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044A -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044A
KR20210066044A KR1020190154001A KR20190154001A KR20210066044A KR 20210066044 A KR20210066044 A KR 20210066044A KR 1020190154001 A KR1020190154001 A KR 1020190154001A KR 20190154001 A KR20190154001 A KR 20190154001A KR 20210066044 A KR20210066044 A KR 20210066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battery
mobile terminal
adjacent de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012B1 (ko
Inventor
김철훈
조세경
인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명
Priority to KR102019015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0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4B5/00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포함하고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의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유선전력을 통해 상시 동작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부,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무선전력 중지 명령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있는 전원을 기초로 상기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에게 무선전력의 송신을 개시하여 상기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를 함께 동작시키거나 또는 상기 인접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무선전력의 송신을 중지하는 무선전력 처리부 및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상기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제공하는 무선전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MOBILE DEVICE FOR PROVIDING WIRELESS POWER}
본 발명은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 디바이스의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유선전력을 통해 상시 동작될 수 있고 배터리 전원을 기초로 인접 디바이스에게 무선전력을 제공하여 인접 디바이스를 함께 동작시킬 수 있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모바일 단말은 특성상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동된다. 근래에는 무선 충전 기능이 지원되는 모바일 단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모바일 단말에 사용되는 무선충전 방식은 크게 공진 유도 방식(공진 방식)과 자기 유도 방식(유도 방식) 충전으로 나뉠 수 있다. 공진 방식은 모바일 단말을 무선 충전기에 접촉할 필요없이 일정 거리 안에 있으면 무선충전을 할 수 있다. 유도 방식은 모바일 단말과 무선 충전기를 직접 물리적으로 접촉시켜야 충전이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무선충전 기술은 모바일 단말이 다른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역방향 무선충전까지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44283호(2018.03.27)는 무선 디바이스의 에너지 공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인접 디바이스-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디바이스는 무선으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데이터 또는 에너지를 공유할 수 있는 디바이스임-를 스캐닝하는 스캐닝부,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에너지 공급자 및 에너지 수요자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역할을 결정하는 역할 결정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디바이스와 상기 무선 디바이스 사이에 에너지를 공유하기 위한 에너지 전송 방법을 결정하는 전송 방법 결정부, 상기 에너지 전송 방법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디바이스와 에너지를 공유하는 공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디바이스와 상기 데이터 또는 에너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공유 장치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디바이스 각각의 배터리 레벨 및 라이프 타임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를 기초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디바이스간의 배터리 레벨의 차이 또는 라이프 타임의 차이를 산출하며, 상기 배터리 레벨의 차이 또는 상기 라이프 타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디바이스와의 사이에 즉각적인 에너지 공유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6053호(2007.06.29)는 유도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전원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배터리, 교류입력 전압을 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류기, 직류입력 전압을 받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상기 전류기와 인버터 중 하나와 연결하여 상기 제 1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1 배터리의 전원으로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 2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제어변환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44283호(2018.03.27) 한국등록특허 제10-0736053호(2007.06.2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접 디바이스의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유선전력을 통해 상시 동작될 수 있고 배터리 전원을 기초로 인접 디바이스에게 무선전력을 제공하여 인접 디바이스를 함께 동작시킬 수 있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 이벤트에 따라 무선전력 개시 명령을 생성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인접 디바이스로부터 동작에 따른 무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접 디바이스의 피드백 수신 과정을 통해 배터리 전원의 방출 시점을 인지하고 특정시간 동안만 순간적으로 무선전력을 제공하여 평상시에는 배터리 전원이 방출되지 않게 무선전력 방출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은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포함하고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의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유선전력을 통해 상시 동작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부,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무선전력 중지 명령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있는 전원을 기초로 상기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에게 무선전력의 송신을 개시하여 상기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를 함께 동작시키거나 또는 상기 인접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무선전력의 송신을 중지하는 무선전력 처리부 및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상기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제공하는 무선전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 모바일 단말 거치형 조이스틱 또는 모바일 단말 거치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처리부는 외부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상기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통해 상기 무선전력의 송신을 개시하거나 또는 중지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처리부는 상기 외부 이벤트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이 생성된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동작에 