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978A - 음식물 수납과 그릇대용으로 사용가능한 종이 트레이 - Google Patents

음식물 수납과 그릇대용으로 사용가능한 종이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978A
KR20210064978A KR1020190153823A KR20190153823A KR20210064978A KR 20210064978 A KR20210064978 A KR 20210064978A KR 1020190153823 A KR1020190153823 A KR 1020190153823A KR 20190153823 A KR20190153823 A KR 20190153823A KR 20210064978 A KR20210064978 A KR 20210064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lls
protrusion
blank
paper tray
blank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일
Original Assignee
정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일 filed Critical 정정일
Priority to KR102019015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4978A/ko
Publication of KR2021006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 B65D5/24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the gussets folds comprising more than two gusse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1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r by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로 접어서 제작되어지는 종이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을 담아서 보관이나 운반은 물론 그릇대용으로 사용할 경우에 트레이에 담겨진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제작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한 것으로, 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를 접어서 접착토록 할 경우에 모서리의 접혀지는 부분을 상부와 중부 및 하부로 구분토록 하여 하부만 남겨두고 중부와 상부를 절개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절첩에 의하여 여백면이 외면에 접착될 경우에 낱장으로 접착토록 하면서도 여백면의 상변으로 돌출되는 손가락 파지부를 상향돌출되게 돌출부를 형성한 후 상기 돌출부가 위치되는 좌우면의 상변에 내입홈을 구비토록 함으로서 손가락 파지부가 손가락이 삽입될 위치를 정해주게 됨으로서 내용물을 담을 경우에도 상기 내입홈의 하단가지만 담을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인 포장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수납과 그릇대용으로 사용가능한 종이 트레이{A paper tray}
본 발명은 종이로 접어서 제작되어지는 종이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을 담아서 보관이나 운반은 물론 그릇대용으로 사용할 경우에 트레이에 담겨진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제작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현재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이 트레이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용으로 사용가능하면서도 보온성이 우수한 종이제로 제작하게 되는데, 통상 제작할 경우에는 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에 절개선과 절첩선을 구비토록 하고, 절개선에 의하여 4변을 직립되게 접어서 좌우변에 구비되는 여백면이 여백면이 없는 면의 이면에 중첩되면서 접착되어 제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트레이는 절개선에 의하여 액체가 누설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고 손잡이 수단이 존재치 아니하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액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에 절첩선만을 구비토록 한 후 직립되게 접어서 발생되는 여백면이 중첩되어지도록 한 후 중첩된 여백면이 여백면이 없는 이면에 접착토록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액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구조의 단점은 중첩된 여백면이 접착되지 않게 되어 실질적으로 자동화 라인에서의 제작이 불가능하다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접혀지는 여백면이 종이 트레이를 형성하는 지지벽(12)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사각형의 판지를 일정한 경사각으로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 바닥면(11)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는 지지벽(12)을 형성하는 다각형의 트레이(10)를 제조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의 단점은 음식물(치킨) 등을 담아서 이동이나 운반토록 할 경우에 반드시 손가락으로 직립된 지지벽(12)의 내면을 외면과 동시에 잡아야 된다라는 것이고, 이를 위하여는 떨어트리지 않기 위하여 습관적으로 손가락을 사용하여 일정깊이로 삽입한 후 잡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손가락의 오염도에 따라서 상당히 비 위생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종이로 제작되는 치킨트레이에 지지벽(12)의 상단으로 돌출되게 손잡이(10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이를 제작하기 위한 종이판재가 많이 소요된다라는 것이어서 비 경제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출원인이 선출원한 것으로 20-2012-11867호에서는 모서리를 일측으로 절첩토록하여 손가락파지부를 형성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토록 하였으나 이러한 구조의 단점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절첩과 접착시 기계적인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라는 것이다.
