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493A - Lane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by lane - Google Patents

Lane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by l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493A
KR20210059493A KR1020190146999A KR20190146999A KR20210059493A KR 20210059493 A KR20210059493 A KR 20210059493A KR 1020190146999 A KR1020190146999 A KR 1020190146999A KR 20190146999 A KR20190146999 A KR 20190146999A KR 20210059493 A KR20210059493 A KR 20210059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ane
queue
genera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9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11557B1 (en
KR102311557B9 (en
Inventor
양인철
전우훈
문재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4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557B1/en
Publication of KR2021005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4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557B1/en
Publication of KR10231155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557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25Traffic data processing
    • G08G1/0133Traffic data processing for classifying traffic si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2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the vehicle, e.g. floating car data [FC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1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7Supervising of traffic control systems, e.g. by giving an alarm if two crossing streets have green light simultaneous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system for generating lane-specific queue information (a) of a lane including a plurality of lanes (10), the system comprising: a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and a server (200) connected to the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by wire or wirelessly. The server (200) comprises: an input unit (210); a storage unit (220); and a control unit (230). 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a traffic information derivation module (310) for deriving lane-specific queue information (a) by using traffic information (b) provided by the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ccurate traffic information by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Description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Lane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by lane}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nd a method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using the same {Lane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by lane}

본 발명은 건설 교통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서, 차로상에 대기하는 차량의 대기행렬의 길이 등의 정보를 차로별로 생성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field of construction traffic, and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to provide traffic information by generating information such as the length of a queue of vehicles waiting on the lane for each lane, and waiting for each lane using the same. It relates to a method of generating matrix information.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검지 데이터와 교통 신호를 입력 데이터로 이용하여 교차로의 실시간 차로별 대기행렬 길이(출력 데이터)를 예측하고 제공하는 방법으로, 클라우드(Cloud) 기반의 장기 예측 모형과 엣지 기반의 단기 예측 모형을 동시에 이용하여 향상된 예측력을 갖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it is a method of predicting and providing the queue length (output data) for each lane in real time at an intersection using various detection data and traffic signals as input dat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having improved predictive power by using a prediction model at the same time, and a method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교통정보는 도로 구간의 통행시간, 차량 흐름 및 교통상황 등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차량의 운전자들은 교통정보를 제공받아 정체된 도로 구간 및 원활한 도로 구간을 확인할 수 있다.In general, traffic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travel time of a road section, vehicle flow, and traffic conditions, and drivers of a vehicle are provided with traffic information to check congested road sections and smooth road sections.

또한, 종래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장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교통정보를 서비스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목적지까지 최단 시간으로 주행할 수 있게 하고, 혼잡한 도로 구간에 집중되는 차량을 분산시켜 도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provides traffic information through a navigation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or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travel to the destination in the shortest time, and focus on congested road sections. Road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distributing vehicles that are used.

한편, 종래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도로 구간 상에 적어도 둘 이상의 차로가 존재하더라도 도로 구간 전체의 평균적인 통행시간만을 계산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하므로, 운전자들이 교통정보를 제공받더라도 정체되거나 원활한 차로를 확인할 수 없고, 각 차로별로 혼잡한 정도의 차이가 큰 경우 교통정보의 정확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the conventional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provides traffic information by calculating only the average travel time of the entire road section even if there are at least two lanes on the road section, so drivers can check congestion or smooth lanes even if they are provided with traffic information. If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gestion is large for each lane, the accuracy of traffic information is greatly degraded.

예컨대, 종래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경우에는, 차량이 직진하여 주행하는 직진 차로와 차량의 진입, 진출, 좌회전 및 우회전이 이루어지는 차로인 방향전환 차로가 동시에 존재하는 도로 구간에 대하여, 직진 차로는 원활하고 방향전환 차로가 혼잡한 경우 방향전환 차로의 혼잡에 따라 도로 전체가 혼잡한 것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와 반대로, 방향전환 차로가 혼잡하더라도 도로 구간 전체의 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section of a road in which a straight lane in which a vehicle travels straight and a direction change lane, which is a lane in which the vehicle enters, exits, and turns left and right, exist at the same time, a straight lane is smoothly performed. When the turning lane is congested, traffic information is provided as the entire road is congested according to the congestion of the turning lane.

