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507A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507A
KR20210064507A KR1020190152678A KR20190152678A KR20210064507A KR 20210064507 A KR20210064507 A KR 20210064507A KR 1020190152678 A KR1020190152678 A KR 1020190152678A KR 20190152678 A KR20190152678 A KR 20190152678A KR 20210064507 A KR20210064507 A KR 20210064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dishwasher
mod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영
김병수
김종호
정다나
류경주
최화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4507A/ko
Publication of KR2021006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28Wash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4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6Steam or steriliz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0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means of an impeller in the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47L15/4242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by using ultraviolet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7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washing water, e.g. turbid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6Arrangements for lifting rack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0Water cloudiness or dirtiness, e.g. turbidity, foaming or level of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0Regulation of machine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 e.g. performing an additional rinsing phase, shortening or stopping of the drying phase, washing at decreased noise operation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4Change machine operation from normal operational mode into special mode, e.g. service mode, resin regeneration mode, sterilizing mode, steam mode, odour eliminating mode or special cleaning mode to clean the hydraulic circu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6Agitation of cleaning liquid by impell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7Sonic or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조를 구획하는 본체부와, 본체부 내부에 수용되고 세척대상을 거치하는 트레이와, 수조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유로와, 수조에서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배수유로와, 수조 내부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진동자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초음파를 제공하는 제1 진동자 및 제2 진동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DISHWASHER AND CONTROLL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수 및/또는 스팀을 분사하여 식기나 조리도구를 세척하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분사암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 및/또는 스팀을 이용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을 세척하는 가전기기이다.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와, 터브 바닥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섬프 내부에 장착된 세척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세척수가 분사암으로 이동되고, 분사암으로 이동된 세척수는 분사암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세척대상의 표면에 부딪혀서, 세척대상에 묻어 있는 오물이 터브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개선된 형태의 식기세척기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713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는 식기선반이 구비된 세척조의 아래에서 식기선반을 향해 세척수를 위로 분사하는 일반세척을 수행한 후에, 오염물이 포함된 세척수를 배수시키고, 세척조에 식기가 잠길 정도로 세척수를 채운 상태에서 초음파을 발진시켜 오염물을 제거하는 특수세척을 수행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단일 주파수의 초음파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오염도 또는 오염입자의 크기에 상관없이 동일한 주파수의 초음파를 이용하여 초음파 세척을 진행해야 한다. 따라서 초음파 세척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필연적으로 일반세척과 특수세척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일반세척이 끝난 후에 세척수를 배수시키고, 다시 세척수를 세척조에 채운 상태에서 특수세척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세척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초음파을 이용하는 특수세척시에 수류를 순환시키기 못하고 정체된 세척수의 상태에서 세척을 진행하기 때문에 초음파 진동으로 제거되지 않는 이물질의 세척에 한계를 가지게 된다.
또한, 세척 후에 자연건조를 시키거나 별도의 건조기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건조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워터 마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척 후에 식기에 습기가 남은 상태로 시간이 지나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크며, 식기세척기 자체에도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1-0077130 A (2001.08.17.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24752 A (2006.03.17. 공개)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초음파 세척을 진행함으로써 오염도 및/또는 오염입자의 크기에 따라 초음파 세정 모드를 달리 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수류를 이용하는 물리 세척방식과 초음파를 이용하는 초음파 세척방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조의 상부에서 세척수를 급수하고, 수조의 하부에서 상승 수류를 제공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세척이 끝나고 배수가 된 후에, 건조 과정과 살균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조를 구획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수용되고 세척대상을 거치하는 트레이; 상기 수조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유로; 상기 수조에서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배수유로; 및 상기 수조 내부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초음파를 제공하는 제1 진동자 및 제2 진동자를 포함하여 오염 정도에 따라 제공되는 초음파의 세기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수조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수류순환날개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승 수류를 제공하여 물리 세척효율을 높이고, 초음파 세척으로 제거되지 않는 오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수류를 순환함으로써 오염물이 세척대상이 재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세척대상이 잠길 정도로 세척수를 공급한 상태에서, 상기 수류순환날개를 동작하여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수류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진동자를 이용하여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초음파를 제공하여 상기 세척대상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자는 상기 수류순환날개의 주위에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를 포함하여 세척대상의 위치에 상관없이 초음파를 전달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진동자는 상기 수조의 어느 하나의 대각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수조의 다른 대각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을 포함하여 세척대상의 위치에 상관없이 초음파를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류순환날개의 위를 덮는 수류순환커버를 더 포함하여 수류순환날개를 보호하고 오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류순환커버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홀과, 상기 수류순환날개가 밀어내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홀을 형성하여 상승 수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입홀은 상기 수류순환커버의 중앙부에 장공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수류순환커버의 외곽부에 노즐 형태로 마련되어 수류 순환 효율을 높이고 배출 수류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입홀은 상기 수류순환커버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이 방사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유입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바닥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류순환날개가 밀어내는 세척수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트레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트레이는 바닥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자의 초음파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트레이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대상의 오염도 및/또는 오염입자의 크기를 감지하는 오염도 검출센서를 더 포함하여, 오염 정보에 따라 진동자의 주파수를 달리 정할 수 있어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유로의 일 측에서 분기되고 상기 급수유로에 합류하는 순환유로; 상기 수조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및 상기 수조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장치를 더 포함하여,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고, 세척과 건조와 살균 기능을 하나의 장치 내에서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수조의 바닥면 또는 내측면에 마련되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본체부는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팝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부는 세척이 종료되고 상기 트레이를 밀어 올리도록 마련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세척이 끝났음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팝업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팬(fan)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부는 상기 팬 장치의 기류를 상기 수조 내부로 제공하는 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팝업부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팬 구멍이 상기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수밀되고, 상기 팝업부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팬 구멍이 상기 수조에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트레이의 하부에서 건조 공기를 제공하여 대류 현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장치는 자외선(UV) 발생장치 또는 위생 조명을 포함하여 세척대상 및 식기세척기 내부의 세균을 박멸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바닥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트레이가 본체부의 수조에 수용된 상태에서 본체부에 마련되는 급수구멍을 통해 세척수를 유입하고, 오염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세척대상의 오염도 및/또는 오염입자의 크기를 감지하고, 상기 오염도 검출 센서의 정보를 통해 기준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조에 마련되고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진동자를 이용하여 상기 수조 내부에 초음파을 발생시켜 제1 세척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오염도 검출 센서의 정보를 통해 기준값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조에 마련되고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진동자를 이용하여 상기 수조 내부에 초음파을 발생시켜 제2 세척 모드를 실행하여, 오염 정보에 따른 능동적인 초음파 세척이 가능하고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세척 모드 또는 상기 제2 세척 모드가 종료되면, 열선 또는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건조 모드가 종료되면, 자외선(UV) 발생장치 또는 위생 조명을 이용하여 살균 모드를 실행하여,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고, 세척과 건조와 살균 기능을 하나의 장치 내에서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세척 모드 또는 상기 제2 세척 모드는 세척수가 상기 수조 내에 일정 수위 이상 제공되는 경우에 실행되고,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수류순환날개를 동작하여 수류를 순환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 진동자 또는 상기 제2 진동자를 동작시킴으로써, 상승 수류를 제공하여 물리 세척효율을 높이고, 초음파 세척으로 제거되지 않는 오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수류를 순환함으로써 오염물이 세척대상이 재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은 서로 다른 파장의 초음파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오염도에 따라 최적의 초음파 세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수조의 바닥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수류순환날개의 주위에 90도의 간격으로 서로 다른 파장의 초음파를 제공하는 제1 및 제2 진동자를 배치하되, 서로 마주보는 대각 방향으로 동일한 초음파을 제공하는 진동자를 배치함으로써, 수조 내에 초음파가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수류를 이용하는 물리 세척방식과 초음파를 이용하는 초음파 세척방식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고 세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세척수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수조의 상부에서 세척수를 급수하고, 수조의 하부에서 상승 수류와 초음파를 제공함으로써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척 모드, 건조 모드 및 살균 모드의 일련의 과정을 하나의 장치 내에서 순차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건조 과정에서 워터 마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건조 후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체부의 측면 상부에 장공 형태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급수와 배수를 모두 수행함으로써 최고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수조 내부의 세척수 일부를 유입하여 다시 급수부로 순환시킴으로써 세척수가 정체되지 않고 부유하는 오염물이 세척대상에 재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수류순환날개를 덮는 수류순환커버에 유입홀과 배출홀을 형성함으로써 세척수의 순환을 용이하게 하고 배출홀에서 고압의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여 물리 세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트레이의 바닥망에 형성된 거치핀에 세척대상을 기울여 거치시킴으로써 에어포켓이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고, 누름망을 이용하여 눌러줌으로써 세척대상이 전복되거나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거치핀은 길이 가변이 가능한 가변핀을 포함하여 길이가 긴 컵이나 텀플러 등이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누름망은 트레이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세척대상이 다양한 부피와 높이를 가지는 경우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열선 또는 팬 히터를 이용하여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워터 마크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척 모드가 끝난 후에 트레이가 팝업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현재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팝업부에서 열풍을 제공함으로써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버에 형성되는 손잡이에 열풍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어 건조 과정에서 습기를 머금은 열풍을 대기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트레이가 팝업되는 동시에 식기세척기 외부로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구가 돌출되도록 가변 타입으로 마련되어, 배수시에 세척수가 바닥에 튀는 등이 이유로 식기세척기 외부가 오염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싱크대의 배수홀에 가까운 위치에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싱크대의 오염 범위를 줄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길이가 가변되는 거치프레임을 사용하여 식기세척기 본체를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폭의 싱크대에 맞게 지지할 수 있고, 거치프레임의 보관 시에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노이즈 캔슬링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진동자 및 수류순환날개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노이즈 캔슬링 유닛을 수조 바닥부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4 개의 진동자에 대해 일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진동자 사이에 배치시킴으로써 소음 저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색상의 라이팅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투명 또는 반투명 커버를 통해 직관적으로 현재 진행 모드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살균 모드에 위생 조명을 사용하는 경우, 색상 필터를 추가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투명 또는 반투명 커버를 통해 직관적으로 현재 진행 모드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식기세척기와 연동되어 모드 설정이 가능하고, 진행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식기세척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식기세척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순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트레이를 분리한 상태에서 급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트레이를 결합한 상태에서 급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급수부를 통해 수조에 세척수가 채워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체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수류순환커버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초음파 세척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가변핀이 연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누름망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수조 바닥에 열선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체부 상부에 살균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건조가 끝난 후 트레이가 팝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8 (a)는 트레이가 팝업되기 전의 본체부 상태를, 도 18 (b)는 트레이가 팝업된 후의 본체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건조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0은 커버의 열풍 배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가변 배수구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22는 본체부 측면에 팬히터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노이즈 캔슬링 유닛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입력표시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라이트의 색상을 이용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식기세척기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 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들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8은 식기세척기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9 내지 도 41은 식기세척기의 사용상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9와 도 30은 헹굼 세척모드 선택시 어플리케이션 동작 모습을, 도 31 내지 30은 빠른 세척모드 선택시 어플리케이션 동작 모습을, 도 34 내지 34는 표준 세척모드 선택시 어플리케이션 동작 모습을, 도 38 내지 도 41은 강력 세척모드 선택시 어플리케이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discloser)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명세서(discloser)의 용어는 document, specification, description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식기세척기(1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싱크대(sink)(10) 내부에 수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식기세척기(100)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싱크대 외부의 테이블(11) 위에 놓일 수도 있고, 싱크대(10) 내부에 수용되어 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식기세척기(100)는 본체부(110) 외측으로 돌출되는 거치프레임(190)을 통해 싱크대(10) 주위의 상부면(12)에 걸쳐져 거치될 수 있다. 이 때, 식기세척기(100)의 저면은 싱크대(10)의 바닥면(13)과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설거지를 하는 경우, 싱크대(10) 내부에 고여 있는 물과 오물이 식기세척기(100)의 저면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식기세척기(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조(111)를 형성하는 본체부(110)와 수조(111)에 수용되고 식기, 컵 또는 과일 등 세척대상을 거치시키는 트레이(tray)(160)와, 트레이(160)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망(170)과, 본체부(110)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커버(180)와, 본체부(110)의 외측에 결합되고 본체부(1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싱크대(10) 상부면(12)에 걸쳐지는 거치프레임(1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와 트레이(160)는 상부가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본체부(110)는 내부에 세척수가 채워지는 수조(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160)는 본체부(110)의 개구로 삽입되어 수조(111) 내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 밖에 본체부(110)와 트레이(160)의 형상은 원형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고, 본체부(110)와 트레이(160)의 형상이 달리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형 본체부(110) 내부에 다각 형상의 트레이(160)가 수용될 수도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세척 방식은 크게 2개로 분류할 수 있다. 세척수를 노즐(123)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하는 노즐 분사식 세척방식과 "공개특허 10-2006-0024752(2006.03.17)"와 같이, 식기 등 세척대상이 담긴 세척부에 초음파를 발생시켜 식기 또는 과일 표면에 부착된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 초음파 세척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방식은 껍질이 얇거나 단단하지 못한 야채나 과일 등의 재료를 세척할 시 부서지거나 표면이 상하는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식기 또는 컵 등의 재료를 세척하는 경우 미세한 홈이나 컵의 손잡이 연결부와 같은 곳까지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노즐 분사식 세척방식과 초음파 세척방식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세척대상의 종류와 오염의 정도에 따라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초음파 세척방식만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노즐 분사식 세척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여 본 명세서의 개시범위에 벗어나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노즐 분사식 세척방식과 초음파 세척방식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노즐 분사식 세척방식 또는 초음파 세척방식을 단일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이들 세척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세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식기세척기(100)의 세척수 순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는 세척수를 순환시켜 사용함으로써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척수 순환시스템을 구비한다.
