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579A - The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Integrated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he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Integrated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579A
KR20210064579A KR1020190152957A KR20190152957A KR20210064579A KR 20210064579 A KR20210064579 A KR 20210064579A KR 1020190152957 A KR1020190152957 A KR 1020190152957A KR 20190152957 A KR20190152957 A KR 20190152957A KR 20210064579 A KR20210064579 A KR 20210064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shelter
user terminal
disaster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상혁
김성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지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지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지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15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4579A/en
Publication of KR20210064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5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embodiment provides an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system,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regional databases storing basic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receiving and displaying a disaster response alarm and target shelter information; and a disaster response server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on a currently occurring disaste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reading the basic information from the regional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o generate the disaster response alarm and target shelter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fely evacuat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by allowing users to intelligently search the shelter to evacuate according to the disaster situation.

Description

지능형 재난대응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The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Integrated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The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Integrated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능형 재난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재난에 대하여 사용자에 따른 최적화된 대피소를 산출하는 통합 대응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In more detail, it relates to an integrated response system for calculating an evacuation shelter optimized for each user for various disaster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홍수, 폭염, 한파 등과 같은 자연재난이나 폭발, 붕괴, 산불 등과 같은 사회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대피, 또는 대피경로를 탐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전한 대피를 유도 또는 안내를 수행하는 재난 시스템이 요구된다.When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heat waves, cold waves, or social disasters such as explosions, collapses, wildfires, etc. occur, evacuation or evacuation routes are searched for and provided to users. A disaster system that induces or guides users to a safe evacuation is required

일 예로 , 한국특허출원(출원번호 10-2010-0089882,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한국특허출원(출원번호 10-2010-0014082, "재난 대피 안내 시스템") 등이 존재한다. As an example, there exist a Korean patent application (application number 10-2010-0089882, "evacuation guidance system and its processing method"), a Korean patent application (application number 10-2010-0014082, "disaster evacuation guidance system"), and the like.

하지만, 종래의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지엽적 규모의 공간 예컨대, 특정 건물, 시설물 등에서 발생하는 재난상황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재난상황 역시 지엽적인 공간에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상황에 대한 것이다.However, the prior art generally considers a disaster situation occurring in a local scale space, for example, a specific building, facility, etc., and the disaster situation is also about a situation that can cause damage to the local space.

이는 공간의 특성이나 재난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대피할 수 있는 안전한 또는 빠른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This is to search for a safe or fast route that can be evacua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r the disaster situation.

그러나, 거시적인 공간 규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재난상황(예컨대, 적의 공습, 독극물의 누출, 방사능 유출 등)에서는 단순히 재난현장에서 대피하는 것이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재난의 위협유형에 따라 적당한 대피소를 찾아서 대피하여야 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However, in serious disaster situations that can occur on a macroscopic spatial scale (e.g., enemy air strikes, leaks of poisons, radiation leaks, etc.), simply evacuating from the disaster site can not guarantee the safety of users, but the type of disaster threat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may be desirable to find a suitable shelter and evacuate.

또한, 위협유형별로는 단순히 가장 근 거리의 대피소로 빠른 시간 내에 대피하는 것이 최선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할 수도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reat, simply evacuating to the nearest shelter in a short time may not guarantee the best safety.

상기 기술들은 대피경로 또는 대피소로 유도할 때 정상적으로 네비게이션 즉, 대피경로의 탐색이 수행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창안된 발명이다. 하지만, 심각한 재난상황에서는 통신환경이 마비되거나 불안정할 수도 있다. The above techniques are inventions devised on the assumption that navigation, that is, searching for an evacuation route, can be performed normally when guiding to an evacuation route or shelter. However, in a serious disaster situatio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may be paralyzed or unstable.

본 발명은 거시적인 규모에 발생할 수 있는 재난상황에서 재난의 유형 및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수집하여 지능적으로 사용자가 대피할 대피소를 탐색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that intelligently searches for and provides shelters for users to evacuate by collecting as much information on types of disasters and surrounding situations as possible in disaster situations that may occur on a macroscopic scale.

