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770A - Hook - Google Patents

Hoo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770A
KR20210065770A KR1020190154882A KR20190154882A KR20210065770A KR 20210065770 A KR20210065770 A KR 20210065770A KR 1020190154882 A KR1020190154882 A KR 1020190154882A KR 20190154882 A KR20190154882 A KR 20190154882A KR 20210065770 A KR20210065770 A KR 20210065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rotating body
fixing groove
rotating
l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3234B1 (en
Inventor
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54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234B1/en
Publication of KR2021006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7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2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75Treating in a ladle furnace, e.g. up-/reheating of molten steel within the la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k, comprising a hook body having a curved surface at least in part so as to wrap at least a part of an object to be processed; and a rotating body provided on the hook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processed. The lifetime can be improved by reducing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object to be processed.

Description

후크{Hook}hook {Hook}

본 발명은 후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처리물과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켜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k,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ok capable of improving lifespan by reducing frictional resistance with an object to be treated.

일반적으로 래들(ladle)은 용선, 용강 등의 용융물을 담아 온도를 유지하면서 이동시키거나, 조업을 수행하는 용기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래들은 정련이 완료된 용강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래들 터렛에 안착된 후 턴디쉬에 용강을 주입할 수 있다. 래들에 수용된 용강이 턴디쉬로 주입되면, 래들에 잔류하는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하여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슬래그 배재장으로 래들을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래들을 이용할 때, 래들의 양측면에 형성된 트러니언에 크레인의 후크(hook)를 체결하고, 래들의 일측 하부에 연결된 경동 홀더에 보조 후크를 연결하여, 래들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매단 상태로 슬래그 배재장으로 이송할 수 있다. In general, a ladle may be used as a container for moving or performing an operation while maintaining a temperature containing a melt such as molten iron or molten steel. For example, the ladle may inject molten steel into the tundish after it is seated in the ladle turret in a state in which the refining is completed molten steel is accommodated therein. When the molten steel accommodated in the ladle is injected into the tundish, the ladle may be transferred to the slag removal plant using a crane or the like in order to remove the slag remaining in the ladle. When using the ladle in this way, the hook of the crane is fastened to the trunn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adle, and the auxiliary hook is connected to the tilt holder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ladle. can be transported to the field.

이후, 슬래그 배재장으로 래들이 도착하면, 후크와 보조 후크를 하강시켜 슬래그 배재 위치에 래들을 위치시킨 다음, 보조 후크를 상승시키면 후크가 연결된 트러니언을 회전축으로 하여 래들이 경동되면서 래들 내부에 잔류하는 슬래그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슬래그가 배출되면 보조 후크를 상승시켜 래들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Afterwards, when the ladle arrives at the slag removal site, the hook and the auxiliary hook are lowered to position the ladle at the slag removal position, and then, when the auxiliary hook is raised, the ladle is tilted with the trunnion connected to the hook as the rotation axis and remains inside the ladle. slag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slag is discharged, the auxiliary hook can be raised to return the ladle to its original position.

그런데 래들을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트러니언이 후크와 마찰을 일으켜, 래들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지 않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에 후크에서 트러니언과 접촉하는 면에 윤활제를 도포하거나, 윤활 작용을 하는 라이너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후크에서 트러니언과 접촉하는 면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윤활제가 유지되는 시간이 짧아 작업자가 후크에 윤활제를 수시로 도포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업무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크에 형성되는 라이너는 트러니언과 지속적으로 마찰을 일으켜 쉽게 마모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라이너를 교체해야 하므로, 라이너 교체에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ladle, the trunnion causes friction with the hook, and the phenomenon that the ladle does not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often occurs. Accordingly, a lubrican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hook in contact with the trunnion, or a lubricating liner is formed. However, since the surface of the hook in contact with the trunn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the time for which the lubricant is maintained is short, and the operator has to frequently apply the lubricant to the hook, thereby increasing the workload of the operator. In addition, since the liner formed on the hook is easily worn due to continuous friction with the trunnion,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replace the liner,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placement of the liner is expensive.

KRUS 10-089181110-0891811 BB KRUS 10-2008-010939410-2008-0109394 AA

본 발명은 피처리물과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켜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ok capable of improving lifespan by reducing frictional resistance with an object to be treated.

본 발명은 중량물을 정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후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ok capable of returning a heavy object to its original position.

본 발명은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해줄 수 있고,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후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ok that can reduce the work load of the operator and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후크는, 피처리물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가지는 후크 몸체; 및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후크 몸체에 구비되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A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 body having a curved surface at least in part so as to wrap at least a portion of an object to be processed; and a rotating body provided on the hook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target object.

상기 후크 몸체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와, 상기 피처리물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The hook body includes a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wrap at least a portion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상기 회전체는 상기 고리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may be provided in the ring portion.

상기 후크 몸체는 상기 회전체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ok body may include a fixing groove for inserting a part of the rotating body.

상기 고정홈은 상기 회전체의 반경보다 깊고, 상기 회전체의 직경보다 얕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depth greater than a radius of the rotating body and shallower than a diameter of the rotating body.

상기 후크 몸체는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ok body may include an injec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fixing groove and the outside of the fixing groove.

상기 주입구는 상기 고정홈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injection ho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fixing groove.