세척수 순환시스템은 급수유로(120)와 배수유로(130), 그리고 배수된 세척수를 순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순환유로(13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유로(130)는 본체부(110)의 바닥면(112)에서 배수시키는 제1 배수유로(131)와, 본체부(110)의 측면(114: 114a, 114b)에서 배수시키는 제2 배수유로(132)를 포함한다.
제1 배수유로(131)는 세척시 수조(111)에 차 있는 세척수의 일부를 배수시켜 순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배수유로(131)를 통해 배수되는 세척수는 순환유로(133)를 통해 다시 급수유로(120)로 유입되어 수조(111) 내로 재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배수유로(131)는 세척이 끝난 후에 수조(111) 내의 세척수를 싱크대(10) 또는 별도의 배수통(미도시)에 배수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별도의 배수통(미도시)은 식기세척기(10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배수유로(131)는 제1 개폐밸브(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폐밸브(131a)는 개방 및 폐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1 개폐밸브(131a)는 기본 상태가 닫혀 있는 상태로 마련되고, 순환이 필요한 경우나 헹굼이 끝나고 배수가 필요한 경우에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배수유로(132)는 세척수가 허용 수위를 넘는 만수시 수조(111) 내의 세척수를 배수시켜 세척수가 식기세척기(100)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배수유로(132)를 통해 배수되는 세척수는 순환유로(133)에 연결되어 다시 급수될 수 있다. 제2 배수유로(132)는 본체부(110)의 내측벽(113a)과 외측벽(113b) 사이의 공간에 연통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내측벽(113a) 상부에 마련되는 배수구멍(116)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는 내측벽(113a)과 외측벽(113b) 사이에 저장되고, 제2 배수유로(132)를 통해 순환유로(133)나 제1 배수유로(131)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내측벽(113a) 상부에 마련되는 배수구멍(116)은 최대 허용 수위에 대응하는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 배수구멍(116)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으로 마련되어 배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급수유로(120)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될 때 중단되지 않고 계속하여 급수되거나 부피가 큰 세척대상이 투입됨으로써 세척수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최대 허용 수위를 넘는 세척수들은 배수구멍(116)을 통해 배수됨으로써 세척수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배수유로(132)는 제2 개폐밸브(13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폐밸브(132a)는 개방 및 폐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2 개폐밸브(132a)는 기본 상태가 닫혀 있는 상태로 마련되고, 순환이 필요한 경우에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순환유로(133)는 일 측이 배수유로(130)에 연결되고 타 측이 급수유로(120)에 연결되어 배수된 세척수를 급수유로(120)에 재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유로(133) 또는 급수유로(120)에는 모터 펌프(134)가 설치될 수 있다. 순환유로(133)에 연결되는 모터 펌프(134)는 배수된 세척수를 가압하여 급수유로(120)에 공급하고, 급수유로(120)에 연결되는 모터 펌프(134)는 공급된 세척수를 가압하여 노즐(123)에 공급할 수 있다.
순환유로(133)는 제3 개폐밸브(13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개폐밸브(133a)는 개방 및 폐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3 개폐밸브(133a)는 기본 상태가 닫혀 있는 상태로 마련되고, 순환이 필요한 경우에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유로(120)의 일 측은 외부 호스에 연결되는 공급라인(121)에 연결되거나 순환유로(133)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유로(120)의 타 측은 수조(111) 내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123)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유로(120)는 제4 개폐밸브(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개폐밸브(120a)는 개방 및 폐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4 개폐밸브(120a)는 기본 상태가 닫혀 있는 상태로 마련되고, 급수가 필요한 경우에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급라인(121)은 급수연결부(124)를 통해 외부 호스(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라인(121)은 제5 개폐밸브(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개폐밸브(121a)는 개방 및 폐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5 개폐밸브(121a)는 기본 상태가 닫혀 있는 상태로 마련되고, 급수가 필요한 경우에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유로(120)는 세척수를 가압한 상태로 노즐(123)을 통해 분사시킬 수 있는 모터 펌프(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급수유로(120)의 모터 펌프(134)와 순환유로(133)의 모터 펌프는 하나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유로(120)는 고온의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해 급수히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히터(135)는 급수유로(120)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는 전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트레이(160)를 분리한 상태에서 급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트레이(160)를 결합한 상태에서 급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급수부를 통해 수조(111)에 세척수가 채워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급수부는 급수라인(122)과 급수라인(122)에 연결되는 노즐(123)과,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급수구멍(115)을 포함한다.
급수유로(120)는 본체부(110)의 양 측부로 분기되는 급수라인(122)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급수라인(122)에는 복수의 노즐(123)이 결합되어 세척수를 수조(111) 안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 때, 노즐(123)의 출구 압력을 높게 설정하고, 노즐(123)의 분사 방향을 세척대상 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세척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물리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노즐(123)의 출구 압력을 낮게 설정하고, 노즐(123)의 분사 방향을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시키면 세척대상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급수를 진행할 수 있다. 또는, 노즐(123)의 출구 압력 및/또는 방향을 가변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는, 노즐(123)이 서로 다른 출구 압력 및/또는 방향을 가지는 제1 노즐 및 제2 노즐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제1 노즐 또는 제2 노즐을 사용하여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방향 측면(114a)과 양 측의 제1 방향 측면(114a)을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방향 측면(114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는 내측벽(113a)과 외측벽(113b)을 포함하는 이중벽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벽(113a)과 외측벽(113b)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되고, 급수라인(122)은 내측벽(113a)과 외측벽(113b)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내측면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구멍(115)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구멍(115)은 노즐(12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급수구멍(115)은 본체부(110)의 측면(114)의 상부에 위치하고 슬릿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구멍(115)의 개구된 공간으로 노즐(123)이 노출되고, 노즐(123)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급수구멍(115)을 통해 수조(111)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123)은 단부가 본체부(110)의 내측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위치할 수 있다. 노즐(123)이 본체부(110)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경우 트레이(160)의 진출입 시에 파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급수연결부(124)와 공급라인(121)은 제2 방향 측면(114b)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공급라인(121)에 연결되는 급수라인(122)은 본체부(110)의 제2 방향 측면(114b)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급수연결부(124)에 연결되고, 급수연결부(124)가 형성되는 제2 방향 측면(114b)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 측면(114b)의 양 측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방향 측면(114a)으로 각각 절곡 연장되어 "ㄷ"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연결부(124)는 외부 호스(미도시)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급수연결부(124)의 근방에는 전원연결부(125)가 마련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125)는 외부 콘센트(미도시)가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도면과 달리 급수연결부(124)와 전원연결부(125)가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급수라인(122)은 수조(111) 내부로 급수연결부(124)에서 제공되는 급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123)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123)은 양 측의 제1 방향 측면(114a)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라인(122)을 따라 복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노즐(123)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노즐(123)은 제1 방향 측면(114a)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주변부에 넓은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배치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트레이(16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세척대상의 밀도가 높기 때문이다.
또는, 복수의 노즐(123)은 제1 방향 측면(114a)의 폭 방향의 중앙부와 이에 인접하는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세척수가 수조(111)의 중앙에 높은 유량으로 제공되고 수조(111)의 외곽에 낮은 유량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노즐(123)은 서로 유속이 다른 제1 노즐과 제2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즐과 제2 노즐은 동일한 급수라인(122)에 연통될 수 있고, 제1 노즐이 연통되는 제1 급수라인(122)과 제2 노즐이 연통되는 제2 급수라인(122)이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노즐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마련되고, 제1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유속이 느리고 유량이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즐을 통해 짧은 시간 내에 수조(111) 내에 세척수를 채울 수 있다.
그리고 제2 노즐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마련되고, 제2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유속이 빠르고 유량이 작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노즐을 통해 트레이(160) 내의 세척대상에 물리 세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노즐은 제2 방향 측면(114b)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 측면(114b)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노즐은 세척대상의 상부를 물리 세정하고, 제2 방향 측면(114b)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노즐은 세척대상의 하부를 물리 세정할 수 있다.
또는, 노즐(123)은 서로 높이가 다른 제1 노즐과 제2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즐과 제2 노즐은 동일한 급수라인(122)에 연통될 수 있고, 제1 노즐이 연통되는 제1 급수라인(122)과 제2 노즐이 연통되는 제2 급수라인(122)이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노즐은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고, 제1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수조(111)에 세척수를 채우기 시작하는 때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제1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트레이(160)의 하부에 수용되는 세척대상에 물리세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노즐은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고, 제2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수조(111)에 단긴 세척수의 수위가 제1 노즐 근방에 위치하거나 제1 노즐이 수위에 잠긴 때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제2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트레이(160)의 상부에 수용되는 세척대상에 물리세정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노즐(123)은 분사되는 세척수의 종류가 다른 제1 노즐과 제2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즐이 연통되는 제1 급수라인(122)과 제2 노즐이 연통되는 제2 급수라인(122)이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급수라인(122)은 세정시에 사용되는 유체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급수라인(122)은 헹굼시에 사용되는 유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급수라인(122)은 세제통과 연결되어 세제를 포함하는 유체를 수조(111)에 제공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세척수가 허용 수위를 넘는 만수시 수조(111) 내의 세척수가 배수되는 배수구멍(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구멍(116)은 본체부(110)의 측면(114) 상부에 마련되어 세척수의 만수시에 세척수가 배수구멍(116)을 통해 배수되어 본체부(110 밖으로 넘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배수구멍(116)은 본체부(110) 내측벽(113a) 상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으로 마련되어 배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수구멍(116)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는 본체부(110)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에 연통되는 제2 배수유로(132)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수유로(132)는 순환유로(133)로 연결되고, 순환유로(133)는 급수유로(120)로 연결된다. 즉, 제2 배수유로(132)로 배수된 세척수는 급수유로(120)로 순환되어 수조(111) 내로 재급수될 수 있다.
도 8은 본체부(110)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에서 수류순환커버(141)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수조(111)의 바닥면(112)에는 수류순환날개(140)와 초음파를 생성하는 진동자(150)가 마련될 수 있다.
수류순환날개(140)는 수조(111)의 바닥면(112) 아래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140b, 도 4 참조)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수류순환날개(140)는 임펠러(impeller)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순환날개(140)는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3개의 날개가 회전축(140a)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고, 모터(140b)의 구동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수조(111)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를 교반시키는 동시에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순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류순환날개(140)는 급수유로(120)에서 급수된 세척수가 정체되면서 세척대상에서 분리된 오염물이 다시 세척대상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류순환날개(140)의 회전하는 임펠러의 중앙부에는 음압이 형성되어 주위의 세척수가 유입된다. 그리고 임펠러의 주변부에서는 유입된 세척수가 가압하여 분사된다. 이처럼 수류순환날개(140)를 통해 세척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오염물이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류순환날개(140)는 임펠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세척수를 고압으로 밀어냄으로써 식기 또는 과일 등의 틈 사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순환날개(140)가 회전하면서 임펠러 외측 부분이 세척수를 고압으로 밀어낸다. 상대적으로 수류순환날개(140)의 중앙부는 저압 상태가 되어 수조(111) 내부의 세척수를 유입한다. 이처럼 수류순환날개(140)의 중앙부로 수조(111) 내부의 세척수가 유입되고, 수류순환날개(140)의 주변부로 고압의 세척수가 재분사되면서 세척수의 교반 및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류순환날개(140)는 원형 형상의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위에 돌출되는 날개가 동시에 또는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회전축(140a)과 이에 연결되는 날개만이 회전할 수도 있다.