실시예는 각 지역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지역 데이터베이스; 재난 대응 알람 및 목표 대피소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현재 발생한 재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지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기초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재난 대응 알람 및 상기 목표 대피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재난대응 서버를 포함하는 지능형 재난대응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regional databases storing basic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 disaster response alarm and target shelter information; and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disaste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reading the basic information from the local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o generate the disaster response alarm and the target shelter information To provide an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system including a disaster response server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상기 현재 발생한 재난에 대한 선택 정보는 상기 재난이 어떤 재난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재난의 상황이 어느 정도인지 및 상기 대피소를 찾을 영역은 어디인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The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currently occurring disaster may be information on whether the disaster belongs to what kind of disaster, what the disaster situation is, and where the evacuation shelter is located.

상기 재난의 상황이 어느 정도인지는 상기 재난이 결과 수습형인지, 완만 진행형인지, 순간 증폭형인지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다.The degree of the disaster situation can be selected by distinguishing whether the disaster is a result-resolving type, a gentle progression type, or an instantaneous amplification type.

상기 지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들이는 기초 정보는 상기 지역의 기상 정보, 대피소 정보, 인구 정보, 지역 정보, 주요 시설 정보 및 노약자 수용 시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ic information read from the regional database may include weather information of the region, shelter information, population information, regional information, main facility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facilities for accommodating the elderly.

상기 재난 대응 서버는 상기 기초 정보와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최적화된 상기 목표 대피소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대피소 산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aster response server may include a shelter calculation program for calculating and providing the target shelter optimized for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and the selection information.

상기 재난 대응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표 대피소까지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The disaster response server may calculate route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target shelter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재 발생한 재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초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 및 상기 기초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최적화된 대피소를 목표 대피소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대피소 및 재난 대응 알람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 방법을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about a disaster that has occurred,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reading basic information from a local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ing a shelter optimized for the user terminal as a target shelter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and the basic information; It provides a disaster respons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target shelter and disaster response alarm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표 대피소까지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함께 제공할 수 있다.In the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route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target shelter may be calculated and provided together to the user terminal.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대피할 대피소를 지능적으로 탐색하도록 함으로써 재난의 유형에 맞추어 안전한 대피를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safe evacu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by allowing the user to intelligently search for an evacuation site according to a disaster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재난대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재난 대응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재난대응 서버의 전체적인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각 단계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disaster response server applied to the system of FIG. 1 .
3 is an overall operation flowchart of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of FIG. 2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operation of each step in FIG. 3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재난대응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재난대응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disaster response server applied to the system of FIG. 1 .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재난대응 시스템은 재난대응 서버(100), 상기 재난 대응 서버(1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 데이터베이스(200), 상기 재난대응 서버(1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재난 대응 알람을 수신하고, 대피소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한다.1, an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a local database 200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user terminal 300 that communicates with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s the disaster response alarm, and receives shelter information.

상기 재난 대응 서버(100)는 정부기관, 또는 정부 산하 재난 대응절차를 수행하는 업체의 서버(100)일 수 있다. 또는 이와 같은 직무를 수행하는 관리자의 서버(1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may be a server 100 of a government agency or a company that performs a government-affiliated disaster response procedure. Alternatively, it may be a server 100 of an administrator performing such a job,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반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재난 대응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적합한 대피소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100)일 수 있다.In general, the disaster response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the disaster response program is executed, so that it may be the server 100 including a processor capable of providing a suitable shelter.

상기 모바일 단말(300)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고,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재난대응 서버(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단말(300)로서, 예컨대, PC,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300 is a terminal 300 that can be carried by a user and can receive and display data from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a PC, a smart phone, or a notebook computer. , tablets, and the like.