상기 회전체는 상기 피처리물을 상기 후크 몸체에 안착시켰을 때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rotating body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process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when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seated on the hook body.

상기 회전체는 상기 피처리물의 외주면과 선 접촉 가능할 수 있다. The rotating body may be in lin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상기 회전체는 상기 피처리물의 외주면과 점 접촉 가능할 수 있다. The rotating body may be in point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상기 회전체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후크 몸체에 구비되는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liner provided on the hook body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rotation body.

상기 후크 몸체는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ok body may include a plurality of plates and a fasten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lates.

상기 회전체는 롤러, 베어링 및 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ng bod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oller, a bearing, and a ball.

상기 피처리물은 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 몸체는 상기 래들에 구비되는 트러니언에 체결되어 상기 래들을 권상 및 권하시키도록, 크레인의 와이어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arget object includes a ladle, and the hook body is fastened to a trunnion provided in the ladle to hoist and hoist the ladle, and may include a connector for connecting to a wire of a cran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크레인의 후크에 중량물을 매달아 이송하거나, 핸들링하는 경우, 후크와 중량물 간의 마찰 저항을 저감시켜 후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마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업무 부담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이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현상을 억제 혹은 방지하여, 중량물을 이용한 조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porting or handling a heavy object by hanging on the hook of the cran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life of the hook by reduc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hook and the heavy object, and the work load of the operator that may occur due to wear and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heavy object deviates from the intended position, so that the operation using the heavy object can be stab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를 이용하여 래들을 권상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후크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B-B'에 따른 후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후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를 이용하여 용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le is hoisted using a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ok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ok taken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2;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ok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using a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되거나 확대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expla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enlarg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를 이용하여 래들을 권상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le is hoisted using a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를 설명하기 앞서, 후크에 체결하기 위한 용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Before describing the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100 for fastening to the hook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용기(10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100)는 내부에 내용물을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용기(100)는 제철소에서 용선이나 용강 등의 용융물을 저장 및 운반하는 래들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container 100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to accommodate the contents therein. And the container 100 may have an open top so that the contents can be injected and discharged therein. For example, the container 100 may be a ladle that stores and transports molten iron such as molten iron or molten steel in a steel mill.

용기(100)는 중량물로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이송 및 경동시킬 수 있다. 이에 용기(100)의 외주면에는 크레인의 후크를 연결하기 위한 제1걸림체(11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iner 100 is a heavy object, and may be transported and tilted using a crane. Accordingly, the first locking body 110 for connecting the hook of the cran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

제1걸림체(110)는 후크(300)가 결속될 수 있도록 용기(1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체(110)는 트러니언이라 불리우기도 하며, 한 쌍이 용기(100)의 상부측 외주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체(110)는 곡면을 갖는 대략 원통형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걸림체(110)가 연장되는 방향은 제1걸림체(11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The first locking body 11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so that the hook 300 can be bound. The first locking body 110 is also called a trunnion, and a pair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100 . The first locking body 110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cylindrical bar shape having a curved surface. In this ca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ocking body 110 extends may mea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ocking body 110 .

또한, 용기(100)에는 제2걸림체(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체(120)는 용기(100)를 경동시키기 위한 래들용 장치(200)와 결속될 수 있도록 용기(1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걸림체(110)보다 낮은 위치, 예컨대 용기(100)의 하부측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걸림체(110)는 한 쌍의 제2걸림체(120)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체(120)는 용기(100)를 이송하거나 용기(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래들용 장치(200)와 결속을 유지할 수 있고, 용기(100)를 경동시키는 경우에는 래들용 장치(200)와 결속을 해제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100 may have a second locking body 120 formed therein. The second locking body 12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so as to be bound to the apparatus 200 for a ladle for tilting the container 100 , and a position lower than the first locking body 110 . , for example,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100 . In this case, the first locking body 11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virtual line connecting the pair of second locking bodies 120 . The second locking body 120 can maintain a bond with the device 200 for the ladle when transporting the container 100 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ntainer 100, and for the ladle when the container 100 is tilted. It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be able to release the bond with the device 200 .

이에 제1걸림체(110)에는 후크(300)가 결속되고, 제2걸림체(120)에는 보조 후크(400)와 결속되는 래들용 장치(200)가 결속된다. 외이어(340, 410)에 각각 연결된 후크(300)와 보조 후크(400)를 권상 및 권하함으로써 용기(100)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용기(100)의 경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용기(100)의 경동 작업 시 제1걸림체(110)는 회전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ook 300 is bound to the first locking body 110 , and the device 200 for the ladle, which is bound to the auxiliary hook 400 , is bound to the second locking body 120 . By hoisting and unwinding the hook 300 and the auxiliary hook 40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uter ear (340, 410), the height of the container 100 can be adjusted, or the tilt angle of the container 100 can be adjusted. In this case, the first locking body 110 may serve as a rotation center during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container 100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후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B-B'에 따른 후크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은 후크 몸체(310)를 기준으로 설정된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후크 몸체(310)의 길이 방향은 제1걸림체(110)의 직경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후크 몸체(310)의 폭 방향은 제1걸림체(110)가 연장되는 방향, 즉 제1걸림체(11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ok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ok. In FIG. 3 ,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refer to directions set with respect to the hook body 310 . At this time,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ook body 310 may mean a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locking body 110 ,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ok body 310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ocking body 110 extends, that is, the first locking body 110 . 1 may refe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body 110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300)는, 피처리물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가지는 후크 몸체(310) 및 피처리물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후크 몸체(310)에 구비되는 회전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피처리물은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100)를 포함하며, 후크(300)는 용기(100)의 제1걸림체(110), 즉 트러니언에 체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hook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hook body 310 having a curved surface at least in par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so as to wrap at least a portion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It may include a rotating body 320 provided on the hook body 310 . Here, the object to be processed includes a container 100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melt, and the hook 300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stopper 110 of the container 100 , that is, the trunnion.

