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605A -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 Google Patents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3605A KR20210063605A KR1020190151931A KR20190151931A KR20210063605A KR 20210063605 A KR20210063605 A KR 20210063605A KR 1020190151931 A KR1020190151931 A KR 1020190151931A KR 20190151931 A KR20190151931 A KR 20190151931A KR 20210063605 A KR20210063605 A KR 202100636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ycobacterium
- tuberculous
- tuberculous mycobacteria
- group
- dise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nuclear magnetic resonance,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or other spin effects
- G01N24/08—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nuclear magnetic resonance,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or other spin effects by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2—Mass spectro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48—Methods of protein analysis involving mass spectrometr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13—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 G01N2030/881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involving amino aci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6—Infectious diseases, e.g. generalised sep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AC) 감염 폐 질환 환자 중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환자와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L-말산(L-Malic acid)의 발현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AC) 감염 폐 질환 환자 중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환자와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L-트립토판(L-Tryptophan)의 발현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AC) 감염 폐 질환 환자 중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환자와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L-메티오닌(L-Methionine)의 발현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AC) 감염 폐 질환 환자 중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환자와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시트룰린(Citrulline)의 발현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AC) 감염 폐 질환 환자 중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환자와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알란토인(Allantoin)의 발현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AC) 감염 폐 질환 환자 중 치료가 성공한 환자에 있어서,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환자와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글리세롤 3-포스페이트(Glycerol-3-phosphate)의 발현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AC) 감염 폐 질환 환자 중 치료가 성공한 환자에 있어서,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환자와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L-티로신(L-Tyrosine)의 발현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AC) 감염 폐 질환 환자 중 치료가 실패한 환자에 있어서,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환자와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L-트립토판(L-Tryptophan)의 발현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AC) 감염 폐 질환 환자 중 치료가 실패한 환자에 있어서,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환자와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시트룰린(Citrulline)의 발현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AC) 감염 폐 질환 환자 중 치료가 실패한 환자에 있어서,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환자와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알란토인(Allantoin)의 발현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AC) 감염 폐 질환 환자 중 치료가 실패한 환자에 있어서,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환자와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L-메티오닌(L-Methionine)의 발현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MAC) 감염 폐 질환 환자 중 치료가 실패한 환자에 있어서,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환자와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환자의 혈청 시료에서 L-이소류신(L-Isoleucine)의 발현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시간(분) | 이동상 A(%) | 이동상 B(%) | 유속(mL/min) |