상기 재난대응 서버(100)는 상기 재난대응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관리자로부터 재난종류, 재난상황, 대피영역 등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기초 정보를 읽어들여 해당 지역에서 해당 재난에 대하여 최적화된 대피소를 산출한다.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executes the disaster response program,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such as disaster type, disaster situation, and evacuation area from the manager, reads basic information, and selects an evacuation center optimized for the disaster in the area Calculate.

상기 재난대응 서버(100)는 선택된 재난 종류에 따라 경보 또는 주의보의 경고 알람을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알람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산출된 대피소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may provide a warning alarm of an alarm or an advisory to the user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selected disaster type, and may provide the user alarm with information on shelter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

이러한 재난대응 서버(100)는 산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may further include a database 180 capable of storing calcul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180)는 서버(100) 이외의 영역에 배치되어 유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으나, 클라우드 서버(100)와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uch a database 180 may be a database disposed in an area other than the server 100 to store data through wired communication, but may store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like the cloud server 100 .

상기 데이터베이스(180)는 산출된 대피소 정보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80 may synchronize and store the calculated shelter information in real time.

한편, 본 재난 대응 시스템은 각 지역에 따라 각 지역의 기초 정보를 저장하는 지역 데이터베이스(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regional database 200 for storing basic information of each region according to each region.

각각의 지역 데이터베이스(200)는 지역의 기상정보, 대피소정보, 인구 정보 지역 정보, 주요시설 정보 및 노약자 수용시설 정보 등의 정보들을 저장하고, 무선 통신을 통한 해당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이를 출력하여 서버(100)에 전송 가능하다.Each regional database 200 stores information such as local weather information, shelter information, population information, regional information, major facility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accommodation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infirm, and outputs it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server (100) can be transmitted.

이때, 상기 재난대응 서버(100)는 각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산출된 해당 지역의 대피소 정보를 반영하여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terminal 300 and execute the navigation program by reflecting the calculated information on shelters in the corresponding area.

따라서, 상기 재난대응 서버(1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300)에 산출된 대피소까지의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may provide the calculated route information to the evacuation shelter to each user terminal 300 .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경로 정보는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에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진 정보로 제공 가능하다.In general, such rout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a map application, and when a specific application is not installed, it may be provided as photo information.

이러한 재난대응 서버(100)는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Such a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may hav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서버(100)는 제어부(150), 사용자인터페이스(110), 정보 수신부(120) 위치정보 연계부(130), 대피소 산출부(140) 및 대피소정보 출력부(160)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18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150 , a user interface 110 , an information receiver 120 , a location information linker 130 , and an evacuation shelter calculator 140 . ) and the shelter information output unit 16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atabase 180 .

재난대응 서버(100)는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각 모듈을 제어하여 최적화된 대피소가 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may execute an algorithm of an installed program and control each module to calculate an optimized shelter.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정보 수신부(120), 정보 관리부, 위치 정보 연계부(130), 대피소 산출부(140),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데이터 베이스(180) 및 대피소 정보 출력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50 includes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e location information linkage unit 130 , the shelter calculation unit 140 , the user interface 110 , the database 180 , and the shelter information output unit 160 . ) can be controlled.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 즉 관리자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는 선택 아이콘 또는 버튼으로 구현 가능하며, 재난 종류, 비상 상황, 대피 영역 입력 등을 유도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110 may be implemented as a selection icon or button capable of inducing selection of a user, that is, an administrator, and may induce types of disasters, emergency situations, evacuation area input, and the like.

또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자판을 구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keyboard to write various user input information.

정보 수신부(120)는 외부 지역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각 지역의 기초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으며,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로서, 기상, 대피소, 인구, 지역 정보, 주요 시설, 노약자 수용시설 정보 등의 기초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can read basic information of each region from the external regional database 200, and is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via wireless communication.

이와 같은 정보 수신부(120)는 지그비, 와이파이, 5G, 4G, 블루투스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may receive information through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ZigBee, Wi-Fi, 5G, 4G, and Bluetooth.

