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387A - 피드백 정보, 정보의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피드백 정보, 정보의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387A
KR20210061387A KR1020217011280A KR20217011280A KR20210061387A KR 20210061387 A KR20210061387 A KR 20210061387A KR 1020217011280 A KR1020217011280 A KR 1020217011280A KR 20217011280 A KR20217011280 A KR 20217011280A KR 20210061387 A KR20210061387 A KR 20210061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difference value
csi
network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윈 팡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61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 H04L1/0018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based on latency requir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29Reduction of the amount of signalling, e.g. retention of useful signalling or differential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04W72/0413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드백 정보, 정보의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널 상태 정보(CSI)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CS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CSI를 신속하게 피드백하여, 피드백의 오버 헤드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제어 채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드백 정보, 정보의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정보, 정보의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5G NR에서 저 지연 고 신뢰성 통신(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서비스가 도입되어 있다. URLLC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고, 시스템 혼잡을 피하여, 제한된 재전송 기회로 정확한 전송이 가능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피드백 오버 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방법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피드백 오버 헤드를 저감시키고, 제어 채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느 피드백 정보, 정보의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을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정보의 피드백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CS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널 상태 정보(CS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하향 데이터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하향 데이터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MCS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과 상기 타겟 MCS 레벨 사이의 제 1 차이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MCS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조 기준 신호(DMRS) 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또는 복조 디코딩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타겟 MCS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차이값 세트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차이값 세트 및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 세트는 상기 타겟 MCS 레벨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의 차이값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차이값 세트 및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을 포함하는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세트는 상기 타겟 MCS 레벨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의 차이값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차이값 세트 및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에 가장 가까운 상기 차이값 세트 중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차이값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차이값 세트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하향 데이터의 하향 제어 정보(DCI)-상기 하향 데이터의 DCI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널 상태 정보(CSI)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보고 세트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보고 세트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물리 계층 시그널링-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CSI는 채널 품질 지시(CQI)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과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 사이의 차이값은 사전 설정한 임계값 이하이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한 임계값은 0이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는 상기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와 동일하다.
제 2 양태로서, 정보의 수신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차이값을 결정하기 위한 차이값 세트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차이값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결정한 MCS 레벨 사이의 차이값이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CSI는 상기 제 1 차이값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CSI는 제 1 차이값에 가장 가까운 상기 차이값 세트 중 하나의 값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차이값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차이값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하향 데이터의 하향 제어 정보(DCI)-상기 하향 데이터의 DCI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하향 데이터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보고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보고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물리 계층 시그널링-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CSI는 채널 품질 지시(CQI)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과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 사이의 차이값은 사전 설정한 임계값 이하이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한 임계값은 0이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는 상기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와 동일하다.
제 3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임의의 양태의 방법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임의의 양태의 방법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상기 제 1 양태 중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상기 제 2 양태 중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로서,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임의의 양태의 방법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상기 제 1 양태 중 임의의 가능한 실현의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상기 제 2 양태 중 임의의 가능한 실현의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5 양태로서, 칩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임의의 양태의 방법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칩은,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임의의 양태의 방법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칩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제 6 양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임의의 양태의 방법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 7 양태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임의의 양태의 방법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 8 양태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임의의 양태의 방법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시킨다.
제 9 양태로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의 방법 또는 상기 임의의 가능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양태 중 임의의 양태 또는 그 다양한 실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CSI를 신속하게 피드백하여, 피드백의 오버 헤드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제어 채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응용 시나리오의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의 피드백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보의 수신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며,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창의적인 노동이 없이 획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단말기 디바이스(11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에어포트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110)와 통신한다. 단말기 디바이스(11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120) 사이에서 멀티 서비스 전송이 지원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100)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해결책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 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 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엔알(New Radio, NR), 또는 미래 5G 통신 시스템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5G 시스템을 예로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광역의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커버리지 및 NR의 아일랜드 커버리지 모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대량의 LTE 구성은 6 GHz 이하이며, 5G에 사용될 수 있는 6 GHz 이하의 스펙트럼은 적다. 따라서, NR은 6 GHz 이상의 스펙트럼 적용을 연구할 필요가 있고, 고 주파수 대역의 커버리지는 한정되어 있고, 신호의 페이딩이 빠르다. 동시에 LTE에 대한 통신 사업자의 초기 투자를 보호하기 위해, LTE와 NR 사이의 밀접한 연결(tight interworking)의 동작 모드가 제안된다.
