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171A -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 Google Patents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171A
KR20210060171A KR1020190147878A KR20190147878A KR20210060171A KR 20210060171 A KR20210060171 A KR 20210060171A KR 1020190147878 A KR1020190147878 A KR 1020190147878A KR 20190147878 A KR20190147878 A KR 20190147878A KR 20210060171 A KR20210060171 A KR 20210060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manpower
ship
demand
shipy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545B1 (ko
Inventor
엄재정
Original Assignee
올시데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시데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올시데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5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발주정보 제공서버, 기업공시서버, 뉴스 등 다양한 소스로부터 신규 선박발주정보를 수집하여 신규발주선박 DB를 구축하는 단계; 선박의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소요인력과 소요시점에 대한 표준 인력시수 DB를 구축하여, 상기 표준 인력시수 DB를 통해 공정별로 사전에 정의된 인력시수의 소요시점분포정보에 의해 소요인력을 배분하고, 조선소별로, 공정별 인력시수 및 인력소요에 관한 시수/인력수요 표준곡선을 도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 조선소의 소요인력 및 인력시수의 수요량과 수요시점을 통합 추정하는 단계; 선박의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에 대한 표준 기자재 DB를 구축하여, 상기 표준 기자재 DB를 통해 공정별로 사전에 정의된 기자재의 소요시점분포정보에 의해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을 배분하고, 조선소별로 공정별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에 관한 기자재수요 표준곡선을 도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 조선소의 기자재의 종류와 수요량과 수요시점을 통합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추정된 소요인력 및 인력시수의 수요량과 수요시점에 의해 최적 소요인력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통합 추정된 기자재의 종류와 수요량과 수요시점을 통해 기자재의 발주량과 발주시점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METHOD FOR PREDICTING DEMAND OF REQUIREMENT MAN POWER AND MATERIAL ACCORDING TO NEW SHIP CONTRACT}
본 발명은, 선박 신규발주시 조선소의 공정을 확인하고, 관련 인력수요 및 기자재의 발주량과 시점을 예측하여, 선박 기자재 공급업체, 조선소, 해운사, 해운관련 투자자, 은행, 보험, 및 조선관련기관의 최적의사 결정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선박의 신규 발주시에, 건조공정에 필요한 인력과 기자재 발주와 소요시점은 조선소의 대외비로 관리되어서, 인력공급업체와 기자재 공급업체는 조선소로부터의 발주시점과 발주량을 사전에 파악하지 못하여서, 정확한 사전계획과 사전준비가 불가능하여, 기자재 생산계획의 최적화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조선소의 일정 변경에 따른 정보가 적시에 공유되지 않아서, 예기치 않은 매출감소와 생산계획의 혼선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선소에 투자한 투자자와 융자를 제공한 은행은 조선소의 정확한 생산공정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서, 높은 투자위험성이 상존한다.
이에, 전세계 신규 선박건조 관련 인력과 기자재 수급 정보는 선주, 해운사, 조선소, 선박기자재회사, 리스회사, 투자자, 은행 또는 보험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정보로서, 신규 선박의 발주 후, 소요인력 규모와 소요시점, 관련 기자재의 종류와 발주량 및 소요시점을 추정할 수 있고, 조선소의 공정 진척도를 추정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4292호 (수요 예측 방법 및 수요 예측 장치, 2015.03.13)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박 신규발주시 조선소의 공정을 확인하고, 관련 인력수요 및 기자재의 발주량과 시점을 예측하여, 선박 기자재 공급업체, 조선소, 해운사, 해운관련 투자자, 은행, 보험, 및 조선관련기관의 최적의사 결정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선박발주정보 제공서버, 기업공시서버 및 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스로부터 신규 선박발주정보를 수집하여 신규발주선박 DB를 구축하는 단계; 신규발주 선박과 기존 건조중인 선박의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소요인력과 소요시점에 대한 표준 인력시수 DB를 구축하여, 상기 표준 인력시수 DB를 통해 공정별로 사전에 정의된 인력시수의 소요시점분포정보에 의해 소요인력을 배분하고, 조선소별로, 공정별 인력시수 및 인력소요에 관한 시수/인력수요 표준곡선을 도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 조선소의 소요인력 및 인력시수의 수요량과 수요시점을 통합 추정하는 단계; 신규발주 선박과 기존 건조중인 선박의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에 대한 표준 기자재 DB를 구축하여, 상기 표준 기자재 DB를 통해 공정별로 사전에 정의된 기자재의 소요시점분포정보에 의해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을 배분하고, 조선소별로 공정별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에 관한 기자재수요 표준곡선을 도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 조선소의 기자재의 종류와 수요량과 수요시점을 통합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추정된 소요인력 및 인력시수의 수요량과 수요시점에 의해 최적 소요인력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통합 추정된 기자재의 종류와 수요량과 수요시점을 통해 기자재의 발주량과 발주시점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조선소별 도크 및 안벽의 위치와 크기, 고용인력, 