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492A - Resistive type displacement sensor - Google Patents

Resistive type displacement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492A
KR20210065492A KR1020190154289A KR20190154289A KR20210065492A KR 20210065492 A KR20210065492 A KR 20210065492A KR 1020190154289 A KR1020190154289 A KR 1020190154289A KR 20190154289 A KR20190154289 A KR 20190154289A KR 20210065492 A KR20210065492 A KR 20210065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resistor
guide member
hole
displacem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3852B1 (en
Inventor
김영해
Original Assignee
(주)우립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립기전 filed Critical (주)우립기전
Priority to KR1020190154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852B1/en
Publication of KR20210065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4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8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2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linear potentiometer-type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which senses a mechanical position change as a change in a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A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having a consistent cross-sec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resistor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a second resistor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resistor; a moving member which linearly reciprocates between the first resistor and the second resis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uide member mounted on the moving member and interlocking with the moving member; a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 which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resistor; and a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 which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resistor.

Description

저항식 변위 센서{RESISTIVE TYPE DISPLACEMENT SENSOR}RESISTIVE TYPE DISPLACEMENT SENSOR

본 발명은 변위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인 위치 변화를 전기저항값의 변화로 센싱하는 리니어 포텐셔미터 타입의 저항식 변위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cement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ear potentiometer type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that senses a mechanical position change as a change i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변위 센서는 물체가 이동한 거리 또는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A displacement sensor is a sensor that measures the distance or position an object has moved.

변위 센서에는 선형 변위 센서와 회전 변위 센서가 있고, 선형 변위 센서의 한 종류로서 포텐셔미터(potentiometer)가 있다. 포텐셔미터는 기계적인 위치 변화를 통해서 전기적인 출력 신호의 양 또는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The displacement sensor includes a linear displacement sensor and a rotational displacement sensor, and a potentiometer is a type of the linear displacement sensor. A potentiometer is a device that controls the amount or magnitude of an electrical output signal through a mechanical position change.

포텐셔미터에는 저항식, 전도성 플라스틱식, 자기식, 광학식이 있다. 이들 중 저항식 포텐셔미터는 전기저항값이 이동 변위에 따라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저항식 포텐셔미터의 원리가 한국등록실용 제20-0396510호에 상세히 언급되어 있다.Potentiometers are of resistance type, conductive plastic type, magnetic type, and optical type. Among them, the resistance type potentiometer uses the principle that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placement. The principle of the resistance type potentiometer is described in detail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No. 20-0396510.

저항식 포텐셔미터를 포함하는 저항식 변위 센서는 변위 계측이 필요한 선반, 사출기등 정밀기계가공장치에 장착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including the resistance-type potentiometer is installed in precision machining equipment such as lathes and injection machines that require displacement measurement and is widely used.

(선행문헌1) 한국등록실용 제20-0396510호(Prior Document 1) Korea Registered Utility No. 20-0396510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저항체 중 어느 하나의 저항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변위를 센싱할 수 있는 저항식 변위 센서를 제공한다.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capable of sensing displacement by selectively us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resistor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저항체를 모두 이용하여 변위를 세밀하게 센싱할 수 있는 저항식 변위 센서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capable of precisely sensing displacement by using all of a plurality of resistor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기준점(또는 영점) 중 어느 하나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변위 센싱이 가능한 저항식 변위 센서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capable of displacement sensing by us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r zero point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는, 이동부재의 이동 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저항식 변위 센서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capable of preventing shaking when the moving member is moved.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관된 단면을 갖고,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을 갖는 프레임; 상기 관통홀에 배치된 제1 저항체;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저항체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저항체; 상기 제1 저항체와 상기 제2 저항체 사이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연동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저항체에 접촉하는 제1 전도성 접촉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저항체에 접촉하는 제2 전도성 접촉부재;를 포함한다.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having a consistent cross-sec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resistor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a second resistor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resistor; a moving member that linearly reciprocates between the first resistor and the second resis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uide member mounted on the moving member and interlocking with the moving member; a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and contacting the first resistor; and a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and contacting the second resistor memb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저항체 중 어느 하나의 저항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변위를 센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isplacement can be sensed by selectively us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resistor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저항체를 모두 이용하여 변위를 세밀하게 센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isplacement can be precisely sensed by using all of a plurality of resistor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기준점(또는 영점) 중 어느 하나의 기준점을 이용하여 변위 센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displacement sensing is possible us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or zero point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또한, 이동부재의 이동 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shaking when the moving member is m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200)를 제외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100)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저항부재(600a, 600b)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저항부재(600a)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저항부재(600a, 600b)와 전도성 접촉부재(830a)을 포함하는 가이드부재(800)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가이드부재(800)와 저항부재(600a, 600b)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가이드부재(800)와 이동부재(500)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20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커넥터(200)의 변형 예이다.
도 12의 (a) 내지 (b)는 도 1의 엔드캡(300) 및 고정부재(700)의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sistance 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except for the connector 200 .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frame 100 shown in FIG. 1 .
4 is a perspective view of only the resistance members 600a and 600b shown in FIG. 2 .
FIG. 5 is a plan view of only the first resistance member 600a shown in FIG. 4 .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guide member 800 including the resistance members 600a and 600b and the conductive contact member 830a.
7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uide member 800 and the resistance members 600a and 600b,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8 to 9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member 800 and the moving member 500 are connected.
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200 shown in FIG. 1 .
FIG. 11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or 200 shown in FIG. 10 .
12A to 12B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the end cap 300 and the fixing member 700 of FIG. 1 .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2 (a).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above (upper) or under (below)" of each component, the upper (upper) or lower (below)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upper) or lower (lower)", the meaning of not only an upper direction but also a lower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넥터(200)를 제외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except for the connector 200 .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는, 프레임(100), 커넥터(200), 엔드캡(300), 이동부재(500), 저항부재(600a, 600b) 및 고정부재(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는, 프레임(100) 내부에 배치되고 이동부재(500)의 끝단부에 장착된 가이드부재(미도시)와 가이드부재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전도성 접촉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2 , the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0 , a connector 200 , an end cap 300 , a moving member 500 , and resistance members 600a and 600b . ) and a fixing member 700 . Here,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frame 100 and one or more conductive contacts disposed on the guide member (not shown) and the guide member mounted on the end of the moving member 500 . It may further include a member (not shown).