수류순환커버(141)는 수류순환날개(140) 위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수류순환커버(141)는 수조(111)의 바닥면(112)에 탈찰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수류순환커버(141)는 수류순환날개(140)의 회전축(140a)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수류순환날개(140)의 회전축(140a)은 고정축 주위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임펠러 중심축이 회전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축은 임펠러 중심축 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수류순환커버(141)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결합부(144)는 수류순환날개(140)의 고정축에 탈찰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수류순환커버(141)는 수류순환날개(140)의 회전에 독립적으로 마련되므로, 수류순환커버(141)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수류순환커버(141)는 유입홀(142)과 배출홀(143)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수류순환커버(141)의 중앙부에 세척수가 흡입되는 유입홀(142)이 형성되고, 수류순환커버(141)의 주변부에 유입된 세척수가 분사되는 배출홀(143)이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류순환날개(140)의 중심부는 상대적으로 저압이 발생하여 수조(111) 내부의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수류순환날개(140)의 주변부는 고속의 임펠러에 의해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될 수 있다.
유입홀(142)은 수류순환커버(14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일 수 있다. 또는, 유입홀(142)은 수류순환커버(141)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호 형상일 수 있다. 또는, 유입홀(142)은 원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형 형상의 수류순환커버(141)는 수류순환날개(140)의 중심축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제1 유입홀이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의 제2 유입홀이 방사 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배출홀(143)은 수류순환커버(141)의 주변부에 노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순환커버(141)의 외측 모서리부에 작은 직경의 개구를 가지는 배출홀(143)이 원주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홀(143)은 노즐 형태로 마련되기 때문에 수류순환날개(140)가 밀어내는 세척수는 배출홀(143)을 통과하면서 고압 상태로 수조(111)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배출홀(143)을 통해 배출되는 고압의 세척수는 수조(111) 내부의 세척수에 교반 작용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식기 또는 과일 등의 틈 사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바닥면(112) 하부에는 별도의 모터펌프(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면(112)의 중앙부에는 순환 배수유로(미도시)가 마련되고 바닥면(112)의 외곽부에는 순환 급수유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순환 배수유로(미도시)로 유입된 세척수는 모터펌프(미도시)의 동력에 의해 순환 급수유로(미도시)로 가압되어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수류순환날개(140)와 모터펌프가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류순환날개(140)의 중심부에는 순환 배수유로(미도시)가 마련되고 수류순환날개(140)의 주변부에는 순환 급수유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순환 배수유로(미도시)로 유입된 세척수는 모터펌프(미도시)의 동력에 의해 순환 급수유로(미도시)로 가압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모터펌프(미도시)의 압력과 수류순환날개(140)의 회전력에 의해 강력한 세척수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모터펌프 없이 수류순환날개(140)에 순환 급수유로(미도시)와 순환 배수유로(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수류순환날개(14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순환 배수유로(미도시)로 흡입된 세척수는 수류순환날개(140)의 원심력에 의해 수류순환날개(140)의 주변부에 형성되는 순환 급수유로(미도시)로 이동하여 다시 수조(111) 내로 순환 배출될 수 있다.
수류순환날개(140) 및/또는 모터펌프(미도시)를 사용하여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동시에 고압으로 제공함으로써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세척대상 틈 사이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진동자(150)는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에 뭍은 오물을 떨어뜨릴 수 있는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자(150)는 일 방향 이상으로 진동하면서 수조(111)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에 미세 진동을 발생시키고,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에 의해 오물을 해리시키거나 분산시켜 세척대상을 세정한다. 여기서, 캐비테이션 효과는 초음파에 의해 세척수에 미소한 공동(cavity)이 만들어지고, 공동에 의해 만들어진 거품 또는 미세기포가 파괴되면서 오염물에 물리력을 제공하는 현상을 뜻한다.
이러한 캐비테이션 현상에 의해 미세기포가 생성 및 소멸을 반복할 때, 매우 큰 압력과 고온이 동반되므로, 수중에 세척대상이 담겨있는 상태라면 고온고압의 세척수가 피세척물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초음파는 진동수가 높고 파장도 극히 짧아서 빛과 마찬가지로 직진하는 강한 성질을 가지므로, 초음파가 세척수를 통해 전달되면서 세척대상의 표면이나 틈에 끼여 있는 오염물을 떨어뜨릴 수 있다.
진동자(150)는 발진기와 트랜듀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진기는 정현파 형태 등의 발진용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트랜듀서에 인가시키고, 트랜듀서는 발진신호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자(15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는 발긴기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의 전류 혹은 전압의 주파수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발진기는 발진용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는 VCO 발진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진동자(150)는 오염물질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나의 진동자(150)가 초음파의 주파수를 달리하여 발생시키는 실시예와 서로 다른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제1 진동자(151)와 제2 진동자(152)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다 다양한 크기의 입자를 갖는 세척물들에 대한 균등한 세척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정재파 현상 등의 단일 초음파에 의한 세척 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150)는 상대적으로 큰 오염물질에 대해 효율적인 세정 효과를 나타내는 28khz의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1 진동자(151)와, 상대적으로 작은 오염물질에 대해 효율적인 세정 효과를 나타내는 40khz의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2 진동자(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진동자(150)의 주파수의 크기는 달리 정할 수 있으며, 주파수는 3개 이상의 주파수 범위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동일한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150)는 수조(111) 바닥면(112)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수조(111) 내에 균일한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조(111)의 바닥면(112)에는 2개의 제1 진동자(151)와 2개의 제2 진동자(152)가 마련될 수 있고, 4개의 진동자(150)는 사각 형태의 바닥면(112) 모서리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진동자(150)들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복수의 진동자(150)가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트랜듀서는 양호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은 존재하나,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최고 출력을 낼 수 있는 공진주파수 지점은 트랜듀서 각각의 상태, 특성 및 수조(111) 내부의 상태에 따라서 가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자(150) 각각은 수조(111)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세척수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진동을 상기 유체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체와 연속적으로 접해 있는 상태에서 수조(111) 내부의 상태, 예를 들어 세척수의 무게가 변동하거나 혹은 세척대상의 물리적 형태가 변동하는 경우에는 진동자(150)의 각각의 트랜듀서는 최고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공진주파수를 미세하게 변동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자(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11)의 바닥면(112)에 제공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수조(111)의 내측면 또는 커버(180)의 하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처럼 진동자(150)는 수조(111) 내부에 초음파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에 자유롭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진동자(150)는 수조(111)의 바닥면(112), 수조(111)의 내측면 및 커버(180)의 하부 중 어느 둘 이상에 동시에 제공되어 세정대상의 다양한 방향으로 초음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00)는 진동자(150)의 초음파를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자(150)가 수조(111)의 바닥면(112)에 제공되는 경우, 반사부재(미도시)는 수조(111)의 내측면 및 커버(180)의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처럼 반사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세척대상의 다양한 방향으로 초음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00)는 수조(111)에 담긴 세척대상의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오염도 검출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염도 검출센서(미도시)는 동일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특허공보 10-0556780호(2006년 3월 10일 공고)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오염도 검출센서는 샘플링유로의 내부를 유동하는 세척수의 오염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오염도 검출센서는 광이 방사되는 발광부와, 발광부와 일정 감지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어 발광부로부터 방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111) 내 세척수의 일부는 샘플링유로 내로 유입되고, 발광부에서 방사된 광은 샘플링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를 투과하여 수광부에 수광되고, 수광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오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식기세척기(100)는 오염도 검출센서의 정보에 따라 진동자(150)의 주파수 대역를 달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도 검출센서에서 수조(111) 내에 상대적으로 큰 오염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진동자(150)는 28khz의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1 진동자(151)를 구동시키고, 오염도 검출센서에서 수조(111) 내에 상대적으로 작은 오염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진동자(150)는 40khz의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2 진동자(15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자(150)의 주파수 대역이 가변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오염도 검출센서의 오염도의 판단 정도에 따라 진동자(150)에서 발생하는 초음파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진동자(151)와 제2 진동자(152)를 동시에 동작하여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1은 초음파 세척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조(111) 내에 세척수와 세척대상이 담긴 상태에서 진동자(150)에서 제공되는 초음파(W1)가 세척수에 파동을 전달하면서 세척대상에 뭍은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수류순환날개(140)가 회전하면서 수류(W2)를 제공하여 세척수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물리 세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본체부(110)의 중앙에 위치하는 수류순환날개(140)가 수조(111)의 중앙부에 수류(W2)를 제공하고, 본체부(110)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진동자(150)가 수조(111)의 외곽부에 초음파(W1)를 제공함으로써 세척대상이 수조(111) 내에 어디에 위치하는지 상관없이 세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00)는 수조(111)에 채워진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 검출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검출센서(미도시)는 최고 허용 수위와 최저 허용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세척수의 수위가 최고 혀용 수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급수를 중지시키고, 세척수의 수위가 최저 허용 수위 아래인 것으로 감지되면 추가 급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트레이(16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트레이(160)는 세척대상이 담긴 상태에서 수조(111) 내부에 수용되거나 수조(111)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세척대상이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시 본체부(11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트레이(160) 내부로 유입되거나, 배수시 트레이(160) 내부의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측면에 급배수홀(161a)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160)의 저면은 본체부(110)의 바닥면(112)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160)의 저면은 수류순환커버(14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160)가 본체부(110)의 바닥면(112) 및 수류순환커버(141)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세척수의 순환이 원할해지고 바닥면(112)에 가라앉은 오염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세척대상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이(160)는 모서리 또는 꼭지점에는 다리부가 위치할 수 있다. 다리부는 트레이(160)의 저면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부는 트레이(160)의 네 모서리에 각각 마련되고 본체부(110)의 바닥면(112)에 지지될 수 있다.
또는, 트레이(16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걸리는 구조를 채택하여 본체부(110)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160)는 상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본체부(110)는 상단부 내측면에 트레이(160)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160)가 본체부(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트레이(160)의 저면은 본체부(110)의 바닥면(112)과 수류순환커버(14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160)의 바닥면은 메쉬 형태로 마련되거나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트레이(160)의 바닥면은 개구된 상태로 마련되고 메쉬 형태의 바닥망(163)이 거치될 수 있다.
트레이(160)는 세척대상을 수용하는 용적을 구획하는 측면을 포함한다. 트레이(160)의 상부면은 세척대상을 투입 및 반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다. 그리고 트레이(160)의 하부면은 수류순환을 허용하고 초음파가 전달될 수 있도록 개구된다. 다만, 트레이(160)의 하부면에는 메쉬 구조의 바닥망(163)이 거치될 수 있어 세척대상을 지지하면서도 수류 및 초음파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트레이(160)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마련되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방향 측면(161)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방향 측면(1622)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160)의 제1 방향 측면(161)에는 세척수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급배수홀(161a)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방향 측면(161)은 세척대상의 측부를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급배수홀(161a)의 크기 및 형상은 세척대상이 이탈하지 않는 정도의 크기 및 형상으로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향 측면(114a)의 급배수홀(161a)을 통해 급수라인(122)의 노즐(123)이 노출될 수 있다. 즉, 급배수홀(161a)은 급수라인(122)의 노즐(1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라인(122)의 노즐(123)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가 급배수홀(161a)을 통과하여 수조(111) 내부에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향 측면(161)의 급배수홀(161a)은 좁은 폭을 가지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급배수홀(161a)은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배수홀(161a)의 상부 공간을 통해 통해 급수라인(122)의 노즐(123)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트레이(1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 단계가 종료되고 건조를 위해 세척수를 배수시킬 때, 트레이(160)의 제1 방향 측면(161)에 형성되는 급배수홀(161a)을 통해 트레이(160) 안의 세척수가 배수될 수 있다. 이 때, 급배수홀(161a)이 위아래로 연장되는 장공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배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트레이(160)에 급배수홀(161a)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급수홀과 배수홀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160)의 제1 방향 측면(161) 상부에는 급수홀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배수홀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트레이(160)의 제1 방향 측면(161) 상부에는 급수홀이 형성되고, 제2 방향 측면(162)에는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160)의 저면은 개구되도록 마련되고, 개구된 공간에는 바닥망(163)이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160)의 측면(161, 162)의 내측 하부에는 바닥망(163)을 지지할 수 있는 내측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160)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내측 방향으로 플랜지가 형성되고, 바닥망(163)의 모서리는 트레이(160)의 내측 플랜지에 지지될 수 있다.