생산규모, 매출 및 이익의 조선소관련정보를 수집하여 조선소정보 DB를 구축하며, 조선소별 인도 실적선정보와 건조기간정보를 수집하여 실적선 DB를 구축하며, 조선소별 실적통계자료를 분석하여 가용인력에 대한 가용인력 DB를 구축하고,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표준건조기간을 가정하여, 선체, 의장, 배관, 탑재, 발판, 기장, 선장, 전장, 선실, 시운전, 및 생산지원으로 분류된 공정에 따른 조선소별 표준공정 DB를 구축하고, 상기 신규발주선박 DB와 상기 조선소정보 DB와 상기 실적선 DB를 통해서,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상기 표준 인력시수 DB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선소정보 DB와 상기 표준 인력시수 DB를 통해, 건조중인 전체 선박에 대한 투입인력 예상시수를 종합하여 상기 시수/인력수요 표준곡선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 기자재 DB는, 개별 선박별로 특정 분류체계로 분류된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추정하고, 조선소별 건조중인 전체 선박에 대해 종합하여서,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에 관한 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 기자재 DB는,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강재중량 및 철의장재의 평균 소모량을 가정하는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분석하는 철강/철의장재 분석부와, 배관재의 평균 소모량을 가정하여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분석하는 배관재 분석부와, 선종별, 선박톤수별 및 선주요구조건에 따라 도장재를 분류하여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분석하는 도장재 분석부와,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표준 기기장비재의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분석하는 기기장비재 분석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신규발주 선박에 대해, 상기 철강/철의장재 분석부와, 상기 배관재 분석부와, 상기 도장재 분석부와, 상기 기기장비재 분석부를 통해서, 기자재의 표준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추정하여 상기 기자재수요 표준곡선을 도출하고,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건조기간을 통해 기자재 소요시점의 물량 분포도에 따른 기자재의 발주시점과 입고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인공위성 또는 드론의 영상정보를 활용하여 일정시간간격으로 모니터링하여 각 조선소의 선박 건조공정의 진척도를 분석하여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선소정보 DB는 각 조선소의 도크와 선대와 안벽의 GPS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GPS정보를 통해 경계선을 도출하고,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도크와 선대와 안벽 내의 건조블록의 진행상태와 건조기간과 회전율, 및 안벽에서의 선박위치변화를 통한 시운전과 인도시점과 계류시간을 산출하여서, 진척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정보를 통해 추정된 진척도가 예상 공정의 진척도와 차이가 발생하면, 실제 공정 진척도에 따라 소요인력정보와 기자재소요정보를 수정하여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정보를 통해 추정된 진척도를 분석하여 매출분석을 수행하되, 공정의 변화로 인한 매출과 간접비 증감, 공정지연으로 인한 지체보상급지금, 및 인력투입변화에 따른 비용증감에 의한 수익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신규 수주시, 소요인력의 크기와 시점의 분석과 기자재의 종류와 수량 및 소요시점을 체계적으로 추정하여서, 최적 소요인력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기자재의 발주량과 시점을 예측하여, 기자재 공급업체의 기자재 생산능력을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선종의 예기치 않은 신규 발주시, 관련 기자재 부족 또는 인력 부족에 대비하여 대처하도록 할 수 있고, 경쟁 조선사의 건조현황정보 분석을 통해, 최적의 수주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주의 입장에서는 조선소별로, 공정현황의 파악이 가능하므로, 신규 선박 발주 협상 시에 올바른 협상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투자자, 은행 또는 보험사에서, 투자실적 공표 전에, 조선소의 공정정보를 통한 조선소의 도크회전율, 단위면적당 매출액 및 매출과 이익의 변화를 사전에 획득하여서, 최적의사결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기자재 공급업체의 수주 예상 기자재 종류와 수량분석이 가능하여서, 합리적인 영업전략 수립과 의사 결정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흐름도를 세분화하여 구성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을 구현하는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에 의한 조선소 영상정보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을 구성하는 신규발주선박 DB 구축 단계(S110)와, 인력수요정보 통합 추정 단계(S120)와, 기자재수요정보 통합 추정 단계(S130)와, 소요인력계획 수립 단계(S140)와, 기자재 예측 단계(S150)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신규발주선박 DB 구축 단계(S110)에서는, 선박발주정보 제공서버(10) 및 기업공시서버(20)로부터 선종/선박톤수/선가/인도시점의 신규 선박발주정보를 수집하여 카테고리화하여 신규발주선박 DB(110)를 구축한다. 이때 신규 선박발주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소스는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뉴스 등 다양한 소스원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인력수요정보 통합 추정 단계(S120)에서는, 신규발주 선박과 기존 건조중인 선박의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선박크기별), 소요인력과 소요시점에 대한 표준 인력시수 DB(120)를 구축하여, 표준 인력시수 DB(120)를 통해 건조 공정별로 사전에 정의된 인력시수의 소요시점분포정보에 의해 소요인력을 배분하고, 조선소별로, 공정별 인력시수 및 인력소요에 관한 시수/인력수요 표준곡선(S-curve)을 도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 조선소의 소요인력 및 인력시수의 수요량과 수요시점을 통합 추정한다.
