 단위로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융합 부분을 포함하여,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상에 의상의 표시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융합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융합 부분의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2)는 제1 관찰 방향에서 제2 관찰 방향으로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관찰 방향에 따른 의상의 표시 형상,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및 융합 부분 각각을 상술한 과정에 따라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프로세서(112)는 관찰 변경에 따라 의상의 표시 형상,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및 융합 부분의 형상을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12)에 의해 광 조사 방향이 결정된 경우 프로세서(112)는 관찰 방향의 변경과 더불어, 광 조사 방향까지 고려하여 갱신된 형상들(의상의 표시 형상,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및 융합 부분의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2)는 가령 도 6에서 구 형상의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는 의상의 표시 형상, 제2 관찰 방향 및 광 조사 방향을 고려하여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2)는 구 형상의 공간의 내측면에 투영된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제2 관찰 방향 및 광 조사 방향을 고려하여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는 결정된 의상의 표시 형상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다양한 공간에서 의상을 모델링 할 수 있으며, 특히 자연스러운 의상의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공간에서의 광 조건까지 고려하여 의상의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수행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되, 도 1 내지 도 10과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의상 표시의 배경이 되는 제1 공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의상을 관찰하고자 하는 제1 관찰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S1110) 이때 제1 공간은 사용자가 의상을 모델링하고자 하는 가상의 공간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제1 공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바닥 형상을 갖는 실내공간일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변과 같은 실외공간일 수도 있다.
도 5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관찰 방향을 결정하는 화면(430)의 예시이다. 이때 화면(430)은 바디의 3차원 형상(432), 의상의 표시(입체) 형상(433) 및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34)을 표시하는 3차원 표시 영역(43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표시 영역(43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관찰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표시 영역(431)상의 어느 하나의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관찰 방향을 제3 관찰 방향에서 제1 관찰 방향으로 변경할 수도 있고, 제1 관찰 방향에서 제2 관찰 방향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화면(430)상에 제공되는 소정의 관찰 방향 전환 인터페이스(미도시)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관찰 방향을 결정하거나 관찰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현재 관찰 방향인 제1 관찰 방향을 알려주기 위한 방향 인디케이터(435)를 표시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는 표시 영역(431)상의 어느 하나의 지점에 드래그 입력을 수행하면서 인디케이터(435)를 관찰함으로써 관찰 방향의 변화를 보다 더 잘 확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제1 공간 상에서의 광의 조사 방향인 광 조사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이 광 조사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모델링 하고자 하는 의상(462)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구(sphere) 형상의 공간(460)에 제1 공간(461)을 대응시킬 수 있다. 이때 구 형상의 공간(460)에 제1 공간(461)을 대응시키는 것은 가령 제1 공간(461)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구 형상의 공간(460)의 내측면에 투영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제1 공간이 대응된 구 형상의 공간(460)에서, 구 형상의 공간(460)을 관통하는 복수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463)을 광 조사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 조사 방향은 화면에 표시된 구 형상의 공간(460)에 대한 방향을 특정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광 조사 방향은 의상의 표시 형상 및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의상의 3차원 모델링에 있어서 광 조건 까지도 고려하여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제1 관찰 방향에 따른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S1120) 가령 사용자가 의상의 측면을 관찰하는 관찰 방향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상의 정면을 관찰하는 제1 관찰 방향으로 관찰 방향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행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정면에서 의상을 관찰할 때의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도 6에 도시된 구 형상의 공간(460)을 제공(표시)하는 경우, 표시된 구 형상의 공간(460)에 대한 사용자의 방향(464)입력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제1 관찰 방향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향(464) 입력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에 따라 광 조사 방향이 결정된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결정된 광 조사 방향에 따른 광을 고려하여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광 조사 방향을 고려하여 의상의 표시 형상 중 적어도 일부분의 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분에 그림자에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제1 관찰 방향에 따른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도 있다.(S1130) 가령 사용자가 의상의 측면을 관찰하는 관찰 방향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상의 정면을 관찰하는 제1 관찰 방향으로 관찰 방향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행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제1 관찰 방향을 고려하여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에 따라 광 조사 방향이 결정된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결정된 광 조사 방향에 따른 광을 고려하여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광 조사 방향을 고려하여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중 적어도 일부분의 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고, 적어도 일부분에 그림자에 대응되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상에 의상의 표시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할 때,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제1 공간의 표시 형상과 의상의 표시 형상의 융합이 필요한 융합 부분을 추출할 수 있다.(S1140)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의상의 표시 형상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이 접하는 부분인 제1 융합 부분을 융합 부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이 의상의 표시 형상에 비치는 부분인 제2 융합 부분을 융합 부분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융합 부분 및 제2 융합 부분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이 제1 융합 부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의상의 표시 형상(441) 상에서 의상의 표시 형상(441)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42)이 접하는 부분인 제1 융합 부분을 융합 부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의상의 표시 형상(441)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42)이 '접하는 부분'은 두 형상의 경계가 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부분 화면(440P)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의상의 표시 형상(441)의 오른쪽 어깨 부분의 일부분을 제1 융합 부분(443)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이 제2 융합 부분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의상의 표시 형상(451) 상에서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52)이 의상의 표시 형상(451)에 비치는 부분인 제2 융합 부분을 융합 부분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의상의 표시 형상(451) 상에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52)이 '비치는 것'은 의상의 소재 특성으로 인해 의상을 통하여 내경이 드러나 보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부분 화면(450P)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의상의 표시 형상(451)의 왼쪽 다리 부분의 일 부분을 제2 융합 부분(453)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상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융합 부분에서의 의상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색상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색상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융합 부분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비율은 광 조사 방향 및 의류의 패턴 데이터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융합 부분에서의 의상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모양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모양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융합 부분의 모양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상황에서, 제1 융합 부분(443)의 색상을 결정함에 있어서, 의상의 표시 형상(441)에 따른 표시 색상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42)에 따른 표시 색상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상황에서, 제2 융합 부분(453)의 색상을 결정함에 있어서, 의상의 표시 형상(451)에 따른 표시 색상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52)에 따른 표시 색상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융합 부분(453)의 표시 모양을 결정함에 있어서, 의상의 표시 형상(451)에 따른 표시 모양(즉 레이스 모양)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452)에 따른 표시 모양(땅과 바다의 모양)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소정의 단위 크기 단위로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100)은 소정의 개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픽셀 블록 단위로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할 수도 있고, 픽셀 단위로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상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융합 부분을 포함하여,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상에 의상의 표시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할 수 있다.(S1150) 이때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융합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술한 과정에 의해 결정된 융합 부분의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제1 관찰 방향에서 제2 관찰 방향으로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관찰 방향에 따른 의상의 표시 형상,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및 융합 부분 각각을 상술한 과정에 따라 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관찰 변경에 따라 의상의 표시 형상,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및 융합 부분의 형상을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광 조사 방향이 결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관찰 방향의 변경과 더불어, 광 조사 방향까지 고려하여 갱신된 형상들(의상의 표시 형상,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및 융합 부분의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가령 도 6에서 구 형상의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는 의상의 표시 형상, 제2 관찰 방향 및 광 조사 방향을 고려하여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구 형상의 공간의 내측면에 투영된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제2 관찰 방향 및 광 조사 방향을 고려하여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결정된 의상의 표시 형상과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다양한 공간에서 의상을 모델링 할 수 있으며, 특히 자연스러운 의상의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공간에서의 광 조건까지 고려하여 의상의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사용자 단말
101, 102, 103, 104: 사용자 단말
111: 메모리
112: 프로세서
113: 통신 모듈
114: 입출력 인터페이스
115: 입출력 장치
200: 서버
211: 메모리
212: 프로세서
213: 통신 모듈
214: 입출력 인터페이스
300: 네트워크

