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826A -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826A
KR20210062826A KR1020190150957A KR20190150957A KR20210062826A KR 20210062826 A KR20210062826 A KR 20210062826A KR 1020190150957 A KR1020190150957 A KR 1020190150957A KR 20190150957 A KR20190150957 A KR 20190150957A KR 20210062826 A KR20210062826 A KR 20210062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nalysis
server
piping
respons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436B1 (ko
Inventor
조성국
Original Assignee
이노스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스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스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0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4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06F30/23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using finite element methods [FEM] or finite difference methods [FD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8Network design, e.g. design based on topological or interconnect aspects of utility systems, pip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or cabl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2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reactor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14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되는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구조물과 배관에 대하여 연계 해석을 수행하여 지진시 배관의 거동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지진시 배관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여 배관의 진동을 제어하는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시 배관의 거동을 정확하게 계산해서 지진시 배관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SEISMIC RESPONSE CONTROL APPARATUS OF PIPING}
본 발명은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진동을 제어하는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의 배관계 지지에 적용되고 있는 제진장치는 발전소의 가동 및 정지에 따른 열변위와 지진 또는 진동과 같은 동하중 작용시 배관계에 가해진 운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응력을 유발시키지 않도록 에너지를 일정 비율로 분산 또는 흡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진장치가 정상상태에서는 설계범위 내 열변위는 완전 흡수하지만 내외부적인 요인으로 동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이를 지지구조물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관행적인 방식으로 계산된 과도하게 높은 지진력으로 인해 산업계에서는 스누버(snubber)나 갭 지지대와 같은 특정 내진 지지대의 사용이 증대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지지대들은 배관시스템의 강성을 더 크게 만들어 운전 중의 진동 혹은 지진 운동 중에 더 큰 부재력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설치 비용이 고가이고 유지관리 비용도 많이 들어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등록번호 제10-0698732호)에서는 원자로 내부 구조물의 치수 및 하중 증가 시에도 기존 부착물 제작 코드의 적용 범위와 무관하게 다른 쉘 구조의 기기 부착물에 대한 제작을 수행하고 그 기기의 건전성을 평가하지만, 배관시스템의 강성을 더 크게 만들어 운전 중의 진동 혹은 지진 운동 중에 더 큰 부재력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2(등록번호 제10-1317850호)에서는 배관 설계기준을 만족하면서 서포트 타입에 따른 서포트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용 배관 해석 프로그램인 해석 모듈을 이용하여 해석 절차를 정립하고, 최적설계모듈을 이용하여 설계 자동화를 구현하고, 내장된 진화알고리즘 연산을 통해 최적설계를 수행하지만 배관의 서포트 타입은 배관시스템의 강성을 더 크게 만들어 운전 중의 진동 혹은 지진 운동 중에 더 큰 부재력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제10-0698732호, 원자로 내부 구조물의 핵연료 지지용기 스너버 제작 방법 등록번호 제10-1317850호, 배관 구조물의 배관서포트 타입 최적화설계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물과 배관에 대하여 연계 해석을 수행하여 지진시 배관의 거동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지진시 배관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여 배관의 진동을 제어하는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구조물 설계도의 구조물, 배관 설계 사양 및 배관에 가해지는 하중을 포함하는 정보를 설정하는 단말기; 및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는 유한 요소 해석 모델을 작성하고, 작성된 유한 요소 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유한 요소 해석하고, 해석 결과를 산출하여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설계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유한 요소 해석함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서 나오는 응답을 상기 배관의 입력운동으로 입력하여 상기 배관에 대하여 구조 해석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구조물에 대해 1차 계통 구조 해석과 1차 계통 동적 해석을, 상기 배관에 대해 2차 계통 구조 해석과 2차 계통 비선형 동적 해석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유한 요소 해석함에 있어, 상기 구조물, 상기 배관 및 상기 구조물의 기기에 대해 연계 해석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연계 해석함에 있어, 진동수, 모드참여계수 및 모드형상의 모드 특성을 검출하고, 1차 주계통과 2차 부속계통의 비고전적 감쇠 효과를 반영하여 모드합성법을 이용한 연계 해석의 모드 해를 계산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질량 행렬, 감쇠 행렬 및 강성 행렬을 포함하는 자유 진동 방정식과 상기 질량 행렬에 대해 자유도가 m인 1차 계통과 2차 계통의 연계 계통 운동 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계 해석의 모드 해를 계산한다.