바닥망(163)은 격자형 구조, 망 구조 또는 메쉬 구조 등 다수의 개구가 포함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바닥망(163)의 개구를 통해 세척수가 연통되고 초음파가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방은 트레이(160)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트레이(160)의 저면과 바닥망(163)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160)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통해 세척수가 이동되고 초음파가 전달될 수 있다.
바닥망(163)은 세척대상을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핀(164)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핀(164)은 격자형 바닥망(163)의 교차지점에서 위로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핀(164)의 상부는 세척대상의 긁힘을 방지하기 위해 라운드처리 될 수 있다.
거치핀(164)은 세척대상에 에어포켓이 생겨 세척이 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오목한 부분의 깊이가 깊은 세척대상이 엎어져서 거치되는 경우 세척수가 차오르면서 세척대상의 오목한 부분에 에어포켓이 생성될 수 있다. 에어포켓이 세척대상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면 에어포켓이 생성된 위치에는 세척수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세척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세척대상이 평평하게 엎어지는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세척대상이 기울어져서 엎어지는 경우에는 에어포켓이 이동하면서 세척대상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세척대상의 폭 보다 좁은 간격으로 거치핀(164)들을 배치함으로써 세척대상을 기울인 상태로 거치할 수 있다. 어느 하나 이상의 거치핀(164)과 인접하는 바닥망(163)에 세척대상의 일 측을 기대고, 다른 하나 이상의 거치핀(164)에 세척대상의 타 측을 기대어 적재할 수 있다. 이처럼 세척대상이 기울인 상태로 거치됨으로써 에어포켓이 형성되지 않고, 또한 에어포켓에 의해 세척대상이 전복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망(163)과 거치핀(164)은 위생과 내구성 등의 이유로 SUS(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망(163)과 거치핀(164)은 일체로 마련되거나, 거치핀(164)이 바닥망(163)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거치핀(164)이 바닥망(163)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거치되는 세척대상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거치핀(164)의 위치를 달리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핀(164)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거치핀(164)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유리 등 깨지기 쉬운 세척대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거치핀(164)은 고정핀(164a)과 가변핀(164b)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164a)은 길이가 고정되고, 가변핀(164b)은 길이가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핀(164a)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2개의 교차지점 마다(2X2)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가변핀(164b)은 일부 고정핀(164a)의 위치에 대신하여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서 가변핀(164b)이 연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변핀(164b)은 바닥망(163)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 내부에 수용되고 위아래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는 가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부는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에 하부가 결합되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가변부는 상단에 가이드 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상부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걸림턱은 고정부의 상단에 지지되어 가변부가 고정부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걸림턱은 라운드 처리되어 세척대상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부는 하단부에 고정부의 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거지는 하부 걸림턱(미도시)이 마련되어, 가변부가 위로 이동한 상태에서 하부 걸림턱(미도시)이 고정부의 상단 하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부가 고정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2단 구조의 가변핀(164b)을 도시하였지만, 가변핀(164b)을 3단 구조 이상으로 마련하는 경우 가변핀(164b)의 길이 조절폭이 더 커질 수 있다.
가변핀(164b)은 컵 등 오목한 부분의 깊이가 깊은 세척대상을 거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넓고 얕은 형상의 식기에 비해 좁고 긴 형상의 컵 또는 텀블러 등은 전복이 쉽고 내부에 생성된 에어포켓이 외부로 빠져나가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거치핀(164)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가변핀(164b)의 길이를 길게 조정한 상태에서 컵 또는 텀블러 등을 거치함으로써 전복을 방지하고 기울인 상태로 거치하여 에어포켓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누름망(170)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트레이(160)는 세척대상의 전복을 방지하는 누름망(170)이 결합될 수 있다. 세척대상은 세척 도중에 세척수의 수류에 의해 떠오르거나, 에어포켓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전복되는 등의 이유로 세척대상이 초기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세척대상의 오목한 부분이 위를 향하는 경우에는 초음파가 전달될 수 없고 세척수에 의한 세척 효과가 미비해질 수 있다. 또한, 세척 도중에 세척대상들의 움직임이 커지는 경우 세척대상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누름망(170)은 세척대상을 누르거나 세척대상의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누름망(170)은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누름망(170)의 개구를 통해 세척수가 연통될 수 있다. 다만, 바닥망(163)과 같이 촘촘한 메쉬구조를 채용할 필요까지는 없다. 바닥망(163)의 경우 세척대상이 아래로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촘촘한 메쉬구조를 채용하고 있지만, 누름망(170)의 경우에는 세척대상의 위를 누르는 힘을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크로스바(172)를 포함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름망(170)은 트레이(160)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171)과 프레임(171)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크로스바(17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망(170)은 트레이(160)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망(170)은 트레이(160)의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세척대상의 많고 적음 또는 세척대상의 높이에 따라 누름망(170)의 높낮이를 달리 조절할 수 있다.
누름망(170)은 누름망 고정부재(173)를 통해 트레이(160)에 고정될 수 있다. 누름망 고정부재(173)는 일 측이 누름망(170)에 결합되고, 타 측이 트레이(160)의 제2 방향 측면(162) 내측에 마련되는 돌출돌기에 끼워지는 요입홈 구조를 포함하여 트레이(160)에 결합된다. 또는, 누름망(170)의 타 측이 트레이(160)의 제2 방향 측면(162)에 마련되는 요입홈(미도시)에 끼워지는 돌출돌기 구조를 포함하여 트레이(16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누름망 고정부재(173)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 또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이 조절 및 손쉬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고,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누름망 고정부재(173)의 일 측은 누름망(170)의 크로스바(172) 중 최외곽 크로스바에 결합되고, 타 측은 트레이(160)의 제2 방향 측면(162)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62a) 형상에 대응하는 요입홈(173a) 구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걸림돌기(162a)는 제2 방향 측면(16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누름망 고정부재(173)의 타 측에 형성되는 요입홈(173a)은 이에 대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망 고정부재(173)는 일 측과 타 측 사이에 절곡부(173b)를 포함하여 폭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곡부(173b)는 곡면으로 절곡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160)의 제2 방향 측면(162) 내측에는 각각 다른 높이에 마련되는 3단의 걸림돌기(162a)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누름망(170)은 3단계로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누름망 고정부재(173)의 일 측은 고리 구조(173c)를 채택하여 누름망(170)의 크로스바(172)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망 고정부재(173)는 누름망(17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위생과 내구성 등의 이유로 누름망(170)은 SUS(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마련되고 누름망 고정부재(173)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망(170)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누름망(170)의 크로스바(172)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누름망(170)의 크로스바(172)가 탄성변형 가능한 경우 세척대상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어 세척대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트레이(160)는 트레이 손잡이(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160)의 상부에 연결되는 트레이 손잡이(165)를 통해 사용자는 본체부(110) 내에 삽입된 트레이(160)를 꺼내거나 트레이(160)를 본체부(110) 내에 삽입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손잡이(165)는 트레이(160)의 제1 방향 측면(161) 상단부에 연결되고 양 측의 제1 방향 측면(161)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180)는 본체부(110)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마련된다. 커버(180)는 본체부(110)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트레이(160)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본체부(110)와 트레이(160)가 접하도록 마련되고, 트레이(160)와 커버(180)가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트레이(160)는 상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고, 본체부(110)는 상단부 내측면에 트레이(160)의 지지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160)가 본체부(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본체부(110)의 상단면과 트레이(160)의 상단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160)는 상단부 내측면에 커버(180)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180)가 트레이(160)에 안착된 상태에서 트레이(160)의 상단면과 커버(180)의 상부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와 트레이(160)와 커버(180)는 모두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100)의 상부는 굴곡이 없는 하나의 면으로 마련되어 유려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트레이(160)가 커버(180)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80)는 본체부(110)에 밀착하여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는 상단부 내측면에 커버(180)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180)가 본체부(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본체부(110)의 상단면과 커버(180)의 상부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거치프레임(190)은 본체부(11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91)과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 프레임(19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프레임(191)은 본체부(110)의 측면에 접하면서 둘러싸는 사각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가변 프레임(192)은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191)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91)은 본체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프레임(191)은 본체부(110)에 고정 프레임(191)이 지지될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에 지지됨으로써 본체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본체부(110)가 높이 방향으로 미세하게 폭이 달라지도록 마련되고, 고정 프레임(191)의 너비와 본체부(110)의 너비가 같아지는 위치에서 고정 프레임(191)이 본체부(110)에 압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프레임(191)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고정프레임(171)의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다.
가변 프레임(192)은 고정 프레임(191)의 양 측에 각각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프레임(192)은 본체부(110)의 제1 방향 측면(114a)의 너비 방향으로 고정 프레임(19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변 프레임(192)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싱크대(10)의 폭이 다양한 경우에도 능동적으로 가변 프레임(192)의 길이를 달리 적용할 수 있고, 거치프레임(19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변 프레임(192)의 길이를 가장 짧게 조절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수조(111) 바닥에 열선(126)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체부(110)의 바닥면(112) 아래에는 열선(126)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과 달리 열선(126)은 본체부(110)의 측면에도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의 바닥면(112)에 마련되는 열선(126)은 본체부(110)의 측면에도 분기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본체부(110)의 측면에도 열선(126)이 마련될 수도 있다.
열선(126)은 전류를 이용하여 발열되는 저항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선(126)은 일 측이 전원연결부(125)에 연결되고, 본체부(110)의 제2 방향 측면(114b)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고, 본체부(110)의 바닥면(112)을 커버(180)할 수 있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ㄷ"자 형상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ㄹ"자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이나 나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는, 열선(126)은 고온의 유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열선(126)의 고온을 이용하여 세척액의 온도를 높일 수 있고, 상온보다 높은 세척액을 이용하여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00)는 열선(126)의 고온을 이용하여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체부(110) 상부에 살균장치(127)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체부(110)의 측면 상부에는 살균장치(127)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장치(127)는 제1 방향 측면(114a)에 형성되는 급수구멍(115) 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장치(127)는 급수 시에 세척수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살균장치(127)가 생활방수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살균장치(127)는 제1 방향 측면(114a)에 형성되는 배수구멍(116) 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도 세척수가 배수구멍(116)으로 배수되기 때문에 살균장치(127)가 세척수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살균장치(127)가 생활방수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과 달리 살균장치(127)는 트레이(160)의 측면 상부 또는 커버(180)에도 마련될 수 있다.
살균장치(127)는 살균 효과가 있는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장치(127)는 UV 살균 램프일 수 있다.
살균장치(127)는 세척대상 및 식기세척기(100) 내부의 세균 번식을 예방할 수 있다. 공지의 UV 살균 램프를 사용하는 경우 20초 이내에 99.9% 이상의 세균 살균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UV 살균 램프는 별도의 필터가 필요하지 않아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액체 형태의 살균제와 비교할 때 식기세척기(100) 내부에 화학물질 등의 잔존물질이 남지 않아 인체에 해를 끼칠 염려가 없다. 다만,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UV 광을 쳐다보지 못하도록 차단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는, 살균장치(127)는 405nm 파장의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장치(127)는 위생 조명일 수 있다. 위생 조명은 세균 속 포피린이 활발히 반응하는 파장의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세포를 파괴시킬 수 있다. 공지의 위생 조명을 사용하는 경우 대장균을 99.9% 살균시킬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전력의 강약을 조절하여 살균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균 강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 위생 조명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쳐다보아도 시력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차단부재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장치(127)는 일 측이 전원연결부(125)에 접속되고 본체부(110)의 제2 방향 측면(114b)을 따라 양 측으로 연장되는 도전부와, 도전부에 접속되고 본체부(110)의 제1 방향 측면(114a)을 따라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는 길이가 긴 바 형상일 수 있다.
본체부(110)는 제1 방향 측면(114a)의 살균장치(127)의 발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투과창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창은 발광부의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트레이(160)는 제1 방향 측면(114a)의 살균장치(127)의 발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투과창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창은 발광부의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트레이(160)의 높이는 살균장치(127)의 발광부 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의 조사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살균장치(127)가 커버(180)에 마련되는 경우 살균장치(127)의 발광부에 대응하는 상부면에는 외부로 자외선이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외선 차단필름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장치(127)의 발광부에 대응하는 하부면에는 자외선을 투과할 수 있는 투과창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80)가 본체부(110)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커버(180)에는 살균장치(12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커버(180)가 본체부(110)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폐되는 경우, 살균장치(127)는 커버(180)와 본체부(110)를 연결하는 힌지를 통해 전원 공급선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7 은 건조가 끝난 후 트레이(160)가 팝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18 (a)는 트레이(160)가 팝업되기 전의 본체부(110) 상태를, 도 18 (b)는 트레이(160)가 팝업된 후의 본체부(110)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는 세척 중인 경우 트레이(160)가 본체부(1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세척이 완료된 때에는 트레이(160)가 본체부(110)로부터 팝업(Pop-up)될 수 있다. 또는, 세척, 건조 및 살균 처리과정이 모두 완료된 때에 트레이(160)는 본체부(110)로부터 팝업될 수 있다.
