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944A - 의료용 소독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944A
KR20210060944A KR1020190148545A KR20190148545A KR20210060944A KR 20210060944 A KR20210060944 A KR 20210060944A KR 1020190148545 A KR1020190148545 A KR 1020190148545A KR 20190148545 A KR20190148545 A KR 20190148545A KR 20210060944 A KR20210060944 A KR 20210060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piece
medical sterilizer
case
light source
opa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860B1 (ko
Inventor
김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어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어라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어라이브
Priority to KR1020190148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860B1/ko
Priority to PCT/KR2019/016415 priority patent/WO2021100951A1/ko
Priority to US16/700,472 priority patent/US20210145992A1/en
Publication of KR2021006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치과용 핸드피스를 소독하기 위한 의료용 소독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소독기는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고, 바디 일부를 구성하는 투명케이스, 상기 투명케이스의 위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단 내부에 자외선을 방사하는 광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통과하지 않는 불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는 불투명케이스, 상기 투명케이스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하는 고무스토퍼 및 상기 고무스토퍼를 상기 불투명케이스에 고정하는 하부고정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소독기{a Medical Sterilizer}
본 발명은 의료용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UV-C를 활용하는 의료용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병원은 환자를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환자를 치료하는 시설을 갖춘 곳이다. 여러 종류의 병원 중에서도 치과 병원은 치아와 그 주위 조직 및 구강을 포함한 악안면 영역의 질병이나 비정상적 상태 등을 예방하고 진단하며 치료한다. 특히 치과 병원은 환자의 입 안에 들어가 체액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도구가 많기 때문에 위생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치과 병원에서는 일반적으로 핸드피스라고 불리는 치과용 진료 도구를 사용하여 환자의 구강 상태를 점검하거나 치료한다. 여기에서 핸드피스는 버(bur)와 같은 공구팁이 장착되며, 치아의 상아질을 절삭하거나, 치료 부위의 세정 및 타액 회수 등의 작업에 이용된다.
종래의 핸드피스는 주로 환자용 의자와 진료 도구들이 결합된 유닛 체어의 거치대에 보관되었다. 이러한 핸드피스는 환자의 치료 시 혈액 및/또는 타액이 묻을 가능성이 높아 사용 후에는 반드시 여러 단계에 걸쳐 멸균해야한다.
그러나 종래의 진료도구 살균 방법은 별도의 살균 장소에 플라즈마식 또는 고압증기식 핸드피스 살균 장치를 구비하고, 플라즈마식 또는 고압 증기식 핸드피스 살균 장치가 구비된 살균 장소로 진료도구를 에어튜브로부터 분리하여 운반해야 하고, 살균기에 정제수 또는 가스를 보충해야한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과정을 거쳐 충분한 살균을 위하여 1회 평균 30분내지 3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핸드피스 살균 장치로는 환자 치료 전 실시간으로 핸드피스의 살균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번호 10-1966307
본 발명에서는 치과용 핸드피스가 삽입된 때, 항상 고정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는 의료용 소독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치과용 핸드피스를 소독하기 위한 의료용 소독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소독기는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고, 바디 일부를 구성하는 투명케이스, 상기 투명케이스의 위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단 내부에 자외선을 방사하는 광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통과하지 않는 불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는 불투명케이스, 상기 투명케이스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하는 고무스토퍼 및 상기 고무스토퍼를 상기 불투명케이스에 고정하는 하부고정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소독기는, 핸드피스를 삽입하는 고무스토퍼가 복수의 고정핀 및 리브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어느 방향에서 핸드피스를 삽입하더라도 핸드피스가 최적의 소독 효율을 갖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소독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소독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고무스토퍼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첨부 도면은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미소한 부분은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않을 수도 있고, 미소한 부분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전체적인 구조는 구체적으로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설치 위치 등 구체적인 부분이 다르더라도 그 작용이 동일한 경우에는 동일한 명칭을 부여함으로써, 이해의 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이 복수 개가 있을 때에는 어느 하나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소독기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소독기의 예시적인 형상이며, 사용예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예시 형상에 따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소독기(1)는 투명케이스(10), 불투명케이스(20), 하부고정캡(30), 고무스토퍼(40) 및 스위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케이스(10)는 의료용 소독기(1)의 바디 일부를 구성한다. 투명케이스(10)는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투명케이스(10)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불투명케이스(20)는 투명케이스(10)와 함께 의료용 소독기(1)의 바디 일부를 구성한다. 다시 말해서, 투명케이스(10)와 불투명케이스(20)를 합쳐 소독기 바디라로 지칭할 수 있다. 불투명케이스(20)는 불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히 자외선을 방사하는 광원이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불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불투명케이스(20)는 투명케이스(10)의 위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투명케이스(20)는 투명케이스의 바깥면과 동일평면의 바깥면을 갖도록 연장되며, 상단이 닫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불투명케이스(20)의 일 전면에는 스위치(50)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50)는 물리 스위치 또는 터치식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투명케이스(10)의 아래에 고무스토퍼(40)가 마련될 수 있다.
