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846A -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및 그 충진재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및 그 충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846A
KR20210057846A KR1020190143970A KR20190143970A KR20210057846A KR 20210057846 A KR20210057846 A KR 20210057846A KR 1020190143970 A KR1020190143970 A KR 1020190143970A KR 20190143970 A KR20190143970 A KR 20190143970A KR 20210057846 A KR20210057846 A KR 20210057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weight
parts
artificial turf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호
이찬우
이태린
Original Assignee
이철호
이태린
이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이태린, 이찬우 filed Critical 이철호
Priority to KR1020190143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7846A/ko
Publication of KR20210057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1833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having ether, acetal, or orthoest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8/225 - C08G18/2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25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08G18/24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 C08G18/246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lso tin-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being toluene diisocyanate including isome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3Hal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J9/144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 C08J9/146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only fluorine as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은 충격흡수수지 100중량부를 200∼300’C의 용융온도로 세팅된 융용로에서 용융시키고 커피 20∼40중량부, 솔방울 20∼40중량부, 견운모 20∼40 중량부 및 황토 20∼6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수지 용융물, 커피, 솔방울, 견운모 및 황토를 혼합하여 믹싱한 후 겔 상태에서 압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압출된 인조잔디용 충진재를 1.4 -3.35mm 크기로 컷팅하는 단계; 상기 컷팅 된 압출 성형 인조잔디용 충진재를 냉수에 침전시켜서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인조잔디의 온도상승 및 열화현상을 방지하는 UV제를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수지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제조 방법은, 기존 합성 수지를 주재로 한 충진재에 비하여 비교적 제조가 간편하며,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충진재는 사용자로 하여금 탄성과 아울러 친환경적이면서도 항균 기능, 원적외선 방출 기능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은 물론, 환경 호르몬 성분인 프탈레이트가소제 검출되지 않도록 하여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및 그 충진재{Method for manufacturing filler containing impact absorbing and natural filler and filler}
본 발명은 인조잔디용 충진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이고 탄성이 우수한 충격흡수수지 소재에 커피, 솔방울, 견운모, UV제 및 황토 등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압출 성형한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및 그 충진재에 관한 것이다.
야외에서 행해지는 야구장, 축구장 등에는 천연잔디를 심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천연잔디는 격렬한 운동 활동에 의하여 잔디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유지 보수 및 관리하는 것에 상당한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천연잔디의 형태를 갖추어 인공적으로 만든 인조잔디가 오래전부터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며 미국에서 처음 제작된 이래 주로 스포츠 경기장에 사용되었고 잔디의 생육이 불가능한 옥내 정원이나 일조 시간이 극히 제한된 고층건물의 북쪽에 접한 옥외지역과 같은 곳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인조잔디는 항상 푸르름을 유지하고 환경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시공 후 관리가 용이하며, 천연잔디에 비해 초기 시공비가 많이 들지만,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관리의 편의성, 운동하기에 적합하도록 표면이 고른 점 등으로 인해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또한, 인조잔디는 색감의 유지와 관리가 용이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운동하기에 적합하도록 표면이 고른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최하부에 골재, 석분, 투스콘 등과 같은 물질이 형성되어 배수작용을 원활케 하는 지반층과, 상기 지반층의 상부에 천연잔디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잔디파일과, 상기 잔디파일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층과, 상기 고정층의 상부에 충전되어 잔디파일 사이사이를 채우는 모래 등의 규사층과, 상기 규사층의 상부에 충전되어 탄성을 좋게하는 충진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특히, 상기 충진재층은 충분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주로 재생 가능한 폐타이어, 또는 폐고무들을 잘게 부숴 만든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칩(SBR칩),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고무칩(EPDM칩) 등을 충전하여 형성되었다.
