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969A - 수직형 행잉 베드 - Google Patents

수직형 행잉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969A
KR20210064969A KR1020190153802A KR20190153802A KR20210064969A KR 20210064969 A KR20210064969 A KR 20210064969A KR 1020190153802 A KR1020190153802 A KR 1020190153802A KR 20190153802 A KR20190153802 A KR 20190153802A KR 20210064969 A KR20210064969 A KR 20210064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ed
vertical
cultivation bed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규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식물공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식물공장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식물공장
Priority to KR1020190153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4969A/ko
Publication of KR20210064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형 행잉 베드에 관한 것으로, 수직형 행잉 베드에 있어서, 재배 베드를 매다는 와이어와 상기 재배 베드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단에 꼭짓점부를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대칭 경사지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경사부 끝단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벤딩되는 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배 베드는, 상기 벤딩부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행잉 베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직형 행잉 베드{Vertical hanging bed}
본 발명은 수직형 행잉 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 활용이 용이하며, 체험학습 등에 최적화 되고, 시설 관리가 용이한 수직형 행잉 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온실 내에 딸기와 같은 작물을 재배할 경우, 연작 장해, 제초와 관수, 시비 및 수확 등에 따른 중노동 작업으로부터 노동력 절감을 목표로 하여 고설 수경재배방식이 농가에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고설 수경 재배는 이의 시설비가 매우 고가여서 농가의 초기 부담이 매우 큰 단점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입체식 다단재배가 일본, 미국, 캐나다, 유럽 등의 다양한 딸기 작물 재배 국가에서 많이 시도되고 있다.
반면에, 유리 온실 내에 작물이 식재되는 수경 재배용 베드가 고정형으로 배치되어 수직으로 층을 이루어 설치되는 경우 베드 내에 계절별 또는 시간별 입사 광량이 다르고, 광 입사량의 차이에 따라 각 베드에서 생육하는 작물(일 예로서, 딸기 등을 말함)에 제공되는 광량, 온도, 습도, 공기 유동량, 탄산가스 농도 등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차이는 결국 유리 온실내 작물의 생육량 차이를 초래하게 되고, 베드 근권으로부터 흡수되는 양분과 수분량의 차이가 발생된다. 이로 인해 평면 재배방식에 비해 생산성이 비례적으로 높아지지 않음은 물론, 종묘, 비료, 농약 등 자재 투입비와 재배 관리에 따른 노동력에 비하여 생산성이 낮아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한편, 유리 온실 내에 고부가가치 작물인 파프리카, 화훼 등의 작물은 첨단 유리 온실 내에서 규모화, 자동화를 통해 경영성을 확보할 수 있어 국내에서 많은 농가에 보급되어 있다.
반면에, 딸기 품목은 첨단 유리 온실 내에서 상업적 재배가 아직까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첨단 유리 온실 또는 플라스틱 하우스 내에서 딸기를 수경 재배하여 수입원을 증대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과 연구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8973호에 수경 재배 환경 자동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행잉 베드는 수평형 행잉 베드, 즉, 작물이 수용되는 베드와 베드를 상하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파이프가 평행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각 파이프에 동력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구동 모터가 베드의 개수만큼 필요하게 되어 시공 비용이 증가하고, 무게가 증가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물이 광합성을 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베드 사이에 습기가 갇히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작물이 데미지를 입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행잉 베드는 와이어가 베드와 직접 연결하는 구조로 베드를 교체하거나 베드의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베드를 탈착하여야 할 시에는 일일이 베드로부터 와이어의 연결을 해제하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였고, 특히 베드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와이어를 해제해야 하는 등 안전성의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종래 수평형 행잉 베드가 작물이 수용되는 베드와 베드를 상하 이동 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파이프가 평행으로 구비되어, 이 경우 각 파이프에 동력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구동 모터가 베드의 개수만큼 필요하게 되어 시공 비용이 증가하고, 무게가 증가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저해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수직형 행잉 베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작물이 광합성을 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베드 사이에 습기가 갇히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작물이 데미지를 입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수직형 행잉 베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와이어가 베드와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베드의 탈착이 용이하지 않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탈착 시에 위험성이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수직형 행잉 베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문제 해결로 인하여 작물의 재배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최적의 체험장소를 제공함으로써, 농가 소득 기여는 물론 궁극적으로 농업 발전에 이바지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는, 재배 베드를 매다는 와이어와 상기 재배 베드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단에 꼭짓점부를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대칭 