고무스토퍼(40)는 핸드피스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고무스토퍼(40)는 의료용 소독기(1)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홀은 핸드피스가 드나들 수 있는 통로일 수 있다. 더하여 고무스토퍼(40)는 홀을 둘러싸고 있는 핸드피스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무스토퍼(40)의 구체적인 형상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고무스토퍼(40)는 투명케이스(10)와 하부고정캡(3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무스토퍼(40)는 각 모서리 부근에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고정캡(30)은 고무스토퍼(40)의 고정홀을 통해 고무스토퍼(40)를 소독기 바디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소독기의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의료용 소독기를 절단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소독기(1)의 가장 위에 불투명케이스(20)가 형성된다. 그리고 불투명케이스(20) 아래로 투명케이스(10)가 형성된다. 투명케이스(10) 아래로 고무스토퍼(40) 및 하부고정캡(30)이 형성된다.
불투명케이스(20)의 일면에는 스위치(50)가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50)는 불투명케이스(2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불투명케이스(20)의 내부 상단면에 광원(2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광원(23)은 불투명케이스(20) 내부 상단면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광원(23)은 수직 아래 방향으로 자외선을 방사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광원(23)은 UV(Ultraviolet rays)-C 타입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써, 스위치(50)에 의한 스위칭 신호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자외선을 방사한다. 여기에서 UV-C 타입이란, UV LED의 파장 영역 중에서 200nm 내지 280nm 영역의 파장을 의미한다. 이러한 UV-C 타입의 LED는 높은 에너지로 진료 도구의 미생물과 반응하여 그 미생물의 DNA를 파괴하는 살균작용을 한다. 여기에서 광원(23)의 자외선 조사량은 대장균, 녹농균 및 뮤턴스균 등의 세균을 모두 살균할 수 있는 크기의 에너지와 시간을 가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불투명케이스(20)의 또 다른 일면에는 충전케이블 삽입을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충전케이블 삽입을 위한 홈에 충전단자(22)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단자(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불투명케이스(20) 내부에 기판 및 배터리(2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투명케이스(20) 내부 일면에 기판 및 배터리(21)가 마련될 수 있다.
기판 및 배터리(21)에서 기판은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 및 마이크로 칩 그리고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전기적 제어를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배터리 셀은 충전케이블에 연결되어 전력을 저장하고, 스위치(50)의 온/오프 작동에 따라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 및 마이크로 칩은 스위치(50)의 온/오프 작동에 따라 전원제어명령을 수행하여 전원을 광원에 인가한다.
결과적으로 스위치(50), 광원(23) 및 기판 및 배터리(2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연결방식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식을 따른다.
고무스토퍼(40)는 투명케이스의 하단에 형성된다. 핸드피스는 고무스토퍼(40)를 통해 의료용 소독기(1)의 내부로 삽입되며, 동시에 핸드피스는 고무스토퍼(40)에 의해 지지되어 의료용 소독기(1) 내부 중앙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3에서는 의료용 소독기(1) 내부로 삽입된 핸드피스가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고무스토퍼(40)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고무스토퍼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다.
도 3a는 고무스토퍼(40)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고무스토퍼(40)의 저면도이고, 도 3c는 고무스토퍼(40)의 단면도이고, 도 3d는 고무스토퍼(40)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3a를 먼저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스토퍼(40)는 외곽을 형성하는 고정부(41), 고정부(41)의 안쪽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42), 가이드(42)의 안쪽으로 연장되어 일정 개수로 형성되는 핸드피스 고정핀(43)을 포함한다. 그리고 핸드피스 고정핀(43)의 일단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핸드피스 고정핀(43) 일단이 모여 원형의 중앙홀(44)이 형성된다.