0 | 100 | 0 | 0.35 |
8 | 73 | 27 | 0.35 |
9 | 15 | 85 | 0.35 |
10 | 100 | 0 | 0.35 |
15 | 100 | 0 | 0.35 |
대사체 종류(Compounds) | m/z | Product ion | RT | CE |
타이로신(L-Tyrosine) | 182 | 77 | 2.8 | 41 |
시스타티오닌(L-Cystathionine) | 223 | 134 | 0.9 | 11 |
베타인(Betaine) | 118 | 58 | 1.32 | 39 |
티아민(Thymine) | 127 | 110 | 5.43 | 21 |
오르니틴(Ornithine) | 133 | 70 | 0.95 | 25 |
구아닌(Guanine) | 152 | 110 | 2.2 | 27 |
히스티딘(Histidine) | 156 | 110 | 1.32 | 12 |
아세틸오르니틴(N-Acetylornithine) | 175 | 115 | 1.14 | 14 |
글루코사민(Glucosamine) | 180 | 162 | 1.4 | 10 |
우라실(Uracil) | 113 | 70 | 1.85 | 23 |
디옥시우리딘(Deoxyuridine) | 229 | 113 | 6.21 | 11 |
씨티딘(Cytidine) | 244 | 112 | 2.44 | 12 |
디옥시아데노신(Deoxyadenosine) | 252 | 136 | 8.5 | 20 |
디옥시이노신(Deoxyinosine) | 253 | 137 | 6.58 | 12 |
아데노신(Adenosine) | 268 | 136 | 7.72 | 27 |
디옥시구아노신(Deoxyguanosine) | 268 | 152 | 6.84 | 15 |
이노신(Inosine) | 269 | 137 | 6.24 | 14 |
구아노신(Guanosine) | 284 | 152 | 6.55 | 17 |
잔토신(Xanthosine) | 285 | 153 | 6.97 | 20 |
싸이클릭 AMP(Cyclic AMP) | 328 | 287 | 0.86 | 9 |
SAH | 385 | 136 | 0.46 | 19 |
대사체 종류(Compounds) | m/z | Product ion | RT | CE |
글루코스(D-Glucose) | 179 | 89 | 0.92 | -12 |
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3-hydroxybutyric acid) | 103 | 41 | 0.96 | -32 |
타우린(Taurine) | 124 | 80 | 0.9 | -16 |
안트라닐레이트(Anthranilate) | 136 | 92 | 3.68 | -16 |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p-Hydroxybenzoate) | 137 | 93 | 1.6 | -21 |
시투를린(Citrulline) | 174 | 131 | 1.21 | -13 |
하이드록시페닐파이루베이트(p-Hydroxybenzoate) | 179 | 107 | 0.97 | -11 |
마이오이노시톨(myo-Inositol) | 179 | 161 | 0.94 | -15 |
티미딘(Thymidine) | 241 | 125 | 7.02 | -10 |
우리딘(Uridine) | 243 | 111 | 4.22 | -12 |
니코티네이트(Nicotinate) | 122 | 78 | 1.54 | -14 |
우레이트(Uric acid) | 167 | 124 | 1.35 | -22 |
대사체 종류(Compounds) | m/z | Product ion | RT | CE |
세린(L-Serine) | 106 | 60 | 0.9 | 15 |
프롤린(L-Proline) | 116 | 70 | 1.13 | 21 |
발린(L-Valine) | 118 | 72 | 1.41 | 15 |
트레오닌(L-Threonine) | 120 | 74 | 0.96 | 15 |
이소류신(L-isoLeucine) | 132 | 86 | 1.93 | 15 |
류신(L-Leucine) | 132 | 86 | 2.3 | 15 |
아스파라긴(L-Asparagine) | 133 | 74 | 0.9 | 17 |
글루타민(L-Glutamine) | 147 | 84 | 0.95 | 23 |
라이신(L-Lycine) | 147 | 84 | 0.74 | 23 |
글루타메이트(L-Glutamate) | 148 | 84 | 1 | 23 |
메티오닌(L-Methionine) | 150 | 104 | 1.8 | 11 |
페닐알라닌(L-Phenylalanine) | 166 | 120 | 6.41 | 17 |
알지닌(L-Arginine) | 175 | 70 | 0.8 | 35 |
트립토판(L-Tryptophan) | 205 | 188 | 8.4 | 13 |
다이메틸글라이신(N,N-Dimethylglycine) | 104 | 58 | 1.21 | 27 |
콜린(Choline) | 104 | 60 | 0.9 | 19 |
글라이신(Glycine) | 76 | 30 | 1.06 | 16 |
폴레이트(Folate) | 442 | 295 | 9.58 | 19 |
아데닌(Adenine) | 136 | 119 | 1.75 | 24 |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e) | 136 | 90 | 1.26 | 15 |
하이포잔틴(Hypoxanthine) | 137 | 110 | 2.8 | 29 |
잔틴(Xanthine) | 153 | 110 | 2.5 | 23 |
알란토인(Allantoin) | 159 | 99 | 1.17 | 13 |
사이토신(Cytosine) | 112 | 95 | 0.98 | 17 |
호모세린(Homoserine) | 120 | 56 | 1.03 | 27 |
티아민(Thiamine) | 265 | 122 | 0.96 | 17 |
시스테인(Cysteine) | 122 | 59 | 1.24 | 27 |
CMP | 324 | 112 | 1.68 | 16 |
UMP | 325 | 97 | 3 | 49 |
AMP | 348 | 136 | 1.99 | 21 |
IMP | 349 | 137 | 5.7 | 17 |
스펄민(Spermine) | 203 | 112 | 0.53 | 27 |