5G의 주요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는,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 밴드(Enhance Mobile Broadband, eMBB), 저 지연 고 신뢰성 통신(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대규모 기계형 통신(massive machine type of communication, mMTC)을 포함한다. 여기서, eMBB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및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타겟으로 하고 있으며, 그 수요는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eMBB는 상이한 시나리오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시구, 농촌 등은 그 능력과 요구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일괄적으로는 취급할 수 없고, 구체적인 구성 시나리오에 따라 상세하게 분석할 수 있다. URLLC의 전형적인 응용 분야는 산업 자동화, 전기 자동화, 원격 의료 작업(수술), 교통 안전 보장 등을 포함한다. mMTC의 대표적인 특징은 높은 연결 밀도, 작은 데이터 량, 지연에 민감하지 않는 서비스, 모듈의 낮은 비용, 긴 사용 수명 등을 포함한다.
또한, 완전한 5G NR 커버리지를 획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커버리지는 광역의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커버리지와 NR의 아일랜드 커버리지 모드를 채택할 수 있다. 동시에, 이동 사업자의 LTE 초기 투자를 보호하기 위해, LTE와 NR 간의 긴밀한 인터워킹(tight interworking)의 작업 모드를 추가로 채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비 직교 다중 액세스 기술, 예를 들어 희박한 코드 다중 접속(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시스템, 저밀도 서명 (Low Density Signature, LDS) 시스템 등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SCMA 시스템과 LDS 시스템은 통신 분야에서 다른 명칭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필터 뱅크 다중 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범용 주파수 분할 다중화(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GFDM), 필터링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Filtered-OFDM, F-OFDM) 시스템 등과 같은 비 직교 다중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다중 캐리어 전송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단말기 디바이스(110)와 통신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특정된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 UE 등의 단말기 디바이스(110)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 있고,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 RAN), 또는 NR 시스템에서의 기지국(gN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 있으며, 또는 해당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장치, 웨어러블 장치, 허브, 스위치, 브리지, 라우터, 또는 미래 진화형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110)는 임의의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고,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케이블 직접 연결 등의 유선 회선을 통한 연결,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VB-H 네트워크 등의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브로드캐스트 송신기 등의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장치, 및/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예는 위성 또는 셀룰러 전화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시밀리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기; 무선 전화,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웹 브라우저, 메모, 달력, 및/또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PDA, 기존의 랩톱 수신기 및/또는 핸드 헬드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국, 원격 단말기,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5G 네트워크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진화형 PLMN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10) 사이는 디바이스투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다른 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성 관리 엔티티 등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종종 본 명세서에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및/또는"은 단순히 관련있는 대상을 설명하는 관련 관계의 일종이며, 3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고,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만 존재하는 것,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B 만 존재하는 것의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설명서의 "/" 문자는 전후의 관련 대상은 일종의 "또는"의 관계임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의 피드백 방법(200)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내고, 해당 방법(200)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단말기 디바이스는 도 1에 나타낸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고, 도 2에 나타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도 1에 나타낸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해당 방법(200)은 다음의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을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0,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결정한다.
