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270A - 휴대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270A
KR20210066270A KR1020190155289A KR20190155289A KR20210066270A KR 20210066270 A KR20210066270 A KR 20210066270A KR 1020190155289 A KR1020190155289 A KR 1020190155289A KR 20190155289 A KR20190155289 A KR 20190155289A KR 20210066270 A KR20210066270 A KR 20210066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fastening
frame
lighting panels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대기
Original Assignee
홍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대기 filed Critical 홍대기
Priority to KR102019015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270A/ko
Publication of KR20210066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이 일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을 연결 가능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 각각은 LED광이 발광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둘러싸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조명패널의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조명 장치{Portable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SNS 및 유튜브 등의 개인방송 플랫폼의 확장으로,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영상촬영이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1인 크리에이터의 증가 및 확대로 1인 영상촬영 또는 사진촬영 등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영상 촬영 장비, 특히 조명 장치 등은 크기가 크고 무거워 운반 및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바, 휴대가 간편하고 어디서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조명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49379호 (2018.04.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명패널 및 지지프레임을 분리 및 조립 가능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운반 및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명패널을 연장 조립하여 LED발광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휴대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호 조립된 복수 개의 조명패널 각각을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을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휴대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이 일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을 연결 가능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 각각은 LED광이 발광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둘러싸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조명패널의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 각각은 소정 두께의 사각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발광부의 사각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은 상호 상하 또는 좌우 인접하게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조명패널의 사각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수직한 좌우 방향 양측면에 위치된 복수 개의 제1 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조명패널의 사각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평행한 상하 방향 양측면에 위치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1 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에서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수직한 타측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평행한 방향 일측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1 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에서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평행한 타측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1 체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2 체결부는 상호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1 체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2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 외면에서 상호 상이한 길이 방향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 중 상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1 체결부 및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 중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1-2 체결부는 상호 교호(交互)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안착 지지 가능한 적어도 3개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다리부는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명패널 및 지지프레임을 분리 및 조립 가능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운반 및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명패널을 연장 조립하여 LED발광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호 조립된 복수 개의 조명패널 각각을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을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의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에서 두 개의 조명패널이 분리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의 조명패널의 일측 외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10)는 각각이 일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100 : 100a, 100b) 및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100)을 연결 가능한 지지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지프레임(200)은 상술한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100) 중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100)을 상호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연결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100) 각각은 LED광이 발광되는 발광부(110), 발광부(110)를 둘러싸는 프레임부(120) 및 프레임부(120)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지프레임(200)은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100)의 체결부(130)와 연결됨으로써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1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100) 각각은 소정 두께의 사각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프레임부(120)는 발광부(110)의 사각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100) 각각은 소정 두께의 직육면체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100)은 상호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정렬되어 인접한 조명패널(100)끼리 연결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상호 조립되는 두 개의 