후크 몸체(3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Ⅰ)와, 용기(100)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제1걸림체(110)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316)가 형성되고, 지지부(Ⅰ)의 하부에 연결되는 고리부(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크 몸체(310)의 지지부(Ⅰ)에는 크레인의 와이어(34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3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 몸체(310)의 고리부(Ⅱ)에는 제1걸림체(1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316)가 형성될 수 있고, 개구(316) 내측으로는 제1걸림체(110)를 안착시켜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간(3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공간(317)은 원통 형상의 제1걸림체(110)의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몸체(310)에서 상하방향은 높이 방향이라 한다. 그리고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리부(Ⅱ)를 기준으로 고리부(Ⅱ)의 직경 방향은 길이방향이라 하며, 길이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은 폭방향이라 한다. The hook body 310 is formed with an opening 316 for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iner 100, for example, the first locking body 110, and a support portion I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 It may include a ring portion (II)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At this time, the support part (I) of the hook body 310 may be formed with a connector 314 for connecting to the wire 340 of the crane. And an opening 316 may be formed in the hook portion II of the hook body 310 to insert the first locking body 110 , and the first locking body 110 may be formed inside the opening 316 . A fastening space 317 for seating and fastening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fastening space 317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so as to wrap at least a part of the cylindrical first locking body 1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hook body 310 is referred to as a height direction. And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ing portion (II) based on the ring portion (II)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arc shape is referred to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이러한 후크 몸체(310)는 복수의 플레이트(311, 312)와, 복수의 플레이트(311, 312)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311, 312)는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플레이트(311: 311a, 311b)와, 제1플레이트(311)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플레이트(312: 312a~312g)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플레이트(312)의 개수는 후크(300)를 이용하여 핸들링하기 위한 피처리물의 중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피처리물의 중량에 따라 가감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제2플레이트(312)가 7개인 예에 대해서 설명하며, 후크 몸체(310)는 총 9개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후크 몸체(310)가 복수개의 플레이트(311, 312)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후크 몸체(310)는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hook body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lates 311 and 312 and a coupling member 313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plates 311 and 312 . A plurality of plates (311, 312) is a pair of first plates (311: 311a, 311b)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nd at least one second plate (312: 312a to 312g) provided between the first plate (311) may include. The number of the second plates 312 may vary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handled using the hook 300 , and may be added or subtrac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Here,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plate 312 is seven will be described, and the hook body 310 may be formed of a total of nine plates. Here, an example of using the hook body 310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lates 311 and 312 will be described, but the hook body 310 may be formed as a single structure.

제1플레이트(311)는 제2플레이트(312)는 지지부(Ⅰ)와 고리부(Ⅱ)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플레이트(311)와 제2플레이트(312)를 서로 중첩시켰을 때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후크 몸체(31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들(311, 312) 중 가운데에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312d)의 면적이 가장 크고, 나머지 플레이트들은 외측, 예컨대 제1플레이트(311) 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plate 311 may be formed so that the second plate 312 has a shape including a support part (I) and a ring part (II), and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when overlapped. Alternatively, the area of the second plate 312d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plates 311 and 312 constituting the hook body 310 is the largest, and the area of the remaining plates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for example, the first plate 311. It may be formed to decrease.

또한, 제1플레이트(311)와 제2플레이트(312)는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제1플레이트(311)와 제2플레이트(312)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플레이트(311)는 제2플레이트(312)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고, 제1플레이트(311)는 제2플레이트(312)보다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플레이트(312)는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Also, both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nd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For example, the first plate 311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second plate 312 , and the first plate 311 may be formed thinner than the second plate 312 . In addition, the second plates 312 may all be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or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제1플레이트(311)와 제2플레이트(312)는 결합부재(313)에 의해 결합되어 후크 몸체(3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313)는 복수의 지점에서 제1플레이트(311) 및 제2플레이트(312)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플레이트(311) 및 제2플레이트(312)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재(313)로는 볼트 및 너트가 사용될 수도 있고, 리벳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결합부재(313)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플레이트(311)와 제2플레이트(312)가 결합부재(313)를 이용하여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1플레이트(311)와 제2플레이트(312)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may be coupled by a coupling member 313 to form the hook body 310 . At this time, the coupling member 313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at a plurality of points, through which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combined. As the coupling member 313, a bolt and a nut may be used, or a rivet may be used, but various types of coupling members 313 may be us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Here,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are described as being coupled using the coupling member 313, but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may be coupled through welding, etc. may be

한편, 후크 몸체(310)에는 회전체(320)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홈(3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홈(318)은 후크 몸체(310)의 고리부(Ⅱ)에 형성된 체결공간(317)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318)은 체결공간(317)에 제1걸림체(110)를 안착시켰을 때 제1걸림체(110)와 접촉하는 바닥면에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318)에 대해서 설명하기 이전에 회전체(320)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Meanwhile, a fixing groove 318 for installing the rotating body 320 may be formed in the hook body 310 . In this case, the fixing groove 318 may be formed in the fastening space 317 formed in the ring portion II of the hook body 310 . The fixing groove 318 may be concavely recessed in the botto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10 when the first locking body 110 is seated in the fastening space 317 . Before describing the fixing groove 318, the rotating body 320 will be described first.