정보 관리부는 정보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처리, 즉 디코딩하여 원하는 정보로 추출하고 해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할 수 있다. 위치정보 연계부(130)는 다양한 네비게이션 즉, 경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도록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좌표 정보 연계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information manager may process, ie, decode,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receiver 120 to extract it as desired information, and store th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180 . The location information linker 130 provides a map database and coordinate information linkage service to calculate various navigation, that is, route information.

대피소 산출부(140)는 대피소 산출 알고리즘을 실행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선택된 정보 내역에 의해 정보 관리부와 위치정보 연계부(130)의 정보 연산을 통해 최적화된 대피소를 산출한다.The shelter calculation unit 140 executes a shelter calculation algorithm, and calculates an optimized shelter through information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linkage unit 130 based on the information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 .

이와 같은 대피소 산출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위치 및 재난 종류, 해당 위치가 속하는 지역의 기초 정보를 종합하여 최적화된 대피소를 산출하게 된다.The shelter calculation unit 140 as described above calculates an optimized shelter by synthesizing the user's location and disaster type input from the user interface 110 and basic information of the area to which the location belongs.

대피소 정보 출력부(160)는 산출된 대피소 정보를 위치정보 연계부(130)의 연계에 의해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부터 산출된 대피소까지의 경로 정보와 함께 알람 형식으로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shelter information output unit 160 transmits the calculated shelter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0 in the form of an alarm along with route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to the calculated shelter by the linkag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linkage unit 130 . can provide

이와 같은 재난대응 서버(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지역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해당 지역의 기초 정보를 수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게 최적화된 대피소 정보를 재난 알람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Such a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 obtains basic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area from the local database 200, and provides shelter information optimized to the user terminal 300 with a disaster alarm and can be provided together.

이하에서는 재난 대응 서버(100)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도 2의 재난대응 서버(100)의 전체적인 동작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각 단계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n overall operation flowchart of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of FIG. 2 , and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detailed operations of each step in FIG. 3 .

먼저 재난 대응 서버(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황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고 해당 선택 정보를 읽어들인다(S100).First,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selects situ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 and reads the selection information (S100).

이때, 상황 정보로는 재난 종류 확인, 재난 상황, 대피 영역에 대한 선택 정보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tuation information may be selection information on a disaster type confirmation, a disaster situation, and an evacuation area.

일 예로, 재난대응 서버(100)는 재난 종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S10). For example,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type of disaster (S10).

먼저, 해당 선택 정보가 먼저 폭염인지 한파인지를 구분한다(S11).First, it is discriminated whether the corresponding selection information is a heat wave or a cold wave (S11).

재난 종류가 한파인 경우, 현재 상황이 한파 주의보인지 한파 경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3).When the type of disaster is a cold wav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situation is a cold wave warning or a cold wave warning (S13).

한파주의보로 판단하는 경우는 10월~4월에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이상 하강하여 3℃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아침 최저기온이 -12℃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또는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로 산정 가능하다(S14).A cold wave advisory is one of the following cases from October to April, and when the morning minimum temperature is expected to drop by more than 10ºC from the previous day and to be less than 3ºC and 3ºC lower than the normal value, the morning minimum It can be estimated when the temperature below -12℃ is expected to last for more than 2 days or when serious damage is expected due to a sudden low temperature phenomenon (S14).

한편, 한파경보로 판단하는 경우는 10월~4월에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5℃ 이상 하강하여 3℃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아침 최저기온이 -15℃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이 예상될 때 또는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로 산정 가능하다(S15).On the other hand, a cold wave warning is one of the following cases from October to April, when the morning minimum temperature is expected to drop by more than 15°C from the previous day, to be 3°C or less, and to be 3°C lower than the normal value, It can be estimated when the morning minimum temperature is expected to be below -15℃ for more than 2 days or when serious damage is expected in a wide area due to a sudden low temperature phenomenon (S15).