조명패널(100)은 상호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지지프레임(200)의 일부가 두 개의 조명패널(100) 각각의 수평 방향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부(130)에 삽입 체결됨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100)은 상호 좌우 연장 조립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200)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연결부(210)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체결부(130) 각각에는 상술한 연결부(210)가 회전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체결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200)은 연결부(210)를 통해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100) 각각에서 돌출된 체결홀(133) 각각에 삽입 체결될 수 있고,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100)을 상호 조립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10)의 지지프레임(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프레임(200)은 다중 중첩식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폴(220), 지지폴(220)의 일단에 형성된 상술한 연결부(210) 및 지지폴(220)의 하측에 위치되어 지면에 안착 지지 가능한 적어도 3개의 다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적어도 3개의 다리부(230) 각각은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지지폴(2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접힐 수 있고, 지지폴(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전개되어 지면에 삼각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지지폴(220)은 상호 상이한 직경의 폴부재(221)가 연결된 3단 중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3개의 폴부재(221) 각각 말단에는 인접한 폴부재(221) 간의 높이 또는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222)는 회전됨에 따라 인접한 폴부재(221)의 중첩 위치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지지프레임(200)의 기립시 최상측 폴부재(221)는 상술한 연결부(210)와 연결될 수 있고, 최상측 고정부(222)의 회전에 따라 폴부재(221)와 연결부(210)의 위치 역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적어도 3개의 다리부(230)는 지지프레임(200)의 기립시 최하측 폴부재(22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10)에서 두 개의 조명패널(100)이 분리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10)는 적어도 2개의 조명패널(100)이 상호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 배치되고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복수 개의 체결부(130)는 프레임에서 조명패널(100)의 사각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수직한 좌우 방향 양측면에 위치된 복수 개의 제1 체결부(131) 및 프레임에서 조명패널(100)의 사각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평행한 상하 방향 양측면에 위치된 제2 체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제1 체결부(131)는 프레임에서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1 체결부(131a) 및 프레임에서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수직한 타측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2 체결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면상 조명패널(100)의 좌측면에 제1-1 체결부(131a)가 형성되고 조명패널(100)의 우측면에 제1-2 체결부(131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체결부(132)는 프레임에서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평행한 방향 일측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1 체결부(132a) 및 프레임에서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평행한 타측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2 체결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면상 조명패널(100)의 상측면에 제2-1 체결부(132a)가 형성되고 조명패널(100)의 하측면에 제2-2 체결부(132b)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제1-1 체결부(131a) 및 적어도 하나의 제1-2 체결부(131b)는 상호 상이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2-1 체결부(132a) 및 적어도 하나의 제2-2 체결부(132b)는 프레임 외면에서 상호 상이한 길이 방향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100) 중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100)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100) 중 어느 하나의 제1-1 체결부(131a) 및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100) 중 나머지 하나의 제1-2 체결부(131b)는 상호 교호(交互)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100a, 100b)이 상호 수평 방향으로 정렬 배치된 경우, 어느 하나의 조명패널(100a)은 좌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조명패널(100b)은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좌측 조명패널(100a)의 우측면 및 우측 조명패널(100b)의 좌측면은 상호 대면 위치될 수 있고, 좌측 조명패널(100a)의 제1-2 체결부(131b)와 우측 조명패널(100b)의 제1-1 체결부(131a)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2 체결부(131b) 및 제1-1 체결부(131a)는 상호 상이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두 개의 조명패널(100a, 100b) 연결을 위해 두 개의 조명패널(100a, 100b)이 상호 인접해짐에 따라 각각의 체결홀(133)이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2 체결부(131b) 및 제1-1 체결부(131a)는 상호 상이한 높이로 교차되어 교호(交互)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교호 배치된 제1-2 체결부(131b) 및 제1-1 체결부(131a)의 체결홀(133)에 연결부(210)가 삽입 체결됨에 따라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100a, 100b)은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200)을 통한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100) 연결 및 조립 간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100) 각각이 상호 독립적으로 연결부(210)에 체결되는 바, 두 개의 조명패널(100) 상호 간의 배치 각도는 조절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지지프레임(200)을 통한 조명패널(100) 조립 간 두 개의 조명패널(100)의 조사 각도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 및 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100)은 3개 이상이 조립되어 이용될 수 있다. 