프레임(100)은, 길이 방향으로 일관된 단면을 갖는다. 프레임(100)의 외면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100 has a cross-section consist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or more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00 .

프레임(100)은 양 단부를 갖는다. 양 단부는 일 단부와 타 단부이다. 일 단부는 커넥터(200)와 결합하고, 타 단부는 엔드캡(300)과 결합한다. 일 단부와 커넥터(200)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타 단부도 엔드캡(300)과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rame 100 has both ends. Both ends are one end and the other end. One end is coupled to the connector 200 ,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end cap 300 . One end and the connector 200 may be coupled wit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The other end may also be coupled to the end cap 300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프레임(100)은 내부에 관통홀(110)을 갖는다. 관통홀(110)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관통홀(110) 내부에 저항부재(600a, 600b), 가이드부재(미도시) 및 전도성 접촉부재(미도시)가 배치된다.The frame 100 has a through hole 110 therein. The through hole 11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sistance members 600a and 600b, a guide member (not shown) and a conductive contact member (not shown) are disposed inside the through hole 110 .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100)의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frame 100 shown in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100)의 관통홀(110)은 복수의 관통홀(111, 113, 115)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111, 113, 115) 각각은 제1 관통홀(111), 제2 관통홀(113) 및 제3 관통홀(115)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through-hole 110 of the fram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11 , 113 , and 115 .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111 , 113 , and 115 may be a first through-hole 111 , a second through-hole 113 , and a third through-hole 115 .

제1 관통홀(111)에는 제1 저항부재(600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저항부재(600a)가 제1 관통홀(111)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A first resistance member 600a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through hole 111 . The first resistance member 600a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111 in a sliding manner.

제2 관통홀(113)에는 후술할 가이드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미도시)가 제2 관통홀(113)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미도시)는 이동부재(500)의 끝단에 장착되는데, 이동부재(500)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라 연동하여 제2 관통홀(113)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한다.A guide member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113 . A guide membe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113 in a sliding manner. A guide member (not shown)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moving member 500 and linearly reciprocates inside the second through hole 113 in association with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oving member 500 .

제3 관통홀(115)에는 제2 저항부재(60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저항부재(600b)가 제3 관통홀(115)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A second resistance member 600b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through hole 115 . The second resistance member 600b may be coupled to the third through hole 115 in a sliding manner.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저항부재(600a, 600b)만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only the resistance members 600a and 600b shown in FIG. 2 .

