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373A - 에기바늘 복원구 - Google Patents
에기바늘 복원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2373A KR20210062373A KR1020190150521A KR20190150521A KR20210062373A KR 20210062373 A KR20210062373 A KR 20210062373A KR 1020190150521 A KR1020190150521 A KR 1020190150521A KR 20190150521 A KR20190150521 A KR 20190150521A KR 20210062373 A KR20210062373 A KR 202100623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toration
- handle
- needle
- egi
- guide rod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기바늘 복원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기에 포함된 복수의 에기바늘을 한꺼번에 복원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되고 단시간에 에기바늘을 수리하여 에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상방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외측에 위치하게끔 복수 개의 에기바늘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바늘체가 내측에 수용되는 복원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복원몸체는 복원하고자 하는 걸림부가 맞닿는 수용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가 양분되도록 나뉘어져 제1 복원몸체와 제2 복원몸체로 이루어져, 변형된 바늘체를 양분된 수용부가 마주하도록 이격된 제1 복원몸체와 제2 복원몸체 사이에 위치시킨 후 제1 복원몸체와 제2 복원몸체의 이격된 간격을 줄임으로써 바늘체가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기바늘 복원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기바늘 복원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에기바늘을 한꺼번에 복원할 수 있는 에기바늘 복원구에 과한 것이다.
낚시는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여유를 느끼게 해주는 레포츠로서 그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루어 낚시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지는 가짜 미끼를 낚싯줄의 끝에 매달아 낚시감을 유혹하는 낚시 방법으로서 생미끼 낚시와 더불어 대중화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루어라고 불리는 가짜 미끼 끝에는 바늘(갈고리 또는 훅(hook))이 달려 있으며, 낚시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낚시 바늘이 달려 있는 것도 있다. 이처럼 복수의 낚시 바늘이 달려 있는 것 중 하나가 중 오징어, 문어, 낙지 등과 같은 두족류를 낚시하는데 사용하는 에기이다.
에기는 새우나 작은 물고기 등의 형상으로 된 몸체의 꼬리부분에 복수의 에기바늘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바늘체가 상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에기를 여러 번 사용하는 경우, 또는 에기가 강이나 바다의 바닥의 자갈이나 암초와 같은 장애물에 걸리는 경우, 에기바늘은 본래의 형상으로부터 바늘이 바깥쪽으로 벌어지거나 틀어지는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처럼 변형된 에기바늘에는 낚시감이 제대로 걸리지 않고 낚시감을 붙잡는 힘이 약해져 낚시를 실패하게 된다.
종래 에기바늘이 변형된 에기는 폐기하였으나, 불필요한 자원 낭비와 환경 오염을 초래하는바, 변형된 에기바늘을 복원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0008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기에 포함된 에기바늘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바늘펴기(2)를 포함하고 있으며, 변형된 에기바늘을 바늘펴기(2)에 삽입시킨 후 움직임으로써 에기바늘을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에기바늘을 하나씩만 바늘펴기(2)에 삽입할 수 있어, 복수의 에기바늘에 변형이 일어난 경우 인용발명을 통해 복원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많은 수고가 든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기에 포함된 복수의 에기바늘을 한꺼번에 복원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되고 단시간에 에기바늘을 수리하여 에기를 재사용할 수 있는 에기바늘 복원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에기바늘 복원구는 상방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외측에 위치하게끔 복수 개의 에기바늘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바늘체가 내측에 수용되는 복원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복원몸체는 복원하고자 하는 걸림부가 맞닿는 수용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가 양분되도록 나뉘어져 제1 복원몸체와 제2 복원몸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복원몸체와 제2 복원몸체 각각에 형성된 수용부는 맞닿을 시 원통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복원몸체와 제2 복원몸체의 마주하는 면은 수용부를 중심으로 양측 상부와 하부가 가압스프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막대 형태를 이루며 일단부에 제1 복원몸체가 구비되는 제1 손잡이와, 상기 제1 손잡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태를 이루며 일단부에 제2 복원몸체가 구비되는 제2 손잡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는 각각의 일단부가 맞닿을 시 양분된 수용부가 마주하도록 타단이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 손잡이의 일단에서 제2 손잡이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제1 