특히, 직진 차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방향전환 차로는 쉽게 혼잡해지고 통행시간도 늦어질 수 있으나, 종래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로별로 구분된 교통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교통정보와 다르게 운전자가 주행하고자 하는 차로가 혼잡한 상황이 발생하거나 직진 차로가 원활함에도 불구하고 운전자가 교통정보를 근거로 우회하여 주행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In particular, compared to a straight lane, a turning lane can be easily congested and travel time may be delayed.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annot provide traffic information divided by lane, the driver wants to drive differently from traffic information.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the driver detours based on traffic information even though a situation in which the driving lane is congested or the straight lane is smooth.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차로별로 설치된 루프 검지기(ILD, Inductive Loop Detector) 등의 검지 장치를 설치하여 일정 시간 동안 인식된 집계 교통량을 이용하여 주기 기반 차로별 대기행렬을 추산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estimating the queue for each lane based on a period is applied by installing a detection device such as an inductive loop detector (ILD) installed for each lane and using the aggregate traffic volume recogniz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다만, 종래의 일반적인 차량 검지 기술(ILD)은 정확한 교통량 검지가 어렵고, 설치비용이 높으며,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정확한 대기행렬 예측을 위해 하나의 차로에 여러 개의 ILD 설치가 필요하여 설치 및 유지 비용이 과도하다. 더하여 집계 교통량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시간 차로별 대기행렬 예측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general vehicle detection technology (ILD), accurate traffic detection is difficult, installation cost is high, and maintenance is difficult. In addition,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excessive as it is necessary to install multiple ILDs in one lane for accurate queue predict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predict the queue by lane in real time because the aggregated traffic volume is used.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차로별 교통정보 생성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여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 가능하도록 한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method for generating traffic information for each lan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to provide accurate traffic information by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It is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of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실시간으로 정확한 차로별 교통정보의 생성이 가능한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e-specific queue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ccurate traffic information for each lane in real time at low cost, and a method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차로(10)를 포함하는 차로의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교통정보 생성부(100); 및 상기 교통정보 생성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200);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200)는, 입력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교통정보 생성부(100)에 의해 제공되는 교통정보(b)를 이용하여 상기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도출하는 교통정보 도출 모듈(3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a) for each lane of a lane including a plurality of lanes 10, comprising: a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And a server 200 connected to the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by wire or wirelessly, wherein the server 200 includes an input unit 210; A storage unit 220; And a control unit 230; wherein the control unit 230 uses the traffic information b provided by the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to derive the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is provided, which controls the derivation module 310.

이 경우 상기 교통정보 생성부(100)는 상기 복수의 차로(10)를 촬영하는 촬영부(110); 및 상기 복수의 차로(10)를 주행 중인 차량(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110 for photographing the plurality of lanes 10; And a vehicle 120 driving the plurality of lanes 10.

또한, 상기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는 차로별 대기행렬의 길이 정보(a1); 및 차로별 대기행렬의 길이 변화 정보(a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ne-specific queue information (a)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length of the queue for each lane (a1); And information on the length change of the queue for each lane (a2).

또한, 상기 차로별 대기행렬의 길이 변화 정보(a2)는, 시간대별 대기행렬의 길이 변화량 정보(a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gth change information a2 of the queue for each lane may be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a21 of the length change amount of the queue for each time slot.

또한, 상기 교통정보(b)는 상기 촬영부(110)에 의해 생성된 시간대별 영상정보(b1); 상기 차량(120)에 의해 생성된 실시간 영상정보(b2); 및 상기 차량(120)에 의해 생성된 실시간 위치정보(b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ffic information (b)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b1) for each time period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Real-time image information (b2) generated by the vehicle 120;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b3) generated by the vehicle 120.

또한, 상기 복수의 차로(10)는 대기차로(11); 및 주행차로(12);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120)은 상기 대기차로(11)에 주행 중인 대기차량(121); 및 상기 주행차로(12)에 주행 중인 주행차량(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anes 10 include a waiting lane 11; And a driving lane 12, wherein the vehicle 120 includes: a standby vehicle 121 running on the standby lane 11; And a driving vehicle 122 running on the driving lane 12.

또한, 상기 교통정보(b)는 상기 차량(120)에 의해 생성된 근접차량 센싱정보(b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ffic information (b) may be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comprising: sensing information for proximity vehicles (b4) generated by the vehicle 120.

또한, 상기 근접차량 센싱정보(b4)는 상기 대기차량(121)의 전방 및 후방의 근접차량 센싱정보(b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ximity vehicle sensing information b4 may be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comprising: sensing information for proximity vehicles in front and rear of the waiting vehicle 121 (b41).