또한, 상기 서버가, 상기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설계함에 있어, 상기 배관 진동 저감 장치인 탄소성 스프링 댐퍼를 설계 제작하고, 설계 제작된 탄소성 스프링 댐퍼를 이용한 재료 노화, 연결부 강성 효과 및 장주기 피로의 원전 배관모델의 비선형 지진 응답을 해석하고, 해석된 비선형 지진 응답에 따른 성능 열화 위험 지점을 규명해서 비선형 지진 응답을 해석하고, 해석된 비선형 지진 응답의 상기 탄소성 스프링 댐퍼의 효과를 분석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탄소성 스프링 댐퍼를 구성하는 탄소성 스프링의 사양을 결정함에 있어, 권선의 직경, 스프링 직경, 유효권수, 스프링 높이 및 스프링 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수를 고려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배관 진동 저감 장치에서의 설계 결과물의 사양을 상기 구조물 설계도에 표시한다.
본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근본적인 개념들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에 대해서만 참조되었으나, 모든 본 발명의 측면들 내에서 본 발명은 추가적인 더 나아가 실시예들을 물론 또한 포괄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에게 쉽게 명백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 장치 및 시스템들은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에 대해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시 배관의 거동을 정확하게 계산해서 지진시 배관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진시 배관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제공하여 배관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배관 설계 방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배관 진동 저감 장치의 설계 방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탄소성 스프링 댐퍼를 적용한 배관 진동 저감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은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구조물 설계도의 구조물, 배관 설계 사양 및 배관에 가해지는 하중을 포함하는 정보를 설정하는 단말기(10); 및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는 유한 요소 해석 모델을 작성하고, 작성된 유한 요소 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유한 요소 해석하고, 해석 결과를 산출하여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설계하는 서버(20);를 포함한다. 배관 설계 사양은 배관의 직성,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종류를 포함하고, 하중 설정은 관의 압력, 외력을 포함한다.
단말기(10)가 서버(20)에 연결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구조믈 설계도, 배관 설계 사양 및 배관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정보가 서버(20)로 업로드되고, 서버(20)에서 배관 진동 저감 장치 및 배관의 설계 사양이 계산되어 구조물 설계도에 배관 진동 저감 장치 및 배관의 설계 사양이 부가되어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로 출력된다. 단말기(1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배관의 설계 사양을 보고 배관을 설치할 수 있고, 이때 배관 진동 저감 장치도 설치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임베디드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임베디드 장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며, 기본 구성 요소로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용 OS를 구비하고, OS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 스마트폰의 프로세서는 제어부로 동작하고,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는 표시부로 동작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측면에서 소프트웨어 구조는, 제어부 및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임베디드 장치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동작 환경에 따라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 통합 개발 환경에 의해 만들어진다.
서버(20)는 유한 요소 해석함에 있어, 구조물에서 나오는 응답을 배관의 입력운동으로 입력하여 배관에 대하여 구조 해석한다. 서버(20)는 구조물에 대해 1차 계통 구조 해석과 1차 계통 동적 해석을, 배관에 대해 2차 계통 구조 해석과 2차 계통 비선형 동적 해석을 수행한다. 1차 계통 구조 해석은 원자로를 둘러싼 각종기기 및 설비에 대한 구조해석이고, 2차 계통 구조 해석은 전기 생산에 필요한 터빈과 발전기 등에 대한 구조해석이고, 비선형 동적 해석은 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과 이에따른 응답이 비선형관계가 있는 구조물에 동적하중 작용시 관성력과 감쇠력을 고려하여 거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서버(20)는 배관에 발생되는 외력인 배관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분석하고, 배관이 설치된 위치와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응답의 증폭 혹은 저감이 발생함을 고려하여 배관이 설치된 층의 응답을 고려한 해석을 수행한다. 즉, 서버(20)는 구조물과 배관의 상호 작용을 해석한다.
서버(20)는 반력, 배관의 응력 및 최대 변위를 포함하는 해석 결과를 산출하고, 해석 결과로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설계한다.
서버(20)는 배관 진동 저감 장치에서의 설계 결과물의 사양을 구조물 설계도에 표시한다. 서버(20)가 배관 진동 저감 장치의 상세 설계 사양을 구조물 설계도에 표시해서 작업자가 구조물 설계도에 표시된 배관 진동 저감 장치 상세 설계 사양을 보고 구조물에 설치된 배관에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서버(20)는 임베디드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임베디드 장치는 컴퓨터를 포함하며, 기본 구성 요소로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용 OS를 구비하고, OS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서버(20)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임베디드 장치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동작 환경에 따라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 통합 개발 환경에 의해 만들어진다. 통합 개발 환경에 사용되는 프로그래밍은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되는 컴퓨팅 환경에 따라 웹, 모바일 앱, 윈도우 앱으로 구분되고, 앱 종류에 맞게 웹 프로그래밍, 모바일 프로그래밍, 윈도우 프로그래밍으로 나누어진다.