가이드봉과, 상기 제1 가이드봉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2 손잡이의 일단에서 제1 손잡이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 가이드봉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봉은 제2 가이드봉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고 외측단이 제2 가이드봉의 외측단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봉과 제2 가이드봉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축스프링은 제1 가이드봉의 외측단이 제2 가이드봉의 외측단에 걸리도록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손잡이의 타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2 손잡이의 타단부를 향해 볼록한 호 형태를 이루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의 일단부는 판스프링에 의해 평상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된 바늘체를 양분된 수용부가 마주하도록 이격된 제1 복원몸체와 제2 복원몸체 사이에 위치시킨 후 제1 복원몸체와 제2 복원몸체의 이격된 간격을 줄이는 것만으로 바늘체가 복원되므로, 복수의 에기바늘을 한꺼번에 복원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되고, 단시간에 에기바늘을 수리하여 에기를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복원몸체와 제2 복원몸체가 벌어진 상태에서 복원된 바늘체를 복원몸체로부터 빼내게 되므로, 복원몸체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에기바늘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가압스프링이 가압되도록 하거나 일부의 가압스프링만이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복수의 에기바늘을 복원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지는 동작만으로 변형된 바늘체의 복원을 손쉽게 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종래 에기바늘 복원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에 의해 복원될 바늘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에 의해 바늘체가 복원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가 가압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에 적용되는 제1 가이드봉, 제2 가이드봉, 압축스프링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에 의해 바늘체가 복원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에 의해 복수 개의 바늘체가 복원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에 의해 복원될 바늘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에 의해 바늘체가 복원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가 가압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에 적용되는 제1 가이드봉, 제2 가이드봉, 압축스프링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에 의해 바늘체가 복원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에기바늘 복원구에 의해 복수 개의 바늘체가 복원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에기에 포함된 복수의 에기바늘을 한꺼번에 복원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되고 단시간에 에기바늘을 수리하여 에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상방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외측에 위치하게끔 복수 개의 에기바늘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바늘체가 내측에 수용되는 복원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복원몸체는 복원하고자 하는 걸림부의 형태가 맞닿는 수용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가 양분되도록 나뉘어져 제1 복원몸체와 제2 복원몸체로 이루어져, 변형된 바늘체를 양분된 수용부가 마주하도록 이격된 제1 복원몸체와 제2 복원몸체 사이에 위치시킨 후 제1 복원몸체와 제2 복원몸체의 이격된 간격을 줄임으로써 바늘체가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기바늘 복원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에기바늘 복원구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에기바늘 복원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체(20)가 내측에 수용되는 복원몸체(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바늘체(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우나 작은 물고기 등의 형상으로 된 에기몸체의 꼬리부분에 복수 개의 에기바늘(10)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것을 의미하며, 에기바늘(10)은 상방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걸림부(11)를 포함하여 'J'자 형태로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배치됨에 있어 걸림부(11)가 외측에 위치하게끔 구비된다. 또한, 걸립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하면서 외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바늘체(20)가 내측에 수용되는 복원몸체(100)는 복원하고자 하는 걸림부(11)가 맞닿는 수용부(11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일 예로 걸림부(11)가 본래의 위치보다 바깥쪽으로 벌어지게끔 변형된 바늘체(20)가 수용부(1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수용부(110)와 맞닿음으로써 벌어진 걸림부(11)가 본래의 위치로 돌아와 복원된다.