여기서, 조선소별 도크 및 안벽의 위치와 크기, 고용인력, 생산규모, 매출 및 이익의 조선소관련정보를 수집하여 조선소정보 DB(130)를 구축하며(S121), 조선소별 인도 실적선정보와 건조기간정보를 수집하여 실적선 DB(140)를 구축하며(S122), 조선소별 실적통계자료를 분석하여 가용인력에 대한 가용인력 DB(150)를 구축하고(S123),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표준건조기간을 가정하여, 선체, 의장, 배관, 탑재, 발판, 기장, 선장, 전장, 선실, 시운전, 및 생산지원으로 분류된 공정에 따른 조선소별 표준공정 DB를 구축하고(S124), 신규발주선박 DB(110)와 조선소정보 DB(130)와 실적선 DB(140)를 통해서,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표준 인력시수 DB(120)를 구축할 수 있다(S125).
한편, 표준 인력시수 DB(120)와 조선소정보 DB(130)를 통해, 건조중인 전체 선박에 대한 투입인력 예상시수를 종합하여 시수/인력수요 표준곡선을 도출할 수 있다.
다음, 기자재수요정보 통합 추정 단계(S130)에서는, 신규발주 선박과 기존 건조중인 선박의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에 대한 표준 기자재 DB(160)를 구축하여(S131), 표준 기자재 DB(160)를 통해 건조 공정별로 사전에 정의된 기자재의 소요시점분포정보에 의해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을 배분하고, 조선소별로 공정별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에 관한 기자재수요 표준곡선을 도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S132), 전체 조선소의 기자재의 종류와 수요량과 수요시점을 통합 추정한다.
여기서, 표준 기자재 DB(160)는, 개별 선박별로 NACE 코드 또는 SFI 코드 또는 조선소별 특정 분류체계로 분류된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추정하고, 조선소별 건조중인 전체 선박에 대해 종합하여서,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에 관한 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
참고로, NACE 코드 또는 SFI 코드의 기자재분류코드에 따르면, 선박에 장치되는 주요 핵심 기자재는 약 40여 개이고 그 외 기자재는 수백개 이상인데, 예로, 철강재, 철의장재, 파이프, 용접봉, 도장재, 보냉재, 엔진, 발전기, 보일러, 열교환기, 터보차저, 드라이어, 펌프, 팬, 밸브, 히터, 스프레이, 배터리, 연료전비, 트랜스포머, 및 ICCP로서, 이들 기자재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이 발주되었을 때, 선종별, 선박톤수별 기자재수와 물량정보를 보유하는 표준 기자재 DB(160)을 구성한다.