한편, 선택 정보가 폭염인 경우, 폭염 주의보인지 폭염 경보 상황인지 판단한다.(S12)On the other hand, if the selected information is a heat wave,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a heat warning or a heat warning situation. (S12)

폭염주의보로 판단하는 경우는 일 최고기온 33℃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이고(S16), 폭염경보로 판단하는 경우는 일 최고기온 35℃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이다(S17). 기타로 혹염인 경우, 즉, 일 최고기온 38℃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와 극염, 즉, 일 최고기온 40℃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를 구분할 수 있다. A heat wave warning is when a daily maximum temperature of 33°C or higher is expected to last for more than 2 days (S16), and a heat wave warning is when a daily maximum temperature of 35°C or higher is expected to last for more than 2 days. is (S17). In other words, it can be divided into extreme heat, i.e., when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of 38 °C or higher is expected to last for more than 2 days, and extreme heat, that is, when the state with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of 40 °C or higher is expected to last for more than 2 days.

다음으로, 재난 상황에 대한 선택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S20).Nex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election information for the disaster situation (S20).

이와 같은 재난 상황에 대한 선택 정보는 해당 재난 상황이 결과 수습형인지, 완만 진행형인지 순간증폭형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The selection information for such a disaster situation can distinguish whether the disaster situation is a result-resolving type, a gradual progression type, or an instantaneous amplification type.

즉, 대규모 피해 발생 우려로 일상적 대응보다 훨씬 강화된 조치나 특별한 의사결정이 요구되는 상황인지 판단하는 것으로서, 비상 상황은 진행 양상과 대처내용에 따라 결과수습형, 완만진행형, 순간증폭형으로 구분가능하다.In other words, it is to determine whether a situation that requires much stronger measures or special decision-making than a normal response is required due to the fear of large-scale damage. Do.

결과수습형은 상황 발생 자체가 이미 대규모 피해로 나타난 유형이고(S21), 완만진행형은 상황이 서서히 진행되면서 심각성도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유형이고(S22), 순간 증폭형은 발생 초기에는 저강도 수준이었으나, 대응과정에서 심각한 상황으로 급변하면서 중대재난으로 귀결될 수 있는 유형으로 정의할 수 있다(S23).The result-resolving type is the type in which the occurrence itself has already caused large-scale damage (S21), the gradual progression type is the type in which the severity gradually increases as the situation progresses slowly (S22), and the instantaneous amplification type is at a low intensity level at the beginning of the occurrence, but , it can be defined as a type that can lead to a serious disaster while rapidly changing to a serious situation in the response process (S23).

이와 같이 비상 상황 선택 및 구분이 완료되면(S24), 다음으로 대피 영역의 선택 정보를 판단한다(S30).When the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is completed in this way (S24),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evacuation area is determined next (S30).

이때 대피 영역 선택 정보는 지리요소, 이동 요소, 행정 구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vacuation area selection information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a geographic element, a movement element, and an administrative area.

다음으로, 재난대응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이 위치하는 지역 정보를 수득하고, 해당 지역 정보가 대응하는 지역의 지역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해당 지역에 대한 기초정보를 사용 정보로서 읽어들인다(S200).Next,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obtains area information in which the user terminal 300 is located, and read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area as usage information from the area database 200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information. (S200).

이때, 해당 지역에 대하여 읽어들이는 기초 정보로는 기상정보, 대피소정보, 인구정보, 지역정보, 주요시설정보 및 노약자 수용시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sic information read for the area may include weather information, shelter information, population information, local information, major facility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facilities for accommodating the elderly.

기상정보는 선택된 해당 지역의 기초 기상 정보에 대한 것으로, 현재 시기의 보편적 기상정보 및 현재로부터 며칠 전부터의 기상 정보 및 소정 기간 동안의 예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eather information is for basic weather information of the selected area, and may include universal weather information of the current time, weather information from several days before the present, and forecasts for a predetermined period.