따라서, 복원몸체(100)에 변형된 바늘체(20)를 삽입하였다가 꺼냄으로써 본래의 상태로 바늘체(20)를 복원할 수 있기는 하나, 끝단이 상방을 향하고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이루는 걸림부(11)가 복원몸체(100)로부터 꺼내지는 과정에서 걸림이 발생되어 훼손되거나 다시금 변형이 될 수 있는바, 본 출원발명에서의 복원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0)가 양분되도록 나뉘어져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변형된 바늘체(20)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분된 수용부(11)가 마주하면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 사이에 위치시킨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의 이격된 간격을 줄임으로써, 바늘체(20)가 본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처럼 본 발명인 에기바늘 복원구는 복수의 에기바늘(10)을 한꺼번에 복원가능하므로 편의성이 증대되고, 단시간에 에기바늘(10)을 수리하여 에기를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가 벌어진 상태에서 복원된 바늘체(20)를 복원몸체(100)로부터 빼내게 되므로, 복원몸체(10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에기바늘(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복원몸체(100)를 구성하는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 각각에 형성된 수용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닿을 시 원통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의 마주하는 면은 수용부(110)를 중심으로 양측 상부와 하부가 탄성을 가진 가압스프링(1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스프링(120)으로 인해,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는 평상시 복원하고자 하는 바늘체(20)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이루고 있게 되며,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의 이격된 간격을 줄여 바늘체(20)를 복원한 후에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는 가압스프링(120)의 탄성에 의해 본래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가압스프링(120) 모두가 가압되도록 하여 바늘체(20)를 복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의 하부를 연결하는 가압스프링(120) 또는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의 상부를 연결하는 가압스프링(120) 만이 가압되도록 하여 바늘체(20)를 복원할 수 있다. 더불어,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의 상부를 연결하는 가압스프링(120)의 가압 정도와,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의 하부를 연결하는 가압스프링(120)의 가압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복원하고자 하는 바늘체(20)의 본래 형태가 상이하거나, 에기 바늘(10)이 외측으로 벌어진 정도가 상이하더라도 복원몸체(100)의 상부 또는/및 하부에 구비된 가압스프링(120)를 적절하게 가압함으로써 바늘체(20)를 복원할 수 있으며, 복원된 바늘체(20)의 형태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사용자는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복원몸체(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하고자 하는 걸림부(11)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수용부(11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용부(110)는 바늘체(20)의 변형이 되기 전, 본래의 바늘체(20)를 구성하는 걸림부(11)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바늘체(20)를 복원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복원몸체(100)에는 수용부(110)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수용부(11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바늘체(20)를 가지는 에기에 대하여도 본 발명을 이용하여 변형된 복수 개의 바늘체(20)를 한꺼번에 복원할 수 있다.
한편,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로 이루어진 복원몸체(100)만을 가지고 다니며 에기의 바늘체(20)를 복원할 수 있으나, 가압스프링(120)이 없는 경우 분리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바늘체(20)의 크기를 고려하였을 때 그 크기가 작으므로 분실의 우려가 있고, 바늘체(20)를 복원하기 위하여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가 상호 정확히 맞닿도록 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는바,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복원몸체(100a)가 구비되는 제1 손잡이(210)와, 제2 복원몸체(100b)가 구비되는 제2 손잡이(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는 막대 형태를 이루며 상호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부에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일단부가 맞닿을 시 양분된 수용부(110)가 마주하도록 타단이 힌지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가 이보다 큰 부피를 가지는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가 상호 힌지결합되어 있는바, 분실의 우려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양분된 수용부(110) 사이에 변형된 바늘체(20)가 위치하도록 한 다음,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를 손으로 움켜지는 동작만으로 변형된 바늘체(20)의 복원을 손쉽게 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본 발명인 에기바늘 복원구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210)의 일단과 제2 손잡이(220)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제1 가이드봉(310)과 제2 가이드봉(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봉(310)과 제2 가이드봉(320)이 구비되는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의 일단은 각각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가 구비된 지점으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되면서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가 맞닿을 시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제1 가이드봉(310)은 봉 형태를 이루며 제1 손잡이(210)의 일단에서 제2 손잡이(220)를 향하도록 구비되며, 제2 가이드봉(320)은 봉 형태를 이루며 제2 손잡이(220)의 일단에서 제1 손잡이(210)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2 가이드봉(320)은 제1 가이드봉(3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1 가이드봉(310)과 대응되는 지점에 구비된다. 