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886A - 동기 신호 분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동기 신호 분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886A
KR20210063886A KR1020190152523A KR20190152523A KR20210063886A KR 20210063886 A KR20210063886 A KR 20210063886A KR 1020190152523 A KR1020190152523 A KR 1020190152523A KR 20190152523 A KR20190152523 A KR 20190152523A KR 20210063886 A KR20210063886 A KR 20210063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nchronization signal
vertical
horizont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한
권이기
이진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2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886A/ko
Publication of KR2021006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04N5/10Separation of line synchronising signal from frame synchronising signal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분리 장치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와,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된 입력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비교기로부터의 동기 신호 중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동기 신호 분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호 처리 장치는, 영상표시장치 내에 구비되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입력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에 기초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신호 처리 장치는, 컴포던트 단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다양한 신호 처리를 위해, 시스템 온 칩(SOC) 형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시스템 온 칩의 고도화를 위해, 반도체 공정이 사용되며, 특히, 반도체 공정 중의 하나인 CMOS 공정이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고도화 되고 있다.
한편, 컴포던트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 중에는 영상 신호의 동기 신호가 혼합될 수 있다. 이에 동기 신호 분리를 위해, 별도의 동기 신호 분리 회로가 필요하다.
최근, 영상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 내의 회로 고집적화 경향에 따라, 동기 신호 분리 회로가, 신호 처리 장치 내에 구비되며, 이에 따라, 저전력으로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저전력 기반 하에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되어 입력되는 경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글리치 등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분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와,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된 입력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비교기로부터의 동기 신호 중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분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와,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된 입력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비교기로부터의 동기 신호 중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글리치(Glitch) 등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는, 클럭 신호를 인가하여, 혼합된 입력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먼저 추출하고, 수평 동기 신호 추출 이후,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는, 수평 동기 신호 추출 이후, 수평 동기 신호의 일부이며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 중 로우 레벨을 구비하는 제1 구간과, 수평 동기 신호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제2 구간을 비교하여,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는, 제1 구간이 제2 구간 보다 큰 경우,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며, 제1 구간이 제2 구간 보다 작은 경우, 일정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는, 인가되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혼합된 입력 신호의 펄스를 카운팅하는 카운터와, 카운팅에 기초하여, 수평 동기 신호가 추출된 이후,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수직 동기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는, 수평 동기 신호 추출 이후, 수평 동기 신호의 일부이며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 중 로우 레벨을 구비하는 제1 구간과, 수평 동기 신호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제2 구간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하고, 수직 동기 발생기는, 비교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는, 제1 구간이 제2 구간 보다 큰 경우,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며, 제1 구간이 제2 구간 보다 작은 경우, 일정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동기 신호 분리 장치는,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된 입력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를 더 포함하며, 잡음 제거부로부터의 신호는, 비교부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동기 신호 분리 장치는, 입력 신호를 클램프하는 클램핑부와, 클램핑부로부터의 신호를 로우패스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를 더 포함하고, 저역통과필터로부터의 신호는, 잡음 제거부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글리치 등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잡음 제거부는, 싱크 윈도우를 이용하여,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된 입력 신호와, 글리치(Glitch) 신호 중 글리치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글리치 등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 입력 신호는, 컴포넌트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포넌트 단자롤 통해 입력되는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는 영상표시장치에 영상 표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분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도 5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다양한 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의 전자기기 또는 셋탑 박스(STB)와 케이블(LNE) 등을 통해,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의 외부 입력 신호는, 동기 신호와 영상 신호가 혼합된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 입력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와 영상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 동기 신호 분리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입력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동기 신호 분리 장치(500)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540)와,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된 입력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525)와, 비교기로부터의 동기 신호 중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글리치(Glitch) 등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모니터, TV,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신호 처리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튜너부(110), 복조부(120)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신호 처리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셋탑 박스(5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컴포넌트 단자(CMP) 등을 통해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의 외부 입력 신호는, 혼합된 동기 신호와 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신호 처리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에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 수신부(105)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에 기초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부(170)는,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신호 처리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신호 처리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신호 처리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부(310)로부터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스케일러(335), 화질 처리부(635), 영상 인코더(미도시), OSD 처리부(34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스케일러(3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일러(3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작은 경우, 업 스케일링하고,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큰 경우, 다운 스케일링할 수 있다.