즉 일측으로 접혀질 경우에 접혀지는 부분이 두터워짐으로 쉽게 접혀지지 않게 되고 중첩된 여백면의 내측을 접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잇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 본원출원인이 20-2013-391호로 선출원한 것으로 손가락 파지부를 절첩과 접착이 가능토록 하면서도 액체의 누설이 방지토록 한 것을 제안하였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이 손가락 파지부가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상측으로 돌출된 것에 한정되어 손가락으로 잡을 경우에 잡기가 불편하여 결국 지지벽의 내면으로까지 손가락을 깊숙하게 삽입하게 되는 단점이 존재하고, 또한 액체누설방지를 위한 차단벽이 여백면과 전후 지지벽(120a,120b)사이의 하단에 아주 작게 형성되어 져 여백면이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외면에 접착될 경우에 차단면의 내면은 접혀진 상태에서 여백면의 하단에만 밀착되어지고 차단면의 외면만이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외면에 접착되어지면서 또한 이러한 차단벽이 접혀진 상태에서 단이지게 형성됨으로 이러한 단이진 높이가 낮아 결국 액체가 이러한 단이진 부분의 상측으로 누설되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적인 절첩이나 접착이 가능하면서도 손가락 파지부를 지지벽의 상측으로 미세하게 돌출되게 형성하면서도 손가락으로 잡기가 용이토록 하고, 또한 액체의 누설량이 많을 경우에도 누설됨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보온성이 우수한 종이제로 트레이를 제작할 경우에는 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를 접어서 접착토록 할 경우에 모서리의 접혀지는 부분을 상부와 중부 및 하부로 구분토록 하여 하부만 남겨두고 중부와 상부를 절개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절첩에 의하여 여백면이 외면에 접착될 경우에 낱장으로 접착토록 하면서도 여백면의 상변으로 돌출되는 손가락 파지부를 상향돌출되게 돌출부를 형성한 후 상기 돌출부가 위치되는 좌우면의 상변에 내입홈을 구비토록 함으로서 손가락 파지부가 손가락이 삽입될 위치를 정해주게 됨으로서 내용물을 담을 경우에도 상기 내입홈의 하단가지만 담을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인 포장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종이 판지를 재단토록 한 후 절첩선과 절개에 의한 개구부를 형성토록 한 후 절첩선을 따라서 접혀지도룩 한 후 접착토록 함으로서 손가락 파지부가 안정적인 잡혀짐이 용이토록 하고 내용물을 담을 경우에도 내입홈이 형성된 부분까지만 위치토록 함으로서 위생적인 해결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조립을 위한 종이 판지의 전개도.
도2는 본 발명의 조립과정에 의하여 구현된 트레이의 외관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손가락 파지를 위한 돌출부가 내입홈에 의하여 손가락 삽입위치가 정확하게 구획되어진 상태의 확대도.
도4는 본 발명의 트레의 내공간에 내입홈이 형성된 하단까지 내용물(음식물)이 담아진 상태의 일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돌출부가 전후 지지벽의 4모서리에 모두 형성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여백면의 상변에 돌출부가 모두 형성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7은 종래의 일반적인 종이 트레이의 일실시예.
도8은 종래 액체 누설방지를 위한 종이 트레이의 일실시예.
도9는 종래 액체누설방지와 손잡이가 구현된 종이트레이의 일실시예.
도10은 종래 액체누설방지수단이 구비되면서도 기계적인 접착이 가능하고 손가락 파지부가 구비되어진 종이트레이의 일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된 상태에서의 구성이 통상 4변을 갖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4변을 따라서 절첩에 의하여 직립되어지는 4면을 형성하는 전후좌우 지지벽(120a,120b,120c,120d)과; 상기 전후좌우 지지벽(120)의 면과 면이 구획되는 모서리 변(130)의 하단에 위치되어 여백면과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사이에 위치되어지는 차단벽(140)과; 상기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외면에 접착되는 여백면(150)의 상변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1)와; 상기 여백면의 돌출부(151)와 차단벽의 외면(141)과 차단벽이 위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여백면의 내면(152) 및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외면이 동시 접착되고, 상기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상변으로는 여백면의 돌출부(151)가 위치되는 하단으로 내입홈(121)이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구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종이 트레이(100)를 구성하는 지지벽(120)이 바닥면(110)과 직립되는 각도에 따라서 여백면(150)의 상변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상변의 일부에만 형성될 경우에는 돌출부(151)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노출된 상면(153)은 일정한 경사각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지지벽(120)이 바닥면(110)과 90도로 직립될 경우와 둔각으로 벌어질 경우의 상변(153)의 경사각이 달라지게 재단되어지고, 만일 여백면의 상변 전체에 돌출부가 형성될 경우에는 이러한 재단작업이 불필요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손가락 파지를 위한 여백면의 돌출부가 전후 지지벽(120a,120b)과 접착된 상태에서 일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대칭되게 구비토록 한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수요자들이 트레이를 잡는 방향에 따라서 선택하여 잡을 수 있도록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 모두 구현가능한 것이다.
또한 조립된 종이 트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종이 판지가 절첩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종이판지가 전개된 상태에서는 바닥면(110)의 4변을 따라서 직립 절첩선(1)이 구비되고 전후 지지벽(120a,120b)의 3등분한 상태에서의 하단에는 차단벽이 접혀질 경우에 내면은 여백면에 밀착되고 외면은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외면과 밀착되어 접착되게 밀착접힘선(2,3)이 구비되고, 상기 차단벽과 밀착절첩선으로 연결된 여백면은 좌우 지지벽과 접힘절첩선(4)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단벽(140)을, 여백면과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을 상.중.하단으로 등분하여 중단과 상단은 절개하여 절개부(141)를 형성토록 한 후, 하단에만 구비토록 함으로서 트레이(100)의 제작서 접힘의 용이성과 액체의 누설량이 많을 경우에도 누설되어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차단벽의 내면이 여백면의 내면과 단순 밀착에 불과하여 차단벽의 외면이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외면과 접착된 상태에서 단이지게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차단벽이 밀착된 하단을 제외한 부분의 여백면이 접착면을 형성하면서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외면과 접착될 경우에 단이진 부분이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구성하게 됨으로 액체의 누설이 방지되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는 3등분한 상태에서 하단에만 형성한 것은 만일 차단벽이 중단가지 위치될 경우에는 여백면의 접착면이 작아져 접착된 상태에서 벌어짐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1:절첩선 2,3:밀착접힘선
4:접힘절첩선
100:트레이
110:바닥면
120,120a,120b,120c,120d:지지벽 121:내입홈
130:모서리 변
140:차단벽 141:외면
142:절개부
150:여백면 151:돌출부
152:내면 153:상면