도 4를 참조하면, 저항부재(600a, 600b)는 제1 저항부재(600a)와 제2 저항부재(600b)를 포함한다. 제1 저항부재(600a)와 제2 저항부재(600b)는 서로 마주보도록 프레임(100) 내부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4 , the resistance members 600a and 600b include a first resistance member 600a and a second resistance member 600b. The first resistance member 600a and the second resistance member 600b are disposed inside the frame 100 to face each other.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저항부재(600a)만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제2 저항부재(600b)는 제1 저항부재(600a)와 동일하므로, 제2 저항부재(600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FIG. 5 is a plan view of only the first resistance member 600a shown in FIG. 4 . Here, since the second resistance member 600b shown in FIG. 4 is the same as the first resistance member 600a, a description of the second resistance member 600b will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저항부재(600a)는 기판(640), 기판(640) 상에 배치된 제1 저항체(610)과 제2 저항체(620), 제1 및 제2 저항체(610, 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6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resistance member 600a includes a substrate 640 , a first resistor 610 and a second resistor 620 disposed on the substrate 640 , first and second resistors 610 , and a terminal 6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620 .

제1 저항체(610)은 기판(640)의 상부에 전기저항값이 0인 순수도체물질로 형성된 일정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resistor 61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formed of a pure conductor material having an electrical resistance value of 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640 , and is linearly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rame 100 .

제2 저항체(620)는 기판(6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저항체(61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저항체(620)도 소정의 두께와 넓이를 가지며,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형성된다. 제2 저항체(620)는 제1 저항체(610)와 다르게 소정의 전기저항값을 갖는다. The second resistor 62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640 ,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sistor 6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isposed in parallel. The second resistor 620 also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is linearly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rame 100 . The second resistor 620 has a predetermined electrical resistance valu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resistor 610 .

단자(630)는 복수이고, 제1 단자는 제1 저항체(6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단자는 제2 저항체(620)의 일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단자는 제2 저항체(620)의 타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plurality of terminals 630 are provided, a first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body 610 , a second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sistor body 620 , and a third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sistor body 610 .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620 .

제1 저항부재(600a)와 제2 저항부재(600b) 사이에 가이드부재(미도시)가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guide member (not show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sistance member 600a and the second resistance member 600b.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저항부재(600a, 600b)와 전도성 접촉부재(830a)을 포함하는 가이드부재(800)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guide member 800 including the resistance members 600a and 600b and the conductive contact member 830a.

가이드부재(800)는 이동부재(500)의 끝단에 장착되며, 이동부재(500)의 움직임에 따라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다.The guide member 800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moving member 500 , and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s possi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500 .

가이드부재(8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저항부재(600a)와 제2 저항부재(600b) 사이에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다.The guide member 800 is capable of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etween the first resistance member 600a and the second resistance member 600b disposed to face each other.

가이드부재(800)는, 도 6에서 생략되어 있지만, 프레임(100) 내부에 배치되고, 도 3에 도시된 제2 관통홀(113)에 배치된다. Although omitted in FIG. 6 , the guide member 800 is disposed inside the frame 100 and dispos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113 shown in FIG. 3 .

가이드부재(800)는 비전도성 재질로서, 예를 들어 수지 재질일 수 있다. The guide member 800 is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may be,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가이드부재(800)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한다. 상면은 제1 저항부재(600a)와 마주보는 면이고, 하면은 제2 저항부재(600b)와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The guide member 800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 upper surface may be a surface facing the first resistance member 600a,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a surface facing the second resistance member 600b.

도 7은 가이드부재(800)와 저항부재(600a, 600b)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9는 가이드부재(800)와 이동부재(500)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이드부재(800)을 뒤집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uide member 800 and the resistance members 600a and 600b,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and FIGS. 8 to 9 are the guide member 800 and the moving member ( As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500) is connecte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member 800 shown in FIG. 8 is turned over.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800)의 상면(811a) 상에는 제1 전도성 접촉부재(830a)가 배치되고, 가이드부재(800)의 하면(811b) 상에는 제2 전도성 접촉부재(830b)가 배치된다. 7 to 9 , the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 830a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811a of the guide member 800 , and the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 830b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811b of the guide member 800 . ) is placed.

가이드부재(800)의 상면(811a)은, 제1 전도성 접촉부재(830a)의 일 부분과 결합되는 배치면(81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치면(813a)은 가이드부재(800)의 상면(811a)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치면(813a)은 가이드부재(800)의 상면(811a)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배치면(813a) 상에 제1 전도성 접촉부재(830a)가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811a of the guide member 800 may include an arrangement surface 813a coupled to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 830a. The arrangement surface 813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811a of the guide member 800 . Two of the arrangement surfaces 813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811a of the guide member 800 . A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 830a may be disposed on each arrangement surface 813a.

가이드부재(800)의 하면(811b)은, 제2 전도성 접촉부재(830b)의 일 부분과 접촉되는 배치면(81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치면(813b)은 가이드부재(800)의 하면(811b)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치면(813b)은 가이드부재(800)의 하면(811b)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배치면(813b) 상에 제2 전도성 접촉부재(830b)가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811b of the guide member 800 may include an arrangement surface 813b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 830b. The arrangement surface 813b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811b of the guide member 800 . Two of the arrangement surfaces 813b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811b of the guide member 800 . A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 830b may be disposed on each arrangement surface 813b.

