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618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618A
KR20210058618A KR1020200036146A KR20200036146A KR20210058618A KR 20210058618 A KR20210058618 A KR 20210058618A KR 1020200036146 A KR1020200036146 A KR 1020200036146A KR 20200036146 A KR20200036146 A KR 20200036146A KR 20210058618 A KR20210058618 A KR 20210058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te
display panel
image
frame
receiv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석
장성환
허혜현
김범준
김유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7/081,66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978415B2/en
Priority to PCT/KR2020/015169 priority patent/WO2021096137A1/en
Priority to EP20207022.3A priority patent/EP3822962A3/en
Priority to CN202011267631.1A priority patent/CN112802432A/zh
Publication of KR2021005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618A/ko
Priority to US18/475,467 priority patent/US2024002116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 구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고,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이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고,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기술의 발전과 함께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 주사율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또는 주사율)와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상이하면, 지연 시간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본래 목적한 품질이 향상된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끊기거나 매끄럽지 못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낮고,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대한 계산을 수행한 뒤 출력하기 까지 약 8.3ms의 인풋렉(Input Lag)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 구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값에 포함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응답 속도 보상을 위한 DCC(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값,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 차지 타이밍(Charging timing) 또는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는,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고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프레임 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포함된 상기 DCC 값 및 상기 액정 차지 타이밍은 상기 제2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포함된 상기 DCC 값 및 상기 액정 차지 타이밍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는,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고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프레임 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제2 프레임 레이트에서 제1 프레임 레이트로 변경되면,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DCC 값, 상기 액정 차지 타이밍을 증가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감마 값이 기준 감마 값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UI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의 처리와 관련된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타입 정보, 사용자 인터렉션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 구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값에 포함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응답 속도 보상을 위한 DCC(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값,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 차지 타이밍(Charging timing) 또는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는,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고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프레임 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포함된 상기 DCC 값 및 상기 액정 차지 타이밍은 상기 제2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포함된 상기 DCC 값 및 상기 액정 차지 타이밍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는,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고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프레임 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제2 프레임 레이트에서 제1 프레임 레이트로 변경되면,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DCC 값, 상기 액정 차지 타이밍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감마 값이 기준 감마 값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UI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의 처리와 관련된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타입 정보, 사용자 인터렉션 관련 정보, 상기 수신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경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 구동 가능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구조에 대한 변경 없이도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로 구동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를 일치시켜 인풋랙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끊김없이 매끄러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 여부를 제어하고, 영상을 그대로 출력할지 또는 영상에 보간 프레임을 추가하여 출력할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를 고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디오 월(video wall),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장치라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패널,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μLED(Micro light-emitting diodes), Mini LED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다양한 타입의 영상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IEEE 1394,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AES/EBU(Audio Engineering Society/ European Broadcasting Union), 옵티컬(Optical), 코액셜(Coaxial)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소스 장치), 외부 저장 매체(예를 들어, USB 메모리), 외부 서버(예를 들어 웹 하드) 등으로부터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신호는 SD(Standard Definition), HD(High Definition), Full HD 또는 Ultra HD 영상 중 어느 하나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고, 메모리로부터 영상을 로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영상을 로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 구동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레이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하나의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는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는 화면 재생 빈도(refresh rate), 주파수 또는 주사율로 불릴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 레이트로 통칭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는 