상기 고무칩들은 탄력을 주기 위해서 뿌려지는 것으로서, 10~20kg/m2 의 양으로, 인조잔디 축구장 하나에는 보통 120톤의 고무칩이 들어갈 정도로 많은 양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경기장에 적합하며, 적어도 제 1인조잔디 섬유가 부착되는 기재와, 상기 제 1인조잔디 섬유들 사이에 구비되고 재생 가능한 합성 재료로 제조되는 입상 충전재(granular infill)로 구성되는 인조 잔디에 있어서, 인조 잔디의 경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입상 합성 충진재층에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가 제안된 바 있다.
또한, 합성수지의 액상 원료에 상기 합성수지보다 큰 비중을 갖는 중량체를 혼합하여 실을 만든 후에, 상기 실의 단면이 방사형, Y자형, 사각형, 원형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형태로 컷팅하여 만든 충전재를 충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제조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방법이 까다로워 적용에 문제가 있으며, 인조잔디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건강 유지의 측면에서 기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인조잔디 및 충진재의 유해성 논란이 가시지 않고 있는 가운데 천연잔디와 유사한 고품질의 기능을 보유한 친환경적인 인조잔디의 요구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진재는 일본 후쿠시마 폐타이어로 제조된 충진재가 운동장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매우 충격적이였다.
인조잔디의 품질은 나날이 좋아지고 있으나 천연잔디처럼 푹신함을 느끼게 하고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인조잔디 속에 들어가는 충진재는 여전히 고무칩, 사출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최근에도 대부분 충진재의 성분은 합성고무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고무칩에는 발암물질 및 중금속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고, 여름철 복사열로 인해 녹아내려 화상 및 피부질환의 발병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폐타이어 고무칩은 검은색을 띠고 있기 때문에 태양광을 흡수하여 구장의 온도를 상승시키므로 운동환경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 기온이 섭씨 30℃를 넘어가는 여름이면 고무칩에서 매캐한 냄새가 발생하며 뜨거운 지열에 녹아내린 고무칩이 달라붙거나 유해가스가 발생되고, 수분 함유량이 적으면서도 많은 마찰열을 발생시켜, 이용자가 미끄러질 경우 화상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폐타이어 고무칩은 장기간 사용될 경우, 분진이 발생되어 중금속 등의 유해한 성분이 방출될 뿐 아니라, 인조잔디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신발이나 옷에 분진이 묻게 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폐타이어 고무칩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SEBS 또는 EPDM 고무를 가교시켜 만든 탄성폴리머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이들 탄성폴리머 역시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장기간 또는 고온의 하절기에 화학약품 고유의 냄새나 악취가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높은 표면온도, 광분해로 인한 분진, 칩의 뭉침현상, 중금속 흡착 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용한 상황이다.
따라서 인조잔디의 고정 역할을 해주는 유해한 고무충진재 대신 천연성분의 충진재를 적용하여 냄새나 독성가스, 유해물질이 없고 옥외의 온도 차이 환경에서도 열에 의해 녹거나 얼지 않는 차세대 친환경 충진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격흡수수지,커피, 솔방울, 견운모, 황토 및 UV제 소재를 주재로 하여 항균 기능, 원적외선 방출 기능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을 갖는 커피, 솔방울, 견운모 및 황토를 사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탄성과 아울러 친환경적이면서도 건강에 유익한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및 그 충진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은 충격흡수수지 100중량부를 200∼300℃의 용융온도로 세팅된 융용로에서 용융시키고 커피 20∼40중량부, 솔방울 20∼40중량부, 견운모 20∼40 중량부 및 황토 20∼6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수지 용융물, 커피, 솔방울, 견운모 및 황토를 혼합하여 믹싱한 후 겔 상태에서 압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압출된 인조잔디용 충진재를 1.4 -3.35mm 크기로 컷팅하는 단계; 상기 컷팅 된 압출 성형 인조잔디용 충진재를 냉수에 침전시켜서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인조잔디의 온도상승 및 열화현상을 방지하는 UV제를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충격흡수수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수지 또는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폴리우레탄수지는 바이오 폴리올,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발포제 및 