대사체 종류(Compounds) | m/z | Product ion | RT | CE |
아스팔테이트(L-Aspartate) | 132 | 88 | 0.96 | -17 |
락테이트(S)-Lactate | 89 | 43 | 1.74 | -18 |
포스포글리세라이트(3-Phosphoglycerate) | 185 | 97 | 2.11 | -22 |
석시네이트(Succinate) | 117 | 73 | 3.88 | -18 |
말레이트(L-Malic acid) | 133 | 115 | 1.78 | -16 |
시트레이트(Citrate) | 191 | 111 | 3.58 | -12 |
하이드로글루타레이트(D-2-Hydroyglutaric acid) | 147 | 129 | 1.03 | -14 |
GTP | 522 | 424 | 1.6 | -30 |
아세틸포스페이트(Acetylphosphate) | 139 | 79 | 1.65 | -22 |
칼바모일포스페이트(Carbamoyl-phosphate) | 140 | 79 | 0.9 | -22 |
글리세라이트(Glycerate) | 105 | 75 | 1.24 | -15 |
포스포에놀파이루베이트(Phosphoenolpyruvate) | 167 | 79 | 2.3 | -16 |
디하이드록시아세톤포스페이트 (Dihydroxyacetone phosphate) |
169 | 79 | 1.7 | -38 |
글리세롤 3-포스페이트(Glycerol 3-Phosphate) | 171 | 79 | 1.5 | -22 |
시키메이트(Shikimate) | 173 | 93 | 1.65 | -16 |
알란토에이트(Allontoate) | 175 | 132 | 1.05 | -12 |
디옥시리보스 1-포스페이트(Deoxyrebose 1-Phosphate) | 213 | 79 | 1.6 | -33 |
리불로스 5-포스페이트(D-Ribulose 5-Phosphate) | 229 | 79 | 1.3 | -48 |
글루코스 6-포스페이트(Glucose 6-Phosphate) | 259 | 79 | 1.73 | -40 |
프룩토스 1,6-비스포스페이트 (Fructose 1,6-Bisphosphate) |
339 | 271 | 0.98 | -18 |
dGMP | 346 | 79 | 2.02 | -20 |
PRPP | 389 | 291 | 1.4 | -18 |
이타코네이트(Itaconate) | 129 | 85 | 6.4 | -14 |
프룩토스 6-포스페이트(Fructose 6-Phosphate) | 259 | 79 | 1.23 | -54 |
대사체 종류(Compounds) | 유의성 (p-value) | UC/NB Fold Change |
말산(L-Malic acid) | 0.016 | 0.57 |
글리세롤 3-포스페이트(Glycerol-3-phosphate) | 0.001 | 0.47 |
메티오닌(L-Methionine) | 0.038 | 0.74 |
트립토판(L-Tryptophan) | 0.022 | 0.80 |
알란토인(Allantoin) | 0.054 | 1.09 |
시트룰린(Citrulline) | 0.053 | 0.65 |
대사체 종류(Compounds) | 유의성 (p-value) | UC/NB Fold Change |
글리세롤 3-포스페이트(Glycerol-3-phosphate) | 0.029 | 0.4 |
L-티로신(L-Tyrosine) | 0.056 | 1.84 |
대사체 종류(Compounds) | 유의성 (p-value) | UC/NB Fold Change |
L-트립토판(L-Tryptophan) | 0.016 | 0.75 |
시트룰린(Citrulline) | 0.027 | 0.42 |
알란토인(Allantoin) | 0.034 | 1.18 |
L-메티오닌(L-Methionine) | 0.058 | 0.70 |
L-이소류신(L-Isoleucine) | 0.086 | 0.69 |
Claims (25)
- 아미노산(amino acid), 아미노산 유도체, 알란토인(Allatoin), 말산(Malic acid) 및 글리세롤 3-포스페이트(Glycerol 3-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대사체를 포함하는,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는 티로신(Tyrosine), 이소류신(Isoleucine), 시트룰린(Citrulline), 트립토판(Tryptophan) 및 메티오닌(Methion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L-형태(L-form)인,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체는 목적하는 개체의 전혈(whole blood), 혈장(plasma) 또는 혈청(serum) 유래인 것인,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핵 항산균은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M. avium), 마이코박테리움 압세수스(M. abscessus), 마이코박테리움 플라베센스(M. flavescence), 마이코박테리움 아프리카눔(M. africanum),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M. bovis), 마이코박테리움 첼로네(M. chelonae), 마이코박테리움 셀라툼(M. celatum), 마이코박테리움 포르투이툼(M. fortuitum), 마이코박테리움 고르도네(M. gordonae), 마이코박테리움 가스트리(M. gastri), 마이코박테리움 헤모필룸(M. haemophilum), 마이코박테리움 인트라셀루라레(M. intracellulare), 마이코박테리움 칸사시이(M. kansasii), 마이코박테리움 말모엔스(M. malmoense), 마이코박테리움 마리눔(M. marinum), 마이코박테리움 스줄가이(M. szulgai), 마이코박테리움 테레(M. terrae), 마이코박테리움 스크로풀라세움(M. scrofulaceum), 마이코박테리움 울서란스(M. ulcerans), 마이코박테리움 시미애(M. simiae) 및 마이코박테리움 제노피(M. xenop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은 폐 질환인,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 조성물은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폐 질환 중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과 기관지 확장증형 (nodular bronchiectatic form)을 구별하여 진단하기 위한 것인,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 아미노산(amino acid), 아미노산 유도체, 알란토인(Allatoin), 말산(Malic acid) 및 글리세롤 3-포스페이트(Glycerol 