Hz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가 60Hz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1초에 60개의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가 120Hz이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1초에 120개의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가 60Hz, 120Hz로 구동되는 예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75Hz, 144Hz, 240Hz 등 다양한 프레임 레이트로 구동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레이트로 구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30)가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선택된 프레임 레이트로 구동시키기고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AI(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세서, T-CON(Timing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예를 들어, 동영상)은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정지 영상의 집합이며, 하나의 정지 영상은 프레임(frame)을 의미할 수 있다.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는 fps (frames per second)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는 1초 동안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는 프레임 속도, 프레임율로 불릴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 레이트로 통칭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최소 24fps 이상의 영상이 제공되면, 사용자는 해당 영상을 부드럽고 매끄러운 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체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증가할수록 사용자는 부드럽고 매끄러운 영상을 제공받는다고 느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게임(예를 들어, FPS(First-Person Shooter) 게임, 레이싱 게임) 영상, 스포츠 영상, 슬로우 모션 영상과 같이 60fps, 120fps, 1000fps 등 다양한 프레임 레이트의 영상을 수신 및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된 영상의 메타데이터(metadata)에 기초하여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영상의 fps)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가 영상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1초 동안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수에 기초하여 해당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구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구동 가능한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즉,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60fps 이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60fps에 대응되는 60Hz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120fps 이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120fps에 대응되는 120Hz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fps 단위)는 1초 동안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개수를 의미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Hz 단위)는 1초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제공하는 프레임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 대비 낮다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 중 일부를 반복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에게 영상이 느려져 보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다른 예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 대비 높다면,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다음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새로운 프레임이 여러 개 만들어지므로, 일부 프레임이 상실되는 문제 또는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 대비 매우 높다면,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특정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던 주기에 다음 프레임이 입력되어 화면의 위와 아래에 서로 다른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테어링(screen tearing)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의 프레임 생성 타이밍과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출력 타이밍을 맞추도록 설정하는 수직 동기화(Vertical Synchronization (V-sync))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생성 타이밍과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출력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위해 프레임이 수직 동기 버퍼를 거쳐 나가는 과정을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지연 시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영상의 입력과 출력 상이에 딜레이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영상을 60 fps 영상으로 가정하면, 프로세서(130)는 1/60s (16.6ms) 단위로 수직 동기를 대기하며 수신된 영상에 대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12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면, 프로세서(130)가 수신된 영상에 대한 계산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해 출력하기 까지 최소 8.3ms (16.6ms/2)의 딜레이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딜레이는 레이턴시(Latency), 인풋렉(Input Lag), 디스플레이렉(Display Lag) 등으로 불릴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주사율)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출력 간 딜레이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10)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한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10)의 프레임 레이트가 제1 프레임 레이트이면,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제1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주사율)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제1 프레임 레이트에 기초하여 설정 값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응답 속도 보상을 위한 DCC(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값,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액정 차지 타이밍(Charging timing) 또는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DCC 값은 현재 프레임에서 임의의 픽셀에 대한 이전 프레임의 계조 값과 현재 프레임의 계조 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보다 더 큰 값이 이전 프레임의 계조 값에 더해지도록 RGB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1 프레임의 딜레이(예를 들어, 지속 시간)은 16.7 ms 이다. 임의의 픽셀에서 액정 물질 양단에 전압이 가해질 때, 액정 물질이 응답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의도하는 계조값이 표현되기 위해서는 시간 지연이 필연적이다. DCC 기능은 이러한 시간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다. 예를 들어, 임의의 화소에 대해 이전 프레임에서의 계조값이 '118'이고, 현재 프레임에서의 계조값이 '128'일 때, 두 계조 사이의 차이인 '10'보다 큰 값(보상값이라 칭함)을 더한 계조값, 예를 들어 '135'가 현재 프레임의 계조값으로서 변환된다. 