촉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바이오 폴리올 100 중량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0 내지 25 중량부, 발포제 1 내지 1.5 중량부 및 촉매 2 내지 3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제는 물, 이산화탄소, 이소부탄, 시클로펜탄, n-펜탄, 이소펜탄, 디클로로메탄 및 프레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촉매는 아세트산칼륨, 포타슘 이소옥타노에이트, 올레산칼륨, 아주석옥토산염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거나, 또는 상기 촉매는 아주석오토산염 100 중량부,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80 내지 120 중량부 및 실리콘 150 내지 25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충진재는 합성수지로 압출 성형하되, 토르말린, 귀양석, 히게리온, 잣껍질, 견운모, 맥반석, 맥섬석, 게르마늄, 숯, 소나무껍질, 옻,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분을 충진재를 압출 성형하기 위한 수지재료 100중량% 대비 5% 이내 비율로 더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수지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제조 방법은, 기존 합성 수지를 주재로 한 충진재에 비하여 비교적 제조가 간편하며,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충진재는 사용자로 하여금 탄성과 아울러 친환경적이면서도 항균 기능, 원적외선 방출 기능 및 음이온 방출 기능은 물론, 환경 호르몬 성분인 프탈레이트가소제 검출되지 않도록 하여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진재가 설치된 인조잔디 시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및 그 충진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충진재가 설치된 인조잔디 시공 단면도이다.
[제조방법]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은, 충격흡수수지 100중량부를 200∼300’C의 용융온도로 세팅된 융용로에서 용융시키고 커피 20∼40중량부, 솔방울 20∼40중량부, 견운모 20∼40 중량부 및 황토 20∼6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충격흡수수지 용융물, 커피, 솔방울, 견운모 및 황토를 혼합하여 믹싱한 후 겔 상태에서 압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압출된 인조잔디용 충진재를 1.4 -3.35mm 크기로 컷팅하는 단계; 상기 컷팅 된 압출 성형 인조잔디용 충진재를 냉수에 침전시켜서 냉각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인조잔디의 온도상승 및 열화현상을 방지하는 UV제를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한다.
본 발명 출원인은 기존 폐타이어나 폐고무를 사용하는 인조잔디용충진재의 사용에 의한 이용자의 건강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위험성을 차단하고, 비교적 간단한 제조 방법과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도 친환경적이면서도 사용감과 이용자의 인체에 유익한 재료가 첨가되어 제조되는 인조 잔디 충진재를 개발을 완료하게 되엇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충격흡수수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수지 또는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 100중량부를 200~300℃의 용융 온도로 세팅된 용융로에서 용융시키고, 커피 20~40중량부, 솔방울 20~40중량부, 견운모 20∼40 중량부 및 황토 20~60 중량부를 혼합시킨 후, 압출 성형하여 인조잔디용 충진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커피, 솔방울, 견운모 및 황토와 혼합시키기 위하여 200~300℃의 용융 온도로 세팅된 용융로에서 용융시킨다.
다음 단계로서, 폴리우레탄 수지 용융물에 커피, 솔방울, 견운모, UV제 및 황토를 혼합하여 믹싱하는데,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커피 20~40중량부, 솔방울 20~40중량부, 견운모 20∼40 중량부 및 황토 20~60 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 커피, 솔방울, 견운모 및 황토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함과 더불어 항균 기능을 발휘하고, 빗물 등의 수지 칩이 물에 뜨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용융물에는 커피, 솔방울, 견운모 및 황토를 혼합하여 믹싱한 후, 겔 상태에서 압출 성형하여 인조잔디용 충진재 칩을 제조하며, 이때, 압출 성형된 충진재는 1.4~3.35mm 크기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된 커팅물은 냉각시키며, 예를 들어 커팅 후 바로 냉수에 침지시킴으로써 급속 냉각을 통하여 제조효율을 높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인조잔디용 충진재는 탄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전혀 해가 없으며,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사할 뿐만 아니라, 항균 기능을 갖추어 인조잔디구장 이용자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인조잔디의 제조시 직사광선에 의해 인조잔디의 온도 상승과 열화현상 방지를 위하여 UV제 소량 첨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인조잔디용 충진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인조잔디 충진재를 제공하게 된다.