세척이 끝난 후에 트레이(160)가 팝업되도록 마련하는 이유에는 세 가지 이유가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는 세척 처리가 끝났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것이고, 두번째는 팝업되면서 건조 처리장치를 동작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세번째는 트레이(160)에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팝업됨으로써 트레이(160)의 상부가 노출되게 하여 사용자가 트레이(160)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위 세가지 이유 중 둘 이상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트레이(160)의 팝업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팝업부(118)는 본체부(110)의 바닥면(112) 또는 측면(114)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부(118)는 동작하기 전에는 본체부(110)의 바닥면(112) 아래에 위치하고, 팝업부(118)의 상부면이 본체부(110)의 바닥면(112)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부(118)는 일정한 조건이 만족하는 때에 본체부(110)의 바닥면(112)으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트레이(160)를 밀어 올리도록 동작한다.
또한, 팝업부(118)는 위로 상승하여 팬히터(119)에서 제공되는 열풍을 수조(111) 내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세척시에는 팝업부(118)가 닫힌 상태로 마련되지만, 세척이 끝나고 건조 처리시에는 팝업부(118)가 위로 상승하면서 열풍이 제공되는 팬 구멍(118a)이 열린 상태로 마련되어 수조(111) 내부에 열풍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팝업부(118)는 열풍을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척시에는 팝업부(118)의 팬히터(119)가 본체부(110)의 바닥면(112) 아래에 위치하고, 세척이 끝나고 건조 처리시에는 팝업부(118)가 위로 상승하여 팬히터(119)가 팬 구멍(118a)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건조시에 팬히터(119)가 작동하면서 팬히터(119)에서 제공되는 열풍이 직접 수조(111) 내부로 제공됨으로써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팬히터(119)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팬히터(119)는 공기를 가열하지 않고 자연풍을 송풍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팬히터(119)를 구비하는 팝업부(118)는 별도의 수밀커버(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팝업부(118)가 팝업된 상태에서도 수밀커버(미도시)가 열린 경우에만 팬히터(119)가 수조(111) 내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팬히터(119)가 구비하는 팝업부(118)가 별도의 수밀커버(미도시)를 구비하지 않는다면, 팝업부(118)가 팝업되면서 팬 구멍(118a)를 통해 팬히터(119)가 수조(111) 내에 노출될 수 있다.
한편, 팝업부(118)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은 다양한 기구적 구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팝업부(118)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구조로, 실린더 구조, 랙-피니언 기어조립체 구조 또는 볼-스크류 기어조립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밖에도 팝업부(118)에 전자석 구조 등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팝업부(118)는 세척수가 식기세척기(100)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구(117)에 연통될 수 있다. 팝업부(118)가 본체부(110)의 바닥면(112)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에서는 배수구(117)에 연통되는 개구가 노출되지 않지만, 팝업부(118)가 본체부(110)의 바닥면(112) 위로 상승하는 경우에 팝업부(118)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개구가 노출되고, 개구를 통해 세척수가 배수구(117)로 배수될 수 있다.
도 19는 건조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팝업부(118)가 트레이(160)를 들어 올리면서 트레이(160)의 하부면과 측면을 통해 세척수가 본체부(110)의 바닥면(112)으로 배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바닥면(112)의 세척수는 배수유로(130)를 통해 식기세척기(100)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그리고 팝업부(118)가 트레이(160)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팝업부(118)의 팬 구멍(118a)를 통해 팬히터(119)의 가열 공기(열풍)가 수조(111) 내부로 송풍될 수 있다. 수조(111) 내부로 제공된 송풍 공기는 대류에 의해 위로 이동하면서 세척대상을 건조시킨다.
도 20은 커버(180)의 열풍 배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버(180)는 본체부(110)의 상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80)는 트레이(160)가 팝업되는 경우 트레이(160)와 함께 위로 올려져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커버(180)의 모서리가 트레이(160)의 상부 내측에 안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커버(180)의 모서리는 본체부(110)의 상부 내측에 안착될 수도 있다.
커버(18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커버(180)가 불투명하게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가 식기세척기(100) 내부의 상황을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커버(180)를 투명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커버(180)를 제거하지 않고도 식기세척기(100)의 동작 상황을 알 수 있게 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커버(180)는 커버 손잡이(181)를 포함하고, 커버 손잡이(181)에는 수조(111) 내의 열풍이 배출될 수 있는 열풍구(182)가 형성될 수 있다. 팝업부(118)나 본체부(110)의 측면에 마련되는 팬히터(119, 211) 또는 바닥면(112)에 마련되는 열선(126) 등에 의해 세척대상의 건조가 진행되면서 습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건조 효율을 높이고 세균 번식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조(111) 내의 열풍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커버(180)에는 열풍구(182)가 형성되고 수조(111) 내의 열풍이 열풍구(18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80)에 형성되는 열풍구(182)는 커버 손잡이(181)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중력에 의해 떨어지면서 열풍구(182)를 통해 식기세척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손잡이(181)의 저면과 열풍구(182) 사이에는 유입 방지턱(182a)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손잡이(181)에 떨어진 외부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열풍구(182)를 통해 식기세척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가변 배수구(117)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식기세척기(100)는 별도의 배수통을 구비하지 않고 싱크대(10) 내로 바로 배수시킴으로써 컴팩트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가변 배수구(117)는 배수 전에는 본체부(110) 내부로 들어가 있다고 배수가 필요한 때 외측면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변 배수구(117)가 식기세척기(100)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배수가 이루어짐으로써 배수되는 물이 식기세척기(100)의 외부에 묻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과 같이, 가변 배수가가 돌출되면서 싱크대(10)의 배수홀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어 배수시 물이 주변으로 튀기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배수구(117)는 제1 방향 측면(114a) 중 싱크대(10) 배수홀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가변 배수구(117)는 팝업부(118)와 기구적 또는 전자적으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기구적으로 연동된다는 의미는 팝업부(118)의 기구적 구성과 가변 배수구(117)의 기구적 구성이 기어 조립체 등으로 결합되어 있어, 팝업부(118)가 팝업되는 동작에 연결되어 가변 배수구(117)가 돌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자적으로 연동된다는 의미는 팝업부(118)의 동작과 가변 배수구(117)의 동작이 제어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팝업부(118)가 팝업됨과 동시에 또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배수구가 돌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2는 본체부(110) 측면에 팬히터(211)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100)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체부(110) 측면 일 측에는 팬히터(211)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 측면에는 팬히터(211)가 설치되는 개구(210)가 마련되고, 개구(210) 내부에는 팬히터(211)가 수용되고, 본체부(110) 측면 개구(210)는 개폐 가능한 수밀도어(212)가 결합될 수 있다.
팬히터(211)는 평소에는 수밀도어(212)가 닫힌 상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세척 중에 세척수가 수조(111) 내에 가득찬 경우에도 팬히터(211)로 세척수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세척시에는 수밀도어(212)가 개구(210)를 밀폐시키도록 닫힌 상태로 마련되고, 세척이 끝나고 건조 처리 시에는 수밀도어(212)가 개방되어 팬히터(211)가 노출되고, 팬히터(211)의 동작으로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팬히터(211)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공기를 가열하지 않고 자연풍을 송풍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팬히터(211)는 본체부(110) 측면의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팬히터(211)가 마련되어 세척대상이 놓인 위치에 따라 균일한 건조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23은 노이즈 캔슬링 유닛(220)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100)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소음 개선을 위해 수조(111) 내부에 노이즈 캔슬링 유닛(220)이 설치될 수 있다. 소음을 발생시키는 대상은 진동자(150)와 수류순환날개(140)가 있을 수 있다. 이 중,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150)에서 거북한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소음 저감의 필요성이 크다. 예를 들어, 40 Hz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150)의 경우 50 내지 60 dB의 저주파 소음을 발생시킨다.
노이즈 캔슬링 유닛(220)은 진동자(15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노이즈 캔슬링 유닛(220)은 소음의 주파수 및 진폭을 분석하고, 해당 소음과 완전히 반대되는 음파를 생성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역(逆)소음을 방출시켜 해당 소음을 상쇄시켜 제거하는 상쇄간섭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동자(150)의 진동세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소음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노이즈 캔슬링 유닛(220)은 진동자(150)의 소음을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221)로폰 센서를 포함하는 마이크(221)와, 마이크(221)에서 수신한 음파를 180도 바꾸어 노이즈 캔슬링 신호를 제공하는 드라이버, 및 드라이버에서 제공되는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 캔슬링 기술은 소음의 저감을 위한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접목되고 있으며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에 접목된 것이 그 대표적인 예로서 본 명세서가 속한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설계변경을 통해 용이하게 접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식기세척기(100)는 노이즈 캔슬링 유닛(220)을 최적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본체부(110)의 바닥면(112)은 총 4개의 진동자(150)가 본체부(110)의 네 꼭지점 근방에 배치되고, 중앙에는 수류순환날개(1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양 측의 제2 방향 측면(114b)에 인접하는 위치에 각각 팝업부(118)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팝업부(118)의 양 측에 2개의 진동자(150)가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배치에서, 노이즈 캔슬링 유닛(220)은 본체부(110)의 양 측의 제1 방향 측면(114a)에 인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노이즈 캔슬링 유닛(220)의 양 측에 2개의 진동자(15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진동자(15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2개의 노이즈 캔슬링 유닛(220)만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4개의 진동자(150)가 서로 다른 주파수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제1 진동자(151)와 제2 진동자(152)를 포함하는 경우, 2개의 제1 진동자(151)는 수류순환날개(140)를 중심으로 일 대각선에 배치되고, 2개의 제2 진동자(152)는 수류순환날개(140)를 중심으로 다른 대각선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하나의 노이즈 캔슬링 유닛(220)의 일 측에는 제1 진동자(151)가 배치되고 타 측에는 제2 진동자(15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진동자(151)와 제2 진동자(152) 중 어느 하나만이 작동하는 경우에도 2개의 노이즈 캔슬링 유닛(220)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노이즈 캔슬링 유닛(220)은 진동자(150)와 인접한 위치에 마이크(221)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수류순환날개(140), 마이크(221), 스피커(222), 및 제1 방향 측면(114a)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4는 표시부(203) 및 입력표시부(200)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력표시부(200)는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조작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손잡이(181)에 인접하는 위치의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입력표시부(20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표시부(200)는 터치 버튼식 또는 물리 버튼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터치 버튼식으로 마련되는 입력표시부(200)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입력표시부(200)는 전원 선택부(201)와, 표시부(203)와 선택부(202)를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부(203)는 시간 표시부(203a)와 세척상태 표시부(203b)를 포함한다. 그리고 선택부(202)는 세척모드 선택부(202a)와 시작/일시정지 선택부(202b)를 포함한다.
입력표시부(200)는 본체부(110)의 모서리를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왼쪽부터 차례로, 전원 선택부(201), 세척모드 선택부(202a), 시간 표시부(203a), 시작/일시정지 선택부(202b) 및 세척상태 표시부(203b)가 배치될 수 있다.