화질 처리부(6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화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질 처리부(6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노이즈 제거 처리를 하거나, 입력 영상 신호의 도계조의 해상를 확장하거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수행하거나,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HDR) 기반의 신호 처리를 하거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거나, 패널 특성, 특히 유기발광패널에 대응하는 화질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OSD 처리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처리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처리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처리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포맷터(Formatter)(36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도록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 / 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신호 처리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신호 처리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영상 처리부(320) 외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는 영상표시장치에 영상 표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의 전자기기 또는 셋탑 박스(STB)와 케이블(LNE) 등을 통해,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외부 입력 신호 중 동기 신호와 영상 신호를 분리하고,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410)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에서 고주파 성분에 대한 필터링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가로줄 무늬의 노이즈 성분(Ara,Arb)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글리치라 명명할 수 있다.
이에, 영상표시장치에서, 동기 신호와 영상 신호 분리시에, 글리치 등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상표시장치에 입력되는 동기 신호가 혼합(composite) 동기 신호인 경우, 안정적으로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분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고, 도 6 내지 도 12는 도 5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분리 장치(500)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540)와,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된 입력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525)와, 비교기로부터의 동기 신호 중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분리 장치(500)는, 입력 신호를 클램프하는 클램핑부(510)와, 클램핑부(510)로부터의 신호를 로우패스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515)를 더 포함하고, 저역통과필터(515)로부터의 신호는, 잡음 제거부(520)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글리치 등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클램핑부(510)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입력 신호의 DC 레벨을 결정한다.
한편, 저역통과필터(515)는, 입력 신호 중 저주파 영역 신호는 통과시키고, 고주파 영역 신호는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입력 신호는, 컴포넌트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포넌트 단자롤 통해 입력되는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분리 장치(500)는,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된 입력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520)를 더 포함하며, 잡음 제거부(520)로부터의 신호는, 비교부(525)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잡음 제거부(520)는, 추가적으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동작한다.
예를 들어, 잡음 제거부(520)는, 싱크 윈도우를 이용하여,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된 입력 신호와, 글리치(Glitch) 신호 중 글리치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글리치 등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는, 클럭 신호(gra)를 예시하며, 도 6의 (b)는, 저역통과필터(515)에서 출력되는 신호(grb)를 예시하며, 도 6의 (c)는, 싱크 윈도우(grc)를 예시하며, 도 6의 (d)는, 고주파 성분인 글리치가 제거된 신호(grd)를 예시한다.
도 6의 (b)에서와 같이, 저역통과필터(515)에서 출력되는 신호(grb)는, 동기 신호 성분(sync)과 글리치(Glitch)을 포함할 수 있다.
잡음 제거부(520)는, 입력 신호와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싱크 윈도우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6의 (c)와 같이 주기적으로 하이 레벨을 가지는 싱크 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잡음 제거부(520)는, 도 6의 (c)의 싱크 윈도우와, 도 6의 (b)의 저역통과필터(515)에서 출력되는 신호(grb)를 이용하여, 도 6의 (d)와 같이 글리치 신호가 제거된 동기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서 글리치에 의한 가로줄 무늬의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영상(1110)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의 전자기기 또는 셋탑 박스(STB)와 케이블(LNE) 등을 통해,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외부 입력 신호 중 동기 신호와 영상 신호를 분리하고,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1110) 표시시, 도 4와 비교하여, 가로줄 무늬의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깨끗한 