회전체(320)는 회전축(322)과, 회전축(322)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롤러(3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체(320)는 후크 몸체(310)의 체결공간(317)에 제1걸림체(110)가 삽입 또는 체결되었을 때, 제1걸림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위치에서 접촉 가능하도록 제1걸림체(110)와 회전체(320)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체(320)는 후크 몸체(3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322)에는 한 개의 롤러(326)가 회전축(3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롤러(326)가 복수 개, 예컨대 2개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회전축(322)이 복수 개로 구비되고, 회전축(322)마다 롤러(326)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회전축(322)은 후크 몸체(310)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롤러(326)는 제1걸림체(110)와 접촉을 통해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3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롤러(326)와 회전축(322) 간의 마찰 저항을 방지하도록 회전축(322)과 롤러(326) 사이에 베어링 등과 같은 회전부재(324)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축(322)과 롤러(326) 또는 회전부재(324)의 윤활을 위해, 회전축(322)에 윤활제를 주입하기 위한 유로(323)를 형성할 수 있다. The rotating body 320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322 and a roller 326 rotatably provided outside the rotating shaft 322 . At this time, when the first locking body 110 is inserted or fastened to the fastening space 317 of the hook body 310 , the rotating body 320 contacts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locking body 110 . As possible, the first locking body 110 and the rotating body 32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That is, the rotating body 320 may be installed to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ok body 310 . In addition, one roller 326 may be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322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322 , and a plurality of rollers 326 may be provided, for example, divided into two.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322 may be provided, and a roller 326 may be provided for each rotation shaft 322 ,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322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ok body 310 . The roller 326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322 so as to freely rotate through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10 . In this case, a rotating member 324 such as a bear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322 and the roller 326 to prevent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roller 326 and the rotating shaft 322 . In addition, for lubrication of the rotation shaft 322 and the roller 326 or the rotation member 324 , a flow path 323 for injecting a lubricant into the rotation shaft 322 may be formed.

이러한 회전체(320)는 제1걸림체(11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후크 몸체(310)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체(320)는 제11걸림체(110)의 외주면과 선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체(320)는 후크 몸체(310)에 형성된 고정홈(318)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홈(318)은 후크 몸체(310)를 구성하는 제1플레이트(311)와 제2플레이트(312)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플레이트(311)에는 회전체(320)의 회전축(32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플레이트(312)와 마주보는 내면에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플레이트(312)에는 롤러(326)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플레이트(311)와 제2플레이트(312)에 형성되는 오목홈은 회전체(32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홈(318)은 제1플레이트(311)에 형성된 오목홈과, 제2플레이트(312)에 형성된 오목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플레이트(311)와 제2플레이트(312) 각각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제1플레이트(3110)와 제2플레이트(312)를 결합하여 후크 몸체(310)를 형성하면, 각각의 오목홈이 후크 몸체(310)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회전체(3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3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롤러(326)가 2개로 분할된 경우에는 가운데에 배치되는 제2플레이트(312d)에 회전축(322)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rotating body 320 may be installed on the hook body 3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body 110 . The rotating body 32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lin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venth locking body 110 . In this case, the rotating body 320 may be installed in the fixing groove 318 formed in the hook body 310 . Referring to FIG. 4 , the fixing groove 318 may be formed by processing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constituting the hook body 310 . At this time, a concav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second plate 312 so that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322 of the rotating body 320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plate 311 . In addition, concave grooves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roller 326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late 312 . In this case, the concave grooves formed in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may have the same shape or different shapes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rotating body 320 . The fixing groove 318 may be formed by a concave groove formed in the first plate 311 and a concav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plate 312 . That is, a concave groove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 and the hook body 310 is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plate 3110 and the second plate 312 , each The concave groov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ok body 310 to form a fixing groove 318 into which the rotating body 320 can be inserted and fixed. At this time, when the roller 326 is divided into two as shown in FIG. 4 , an insertion hole (not shown)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322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late 312d disposed in the middle.