전원 선택부(201)는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을 켜거나 끄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 선택부(201)를 터치하면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이 켜진 상태로 전환된다. 반대로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 선택부(201)를 터치하면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이 꺼진 상태로 전환된다. 다만, 오작동에 의한 전원 꺼짐을 방지하기 위해, 식기세척기(100)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 터치되면 바로 전원이 종료되지 않고 사용자의 재의사를 요구할 수 있다. 이 때, 일정 시간 내에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터치하면 전원이 꺼지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전원이 켜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세척모드는 헹굼 세척모드와, 급속 세척모드와, 표준 세척모드와, 강력 세척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선택부(201)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기본적으로 헹굼 세척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별도 지시가 없더라고 기본적으로 헹굼 세척모드가 설정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려 헹굼 세척모드가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척모드 선택부(202a) 버튼을 1회 터치하면 헹굼 세척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세척모드 선택부(202a)는 급속 세척모드와, 표준 세척모드와, 강력 세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3개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헹궁 세척모드가 설정되고, 세척모드 선택부(202a)의 조작에 따라 급속 세척모드와, 표준 세척모드와, 강력 세척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세척모드 선택부(202a)에 헹굼 세척모드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는 세척모드가 미설정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버튼으로 급속/표준/강력 세척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척모드 선택부(202a) 버튼을 터치하기 전에는 헹굼 세척모드가 설정된 상태로 마련되고, 세척모드 선택부(202a) 버튼을 1회 터치하면 급속 세척모드가 선택되고, 세척모드 선택부(202a) 버튼을 2회 터치하면 표준 세척모드가 선택되고, 세척모드 선택부(202a) 버튼을 3회 터치하면 강력 세척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헹굼 세척모드는 1회의 헹굼 세척을 수행한다. 헹굼 세척모드는 물 세척만으로 세척대상의 오염물이 제거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헹굼 세척은 급수 후 수류순환날개(140)를 작동시켜 세척수가 순환되는 상태에서 40초간 물로만 세척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헹굼 세척모드는 1회의 급수와 1회의 배수를 반복하여 헹굼 세척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15초의 시간 동안 급수가 진행되고, 이후 40초 동안 세척대상이 세척수가 담긴 상태에서 수류순환을 시키고, 이후 10초 동안 배수가 진행되어 총 1분 05초의 시간 동안 헹굼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빠른 세척모드는 1회의 헹굼 세척과 단기간(60초)의 초음파 세척을 수행한다. 빠른 세척모드는 오염도가 적은 세척대상(예를 들면, 커타나 우유를 마신 잔)을 빠르게 세척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빠른 세척모드는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초음파 세척은 급수 후 수류순환날개(140)를 작동시켜 세척수가 순환되고 진동자(150)를 작동시켜 초음파를 발생되는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만큼 세척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빠른 세척모드는 2회의 급수와 2회의 배수를 반복하여 초음파 세척과 헹굼 세척을 차례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15초의 시간 동안 급수가 진행되고, 이후 60초 동안 세척대상이 세척수가 담긴 상태에서 수류순환을 시키면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초음파 세척을 진행하고, 이후 10초 동안 배수가 진행되고, 다시 15초의 시간 동안 급수가 진행되고, 이후 40초 동안 세척대상이 세척수가 담긴 상태에서 수류순환을 시키고, 이후 10초 동안 배수가 진행되어 총 2분 30초의 시간 동안 빠른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표준 세척모드는 2회의 헹굼 세척과 중기간(90초)의 초음파 세척과 1회의 애벌 세척을 수행한다. 표준 세척모드는 보통의 오염상태를 가지는 세척대상(예를 들면, 식사 후 1시간 이내의 식기)을 세척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애벌 세척은 급수 후 수류순환날개(140)를 작동시켜 세척수가 순환되는 상태에서 60초간 물로만 세척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표준 세척모드는 3회의 급수와 3회의 배수를 반복하여 애벌 세척과 초음파 세척과 헹굼 세척을 차례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15초의 시간 동안 급수가 진행되고, 이후 60초 동안 세척대상이 세척수가 담긴 상태에서 수류순환을 시키면서 애벌 세척을 진행하고, 이후 10초 동안 배수가 진행되고, 다시 15초의 시간 동안 급수가 진행되고, 이후 90초 동안 세척대상이 세척수가 담긴 상태에서 수류순환을 시키면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초음파 세척을 진행하고, 이후 10초 동안 배수가 진행되고, 다시 15초의 시간 동안 급수가 진행되고, 이후 40초 동안 세척대상이 세척수가 담긴 상태에서 수류순환을 시키고, 이후 10초 동안 배수가 진행되고, 다시 15초의 시간 동안 급수가 진행되고, 이후 40초 동안 세척대상이 세척수가 담긴 상태에서 수류순환을 시키고, 이후 10초 동안 배수가 진행되어 총 5분 30초의 시간 동안 표준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강력 세척모드는 2회의 헹굼 세척과 장기간(600초)의 초음파 세척과 1회의 애벌 세척을 수행한다. 강력 세척모드는 기름기가 많거나 식사 후 1시간이 경과한 세척대상을 세척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강력 세척모드는 4회의 급수와 4회의 배수를 반복하여 애벌 세척과 초음파 세척과 헹굼 세척을 차례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15초의 시간 동안 급수가 진행되고, 이후 60초 동안 세척대상이 세척수가 담긴 상태에서 수류순환을 시키면서 애벌 세척을 진행하고, 이후 10초 동안 배수가 진행되고, 다시 15초의 시간 동안 급수가 진행되고, 이후 10분 동안 세척대상이 세척수가 담긴 상태에서 수류순환을 시키면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초음파 세척을 진행하고, 이후 10초 동안 배수가 진행되고, 다시 15초의 시간 동안 급수가 진행되고, 이후 40초 동안 세척대상이 세척수가 담긴 상태에서 수류순환을 시키고, 이후 10초 동안 배수가 진행되고, 다시 15초의 시간 동안 급수가 진행되고, 이후 40초 동안 세척대상이 세척수가 담긴 상태에서 수류순환을 시키고, 이후 10초 동안 배수가 진행되어 총 14분의 시간 동안 강력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세척 공정이 완료되면, 열풍 내지 자연풍 또는, 열선(126)을 이용한 건조 공정이 약 60초간 동작될 수 있다. 건조 공정의 시간은 온도 또는 바람의 세기, 세척대상의 크리 또는 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5는 라이트의 색상을 이용하여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식기세척기(100)는 둘 이상의 색상을 표현하는 라이트를 발광하는 라이팅 유닛(230)을 구비하고, 라이팅 유닛(230)의 색상을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80)는 라이트를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180)를 통해 표시되는 라이트의 색상을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동작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식기세척기(10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거나 어두운 곳에서 식기세척기(100)를 바라보는 때에도 라이트의 색상을 인식하는 것으로 식기세척기(100)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어 사용자의 인식범위 및 인식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라이팅 유닛(230)은 특정 색상의 라이트를 발광하는 LED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살균장치(127)에 사용되는 위생 조명에 색상 필터를 적용하여 특정 색상을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2개 이상의 색상 필터를 사용하여 두가지 이상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색상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가변 필터 구조를 채용하여 필요에 따라 적용되는 색상 필터를 달리할 수 있다. 또는, 둘 이상의 위생 조명을 병렬로 배치하고, 각각의 위생 조명에 대응하는 색상 필터를 병렬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모드에 따라 사용되는 위생 조명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적용되는 색상 필터를 달리하여 표시되는 색이 달라질 수 있다.
본체부(110)의 측면 상부에는 라이팅 유닛(230)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과 달리 라이팅 유닛(230)은 트레이(160)의 측면 상부 또는 커버(180)에도 마련될 수 있다.
라이팅 유닛(230)은 전류를 이용하여 색상이 있는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팅 유닛(230)은 컬러 램프일 수 있다. 그리고 라이팅 유닛(230)은 일 측이 전원연결부(125)에 접속되어 전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체부(110)는 제1 방향 측면(114a)의 라이팅 유닛(230)의 발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투과창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창은 라이팅 유닛(230)의 가시광선을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트레이(160)는 제1 방향 측면(161)의 라이팅 유닛(230)의 발광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는 투과창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창은 라이팅 유닛(230)의 가시광선을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트레이(160)의 높이는 라이팅 유닛(230) 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가시광선의 조사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라이팅 유닛(230)의 가시광선은 트레이(160)의 급배수홀(161a)을 통과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버(180)가 본체부(110)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커버(180)에는 라이팅 유닛(2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커버(180)가 본체부(110)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폐되는 경우, 라이팅 유닛(230)은 커버(180)와 본체부(110)를 연결하는 힌지를 통해 전원 공급선이 연결될 수 있다.
도 25 (a)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는 라이팅 유닛(230)이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5 (b)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에서 초음파 세척 또는 애벌 세척 상태에서는 라이팅 유닛(230)이 옐로우 라이트를 발광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180)를 통해 노란 색을 인지하여 식기세척기(100)가 초음파 세척 또는 애벌 세척임을 인지할 수 있다.
도 25 (c)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에서 열풍 건조모드 상태에서는 라이팅 유닛(230)이 레드 라이트를 발광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180)를 통해 붉은 색을 인지하여 식기세척기(100)가 열풍 건조 중임을 인지할 수 있다.
도 25 (d)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에서 UV 살균모드 상태에서는 라이팅 유닛(230)이 블루 라이트를 발광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180)를 통해 파란 색을 인지하여 식기세척기(100)가 UV 살균 중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도 25 (a)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의 동작이 모두 완료되어 정지된 상태에서는 라이팅 유닛(230)이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식기세척기(100)의 세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다양한 세척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모드는 헹굼 세척모드와, 빠른 세척모드와, 표준 세척모드와, 강력 세척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세척모드는 급수와 배수, 수류순환날개(140)의 동작여부 및 진동자(150)의 동작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세척모드는 식기세척기(100)에 세척대상을 넣은 상태에서 급수를 하여 애벌 세척을 진행하고, 배수 후에 다시 급수를 하여 초음파 세척을 진행하고, 다시 급수를 하여 헹굼 세척을 진행하여 세척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이 때, 급수와 배수는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기존 식기세척기(100)는 사용자가 호스나 바가지 등을 사용하여 외부에서 세척수를 공급해야 했지만, 본 명세서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자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고, 기존 식기세척기(100)는 사용자가 배수 밸브를 열어서 세척수를 배수시켰지만, 본 명세서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자동으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척 과정 중에 세척수가 순환됨으로써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척수의 순환을 위해 수류순환날개(140)와 순환유로(133)와 순환펌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애벌 세척은 급수 후 수류순환날개(140)를 작동시켜 세척수가 순환되는 상태에서 물로만 세척하는 과정일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 세척은 급수 후 수류순환날개(140)를 작동시켜 세척수가 순환되고 진동자(150)를 작동시켜 초음파를 발생되는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만큼 세척하는 과정일 수 있다. 그리고 헹굼 세척은 급수 후 수류순환날개(140)를 작동시켜 세척수가 순환되는 상태에서 물로만 세척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00)는 세척 과정이 완료되면 건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건조 과정은 자연풍 또는 열풍을 제공하는 팬(fan)을 이용할 수 있고, 또는, 열선(126)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00)는 건조 과정이 완료되면 살균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살균 과정은 UV 램프 또는 위생 조명을 이용할 수 있다. 위생 조명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도 2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은 식기세척기(100)와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제어 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들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의 제어 시스템은, 식기세척기(100)와, 식기세척기(100)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P: application)이 탑재된 스마트 디바이스(20)와,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30)와, 스마트 디바이스(20)와 식기세척기(100) 및 서버(30)간 통신을 위한 인터넷(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는, 제어부(101), 입력부(102), 타이머(103), 메모리(104), 구동부(105), 음향 출력부(106), 통신모듈(107), 전원 공급부(108) 및 디스플레이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2)는 식기세척기(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에 형성될 수 있고, 터치 버튼 또는 누름 버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입력표시부(200)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09)는 컨트롤 패널의 전면에 형성되고,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는 LC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머(103)는 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뿐 만 아니라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시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05)는 식기세척기(100)를 동작시키는 구동모터 또는 모터펌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출력부(106)는 경고음, 세척 시작 또는 세척 완료 알림 신호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모듈(107)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PLC:Power Line Communication)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모듈 또는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07)은 송수신기 또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는 송신기(transmitter)와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20)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21), 입력부(22), 메모리(23), 전원 공급부(24), 무선 통신부(25), 음향 출력부(26) 및 디스플레이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는 디스플레이부(27)를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터치 방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25)는 인터넷(40)과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모듈일 수 있다.
그리고 음향 출력부(26)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 디바이스(20)에 설치한 식기세척기(100)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APP)을 실행시키고, 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식기세척기(100)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제어 명령은 인터넷(40)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에서는 인터넷(40)을 통하여 식기세척기(100)의 통신모듈(107)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07)을 통하여 수신된 제어 명령은 식기세척기(100)의 제어부(101)로 수신되고, 제어부(101)에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부(10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00)의 제어부(101)에서는 구동부(105), 타이머(103)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식기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통신모듈(107)을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통신모듈(107)을 통하여 송신되는 이벤트 정보는 인터넷(40)을 통하여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에서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를 인터넷(40)을 통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의 무선 통신부(25)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5)로 수신된 이벤트 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제어부(21)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27)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21)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식기세척기(100)와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먼저 디스플레이부(27)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터치하여 어플리케이션 메인화면(300, 도 29 참조)을 활성화시킨다(S100). 그리고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로그인 없이 어플리케이션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야 하는 식기세척기(100)를 지정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20)와 해당 식기세척기(100)를 페어링하는 작업으로서, 블루투스 페어링 작업과 유사한 개념의 작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세탁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인터넷을 통하여 해당 식기세척기(100)의 통신모듈(17)로 수신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식기세척기(100)로 신호가 전송되도록 세팅이 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300)에서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을 ON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S102). 어플리케이션의 전원 제어명령은 인터넷(40)을 통하여 식기세척기(100)의 제어부(101)에 전달되어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을 켤 수 있다(S200).
