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126A -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126A
KR20210063126A KR1020190151639A KR20190151639A KR20210063126A KR 20210063126 A KR20210063126 A KR 20210063126A KR 1020190151639 A KR1020190151639 A KR 1020190151639A KR 20190151639 A KR20190151639 A KR 20190151639A KR 20210063126 A KR20210063126 A KR 20210063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lock
crankshaft
zone
oil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규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1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126A/ko
Publication of KR20210063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4B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2Details or accessories of tes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내구 시험 전에 메인 베어링의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bearing clearance)를 찾기 위해 실제 엔진 환경을 모사하는 장치이다. 최적화된 베어링 클리어런스를 통하여 엔진 내구 시험에서의 스펀 베어링(spun bearing)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DEVICE FOR TESTING SUITABLE BEARING CLEARANCE}
본 발명은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부품의 진동내구성능은 자동차에서 매우 중요한 성능 중의 하나이며, 자동차가 생산되어 차량 수명이 마칠 때까지 고장이나 파손 등 성능의 저하 없이 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은 자동차평가 시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실제 차량의 거동 조건에서 도로 성향과 운전자의 특성을 고려한 주행 시의 진동 조건하에서 부품의 수명을 시험해 보는 것은 부품을 개발하는 기업의 입장에서 자동차 부품의 진동 내구성을 보증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시험 중 하나이다.
엔진내구시험은 각각의 부품이 신뢰성 시험을 만족시킨 부품이더라도 엔진상태로 결합한 시스템상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이다. 자동차 엔진부품에 대한 재질 신뢰성을 확보한 후, 엔진 내구성 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엔진 내구시험은 엔진 다이모미터에서 측정하게 되는데, 실험을 위해서는 장비가동 인력, 엔진부품, 연료 및 측정센서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간과 장비 투자가 필요한 실험이다.
하지만 엔진 내구실험에서 스펀 베어링(spun bearing) 이 발생하여 실험이 중단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스펀 베어링(spun bearing)의 주 원인은 잘못된 오일의 압력 및 유량설정, 오염된 오일, 클리어런스(clearance) 오차가 실패의 주원인이다. 실린더 블록 저널 부 위에 위치하게 되는 메인 베이렁(main-bearing)과 크랭크 샤프트(crank-shaft) 사이의 간격을 클리어런스(clearance)라고 하는데, 이 클리어런스(clearance)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것이 때로는 엔진 성능향상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최적의 클리어런스(clearance)를 찾아내고 이에 따라서 엔진 내구시험을 하는 것은 중요한 시험조건 중 하나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를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엔진 내구실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메인 베어링의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bearing clearance)를 찾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 엔진 블록에서 샘플링된 실린더 블록을 포함하는실린더 블록 존; 상기 실린더 블록 존 하부에 위치하며 오일을 상기 실린더 블록에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오일 공급 존; 상기 실린더 블록에 메인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랭크 샤프트를 포함하는 크랭크 샤프트 존; 및 상기 실린더 블록 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실린더 블록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열공급기를 포함하는 실린더 커버 존을 포함하는,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크랭크 샤프트는 상기 실린더 블록에 대응하도록 전체 크랭크 샤프트 중 일부의 길이를 갖는 커티드(cutted) 크랭크 샤프트일 수 있다.
상기 실린더 커버 존은, 상기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열공급기로부터 열을 공급받는 열채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커버 존은, 상기 열공급기와 상기 열채움부 사이에 결합되는 열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블록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기를 포함하는 냉각수 공급 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공급 존은, 냉각수를 이송시키는 냉각수 이송라인;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냉각수 온도센서; 및 냉각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냉각수 유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공급 존은,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탱크; 및 상기 펌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오일 탱크 내의 오일을 이송하는 오일 공급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랭크 샤프트 존은,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는 최적의 클리어런스를 찾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엔진 내구실험에서스펀 베어링(spun bearing)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엔진 블록에서 실린더 블록을 샘플링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크랭크 샤프트가 실린더 블록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엔진 블록에서 실린더 블록을 샘플링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크랭크 샤프트가 실린더 블록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는, 엔진 메인 베어링(330)의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bearing clearance)를 찾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는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단계(이하, 테스트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단계는 엔진 내구 시험의 최초 단계로서 시행되거나, 엔진 내구 시험 단계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단계에서 메인 베어링(330)과 크랭크 샤프트(300) 사이의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를 확정할 수 있다.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를 확정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스탠다드 클리어런스에 맞추어 크랭크 샤프트(300)를 회전시킨 후에 크랭크 샤프트(300)의 스펀 베어링(spun bearing) 현상 발생 여부를 관찰할 수 있다. 스펀 베어링(spun bearing) 현장이 발생하게 되면 스탠다드 클리어런스를 벗어난 새로운 클리어런스에 따라 크랭크 샤프트(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스펀 베어링(spun bear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클리어런스를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로 확정할 수 있다.