또한, 표준 기자재 DB(160)는, 세분화되어,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강재중량 및 철의장재의 평균 소모량을 가정하는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분석하는 철강/철의장재 분석부와, 배관재의 평균 소모량을 가정하여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분석하는 배관재 분석부와, 선종별, 선박톤수별 및 선주요구조건에 따라 도장재를 분류하여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분석하는 도장재 분석부와,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표준 기기장비재의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분석하는 기기장비재 분석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철강/철의장재 분석부는, 선박의 강재 중량이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고강력강의 사용비율이 달라지고, 철의장재는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로 비슷한 양이 소요되므로, 평균 소모량을 가정하여 분석하며, 배관재 분석부는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변화가 비교적 변화가 적으므로, 평균 물량을 가정하여 분석하며, 도장재 분석부에서는 선종과 선박톤수와 선주의 요구조건에 따라 도장 사양이 달라지므로 외판, 발라스크탱크, 거주구역, 내부구역(엔진룸 또는 선수부)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기기장비재 분석부는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로 종류와 수량이 비교적 변화가 적으므로 표준 기기장비재와 수량을 이용한다,
따라서, 신규 선박 발주가 확정되면, 표준 기자재 DB(160)를 활용하여, 필요한 표준 기자재의 종류와 수량이 추정하고, 건조시점과 선종별 건조기간을 파악하여 해당 조선소 실적에 기반한 기자재 소요시점의 물량 분포도를 적용하여, 기자재의 발주시점과 입고시점을 각각 예측할 수 있다.
이에, 신규발주 선박에 대해, 철강/철의장재 분석부와, 배관재 분석부와, 도장재 분석부와, 기기장비재 분석부를 통해서, 기자재의 표준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추정하여 기자재수요 표준곡선을 도출하고,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건조기간을 통해 기자재 소요시점의 물량 분포도에 따른 기자재의 발주시점과 입고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다음, 소요인력계획 수립 단계(S140)에서는, 통합 추정된 소요인력 및 인력시수의 수요량과 수요시점에 의해 최적 소요인력계획을 수립한다.
최종, 기자재 예측 단계(S150)에서는, 통합 추정된 기자재의 종류와 수요량과 수요시점을 통해 기자재의 발주량과 발주시점을 예측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공위성(a) 또는 드론(b), 기타 양상장치를 이용한 조선소 건조 영상정보를 활용하여 일정시간간격으로 모니터링하여 각 조선소의 선박 건조공정의 진척도를 분석하여 추정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진척도 추정 단계(S160)에서, 조선소정보 DB(130)는 각 조선소의 도크와 선대와 안벽의 GPS정보를 포함하며, GPS정보를 통해 도크와 선대와 안벽의 해당 경계선을 도출하고(S161),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도크와 선대 경계선내의 건조블록의 진행상태와 건조기간과 회전율, 및 안벽에서의 선박위치변화를 통한 시운전과 인도시점과 계류시간을 산출하여서, 선박건조 진척도를 정량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S162).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정보를 통해 분석하여 추정된 실제 진척도가 예상 공정의 예상 진척도와 차이가 발생하면, 실제 공정 진척도에 따라 소요인력정보와 기자재소요정보를 수정하여(S163)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영상정보를 통해 추정된 공정 진척도를 분석하여 매출분석을 수행하되, 공정의 변화로 인한 매출과 간접비 증감, 공정지연으로 인한 지체보상급지금, 및 인력투입변화에 따른 비용증감에 의한 수익을 추정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수한 바와 같은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의 구성에 의해서, 선박의 신규 수주시, 소요인력의 크기와 시점의 분석과 기자재의 종류와 수량 및 소요시점을 체계적으로 추정하여서, 최적 소요인력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기자재의 발주량과 시점을 예측하여, 기자재 공급업체의 기자재 생산능력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특정 선종의 예기치 않은 신규 발주시, 관련 기자재 부족 또는 인력 부족에 대비하여 대처하도록 할 수 있고, 경쟁 조선사의 건조현황정보 분석을 통해, 최적의 수주전략을 수립할 수 있으며, 선주의 입장에서는 조선소별로, 공정현황의 파악이 가능하므로, 신규 선박 발주 협상 시에 올바른 협상전략을 수립할 수 있으며, 투자자, 은행 또는 보험사에서, 투자실적 공표 전에, 조선소의 공정정보를 통한 조선소의 도크회전율, 단위면적당 매출액 및 매출과 이익의 변화를 사전에 획득하여서, 최적의사결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기자재 공급업체의 수주 예상 기자재 종류와 수량분석이 가능하여서, 합리적인 영업전략 수립과 의사 결정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S110 : 신규발주선박 DB 구축 단계
S120 : 인력수요정보 통합 추정 단계
S130 : 기자재수요정보 통합 추정 단계
S140 : 소요인력계획 수립 단계
S150 : 기자재 예측 단계
S160 : 진척도 추정 단계
S170 : 수익 추정 단계
110 : 신규발주선박 DB 120 : 표준 인력시수 DB
130 : 조선소정보 DB 140 : 실적선 DB
150 : 가용인력 DB 160 : 표준 기자재 DB

Claims (10)

  1. 선박발주정보 제공서버, 기업공시서버 및 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스로 부터로부터 신규 선박발주정보를 수집하여 신규발주선박 DB를 구축하는 단계;
    신규발주 선박과 기존 건조중인 선박의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소요인력과 소요시점에 대한 표준 인력시수 DB를 구축하여, 상기 표준 인력시수 DB를 통해 공정별로 사전에 정의된 인력시수의 소요시점분포정보에 의해 소요인력을 배분하고, 조선소별로, 공정별 인력시수 및 인력소요에 관한 시수/인력수요 표준곡선을 도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 조선소의 소요인력 및 인력시수의 수요량과 수요시점을 통합 추정하는 단계;