경사지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경사부 끝단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벤딩되는 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배 베드는, 상기 벤딩부에 결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꼭짓점부는, 내면에 상기 와이어가 걸치거나 들어갈만한 크기의 미세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홈은, 상기 와이어가 들어가도록 형성될 경우, 홈의 입구 폭이 홈의 내부 직경보다 협소한 'Ω'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홈의 입구 폭은 와이어가 억지끼움될 수 있는 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 베드는, 상기 벤딩부에 결속되는 걸림부를 지지하는 양측면에 힌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형 행잉 베드는,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수직대; 상기 수직대 각각에 수직대 길이를 따라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 걸림대 및 상기 복수의 수직대 설치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걸림대와 베벨 기어로 연결되어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와이어 걸림대로 전달하는 회전대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체 중 상기 와이어 걸림대의 길이를 따라 상기 와이어를 복수로 권선하고, 상기 권선된 와이어 및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재배 베드를 복수의 수직대 설치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도록 설치하되, 일측에 설치된 재배 베드와 타측에 설치된 재배 베드의 와이어 권선 방향을 달리하여 상기 회전대의 회전 시 일측 재배 베드와 타측 재배 베드간 높이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벨 기어는, 반절의 형태의 기어 몸체 2개가 조립되어 일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형 행잉 베드는, 상기 수직대에 설치되어 와이어 걸림대에 권선된 와이어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수직대에 대하여 승하강과 회전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형 행잉 베드는, 신체의 키를 측정하는 키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키에 따라 베드간 높이차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는, 종래 수평형 행잉 베드가 작물이 수용되는 베드와 베드를 상하 이동 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파이프가 평행으로 구비되어, 이 경우 각 파이프에 동력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구동 모터가 베드의 개수만큼 필요하게 되어 시공 비용이 증가하고, 무게가 증가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저해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물이 광합성을 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베드 사이에 습기가 갇히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작물이 데미지를 입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가 베드와 직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베드의 탈착이 용이하지 않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탈착 시에 위험성이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물의 재배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최적의 체험장소를 제공함으로써, 농가 소득 기여는 물론 궁극적으로 농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의 일측을 수평폴대를 제거하여 상세히 바라본 도면이며, 도 2b는 도 2a의 도면으로 바라본 재배 베드의 승하강 작동 예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연결부재와 재배 베드의 결속을 예시한 일 예시도 및 다른 예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미세홈의 예시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배 베드의 힌지 구성 예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와이어 가이드의 일 예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와이어 가이드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된 와이어 가이드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키 측정부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의 블록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의 사시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의 일측을 수평폴대를 제거하여 상세히 바라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도면으로 바라본 재배 베드의 승하강 작동 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는, 지지 구조체(100), 와이어(200), 연결부재(300) 및 재배 베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구조체(100)는 본 발명의 행잉 베드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와이어(200)로 연결되는 재배 베드(400)가 매달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구조체(100)는 와이어로 연결된 재배 베드(400)가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일부 구성이 모터(14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회전체들의 구조가 평행이 아닌 회전체간 수직하게 연결되는 구조로서, 적은 개수로의 모터(140)로도 모두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하며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200)와 재배 베드(400)간의 연결이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닌 상기 연결부재(300)로 인하여 연결됨으로써 탈착이 용이한 장점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 구조체(100)는 수직대(110), 와이어 걸림대(120) 및 회전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대(110)는 지지를 위한 기초대로써, 일정간격을 두고 지면에 기립되도록 형성되는 2개의 수직폴대(112)와 상기 수직폴대(112)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폴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폴대(112)와 수평폴대(114)는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일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자 개별 몸체로서 결속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결속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직폴대(112)와 수평폴대(114)가 각자 개별 몸체일 경우, 차후 확장이나 축소 등 수직대(110)의 형태 변경에 용이할 수 있다.