제1 전도성 접촉부재(830a)는 제1 저항부재(600a)의 제1 저항체(610)와 제2 저항체(620)와 접촉한다.The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 830a contacts the first resistor 610 and the second resistor 620 of the first resistor 600a.

제2 전도성 접촉부재(830b)는 제2 저항부재(600b)의 제1 저항체와 제2 저항체와 접촉한다.The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 830b contacts the first resistor body and the second resistor body of the second resistor member 600b.

제1 및 제2 전도성 접촉부재(830a, 830b) 각각은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이고, 제1 및 제2 전도성 접촉부재(830a, 830b) 각각은 소정 두께를 가지며, 가이드부재(800)의 각 배치면(813a, 813b)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베이스부(831)와 상기 베이스부(831)의 양단부에서 연장된 연장부(83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도성 접촉부재(830a, 830b) 각각은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s 830a and 830b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s 830a and 830b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each arrangement of the guide member 800 It may include a base portion 831 fixedly coupled to the surfaces 813a and 813b and extension portions 835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 831 . 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s 830a and 830b may have a 'C' shape as a whole.

연장부(835)의 끝단부는 다수로 절개된 다수의 절개부(837)를 포함하고, 각 절개부(837)의 끝단은 위로 구부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절개부(837)의 끝단부가 제1 저항체(610) 또는 제2 저항체(620)에 접촉될 수 있다.The end of the extension 835 may include a plurality of cutouts 837 cut into a plurality, and the end of each cutout 837 may have a curved upward shape. An end of each cutout 837 may contact the first resistor 610 or the second resistor 620 .

2개의 제1 전도성 접촉부재(830a)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800)의 상면(811a) 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2개의 제1 전도성 접촉부재(830a)들의 연장부(835)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FIG. 8 , the two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s 830a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811a of the guide member 800 . Here, the extension portions 835 of the two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s 830a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2개의 제2 전도성 접촉부재(830b)들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800)의 하면(811b) 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2개의 제2 전도성 접촉부재(830b)들의 연장부(835)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FIG. 9 , the two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s 830b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811b of the guide member 800 . Here, the extension portions 835 of the two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s 830b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는, 프레임(100) 내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복수의 저항체(600a, 600b) 및 가이드부재(800) 양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저항체(600a, 600b)와 접촉하는 복수의 전도성 접촉부재(830a, 830b)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는, 제1 저항체(600a)와 제1 전도성 접촉부재(830a)를 이용하여 이동부재(50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한 하나의 변위 측정이 가능하고, 제2 저항체(600b)와 제2 전도성 접촉부재(830b)를 이용하여 이동부재(50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한 다른 하나의 변위 측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resistors 600a and 600b and the guide member 80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side the frame 100, and the plurality of resistors 600a , 600b)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nductive contact members (830a, 830b) in contact. Therefore, the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one displacement by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oving member 500 using the first resistor 600a and the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 830a.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other displacement can be measured by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oving member 500 using the second resistor 600b and the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 830b.

또한, 제1 저항체(600a)과 제2 저항체(600a) 각각의 기준점(또는 영점)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저항체(600a)의 기준점과 제2 저항체(600b)의 기준점이 다르게 설정된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기준점을 갖는 하나의 저항체를 통해 변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Also, the reference point (or zero point) of each of the first resistor 600a and the second resistor 600a may be set differently. When the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resistor 600a and the reference point of the second resistor 600b are set different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isplacement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through one resistor having a desired reference poin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한편, 가이드부재(800)는 다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가이드부재(800)가 제1 가이드부재가 되고, 추가로 제2 가이드부재가 이동부재(500)의 양 단 사이의 특정 부분에 고정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이드부재의 상면에 제1 저항체와 접촉되는 제1 전도성 접촉부재가 배치되고, 제2 가이드부재의 하면에 제2 저항체와 접촉되는 제2 전도성 접촉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guide member 800 may be plural. For example, the guide member 800 shown in FIGS. 7 to 9 may be a first guide member, and additionally, a second guide member may be fixedly mounted to a specific por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movable member 500 . have. In this case, a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 contacting the first resistor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 contacting the second resistor member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member.