만일,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이 이미 켜져 있는 상태라면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300)에서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이 ON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을 켜는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300)에서 세척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104). 어플리케이션의 세척모드 선택명령은 인터넷(40)을 통하여 식기세척기(100)의 제어부(101)에 전달되어 식기세척기(100)의 세척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202).
그리고 사용자는 세척모드 시작버튼(START)을 입력할 수 있다(S106).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제어명령은 인터넷(40)을 통하여 식기세척기(100)의 제어부(101)에 전달되어 식기세척기(100)의 세척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S204).
식기세척기(100)의 세척모드가 진행되는 동안 식기세척기(100)의 세척정보가 인터넷(40)을 통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되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 도 29 참조)에 표시될 수 있다(S108). 이 때, 어플리케이션에 동기화되는 세척정보에는 현재 진행중인 세척모드(예를 들어, 초음파 세척모드), 현재 진행중인 세척과정(예를 들어, 급수과정) 및 진행률 및 세척모드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세척수의 온도, 세척수의 수위 및 세척대상의 오염도 등의 정보도 어플리케이션에 동기화되는 세척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세척이 완료되면(S206), 스마트 디바이스(20)의 어플리케이션의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에 세척이 종료되었음이 표시될 수 있다(S110).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20)의 화면이 잠금 상태로 전환되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경우에는 메시지 팝업으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112).
식기세척기(100)는 세척이 완료된 후에 자동으로 건조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S208). 그리고 건조가 완료되면(S210),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을 꺼서 불필요한 전력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S212).
도 29 내지 도 41은 식기세척기(100)의 사용상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동작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9 이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식기세척기(100)의 어플리케이션(가칭, "Dishwasher")을 구동시킨 모습을 도시한다.
도 29(a)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300)은 상단에 타이틀 영역(301)이 제공되고, 중단에 지시영역(302)이 제공되고, 하단에 세척모드 선택영역(303)이 제공될 수 있다.
타이틀 영역(301)은 식기세척기(100)의 모델명이 표시되는 모델 선택영역이 좌측에 마련되고, 우측 상단에 식기세척기(100)의 상태에 관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림을 제공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알림 선택영역(301b)과, 우측 하단에 식기세척이의 전원은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선택영역(301c)을 구비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식기세척기를 두 대 이상 운용하는 경우, 모델 선택영역(301a)을 터치하여 다른 식기세척기로 제어 대상을 전환할 수도 있다. 또는 식기세척기 외에 냉장고, TV, 로봇청소기 등의 전자 디바이스를 하나의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하는 경우, 모델 선택영역(301a)을 터치하여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 제어 대상을 전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알림 선택영역(301b)을 터치하여 알림 제공을 허용한 상태에서는 식기세척기(100)의 모드 변경 시 또는 식기세척기(100)의 동작 완료 시에 소리 또는 진동 등을 통해 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알림 제공을 허용한 상태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때에 식기세척기(100)의 상태 메시지를 팝업 메시지로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원 선택영역(301c)을 터치하여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을 원격으로 온 또는 오프 전환시킬 수 있다. 만일, 식기세척기(100)의 동작이 진행 중인 때에 전원 오프 명령이 제공되면, 오프 명령을 재확인하는 선택 메시지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설정 아이콘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 아이콘을 통해 설정 화면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알림을 제공할 리스트 중 선택여부 등 다양한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지시영역(302)은 사용자가 지시하여야 할 대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세척 모드를 선택하세요"라는 지시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세척모드 선택영역(303)에 제공되는 리스트들 중 원하는 세척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다.
세척모드 선택영역(303)은 선택 가능한 세척모드 리스트들이 아이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헹굼 세척"모드와, "빠른 세척"모드와, "표준 세척"모드와, 강력 세척"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른 세척 모드가 추가될 수도 있다.
도 29(b)와 26(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세척모드 선택영역(303)의 복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제공된다.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은 상단에 타이틀 영역(301)이 제공되고, 중단에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이 제공되고, 하단에 상태변경 선택영역(305)과 진행상태 표시영역(306)이 제공될 수 있다.
타이틀 영역(301)은 어플리케이션 메인화면(300)에서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은 어플리케이션 메인화면(300)의 세척모드 선택영역(303)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모드와 현재 상태를 문자 및 그림으로 표시한다.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은 현재 선택모드의 상태를 시작/일시정지 중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메인화면(300)에서 세척모드를 선택하고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으로 진입하였을 때에는 "시작(Start)" 대기 아이콘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시작(Start)"아이콘을 터치하면 선택된 세척모드가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9(c)를 참조하면, 시작된 후에는 "일시중지(Pause)"아이콘으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일시중지(Pause)"아이콘을 터치하면 세척모드가 일시중지 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세척 중간에 식기를 추가하기 위하여 일시정지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진행상태 표시영역(306)은 선택된 세척모드의 진행단계가 시간의 순서에 따라 그래프 모습 등으로 나열될 수 있다. 또는, 식기세척기(100)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세척모드의 모든 진행단계가 시간의 순서에 따라 나열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진행중인 단계가 그래프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9와 도 30은 헹굼 세척모드 선택시 어플리케이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도 29(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4가지의 세척모드 중에서 "헹굼 세척"모드를 터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29(b)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헹굼 세척"모드가 선택되었음이 표시되고 식기 모양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선택된 모드의 진행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시작(Start)"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시작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 "초음파 세척", "헹굼", "종료" 등 식기세척기(100)에서 가능한 세척 단계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원이 표시되고, 각 단계의 원은 서로 이어지도록 표시된다. "헹굼" 단계가 선택된 상태이므로 "헹굼"에 대응하는 원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을 터치하면 화면이 전환된다. 도 29(c)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급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의 급수라인(122)을 통해 세척수가 급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급수 정도가 그림과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40% 정도 급수가 되고 있는 상태임을 그림으로 직관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헹굼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분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또는, 도면과 달리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진행중인 단계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헹굼 세척"모드 중에서 "헹굼" 단계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일시중지(Pause)"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중지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헹굼"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급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29(d)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9(d)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헹굼 세척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급수가 완료되고 헹굼 세척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에 세척수가 뿌려지며 헹굼 진행 중인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헹굼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46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헹굼"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되어 헹굼 세척이 진행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헹굼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 30(a)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배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헹굼 세척이 완료되고 배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잠겨 있던 세척수가 줄어드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헹굼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8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헹굼"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배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0(b)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0(b)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세척이 완료되었습니다"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헹굼 세척"모드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반짝반짝 윤기나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헹굼"단계에 대응하는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를 연결하는 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종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30(b) 단계에서 전원 선택영역(301c)을 터치하여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별도의 건조 모드 또는 살균모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헹굼 세척"모드가 종료한 뒤에 "건조"모드가 1분간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뒤를 이어 "살균"모드가 동작할 수 있다.
도 30(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사용 중이 아닌 때이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때에 세척이 완료되었음을 팝업메세지(311)로 띄울 수 있다. 그리고 팝업메세지(311)와 동시에 소리 또는 진동으로 세척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기세척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팝업메세지(311)를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작동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1 내지 30은 빠른 세척모드 선택시 어플리케이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도 31(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4가지의 세척모드 중에서 "빠른 세척"모드를 터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1(b)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빠른 세척"모드가 선택되었음이 표시되고 식기 모양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선택된 모드의 진행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시작(Start)"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시작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 "초음파 세척", "헹굼", "종료" 등 식기세척기(100)에서 가능한 세척 단계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원이 표시되고, 각 단계의 원은 서로 이어지도록 표시된다. "빠른" 단계가 선택된 상태이므로 "초음파 세척"에 대응하는 원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을 터치하면 화면이 전환된다. 도 31(c)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급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의 급수라인(122)을 통해 세척수가 급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급수 정도가 그림과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40% 정도 급수가 되고 있는 상태임을 그림으로 직관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빠른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2분 20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일시중지(Pause)"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중지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초음파 세척"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급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1(d)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1(d)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초음파 세척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급수가 완료되고 초음파 세척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에 세척수가 가득 차 있는 상태로 초음파 세척이 진행 중인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빠른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2분 5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초음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헹굼"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되어 초음파 세척이 진행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초음파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 32(a)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배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헹굼 세척이 완료되고 배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잠겨 있던 세척수가 줄어드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빠른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분 10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초음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헹굼"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배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2(b)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2(b)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급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의 급수라인(122)을 통해 세척수가 급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급수 정도가 그림과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40% 정도 급수가 되고 있는 상태임을 그림으로 직관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빠른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분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일시중지(Pause)"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중지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초음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헹굼"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급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급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2(c)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2(c)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헹굼 세척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급수가 완료되고 헹굼 세척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에 세척수가 뿌려지며 헹굼 진행 중인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빠른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46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초음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헹굼"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되어 헹굼 세척이 진행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헹굼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 32(d)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배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헹굼 세척이 완료되고 배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잠겨 있던 세척수가 줄어드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빠른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8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초음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헹굼"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배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3(a)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3(a)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세척이 완료되었습니다"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빠른 세척"모드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반짝반짝 윤기나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초음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헹굼"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종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33(a) 단계에서 전원 선택영역(301c)을 터치하여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별도의 건조 모드 또는 살균모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빠른 세척"모드가 종료한 뒤에 "건조"모드가 1분간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뒤를 이어 "살균"모드가 동작할 수 있다.
도 33(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사용 중이 아닌 때이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때에 세척이 완료되었음을 팝업메세지(311)로 띄울 수 있다. 그리고 팝업메세지(311)와 동시에 소리 또는 진동으로 세척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기세척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팝업메세지(311)를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작동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4 내지 34는 표준 세척모드 선택시 어플리케이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도 34(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4가지의 세척모드 중에서 "표준 세척"모드를 터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4(b)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표준 세척"모드가 선택되었음이 표시되고 식기 모양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선택된 모드의 진행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시작(Start)"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시작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 "초음파 세척", "헹굼", "종료" 등 식기세척기(100)에서 가능한 세척 단계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원이 표시되고, 각 단계의 원은 서로 이어지도록 표시된다. "표준" 단계가 선택된 상태이므로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을 터치하면 화면이 전환된다. 도 34(c)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급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의 급수라인(122)을 통해 세척수가 급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급수 정도가 그림과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40% 정도 급수가 되고 있는 상태임을 그림으로 직관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표준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5분 20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일시중지(Pause)"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중지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급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4(d)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4(d)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애벌 세척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급수가 완료되고 애벌 세척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에 세척수가 뿌려지며 애벌 세척 진행 중인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표준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4분 50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되어 애벌 세척이 진행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애벌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 35(a)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배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애벌 세척이 완료되고 배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잠겨 있던 세척수가 줄어드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표준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4분 10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배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5(b)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5(b)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급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의 급수라인(122)을 통해 세척수가 급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급수 정도가 그림과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40% 정도 급수가 되고 있는 상태임을 그림으로 직관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표준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4분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일시중지(Pause)"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중지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급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급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5(c)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5(c)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초음파 세척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급수가 완료되고 초음파 세척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에 세척수가 가득 차 있는 상태로 초음파 세척이 진행 중인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표준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3분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되어 초음파 세척이 진행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초음파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 35(d)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배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헹굼 세척이 완료되고 배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잠겨 있던 세척수가 줄어드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표준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2분 15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배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6(a)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6(a)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급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의 급수라인(122)을 통해 세척수가 급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급수 정도가 그림과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40% 정도 급수가 되고 있는 상태임을 그림으로 직관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표준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2분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일시중지(Pause)"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중지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급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급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6(b)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6(b)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헹굼 세척 중(1/2회)"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급수가 완료되고 2회 중 1회째의 헹굼 세척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에 세척수가 뿌려지며 헹굼 진행 중인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표준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분 30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되어 헹굼 세척이 진행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헹굼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 36(c)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배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헹굼 세척이 완료되고 배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잠겨 있던 세척수가 줄어드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표준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분 10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배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6(d)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6(d)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급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의 급수라인(122)을 통해 세척수가 급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급수 정도가 그림과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40% 정도 급수가 되고 있는 상태임을 그림으로 직관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표준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분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일시중지(Pause)"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중지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급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급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7(a)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7(a)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헹굼 세척 중(2/2회)"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급수가 완료되고 2회 중 2회째의 헹굼 세척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에 세척수가 뿌려지며 헹굼 진행 중인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표준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46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되어 헹굼 세척이 진행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헹굼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 37(b)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배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헹굼 세척이 완료되고 배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잠겨 있던 세척수가 줄어드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표준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8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배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7(c)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7(c)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세척이 완료되었습니다"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표준 세척"모드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반짝반짝 윤기나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종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37(c) 단계에서 전원 선택영역(301c)을 터치하여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별도의 건조 모드 또는 살균모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세척"모드가 종료한 뒤에 "건조"모드가 1분간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뒤를 이어 "살균"모드가 동작할 수 있다.