수직폴대(112)의 지면에 대한 설치는 어느 특정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예로 브라켓이나 플랜지 등에 의해 지면에 체결하거나 단부를 뾰족하게 하여 지면에 삽입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수평폴대(114)는 단순히 일자 형태의 폴대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면적을 형성하여 광고판이나 알림판 등이 게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직대(110)는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어 와이어(200)로 매달리는 재배 베드(4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설치 간격은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 걸림대(120)는 종방향으로 설치된 수직대(110)의 각각에 수직대(110)의 길이를 따라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수직대(110) 1개 당 와이어 걸림대(120)가 1개씩 설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와이어 걸림대(120)는 상술한 회전체 중 하나의 구성으로 회전이 용이한 환봉의 형태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와이어(200)가 권선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 걸림대(120)에 대한 와이어(200)의 권선이 복수로 이루어질 경우, 각각의 권선 방향은 인접한 와이어(200)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즉, 일 와이어 걸림대(120)에 권선되는 복수의 와이어(200)는 권선 방향이 순차적으로 교번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일 수직대(110) 기준으로 와이어 1개당 하나씩 연결되는 재배 베드(400)는 와이어 걸림대(120)가 회전할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에 인접한 재배 베드(400)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와이어 걸림대(120)가 회전할 경우 일측 재배 베드(400a)와 타측 재배 베드(400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며, 높이차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재배 작물의 식재를 위하거나 체험 학습 등을 위해 재배 베드(400a)를 낮출 시에, 인접한 다른측의 재배 베드(400b)는 올라간 형태로써 이동 공간 등을 수월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좁은 면적에서도 비교적 많은 재배 베드(400)를 설치하고 활용할 수 있는 높은 공간 활용의 장점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와이어 걸림대(120)는 와이어(200)가 권선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와이어 걸림홈(미도시)을 마련하여 와이어(200)가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와이어(200)가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걸림홈(미도시)을 복수로 마련하여 와이어(200)의 이탈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 걸림홈(미도시)은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나 일 예로써 링의 형태 또는 나사산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회전대(130)는 복수로 설치된 수직대(110)의 설치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대(130)는 모터(140)가 연결되어 모터(14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대(130)는 와이어 걸림대(120)와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연결시에는 베벨기어 등의 기어(150)로 연결될 수가 있어, 모터(140)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와이어 걸림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 구조체(100)는 재배 베드(400)를 지지한 상태에서, 모터(140)로부터 시작된 동력을 회전대(130)와 베벨 기어(150)로 연결된 와이어 걸림대(120)로 전달함으로써 재배 베드(400)를 승하강 시킬 수 있고, 상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베벨 기어 등으로 형성되는 기어(150)는 분리되지 않는 일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각각 반절의 기어 몸체가 조립되어 일 몸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반절의 몸체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본 발명의 수직형 행잉 베드 설치 시 조립이 용이한 장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는, 상술하였듯이 와이어(200)를 통해 재배 베드(400)를 연결할 때에 연결부재(300)를 통하여 연결할 수가 있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연결부재와 재배 베드의 결속을 예시한 일 예시도 및 다른 예시도이며,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연결부재에 형성되는 미세홈의 예시도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배 베드의 힌지 구성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00)는 경사부(310), 연결부(320) 및 벤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부(310)는 상단에 꼭짓점부(340)를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대칭 경사질 수 있다. 이때, 경사부(310)는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넓어지는 방향 즉, '∧'과 같이 상협하광의 형태가 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연결부(320)는 양측으로 대칭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3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20)의 경사부(310) 연결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도 3의 (a)와 같이 경사부(310)의 중단부에서 연장되어 경사부(310)와 'A' 형태를 이룰 수도 있고, 도 3의 (b)와 같이 경사부(310)의 말단부에서 연장되어 경사부(310)와 'ㅿ'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벤딩부(330)는 경사부(310)의 끝단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벤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벤딩부(330)는 후술하는 재배 베드(400)의 걸림부(420)가 걸치도록 안착되는 공간으로써 재배 베드(400)를 지탱할 수 있다.