이후에 이루어지는 엔진 내구 시험에서는 확정된 베어링 클리어런스에 따라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엔진 내구 시험에서 스펀 베어링(spun bearing)에 따른 실패 확률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단계는 실제 엔진 환경을 모사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는 실제 엔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는, 실린더 블록 존(zone), 오일 공급 존(zone), 크랭크 샤프트 존(zone), 실린더 커버 존(zone)을 포함하고, 냉각수 공급 존(zo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존(zone)'은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실린더 블록 존은 엔진 블록에서 샘플링된 실린더 블록(100)을 포함한다. 실린더 블록(100)은 엔진 블록(10)의 일부이다. 엔진 블록(10)의 일부를 커팅하여 샘플링된 실린더 블록(100)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엔진 블록(10)은 복수의 실린더(11)를 포함할 수 있다. 4기통 엔진인 경우 엔진 블록(10)은 4개의 실린더(11)를 포함한다. 엔진 블록(10)에 4개의 피스톤이 결합되며, 4개의 피스톤 각각이 실린더(11)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실린더(11)는 엔진 블록(10)의 일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실린더(11)의 개구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엔진 블록(10)의 타면(일면의 반대편)에는 저널(120)이 형성되는데, 저널(120)은 크랭크 샤프트(300)가 수용되는 반원 형상의 공간을 의미한다. 저널(120)은 엔진 블록(10)의 양끝과, 복수의 실린더(11) 사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4기통 엔진의 경우 5개의 저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블록(100)은 엔진 블록(10)을 한 개의 실린더(110)만 포함되도록 커팅하여 획득될 수 있다. 커팅은 저널(120)을 기준으로 이루어지고, 실린더 블록(100)은 두 개의 저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단계에서 엔진 블록 중 최소한의 부분만을 사용함으로써 비용 절감, 테스트의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
오일 공급 존은 실린더 블록 존의 하부에 위치한다. 오일 공급 존은 오일을 실린더 블록(100)으로 공급하기 위한 오일펌프(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 공급 존은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탱크(200) 및 오일을 이송시키는 오일 공급라인(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일은 크랭크 샤프트(300)가 회전함에 있어 윤활유로서 작용하여, 부품들의 마찰과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저널(120)에는 오일이 유출되는 유출구(H)가 마련된다. 오일은 유출구(H)로 유출되면서 크랭크 샤프트(300) 외주면에 오일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오일펌프(210)는 실린더 블록(100) 하부에 위치하며, 오일을 실린더 블록(100)으로 이송하기 위한 원동력을 제공한다. 오일펌프(210)는 오일 탱크(200) 내 저장된 오일을 흡입할 수 있다. 오일펌프(210)는 오일에 침지되어 오일을 흡입하는 스트레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펌프(210)에 의해 공급되는 오일은 실린더 블록(100)의 저널(120)의 유출구(H)까지 이송될 수 있다.
오일 탱크(200)는 오일을 저장한다. 오일 탱크(200)는 실린더 블록(100) 하부에 위치하며, 오일펌프(210)와 인접 또는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일펌프(210)는 오일 탱크(2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오일 탱크(200)는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일팬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오일팬을 모사하는 새로운 물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오일 탱크(200)는 오일팬과 다른 형태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오일 탱크(200)는 실린더 블록(100)의 하측(크랭크 샤프트(300) 측) 커버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실린더 블록(100)의 하측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구현될 수 있다. 오일 탱크(200)와 실린더 블록(100)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오일 탱크(200)와 실린더 블록(100) 각각에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체결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오일 공급라인(220)은 오일펌프(210)로부터 유출구(H)까지 연장된다. 오일펌프(210)가 오일 이송의 원동력을 제공하면, 오일 탱크(200)에 저장된 오일이 오일 공급라인(220)을 통해 이송될 수 있다. 오일 공급라인(220)은 실린더 블록(100)의 격벽(본체)을 따라 형성되어 저널(120)의 유출구(H)로 연결될 수 있다.
실린더 블록(100)에서 저널(120)은 두 개이며, 오일 공급라인(220)은 각각의 저널(120)의 유출구(H)로 분기될 수 있다(221, 222).
오일 공급라인(220)의 적어도 일부는 실린더 블록(10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실린더 블록(100) 내에 내장된 오일 공급라인(220)은 실린더 블록(100)의 격벽 내부에 마련된 오일 공급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오일 공급로는 실린더 블록(100)의 격벽을 따라 형성된다. 오일 공급라인(220)을 통해 유출구(H)로 유출된 오일은 다시 오일 탱크(200)로 회귀할 수 있다.