단계 220,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CSI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CSI를 신속하게 피드백하여, 피드백의 오버 헤드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제어 채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CSI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실현 방식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하향 데이터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MCS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과 상기 타겟 MCS 레벨 사이의 제 1 차이값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차이값의 피드백을 통해 피드백 오버 헤드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이에 따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것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CSI를 결정하는 예시적인 설명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할 수도 있고, 여기서, 상기 제 2 차이값은 상기 타겟 MCS 레벨과 하나의 고정적인 MCS 레벨 사이의 차이값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적인 MCS 레벨은 사전 설정한 MCS 레벨일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다른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3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 3 차이값은 타겟 MCS/CQI과 최근에 보고한CQI의 차이값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 3 차이값은 타겟 MCS/CQI과 최근에 보고한 주기 CQI의 차이값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조 기준 신호(DMRS) 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또는 복조 디코딩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타겟 MCS 레벨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차이값 세트를 취득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차이값 세트 및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 세트는 상기 타겟 MCS 레벨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의 차이값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을 포함하는 상기 CSI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차이값 세트가 {0, -1, -3, -8}이고,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이 5이고, 상기 타겟 MCS 레벨이 4인 경우, 상기 타겟 MCS 레벨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의 차이값이 -1이다. 따라서, 상기 CSI는 -1을 포함할 수 있고, 즉 상기 CSI는 상기 제 1 차이값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트는 상기 타겟 MCS 레벨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의 차이값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에 가장 가까운 상기 차이값 세트 중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상기 CSI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차이값 세트가 {0, -1, -3, -8}이고,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이 5이고, 상기 타겟 MCS 레벨이 6인 경우, 상기 타겟 MCS 레벨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의 차이값이 -2이다. 따라서, 상기 CSI는 상기 제 1 차이값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1 차이값은 0일 수 있고. 즉 상기 제 1 차이값은 상기 차이값 세트 중 최고의 MCS에 대응하는 항목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이값 세트가 {0, -1, -3, -8}이고,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이 5이고, 상기 타겟 MCS 레벨이 6인 경우, 상기 타겟 MCS 레벨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의 차이값이 1이다. 따라서, 상기 CSI는 상기 제 1 차이값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 1 차이값은 0일 수 있고. 즉 상기 제 1 차이값은 상기 제 1 차이값에 가장 가까운 차이값 세트 중 하나의 값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CSI는 상기 제 1 차이값의 구체적인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차이값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차이값 세트를 취득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하향 데이터의 하향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하고, 상기 하향 데이터의 DCI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향 데이터의 DCI는 동적 스케줄링 DCI 및/또는 반 영구적 스케줄링 DCI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하향 데이터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SI는 채널 품질 지시(Channel Quality Indicator, CQI)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과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 사이의 차이값은 사전 설정한 임계값 이하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한 임계값은 0이다.
다시 말하면,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은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과 동일하다. 예를 들면, CQI 인덱스가 인덱스 0~ 인덱스 15를 포함하고, 여기서, 인덱스 스텝 사이즈가 1이라고 가정한다. CQI 인덱스는 인덱스 0~ 인덱스 31를 포함하고, 여기서, 인덱스 스텝 사이즈가 1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인덱스 스텝 사이즈가 1인 경우 1.5db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는 상기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와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널 상태 정보(CSI)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뙨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CSI의 시간 영역 리소스를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해 보고 세트를 구성하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즉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CSI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보고 세트를 취득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뙨CSI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보고 세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고 세트는 상기에서 언급된 차이값 세트일 수 있고, 다른 보고 정보의 세트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고 세트는 제 1 MCS 레벨과 제 2 MCS 레벨 사이의 차이값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MCS는 사전 설정한 MCS 레벨일 수 있고,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일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보고 세트는 CQI 등 정보를 직접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물리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방식의 특정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을 다양하고 간단하게 수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간단한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면, 상기 특정 실시 방식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정 기술적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양한 가능한 조합에 대해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방식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위반하지 않는 한, 임의로 조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개시된 내용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고, 각각의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재적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구성해서는 안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정보를 피드백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정보의 수신 방법(300)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해당 방법(300)은 도 1에 나타낸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310,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하향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계 320,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차이값을 결정하기 위한 차이값 세트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차이값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결정한 MCS 레벨 사이의 차이값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SI는 상기 제 1 차이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SI는 제 1 차이값에 가장 가까운 상기 차이값 세트 중 하나의 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차이값 세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하향 데이터의 하향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고, 상기 하향 데이터의 DCI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하향 데이터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보고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보고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물리 계층 시그널링-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SI는 채널 품질 지시(CQI)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과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 사이의 차이값은 사전 설정한 임계값 이하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한 임계값은 0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는 상기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와 동일하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정보의 수신 방법(300)의 단계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정보의 피드백 방법(200)의 대응하는 단계를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다음,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4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 모듈(410)은 채널 상태 정보(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모듈(42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CSI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 구체적으로,