즉, 조명패널(100) 각각이 제1 체결부(131) 및 제2 체결부(132)를 구비하는 바, 인접한 조명패널(100)과 연속하여 연장 조립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조명패널(100)이 조립 확장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100)은 상호 상하 방향으로 조립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10)는 상하 배치된 두 개의 조명패널(100)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130)재(미도시 됨)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체결부(130)재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제2 체결부(132)의 체결홀(133) 내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조명패널(100) 각각은 가로 길이 30cm, 세로 길이 20cm의 소형 조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 개의 조명패널(100) 및 지지프레임(200)을 분해된 상태로 운반 및 운송할 수 있고, 필요시 복수 개의 조명패널(100) 및 지지프레임(200)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10)는 조명패널(100)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확장이 모두 가능한 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립된 복수 개의 조명패널(100)의 전체 크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10)의 조명패널(100)의 일측 외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조명패널(100)의 우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 장치(10)의 조명패널(100) 각각은 프레임에서 조명패널(100)의 수평 방향 일측 외면에 형성된 스위치부(140) 및 연결포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부(140)는 on/off 스위치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스위치부(140) 조작을 통해 발광부(11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포트(150)는 usb포트로 형성될 수 있고, usb 케이블을 통해 전력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때, 조명패널(100) 각각은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미도시 됨)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배터리는 연결포트(150)를 통해 연결된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충전될 수 있다. 나아가, 조명패널(100) 각각은 발광부(110)의 LED광 세기를 조절하는 광량조절부(미도시 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100) 각각에는 블루투스 모듈 등의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고, 무선통신 모듈은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조명패널(100) 각각의 전원 on/off 선택, 발광부(110)의 LED광 세기 조절 등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휴대용 조명 장치
100, 100a, 100b : 조명패널
110 : 발광부
120 : 프레임부
130 : 체결부
131 : 제1 체결부
131a : 제1-1 체결부
131b : 제1-2 체결부
132 : 제2 체결부
132a : 제2-1 체결부
132b : 제2-2 체결부
133 ; 체결홀
140 : 스위치부
150 : 연결포트
200 : 지지프레임
210 : 연결부
220 : 지지폴
221 : 폴부재
222 : 고정부
230 : 다리부

Claims (6)

  1. 각각이 일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을 연결 가능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 각각은 LED광이 발광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를 둘러싸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조명패널의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 각각은 소정 두께의 사각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발광부의 사각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은 상호 상하 또는 좌우 인접하게 배치되어 연결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조명패널의 사각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수직한 좌우 방향 양측면에 위치된 복수 개의 제1 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조명패널의 사각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평행한 상하 방향 양측면에 위치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조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수직한 일측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1 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에서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수직한 타측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평행한 방향 일측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1 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에서 모서리를 형성하는 외면 중 지면에 평행한 타측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1 체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2 체결부는 상호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1 체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2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 외면에서 상호 상이한 길이 방향 위치에 형성된, 휴대용 조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명패널 중 상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1 체결부 및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조명패널 중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1-2 체결부는 상호 교호(交互) 배치되는, 휴대용 조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안착 지지 가능한 적어도 3개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다리부는 접이식으로 형성된, 휴대용 조명 장치.
KR1020190155289A 2019-11-28 2019-11-28 휴대용 조명 장치 KR20210066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89A KR20210066270A (ko) 2019-11-28 2019-11-28 휴대용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89A KR20210066270A (ko) 2019-11-28 2019-11-28 휴대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270A true KR20210066270A (ko) 2021-06-07

Family

ID=7637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289A KR20210066270A (ko) 2019-11-28 2019-11-28 휴대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2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053B1 (ko) 2023-09-06 2023-12-21 고영국 개선된 튜브형 조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379B1 (ko) 2015-04-06 2018-04-16 (주)이코모스 휴대용 led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379B1 (ko) 2015-04-06 2018-04-16 (주)이코모스 휴대용 led 조명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053B1 (ko) 2023-09-06 2023-12-21 고영국 개선된 튜브형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7488B2 (en) Flexible LED substrate device
KR101531524B1 (ko) 휴대용 키보드
CN206130761U (zh) 一种光源模组及照明装置
CN106369504A (zh) 一种光源模组及照明装置
US9756709B2 (en) Wirelessly controlled lighting device
KR20210066270A (ko) 휴대용 조명 장치
CN105824171A (zh) 折叠式摄影棚及其工作方法
CA2938347A1 (en) Stage representation system and stage representation method
CN102610171A (zh) 一种可360度折叠的柔性led屏幕
CN201438256U (zh) 落地式互动投影一体机
US10734441B1 (en) Selectively adjustable lighting system
CN205827032U (zh) 折叠式摄影棚
CN111623283A (zh) 照明灯具
CN212156893U (zh) 照明灯具
JP3177659U (ja) 照射方向調整可能なled照明装置
CN205787704U (zh) 一种数字化会议室中控装置
KR20150022967A (ko) 휴대용 키보드
KR20220033711A (ko) Led 조명 블록, led 조명 기판, 라이터 블록, 배터리 블록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led 조명 블록 세트
KR101699456B1 (ko) 다기능 배열 램프 시스템
JP6588302B2 (ja) 防災用具
KR200497962Y1 (ko) 퍼즐 라이팅
KR101651531B1 (ko) 멀티스크린이 가능한 다각 테이블구조
KR20160072543A (ko) 원형 멀티 룸
WO2021104157A1 (zh) 光影屏
CN215112485U (zh) 一种多功能智慧灯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