서버(20)에 사용되는 웹 프로그래밍은 태그 정의로 이루어진 html과 문서 형식 정의 css가 결합되어 웹 프레임워크를 구성한다. 웹 프레임워크에서 클라이언트단의 프런트 엔드와 서버 측 프로그래밍 언어가 사용되는 백 엔드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거대한 웹 환경을 만든다. 웹 환경은 서버(20)가 동작하는 주요 무대이며, 서버(20)는 모바일 앱, 콘솔 앱 및 윈도우 앱과 웹 환경에서 통신하며 사용자에게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는 배관 설계 방법을 보인 예시도이다.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구조물 설계도의 구조물, 배관 설계 사양(S10) 및 배관에 가해지는 하중을 포함하는 정보를 설정한다(S20).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는 유한 요소 해석 모델을 작성하고(S30), 작성된 유한 요소 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유한 요소 해석하고(S40), 해석 결과를 산출하여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설계한다(S50). 배관 설계 사양은 배관의 직성,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종류를 포함하고, 하중 설정은 관의 압력, 외력을 포함한다.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유한 요소 해석함에 있어, 구조물에서 나오는 응답을 배관의 입력운동으로 입력하여 배관에 대하여 구조 해석한다(S40).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구조물에 대해 1차 계통 구조 해석과 1차 계통 동적 해석을, 배관에 대해 2차 계통 구조 해석과 2차 계통 비선형 동적 해석을 수행한다.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배관에 발생되는 외력인 배관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분석하고, 배관이 설치된 위치와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응답의 증폭 혹은 저감이 발생함을 고려하여 배관이 설치된 층의 응답을 고려한 해석을 수행한다. 즉,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구조물과 배관의 상호 작용을 해석한다.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반력, 배관의 응력 및 최대 변위를 포함하는 해석 결과를 산출하고, 해석 결과로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설계한다.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유한 요소 해석함에 있어, 구조 물, 배관 및 구조물의 기기에 대해 연계 해석한다.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연계 해석함에 있어, 진동수, 모드참여 계수 및 모드형상의 모드 특성을 검출하고, 1차 주계통과 2차 부속계통의 비고전적 감쇠 효과를 반영하여 모드합성법을 이용한 연계 해석의 모드 해를 계산한다. 진동수는 구조물의 동적 특성으로 단위시간동안 진동하는 횟수를 의미하고, 모드참여계수는 해당 모드가 구조물 응답에 참여하는 정도이고, 모드형상은 진동하는 구조물의 특정 진동수에서의 진동형상이고, 모드합성법은 모드 직교성이 성립하는 구조물의 각 모드에 대한 독립적인 단자유도계 운동방정식을 유도하여 해를 구한후, 이를 조합하는 방법이다.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질량 행렬, 감쇠 행렬 및 강성 행렬을 포함하는 자유 진동 방정식과 질량 행렬에 대해 자유도가 m인 1차 계통과 2차 계통의 연계 계통 운동 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계 해석의 모드 해를 계산한다.
도 3은 배관 진동 저감 장치의 설계 방법을 보인 예시도이다.
배관 진동 저감 장치인 탄소성 스프링 댐퍼는 소성변형으로 이력감쇠를 이용한 배관의 진동을 제어한다.
탄소성 스프링 댐퍼는 탄성 스프링과 조합하여 사용하므로 장치 작동후 복원이 용이하고 댐퍼를 구성하는 부품의 재질은 강재로서 열에 강하고 누유의 위험이 없다.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설계함에 있어, 배관 진동 저감 장치인 탄소성 스프링 댐퍼를 설계 제작하고(S60), 설계 제작된 탄소성 스프링 댐퍼를 이용한 재료 노화, 연결부 강성 효과 및 장주기 피로의 원전 배관모델의 비선형 지진 응답을 해석하고(S70), 해석된 비선형 지진 응답에 따른 성능 열화 위험 지점을 규명해서(S80) 비선형 지진 응답을 해석하고(S90), 해석된 비선형 지진 응답의 탄소성 스프링 댐퍼의 효과를 분석한다(S100).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탄소성 스프링 댐퍼를 구성하는 탄소성 스프링의 사양을 결정함에 있어, 권선의 직경, 스프링 직경, 유효권수, 스프링 높이 및 스프링 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수를 고려한다.