고정홈(318)은 회전체(320)의 일부를 돌출시킬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후크 몸체(310)에 설치되는 회전체(320)는 제1걸림체(110)와 접촉하여, 후크 몸체(310), 예컨대 체결공간(317) 내에서 제1걸림체(110)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홈(318)은 회전체(320)가 제1걸림체(11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회전체(320)의 적어도 일부를 돌출시킬 수 있으면서, 회전체(320)가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홈(318)은 회전체(320)의 반경보다 깊고, 회전체(320)의 직경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320)는 제1플레이트(311)와 제2플레이트(312)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고정홈(318)에 설치될 수 있다. The fixing groove 318 may be formed to a depth capable of protruding a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320 . That is, the rotation body 320 installed on the hook body 31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10 , the hook body 310 ,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first locking body 110 in the fastening space 317 . can be used to adjust Therefore, the fixing groove 318 can protr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320 so that the rotating body 320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10 , while the rotating body 320 is not separated from the degree of separation. depth can be formed. For example, the fixing groove 318 may be formed to be deeper than the radius of the rotating body 320 and shall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body 320 . The rotating body 320 may be installed in the fixing groove 318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

회전체(320)가 후크 몸체(310), 즉 후크 몸체(310)의 고정홈(318)에 설치되면 제1플레이트(311)에 의해 회전축(322)에 형성된 유로(323)에 윤활제를 주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제1플레이트(311)에 유로(323) 또는 고정홈(318)과 연통되는 주입구(315)를 형성함으로써 고정홈(318)에 설치된 회전체(320)에 윤활제를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주입구(315)는 고정홈(318)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주입구(315)를 통해 고정홈(318)으로 주입되는 윤활제가 주입구(315)를 통해 다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고정홈(318)으로 주입된 윤활제는 고정홈(318) 내에 체류하면서 회전축(322)과 회전부재(324) 또는 회전부재(324)의 윤활능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윤활제가 고정홈(318) 내에 체류되기 때문에 윤활제의 주입 주기를 연장시켜 줄 수 있다. When the rotating body 320 is installed in the fixing groove 318 of the hook body 310, that is, the hook body 310, the lubricant is injected into the flow path 323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322 by the first plate 311. There are difficulties. Accordingly, by forming the inlet 315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323 or the fixing groove 318 in the first plate 311 , the lubricant can be smoothly injected into the rotating body 320 installed in the fixing groove 318 . In this case, the injection hole 31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318 . This is to prevent the lubricant injected into the fixing groove 318 through the inlet 315 from flowing out again through the inlet 315 . Through this, the lubricant injected into the fixing groove 318 may maintain the lubricating ability of the rotation shaft 322 and the rotation member 324 or the rotation member 324 while staying in the fixing groove 318 . In addition, since the lubricant is retained in the fixing groove 318,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injection period of the lubricant.

여기에서 제1걸림체(110)는 회전체(32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제1걸림체(110)와 후크 몸체(310) 간에 직접적인 접촉을 억제할 수 있으나, 후크 몸체(310)의 체결공간(317)에서 제1걸림체(110)의 위치가 제대로 조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걸림체(110)가 후크 몸체(310)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이에 후크 몸체(310)에 라이너(330)를 추가로 설치하여 제1걸림체(110)가 후크 몸체(31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너(330)는 후크 몸체(310)에 교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후크 몸체(310)에 비해 제1걸림체(110)와 마찰 저항이 작은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330)는 체결공간(317)에 제1걸림체(110)를 안착시켰을 때 후크 몸체(310)와 접촉하는 면, 예컨대 고정홈(318)의 외측 또는 회전체(32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라이너(330)에는 고정홈(318)에서 돌출된 회전체(320)가 제1걸림체(11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회전체(320)를 노출시킬 수 있는 관통구(3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라이너(330)는 후크 몸체(310)에 회전체(32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라이너(330)는 회전체(320)가 고정홈(318)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고정홈(318)은 회전체(320)를 구속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체(320)는 제1플레이트(311)와 제2플레이트(312)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고정홈(318)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체(320)의 교체를 원활하게 위해 회전체(320)를 삽탈 가능하도록 고정홈(318)을 형성하는 경우, 라이너(330)를 이용하여 회전체(320)가 고정홈(318)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통구(332)의 크기, 적어도 후크 몸체(3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구(332)의 길이를 회전체(320)를 구성하는 롤러(326)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하면, 회전체(320)가 고정홈(318)에서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Here, since the first locking body 110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body 320 , direct contact between the first locking body 110 and the hook body 310 can be suppressed, but the fastening space of the hook body 310 .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locking body 110 is not properly adjusted in 317 , the first locking body 11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hook body 310 . Accordingly, a liner 33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hook body 310 to prevent the first locking body 110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hook body 310 . The liner 330 may be replaceably connected to the hook body 310 , and may be formed using a metal material having a lower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10 than the hook body 310 . The liner 330 is provid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ook body 310 when the first locking body 110 is seated in the fastening space 317 , for example, on the outside of the fixing groove 318 or on the outside of the rotating body 320 . can be That is, the liner 330 has a through hole 332 through which the rotating body 320 can be exposed so that the rotating body 320 protruding from the fixing groove 318 can contact the first locking body 110 . can be formed.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liner 330 may be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rotating body 320 on the hook body 310 . The liner 330 may prevent the rotating body 3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318 . That is, since the fixing groove 318 is formed to a size capable of constraining the rotating body 320, the rotating body 320 has the fixing groove (311)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irst plate 311 and the second plate 312. 318) can be installed. However, when the fixing groove 318 is formed so that the rotation body 320 can be inserted and detached for smooth replacement of the rotation body 320 , the rotation body 320 is moved from the fixing groove 318 by using the liner 330 . It can also prevent escaping. In this case, if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332 and at least the length of the through hole 3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ok body 310 are short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ller 326 constituting the rotating body 320, the rotating bod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3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318 .