고정부(41)는 투명케이스(10)와 하부고정캡(30) 사이에 고무스토퍼(40)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고정부(41)의 외곽 일부가 투명케이스(10)와 하부고정캡(3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을 위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을 위한 홀을 통해 하부고정캡(30)에 형성된 고정핀이 통과될 수 있다. 하부고정캡(30)에 형성된 고정핀은 투명케이스(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무스토퍼(40)는 고정부(41)의 외곽 일부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며, 고정을 위한 홀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42)는 고정부(41)의 안쪽으로 형성되며 원통의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42)의 위/아래는 개방되어 있다.
핸드피스 고정핀(43)은 가이드(42)의 안쪽 면에 형성되며, 가이드(42)의 내부 중앙을 지향하도록 형성된다. 핸드피스 고정핀(43)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핸드피스 고정핀(43)의 개수는 4개 혹은 6개일 수 있다.
그리고 핸드피스 고정핀(43)의 끝단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오목한 복수의 핸드피스 고정핀(43) 끝단이 모여 원형의 중앙홀(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핸드피스 고정핀(43)의 끝단이 형성하는 중앙홀(44)의 직경은 삽입되는 핸드피스의 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핸드피스 고정핀(43)의 끝단이 형성하는 중앙홀(44)의 직경은 핸드피스 직경과 적절한 끼움공차값을 갖도록 결정될 수 있다.
중앙홀(44)은 핸드피스가 의료용 소독기(1)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한다. 중앙홀(44)이 없으면 사용자가 핸드피스를 의료용 소독기(1) 내부로 삽입하는데 더 많은 힘이 들 수 있으며, 삽입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 고정핀(43)의 하단에 리브구조(4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드피스 고정핀(43)의 하단면의 중앙에 가이드(42)쪽 일단에서 반대편 일단 방향으로 직선형상의 리브구조(45)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구조(45)는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드피스 고정핀(43)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브구조(45)의 일단은 가이드(43) 방향에서 중앙홀(44)로 갈수록 낮아지는 빗면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소독기(1)는 빗면형상의 리브구조(45)를 통해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핸드피스가 삽입되어도, 핸드피스의 끝단이 의료용 소독기(1) 상단 중앙을 바라보도록 유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홀(44)의 크기는 핸드피스의 직경과 적절한 끼움공차값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핸드피스의 삽입 시 핸드피스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리브구조(45)가 아래에서 핸드피스 가이드핀(43)을 지지하기 때문에 핸드피스 가이드핀(43)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으로 유지되는 복수의 핸드피스 가이드핀(43)에 의해 삽입된 핸드피스의 끝단이 의료용 소독기(1) 상단 중앙을 바라보도록 유도된다.
만약, 핸드피스 가이드핀(43)에 리브구조(45)가 없는 경우, 핸드피스 가이드핀(43)이 핸드피스가 삽입된 상황에서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각각의 핸드피스 가이드핀(43)들이 서로 다른 임의의 각도를 지향하거나 휠 수 있다. 이 경우, 핸드피스 가이드핀(43)에 의한 지지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핸드피스의 끝단이 의료용 소독기(1) 내부의 상단 중앙을 바라보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의료용 소독기(1)의 상단 중앙에는 자외선을 방사하는 광원(23)이 위치하며, 광원(23)과 일직선상에 핸드피스가 위치하여야 소독 효과가 극대화되기 때문에, 핸드피스의 일단을 의료용 소독기(1) 내부 상단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핸드피스를 항상 일정한 방향에서 삽입하는 것도 아니며, 대부분 비스듬한 각도에서 핸드피스를 삽입할 것이라는 것이 자명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에 핸드피스의 끝단이 의료용 소독기(1) 내부 상단 중앙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는 것도 기대하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소독기(1)는 중앙홀(44)을 형성하는 핸드피스 고정핀(43) 및 핸드피스 고정핀(43)의 하단에 마련되는 리브구조(4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핸드피스를 임의의 각도에서 삽입하더라도, 핸드피스의 끝단 소독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앙홀(44)은 핸드피스 굵기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광원(23)과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 예에서, 실시 예에 따라 광원의 위치가 바뀔 수 있으며, 이 경우 중앙홀의 위치가 광원의 위치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중앙홀의 위치는 핸드피스 고정핀들간의 크기 조정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드피스 고정핀들간의 크기 조정에 따라 각 핸드피스 고정핀의 리브구조의 크기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8)

  1. 치과용 핸드피스를 소독하기 위한 의료용 소독기에 있어서,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고, 바디 일부를 구성하는 투명케이스;
    상기 투명케이스의 위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단 내부에 자외선을 방사하는 광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통과하지 않는 불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는 불투명케이스;
    상기 투명케이스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하는 고무스토퍼; 및
    상기 고무스토퍼를 상기 불투명케이스에 고정하는 하부고정캡을 포함하는
    의료용 소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스토퍼는 외곽을 형성하는 고정부, 고정부 안쪽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가이드 안쪽으로 연장되어 복수개 형성되는 핸드피스 고정핀, 상기 핸드피스 고정핀의 하단 중앙에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리브구조를 포함하는
    의료용 소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 고정핀의 끝단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핸드피스 고정핀 끝단의 오목한 형상이 모여 원형의 홀이 형성되는
    의료용 소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홀은 상기 광원과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의료용 소독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구조의 일단은 가이드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빗면형상인
    의료용 소독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케이스의 바깥 일면에는 스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불투명케이스의 내부 일면에는 기판 및 배터리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광원 그리고 기판 및 배터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의료용 소독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 및 마이크로 칩을 포함하는
    의료용 소독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UV-C 타입의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소독기.