대피소 정보는 운영주체(공공/사설), 규모, 시설, 수용인원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Shelt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entity (public/private), size, facility, number of occupants, and the like.

인구정보는 취약계측, 노약자, 유동인구, 거주인구 수에 대한 분포 정보일 수 있다.The population information may be distributio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vulnerable measurement, the elderly, th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resident population.

지역 정보는 해당 지역에서 인구밀집지역, 취약계측밀집지역, 유동인구밀집지역 등의 구획 정보일 수 있다.The regional information may be division information such as a densely populated area, a weakly measured densely populated area, or a floating population densely populated area in the corresponding area.

주요시설정보는 해당 지역의 시설등급, 또는 기간시설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The main facility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facility grades or infrastructure in the relevant area.

노약자수용시설정보는 노인정, 유치원, 초등학교, 병원 등으로서 주로 대피소로 설정 가능한 시설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accommodation facilities for the elderly may be information on facilities that can mainly be set as shelters, such as senior homes,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hospitals, and the like.

다음으로, 재난대응 서버(100)는 수신된 지역의 기초 정보를 가지고 최적의 대피소를 산출한다(S300).Next,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calculates an optimal shelter based on the received basic information (S300).

이때, 대피소 산출을 위하여 먼저 현재 재난 종류별로 상이한 재난 진행상황의 선택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calculate the shelter,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it is necessary to select a different disaster progress situation for each type of current disaster.

즉, 최악의 경우 대피소로 재난 초기부터 이동하여야 하는 경우인지 판단하며, 일 예로 산불 등과 같이 진행이 빠른 결과 수습형의 경우에 주로 바로 대피소 산출 및 제공이 요구된다.That is, in the worst case,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necessary to move to an evacuation shelter from the initial stage of the disaster, and in the case of a recovery type that proceeds quickly such as a forest fire, for example, calculation and provision of an evacuation shelter are mainly required.

한편, 재난의 진행상황에 따라 요구되는 대응 정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적절한 대피소로 이동하는 것이 올바른 경우, 예를 들어 폭염 또는 한파 등과 같이 완만 진행형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egree of response required may vary depending on the progress of the disaste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moving to an appropriate shelter is correct, for example, whether it is a gentle progression such as a heat wave or a cold wave.

또한, 사용자가 위치하는 구역 내에 대피소를 산출하여야 하므로 해당 지역을 특정하였을 때, 해당 지역에 대한 기초 정보가 맞는지 다시 한번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shelter in the area where the user is located, when the corresponding area is specified, it can be determined once again whether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area is correct.

재난대응 서버(100)는 저장되어 있는 대피소 산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해당 지역 내의 구조물 중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재난 종류 및 재난의 비상 상황에 비추어 최적의 대피소를 산출한다.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calculates an optimal shelter in light of the user's current location among structures in the corresponding area, the type of disaster, and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disaster by performing the stored shelter calculation algorithm.

이때, 재난대응 서버(100)는 위치정보 연계부(130)를 통해 산출된 대피소까지의 경로 정보를 함께 산출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may also calculate route information to the shelter calculat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linker 130 .

재난대응서버(100)는 산출된 대피소 정보 및 경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재난 관련 알람 및 경로 정보를 데이터 처리한다.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stores the calculated shelter information and route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data-processes disaster-related alarms and rout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

재난대응 서버(100)는 대피소 정보 출력부(160)를 통해 무선 통신으로 사용자 단말(300)에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300)은 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대피소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The disaster response server 10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shelter information output unit 160, and 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and displays it, and induces evacuation to the corresponding shelter. can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다.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amples.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Claims (8)