[실시예]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200~300℃에서 용융시켜 수지 용융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커피 가루 2kg, 솔방울 분말 2kg , 견운모 가루 2kg 및 황토 분말 2kg을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겔 상태의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1.4~3.35mm 길이로 커팅하고, 커팅물을 냉수에 침지하여 냉각시켰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로부터 제조된 충진재를 1m×1m의 기반층, 인조잔디 및 규사층으로 제조된 인조잔디 구조체상에 적용하고 시공 시 및 시공 후 노지에 노출시켜 3개월 후의 쿠션감을 비교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1, 2의 경우, 시공 후 및 시공 3개월이 경과한 시점에 탄성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시공 후, 시공 3개월 경과 후 모두 매우 우수한 탄성감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충진재에 함유되는 성분으로서는 음이온을 자체적으로 방사하도록 분말 또는 액상 형태로 제조된 토르말린, 귀양석, 히게리온, 잣껍질, 견운모, 맥반석, 맥섬석, 게르마늄, 숯, 소나무껍질, 옻,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진재를 합성수지로 압출 성형하되, 상기한 토르말린, 귀양석, 히게리온, 잣껍질, 견운모, 맥반석, 맥섬석, 게르마늄, 숯, 소나무껍질, 옻,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분을 압출 수지재료 100중량% 대비 5% 이내 비율로 혼합하여 압출 성형할 수 있다.
상기한 충진재에 추가되는 기능성 성분들은 충진재를 압출 성형하기 위한 압출 수지재료와 5% 이내 비율로 혼합하되 압출 흐름에 방해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토르말린은 자연에서 형성된 돌 중에 제일 (-)전자를 많이 발생시키는 토르마린이라는 원석을 말한다. (-)전자는 일반적으로 물속의 (+)양이온과 (-)음이온의 결합을 방해 또는 연결된 분자 결합 고리를 끊는 작용, 즉 하이드록실 또는 계면 작용에 매우 탁월하다. 예를 들면 세수 비누를 사용하면 손에 묻은 기름때가 잘 지워지는 원리가 바로 -전자의 활동, 즉 하이드록실 작용 또는 계면활성 때문이다.
이러한 (-)전자가 인조잔디를 통과한 물속에 작용한다면, 물에 함유된 각종 유기물 성분이 (+)전자를 띄게 되는 충진재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케일층 형성을 억제할 수 있게 되며, 충진재 표면에 이미 부착된 스케일층을 분해 및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기물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한 토르말린과 같은 소재를 분말이나 액상으로 가공한 후 충진재를 압출 성형하기 위한 재료와 적정 비율로서 혼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유기물의 흡착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인조잔디 매트를 통해 배수되는 물속의 유기물 등에 의해 이끼나 곰팡이 등의 서식을 방지하게 되며, 그로 인한 악취나 유해 가스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바이오 폴리올,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발포제 및 촉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바이오 폴리올 100 중량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0 내지 25 중량부, 발포제 1 내지 1.5 중량부 및 촉매 2 내지 3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제는 물, 이산화탄소, 이소부탄, 시클로펜탄, n-펜탄, 이소펜탄, 디클로로메탄 및 프레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촉매는 아세트산칼륨, 포타슘 이소옥타노에이트, 올레산칼륨, 아주석옥토산염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거나, 또는 상기 촉매는 아주석오토산염 100 중량부,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80 내지 120 중량부 및 실리콘 150 내지 25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진재의 밀도 및 탄성계수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밀도는 밀도측정기를 이용하였으며, 탄성계수(MODULUS)는 TA장비(Texture analyser XT plus, SM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2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진재는 탄성계수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진재는바이오 폴리올이 사용되어 친환경적이며, 우수한 탄성회복성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용 충진재를 제조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충격흡수수지 100중량부를 200∼300’C의 용융온도로 세팅된 융용로에서 용융시키고 커피 20∼40중량부, 솔방울 20∼40중량부, 견운모 20∼40 중량부 및 황토 20∼6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충격흡수수지 용융물, 커피, 솔방울, 견운모 및 황토를 혼합하여 믹싱한 후 겔 상태에서 압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압출된 인조잔디용 충진재를 1.4 -3.35mm 크기로 컷팅하는 단계;