또한, 상기 교통정보 도출 모듈(310)은 상기 교통정보(b)를 이용하여 기반정보(c)를 생성하는 기반정보 생성모듈(311); 및 상기 기반정보(c)를 이용하여 상기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도출하는 대기행렬 정보 도출 모듈(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ffic information derivation module 310 includes a bas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311 for generating base information c by using the traffic information b; And a queue information derivation module 312 that derives the queue information (a) for each lane using the base information (c).

또한, 상기 기반정보(c)는 상기 영상정보(b1)에 의해 도출되는 히스토리 정보(c1); 및 상기 실시간 영상정보(b2), 상기 실시간 위치정보(b3) 및 상기 근접차량 센싱정보(b4)에 의해 도출되는 실시간 정보(c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information (c) includes history information (c1) deriv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b1); And real-time information (c2) derived from the real-time image information (b2),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b3), and the proximity vehicle sensing information (b4); I ca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반정보 생성모듈(311)에 의해 상기 히스토리 정보(c1) 및 상기 실시간 정보(c2)를 도출하는 제1 단계(S100); 및 상기 대기행렬 정보 도출 모듈(312)에 의해 상기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도출하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of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using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the history information c1 and the real-time A first step (S100) of deriving information (c2); And a second step (S200) of deriving the queue information (a) for each lane by the queue information derivation module 312; a method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is provided. .

이 경우 상기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상기 차량(120)으로 전달하는 제3 단계(S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일 수 있다. In this case, a third step (S300) of transmitting the lane-specific queue information (a) to the vehicle 120 may be a method of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is recorded.

본 발명에 따르면 차로별로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여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ccurate traffic information by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으로 실시간으로 정확한 차로별 교통정보의 생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ccurate traffic information for each lane in real time at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는 일반적인 차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는 일반적인 차로의 대기행렬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의 교통정보 도출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에서의 교통정보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에서의 기반정보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의 기반정보 생성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의 실시간 정보 도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차량 센싱정보의 도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general lane to which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queue for a general lane to which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3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traffic information derivation module of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ypes of traffic information in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types of base information in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of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riving real-time information in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riving sensing information for a proximit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nd a method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stituent elements are limited by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coupled" does not mean only the case in which each component is in direct physical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but a different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sed as a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case of each contact.

본 발명은 교차로 등의 정지 구간에서 차량이 대기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차로별 대기행렬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specific queue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a lane-specific queue generated by a vehicle waiting in a stop section such as an inter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은 복수의 차로(10)를 포함하는 차로의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생성하며, 교통정보 생성부(100); 및 교통정보 생성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200);를 포함한다(도 3).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queue information a for each lane of a lane including a plurality of lanes 10, and includes: a traffic information generator 100; And a server 200 connected to the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by wire or wirelessly (FIG. 3).

복수의 차로(10)는 대기차로(11) 및 주행차로(12);를 포함하며, 차량(120)은 대기차로(11)에 주행 중인 대기차량(121) 및 주행차로(12)에 주행 중인 주행차량(1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anes 10 includes a waiting lane 11 and a running lane 12; and the vehicle 120 is a waiting vehicle 121 running on the waiting lane 11 and a running lane 12 It may include a traveling vehicle (122).

이 경우 서버(200)는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210), 입력부(210) 또는 통신부 등을 통해 전달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rver 200 may include an input unit 210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a storage unit 220 and a control unit 230 for storing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input unit 210 or a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은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도출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을 포함한다. 모듈은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된다. The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odules for deriving queue information a for each lane. The modul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30.

이러한 모듈에는 교통정보 생성부(100)에 의해 제공되는 교통정보(b)를 이용하여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도출하는 교통정보 도출 모듈(310)을 포함한다. Such a module includes a traffic information derivation module 310 that derives queue information (a) for each lane by using the traffic information (b) provided by the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교통정보 생성부(100)는 복수의 차로(10)를 촬영하는 촬영부(110) 및 복수의 차로(10)를 주행 중인 차량(1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110 for photographing a plurality of lanes 10 and a vehicle 120 driving the plurality of lanes 10.