이와 같이 다수의 가이드부재를 사용하면, 기준점(또는 영점)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로 다른 기준점들 중 원하는 기준점을 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두 개의 기준점을 모두 사용하여 미세 변위 센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As such, when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are used, the reference point (or zero point) may be set different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user can select and use one that meets a desired reference point among different reference points, and fine displacement sensing is possible by using both reference points.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터(200)는 프레임(100)의 양 단부 중 일 단부에 체결된다. 커넥터(200)는 프레임(100)에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 the connector 200 is fastened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frame 100 . The connector 200 may be fastened to the frame 100 throug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커넥터(200)는 도 2에 도시된 제1 저항부재(600a) 및 제2 저항부재(60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200)와 제1 저항부재(600a) 및 제2 저항부재(600b)의 전기적으로 연결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저항부재(600a, 600b)의 단자(630)에 와이어의 일 단이 연결되고, 와이어의 타단이 커넥터(2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or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ance member 600a and the second resistance member 600b shown in FIG. 2 . The connector 200 and the first resistance member 600a and the second resistance member 600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wire. One end of the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630 of the first and second resistance members 600a and 600b,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0 .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200)의 확대 사시도이다.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200 shown in FIG. 1 .

도 10을 참조하면, 커넥터(200)는 베이스부(210) 및 베이스부(210)로부터 돌출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 접속단자부(251)과 제2 접속단자부(25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 the connector 200 includes a base part 210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art 251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art 252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base part 210 .

제1 접속단자부(251)과 제2 접속단자부(252)는 베이스부(210)의 일 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단자부(251)이 제2 접속단자부(25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겹치지 않도록 베이스부(21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art 251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part 252 may be disposed together on one surface of the base part 21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art 251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part 252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placed on the side.

커넥터(200)는 제1 접속단자부(251)를 베이스부(210)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제1 스위치부(231)와 제2 접속단자부(252)를 베이스부(210)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제2 스위치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or 200 includes a first switch part 231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art 252 that allow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art 251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art 210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art 210 . It may include a second switch unit 232 to protrude.

커넥터(200)는 제1 스위치부(231)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개구부(211)와 제2 스위치부(2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개구부(212)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or 200 may have a first opening 211 restricting movement of the first switch unit 231 and a second opening 212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econd switch unit 232 .

사용자는 제1 스위치부(231)를 제1 방향으로 조작하여 제1 접속단자부(251)을 베이스부(210)의 일 면에서 돌출되도록 할 수 있고,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조작하여 제1 접속단자부(251)을 베이스부(210)의 일 면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The user may operate the first switch unit 231 in a first direction to mak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unit 251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unit 210, an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y manipulat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art 251 may be inserted into one surface of the base part 210 . Here,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rection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0 .

또한, 사용자는 제2 스위치부(232)를 제1 방향으로 조작하여 제2 접속단자부(252)를 베이스부(210)의 일 면에서 돌출되도록 할 수 있고,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조작하여 제2 접속단자부(252)을 베이스부(210)의 일 면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manipulate the second switch unit 232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unit 252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unit 210 , and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unit 252 . direction to insert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part 252 into one surface of the base part 210 .

도 10에 도시된 커넥터(200)의 구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접속단자부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편의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및 제2 접속단자부를 모두 돌출되도록 조작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200 shown in FIG. 10 may use one connection terminal par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course, for convenience, the user may manipulate and use bot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to protrud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는, 복수의 접속단자부(251, 252)를 갖는 커넥터(200)를 포함하고, 커넥터(200)는 복수의 저항체(600a, 60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는 2개의 저항체(600a, 600b) 중 어느 하나의 저항체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커넥터(20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200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 portions 251 and 252 , and the connecto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600a and 600b and electrical is connected to Accordingly,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from one of the two resistors 600a and 600b to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connector 200 .

제1 저항체(600a)과 제2 저항체(600a) 각각의 기준점(또는 영점)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데, 제1 저항체(600a)의 기준점과 제2 저항체(600b)의 기준점이 다르게 설정된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기준점을 갖는 하나의 저항체를 통해 변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The reference point (or zero point) of each of the first resistor 600a and the second resistor 600a may be set differently. When the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resistor 600a and the reference point of the second resistor 600b are set differently, the user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displacement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through one resistor having a desired reference poin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커넥터(200)의 변형 예이다.FIG. 11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or 200 shown in FIG. 10 .

도 11을 참조하면, 커넥터(200')는 제1 베이스부(210a)와 제2 베이스부(210b)를 포함한다. 제2 베이스부(210b)는 제1 베이스부(210a)의 일 측에 접하여 배치된다. 제1 베이스부(210a)와 제2 베이스부(210b)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100)의 일 단부에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connector 200 ′ includes a first base part 210a and a second base part 210b. The second base part 210b is dispos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base part 210a. The first base part 210a and the second base part 210b may be fastened to one end of the frame 100 shown in FIG. 1 through a fastening means.