영상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클럭 신호를 인가하여, 혼합된 입력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먼저 추출하고, 수평 동기 신호 추출 이후,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수평 동기 신호 추출 이후, 수평 동기 신호의 일부이며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 중 로우 레벨을 구비하는 제1 구간(A)과, 수평 동기 신호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제2 구간(0.25H)을 비교하여,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제1 구간이 제2 구간 보다 큰 경우,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며, 제1 구간(A)이 제2 구간(0.25H) 보다 작은 경우, 일정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참조하여,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인가되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혼합된 입력 신호의 펄스를 카운팅하는 카운터(715)와, 카운팅에 기초하여, 수평 동기 신호가 추출된 이후,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수직 동기 발생기(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8과 같이, 혼합된 입력 신호(Compsync) 또는 혼합 동기 신호(Compsync)는, 복수의 펄스(PSaa,PSab, PSba) 또는 복수의 하이 레벨(PSaa,PSab, PSba)을 가질 수 있다.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클럭 신호(Pixclk)와 혼합 동기 신호(Compsync)를 이용하여, 카운팅을 수행하고, 규칙적으로 하이 레벨 또는 펄스를 가지는 수평 동기 신호(H) 또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를 추출하거나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수평 동기 신호의 일부이며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 중 로우 레벨을 구비하는 제1 구간(A)과 관련된 출력을 수행하는 제2 래치(710)와, 수평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래치(705)와, 수평 동기 신호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제2 구간(0.25H)과 관련된 출력을 수행하는 연산기(720)와, 수평 동기 신호의 일부이며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 중 로우 레벨을 구비하는 제1 구간(A)과, 수평 동기 신호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제2 구간(0.25H)을 비교하는 비교기(7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동기 발생기(730)는, 비교기(725)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혼합 동기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래치(710)를 통해, 도 8의 혼합 동기 신호(Compsync)에서,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을 구비하는 구간(0.5H)이 구분되며, 그 중 로우 레벨 구간을 A라 명명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래치(705)와 연산기(720)를 통해,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H)의 일정 비율인 0.25H이 구분되게 된다.
비교기(725)는, 도 8과 같이, 제1 구간(A)과, 제2 구간(0.25H)을 비교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1 구간(A)과, 제2 구간(0.25H)이 동일한 것으로 예시하나, 이와 달리, 제1 구간(A) 보다 제2 구간(0.25H)이 더 크거나, 제1 구간(A)보다 제2 구간(0.25H)이 더 작을 수 있다.
한편,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제1 구간(A)이 제2 구간(0.25H) 보다 큰 경우, 제1 구간(A)을 수직 동기 신호로 인식하여,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한다.
한편, 제1 구간(A)이 제2 구간(0.25H) 보다 작은 경우,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올바르게 추출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 동기 신호 추출이 아닌, 일정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1/4H의 값을 임의적으로, 마진(Margin)을 두어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 또는 특정 해상도의 경우에도,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일정 비율 조절 후, 다시, 제1 구간(A)이 제2 구간(0.25H) 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경우,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기 신호 분리 장치(500)가, 신호 처리 장치(170) 내에 집적되므로, 저전력 및 소면적의 동기 신호 분리 장치(5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회로 추가 없이, 동기 신호 분리 장치(500)만으로도, 외부에서 입력될 수 있는 다양한 동기 신호들(컴포넌트 단자에 입력되는 동기 신호, HDMI 단자에 입력되는 동기 신호 등)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분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동기 신호 분리 장치(500) 내의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된 입력 신호 또는 혼합 동기 신호Clompsync)를 수신한다(S910).
그리고,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도 7과 같이, 클럭 신호(Pixclk)를 인가한다(S920).
다음, 카운터(725)는, 혼합 동기 신호(Compsync)와, 클럭 신호(Pixclk)를 이용하여, 수직 카운팅을 수행한다(S930).
그리고, 카운터(725)는, 수직 카운팅에 기초하여, 수평 동기 신호 또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기(H)를 추출할 수 있다(S940).
다음, 비교기(725)는, 도 8과 같이, 제1 구간(A)과, 제2 구간(0.25H)을 비교할 수 있다(S950).
도 8에서는, 제1 구간(A)과, 제2 구간(0.25H)이 동일한 것으로 예시하나, 이와 달리, 제1 구간(A) 보다 제2 구간(0.25H)이 더 크거나, 제1 구간(A)보다 제2 구간(0.25H)이 더 작을 수 있다.
한편,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제1 구간(A)이 제2 구간(0.25H) 보다 큰 경우, 제1 구간(A)을 수직 동기 신호로 인식하여,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한다(S955).