촬영부(110)는 대기행렬이 발생되는 차로(10)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차량(120)의 경우에는 탑제된 GPS, 근접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대기 행렬 정보(a)의 도출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생성한다. 차량(120)에 의한 정보생성의 개념에는 차량(120) 자체에 의한 정보생성은 물론 차량에 수납된 스마트폰에 의해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까지 포함된다.The photographing unit 110 generates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lane 10 in which the queue is generated. In the case of the vehicle 120,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derivation of the queue information (a) are generated using the mounted GPS, a proximity sensor, and a camera. The concept of information generation by the vehicle 120 includes not only information generation by the vehicle 120 itself, but also whe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a smartphone stored in the vehicle.

또한 자율주행으로 대표되는 프로브 차량의 궤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include trajectory data of a probe vehicle represented by autonomous driving.

프로브 차량 궤적 데이터는 V2X 통신을 이용하여 엣지(Edge) 및 클라우드에 전송 및 수집될 수 있다. The probe vehicle trajectory data may be transmitted and collected at the edge and the cloud using V2X communication.

본 발명에 의해 도출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는 차로별 대기행렬의 길이 정보(a1) 및 차로별 대기행렬의 길이 변화 정보(a2)를 포함한다. The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 deri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length of the queue for each lane (a1) and information on the length change of the queue for each lane (a2).

차로별 대기행렬의 길이 정보(a1)는 대기되어 있는 차량의 수 또는 대기되어 있는 차량이 점유하는 도로의 길이일 수 있다. The length information a1 of the queue for each lane may be the number of waiting vehicles or the length of a road occupied by the waiting vehicles.

또한, 차로별 대기행렬의 길이 변화 정보(a2)는 대기되어 잇는 차량의 수의 증가나 감소, 도는 대기되어 있는 차량이 증가되거나 감소됨으로써 변화되는 대기 차량이 점유하는 도로의 길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gth change information a2 of the queue for each lane may be a length of a road occupied by the waiting vehicle that is changed by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number of waiting vehicles, or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number of waiting vehicles.

차로별 대기행렬의 길이 변화 정보(a2)는 시간대별 대기행렬의 길이 변화량 정보(a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ength change information a2 of the queue by lane may include information a21 of the length change amount of the queue by time slot.

교통정보(b)는 촬영부(110)에 의해 생성된 시간대별 영상정보(b1), 차량(120)에 의해 생성된 실시간 영상정보(b2), 차량(120)에 의해 생성된 실시간 위치정보(b3) 및 차량(120)에 의해 생성된 근접차량 센싱정보(b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affic information (b) includes image information (b1) for each time period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real-time image information (b2) generated by the vehicle 120,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vehicle 120 ( b3) and proximity vehicle sensing information b4 generated by the vehicle 120.

근접차량 센싱정보(b4)는 대기차량(121)의 전방 및 후방의 근접차량 센싱정보(b41)를 포함할 수 있다(도 7). The proximity vehicle sensing information b4 may include the proximity vehicle sensing information b41 in front and rear of the waiting vehicle 121 (FIG. 7 ).

이에 따라 대기차로(11)에 정차 또는 주행 중인 대기차량(121) 중 대기행렬의 마지막에 위치된 차량(121a)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vehicle 121a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queue among the waiting vehicles 121 stopped or running on the waiting lane 11.

대기행렬의 마지막에 위치된 차량은 전방의 소정의 거리 이내에 앞 차량(121)이 있는 것으로 센싱되나, 후방의 소정의 거리 이내에는 뒷 차량이 위치되지 않는 것으로 센싱되므로 이러한 정보를 조합하여, 대기행렬의 마지막에 위치된 차량(121a)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vehicle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queue is sensed as having the vehicle in front 121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but it is sensed that the vehicle in the rear is not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ear, so this information is combined and the queue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vehicle (121a) located at the end of.

교통정보 도출 모듈(310)은 교통정보(b)를 이용하여 기반정보(c)를 생성하는 기반정보 생성모듈(311) 및 기반정보(c)를 이용하여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도출하는 대기행렬 정보 도출 모듈(31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traffic information derivation module 310 derives the queue information (a) for each lane using the bas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311 and base information (c) that generates base information (c) using traffic information (b). It is possible to include a queue information derivation module 312.