제1 접속단자부(251')는 제1 베이스부(210a)의 일 면에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제2 접속단자부(252')는 제2 베이스부(210b)의 일 면에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접속단자부(251')와 제2 접속단자부(252')의 돌출 방향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art 251'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part 210a,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part 252'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art 210b. Here,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art 251 ′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part 252 ′ may b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는, 복수의 접속단자부(251', 252')를 갖는 커넥터(200')를 포함하고, 커넥터(200')는 복수의 저항체(600a, 60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는 2개의 저항체(600a, 600b) 중 어느 하나의 저항체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커넥터(20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고, 2개의 저항체(600a, 600b)로부터의 각각의 전기적 신호를 커넥터(20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200 ′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 portions 251 ′ and 252 ′, and the connector 200 ′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600a, 600b)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refore, the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from any one of the two resistors 600a and 600b to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connector 200, and the two resistors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ach electrical signal from 600a and 600b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connector 200 .

제1 저항체(600a)과 제2 저항체(600a) 각각의 기준점(또는 영점)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데, 제1 저항체(600a)의 기준점과 제2 저항체(600b)의 기준점이 다르게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 두 개의 저항체를 통해 두 개의 서로 다른 변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두 개의 서로 다른 변위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이동부재(500)의 미세한 움직임도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reference point (or zero point) of each of the first resistor 600a and the second resistor 600a may be set differently. When the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resistor 600a and the reference point of the second resistor 600b are set differently, the user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two different displacement measurements through two resistor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ven a minut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500 can be measured using two different displacement measurement results.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동부재(500)는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일 수 있다. 이동부재(500)는 외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한다. Again, referring to FIG. 1 , the moving member 500 may have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0 . The moving member 500 reciprocates linearly by an external force.

이동부재(500)의 일 부분은 프레임(100)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프레임(100) 외부에 배치된다. A portion of the moving member 500 is disposed inside the frame 100 , and the other portion is disposed outside the frame 100 .

이동부재(500)의 양 단부 중 일 단부에 가이드부재(800)가 장착된다. 여기서, 이동부재(500)의 일 단부는 프레임(100) 내부에 배치된다.The guide member 800 is mounted a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moving member 500 . Here, one end of the moving member 500 is disposed inside the frame 100 .

이동부재(500)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770), 고정부재(700) 및 엔드캡(300)이 이동부재(5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분리방지부재(510)가 배치될 수 있다. 분리방지부재(510)는 이동부재(500)의 일 단부의 외면에 형성된 나선에 결합될 수 있는 볼트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10 is disposed on the moving member 500 to prevent the packing 770 , the fixing member 700 and the end cap 3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ving member 500 . can be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10 may be a bolt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 spiral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moving member 500 .

엔드캡(300)은, 프레임(100)의 양 단부 중 타 단부에 체결된다. 엔드캡(300)과 프레임(100)은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750)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The end cap 300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both ends of the frame 100 . The end cap 300 and the frame 100 may be fastened through a fastening means 750 such as a screw.

도 12의 (a) 내지 (b)는 도 1의 엔드캡(300) 및 고정부재(700)의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의 분해 사시도이다. 12A to 12B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the end cap 300 and the fixing member 700 of FIG. 1 , and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2A .

도 12의 (a) 내지 (b) 및 도 13을 참조하면, 체결수단(750)은 볼트일 수 있다. 12 (a) to (b) and 13, the fastening means 750 may be a bolt.

체결수단(750)은 몸통부(751) 및 몸통부(751)로부터 돌출되고 프레임(100)과 체결되는 결합부(75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753)의 외면에는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means 750 may include a body part 751 and a coupling part 753 protruding from the body part 751 and fastened to the frame 100 . A spiral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753 .

결합부(753)는 엔드캡(300)과 보호부재(350)의 결합홀(355)을 관통하여 프레임(100)의 결합부(105)에 체결될 수 있다. The coupling part 753 may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 355 of the end cap 300 and the protective member 350 to be fastened to the coupling part 105 of the frame 100 .

몸통부(751)에는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751)는 엔드캡(300)의 결합홈(310)에 배치되며, 몸통부(751)의 길이는 엔드캡(300)의 결합홈(310)의 깊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A screw groove to which a bolt can be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751 . The body part 751 is disposed in the coupling groove 310 of the end cap 300 , and the length of the body part 751 is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coupling groove 310 of the end cap 300 .

몸통부(751)가 엔드캡(300)의 결합홈(310)에 결합된 경우, 몸통부(751)의 상단부가 엔드캡(300)의 상면보다 더 높이 돌출된다. 몸통부(751)의 상단부는 고정부재(700)의 결합홈(710)에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body part 751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10 of the end cap 300 ,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751 protrude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cap 300 .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751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710 of the fixing member 700 .