또한, 벤딩부(330)는 내측으로 완전히 굽은 것이 아닌 내측을 향해 일부가 개방되도록 벤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배 베드(400)의 무게로 인한 하중 방향을 지지하되, 개방된 내측 방향으로 재배 베드(400)의 탈착이 자유롭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재배 베드(400)를 교체하거나 재배 베드(400)의 위치 등을 변경하기 위하여 재배 베드(400)의 탈착에 있어 와이어의 연결을 해제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재배 베드(400)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와이어 등을 해제할 필요가 없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경사부(310)로 인하여 형성된 꼭짓점부(34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와이어(200)가 걸치거나 들어갈만한 크기의 미세홈(345)을 형성할 수 있다. 꼭짓점부(340)는 와이어(200)가 결착될 공간으로 미세홈(345)의 형성으로 인하여 그 중심에 정확하게 걸칠 수 있고, 연결부재(300)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때, 미세홈(345)은 와이어(200)가 들어가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홈(345)의 입구 폭이 미세홈(345)의 내부 직경보다 협소한 'Ω'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미세홈(345)의 입구 폭은 와이어(200)까 억지끼움 될 수 있는 폭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로 인해, 와이어(200)를 미세홈(345)에 끼운 후에는 와이어(200)의 이탈이 쉽지 않아 와이어(20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재배 베드(400)는 베드 몸체(410) 및 걸림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드 몸체(410)는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밑면(412)과 양측면(414)을 포함하여 구성된 'u' 형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드 몸체(410)는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형태면 충분하다.
또한, 베드 몸체(410) 양단 즉, 베드 몸체(410)의 양측면(414)의 단부에는 걸림부(420)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420)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환봉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300)의 벤딩부(330)에 결속되어 연결부재(300)의 지탱력에 의해 무게 방향으로 발생되는 하중에도 재배 베드(400)가 낙하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420)를 지지하는 베드 몸체(410)의 양측면(414)에는 힌지(416)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힌지(416)로 인하여 재배 베드(400)는 미사용 시에 접어서 보관할 수도 있고, 걸림부(420)를 벤딩부(330)에 결속시에 보다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의 힌지(416)의 마련 시에는 힌지(416)가 사용자의 의도 외에 조절되지 않도록 고정장치(미도시)와 함께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300)와 재배 베드(400)의 구조를 통해 재배 베드(400)의 탈착이 용이할 수가 있고, 이로 인해 많은 노력과 수고, 비용 등을 절감하며 탈착시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벤딩부(330)에는 자성체(미도시)가 마련되고, 재배 베드(400)의 걸림부(420)에는 자성체(미도시)와 자성적으로 연결될 금속 재질의 무게추(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무게추의 구비로 인한 재배 베드(400)는 걸림부(420)에 무게를 더하여 안정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고, 특히 벤딩부(330)의 구비되는 자성체(미도시)와의 자성 연결로 인하여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는, 와이어(200)를 가이드 하도록 형성되되, 와이어(200)를 이용하여 재배 베드(40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가이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와이어 가이드의 일 예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와이어 가이드의 다른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된 와이어 가이드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와이어 가이드(500)는 수직대(110)의 길이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즉, 와이어 가이드(500)는 수직대(110) 각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양단이 수직폴대(112)를 향하도록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가이드(500)는 일정 간격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개방된 공간은 와이어(200)가 통과할 공간으로서, 와이어(200)가 통과할 정도의 직경만 형성하는 좁은 홀의 형태일 수도 있고, 사다리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넓은 면적의 공간일 수도 있다.