3-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대사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정량 장치를 포함하는,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키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는 티로신(Tyrosine), 이소류신(Isoleucine), 시트룰린(Citrulline), 트립토판(Tryptophan) 및 메티오닌(Methion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키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L-형태(L-form)인,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키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체는 목적하는 개체의 전혈(whole blood), 혈장(plasma) 또는 혈청(serum) 유래인 것인,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키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장치는 핵자기 공명 분광 분석기 (NMR),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질량분석기인,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키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핵 항산균은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M. avium), 마이코박테리움 압세수스(M. abscessus), 마이코박테리움 플라베센스(M. flavescence), 마이코박테리움 아프리카눔(M. africanum),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M. bovis), 마이코박테리움 첼로네(M. chelonae), 마이코박테리움 셀라툼(M. celatum), 마이코박테리움 포르투이툼(M. fortuitum), 마이코박테리움 고르도네(M. gordonae), 마이코박테리움 가스트리(M. gastri), 마이코박테리움 헤모필룸(M. haemophilum), 마이코박테리움 인트라셀루라레(M. intracellulare), 마이코박테리움 칸사시이(M. kansasii), 마이코박테리움 말모엔스(M. malmoense), 마이코박테리움 마리눔(M. marinum), 마이코박테리움 스줄가이(M. szulgai), 마이코박테리움 테레(M. terrae), 마이코박테리움 스크로풀라세움(M. scrofulaceum), 마이코박테리움 울서란스(M. ulcerans), 마이코박테리움 시미애(M. simiae) 및 마이코박테리움 제노피(M. xenop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키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은 폐 질환인,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키트.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마커 조성물은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폐 질환 중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과 기관지 확장증형 (nodular bronchiectatic form)을 구별하여 진단하기 위한 것인,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의 구별 진단용 키트. - 목적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아미노산(amino acid), 아미노산 유도체, 알란토인(Allatoin), 말산(Malic acid) 및 글리세롤 3-포스페이트(Glycerol 3-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전혈(whole blood), 백혈구(leukocytes), 말초혈액 단핵 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백혈구 연층(buffy coat), 혈장(plasma), 혈청(serum), 객담(sputum), 눈물(tears), 점액(mucus), 세비액(nasal washes), 비강 흡인물(nasal aspirate), 호흡(breath), 소변(urine), 정액(semen), 침(saliva), 복강 세척액(peritoneal washings), 복수(ascites), 낭종액(cystic fluid), 뇌척수막 액(meningeal fluid), 양수(amniotic fluid), 선액(glandular fluid), 췌장액(pancreatic fluid), 림프액(lymph fluid), 흉수(pleural fluid), 유두 흡인물(nipple aspirate), 기관지 흡인물(bronchial aspirate), 활액(synovial fluid), 관절 흡인물(joint aspirate), 기관 분비물(organ secretions), 세포(cell), 세포 추출물(cell extract) 및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는 티로신(Tyrosine), 이소류신(Isoleucine), 시트룰린(Citrulline), 트립토판(Tryptophan) 및 메티오닌(Methion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L-형태(L-form)인,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체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는 핵자기 공명 분광 분석기 (NMR),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질량분석기인 정량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하는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 대하여 측정된 글리세롤 3-포스페이트(Glycerol 3-phosphate), 말산(Malic acid), 이소류신(Isoleucine), 시트룰린(Citrulline), 트립토판(Tryptophan) 및 메티오닌(Methion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현 수준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된 