한편, 회전체(320)는 체결공간(317)에서 제1걸림체(110)가 안착되는 면에 후크 몸체(3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제1걸림체(110)와 접촉 가능하도록 후크 몸체(3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1걸림체(110)가 후크 몸체(310)의 체결공간(317)에 안착되었을 때 후크 몸체(3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회전체(320)를 제1걸림체(110)에 접촉시켜 제1걸림체(11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함이다. 이에 회전체(320)는 체결공간(317) 내에서 제1걸림체(11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걸림체(110)와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제1걸림체(1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후크 몸체(310)에는 1개의 회전체(320)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복수 개, 예컨대 2개의 회전체(320)가 설치될 수도 있다. 후크 몸체(310)에 복수 개의 회전체(320)가 설치되는 경우, 복수 개의 회전체(320)는 후크 몸체(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회전체(320)는 후크 몸체(3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후크 몸체(3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회전체(320)를 설치하면, 복수 개의 회전체(320)가 제1걸림체(110)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지점에서 선 접촉하여, 제1걸림체(110)와 후크 몸체(310) 사이에 윤활 작용을 하는 동시에, 제1걸림체(110)를 정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회전체(320)가 제1걸림체(110)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1걸림체(110)와 후크 몸체(310) 간의 접촉 면적을 억제하거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제1걸림체(110)나 후크 몸체(310)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걸림체(110)를 후크 몸체(310)에 체결하여 권상시켰을 때, 제1걸림체(110)가 복수 개의 회전체(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회전체(32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좋다. 복수 개의 회전체(320)는 서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제1걸림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걸림체(110)의 직경이 R인 경우, 회전체(320) 간 이격 거리(L)는 하기의 식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이격 거리(L)는 회전체(320) 중심에서 인접한 회전체(320)의 중심까지의 거리이며, 제1걸림체(110) 또는 후크 몸체(310)의 둘레 방향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회전체(320) 간 이격 거리(L)가 제시된 범위보다 크면, 제1걸림체(110)가 회전체(320)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회전체(320) 사이를 통해 후크 몸체(310)에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후크 몸체(310)의 마모를 억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body 320 is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ok body 310 on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locking body 110 is seated in the fastening space 317,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10 . It may be provided on the hook body 310 to enable it. This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ok body 310 when the first locking body 11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seated in the fastening space 317 of the hook body 310, and the rotating body 320 is connected to the first locking body. (11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rst locking body (110). Accordingly, the rotating body 32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10 in the fastening space 317, and rotates through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10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first locking body 110 . Can be adjusted. One rotating body 320 may be installed on the hook body 310 , but a plurality of, for example, two rotating bodies 320 may be installed. When the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320 are installed in the hook body 310 , the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3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ok body 310 to be provid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at is, the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320 may be provided to form a plurality of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ok body 310 . When the plurality of rotation bodies 320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ok body 310 in this way, the plurality of rotation bodies 320 are in line contact at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locking body 110 , the first While lubricating between the locking body 110 and the hook body 310,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action of returning the first locking body 110 to its original position. 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320 can support the first locking body 110 ,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locking body 110 and the hook body 310 is suppressed, or the contact area is reduced, 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wear of the hook body 110 or the hook body 310 . To this end, when the first locking body 110 is fastened to the hook body 310 and hoisted, the plurality of rotation bodies 320 so that the first locking body 110 can be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rotation bodies 320 . ) should be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320 may be spaced apart so as to stably support the first locking body 110 without contacting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diameter of the first locking body 110 is R, the separation distance L between the rotating bodies 320 may be expressed as the following formula. In this case, the separation distance L is a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ng body 320 to the center of the adjacent rotating body 320 , and may mean a circumferential distance of the first engaging body 110 or the hook body 310 . . If the separation distance L between the rotating bodies 320 is greater than the suggested range, the first locking body 110 is not supported by the rotating body 320 and directly to the hook body 310 through between the rotating bodies 320 . Since it is in contac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uppress the wear of the hook body 310 .

식)

Figure pat00001
expression)
Figure pat00001

후크 몸체(310)에 제1걸림체(110)를 안착시키고 용기(100)를 권상했을 때, 회전체(320)는 제1걸림체(110)가 직접 안착되는 체결공간(318)의 바닥면에만 설치될 수도 있고, 제1걸림체(110)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 제1걸림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용기(100)를 핸들링하는 과정에서 제1걸림체(110)가 체결공간(318)에서 유동하며 체결공간(318)의 벽면, 즉 후크 몸체(310)에 접촉하여 마찰을 일으키거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When the first engaging body 110 is seated on the hook body 310 and the container 100 is hoisted up, the rotating body 320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fastening space 318 in which the first engaging body 110 is directly seated. It may be installed only on the first stopper 110 , and a plurality of pieces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locking body 110 that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10 . This means that in the process of handling the container 100, the first locking body 110 flows in the fastening space 318 and contacts the wall surface of the fastening space 318, that is, the hook body 310 to cause friction or change the position. because it can be