Claims (5)

  1. 배경 요소를 고려한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의상 표시의 배경이 되는 제1 공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의상을 관찰하고자 하는 제1 관찰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관찰 방향에 따른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관찰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상에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할 때,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과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의 융합이 필요한 융합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융합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상에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오버랩 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과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이 접하는 부분인 제1 융합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 상에서,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이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에 비치는 부분인 제2 융합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합 부분의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융합 부분에서의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색상과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색상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융합 부분의 색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융합 부분에서의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모양과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에 따른 표시 모양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융합 부분의 모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상기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관찰 방향을 상기 제1 관찰 방향에서 제2 관찰 방향으로 변경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관찰 방향에 따른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 및 상기 융합 부분 각각을 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상기 제1 관찰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공간에서 광의 조사 방향인 광 조사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 조사 방향에 따른 광을 고려하여 상기 의상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 조사 방향에 따른 광을 고려하여 상기 제1 공간의 표시 형상을 결정하는,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0190155797A 2019-11-28 2019-11-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20210066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28804.3A CN113196343A (zh) 2019-11-28 2019-11-28 衣服的三维建模方法
PCT/KR2019/016643 WO2021107202A1 (ko) 2019-11-28 2019-11-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0190155797A KR20210066494A (ko) 2019-11-28 2019-11-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US17/050,037 US11321935B2 (en) 2019-11-28 2019-11-28 Three-dimensional (3D) modeling method of clothing
KR1020210082444A KR102458303B1 (ko) 2019-11-28 2021-06-24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97A KR20210066494A (ko) 2019-11-28 2019-11-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444A Division KR102458303B1 (ko) 2019-11-28 2021-06-24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494A true KR20210066494A (ko) 2021-06-07