경우, 상기 목적하는 개체에서 발병하거나 발병 가능한 질환이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폐 질환인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하는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 대하여 측정된 알란토인(Allatoin) 및 티로신(Tyrosine) 중 적어도 하나의 발현 수준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경우, 상기 목적하는 개체에서 발병하거나 발병 가능한 질환이 기관지 확장증형(nodular bronchiectatic form) 폐 질환인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하는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 대하여 측정된 글리세롤 3-포스페이트(Glycerol 3-phosphate), 말산(Malic acid), 이소류신(Isoleucine), 시트룰린(Citrulline), 트립토판(Tryptophan) 및 메티오닌(Methion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현 수준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경우, 상기 목적하는 개체에서 발병하거나 발병 가능한 질환이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폐 질환인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하는 개체의 생물학적 시료에 대하여 측정된 알란토인(Allatoin) 및 티로신(Tyrosine) 중 적어도 하나의 발현 수준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경우, 상기 목적하는 개체에서 발병하거나 발병 가능한 질환이 상엽 공동형(upper lobe cavitary form) 폐 질환인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핵 항산균은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M. avium), 마이코박테리움 압세수스(M. abscessus), 마이코박테리움 플라베센스(M. flavescence), 마이코박테리움 아프리카눔(M. africanum),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M. bovis), 마이코박테리움 첼로네(M. chelonae), 마이코박테리움 셀라툼(M. celatum), 마이코박테리움 포르투이툼(M. fortuitum), 마이코박테리움 고르도네(M. gordonae), 마이코박테리움 가스트리(M. gastri), 마이코박테리움 헤모필룸(M. haemophilum), 마이코박테리움 인트라셀루라레(M. intracellulare), 마이코박테리움 칸사시이(M. kansasii), 마이코박테리움 말모엔스(M. malmoense), 마이코박테리움 마리눔(M. marinum), 마이코박테리움 스줄가이(M. szulgai), 마이코박테리움 테레(M. terrae), 마이코박테리움 스크로풀라세움(M. scrofulaceum), 마이코박테리움 울서란스(M. ulcerans), 마이코박테리움 시미애(M. simiae) 및 마이코박테리움 제노피(M. xenop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결핵 항산균의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1931A KR102270398B1 (ko) | 2019-11-25 | 2019-11-25 |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
PCT/KR2020/016665 WO2021107551A1 (ko) | 2019-11-25 | 2020-11-24 |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1931A KR102270398B1 (ko) | 2019-11-25 | 2019-11-25 |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3605A true KR20210063605A (ko) | 2021-06-02 |
KR102270398B1 KR102270398B1 (ko) | 2021-06-29 |
Family
ID=7613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1931A Active KR102270398B1 (ko) | 2019-11-25 | 2019-11-25 |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0398B1 (ko) |
WO (1) | WO2021107551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39143A1 (ko) * | 2022-08-16 | 2024-02-2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폐결핵 환자의 치료에 따라 변화된 극성대사체 마커 |
WO2024191267A1 (ko) * | 2023-03-16 | 2024-09-1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 감염질환 진단용 대사체 마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1701B1 (ko) | 2022-06-13 | 2024-09-02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비결핵 항산균 감염여부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및 진단용 키트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95454A (ko) * | 2012-02-20 | 2013-08-28 | 엠앤디 (주) | 결핵균 및 비결핵 항산균의 구별방법 및 조성물 |
KR101748296B1 (ko) * | 2014-09-04 | 2017-06-1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마이코박테리움 압세수스 복합체 감염 폐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
KR20180023393A (ko) * | 2016-08-25 | 2018-03-07 | 솔젠트 (주) | 결핵균 및 비결핵균 동시 검출용 진단키트 |
-
2019
- 2019-11-25 KR KR1020190151931A patent/KR102270398B1/ko active Active
-
2020