여기에서는 회전체(320)가 롤러를 포함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회전체(320)는 베어링, 볼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Here, an example in which the rotating body 320 includes a roller has been described, but the rotating body 3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bearings and balls.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후크의 사시도로서, 회전체가 볼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320a)를 볼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회전체(320a)를 후크 몸체(3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회전체(320a)는 복수의 위치에서 제1걸림체(110)와 점 접촉하여 제1걸림체(110)와의 사이에 윤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체(320a)는 후크 몸체(310)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320a)를 후크 몸체(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걸림체(110)가 체결공간(317)에서 정위치를 벗어나면, 회전체(320a)가 제1걸림체(110)와의 접촉으로 인해 회전하여 제1걸림체(110)를 정위치로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ok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otating body is formed of a ball. In this way, when the rotating body 320a is formed in a ball shape, at least two or more rotating bodies 320a may be installed on the hook body 310 . Accordingly, the rotating body 320a may make point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10 at a plurality of positions to perform a lubricating action between the first locking body 110 and the rotating body 320a. The rotating body 320a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ok body 310 . These rotating bodies 320a may be arranged to form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ook body 310 . In this case, when the first locking body 110 deviates from its original position in the fastening space 317 , the rotating body 320a rotates due to contact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10 to lock the first locking body 110 . It can be smooth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후크 몸체(310)에는 볼 형상의 회전체(320a)를 삽입할 수 있는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홈은 회전체(320a)가 제1걸림체(110)와 접촉 가능하고, 고정홈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체(320a)의 반경보다 깊고, 회전체(320a)의 직경보다 얕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체(110)가 후크 몸체(31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 몸체(310)에는 라이너(3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라이너(330)에는 회전체(320a)를 노출시킬 수 있는 관통구(33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관통구(33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구(332)는 회전체(320a)의 직경보다 짧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라이너(330)에 의해 회전체(320a)가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fixing groove (not shown) into which the ball-shaped rotating body 320a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hook body 310 . In this case, the fixing groove is deeper than the radius of the rotation body 320a so that the rotation body 320a can contact the first locking body 110 and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and the rotation body 320a. It may be formed to have a depth shallower than the diameter of . In addition, a liner 330 may be provided on the hook body 310 to prevent the first locking body 110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hook body 310 . At this time, the liner 330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332 through which the rotating body 320a may be exposed.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33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through hole 332 may have a short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body 320a, thereby preventing the rotating body 320a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by the liner 330 .

이와 같이 회전체(320a)로서 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볼이 고정홈(318) 내에서 전방위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제1걸림체(110)의 위치를 보다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320a)와 제1걸림체(110) 간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므로, 제1걸림체(110)나 회전체(320a)가 마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a ball is used as the rotating body 320a, the position of the first locking body 110 can be more smoothly adjusted because the ball can rotate in all directions within the fixing groove 318 . 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otating body 320a and the first engaging body 110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wear of the first engaging body 110 or the rotating body 320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를 이용하여 용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container using a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를 이용하여 용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using a h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내용물, 예컨대 용융물이 수용된 용기(100)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조업이 수행되는 장소를 이송할 수 있다. 이때, 크레인의 후크(300)는 제1걸림체(110)에 결속시키고, 보조 후크(400)는 래들용 장치(200)에 결속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300)와 보조 후크(400)는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용융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용기(100)를 수직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First, the contents, for example, the container 100 in which the melt is accommodated may be transported to a place where the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a crane. At this time, the hook 300 of the crane may be bound to the first locking body 110 , and the auxiliary hook 400 may be bound to the device 200 for the ladle. In this case, the hook 300 and the auxiliary hook 40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maintaining the container 100 in a vertical state so that the melt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00 does not flow to the outside.

이 상태에서 용기(100)를 경동시켜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용융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후크(300)의 높이는 유지하고, 보조 후크(400)를 상승시켜 용기(100)의 일측 하부를 견인하여 용기(100)를 경동시킴으로써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용융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container 100 may be tilted to discharge the melt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00 . In this case, the molten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00 can be discharged by maintaining the height of the hook 300, lifting the auxiliary hook 400 to pull the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100 to tilt the container 100. .

이후,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용융물이 완전히 배출되면, 용기(100)를 경동시키기 전, 예컨대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후크(300)의 높이는 유지하고, 보조 후크(400)를 하강시켜 용기(100)의 일측 하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용기(100)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용기(100)는 제1걸림체(110)가 후크(300)에 체결된 상태로 제1걸림체(110)를 회전축으로 이용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걸림체(110)는 후크 몸체(310)에 설치된 회전체(320)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제1걸림체(110)가 회전하면, 회전체(320)도 제1걸림체(110)와 함께 회전하면서 제1걸림체(110)가 정위치로 복귀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용기(100)는 초기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melt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00 is completely discharged, before the container 100 is tilted, for example, it may be returned to an initial state.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hook 300 is maintained and the container 100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y lowering the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100 by lowering the auxiliary hook 400 . The container 100 is rotated using the first locking body 110 as a rotation ax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body 110 is fastened to the hook 300 .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locking body 110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body 320 installed on the hook body 310 , when the first locking body 110 rotates, the rotation body 320 is also the first locking body 110 . ) while rotating with the first locking body 110 can be adjust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ccordingly, the container 100 may be returned to its initial state.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100: 용기 200: 래들용 장치
300: 후크 310: 후크 몸체
320, 320a: 회전체 330: 라이너
100: vessel 200: device for ladle
300: hook 310: hook body
320, 320a: rotating body 330: liner

Claims (13)