따른 무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제어부는 외부 이벤트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이 생성된 경우에는 상기 외부 이벤트의 종류를 기초로 상기 무선전력의 송신 지속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의 송신 지속 시간의 과정 중에 상기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의 피드백이 특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 잔량이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을 무시하여 상기 무선전력의 생성을 금지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특정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처리부는 외부 무선전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 잔량을 기초로 상기 외부 무선전력을 상기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에 바이패스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은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포함하고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의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유선전력을 통해 상시 동작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부,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무선전력 중지 명령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있는 전원을 기초로 상기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에게 무선전력의 송신을 개시하여 상기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를 함께 동작시키거나 또는 상기 인접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무선전력의 송신을 중지하며, 상기 외부 이벤트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이 생성된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동작에 따른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전력 처리부 및 상기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상기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제공하는 무선전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전력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의 송신 지속 시간의 과정 중에 상기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의 피드백이 특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에 있는 배터리의 전원 잔량이 상기 배터리의 전원 잔량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은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 또는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의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유선전력을 통해 상시 동작될 수 있고 배터리 전원을 기초로 인접 디바이스에게 무선전력을 제공하여 인접 디바이스를 함께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은 외부 이벤트에 따라 무선전력 개시 명령을 생성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NFC)을 통해 인접 디바이스로부터 동작에 따른 무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은 인접 디바이스의 피드백 수신 과정을 통해 배터리 전원의 방출 시점을 인지하고 특정시간 동안만 순간적으로 무선전력을 제공하여 평상시에는 배터리 전원이 방출되지 않게 무선전력 방출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은 내부 배터리로 인접 위치에 있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 모바일 단말 거치형 조이스틱 또는 모바일 단말 거치대 등의 다른 디바이스에게 무선전력을 제공하여 인접한 다른 디바이스가 사전에 정해진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모바일 단말과 인접 디바이스 간의 무선전력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조이스틱에 거치되어 무선전력을 제공하는 일 실시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케이스에 끼워져 무선전력을 제공하는 일 실시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모바일 단말과 인접 디바이스 간의 무선전력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은 인접 위치에 있는 외부의 다른 디바이스(200)들에게 무선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바일 단말(100)은 내부에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에 있는 전원을 기초로 하여 인접 디바이스(200)에게 무선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평상시에는 배터리 전원을 방출하지 않고 인접 디바이스(200)와 연결 시점을 인지하여 특정 시간 동안만 순간적으로 무선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인접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단말(100)과 인접한 위치에서 모바일 단말(100)에서 제공하는 무선전력을 수신할 수 있고 무선전력에 따라 사전 정해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접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단말(100)과 인접 위치에서 동작할 수 있는 외부의 다른 디바이스로, 모바일 단말 케이스, 모바일 단말 거치형 조이스틱 또는 모바일 단말 거치대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접 디바이스(200)는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210)와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접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무선전력이 수신되면 미리 결정되어 있거나 또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동작코드를 수신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210)의 경우에는 내부에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무선전력을 제공받아 정해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220)의 경우에는 내부에 포함되는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무선전력을 제공받아 정해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은 배터리(110), 모바일 단말 제어부(120), 무선전력 처리부(130), 무선전력 제어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모바일 단말(100)의 전력원으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110)는 리튬이온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110)는 외부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충전할 수 있고 배터리(110)의 전원은 인접 디바이스(200)의 전력원으로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제어부(120)는 내부에 배터리(110)를 포함할 수 있고 인접 디바이스(200)의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유선전력을 통해 상시 동작되도록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전력 처리부(130)는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무선전력 중지 명령에 따라 배터리(110)에 있는 전원을 기초로 인접 디바이스(200)에게 무선전력의 송신을 개시하여 인접 디바이스(200)를 함께 동작시키거나 또는 인접 디바이스(200)에 대한 무선전력의 송신을 중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처리부(130)는 외부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통해 무선전력의 송신을 개시하거나 또는 중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전력 처리부(130)는 외부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에 연결된 인접 디바이스(200)에 따라 무선전력의 송신을 개시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0)이 인접 디바이스(200)로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화 수신된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게 