크랭크 샤프트 존은 크랭크 샤프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랭크 샤프트(300)는 실린더 블록(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크랭크 샤프트(300)는 실린더 블록(100)의 저널(120)에 안착된다. 실린더 블록(100)은 두 개의 저널(120)을 포함하고, 크랭크 샤프트(300)는 두 개의 저널(120)에 안착된다.
크랭크 샤프트(300)는 전체 크랭크 샤프트 중 일부의 길이를 갖는 커티드(cutted) 크랭크 샤프트일 수 있다. 즉, 실린더 블록(100)은 엔진 블록(10)의 일부이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크랭크 샤프트(300) 역시 전체 크랭크 샤프트를 일부 절단하여 획득한 커티드 크랭크 샤프트일 수 있다. 크랭크 샤프트(300)는 전체 크랭크 샤프트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도 4를 참조하면, 크랭크 샤프트(300)와 저널(120)은 메인 베어링(330, 330a)을 개재하여 결합된다.
메인 베어링(330, 330a)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메인 베어링(330, 330a)은 크랭크 샤프트(300) 외주면을 감싸며 저널(1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메인 베어링(330, 330a)은 크랭크 샤프트(300) 외주면을 감싸면서 서로 결합되고, 한 개의 메인 베어링(330)은 실린더 블록(100)(저널(12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 캡(340)은 메인 베어링(330, 330a)을 지지하도록 실린더 블록(10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 캡(340)은 실린더 블록(100) 반대측에 위치한 메인 베어링(330a)을 커버하면서 실린더 블록(1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300)와 메인 베어링(330) 사이의 간격이 클리어런스(A)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단계에서는 이 간격의 최적값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
크랭크 샤프트 존은 모터(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310)는 크랭크 샤프트(300)를 회전시키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모터(310)는 크랭크 샤프트(30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실제 엔진에서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따라 크랭크 샤프트(300)가 회전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에서는 크랭크 샤프트(300)를 인위적으로 회전시켜, 실제 엔진 환경을 모사한다. 모터(310)는 실제 엔진에서 크랭크 샤프트(300)가 회전하는 속도에 대응하여 크랭크 샤프트(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310)는 RPM 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크랭크 샤프트(300)의 회전속도를 모니터링하면서, 크랭크 샤프트(300)가 기설정된 RPM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크랭크 샤프트 존은 지지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20)는 크랭크 샤프트(30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크랭크 샤프트(300)를 지지하며, 지지부(320)는 크랭크 샤프트(30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지지부(320)는 크랭크 샤프트(300)를 기준으로 모터(310)와 반대쪽에 위치한다. 지지부(320)에는 회전 베어링(321)이 구비되어, 크랭크 샤프트(300)가 상기 회전 베어링(3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320)는 실제 엔진에서 크랭크 샤프트(300)가 회전하는 것과 같은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지지부(320)는 오일 누수를 방지하는 덮개 역할을 한다.
실린더 커버 존은 실린더 블록 존의 상부에 위치하며 실린더(110)를 커버할 수 있다. 실린더 커버 존은 실린더 블록(100)의 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커버 존은 실린더 블록(100)에 열을 공급하도록 열공급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 엔진에서는 많은 열이 발생하여 실린더 블록(100)의 온도가 높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에서, 실린더 블록(100)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열공급기(400)를 포함하는 실린더 커버 존이 형성된다. 열공급기(400)는 열을 발생하는 구성이라면 무엇이든 사용될 수 있고,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실린더 커버 존은 열채움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채움부(410)는 실린더 블록(100)의 실린더(110) 내부에 삽입되어 열공급로부터 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열채움부(410)는 실린더(110)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열채움부(410)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 커버 존은 열전달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부(420)는 열공급기(400)와 열채움부(410) 사이에 결합되며, 열전달부(420)는 실린더(1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열전달부(420)는 열채움부(410)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열전달부(420)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채움부(410)와 열전달부(420)는 동일한 소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 공급 존은 실린더 블록(100)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냉각수 공급 존은 냉각수 공급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 공급기(500)는 냉각수 저장부, 냉각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 저장부는 냉각수를 저장하며, 냉각수펌프는 냉각수를 흡입하여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냉각수 공급 존은 냉각수 이송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펌프로 흡입된 냉각수는 냉각수 이송라인을 따라 순환하면서 실린더 블록(1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냉각수 이송라인은 실린더 블록(100) 내부에 형성된 냉각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블록(100)의 냉각수로는 실린더 블록(100)의 격벽 내부에 실린더(110)를 둘러싸면서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 이송라인은 냉각라인(511)과 회귀라인(512)을 포함하며, 냉각수는 냉각라인(511)을 출발하여 실린더 블록(100)의 냉각수로를 경유한 후 회귀라인(512)을 통해 냉각수 공급기(500)로 회귀한다. 냉각라인(511)과 회귀라인(512) 각각 실린더 블록(100)의 냉각수로와 연결된다.