이러한 DCC 방법에서는 이전 프레임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프레임 메모리가 필요하며, 보상값은 이전 프레임의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를 기초로 작성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룩업 테이블 외에도 보상값을 산출하는 다양한 수학식에 기초하여 DCC 값을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DCC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설정 값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특정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10)의 프레임 레이트가 60fps 이면, 디스플레이 패널(120)를 60fps 에 대응되는 60Hz의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주사율)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제1 프레임(10-1)에 대한 계산을 위해 요구되는 딜레이(예를 들어, 약 16.6ms) 없이 제1 프레임(10-1)에 대응되는 제1 출력 프레임(20-1)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10)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한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10)의 프레임 레이트가 제2 프레임 레이트이면,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제2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주사율)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프레임 레이트는, 제1 프레임 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고 주파수를 가지는 프레임 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레이트는 60Hz(또는, 60fps)이고, 제2 프레임 레이트는 120Hz(또는, 120fps)일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제2 프레임 레이트에 기초하여 설정 값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응답 속도 보상을 위한 DCC(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값,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액정 차지 타이밍(Charging timing) 또는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10)의 프레임 레이트가 120fps 이면, 디스플레이 패널(120)를 120fps 에 대응되는 120Hz의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주사율)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제1 프레임(10-1)에 대한 계산을 위해 요구되는 딜레이(예를 들어, 약 8.3ms(1s/120)) 없이 제1 프레임(10-1)에 대응되는 제1 출력 프레임(20-1)을 획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10)에 대한 계산을 위해 또는 수직 동기화를 위해 요구되는 지연 시간 없이, 수신된 영상(10)에 대응되는 출력 영상(20)를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60Hz)에 대응하는 설정 값에 포함된 DCC 값 및 액정 차지 타이밍은 제2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120Hz)에 대응하는 설정 값에 포함된 DCC 값 및 액정 차지 타이밍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12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구동하면, 1초 동안 120개의 프레임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응답 속도 보상을 위한 DCC 값 및 액정 차지 타이밍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구동할 때 보다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DCC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설정 값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특정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가 변경되어도, 디스플레이(120) 패널의 감마 값이 기준 감마 값으로 유지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영상(10)에 따라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가 제2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120Hz)에서 제1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60Hz)로 변경되면, 프로세서(130)는 제1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기초하여 DCC 값 및 액정 차지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20)를 제1 프레임 레이트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DCC 값 및 액정 차지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됨에 따라 변경된 감마 값이 기준 감마 값(예를 들어, 2.2 감마 값)으로 유지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휘도 또는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로 구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한다(S510).
이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한다(S520).
이어서,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한다(S530).
여기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정 값을 조정하는 S520 단계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에 기초하여 설정 값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응답 속도 보상을 위한 DCC(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값,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 차지 타이밍(Charging timing) 또는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는,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제1 프레임 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고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프레임 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포함된 DCC 값 및 액정 차지 타이밍은 제2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포함된 DCC 값 및 액정 차지 타이밍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는,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제1 프레임 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고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프레임 레이트를 포함하고, 설정 값을 조정하는 S520 단계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가 제2 프레임 레이트에서 제1 프레임 레이트로 변경되면, 제1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기초하여 DCC 값, 액정 차지 타이밍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감마 값이 기준 감마 값으로 유지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S530 단계는, 사용자 명령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를 고정시키는 명령이고 수신된 영상에 대응되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된 프레임 레이트가 상이하면, 수신된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조정하여 조정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는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제1 프레임 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고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프레임 레이트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S530 단계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가 제1 프레임 레이트이고, 고정된 프레임 레이트가 제2 프레임 레이트이면, 수신된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간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복수의 프레임 및 새로운 프레임으로 구성된 수신된 영상에 대응되는 조정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프레임은, 수신된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반복(repeat)하여 생성된 프레임 또는 수신된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에 기초하여 생성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된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에 기초하여 생성된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모션(motion)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S520 단계는, 사용자 명령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시키는 명령이고 수신된 영상에 대응되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가 상이하면,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S520 단계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S520 단계는,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S510 단계는, 수신된 영상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S520 단계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수신된 영상의 처리와 관련된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S510 단계는,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S520 단계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변경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영상이 수신되면,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영상의 fps)를 식별한다(S610).