무선 전력의 송신을 개시하여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서 특정 색상으로 발광하여 모바일 단말(100)이 전화 수신 상태임을 표시하는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00)이 인접 디바이스(200)로 모바일 단말 거치형 조이스틱에 거치된 상태에서 전화 수신된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 거치형 조이스틱에게 무선전력을 중단하여 조이스틱 조정 동작을 중지시키고 모바일 단말(100)이 전화 통화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처리부(130)는 외부 이벤트에 따라 무선전력 개시 명령이 생성된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인접 디바이스(200)로부터 동작에 따른 무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로는 NFC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의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스마트폰을 근거리에서 터치하여 결제, 정보 전송 등이 가능한 차세대 IT기술이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의 하나로 13.56㎒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하는데, 휴대폰 결제 시스템, 교통카드 시스템, 개인정보관리 시스템, 헬스케어 시스템이 있다. NFC는 통신거리가 짧은 반면 보안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무선전력 처리부(130)는 모바일 단말(100)이 인접 디바이스(200)로 모바일 단말 거치형 조이스틱에 거치된 상태에서 외부 이벤트에 따라 무선전력 개시 명령이 생성되어 배터리(110)에 있는 전원이 모바일 단말 거치형 조이스틱에 무선전력으로 제공되는 경우에 조이스틱의 조작 데이터를 NFC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처리부(130)는 외부 무선전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배터리(110)의 전원 잔량을 기초로 외부 무선전력을 인접 디바이스(200)에 바이패스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전력 처리부(130)는 배터리(110)의 전원 잔량이 90% 이상인 경우에 수신되는 외부 무선전력을 인접 디바이스(200)에 바이패스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제어부(140)는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제어부(140)는 외부 이벤트에 따라 무선전력 개시 명령이 생성된 경우에는 외부 이벤트의 종류를 기초로 무선전력의 송신 지속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전력 처리부(130)는 모바일 단말(100)이 인접 디바이스(200)로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화 수신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화 통화를 지속하는 동안 무선전력을 계속 송신하여 모바일 단말 케이스에서 특정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전력의 송신 지속시간(DurationSA,B)은 하기의 수학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전화를 송신 및 수신한 총 통화 시간,
Figure pat00003
는 전화 수신한 총 통화시간을 각각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제어부(140)는 무선전력의 송신 지속 시간의 과정 중에 인접 디바이스(200)의 피드백이 특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바일 단말(100)은 인접 디바이스(200)에 무선전력을 송신한 후 피드백을 수신하여 인접 디바이스(200)와의 연결을 인지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제어부(140)는 인접 디바이스(200)의 피드백 수신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인접 디바이스(200)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이탈된 경우로 인지할 수 있고 이때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생성하여 배터리(110)에 있는 전원이 더 이상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제어부(140)는 배터리(110)의 전원 잔량이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무선전력 개시 명령을 무시하여 무선전력의 생성을 금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기준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전력 제어부(140)는 배터리(110)의 전원 잔량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결정된 기준인 10% 이하인 경우에는 무선전력 개시 명령을 무시하고 무선전력의 생성을 금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110)가 완전 방전되지 않도록 배터리(110)의 전원 잔량을 관리하면서 인접 디바이스(200)에게 무선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제어부(140)는 인접 디바이스(200)가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220)인 경우에는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220)에 포함하는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전력 제어부(140)는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220)에 있는 배터리의 전원 잔량이 모바일 단말(100)에 있는 배터리(110)의 전원 잔량보다 큰 경우에는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배터리(110)를 내부에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부(120), 무선전력 처리부(130) 및 무선전력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은 모바일 단말 케이스, 모바일 단말 거치형 조이스틱, 모바일 단말 거치대 등 인접 위치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인접 디바이스(200)에 무선 전력을 제공할 수 있고, 그 밖에 디지털 도어락, 터치펜 등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조이스틱에 거치되어 무선전력을 제공하는 일 실시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은 조이스틱(300)에 거치한 상태에서 게임이 시작되면 배터리(110)에 있는 전원을 기초로 조이스틱(300)에게 무선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단계 S310).
조이스틱(300)은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른 조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조정 동작에 따른 데이터를 NFC를 통해 모바일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20).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은 조이스틱(300)의 조작 데이터를 NFC로 수신하여 조작 데이터에 대응하는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단계 S330).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은 조이스틱(300)의 조정 동작을 게임의 명령으로 변환하여 게임 진행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은 배터리(110)의 전원 잔량이 특정 기준 이하가 될 때, 진행되는 게임이 종료될 때, 그리고 외부 이벤트(예: 전화수신)가 수신될 때 무선전력의 송신을 중지할 수 있다(단계 S340).
따라서, 모바일 단말 거치형 조이스틱(300)은 별도의 배터리 없이도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의 무선전력으로 조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케이스에 끼워져 무선전력을 제공하는 일 실시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은 케이스(4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 이벤트(예:전화, 문자 수신) 발생하면 배터리(110)에 있는 전원을 기초로 케이스(400)에게 무선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단계 S410).
케이스(400)는 무선전력이 수신되는 동안 LED 발광 제어를 통해 특정 색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무선전력 수신에 대해 모바일 단말(100)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20). 여기에서, 특정 색상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수신의 경우 초록색, 문자 수신의 경우 노랑색 등 이벤트 종류에 따라 색상을 달리 정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은 배터리(110)의 전원 잔량이 특정 기준 이하가 될 때, 외부 이벤트(예: 전화통화, 문자확인)가 종료될 때, 그리고 케이스(400)로부터 무선전력 송신에 대한 피드백이 특정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을 때(예: 케이스 분리) 무선전력의 송신을 중지할 수 있다(단계 S330).