Family

ID=761305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797A KR20210066494A (ko) 2019-11-28 2019-11-28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0210082444A KR102458303B1 (ko) 2019-11-28 2021-06-24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444A KR102458303B1 (ko) 2019-11-28 2021-06-24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21935B2 (ko)
KR (2) KR20210066494A (ko)
CN (1) CN113196343A (ko)
WO (1) WO2021107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348A1 (ko) * 2022-05-23 2023-11-30 (주)클로버추얼패션 텍스쳐 이미지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9463B1 (en) * 2000-12-22 2005-01-0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subpixel-edge-offset-based determination of opacity
US7064755B2 (en) * 2002-05-24 2006-06-20 Silicon Graph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hadows using pre-computed textures
KR20090012649A (ko) * 2007-07-31 2009-02-04 주식회사 에프엑스코드 의상의 형상과 미세구조를 동시에 스캐닝하는 방법 및시스템
US9024966B2 (en) * 2007-09-07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Video blending using time-averaged color keys
KR101120820B1 (ko) * 2009-11-19 2012-03-22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공간 합성 영상을 제공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KR101671185B1 (ko) * 2010-03-22 2016-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렌더링을 위한 빛 및 질감 추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빛 및 질감을 이용한 렌더링 장치
US8194072B2 (en) * 2010-03-26 2012-06-0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for synthetically relighting images of objects
US8884984B2 (en) * 2010-10-15 2014-11-11 Microsoft Corporation Fusing virtual content into real content
GB201102794D0 (en) * 2011-02-17 2011-03-30 Metail Ltd Online retail system
JP6102122B2 (ja) * 2012-08-24 2017-03-2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773274B2 (en) * 2013-12-02 2017-09-26 Scott William Curry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virtual fitting room
JP5992957B2 (ja) * 2014-06-10 2016-09-14 美津濃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衣服の製造方法
US10636206B2 (en) 2015-08-14 2020-04-28 Metail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image file of a 3D garment model on a 3D body model
US10867453B2 (en) * 2015-08-14 2020-12-15 Metail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image file of a 3D garment model on a 3D body model
US20170161950A1 (en) * 2015-12-08 2017-06-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image processing of obscured objects
US20180068473A1 (en) * 2016-09-06 2018-03-08 Apple Inc. Image fusion techniques
KR20190028827A (ko) * 2017-07-31 2019-03-20 주식회사 자이언소프트 가상 피팅 시스템
KR102044348B1 (ko) * 2017-11-09 2019-11-13 (주)코아시아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 의류 피팅 미러 장치 시스템
KR102033161B1 (ko) * 2018-03-30 2019-10-16 (주)클로버추얼패션 아바타간 의상 전이 착장 방법
CN109035259B (zh) * 2018-07-23 2021-06-29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三维多角度试衣装置及试衣方法
US10949959B2 (en) * 2019-02-18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ssing image data in a composite image
US10902670B1 (en) * 2019-11-12 2021-01-26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s rendering based on machine learning
KR20220017017A (ko) * 2020-08-03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407A (ko) 2021-07-05
WO2021107202A1 (ko) 2021-06-03
US11321935B2 (en) 2022-05-03
KR102458303B1 (ko) 2022-10-25
US20210166492A1 (en) 2021-06-03
CN113196343A (zh)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439B1 (ko)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US119860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garment design and integrated application program for the same
US116406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ultra-low footprint body scanning
KR102294989B1 (ko) 의상 모델링을 위한 바디 형상 표시 방법
US20160078663A1 (en) Cloud server body scan data system
US11250321B2 (en) Immersive feedback loop for improving AI
US11836862B2 (en) External mesh with vertex attributes
US11978112B2 (en) Customized virtual store
US11663792B2 (en) Body fitted accessory with physics simulation
US2015026975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230169739A1 (en) Light and rendering of garments
US202103661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and computer program
US20240362874A1 (en) Virtual wardrobe ar experience
KR102458303B1 (ko)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294988B1 (ko)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KR102083504B1 (ko) 환경 요소를 고려한 의류의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9199616A1 (en) Product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wo-dimensional images to interactively display photorealistic representations of three-dimensional objects based on smart tagging
US20240193877A1 (en) Virtual production
US20230343004A1 (e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with dual cameras
US20230342988A1 (en) Real-time modifications i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60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624

Effective date: 2022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