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 여부를 식별한다(S620).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시키는 명령이면(S620: Y), 수신된 영상에 대응되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가 상이한지 여부를 식별한다(S630).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에 대응되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가 상이하면(S630: Y),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변경시킬 수 있다(S640).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한다(S650).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에 대응되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가 동일하면(S630: N),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한다(S650). 즉,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시키지 않고,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명령 외에도 영상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시켜 영상을 출력할지 또는 영상에 새로운 프레임(예를 들어,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여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하도록 조정한 뒤에, 조정된 영상을 출력할지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 데이터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60Hz, 120Hz 또는 144 Hz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동작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타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를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와 일치하도록 변경시킨 뒤 해당 영상을 출력시킬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를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와 일치하도록 변경시킨 뒤, 해당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는 변경시키지 않고, 영상에 새로운 프레임(예를 들어, 보간 프레임)을 생성하여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하도록 조정한 뒤에, 조정된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영상이 수신되면,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영상의 fps)를 식별한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구동 가능한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각각을 선택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의 일 예시로 60Hz, 120Hz를 상정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를 고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S610 및 S620 단계에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이 프레임 레이트를 고정시키는 명령이면(S620: N), 수신된 영상에 대응되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가 상이한지 여부를 식별한다(S660).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에 대응되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가 상이하면(S660: Y), 수신된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조정하여 조정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S670).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에 대응되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가 동일하면(S660: N),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S680).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30)가 사용자 명령이 프레임 레이트를 고정시키는 명령이고 수신된 영상에 대응되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가 상이한 경우에, 수신된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조정하여 조정된 영상을 출력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10)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가 제1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60fps)이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가 제2 프레임 레이트(예를 들어, 120Hz)이면, 수신된 영상(10)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간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새로운 프레임은 보간 프레임으로 불릴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10)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및 생성된 새로운 프레임으로 구성된 수신된 영상(10)에 대응되는 조정된 영상(20)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종래의 다양한 프레임 보간 기술에 기초하여 새로운 프레임 즉, 보간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10)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 사이에 앞 프레임을 반복(repeat)하여 새로운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된 영상(10)이 60fps 이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영상(10)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반복하여 120fps의 조정된 영상(20)을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조정된 영상(20)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인 숫자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수신된 영상(10)이 30fps 이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프레임 레이트에 기초하여 영상(10)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반복하여 60fps 또는 120fps의 조정된 영상(20)을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상(10)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을 반복하여 새로운 프레임 즉, 보간 프레임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10)의 제1 프레임(10-1)에 대응되는 조정된 영상(20)의 제1 출력 프레임(20-1)을 반복하여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프레임을 반복하여 새로운 프레임을 획득하는 방법을 일 예시에 불과하며,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프레임 및 새로운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정된 영상(20)을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생성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10)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에 기초하여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프레임은 영상(10)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모션(motion)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프레임일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10)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제1 프레임(10-1) 및 제2 프레임(10-2)에 기초하여 새로운 출력 프레임(20-1’)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출력 프레임(20-1’)은 제1 프레임(10-1)에 대응되는 제1 출력 프레임(20-1) 및 제2 프레임(10-2)에 대응되는 제2 출력 프레임(20-2)과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출력 프레임(20-1’)은 제1 프레임(10-1) 및 제2 프레임(10-2) 각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하여 획득된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정보는 프레임 