한편, 제1 구간(A)이 제2 구간(0.25H) 보다 작은 경우,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올바르게 추출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 동기 신호 추출이 아닌, 일정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1/4H의 값을 임의적으로, 마진(Margin)을 두어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 또는 특정 해상도의 경우에도,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530)는, 일정 비율 조절 후, 다시, 제1 구간(A)이 제2 구간(0.25H) 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경우,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기 신호 분리 장치(500)가, 신호 처리 장치(170) 내에 집적되므로, 저전력 및 소면적의 동기 신호 분리 장치(5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5 내지 도 9 등을 통해, 추출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0의 (a)의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도 10의 (b)의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일부 구간(Pa,Pb)에서 동일한 하이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때의 일부 구간(Pa,Pb)은, 도 8의 Psaa, Psab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1은 잡음 제거부(5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1의 (a)는, 저역통과필터(510)에서 출력되는 신호(CVa)를 예시한다. 이때, 저역통과필터(510)에서 출력되는 신호(CVa)는, 글리치 성분(GL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b)는, 잡음 제거부(520)의 싱크 윈도우에 대응하는 신호(CVb)를 예시한다.
도 11의 (c)는, 도 11의 (b)의 싱크 윈도우에 대응하는 신호(CVb)와, 도 11의 (a)의 저역통과필터(515)에서 출력되는 신호(CVa)를 이용하여, 글리치 성분이 제거된 동기 신호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잡음 제거부(520)는, 도 11의 (c)와 같이 글리치 신호가 제거된 동기 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서 글리치에 의한 가로줄 무늬의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영상(1110)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외부 입력 신호 중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 분리 장치는,
    기준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된 입력 신호와, 상기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동기 신호 중 상기 수직 동기 신호와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는,
    클럭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혼합된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수평 동기 신호를 먼저 추출하고,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추출 이후,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추출 이후,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일부이며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 중 로우 레벨을 구비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제2 구간을 비교하여,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는,
    상기 제1 구간이 상기 제2 구간 보다 큰 경우,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며, 상기 제1 구간이 상기 제2 구간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일정 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는,
    인가되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된 입력 신호의 펄스를 카운팅하는 카운터;
    상기 카운팅에 기초하여, 상기 수평 동기 신호가 추출된 이후,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수직 동기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추출 이후,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일부이며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 중 로우 레벨을 구비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제2 구간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동기 발생기는,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수평 동기 신호 분리부는,
    상기 제1 구간이 상기 제2 구간 보다 큰 경우,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추출하며, 상기 제1 구간이 상기 제2 구간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일정 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비율은,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주기의 0.2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된 입력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잡음 제거부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비교부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를 클램프하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로부터의 신호를 로우패스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역통과필터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잡음 제거부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제거부는, 싱크 윈도우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가 혼합된 입력 신호와, 글리치(Glitch) 신호 중 상기 글리치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신호는, 컴포넌트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신호 분리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동기 신호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14. 제13항의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90152523A 2019-11-25 2019-11-25 동기 신호 분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KR20210063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523A KR20210063886A (ko) 2019-11-25 2019-11-25 동기 신호 분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523A KR20210063886A (ko) 2019-11-25 2019-11-25 동기 신호 분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886A true KR20210063886A (ko) 2021-06-02

Family

ID=7637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523A KR20210063886A (ko) 2019-11-25 2019-11-25 동기 신호 분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38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241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11226272B (zh) 图像显示装置
EP2930685A2 (en) Providing a curved effect to a displayed image
US20140267285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applying motion compensation to remove artifacts from images
KR10214721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3016978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30608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3003957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3689810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方法
KR20210063886A (ko) 동기 신호 분리 장치, 이를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KR102295970B1 (ko) 영상표시장치,
WO2013118197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KR102278183B1 (ko) 영상표시장치
US1166532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2021005676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899854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30931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608559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2003315B2 (en)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150733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30362543A1 (en) Wireless audio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and system having same
US20240007088A1 (en) Clock distribution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2337395B1 (ko) 영상표시장치
KR20220163644A (ko) 신호처리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JP2023532112A (ja)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