냉각수 공급 존은 냉각수 온도센서 및 냉각수 유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 온도센서 및 냉각수 유량센서는 냉각수 이송라인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냉각수 온도센서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냉각수 유량센서는 냉각수 유량을 측정한다.
한편, 실린더 블록 존은 실린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온도센서는 실린더 블록(10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 블록(100)의 실린더(110)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실린더 블록(100)의 온도가 기준값보다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실린더 커버 존의 열공급기(400)를 제어하여 열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100)의 온도가 기준값보다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열공급기(400)를 제어하여 열 공급량을 감소시키거나, 냉각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는 실제 엔진 환경과 가까운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술한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 공급(오일펌프(210) 구동), 크랭크 샤프트(300) 회전(모터(310) 구동), 열 공급(열공급기(400) 작동), 냉각수 공급(냉각수펌프 구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온도센서 및/실린더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측정된 온도에 따라 열 공급(열공급기(400) 작동), 냉각수 공급(냉각수펌프 구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실린더 블록
110: 실린더
120: 저널
200: 오일 탱크
210: 오일펌프
220: 오일 공급라인
300: 크랭크 샤프트
310: 모터
320: 지지부
330, 330a: 메인 베어링
340: 베어링 캡
400: 열공급기
410: 열채움부
420: 열전달부
500: 냉각수 공급기

Claims (8)

  1. 메인 베어링의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bearing clearance)를 찾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 엔진 블록에서 샘플링된 실린더 블록을 포함하는실린더 블록 존;
    상기 실린더 블록 존 하부에 위치하며 오일을 상기 실린더 블록에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오일 공급 존;
    상기 실린더 블록에 메인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랭크 샤프트를 포함하는 크랭크 샤프트 존; 및
    상기 실린더 블록 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실린더 블록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열공급기를 포함하는 실린더 커버 존을 포함하는,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는 상기 실린더 블록에 대응하도록 전체 크랭크 샤프트 중 일부의 길이를 갖는 커티드(cutted) 크랭크 샤프트인,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커버 존은,
    상기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열공급기로부터 열을 공급받는 열채움부를 포함하는,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커버 존은,
    상기 열공급기와 상기 열채움부 사이에 결합되는 열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블록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기를 포함하는 냉각수 공급 존을 더 포함하는,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 존은
    냉각수를 이송시키는 냉각수 이송라인;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냉각수 온도센서; 및
    냉각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냉각수 유량센서를 더 포함하는,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공급 존은,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탱크; 및
    상기 펌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오일 탱크 내의 오일을 이송하는 오일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 존은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KR1020190151639A 2019-11-22 2019-11-22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KR20210063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639A KR20210063126A (ko) 2019-11-22 2019-11-22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639A KR20210063126A (ko) 2019-11-22 2019-11-22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126A true KR20210063126A (ko) 2021-06-01

Family

ID=7637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639A KR20210063126A (ko) 2019-11-22 2019-11-22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31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0973B2 (en) Automatic engine oil life determination with a factor for oil quality
US8392054B2 (en) Automatic engine oil life determination adjusted for volume of oil exposed to a combustion event
US657501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oil viscosity
BRPI0721646A2 (pt) tensionador de polia para uma transmissço por correio banhada em àleo
US8234915B2 (en) Automatic engine oil life determination with a factor for degradation based on an initial volume of oil
US8359913B2 (en) Automatic engine oil life determination adjusted for presence of oil squirters
JP2009511912A (ja) 使用済全損式シリンダー潤滑油の塩基度を判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6341169B2 (ja) エンジンの燃料ポンプ取付構造
CN109975006A (zh) 一种立式低速机连杆瓦疲劳试验平台机
US20120042718A1 (en) Automatic engine oil life determination adjusted for consumed volume of oil
KR20210063126A (ko) 최적의 베어링 클리어런스 테스트 장치
US11788446B1 (en) Vehicle liqui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080054466A (ko) 피스톤 링의 마모 시험장치
US20170175621A1 (en) Engine operable in horizontal and vertical shaft orientations
GB2442490A (en) A method for determining degradation of lubricating oil
US20170167479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crankshaft adapter and method
JP2008232734A (ja) シリンダボア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KR102000816B1 (ko) 내연 기관의 액체 검출 시스템
JP4415890B2 (ja) シリンダボア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US20090301186A1 (en) Engine oil level detecting device
KR100444682B1 (ko) 자동차용 워터펌프의 이상유무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14376A (ko) 베어링 메탈
KR101868437B1 (ko) 밸런스 샤프트
KR20160093364A (ko) 선박 엔진 윤활유의 수분 함유도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FI110337B (fi) Järjestely lämpötilan tarkkailemiseksi mäntämoottorin yhteydess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