따라서, 모바일 단말 케이스(400)은 별도의 배터리 없이도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의 무선전력으로 모바일 단말(100)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100)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배터리에 있는 전원을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 또는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에게 무선전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의 경우 별도의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고도 정해진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폐건전지 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인접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른 데이터를 무선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과 인접 디바이스를 함께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110: 배터리 120: 모바일 단말 제어부
130: 무선전력 처리부 140: 무선전력 제어부
150: 제어부
200: 인접 디바이스
210: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
220: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
300: 모바일 단말 거치형 조이스틱
400: 모바일 단말 케이스

Claims (11)

  1.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포함하고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의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유선전력을 통해 상시 동작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부;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무선전력 중지 명령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있는 전원을 기초로 상기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에게 무선전력의 송신을 개시하여 상기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를 함께 동작시키거나 또는 상기 인접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무선전력의 송신을 중지하는 무선전력 처리부; 및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상기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제공하는 무선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 케이스, 모바일 단말 거치형 조이스틱 또는 모바일 단말 거치대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처리부는
    외부 이벤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상기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통해 상기 무선전력의 송신을 개시하거나 또는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처리부는
    상기 외부 이벤트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이 생성된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비-배터리 인접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동작에 따른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제어부는
    외부 이벤트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이 생성된 경우에는 상기 외부 이벤트의 종류를 기초로 상기 무선전력의 송신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의 송신 지속 시간의 과정 중에 상기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의 피드백이 특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 잔량이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을 무시하여 상기 무선전력의 생성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제어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특정 기준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처리부는
    외부 무선전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 잔량을 기초로 상기 외부 무선전력을 상기 비-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에 바이패스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10.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포함하고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의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유선전력을 통해 상시 동작되도록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제어부;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무선전력 중지 명령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 있는 전원을 기초로 상기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에게 무선전력의 송신을 개시하여 상기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를 함께 동작시키거나 또는 상기 인접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무선전력의 송신을 중지하며, 상기 외부 이벤트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이 생성된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동작에 따른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전력 처리부; 및
    상기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개시 명령 또는 상기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제공하는 무선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제어부는
    상기 무선전력의 송신 지속 시간의 과정 중에 상기 배터리 타입 인접 디바이스의 피드백이 특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전력 중지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KR1020190154001A 2019-11-27 2019-11-27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KR102323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01A KR102323012B1 (ko) 2019-11-27 2019-11-27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01A KR102323012B1 (ko) 2019-11-27 2019-11-27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044A true KR20210066044A (ko) 2021-06-07
KR102323012B1 KR102323012B1 (ko) 2021-11-11

Family

ID=7637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001A KR102323012B1 (ko) 2019-11-27 2019-11-27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0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053B1 (ko) 2005-10-24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전원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71748B1 (ko) * 2007-11-30 2010-07-22 정춘길 근거리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JP3213041U (ja) * 2014-09-29 2017-10-1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デバイス間での誘導充電
KR20170136595A (ko) * 2015-04-10 2017-12-11 오시아 인크. 무선 충전형 배터리 장치
KR101844283B1 (ko) 2011-08-18 201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의 에너지 공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053B1 (ko) 2005-10-24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전원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71748B1 (ko) * 2007-11-30 2010-07-22 정춘길 근거리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KR101844283B1 (ko) 2011-08-18 201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의 에너지 공유 방법 및 장치
JP3213041U (ja) * 2014-09-29 2017-10-1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デバイス間での誘導充電
KR20170136595A (ko) * 2015-04-10 2017-12-11 오시아 인크. 무선 충전형 배터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012B1 (ko)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3862B2 (en) Headset charge via short-range RF communication
EP3282546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8374546B2 (e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ensured NFC functionality
US9041346B2 (en)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pparatus
JP6467350B2 (ja) 共振型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電力伝送制御方法、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送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受信装置
KR101457889B1 (ko)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10312734B2 (en) Power supply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301575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in a mobile device through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tenna
KR20160105798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KR20140023409A (ko) 무선 충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229583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カメラ並びにドック装置
EP3629488B1 (en) Power supply apparatus
JP2011045190A (ja)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受電制御装置、受電装置及び電子機器
US1035627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determining wireless communication to be use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determining wireless communication to be used, and computer-readable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sel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to be used
US11431207B2 (en) Power reception apparatu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978921B1 (en) Wireless power system with efficiency prediction
JP2008148520A (ja) 携帯機器
JP6198440B2 (ja) 無線電力伝送装置、無線電力伝送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2323012B1 (ko) 무선전력 제공 가능한 모바일 단말
US20210175756A1 (en) Power receiving apparatu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5429231A (zh) 移动终端、无线充电装置、无线充电系统及无线充电方法
US10559979B2 (en) Charging rechargeable apparatus
KR101739187B1 (ko) Rf 에너지 하비스팅에 기반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rf 에너지 하비스팅에 기반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 방법
US10756562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program, and non contact power-supply system
JP2019047627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