도 37(d)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사용 중이 아닌 때이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때에 세척이 완료되었음을 팝업메세지(311)로 띄울 수 있다. 그리고 팝업메세지(311)와 동시에 소리 또는 진동으로 세척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기세척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팝업메세지(311)를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작동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41은 강력 세척모드 선택시 어플리케이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도 38(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4가지의 세척모드 중에서 "강력 세척"모드를 터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8(b)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강력 세척"모드가 선택되었음이 표시되고 식기 모양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선택된 모드의 진행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시작(Start)"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시작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 "초음파 세척", "헹굼", "종료" 등 식기세척기(100)에서 가능한 세척 단계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원이 표시되고, 각 단계의 원은 서로 이어지도록 표시된다. "강력" 단계가 선택된 상태이므로 "애벌"단계에 대응하는 원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을 터치하면 화면이 전환된다. 도 38(c)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급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의 급수라인(122)을 통해 세척수가 급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급수 정도가 그림과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40% 정도 급수가 되고 있는 상태임을 그림으로 직관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강력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3분 50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일시중지(Pause)"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중지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급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급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8(d)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8(d)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애벌 세척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급수가 완료되고 애벌 세척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에 세척수가 뿌려지며 애벌 세척 진행 중인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강력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3분 35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되어 애벌 세척이 진행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애벌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 39(a)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배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애벌 세척이 완료되고 배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잠겨 있던 세척수가 줄어드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강력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2분 40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배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9(b)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9(b)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급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의 급수라인(122)을 통해 세척수가 급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급수 정도가 그림과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40% 정도 급수가 되고 있는 상태임을 그림으로 직관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강력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2분 30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일시중지(Pause)"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중지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급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급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39(c)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9(c)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초음파 세척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급수가 완료되고 초음파 세척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에 세척수가 가득 차 있는 상태로 초음파 세척이 진행 중인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강력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1분 30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되어 초음파 세척이 진행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초음파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 39(d)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배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헹굼 세척이 완료되고 배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잠겨 있던 세척수가 줄어드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강력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2분 15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배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40(a)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0(a)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급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의 급수라인(122)을 통해 세척수가 급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급수 정도가 그림과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40% 정도 급수가 되고 있는 상태임을 그림으로 직관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강력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2분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일시중지(Pause)"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중지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급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급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40(b)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0(b)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헹굼 세척 중(1/2회)"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급수가 완료되고 2회 중 1회째의 헹굼 세척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에 세척수가 뿌려지며 헹굼 진행 중인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강력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분 30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되어 헹굼 세척이 진행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헹굼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 40(c)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배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헹굼 세척이 완료되고 배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잠겨 있던 세척수가 줄어드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강력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분 10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배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40(d)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0(d)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급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의 급수라인(122)을 통해 세척수가 급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급수 정도가 그림과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40% 정도 급수가 되고 있는 상태임을 그림으로 직관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강력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1분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경 선택영역(305)에는 "일시중지(Pause)"아이콘이 준비되어 사용자의 중지 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급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급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41(a)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1(a)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헹굼 세척 중(2/2회)"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급수가 완료되고 2회 중 2회째의 헹굼 세척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에 세척수가 뿌려지며 헹굼 진행 중인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강력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46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표시되어 헹굼 세척이 진행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헹굼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 41(b)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배수 중"으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헹굼 세척이 완료되고 배수 중임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잠겨 있던 세척수가 줄어드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현재 선택된 "강력 세척"모드가 종료되는데 8초의 시간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세척모드 진행화면(300-1)이 전환된다.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서 배수가 100% 이루어졌음을 표시하고 도 41(c)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1(c)를 참조하면,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 "세척이 완료되었습니다"로 표시되어 현재 식기세척기(100)에서 "강력 세척"모드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모드 표시영역(304)에는 식기가 반짝반짝 윤기나는 모습이 그림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진행상태 표시영역에는 "애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애벌"과 "초음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 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초음파"와 "행굼" 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 상태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헹굼"과 "종료"사이의 진행선이 채워진 상태로 유지되고, "종료"단계의 원이 채워진 상태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1(c) 단계에서 전원 선택영역(301c)을 터치하여 식기세척기(100)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별도의 건조 모드 또는 살균모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력 세척"모드가 종료한 뒤에 "건조"모드가 1분간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뒤를 이어 "살균"모드가 동작할 수 있다.
도 41(d)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사용 중이 아닌 때이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때에 세척이 완료되었음을 팝업메세지(311)로 띄울 수 있다. 그리고 팝업메세지(311)와 동시에 소리 또는 진동으로 세척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기세척기(100)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팝업메세지(311)를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작동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싱크대, 100: 식기세척기,
110: 본체부, 111: 수조,
112: 바닥면, 113a: 내측벽,
113b: 외측벽, 114a: 제1 방향 측면,
114b: 제2 방향 측면, 115: 급수구멍,
116: 배수구멍, 117: 가변 배수구,
118: 팝업부, 118a: 팬 구멍,
119: 팬히터, 120: 급수유로,
121: 공급라인, 122: 급수라인,
123: 노즐, 124: 급수연결부,
125: 전원연결부, 126: 열선,
127: 살균장치, 130: 배수유로,
131: 제1 배수유로, 132: 제2 배수유로,
133: 순환유로, 134: 모터 펌프,
135: 급수히터, 140: 수류순환날개,
141: 수류순환커버, 142: 유입홀,
143: 배출홀, 144: 결합부,
150: 진동자, 151: 제1 진동자,
152: 제2 진동자, 160: 트레이,
161: 제1 방향 측면, 161a: 급배수홀,
162: 제2 방향 측면, 162a: 걸림돌기,
163: 바닥망, 164: 거치핀,
164a: 고정핀, 164b: 가변핀,
165: 트레이 손잡이, 170: 누름망,
171: 프레임, 172: 크로스바,
173: 누름망 고정부재, 180: 커버,
181: 커버 손잡이, 182: 열풍구,
190: 거치프레임, 191: 고정 프레임,
192: 가변 프레임, 200: 입력표시부,
201: 전원 선택부, 202: 선택부,
203: 표시부, 210: 개구,
211: 팬히터, 212: 수밀도어,
220: 노이즈 캔슬링 유닛, 221: 마이크,
222: 스피커, 230: 라이팅 유닛,
300: 어플리케이션 메인화면, 300-1: 세척모드 진행화면,
301: 타이틀 영역,
301a: 모델 선택영역, 301b: 알림 선택영역,
301c: 전원 선택영역, 302: 지시영역,
303: 세척모드 선택영역, 304: 세척모드 표시영역,
305: 상태변경 선택영역, 306: 진행상태 표시영역,
310: 잠금화면, 311: 팝업메세지.

Claims (20)

  1. 수조를 구획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수용되고 세척대상을 거치하는 트레이;
    상기 수조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유로;
    상기 수조에서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배수유로; 및
    상기 수조 내부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초음파를 제공하는 제1 진동자 및 제2 진동자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수조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수류순환날개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세척대상이 잠길 정도로 세척수를 공급한 상태에서, 상기 수류순환날개를 동작하여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수류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진동자를 이용하여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초음파를 제공하여 상기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식기세척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수류순환날개의 주위에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자는 상기 수조의 어느 하나의 대각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진동자는 상기 수조의 다른 대각 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순환날개의 위를 덮는 수류순환커버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순환커버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홀과, 상기 수류순환날개가 밀어내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홀을 형성하는 식기세척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수류순환커버의 중앙부에 장공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수류순환커버의 외곽부에 노즐 형태로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수류순환커버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이 방사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유입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방사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바닥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류순환날개가 밀어내는 세척수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트레이 내부로 유입되는 식기세척기.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바닥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자의 초음파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트레이 내부로 전달되는 식기세척기.
  12.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대상의 오염도 및/또는 오염입자의 크기를 감지하는 오염도 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의 일 측에서 분기되고 상기 급수유로에 합류하는 순환유로;
    상기 수조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및
    상기 수조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장치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수조의 바닥면 또는 내측면에 마련되는 열선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팝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부는 세척이 종료되고 상기 트레이를 밀어 올리는 식기세척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팝업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팬(fan)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부는 상기 팬 장치의 기류를 상기 수조 내부로 제공하는 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팝업부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팬 구멍이 상기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수밀되고, 상기 팝업부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팬 구멍이 상기 수조에 노출되는 식기세척기.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는 자외선(UV) 발생장치 또는 위생 조명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8. 바닥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트레이가 본체부의 수조에 수용된 상태에서 본체부에 마련되는 급수구멍을 통해 세척수를 유입하고,
    오염도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세척대상의 오염도 및/또는 오염입자의 크기를 감지하고,
    상기 오염도 검출 센서의 정보를 통해 기준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조에 마련되고 제1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진동자를 이용하여 상기 수조 내부에 초음파을 발생시켜 제1 세척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오염도 검출 센서의 정보를 통해 기준값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조에 마련되고 제2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진동자를 이용하여 상기 수조 내부에 초음파을 발생시켜 제2 세척 모드를 실행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 모드 또는 상기 제2 세척 모드가 종료되면, 열선 또는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건조 모드가 종료되면, 자외선(UV) 발생장치 또는 위생 조명을 이용하여 살균 모드를 실행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 모드 또는 상기 제2 세척 모드는 세척수가 상기 수조 내에 일정 수위 이상 제공되는 경우에 실행되고,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수류순환날개를 동작하여 수류를 순환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 진동자 또는 상기 제2 진동자를 동작시키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0190152678A 2019-11-25 2019-11-25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64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678A KR20210064507A (ko) 2019-11-25 2019-11-25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678A KR20210064507A (ko) 2019-11-25 2019-11-25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507A true KR20210064507A (ko) 2021-06-03

Family

ID=7639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678A KR20210064507A (ko) 2019-11-25 2019-11-25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45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17508A (zh) * 2022-02-23 2022-06-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KR102432266B1 (ko) * 2022-02-10 2022-08-12 성진하이쿨(주) 초음파 애벌 식기세척기
KR102578461B1 (ko) * 2022-06-17 2023-09-14 이호진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130A (ko) 2000-01-31 2001-08-17 구자홍 초음파 세척겸용 식기세척기
KR20060024752A (ko) 2004-09-14 2006-03-17 강명도 초음파세척기용 초음파 발생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130A (ko) 2000-01-31 2001-08-17 구자홍 초음파 세척겸용 식기세척기
KR20060024752A (ko) 2004-09-14 2006-03-17 강명도 초음파세척기용 초음파 발생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266B1 (ko) * 2022-02-10 2022-08-12 성진하이쿨(주) 초음파 애벌 식기세척기
CN114617508A (zh) * 2022-02-23 2022-06-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KR102578461B1 (ko) * 2022-06-17 2023-09-14 이호진 액체용기 통합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4507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71069B1 (ko) 식기 세척기 일체형 싱크대
US9826881B2 (en) Silverware, flatware or parts washer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11034639B (zh) 浴盆组件
KR102359482B1 (ko) 초음파 식기 세척기
JP2005511231A (ja) 食器洗浄機内の洗浄食器を洗浄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2158301B1 (ko) 미세 버블을 이용하는 초음파 식기 세척장치
KR20210064508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63953A (ko) 식기세척기
EP1752081B1 (en) A dish washer
KR20210071169A (ko) 식기세척기
KR102263605B1 (ko) 초음파 식기세척기
US20050028850A1 (en) Dish washing machine
KR20210064506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64509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63949A (ko) 식기세척기
KR20210071170A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과 그 제어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KR101904640B1 (ko) 인덕션 가열장치를 이용한 소독 및 세척장치
CN115341621A (zh) 水槽系统及部件
KR100604381B1 (ko) 음식물 세척기
CN209863714U (zh) 一种带有消毒功能的洗碗机
KR101955849B1 (ko) 수유식 튀김기
WO2019101139A1 (zh) 控制器、水槽洗碗机及其控制方法
KR20210008623A (ko) 하향식 버블관이 구비된 초음파 식기세척기
KR200280019Y1 (ko) 초음파 및 오존을 이용한 살균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