    신규발주 선박과 기존 건조중인 선박의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에 대한 표준 기자재 DB를 구축하여, 상기 표준 기자재 DB를 통해 공정별로 사전에 정의된 기자재의 소요시점분포정보에 의해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을 배분하고, 조선소별로 공정별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에 관한 기자재수요 표준곡선을 도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 조선소의 기자재의 종류와 수요량과 수요시점을 통합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추정된 소요인력 및 인력시수의 수요량과 수요시점에 의해 최적 소요인력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통합 추정된 기자재의 종류와 수요량과 수요시점을 통해 기자재의 발주량과 발주시점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선소별 도크 및 안벽의 위치와 크기, 고용인력, 생산규모, 매출 및 이익의 조선소관련정보를 수집하여 조선소정보 DB를 구축하며, 조선소별 인도 실적선정보와 건조기간정보를 수집하여 실적선 DB를 구축하며, 조선소별 실적통계자료를 분석하여 가용인력에 대한 가용인력 DB를 구축하고,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표준건조기간을 가정하여, 선체, 의장, 배관, 탑재, 발판, 기장, 선장, 전장, 선실, 시운전, 및 생산지원으로 분류된 공정에 따른 조선소별 표준공정 DB를 구축하고,
    상기 신규발주선박 DB와 상기 조선소정보 DB와 상기 실적선 DB를 통해서,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상기 표준 인력시수 DB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선소정보 DB와 상기 표준 인력시수 DB를 통해, 건조중인 전체 선박에 대한 투입인력 예상시수를 종합하여 상기 시수/인력수요 표준곡선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기자재 DB는, 개별 선박별로 특정 분류체계로 분류된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추정하고, 조선소별 건조중인 전체 선박에 대해 종합하여서, 기자재의 종류와 소요량과 소요시점에 관한 정보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기자재 DB는,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강재중량 및 철의장재의 평균 소모량을 가정하는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분석하는 철강/철의장재 분석부와, 배관재의 평균 소모량을 가정하여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분석하는 배관재 분석부와, 선종별, 선박톤수별 및 선주요구조건에 따라 도장재를 분류하여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분석하는 도장재 분석부와,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표준 기기장비재의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분석하는 다양한 기기장비재 분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신규발주 선박에 대해, 상기 철강/철의장재 분석부와, 상기 배관재 분석부와, 상기 도장재 분석부와, 상기 기기장비재 분석부를 통해서, 기자재의 표준 소요량과 소요시점을 추정하여 상기 기자재수요 표준곡선을 도출하고, 선종별 및 선박톤수별 건조기간을 통해 기자재 소요시점의 물량 분포도에 따른 기자재의 발주시점과 입고시점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인공위성 또는 드론의 영상정보를 활용하여 일정시간간격으로 모니터링하여 각 조선소의 선박 건조공정의 진척도를 분석하여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선소정보 DB는 각 조선소의 도크와 선대와 안벽의 GPS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GPS정보를 통해 경계선을 도출하고,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도크와 선대와 안벽 내의 건조블록의 진행상태와 건조기간과 회전율, 및 안벽에서의 선박위치변화를 통한 시운전과 인도시점과 계류시간을 산출하여서, 진척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영상정보를 통해 추정된 진척도가 예상 공정의 진척도와 차이가 발생하면, 실제 공정 진척도에 따라 소요인력정보와 기자재소요정보를 수정하여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영상정보를 통해 추정된 진척도를 분석하여 매출분석을 수행하되, 공정의 변화로 인한 매출과 간접비 증감, 공정지연으로 인한 지체보상급지금, 및 인력투입변화에 따른 비용증감에 의한 수익을 추정하는 단계를 통해 조선소의 영업실적을 예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KR1020190147878A 2019-11-18 2019-11-18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KR102486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878A KR102486545B1 (ko) 2019-11-18 2019-11-18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878A KR102486545B1 (ko) 2019-11-18 2019-11-18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171A true KR20210060171A (ko) 2021-05-26
KR102486545B1 KR102486545B1 (ko) 2023-01-10

Family

ID=7613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878A KR102486545B1 (ko) 2019-11-18 2019-11-18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5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731B1 (ko) * 2022-06-14 2023-05-16 메이사플래닛 주식회사 위성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7726146A (zh) * 2024-02-08 2024-03-19 浪潮通用软件有限公司 针对物料需求计划的流程自动化实现方法、设备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49A (ko) * 2006-07-04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선박의 생산실행 관리 시스템 구축 방법