- 2020-11-24 WO PCT/KR2020/016665 patent/WO202110755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95454A (ko) * | 2012-02-20 | 2013-08-28 | 엠앤디 (주) | 결핵균 및 비결핵 항산균의 구별방법 및 조성물 |
KR101748296B1 (ko) * | 2014-09-04 | 2017-06-1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마이코박테리움 압세수스 복합체 감염 폐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
KR20180023393A (ko) * | 2016-08-25 | 2018-03-07 | 솔젠트 (주) | 결핵균 및 비결핵균 동시 검출용 진단키트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DE BUCK, JEROEN et al., ‘Metabolomic profiling in cattle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Mycobacterium avium subsp. paratuberculosis’, PLoS One, 2014, Vol. 9, pp 1-11. 1부.* * |
권용수,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2012, Vol. 82, pp 274-283. 1부.*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39143A1 (ko) * | 2022-08-16 | 2024-02-2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폐결핵 환자의 치료에 따라 변화된 극성대사체 마커 |
WO2024191267A1 (ko) * | 2023-03-16 | 2024-09-1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 감염질환 진단용 대사체 마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0398B1 (ko) | 2021-06-29 |
WO2021107551A1 (ko) | 2021-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70382B1 (ko) |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또는 감염 질환의 진단용 바이오마커 | |
KR102400827B1 (ko) |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후 치료 반응성 예측용 바이오마커 | |
KR102270398B1 (ko) |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질환을 구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 |
US8580490B1 (en) | Markers for screening anti-mycobacterial treatment efficacy | |
US11656229B2 (en) | Method of detecting lung cancer | |
KR102270387B1 (ko) |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후 균 양성의 지속 여부 예측용 바이오마커 | |
Yu et al. | Biomarker discovery for tuberculosis using metabolomics | |
KR102253363B1 (ko) | 결핵에 대한 신규한 대사체 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결핵의 진단방법 | |
KR102613631B1 (ko) |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 감염증의 중증도 예측용 대사체 마커 | |
US20080261317A1 (en) | Methods of Detecting Myocardial Ischemia and Myocardial Infarction | |
KR102332309B1 (ko) | 대사체 분석을 이용한 류마티스 관절염 중증도 예측 또는 구분용 바이오마커 | |
KR102270384B1 (ko) | 비결핵 항산균에 의한 감염 후 자발적 균 음전 예측용 바이오마커 | |
KR102615869B1 (ko) |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 폐질환 환자의 정보에 따른 치료 반응 예측용 지질대사체 마커 | |
KR20240140383A (ko) |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 감염질환 진단용 대사체 마커 | |
Wang et al. | HPLC–MS/MS targeted metabolic profiling reveals distinct metabolic profiles from Staphylococcus aureus small-colony variants | |
KR102596057B1 (ko) |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 감염질환 진단용 지질대사체 마커 | |
KR20250103062A (ko) |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 또는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 감염질환 감별 진단용 대사체 마커 | |
KR102748778B1 (ko) | 폐결핵 환자의 치료에 따라 변화된 극성대사체 마커 | |
WO2025143857A1 (ko) |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 또는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 감염질환 감별 진단용 대사체 마커 | |
KR102619913B1 (ko) |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 감염환자의 치료 반응성 예측용 지질대사체 마커 | |
WO2023080663A1 (ko) |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복합체 감염질환 진단 또는 중증도 예측용 대사체 마커 | |
KR102748780B1 (ko) | 폐결핵 환자의 중증도 감별 진단 대사체 마커 | |
KR102748771B1 (ko) | 폐결핵 환자의 치료에 따라 변화된 지질대사체 마커 | |
US20230251261A1 (en) | Method of detecting lung cancer | |
US20240142475A1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tuberculosi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