권선의 직경이 두꺼워질수록 강성 증가하고 스프링 저항력 및 감쇠력 증가하고, 스프링 직경이 커질수록 강성 감소하고 스프링 저항력 및 감쇠력 감소하고, 유효권수가 커질수록 강성 감소하고 스프링 저항력 및 감쇠력 감소하고, 스프링 높이가 커질수록 항복 변위 감소하고 스프링 감쇠력 증가하고, 스프링 재료에서 재료의 탄성계수가 커질수록 강성 증가하고 스프링 저항력 및 감쇠력 증가하고, 재료의 전단탄성계수가 커질수록 강성 증가하고 스프링 저항력 및 감쇠력 증가하고, 항복응력이 커질수록 항복변위 증가하고 스프링 감쇠력 증가한다.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는 스프링 저항력 및 감쇠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권선의 직경을 두껍게, 스프링 직경을 작게, 유효권수를 작게, 스프링 높이를 크게, 재료의 탄성계수를 크게, 재료의 전단탄성계수를 크게, 항복응력을 크게 해서 배관 진동 저감 장치인 탄소성 스프링 댐퍼를 제작할 수 있다.
도 4는 탄소성 스프링 댐퍼를 적용한 배관 진동 저감 장치의 단면도이다.
배관 진동 저감 장치인 탄소성 스프링 댐퍼는 외곽에 탄소성 스프링을 구성하고, 내측에 탄성 스프링을 구성한다. 탄소성 스프링 댐퍼는 탄소성 스프링과 탄성 스프링을 조합하여 지진에 따른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단말기
20: 서버

Claims (9)

  1. 구조물 설계도의 구조물, 배관 설계 사양 및 배관에 가해지는 하중을 포함하는 정보를 설정하는 단말기; 및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는 유한 요소 해석 모델을 작성하고,
    작성된 유한 요소 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유한 요소 해석하고, 해석 결과를 산출하여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설계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유한 요소 해석함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서 나오는 응답을 상기 배관의 입력운동으로 입력하여 상기 배관에 대하여 구조 해석하는,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구조물에 대해 1차 계통 구조 해석과 1차 계통 동적 해석을, 상기 배관에 대해 2차 계통 구조 해석과 2차 계통 비선형 동적 해석을 수행하는,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유한 요소 해석함에 있어, 상기 구조물, 상기 배관 및 상기 구조물의 기기에 대해 연계 해석하는,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연계 해석함에 있어,
    진동수, 모드참여계수 및 모드형상의 모드 특성을 검출하고, 1차 주계통과 2차 부속계통의 비고전적 감쇠 효과를 반영하여 모드합성법을 이용한 연계 해석의 모드 해를 계산하는,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질량 행렬, 감쇠 행렬 및 강성 행렬을 포함하는 자유 진동 방정식과 상기 질량 행렬에 대해 자유도가 m인 1차 계통과 2차 계통의 연계 계통 운동 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계 해석의 모드 해를 계산하는,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배관 진동 저감 장치를 설계함에 있어,
    상기 배관 진동 저감 장치인 탄소성 스프링 댐퍼를 설계 제작하고,
    설계 제작된 탄소성 스프링 댐퍼를 이용한 재료 노화, 연결부 강성 효과 및 장주기 피로의 원전 배관모델의 비선형 지진 응답을 해석하고,
    해석된 비선형 지진 응답에 따른 성능 열화 위험 지점을 규명해서 비선형 지진 응답을 해석하고,
    해석된 비선형 지진 응답의 상기 탄소성 스프링 댐퍼의 효과를 분석하는,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탄소성 스프링 댐퍼를 구성하는 탄소성 스프링의 사양을 결정함에 있어,
    권선의 직경, 스프링 직경, 유효권수, 스프링 높이 및 스프링 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변수를 고려하는,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배관 진동 저감 장치에서의 설계 결과물의 사양을 상기 구조물 설계도에 표시하는,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KR1020190150957A 2019-11-22 2019-11-22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KR102288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57A KR102288436B1 (ko) 2019-11-22 2019-11-22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57A KR102288436B1 (ko) 2019-11-22 2019-11-22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826A true KR20210062826A (ko) 2021-06-01
KR102288436B1 KR102288436B1 (ko) 2021-08-10

Family

ID=7637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57A KR102288436B1 (ko) 2019-11-22 2019-11-22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4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553A (ja) * 1998-01-23 1999-08-06 Hitachi Ltd 配管簡易地震応答評価法
KR20020032659A (ko) * 2000-10-25 2002-05-04 한국동서발전(주) 배관계 진동흡수 장치
JP2003132107A (ja) * 2001-10-25 2003-05-09 Hitachi Ltd 配管装置及び配管装置の設計方法
KR100698732B1 (ko) 2005-06-01 2007-03-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로 내부 구조물의 핵연료 지지용기 스너버 제작 방법
JP2011064555A (ja) * 2009-09-16 2011-03-31 Nagano Science Kk 地震リスク評価システム
KR101317850B1 (ko) 2012-02-20 2013-10-15 제이씨이엔씨(주) 배관 구조물의 배관서포트 타입 최적화설계방법