즉, 제1 가이드봉(310)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봉(320)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1 가이드봉(310)은 외측단이 제2 가이드봉(320)의 외측단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손잡이(210)의 일단과 제2 손잡이(220)의 일단이 벌어지는 정도는 제1 가이드봉(310)의 외측단이 제2 가이드봉(320)에 걸림에 따라 제한되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각의 일단부가 적절하게 소정의 간격으로 벌어진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의 사이에 변형된 바늘체(20)가 위치되도록 한 후,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를 손으로 파지함으로써 제1 가이드봉(310)이 제2 가이드봉(32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가 맞닿게 되는바 바늘체(20)를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봉(310)과 제2 가이드봉(320)은 바늘체(20)가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 사이로 들어갈 시 간섭되지 않도록 제1 손잡이(210) 및 제2 손잡이(220)의 일단에 구비되어야 하는바, 복원몸체(100)의 바깥쪽에 위치한 일단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제1 가이드봉(310)과 제2 가이드봉(320)에 따라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의 이동이 가이드될 시 균형있는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복원몸체(100)를 중심으로 양측 상방에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봉(310)과 제2 가이드봉(320)을 감싸도록 압축스프링(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압축스프링(330)은 제1 가이드봉(310)의 외측단이 제2 가이드봉(320)의 외측단에 걸리도록 탄성력이 작용된다. 즉, 평상시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는 제1 가이드봉(310)의 외측단이 제2 가이드봉(320)의 외측단에 걸리도록 일단부가 벌어진 상태를 이루고 있어, 변형된 바늘체(20)를 용이하게 마주하는 양분된 수용부(110)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를 파지하여 바늘체(20)를 복원한 후에도 압축스프링(330)에 의해 다시금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의 일단부가 벌어진 상태를 이루므로 다음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의 일단부를 평상시 벌어진 상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한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은 판스프링(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판스프링(400)은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가 힌지결합된 타단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제1 손잡이(210)의 타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2 손잡이(220)의 타단부를 향해 볼록한 호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의 일단부는 판스프링(400)에 의해 평상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바늘체(20) 복원을 위한 작업 후에도 다시금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의 일단부가 자연스레 벌어진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10 : 에기바늘
11 : 걸림부
20 : 바늘체
100 : 복원몸체 100a : 제1 복원몸체
100b : 제2 복원몸체 110 : 수용부
120 : 가압스프링
210 : 제1 손잡이 220 : 제2 손잡이
310 : 제1 가이드봉 320 : 제2 가이드봉
330 : 압축스프링
20 : 바늘체
100 : 복원몸체 100a : 제1 복원몸체
100b : 제2 복원몸체 110 : 수용부
120 : 가압스프링
210 : 제1 손잡이 220 : 제2 손잡이
310 : 제1 가이드봉 320 : 제2 가이드봉
330 : 압축스프링
Claims (6)
- 상방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걸림부(11)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11)가 외측에 위치하게끔 복수 개의 에기바늘(10)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바늘체(20)가 내측에 수용되는 복원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복원몸체(100)는 복원하고자 하는 걸림부(11)가 맞닿는 수용부(11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110)가 양분되도록 나뉘어져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로 이루어져,
변형된 바늘체(20)를 양분된 수용부(110)가 마주하도록 이격된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 사이에 위치시킨 후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의 이격된 간격을 줄임으로써 바늘체(20)가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기바늘 복원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 각각에 형성된 수용부(110)는 맞닿을 시 원통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복원몸체(100a)와 제2 복원몸체(100b)의 마주하는 면은 수용부(110)를 중심으로 양측 상부와 하부가 가압스프링(120)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기바늘 복원구. - 제1항에 있어서,
막대 형태를 이루며 일단부에 제1 복원몸체(100a)가 구비되는 제1 손잡이(210)와,
상기 제1 손잡이(210)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태를 이루며 일단부에 제2 복원몸체(100b)가 구비되는 제2 손잡이(2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는 각각의 일단부가 맞닿을 시 양분된 수용부(110)가 마주하도록 타단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기바늘 복원구. - 제3항에 있어서,