내에서 오브젝트의 위치, 앞 프레임 내에서 해당 오브젝트의 위치, 형태와 뒷 프레임 내에서 해당 오브젝트의 위치, 형태의 변화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새로운 출력 프레임(20-1’)을 조정된 영상 내에서 제1 출력 프레임(20-1)과 제2 출력 프레임(20-2) 사이에 위치시키고, 새로운 출력 프레임(20-1’)을 앞 프레임(예를 들어, 제1 출력 프레임(20-1))의 출력 뒤, 뒷 프레임(예를 들어, 제2 출력 프레임(20-2))의 출력 전에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새로운 프레임을 획득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 외에도 AMD 社의 플루이드 모션(fluid motion) 등 다양한 종래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디스플레이 패널(120), 프로세서(130), 패널 구동부(140), 메모리(1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2의 실시 예와 같이 상술한 구성을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오디오 출력부(미도시), 전원부(미도시) 등의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액정층, 화소 전극, 액정 축전기,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백라이트 유닛 등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휘도 정보를 통해 식별된 휘도 값에 따라 각 픽셀의 밝기를 표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수신된 영상의 처리와 관련된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를 획득하고,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고,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보정 처리를 수행한 뒤,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의 수신에서 출력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입력 지연 시간, 인풋 랙(Input Lag)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의 처리(예를 들어, 종래의 영상 보정 처리)와 관련된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영상의 출력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증가시키고, 수신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는, 수신된 영상의 타입 정보, 사용자 인터렉션 관련 정보 또는 수신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타입 정보는, 수신된 영상이 영화 컨텐츠, 게임 컨텐츠, 스트리밍 컨텐츠 또는 이미지 컨텐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컨텐츠들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영상의 타입 정보는, 보다 상세하게 분류된 컨텐츠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의 타입 정보는 수신된 영상이 게임 컨텐츠 중 리듬 게임, FPS 게임, 격투 게임 등과 같이 게임 내에서 어느 장르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영상의 타입 정보는 수신된 영상이 영화 컨텐츠 중 액션 영화, 전쟁 영화, 공상과학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 등과 같이 영화 내에서 어느 장르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이 FPS 게임 컨텐츠인 것으로 식별되면, 지연 시간 즉,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 시간이 100ms를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사용자의 원활한 게임 진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이 리듬 게임 컨텐츠인 것으로 식별되면, 지연 시간 즉,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 시간이 임계 시간 예를 들어, 50ms를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구체적인 숫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에 포함된 영상 타입에 대한 정보 각각에 매핑된 임계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프레임 레이트를 어느 정도까지(예를 들어, 120Hz, 144Hz 등) 변경할지에 대한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영상의 타입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컨텐츠 중 FPS 게임 컨텐츠는 144Hz로 구동시키도록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의 메타 데이터 또는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수신된 영상이 FPS 게임 컨텐츠 인것으로 식별되면, 프레임 레이트를 144Hz로 변경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로 복수의 컨텐츠 장르 각각에 대해 특정 프레임 레이트가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일부 컨텐츠 장르에 한하여 특정 프레임 레이트가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의 컨텐츠 장르에 대응되는 특정 프레임 레이트가 기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프레임 레이트로 패널(110)을 구동시키고, 수신된 영상에 대응되는 컨텐츠 장르에 특정 프레임 레이트가 기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수신된 영상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된 프레임 레이트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영상 내의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영상 내에서 임계 개수 이상의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경우 또는 오브젝트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영상 내에서 복수의 오브젝트가 변경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오브젝트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영상에 포함된 프레임 내의 오브젝트가 급격히 변경되는 경우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가 움직이는 경우에 끊김 없이 또한 딜레이 없이 원활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키고, 수신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 움직임 정보는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포함된 오브젝트들 각각의 위치 변경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슈팅 게임 컨텐츠, 스포츠 게임 컨텐츠 등과 같이 프레임의 변경 시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의 위치가 변경되는 컨텐츠가 식별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임계 프레임 레이트 이상으로 변경시키고 영상(또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프레임 레이트는 게임 컨텐츠, 영화 컨텐츠 등을 딜레이 없이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 레이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프레임 레이트는 120Hz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인터렉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인터렉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터렉션이 임계 횟수 이상 입력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렉션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 화면 조작 명령, 게임 컨텐츠인 경우에 게임 컨텐츠 내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인터렉션이 임계 횟수 이상 입력되는 경우에, 다수의 인터렉션이 반영된 화면을 원활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인터렉션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내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미세 조정이 요구되는 경우에 잔상 또는 오버레이(overlay)가 발생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슈팅 게임 컨텐츠 내에 과녁, 목표물, 타겟 등과 같이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수신되고, 특정 오브젝트가 미세 조정이 요구되는 오브젝트인 것으로 식별되면 딜레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패널 구동부(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구동부(140)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 데이터 구동부(미도시), 계조 전압 생성부(미도시) 및 신호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패널 구동부(140)가 별도의 구성으로 기재되었으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가 패널 구동부(140)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패널 구동부(140)는 수신된 영상(10)의 프레임 레이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수신된 영상(10)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로 구동시킬 수 있다.