하향 데이터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향 데이터의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보다 구체적으로,
타겟 MCS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과 상기 타겟 MCS 레벨 사이의 제 1 차이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보다 구체적으로,
복조 기준 신호(DMRS) 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또는 복조 디코딩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타겟 MCS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420)은 또한,
차이값 세트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차이값 세트과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 세트는 상기 타겟 MCS 레벨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의 차이값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차이값을 포함하는 상기 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트는 상기 타겟 MCS 레벨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의 차이값을 포함하지 않고, 여기서, 상기 결정 모듈(410)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차이값에 가장 가까운 차이값 세트 중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상기 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420)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차이값 세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42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정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하향 데이터의 하향 제어 정보(DCI)- 상기 하향 데이터의 DCI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10)이 채널 상태 정보(CSI)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통신 모듈(420)은 또한,
보고 세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물리 계층 시그널링-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SI는 채널 품질 지시(CQI)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과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 사이의 차이값은 사전 설정한 임계값 이하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한 임계값은 0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는 상기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와 동일하다.
또한, 장치 실시예와 방법 실시예는 서로 대응될 수 있고, 유사한 설명은 방법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200)을 실행하는 대응하는 주체에 대응되고, 단말기 디바이스(400)의 각각의 유닛의 상기 및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도 1의 각각의 방법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모듈(510)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모듈(520)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520)이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송신 모듈(510)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차이값을 결정하기 위한 차이값 세트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차이값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결정한 MCS 레벨 사이의 차이값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SI는 상기 제 1 차이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SI는 제 1 차이값에 가장 가까운 상기 차이값 세트 중 하나의 값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510)은 구체적으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차이값 세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520)이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송신 모듈(510)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5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하향 데이터의 하향 제어 정보(DCI)- 상기 하향 데이터의 DCI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하향 데이터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520)이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송신 모듈(510)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보고 세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5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물리 계층 시그널링-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SI는 채널 품질 지시(CQI)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과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 사이의 차이값은 사전 설정한 임계값 이하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한 임계값은 0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는 상기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와 동일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상에서 기능 모듈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디바이스를 설명하였다. 또한, 해당 기능 모듈은 하드웨어 형태로 실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의 실시예의 각각의 단계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료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디코딩 프로세서의 실행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의 실행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 레지스터와 같은 해당 기술 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읽고,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계를 완료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4에 나타낸 결정 모듈(410)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도 4에 나타낸 통신 모듈(420) 및 도 5에 나타낸 송신 모듈(510) 및 도 5에 나타낸 수신 모듈(520)은 송수신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디바이스(600)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600)는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세서(61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600)는 메모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메모리(620)는 지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명령어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와 독립적인 별도의 부품일 수 있고, 프로세서(6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600)는 프로세서(610)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송수신기(6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디바이스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630)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6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디바이스(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해당 통신 디바이스(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6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300)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주체에 대응할 수 있지만,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디바이스(6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고, 해당 통신 디바이스(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현할 수 있고, 즉,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디바이스(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400)에 대응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200)을 실행하는 대응하는 주체에 대응될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해당 통신 디바이스(600)의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의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다양한 방법, 단계, 논리 블록도를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는 칩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다양한 통신 유닛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칩이 탑재된 통신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다양한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수행 가능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칩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나타낸 칩(700)은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71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칩(700)은 메모리(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해당 메모리(720)는 지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710)에 의해 수행되는 코드, 명령어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720)는 프로세서(7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디바이스일 수 있고, 프로세서(7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은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은 출력 인터페이스(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해당 출력 인터페이스(74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200)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현할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또한 해당 칩(700)의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버스 이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하는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다. 