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 손잡이(210)의 일단에서 제2 손잡이(220)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제1 가이드봉(310)과,
상기 제1 가이드봉(3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봉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2 손잡이(220)의 일단에서 제1 손잡이(210)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 가이드봉(3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봉(310)은 제2 가이드봉(320)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고 외측단이 제2 가이드봉(320)의 외측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기바늘 복원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봉(310)과 제2 가이드봉(320)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압축스프링(3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압축스프링(330)은 제1 가이드봉(310)의 외측단이 제2 가이드봉(320)의 외측단에 걸리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기바늘 복원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210)의 타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2 손잡이(220)의 타단부를 향해 볼록한 호 형태를 이루는 판스프링(40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손잡이(210)와 제2 손잡이(220)의 일단부는 판스프링(400)에 의해 평상시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기바늘 복원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0521A KR102379107B1 (ko) | 2019-11-21 | 2019-11-21 | 에기바늘 복원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0521A KR102379107B1 (ko) | 2019-11-21 | 2019-11-21 | 에기바늘 복원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2373A true KR20210062373A (ko) | 2021-05-31 |
KR102379107B1 KR102379107B1 (ko) | 2022-03-25 |
Family
ID=7615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0521A KR102379107B1 (ko) | 2019-11-21 | 2019-11-21 | 에기바늘 복원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910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1013U (ko) * | 2021-11-11 | 2023-05-18 | 김우진 | 푸시형 에기루어 바늘교정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29122A (ja) * | 2008-07-30 | 2010-02-12 | Daishin Seisakusho:Kk | イカ釣針の投入用保持具 |
KR200489162Y1 (ko) * | 2018-12-19 | 2019-05-09 | 김종식 | 루어 바늘 수리 장치 |
KR200490008Y1 (ko) | 2017-07-07 | 2019-09-11 | 김화규 | 낚시용 바늘 교정기 |
-
2019
- 2019-11-21 KR KR1020190150521A patent/KR1023791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29122A (ja) * | 2008-07-30 | 2010-02-12 | Daishin Seisakusho:Kk | イカ釣針の投入用保持具 |
KR200490008Y1 (ko) | 2017-07-07 | 2019-09-11 | 김화규 | 낚시용 바늘 교정기 |
KR200489162Y1 (ko) * | 2018-12-19 | 2019-05-09 | 김종식 | 루어 바늘 수리 장치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https://blog.naver.com/cjddnddls/222017951026(2020.07.01.) 1부. * |
https://cafe.naver.com/luerkslll/32526(2020.07.03.) 1부.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1013U (ko) * | 2021-11-11 | 2023-05-18 | 김우진 | 푸시형 에기루어 바늘교정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9107B1 (ko) | 2022-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8101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bait fish | |
KR200489162Y1 (ko) | 루어 바늘 수리 장치 | |
KR20210062373A (ko) | 에기바늘 복원구 | |
US3079723A (en) | Fishing lure | |
US3224133A (en) | Fishing lure | |
US6035748A (en) | Fisherman's pliers for fishing snap swivels | |
US6219956B1 (en) | Fishing lure frame | |
EP1384451A3 (de) | Steigbügelprothese | |
US3397479A (en) | Combination fishline float and fishhook removal tool | |
US3945145A (en) | Bait holding fishing hook assembly | |
US4731042A (en) | Snare toy and method of capturing a toy victim | |
US3218749A (en) | Fish actuated weedless bait | |
US2976641A (en) | Fish hook assembly | |
US2861384A (en) | Hook extractor | |
US10357086B2 (en) | Collapsible retaining structure for body piercing jewelry | |
US2136661A (en) | Gaff | |
CN212589743U (zh) | 一种绑钩器 | |
US2875550A (en) | Bait holding fish hook unit | |
US2763087A (en) | Fish lure | |
US2850780A (en) | Fish fastener | |
CN211353523U (zh) | 一种方便取下清理污渍的止吠器 | |
KR102508951B1 (ko) | 새김식 큐알코드에 반려동물 정보가 입력된 비이식형 애완동물용 주얼리 장식구 | |
DE1482264A1 (de) | Verfahren zum Befestigen langer rohrfoermiger Handgriffschenkel an geschmiedeten Schenkeln von Zangen,Buschscheren u.dgl. | |
KR830002475Y1 (ko) | 완구 동물의 협지장치 | |
US3162968A (en) | Bait catching r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