엔드캡(300)에는 이동부재(500)가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동부재(500)는 엔드캡(300)의 관통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The end cap 300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oving member 500 is fitted. The moving member 500 may reciprocate linearly while being fitt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end cap 300 .

엔드캡(300)과 프레임(100) 사이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재(350)가 배치될 수 있다.A protection member 3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nd cap 300 and the frame 100 to prevent intrusion of foreign substances.

고정부재(700)는, 엔드캡(300) 및 이동부재(50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700 may be coupled to the end cap 300 and the moving member 500 .

고정부재(700)는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 또는 이동부재(50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양 단부에 결합홈(710)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양 단부 사이의 중간에 이동부재(500)가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홀 주변에 패킹(750)이 삽입될 수 있는 패킹홈(730)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700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0 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500 . Coupling grooves 710 are formed at both ends, respectively, and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moving member 500 is fitted is formed in the middle between both ends. In addition, a packing groove 730 into which the packing 750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고정부재(700)는 패킹(770)에 의해 엔드캡(300)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700)는 결합홈(710)을 갖고, 결합홈(710)은 체결수단(750)의 몸통부(75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The fixing member 700 may be closely coupled to the end cap 300 by the packing 770 . The fixing member 700 has a coupling groove 710 , and the coupling groove 710 has a space into which the body 751 of the fastening means 750 can be inserted.

고정부재(700)는 양 단부에 각각 결합홈(7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과 결합홈(710)은 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볼트가 상기 홈과 홀에 삽입된 후, 몸통부(751)에 형성된 홈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재(700)가 엔드캡(30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700 may have predetermined grooves formed at both end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grooves 710 , respectively. The groove and the coupling groove 710 may be connected through a hole. After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hole, it may be coupled to the groove formed in the body part 751 . Through this, the fixing member 700 may be closely fixed to the end cap 300 .

이동부재(500)는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이동부재(500)가 프레임(100) 내부에서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정확하게 움직이지 않고, 미세하게 틀어져서 움직일 수 있다. 이동부재(500)의 틀어짐은 저항식 변위 센서의 감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저항식 변위 센서는 고정부재(700)를 갖기 때문에, 이동부재(500)의 틀어짐을 방지하여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700)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710)에 체결수단(750)의 몸통부(751)의 상단부가 끼워지고, 패킹(770)이 패킹홈(730)에 끼워짐으로써, 이동부재(500)는 정확하게 직선 왕복이 가능하고, 다른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을 수 있다. Since the moving member 500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0 , the moving member 500 does not move accurat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0 inside the frame 100 , but is slightly twisted to move. can The shifting of the moving member 500 may reduce the sensitivity of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However, since the resistance-type displacement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xing member 70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ifting of the movable member 500 to improve the sensing sensitivity.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751 of the fastening means 750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710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member 700 , and the packing 770 is fitted into the packing groove 730 . As a result, the moving member 500 can accurately reciprocate in a straight line, and cannot be turned in another direction.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with respect to other embodiment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Accordingly,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 has been mainly described in the abov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the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with modification. And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프레임
200: 커넥터
300: 엔드캡
500: 이동부재
600a, 600b: 저항부재
700: 고정부재
800: 가이드부재
100: frame
200: connector
300: end cap
500: moving member
600a, 600b: resistance member
700: fixing member
800: guide member

Claims (8)