    상기 컷팅 된 압출 성형 인조잔디용 충진재를 냉수에 침전시켜서 냉각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인조잔디의 온도상승 및 열화현상을 방지하는 UV제를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수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수지 또는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중에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수지는 충격바이오 폴리올,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발포제 및 촉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바이오 폴리올 100 중량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0 내지 25 중량부, 발포제 1 내지 1.5 중량부 및 촉매 2 내지 3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제는 물, 이산화탄소, 이소부탄, 시클로펜탄, n-펜탄, 이소펜탄, 디클로로메탄 및 프레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촉매는 아세트산칼륨, 포타슘 이소옥타노에이트, 올레산칼륨, 아주석옥토산염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거나,
    또는 상기 촉매는 아주석오토산염 100 중량부,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80 내지 120 중량부 및 실리콘 150 내지 25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KR1020190143970A 2019-11-12 2019-11-12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및 그 충진재 KR20210057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970A KR20210057846A (ko) 2019-11-12 2019-11-12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및 그 충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970A KR20210057846A (ko) 2019-11-12 2019-11-12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및 그 충진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846A true KR20210057846A (ko) 2021-05-24

Family

ID=7615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970A KR20210057846A (ko) 2019-11-12 2019-11-12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및 그 충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78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6833A1 (en) A method of producing an infill material for synthetic-grass structures, corresponding material, and synthetic grass structure
US11021842B2 (en) Infill for artificial turf system
EP3936665A1 (en) Compostable artificial turf infill
AU2018243393B2 (en) Infill for artificial turf system
KR101965815B1 (ko) 맥반석을 함유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제조방법
KR100948449B1 (ko) 인조잔디용 충진재 제조방법 및 충진재
KR101879628B1 (ko) 왕겨를 구비한 인조 잔디용 친환경 충진재 그 구조체
KR101847592B1 (ko) Pvb 수지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제조 방법
KR100749075B1 (ko) 친환경 소재의 충진재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KR20100088590A (ko) 구장 인조잔디 구조체
EP3868955B1 (en) Artificial turf having olive pit particles
US20210254290A1 (en) Olive pits infill systems and artificial turfs having the same
KR101041008B1 (ko) 인조잔디 롱파일 충진용 재생 우레탄칩
KR101149423B1 (ko) 인조 잔디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 구조체
KR101684179B1 (ko) 인조잔디용 친환경 탄성체 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7327216A (ja) 砂及びその製造法とこれを目砂とする人工芝生
JP5302105B2 (ja) 人工芝生
KR20210057846A (ko) 충격흡수 및 천연충진성분을 포함하는 충진재 제조방법 및 그 충진재
EP1647577B1 (en) Elastomerized particulate to be used as an infill for synthetic turfs
KR101582350B1 (ko) 기능성 마사토 구장의 시공방법
CA2733020A1 (en) Engineered earthen recreational and sport surface
KR101316047B1 (ko) 바닥용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65687B1 (ko) 다공성 탄성매트의 제조방법
KR100909003B1 (ko) 이중층 구조의 인조골재 조성물
JP4671396B2 (ja) 人工芝舗装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