Claims (4)

  1. 통상 4변을 갖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의 4변을 따라서 절첩에 의하여 직립되어지는 4면을 형성하는 전후좌우 지지벽(120a,120b,120c,120d)과;
    상기 전후좌우 지지벽(120)의 면과 면이 구획되는 모서리 변(130)의 하단에 위치되어 여백면과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사이에 위치되어지는 차단벽(140)과;
    상기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외면에 접착되는 여백면(150)의 상변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1)와;
    상기 여백면의 돌출부(151)와 차단벽의 외면(141)과 차단벽이 위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여백면의 내면(152) 및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외면이 동시 접착되고, 상기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상변으로는 여백면의 돌출부(151)가 위치되는 하단으로 내입홈(121)이 구비되어지는 음식물 수납과 그릇대용으로 사용가능한 종이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백면(150)의 상변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상변의 일부에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51)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노출된 상면(153)은 일정한 경사각을 구성하게 되는 음식물 수납과 그릇대용으로 사용가능한 종이 트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잇어서,
    상기 손가락 파지를 위한 여백면의 돌출부가 전후 지지벽(120a,120b)의 4 모서리에 모두 형성되어지는 음식물 수납과 그릇대용으로 사용가능한 종이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140)을, 여백면과 전후 지지벽(120a,120b)의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을 상.중.하단으로 등분하여 중단과 상단은 절개하여 절개부(141)를 형성토록 한 후, 하단에만 구비토록 하여 트레이(100)의 제작서 접힘의 용이성과 액체의 누설량이 많을 경우에도 누설되어짐을 방지하게 되는 음식물 수납과 그릇대용으로 사용가능한 종이 트레이.
KR1020190153823A 2019-11-26 2019-11-26 음식물 수납과 그릇대용으로 사용가능한 종이 트레이 KR20210064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23A KR20210064978A (ko) 2019-11-26 2019-11-26 음식물 수납과 그릇대용으로 사용가능한 종이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23A KR20210064978A (ko) 2019-11-26 2019-11-26 음식물 수납과 그릇대용으로 사용가능한 종이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978A true KR20210064978A (ko) 2021-06-03

Family

ID=7639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823A KR20210064978A (ko) 2019-11-26 2019-11-26 음식물 수납과 그릇대용으로 사용가능한 종이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49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4463A (en) Cigarette carton
US7270259B2 (en) Enclosed container carton convertible into a tray
US3160341A (en) Package
FI109892B (fi) Uudelleensuljettava pakkaus taitetusta pahvista kuivatuotteita varten
KR101010242B1 (ko) 용기
KR20230031484A (ko) 일회용 식품 포장상자
EP1103481B1 (fr) Emballage présentant des moyens de maintien courbés
KR20210064978A (ko) 음식물 수납과 그릇대용으로 사용가능한 종이 트레이
JP6242607B2 (ja) 包装体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JP3046139B2 (ja) 二重底紙箱
KR102304051B1 (ko) 음식용 포장상자 겸용 트레이
JP7304993B2 (ja) ゲーブルトップ型容器
JP7276069B2 (ja) 収納箱およびブランクシート
KR102560064B1 (ko) 수저꽂이가 상면에 구비되는 포장 박스
US4064988A (en) Display container
KR102077551B1 (ko) 물품의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 박스
EP0223623A1 (fr) Croisillon pour la formation de cases dans une caisse d'emballage
JP3216665U (ja) 包装資材セット
KR102044999B1 (ko) 캔 패키지
WO2021200628A1 (ja) 組立箱
JP2012046222A (ja) 食品収容部材と食品包装用容器および食品包装体
JP4362192B2 (ja) 引き出し内蔵の紙包装容器
KR20100004474A (ko) 식품용 포장박스
JP2009096513A (ja) キャリーカー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