길이 방향을 따라 일관된 단면을 갖고,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을 갖는 프레임;
상기 관통홀에 배치된 제1 저항체;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저항체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 저항체;
상기 제1 저항체와 상기 제2 저항체 사이에서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연동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저항체에 접촉하는 제1 전도성 접촉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저항체에 접촉하는 제2 전도성 접촉부재;
를 포함하는, 저항식 변위 센서.
a frame having a consistent cross-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resistor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a second resistor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resistor;
a moving member that linearly reciprocates between the first resistor and the second resis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uide member mounted on the moving member and interlocking with the moving member;
a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and contacting the first resistor; and
a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and contacting the second resistor;
Including, a resistive displacement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 중 일 단부에 결합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속단자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부와 상기 제2 접속단자부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커넥터의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는,
저항식 변위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or coupled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frame; further comprising,
The connector includes a base portion;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art disposed on the base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body;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art disposed on the base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sistor body;
Any on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part selectively protrudes from the base part of the connector,
Resistive displacement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 중 일 단부에 결합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속단자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속단자부;를 포함하는, 저항식 변위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or coupled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frame; further comprising,
The connector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a second base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base portion;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ortion disposed on the first base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art disposed on the second base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resisto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 중 타 단부에 결합된 엔드캡;
상기 엔드캡과 상기 프레임을 체결시키는 체결수단; 및
상기 이동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고, 상기 엔드캡에 밀착되어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틀어짐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저항식 변위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an end cap coupled to the other end of both ends of the frame;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end cap and the frame; and
The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further comprising a;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oving member passes, and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cap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moving memb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캡은 상기 이동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양 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의 몸통부가 배치되는 결합홈을 갖고,
상기 체결수단의 몸통부의 길이는 상기 엔드캡의 결합홈의 깊이보다 더 길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양 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가 배치되는 결합홈을 갖는, 저항식 변위 센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frame,
The end cap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oving member passes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as a center and a body portion of the fastening means is disposed,
The length of the body of the fastening means is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coupling groove of the end cap,
Wherein the fixing member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oving member passes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as a center and an upper end of the body is dispo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끝단에 장착된 제1 가이드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양 단 사이의 일 부분에 장착된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부재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도성 접촉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부재의 하면에 배치된, 저항식 변위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member may include a first guide member mounted to an end of the moving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mounted on a por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moving member.
The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member,
The second conductive contact member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member, a resistance displacement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재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 단부에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끝단은 다수의 절개부를 포함하고,
각 상기 절개부의 끝단은 위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저항체와 접촉하는, 저항식 변위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 includes a base portion and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base portion,
The end of the extension includes a plurality of cutouts,
An end of each of the cutouts has an upward curved shape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esisto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면은 상기 제1 전도성 접촉부재의 베이스부가 배치되는 배치면을 포함하고,
상기 배치면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면을 기준으로 경사진, 저항식 변위 센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includes a disposition surface on which the base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contact member is disposed,
The disposition surfac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a resistance type displacement sensor.
KR1020190154289A 2019-11-27 2019-11-27 Resistive type displacement sensor KR1023038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89A KR102303852B1 (en) 2019-11-27 2019-11-27 Resistive type displacement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89A KR102303852B1 (en) 2019-11-27 2019-11-27 Resistive type displacement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492A true KR20210065492A (en) 2021-06-04
KR102303852B1 KR102303852B1 (en) 2021-09-23

Family

ID=7639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289A KR102303852B1 (en) 2019-11-27 2019-11-27 Resistive type displacement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85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8605A (en) * 1997-10-03 1999-04-23 Midori Sokki:Kk Non-contact linear displacement sensor
JP2005069983A (en) * 2003-08-27 2005-03-17 Shimizu Corp Displacement recording sensor
KR200396510Y1 (en) 2005-07-04 2005-09-23 차은종 resistance device for linear displacement transducer
KR101185778B1 (en) * 2012-05-10 2012-10-02 국방과학연구소 Potentiome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8605A (en) * 1997-10-03 1999-04-23 Midori Sokki:Kk Non-contact linear displacement sensor
JP2005069983A (en) * 2003-08-27 2005-03-17 Shimizu Corp Displacement recording sensor
KR200396510Y1 (en) 2005-07-04 2005-09-23 차은종 resistance device for linear displacement transducer
KR101185778B1 (en) * 2012-05-10 2012-10-02 국방과학연구소 Potentio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852B1 (en)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47742A1 (en) Displacement sensor for force indicating caliper
CA1207056A (en) Precision linear potentiometer sens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3369210A (en) Electrical connector
US4208648A (en) Sensor panel for locating a load
KR102001349B1 (en) Probe pin and inspection device using it
EP2697609B1 (en) Capacitive position transducer
GB2062234A (en) Touch signalling probe
US10557869B2 (en) Clamp meter
DE112013007640T5 (en) Shunt resistor and shunt resistor arrangement
DE3338695C2 (en) Bi-directional feeler
US20080164970A1 (en) Contactless Magnetic Potentiometer
KR102303852B1 (en) Resistive type displacement sensor
US20090266157A1 (en) Liquid-level detecting apparatus
US9833081B2 (en) Mattress with flexible pressure sensor
KR840002852Y1 (en) Adjustable resistor
KR102256587B1 (en) Resistive type displacement sensor
US2220951A (en) Rheostat for electrical measuring circuits
US11636987B2 (en)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witch
US6201468B1 (en) Deflection sensor
KR102256592B1 (en) Resistive linear displacement transducer
KR200396510Y1 (en) resistance device for linear displacement transducer
US20110226596A1 (en) Electric slide switch
CN106876173A (en) Electric switch and method
JP7487979B1 (en) Linear sliding potentiometer
US6677767B2 (en) Displacement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