기반정보(c)는 영상정보(b1)에 의해 도출되는 히스토리 정보(c1) 및 실시간 영상정보(b2), 실시간 위치정보(b3) 및 근접차량 센싱정보(b4)에 의해 도출되는 실시간 정보(c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se information (c) is the history information (c1) deriv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b1), the real-time image information (b2),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b3), and the real-time information (c2) derived from the proximity vehicle sensing information (b4). ) Can be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은 히스토리 정보(c1)에 따른 통계적 추정치를 제시하여 요일별, 시간별 대기행렬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실시간 정보(c2)를 이용하여 통계적 추정치를 실시간으로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대기 행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queue information by day and time by presenting a statistical estimate according to the history information (c1), and by correcting the statistical estimate value in real time using the real-time information (c2). There is a feature that can generate accurate queue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using the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기반정보 생성모듈(311)에 의해 히스토리 정보(c1) 및 실시간 정보(c2)를 도출하는 제1 단계(S100), 대기행렬 정보 도출 모듈(312)에 의해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도출하는 제2 단계(S200) 및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차량(120)으로 전달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S100) of deriving history information (c1) and real-time information (c2) by the bas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311 (S100), a queue information derivation module. It may include a second step (S200) of deriving the lane-specific queue information (a) by 312 and a third step (S300) of transferring the lane-specific queue information (a) to the vehicle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The method of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is o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know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t will be sai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together with the fundamental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is o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know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t will be sai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together with the fundamental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차로
100 : 교통정보 생성부
200 : 서버
10: by car
100: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00: server

Claims (13)

복수의 차로(10)를 포함하는 차로의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교통정보 생성부(100); 및
상기 교통정보 생성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서버(200);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200)는,
입력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교통정보 생성부(100)에 의해 제공되는 교통정보(b)를 이용하여 상기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도출하는 교통정보 도출 모듈(3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In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a) for each lane of a lane including a plurality of lanes 10,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And
Including; a server 200 connected to the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and wired or wirelessly,
The server 200,
An input unit 210;
A storage unit 220; And
Including; control unit 230;
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traffic information derivation module 310 for deriving the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 by using the traffic information (b) provided by the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생성부(100)는
상기 복수의 차로(10)를 촬영하는 촬영부(110); 및
상기 복수의 차로(10)를 주행 중인 차량(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0
A photographing unit 110 for photographing the plurality of lanes 10; And
And a vehicle (120) driving the plurality of lanes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는
차로별 대기행렬의 길이 정보(a1); 및
차로별 대기행렬의 길이 변화 정보(a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 is
Information on the length of the queue by lane (a1); And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comprising: information on a change in length of the queue for each lane (a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별 대기행렬의 길이 변화 정보(a2)는,
시간대별 대기행렬의 길이 변화량 정보(a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length change information (a2) of the queue for each lane,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comprising information (a21) of a length change amount of the queue for each time slo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b)는
상기 촬영부(110)에 의해 생성된 시간대별 영상정보(b1);
상기 차량(120)에 의해 생성된 실시간 영상정보(b2); 및
상기 차량(120)에 의해 생성된 실시간 위치정보(b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ffic information (b) is
Image information (b1) for each time period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0;
Real-time image information (b2) generated by the vehicle 120;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b3) generated by the vehicle 120;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로(10)는
대기차로(11); 및
주행차로(12);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120)은
상기 대기차로(11)에 주행 중인 대기차량(121); 및
상기 주행차로(12)에 주행 중인 주행차량(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lanes 10
Waiting lane 11; And
Includes; a driving lane 12;
The vehicle 120
A waiting vehicle 121 running on the waiting lane 11; And
A driving vehicle 122 running on the driving lane 12;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b)는
상기 차량(120)에 의해 생성된 근접차량 센싱정보(b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traffic information (b) is
And the proximity vehicle sensing information (b4) generated by the vehicle (1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차량 센싱정보(b4)는
상기 대기차량(121)의 전방 및 후방의 근접차량 센싱정보(b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ximity vehicle sensing information (b4) is
Proximity vehicle sensing information (b41)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standby vehicle 121;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 도출 모듈(310)은
상기 교통정보(b)를 이용하여 기반정보(c)를 생성하는 기반정보 생성모듈(311); 및
상기 기반정보(c)를 이용하여 상기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도출하는 대기행렬 정보 도출 모듈(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traffic information derivation module 310
A bas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311 for generating base information c by using the traffic information b; And
A queue information derivation module 312 that derives the queue information (a) for each lane using the base information (c);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정보(c)는
상기 영상정보(b1)에 의해 도출되는 히스토리 정보(c1); 및
상기 실시간 영상정보(b2), 상기 실시간 위치정보(b3) 및 상기 근접차량 센싱정보(b4)에 의해 도출되는 실시간 정보(c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base information (c) is
History information (c1) deriv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b1); And
Real-time information (c2) derived from the real-time image information (b2), the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b3), and the proximity vehicle sensing information (b4);
A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comprising: a.
제6항의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반정보 생성모듈(311)에 의해 상기 히스토리 정보(c1) 및 상기 실시간 정보(c2)를 도출하는 제1 단계(S100); 및
상기 대기행렬 정보 도출 모듈(312)에 의해 상기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도출하는 제2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using the system for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of claim 6,
A first step (S100) of deriving the history information (c1) and the real-time information (c2) by the bas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311; And
A second step (S200) of deriving the queue information (a) for each lane by the queue information derivation module 312;
A method of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a)를 상기 차량(120)으로 전달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 third step (S300) of transmitting the queue information (a) for each lane to the vehicle 120;
A method of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comprising: a.
제11항 또는 제12항에 따른 차로별 대기행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generating queue information for each lane according to claim 11 or 12 is recorded.