KR20100086225A (ko) * 2009-01-22 2010-07-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중장기 조선해양 공사 강재소요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7485A (ko) * 2009-07-16 2011-01-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KR101504292B1 (ko) 2014-07-07 2015-03-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요 예측 방법 및 수요 예측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49A (ko) * 2006-07-04 2008-01-09 Stx조선주식회사 선박의 생산실행 관리 시스템 구축 방법
KR20100086225A (ko) * 2009-01-22 2010-07-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중장기 조선해양 공사 강재소요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7485A (ko) * 2009-07-16 2011-01-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KR101504292B1 (ko) 2014-07-07 2015-03-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요 예측 방법 및 수요 예측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731B1 (ko) * 2022-06-14 2023-05-16 메이사플래닛 주식회사 위성영상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7726146A (zh) * 2024-02-08 2024-03-19 浪潮通用软件有限公司 针对物料需求计划的流程自动化实现方法、设备及介质
CN117726146B (zh) * 2024-02-08 2024-05-14 浪潮通用软件有限公司 针对物料需求计划的流程自动化实现方法、设备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545B1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ruguz et al. A survey of maintenance and service logistics management: Classification and research agenda from a maritime sector perspective
Xiang et al. Reactive strategy for discrete berth allocation and quay crane assignment problems under uncertainty
He et al. Modeling berth allocation and quay crane assignment considering QC driver cost and operating efficiency
Fagerholt et al. A decision support methodology for strategic planning in maritime transportation
Wang et al. Liner ship fleet deployment with container transshipment operations
Mallidis et al. The impact of slow steaming on the carriers’ and shippers’ costs: The case of a global logistics network
Escobar et al. Multi-objective mathematical model for the redesign of supply chains considering financial criteria optimisation and scenarios
Brito et al. Discrete event simulation combined with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applied to steel plant logistics system planning
KR20210060171A (ko)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Goyet et al. Risk-based inspection planning of offshore installations
Vaez et al. Sustainability in a lot-sizing and scheduling problem with delivery time window and sequence-dependent setup cost consideration
de Bittencourt et al. A solution framework for the integrated problem of cargo assignment, fleet sizing, and delivery planning in offshore logistics
Subiyanto Investigating the logistics costs model: recent update in Indonesia
Abu-Marrul et al. Simheuristic algorithm for a stochastic parallel machine scheduling problem with periodic re-planning assessment
Boutrot Reliable and accurate determination of life extension for offshore units
Damiani et al. A digital twin for supporting energy management in complex maritime terminals
CN112700086A (zh) 一种基于分层约束条件的炼厂泊位调度方法及装置
Lazakis Establishing an innovative and integrated reliability and criticality based maintenance strategy for the maritime industry
Kwak et al. Optimization of long-term planning with a constraint satisfaction problem algorithm with a machine learning
Ormevik et al. A high-fidelity approach to modeling weather-dependent fuel consumption on ship routes with speed optimization
EP1501028A1 (en) Transport managing device
Chen et al. Simulation-based optimization of ship design for dry bulk vessels
Lee A reference model for big data analysis in shipbuilding industry
Manea et al. The Influence of the Deadweight in the Projection of the Duration of the Maritime Ships Mentenancy Works
Silva et al. Logistics Planning for Critical Cargos Related to Hydrogen Sulfide Removal Processes in Pre-Salt Basin Fie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