피처리물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가지는 후크 몸체; 및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후크 몸체에 구비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후크.
a hook body having a curved surface at least in part so as to wrap at least a portion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A hook comprising a; a rotating body provided on the hook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proces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 몸체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와, 상기 피처리물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고리부에 구비되는 후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ok body includes a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wrap at least a portion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The rotating body is a hook provided in the ring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크 몸체는 상기 회전체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고정홈을 포함하는 후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hook body includes a fixing groove for inserting a part of the rotating bod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회전체의 반경보다 깊고, 상기 회전체의 직경보다 얕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후크.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xing groove is deeper than the radius of the rotating body, the hook is formed to have a depth shall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bod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후크 몸체는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주입구를 포함하는 후크.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hook body includes an injec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fixing groove and the outside of the fixing groov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상기 고정홈의 바닥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후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let is a hook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fixing groov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피처리물을 상기 후크 몸체에 안착시켰을 때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피처리물과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후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rotating body is a hook disposed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target object at a plurality of positions when the target object is seated on the hook body.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피처리물의 외주면과 선 접촉 가능한 후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otating body is a hook capable of lin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피처리물의 외주면과 점 접촉 가능한 후크.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The rotating body is a hook capable of point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bject to be treate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후크 몸체에 구비되는 라이너를 포함하는 후크.
10. The method of claim 9,
A hook including a liner provided on the hook body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rotating body.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후크 몸체는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후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ook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s and a fasten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lates.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롤러, 베어링 및 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후크.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rotating body is a hook including at least one of a roller, a bearing, and a ball.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은 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 몸체는 상기 래들에 구비되는 트러니언에 체결되어 상기 래들을 권상 및 권하시키도록, 크레인의 와이어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하는 후크.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object to be treated includes a ladle,
The hook body is fastened to a trunnion provided in the ladle to hoist and hoist the ladle, a hook includ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a wire of a crane.
KR1020190154882A 2019-11-27 2019-11-27 Hook KR1023732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882A KR102373234B1 (en) 2019-11-27 2019-11-27 Hoo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882A KR102373234B1 (en) 2019-11-27 2019-11-27 Hoo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770A true KR20210065770A (en) 2021-06-04
KR102373234B1 KR102373234B1 (en) 2022-03-11

Family

ID=76392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882A KR102373234B1 (en) 2019-11-27 2019-11-27 Hoo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2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986B1 (en) * 2023-02-22 2024-01-04 주식회사 태영건설 Hoist type transport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984Y1 (en) * 2001-05-23 2001-10-15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hook hanging confirmation and opening return of over head crane
JP2004067316A (en) * 2002-08-06 2004-03-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Hook device
KR20080109394A (en) 2007-06-13 2008-12-17 (주)새텍 Coil carriage c-hook with encoder and coil method for transporting
KR100891811B1 (en) 2002-07-04 2009-04-07 주식회사 포스코 A c-hook apparatus
CN107381336A (en) * 2017-09-08 2017-11-24 河钢股份有限公司承德分公司 A kind of metallurgical casting hook of cra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984Y1 (en) * 2001-05-23 2001-10-15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Apparatus for hook hanging confirmation and opening return of over head crane
KR100891811B1 (en) 2002-07-04 2009-04-07 주식회사 포스코 A c-hook apparatus
JP2004067316A (en) * 2002-08-06 2004-03-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Hook device
KR20080109394A (en) 2007-06-13 2008-12-17 (주)새텍 Coil carriage c-hook with encoder and coil method for transporting
CN107381336A (en) * 2017-09-08 2017-11-24 河钢股份有限公司承德分公司 A kind of metallurgical casting hook of cra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986B1 (en) * 2023-02-22 2024-01-04 주식회사 태영건설 Hoist type transpo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234B1 (en)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234B1 (en) Hook
CA2758482C (en) Roller circle assembly for heavy machinery
EP1676037B1 (en) Support bearing for a roll
RU2579720C2 (en) Lifting-rotating device for furnace lid, furnace unit and methods of such furnace unit loading and maintenance
US10661336B2 (en) Casting mold supporting structure
RU2594047C2 (en) Distributing chute for loading device
KR102124333B1 (en)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JP4506587B2 (en) Molten metal container
KR101955587B1 (en) Apparatus for ladle
JP2004169082A (en) Facility and method for smelting molten cast iron for ductile casting
KR20140145673A (en) Transport
CN217535186U (en) Rings device and oxygen rifle equipment for oxygen rifle
JP3589075B2 (en) Ladle for molten metal and method for refining molten metal
CN219324758U (en) Supporting mechanism and hot metal bottle mouth slagging-off on-line cleaning device
JP7311763B2 (en) pot holder structure
JPH0618692Y2 (en) Ladle trunnion shaft anti-male cover
CN218434588U (en) Slag ladle with movable lifting hook
JP6743789B2 (en) Shoot pot
CN213104468U (en) Ladle lug pivot wear resistant device
KR100711491B1 (en) Tilting stand for skimming the floating slag in ladle including hot metal
CN209953789U (en) Ladle with high safety
US10323685B2 (en) Bearing arrangement for a tiltable converter
RU2213644C1 (en) Ladle for out-of-furnace treatment of melt steel
KR101722952B1 (en) Stopper
KR20150051340A (en) Trunnion ring for vessel of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