KR1020190146999A 2019-11-15 2019-11-15 Lane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by lane KR102311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999A KR102311557B1 (en) 2019-11-15 2019-11-15 Lane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by l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999A KR102311557B1 (en) 2019-11-15 2019-11-15 Lane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by lane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493A true KR20210059493A (en) 2021-05-25
KR102311557B1 KR102311557B1 (en) 2021-10-12
KR102311557B9 KR102311557B9 (en) 2022-01-17

Family

ID=7614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999A KR102311557B1 (en) 2019-11-15 2019-11-15 Lane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by l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55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634B1 (en) * 2022-12-16 2023-05-09 주식회사 핀텔 The Method and System that Implement Real-time Traffic Conditions with Digital Twin and Metaverse
WO2024017415A3 (en) * 2023-03-07 2024-03-28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Station track existing vehicle distribu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042A (en) * 2010-05-06 2011-11-1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yielding traffic information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60143304A (en) * 2015-06-05 2016-12-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generating traffic information base on image and Method thereof
KR20190080020A (en) * 2017-12-28 2019-07-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Lane traffic situation jud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9212071A (en) * 2018-06-06 2019-12-1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Driving assist device and driving assis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042A (en) * 2010-05-06 2011-11-1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yielding traffic information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60143304A (en) * 2015-06-05 2016-12-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generating traffic information base on image and Method thereof
KR20190080020A (en) * 2017-12-28 2019-07-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Lane traffic situation jud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9212071A (en) * 2018-06-06 2019-12-1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Driving assist device and driving assis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634B1 (en) * 2022-12-16 2023-05-09 주식회사 핀텔 The Method and System that Implement Real-time Traffic Conditions with Digital Twin and Metaverse
WO2024017415A3 (en) * 2023-03-07 2024-03-28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Station track existing vehicle distribu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557B1 (en) 2021-10-12
KR102311557B9 (en)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5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vehicle fleet routing
CN110861650B (en) Vehicle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vehicle-mounte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5482827B2 (en) Traffic index calculatio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7389080A (en) A kind of vehicle route air navigation aid and electronic equipment
JP5263312B2 (en) Traffic jam judging device and vehicle control device
US10229600B2 (en) Navigation system with traffic flow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11415522A (en) Method for planning a vehicle trajectory
US11124196B2 (en) Receding horizon state estimator
US20140058652A1 (en) Traffic information processing
WO2017143591A1 (en) Traffic control method and device
EP4303793A2 (en) Path segment risk regression system for on-demand transportation services
US11175153B2 (en) Pedestrian and vehicle route optimization
US10594806B2 (en) Management of mobile objects and resources
WO2019030916A1 (en) Traffic lan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running control method, and traffic lane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JP2019079199A (en) Signal switching control device, signal switching control method and signal switching control program
KR20210070387A (en) A system for implementing fallback behaviors for autonomous vehicles
US119354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peratively managing mixed traffic at an intersection
KR20210059493A (en) Lane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by lane
CN110568847A (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vehicle-mounte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6515807B2 (en) Vehicle guidance system, vehicle guidance method,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168368A1 (en) Guardrail estimation method based on multi-sensor data fusion, and vehicle-mounted device
KR1023501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driving route
JP2019191802A (en) Congestion degree determination device, congestion degree determin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3496326B (en) Vehicle maintenan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KR102206398B1 (en) Heterogeneous traffic congestion control system and cotroll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