KR20150084392A (ko) * 2014-01-14 2015-07-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과 부속물 사이의 예상응력 산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553A (ja) * 1998-01-23 1999-08-06 Hitachi Ltd 配管簡易地震応答評価法
KR20020032659A (ko) * 2000-10-25 2002-05-04 한국동서발전(주) 배관계 진동흡수 장치
JP2003132107A (ja) * 2001-10-25 2003-05-09 Hitachi Ltd 配管装置及び配管装置の設計方法
KR100698732B1 (ko) 2005-06-01 2007-03-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로 내부 구조물의 핵연료 지지용기 스너버 제작 방법
JP2011064555A (ja) * 2009-09-16 2011-03-31 Nagano Science Kk 地震リスク評価システム
KR101317850B1 (ko) 2012-02-20 2013-10-15 제이씨이엔씨(주) 배관 구조물의 배관서포트 타입 최적화설계방법
KR20150084392A (ko) * 2014-01-14 2015-07-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과 부속물 사이의 예상응력 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436B1 (ko)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ias et al. Distributed tuned mass dampers for multi-mode control of benchmark building under seismic excitations
Dai et al. Tuned mass-damper-inerter control of wind-induced vibration of flexible structures based on inerter location
Xu et al. Optimization of structures subject to stochastic dynamic loading
Fadel Miguel et al. A novel approach to the optimum design of MTMDs under seismic excitations
Mensah et al. Improved reliability of wind turbine towers with tuned liquid column dampers (TLCDs)
Akcelyan et al. Adaptive numerical method algorithms for nonlinear viscous and bilinear oil damper models subjected to dynamic loading
Pollini et al. Optimization‐based minimum‐cost seismic retrofitting of hysteretic frames with nonlinear fluid viscous dampers
Erazo et al. Bayesian structural identification of a hysteretic negative stiffness earthquake protection system using unscented Kalman filtering
Elias et al. Seismic vulnerability of a non-linear building with distributed multiple tuned vibration absorbers
Luo et al. Design, simulation, and large‐scale testing of an innovative vibration mitigation device employing essentially nonlinear elastomeric springs
Xu et 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study on a building structure controlled by multi-dimensional earthquake isolation and mitigation devices
Wang et al. Tests, model, and applications for coned-disc-spring vertical isolation bearings
Smith The damped outrigger-design and implementation
Ray et al. Nonlinear elastic and inelastic spectra with inherent and supplemental damping
De et al. Efficient optimal design and design‐under‐uncertainty of passive control devices with application to a cable‐stayed bridge
Zhu et al. Seismic performance of tuned liquid column dampers for structural control using real-time hybrid simulation
Lee et al. The effect of damping in isolation system on the performance of base-isolated system
Lee et al.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y of sliding mode control for isolated bridges with MR dampers
KR102288436B1 (ko) 배관의 지진 응답 제어 장치
Mousavi et al. A novel method for efficient design of frame structures equipped with nonlinear viscous dampers by using computational results of cylindrical friction damper
Wang et al. An inerter‐enhanced asymmetric nonlinear energy sink for response mitigation of structures subjected to harmonic and seismic ground excitations
Zhou et al. Semi-active control of shallow cables with magnetorheological dampers under harmonic axial support motion
Koo et al. Experimental robustness analysis of magneto-rheological tuned vibration absorbers subject to mass off-tuning
KR102197961B1 (ko) 수배전반 및 제어반을 포함하는 전기설비를 지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내진 장치를 설계하는 시스템
Maślanka Measured performance of a semi-active tuned mass damper with acceleration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