또한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한 범용 프로세서는 임의의 범용 프로세서라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 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로서, 메모리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강화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Direct Rambu RAM, DR RAM)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고,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되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더 제공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도 4에 나타낸 단말기 디바이스(400) 및 도 5에 나타낸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를 포함하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은 것을 유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하나", "상기" 및 "해당"은 문맥이 다른 의미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책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저장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가 포함된 해당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고, 여기서 그 설명이 생략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의 실시예에서 유닛 또는 모듈 또는 구성 요소의 분할은 하나의 논리적 기능에 대한 분할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시 다른 분할이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 또는 구성 요소는 결합될 수 있고,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도 있고, 일부 유닛 또는 모듈 또는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고, 또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분리/표시 수단으로 설명된 유닛/모듈/구성 요소는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즉, 한 장소에 위치될 수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모듈/구성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에서 표시 또는 논의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해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68)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CS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널 상태 정보(CS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하향 데이터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하향 데이터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MCS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과 상기 타겟 MCS 레벨 사이의 제 1 차이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MCS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또는 복조 디코딩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타겟 MCS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차이값 세트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차이값 세트 및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 세트는 상기 타겟 MCS 레벨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의 차이값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차이값 세트 및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을 포함하는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는 상기 타겟 MCS 레벨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의 차이값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차이값 세트 및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차이값에 가장 가까운 상기 차이값 세트 중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상기 CSI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차이값 세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차이값 세트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하향 데이터의 하향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상기 하향 데이터의 DCI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CSI)를 결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보고 세트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보고 세트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물리 계층 시그널링-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SI는 채널 품질 지시(channel quality indicator, CQ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과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 사이의 차이값은 사전 설정한 임계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한 임계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는 상기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피드백 방법.
  18.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수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차이값-상기 제 1 차이값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결정한 MCS 레벨 사이의 차이값임-을 결정하기 위한 차이값 세트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수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CSI는 상기 제 1 차이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수신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CSI는 제 1 차이값에 가장 가까운 상기 차이값 세트 중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수신 방법.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차이값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차이값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수신 방법.
  23. 제 19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수신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하향 데이터의 하향 제어 정보(DCI)- 상기 하향 데이터의 DCI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하향 데이터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수신 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보고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수신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보고 세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물리 계층 시그널링-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수신 방법.
  27. 제 18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SI는 채널 품질 지시(CQ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수신 방법.
  28. 제 18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과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 사이의 차이값은 사전 설정한 임계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수신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한 임계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수신 방법.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는 상기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의 수신 방법.
  31. 채널 상태 정보(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CSI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하향 데이터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하향 데이터의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타겟 MCS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과 상기 타겟 MCS 레벨 사이의 제 1 차이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복조 기준 신호(DMRS) 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또는 복조 디코딩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타겟 MCS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차이값 세트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차이값 세트과 상기 제 1 차이값에 따라, 상기 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 세트는 상기 타겟 MCS 레벨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의 차이값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 1 차이값을 포함하는 상기 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는 상기 타겟 MCS 레벨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의 차이값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 1 차이값에 가장 가까운 차이값 세트 중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상기 CSI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9. 