메모리(150)는 프로세서(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프로세서(130)에 포함된 롬(ROM)(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3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15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150)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이 될 수도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15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특정 프레임 레이트로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설정 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설정 값(예를 들어, DCC 값, 액정 차지 타이밍 또는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120Hz의 프레임 레이트로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설정 값(예를 들어, DCC 값, 액정 차지 타이밍 또는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설정 값에 대한 정보는 룩업테이블 형태 일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설정 값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메모리(15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외부 서버에 저장된 휘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설정 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 리모콘 송수신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리모콘 송수신부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거나, 리모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출력부(미도시)는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는 프로세서(130)에서 처리된 디지털 음향 신호를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출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 D/A 컨버터, 오디오 앰프(audio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출력부는 다양한 멀티 채널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입력 영상의 인핸스 처리에 대응되도록 입력된 음향 신호를 인핸스 처리하여 출력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2채널 음향 신호를 가상의 멀티 채널(예를 들어, 5.1 채널) 음향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놓인 위치를 인식해 공간에 최적화된 입체 음향 신호로 처리하거나, 입력 영상의 타입(예를 들어 컨텐츠 장르)에 따라 최적화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100’)는 구현 예에 따라 튜너 및 복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튜너(미도시)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미도시)는 튜너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튜너를 통해 수신된 입력 영상은 복조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된 후,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130)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뿐 아니라, 셋탑 박스와 같은 영상 수신 장치, 영상 처리 장치 등 영상 처리가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백라이트 유닛
130: 프로세서 140: 메모리

Claims (19)

  1.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 구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값에 포함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응답 속도 보상을 위한 DCC(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값,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 차지 타이밍(Charging timing) 또는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는,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고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프레임 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포함된 상기 DCC 값 및 상기 액정 차지 타이밍은 상기 제2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포함된 상기 DCC 값 및 상기 액정 차지 타이밍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는,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고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프레임 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제2 프레임 레이트에서 제1 프레임 레이트로 변경되면,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DCC 값, 상기 액정 차지 타이밍을 증가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감마 값이 기준 감마 값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휘도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UI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의 처리와 관련된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타입 정보, 사용자 인터렉션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수신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 구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값에 포함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응답 속도 보상을 위한 DCC(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값,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 차지 타이밍(Charging timing) 또는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는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고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프레임 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포함된 상기 DCC 값 및 상기 액정 차지 타이밍은 상기 제2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포함된 상기 DCC 값 및 상기 액정 차지 타이밍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는,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 보다 상대적으로 고 주파수를 가지는 제2 프레임 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제2 프레임 레이트에서 제1 프레임 레이트로 변경되면,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는 설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DCC 값, 상기 액정 차지 타이밍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감마 값이 기준 감마 값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UI를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의 처리와 관련된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딜레이 정보는,
    상기 수신된 영상의 타입 정보, 사용자 인터렉션 관련 정보, 상기 수신된 영상 내의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 방법.
  19.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경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 구동 가능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 상기 식별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00036146A 2019-11-13 2020-03-2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58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81,665 US11978415B2 (en) 2019-11-13 2020-10-2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0/015169 WO2021096137A1 (en) 2019-11-13 2020-11-02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0207022.3A EP3822962A3 (en) 2019-11-13 2020-11-1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011267631.1A CN112802432A (zh) 2019-11-13 2020-11-13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18/475,467 US20240021169A1 (en) 2019-11-13 2023-09-2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34731P 2019-11-13 2019-11-13
US62/934,731 2019-1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618A true KR20210058618A (ko) 2021-05-24

Family

ID=76152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146A KR20210058618A (ko) 2019-11-13 2020-03-2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86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31145B (zh) 显示屏变频方法、ddic芯片、显示屏模组及终端
US9786255B2 (en) Dynamic frame repetition in a variable refresh rate system
US10147370B2 (en) Variable refresh rate gamma correction
EP3822962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735688B2 (en) Electronics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062186A1 (en) Display device and luminance control method thereof
US9589499B2 (en) Display device having function of controlling luminance based on average picture level and luminance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213501A1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101427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87979A (ko) 비디오 월
KR201801032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2042815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6114011A (zh) 显示装置以及控制该显示装置的方法
US10068549B2 (en) Cursor handling in a variable refresh rate environment
US20230154423A1 (en) Display device and local method of controlling local dimming thereof
JP2014066928A (ja) 映像信号供給装置、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システム、映像信号供給方法、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2100586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08070A (ko)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14111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01370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N118120244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23024563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120655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21716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371603A1 (en) Output system, output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