즉, 와이어(200)가 통과되어 와이어(200)를 가이드 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고,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개방된 공간은 일 수직대(110)에 대하여 설치된 모든 와이어(200)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와이어(200)의 개수만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 가이드(500)는 수직대(110)에 대하여 승하강과 회전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직대(110)의 수직폴대(112) 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레일(510)이 마련될 수 있으며, 레일(510)에는 레일(510)의 길이를 따라 이동 가능한 승하강부재(520)가 마련될 수 있다.
승하강부재(520)의 승하강 방식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어 한정되지 않으며, 그 예로써, 실린더의 피스톤에 의한 왕복운동이거나, 래크-피니언 결합에 의한 구동이거나, 승하강부재(520)를 와이어로 연결 후 권취하는 방식의 구동일 수 있다.
또한, 승하강부재(520)는 회전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 회전부(530)에 와이어 가이드(500)가 연결되어 수직대(110)에 대하여 승하강과 회전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와이어 가이드(500)는 승하강 조절을 통해 와이어(200)의 길이에 대한 일 위치에 위치되고, 그 자리에서 회전부(530)가 작동되면 와이어(200)가 꼬이면서 재배 베드(400)를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직대(110) 마다 설치된 와이어 가이드(500)를 각기 승하강과 회전조절을 하여 재배 베드(400)의 각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예컨대, 가장 앞에 위치한 와이어 가이드(500)는 와이어(200) 하단에 위치되도록 하고, 가장 뒤에 위치한 와이어 가이드(500)는 와이어(200) 상단에 위치되도록 하여 각각 회전시키면, 재배 베드(400)는 앞 부분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재배 베드(400)의 각도 조절을 통해 본 발명은 재배 베드(400)를 보다 다양한 위치와 형태로 조절하며 공간활용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작물 재배의 보다 빠른 배수가 필요할 시에는 빠른 배수를 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체험학습의 사용 시에는 키 등의 신체 조건이 다양한 체험자들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각도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는, 신체의 키를 측정하는 키 측정부(6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키 측정부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키 측정부(600)는 거리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거리센서(미도시)는 일방으로 초음파, 적외선 또는 레이저 등을 조사 후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 등을 측정하여 거리를 파악하게 되는데, 이때 키 측정부(600)에 신체가 머물게 되면 거리센서는 신체를 향하여 초음파, 적외선 또는 레이저 등을 조사하게 되고, 반사 시간을 계산하여 키를 인지하고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수직형 행잉 베드가 설치된 공간 안에서 작물 재배 등을 체험하는 체험자들의 평균키 또는 최소키에 맞추어 재배 베드(400)간의 높이차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보다 편안한 체험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키 측정부(600)는 본 발명의 수직형 행잉 베드가 하우스(H) 내의 설치되는 경우, 하우스(H)의 출입문 등에 마련될 수 있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직형 행잉 베드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는 등 그 설치 위치는 한정되지는 않는다.