제 36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차이값 세트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0. 제 33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하향 데이터의 하향 제어 정보(DCI)- 상기 하향 데이터의 DCI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이 채널 상태 정보(CSI)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보고 세트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물리 계층 시그널링-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4. 제 31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SI는 채널 품질 지시(CQ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5. 제 31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과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 사이의 차이값은 사전 설정한 임계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한 임계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7.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는 상기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8. 단말기 디바이스에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과,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차이값-상기 제 1 차이값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결정한 MCS 레벨 사이의 차이값임-을 결정하기 위한 차이값 세트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CSI는 상기 제 1 차이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CSI는 제 1 차이값에 가장 가까운 상기 차이값 세트 중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2. 제 49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차이값 세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3. 제 49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하향 데이터의 MCS 레벨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하향 데이터의 하향 제어 정보(DCI)- 상기 하향 데이터의 DCI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하향 데이터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함-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5.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보고 세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물리 계층 시그널링-상기 물리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보고 세트를 포함함-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7. 제 48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SI는 채널 품질 지시(CQ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8. 제 48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과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에 대응하는 채널 차이값 사이의 차이값은 사전 설정한 임계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한 임계값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0. 제 58 항 또는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CQI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는 상기 MCS 인덱스의 스텝 사이즈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1. 메모리에서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2. 메모리에서 제 16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3. 메모리에서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64. 메모리에서 제 1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65.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66. 제 1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
  67. 컴퓨터에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68. 컴퓨터에 제 1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17011280A 2018-09-21 2018-09-21 피드백 정보, 정보의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100613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107124 WO2020056775A1 (zh) 2018-09-21 2018-09-21 反馈信息、接收信息的方法和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387A true KR20210061387A (ko) 2021-05-27

Family

ID=6988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280A KR20210061387A (ko) 2018-09-21 2018-09-21 피드백 정보, 정보의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11175A1 (ko)
EP (1) EP3855798A4 (ko)
KR (1) KR20210061387A (ko)
CN (1) CN113475111A (ko)
AU (1) AU2018442267A1 (ko)
TW (1) TW202037201A (ko)
WO (1) WO2020056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5798A4 (en) * 2018-09-21 2021-10-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OF RETURN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DEVICE
CN117016007A (zh) * 2021-05-10 2023-11-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报告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334534A (zh) * 2021-05-10 2022-1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上报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0075B2 (en) * 2007-03-16 2011-09-13 Apple Inc. Channel quality index feedback reduction for broadband systems
CN102026280B (zh) * 2009-09-11 2014-12-3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信道状态信息的反馈方法和设备
US8675794B1 (en) * 2009-10-13 2014-03-18 Marvell International Ltd. Efficient estimation of feedback for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selection
CN105099967B (zh) * 2014-05-23 2020-10-2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蜂窝通信系统中的设备及其方法
US9590713B2 (en) * 2014-06-23 2017-03-07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CSI enhancements us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and suppression receivers
EP3183916A4 (en) * 2014-08-21 2018-02-21 Intel IP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 using transmit power control and scheduling for lte unlicensed band operation
US10200168B2 (en) * 2015-08-27 2019-02-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ation in a wireless network
WO2017166192A1 (zh) * 2016-03-31 2017-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测量信道状态信息的方法、网络侧设备和用户设备
WO2018062874A1 (en) * 2016-09-29 2018-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source block structure
US11121799B2 (en) * 2017-02-05 2021-09-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2021502717A (ja) * 2017-10-13 2021-01-28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データ伝送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EP3855798A4 (en) * 2018-09-21 2021-10-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OF RETURN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5798A1 (en) 2021-07-28
US20210211175A1 (en) 2021-07-08
EP3855798A4 (en) 2021-10-13
CN113475111A (zh) 2021-10-01
TW202037201A (zh) 2020-10-01
WO2020056775A1 (zh) 2020-03-26
AU2018442267A1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53980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2703779B (zh) 一种上行传输的功率控制方法及终端设备
US20210211175A1 (en) Method for feeding back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device
EP390803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19080107A1 (zh) 传输物理上行控制信道pucch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3285794A (zh) 传输上行反馈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991729B2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1641483B (zh) 一种反馈信息传输方法及装置、通信设备
WO2020029160A1 (zh) 信号上报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20230074838A (ko) 통신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20210089130A (ko) 상향 제어 정보의 결정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TW202013917A (zh) 一種通道狀態訊息上報方法、終端設備及網路設備
CN114826530A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A3064964C (en) Method and device for radio communication
EP381343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20210064237A (ko) 피드백 자원의 멀티플렉싱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CN112690013A (zh) 无线通信方法和终端设备
KR102521751B1 (ko) 무선 통신 방법과 통신 장치
CN111837349B (zh) 一种信息传输时间的确定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KR20200009025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CN111525990B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2868194A (zh) 重复传输方法、装置、芯片及计算机程序
CN110720241A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