각 지역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지역 데이터베이스;
재난 대응 알람 및 목표 대피소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현재 발생한 재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지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기초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재난 대응 알람 및 상기 목표 대피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재난대응 서버
를 포함하는 지능형 재난대응 시스템.
a plurality of regional databases storing basic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 disaster response alarm and target shelter information; and
Receive selection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disaster,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read the basic information from the local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 the disaster response alarm and target shelter information Disaster response server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n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system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발생한 재난에 대한 선택 정보는 상기 재난이 어떤 재난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재난의 상황이 어느 정도인지 및 상기 대피소를 찾을 영역은 어디인지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재난대응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ly occurring disaster is information on whether the disaster belongs to what kind of disaster, what the disaster situation is, and where the evacuation shelter is loc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의 상황이 어느 정도인지는 상기 재난이 결과 수습형인지, 완만 진행형인지, 순간 증폭형인지 구분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재난대응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l of the disaster situation is selected by distinguishing whether the disaster is a result-resolving type, a slow progress type, or an instantaneous amplification ty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들이는 기초 정보는 상기 지역의 기상 정보, 대피소 정보, 인구 정보, 지역 정보, 주요 시설 정보 및 노약자 수용 시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재난대응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asic information read from the regional database is an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weather information of the region, shelter information, population information, regional information, major facility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facilities for accommodating the elder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대응 서버는
상기 기초 정보와 선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최적화된 상기 목표 대피소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대피소 산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재난대응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and a shelter calculation program for calculating and providing the target shelter optimized for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and the selection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대응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표 대피소까지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재난대응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saster response server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ing the route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target shelter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현재 발생한 재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초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 및 상기 기초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최적화된 대피소를 목표 대피소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대피소 및 재난 대응 알람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 대응 제어 방법.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disaster,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reading basic information from a local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calculating a shelter optimized for the user terminal as a target shelter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and the basic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target shelter and disaster response alarm to the user terminal
Disaster respons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목표 대피소까지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응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Disaster respons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ing the route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target shelter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ogether.
KR1020190152957A 2019-11-26 2019-11-26 The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Integrated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645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957A KR20210064579A (en) 2019-11-26 2019-11-26 The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Integrated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957A KR20210064579A (en) 2019-11-26 2019-11-26 The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Integrated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579A true KR20210064579A (en) 2021-06-03

Family

ID=7639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957A KR20210064579A (en) 2019-11-26 2019-11-26 The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Integrated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457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262B1 (en) * 2021-08-13 2022-09-29 대한민국 Real-time heat and cold wave crisis warning judgment support system and method
KR102571419B1 (en) 2023-03-03 2023-09-01 소프트온넷(주) Disaster response system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lanning and decision-mak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628540B1 (en) * 2023-05-11 2024-01-24 대한민국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message based on movement pattern of user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262B1 (en) * 2021-08-13 2022-09-29 대한민국 Real-time heat and cold wave crisis warning judgment support system and method
KR102571419B1 (en) 2023-03-03 2023-09-01 소프트온넷(주) Disaster response system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lanning and decision-mak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628540B1 (en) * 2023-05-11 2024-01-24 대한민국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message based on movement pattern of user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25276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KR20210064579A (en) The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Integrated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TWI585442B (en) Method and system for refining weather forecasts using point observations
CN111866727B (en)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driver gathering point,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5800540B2 (en) Tsunami evacuation site determination device, tsunami evacuation site determin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24504621A (en) Installing repeaters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networks
KR1023180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Safety using IoT and Bigdata
JP2016144087A (en) Access point position optimization device and method
JP2021047184A (e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o be used in navigation
KR2019004178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using gridding map
JP2003044969A (en) Network system for emergency countermeasure
JP6341773B2 (en) Emergency evacuatio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KR201800453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int of interest based on tile
JP635783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6107944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4805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KR1006711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phone
JP7237700B2 (en) Installation support device fo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stallation support method, and program
KR102643727B1 (en) Method for distributing trouble detection model and apparatus therefor
JP6379272B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JP6205046B1 (en)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3910548B2 (en) Mobile device
JP6275808B2 (en)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3836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961239B2 (en) Posi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