키 측정부(600)가 수직형 행잉 베드 일측에 마련될 경우에는 키 측정부(600)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거리센서는 수직 지지대(미도시)의 높이를 따라 이동하면서 거리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키의 측정은 키 측정부(600)에 신체가 머물게 되면 거리센서는 가장 상단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 시 반사 시간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구간을 신체의 머리로 판단하여 이동한 값을 계산하여 키를 인지하고 계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의 블록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행잉 베드는, 재배 베드(400)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700), 센서부(700)에서 감지된 재배 베드(400)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배 베드(400)를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700)는 재배 베드(400)의 수분을 센싱하는 수분센서(710), 재배 베드(400)의 광량을 센싱하는 광센서(720), 재배 베드(400)의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센서(730) 및 재배 베드 주변의 사용자의 모션을 센싱하는 모션센서(7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분센서(710)에서 센싱된 재배 베드(400)의 수분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어부(800)의 양액공급부(750)는 재배 베드에 적당량의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양액공급의 조건이나, 양액의 종류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광센서(720)에서 센싱된 재배 베드(400)의 광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어부(800)는 전체 재배 베드(400)의 광의 평균값 보다 작은 재배 베드(400)의 위치로 변경시키도록 제어하거나, 하우스 내에 차광막 등이 설치될 경우 차광막 등을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습도센서(730)는 재배 베드(400)의 습도를 센싱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재배 베드(400)에서 독립적인 원인에서 발생하는 습도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도센서(730)는 이웃한 재배 베드(400)와의 관계에 있어서 공간이 밀폐되어 습도가 증가되는 것을 센싱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작물의 광합성에 의해 수분을 배출하게 되는데, 이 경우 재배 베드(40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면, 재배 베드(400)들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지 못하여, 습기에 의해 작물이 피해를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도센서(730)는 재배 베드(400)의 습도를 센싱하여, 습도가 전체적으로 높아지거나, 일부 재배 베드(400)의 부분에서 습도가 평균보다 높아진 경우에 제어부(800)는 모터(140)를 제어하여, 복수의 재배 베드(400)를 상하로 이동시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140)는 습도센서(730)의 센싱값에 따라 재배 베드(400)의 운동을 제어할 수도 있으나, 습도센서(730)에서 수집된 센싱값들을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습도를 예상할 수 있고, 예상된 시간에 자동으로 재배 베드(400)를 상하 이동시켜 주기적으로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모션센서(740)는 재배 베드(400)의 주변의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리모컨 등으로 재배 베드(400)의 모션을 제어하지 않고도, 제어부(800)는 모션센서(740)에서 수집된 정보에 의해 모터(140)를 가동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작업해야할 재배 베드(400)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통신모듈(81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통신모듈(810)은 사용자의 태블릿 PC나 모바일 단말 등 모니터링 기기(850)에 상기 센서부(700)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고, 모니터링 기기(850)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제어부(800)를 제어하여 모터(140) 및 양액공급부(750) 등을 가동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지지 구조체
110 : 수직대
112 : 수직폴대
114 : 수평폴대
120 : 와이어 걸림대
130 : 회전대
140 : 모터
150 : 기어
200 : 와이어
300 : 연결부재
310 : 경사부
320 : 연결부
330 : 벤딩부
340 : 꼭짓점부
345 : 미세홈
400 : 재배 베드
410 : 베드 몸체
412 : 밑면
414 : 양측면
416 : 힌지
420 : 걸림부
500 : 와이어 가이드
510 : 레일
520 : 승하강부재
530 : 회전부
600 : 키 측정부
700 : 센서부
710 : 수분센서
720 : 광센서
730 : 습도센서
740 : 모션센서
750 : 양액공급부
800 : 제어부
810 : 통신모듈
850 : 모니터링 기기
H : 하우스

Claims (8)

  1. 수직형 행잉 베드에 있어서,
    재배 베드를 매다는 와이어와 상기 재배 베드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단에 꼭짓점부를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대칭 경사지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경사부 끝단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벤딩되는 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배 베드는, 상기 벤딩부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행잉 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꼭짓점부는,
    내면에 상기 와이어가 걸치거나 들어갈만한 크기의 미세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행잉 베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홈은,
    상기 와이어가 들어가도록 형성될 경우, 홈의 입구 폭이 홈의 내부 직경보다 협소한 'Ω'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홈의 입구 폭은 와이어가 억지끼움될 수 있는 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행잉 베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베드는,
    상기 벤딩부에 결속되는 걸림부를 지지하는 양측면에 힌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행잉 베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행잉 베드는,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수직대;
    상기 수직대 각각에 수직대 길이를 따라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 걸림대 및
    상기 복수의 수직대 설치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걸림대와 베벨 기어로 연결되어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와이어 걸림대로 전달하는 회전대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체 중
    상기 와이어 걸림대의 길이를 따라 상기 와이어를 복수로 권선하고,
    상기 권선된 와이어 및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재배 베드를 복수의 수직대 설치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도록 설치하되,
    일측에 설치된 재배 베드와 타측에 설치된 재배 베드의 와이어 권선 방향을 달리하여 상기 회전대의 회전 시 일측 재배 베드와 타측 재배 베드간 높이차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행잉 베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 기어는,
    반절의 형태의 기어 몸체 2개가 조립되어 일 몸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행잉 베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에 설치되어 와이어 걸림대에 권선된 와이어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수직대에 대하여 승하강과 회전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수직형 행잉 베드.