KR1020190148545A 2019-11-19 2019-11-19 의료용 소독기 KR10236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545A KR102363860B1 (ko) 2019-11-19 2019-11-19 의료용 소독기
PCT/KR2019/016415 WO2021100951A1 (ko) 2019-11-19 2019-11-27 의료용 소독기
US16/700,472 US20210145992A1 (en) 2019-11-19 2019-12-02 Medical steril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545A KR102363860B1 (ko) 2019-11-19 2019-11-19 의료용 소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944A true KR20210060944A (ko) 2021-05-27
KR102363860B1 KR102363860B1 (ko) 2022-02-17

Family

ID=7590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545A KR102363860B1 (ko) 2019-11-19 2019-11-19 의료용 소독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45992A1 (ko)
KR (1) KR102363860B1 (ko)
WO (1) WO202110095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349A (ko) * 2004-07-02 2006-01-09 주경원 치과의료기기용 소독 및 살균장치
KR101118190B1 (ko) * 2011-10-25 2012-03-14 조재근 치과용 핸드피스 살균장치
KR101966307B1 (ko) 2018-10-15 2019-08-13 주식회사 케어라이브 치과용 진료 도구 살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860B1 (ko) * 2004-04-07 2004-11-26 주식회사 지피코 치과용 핸드피스용 자외선 소독기
CN101808691B (zh) * 2007-09-27 2012-09-19 泰尔茂株式会社 阀体及医疗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349A (ko) * 2004-07-02 2006-01-09 주경원 치과의료기기용 소독 및 살균장치
KR101118190B1 (ko) * 2011-10-25 2012-03-14 조재근 치과용 핸드피스 살균장치
KR101966307B1 (ko) 2018-10-15 2019-08-13 주식회사 케어라이브 치과용 진료 도구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0951A1 (ko) 2021-05-27
KR102363860B1 (ko) 2022-02-17
US20210145992A1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74833A1 (en) Micro-organism reducing device
TW201735875A (zh) 具有導光功用的牙套
US20220088409A1 (en) Surgical site disinfection devices
KR100768030B1 (ko) 치과용 마우스 프롭
US20100198201A1 (en) Portable irradiating arrangement
JPH01131654A (ja) 根管内殺菌装置
JP2006280832A (ja) 歯科治療用インスツルメントの滅菌装置及びうがい水滅菌装置
JP4084336B2 (ja) 歯科で使われるハンドピース用紫外線消毒器
KR102363860B1 (ko) 의료용 소독기
KR20130094127A (ko) 구강용 레이저 조사기
KR20060032589A (ko) 광-활성화 살균
KR101966307B1 (ko) 치과용 진료 도구 살균 장치
KR20090004186U (ko) 의료기구용 소독장치
ES2383867B1 (es) Dispositivo para desinfección de aplicación en sondas hospitalarias de drenaje.
JP3231158U (ja) 消毒装置
KR101641675B1 (ko) 살균광원이 결합된 인스트루먼트 홀더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위생 커버
KR102404234B1 (ko) 임플란트용 자외선 살균장치
KR20220065404A (ko) 엘리베이터 버튼부의 살균장치
CN106730406A (zh) 一种牙科激光治疗仪
KR20200108800A (ko) 의료기구 살균장치
RU111766U1 (ru) Герметичный светодиодный облучатель (варианты)
KR101845813B1 (ko) 골유착 증진 및 살균을 위한 임플란트 시술용 광원 장치
KR101875507B1 (ko) 청진기용 소독기
KR200456437Y1 (ko) 집광캡을 구비하는 광조사기의 구조
US20100143857A1 (en) Photo-activated dis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