  8. 제 5 항에 있어서,
    신체의 키를 측정하는 키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키에 따라 베드간 높이차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행잉 베드.
KR1020190153802A 2019-11-26 2019-11-26 수직형 행잉 베드 KR20210064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02A KR20210064969A (ko) 2019-11-26 2019-11-26 수직형 행잉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02A KR20210064969A (ko) 2019-11-26 2019-11-26 수직형 행잉 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969A true KR20210064969A (ko) 2021-06-03

Family

ID=7639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802A KR20210064969A (ko) 2019-11-26 2019-11-26 수직형 행잉 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49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431B1 (ko) 2022-08-05 2023-04-11 대경에이티 주식회사 온실하우스용 낙하방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업다운 행잉베드시스템
CN116058273A (zh) * 2023-02-20 2023-05-05 扬州市职业大学(扬州开放大学) 一种室内植物立体种植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431B1 (ko) 2022-08-05 2023-04-11 대경에이티 주식회사 온실하우스용 낙하방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업다운 행잉베드시스템
CN116058273A (zh) * 2023-02-20 2023-05-05 扬州市职业大学(扬州开放大学) 一种室内植物立体种植装置
CN116058273B (zh) * 2023-02-20 2024-04-26 扬州市职业大学(扬州开放大学) 一种室内植物立体种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1099B2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KR101240249B1 (ko) 식물재배시스템
US20110215937A1 (en) Device for Growing Plants on a Vertical Substrate
US20150000190A1 (en) Automated Plant Growing System
JP7144804B2 (ja) 多区画型栽培施設
KR20210064969A (ko) 수직형 행잉 베드
KR101430728B1 (ko) 다단 적층형 입체 녹화 식생 자원 재배 용기의 틸팅 장치
KR20160072519A (ko) 유선드론을 적용한 작물개체 3차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27494B1 (ko) 고설재배 장치
CN101980635A (zh) 用于提高产量的生长系统
US20230225263A1 (en) Cannabis Growing Apparatus
KR102382163B1 (ko) 밀폐형 재배시설 내부 행거타입 딸기재배 시설용 대기 습도 유지를 위한 수분액 분사장치
JP2017527269A (ja) 農業システム
JP4956838B2 (ja) 植物栽培装置
KR101514344B1 (ko) 농작물 재배용 베드의 횡주 걸이대
KR101862525B1 (ko) 수경재배 베드의 지지구조
KR20160015888A (ko) 농업용 회전 재배장치
WO2015013670A1 (en) Automated plant growing system
KR20220061736A (ko) 베드 무게측정을 통한 온실제어시스템
KR102047539B1 (ko) 수직형 행잉 베드
KR200382117Y1 (ko) 현가식 실내 수경재배기
KR20110121499A (ko) 온실용 작물재배시설 거치대
KR102557294B1 (ko) 줄기작물의 생육정보 검출기능을 갖는 고설 재배장치
KR101903777B1 (ko) 식물 재배장치
KR100796460B1 (ko) 행거형 분화식물 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