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879A - Luminescence paving block with photocatalyst applied to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uminescence paving block with photocatalyst applied to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879A
KR20210056879A KR1020190167003A KR20190167003A KR20210056879A KR 20210056879 A KR20210056879 A KR 20210056879A KR 1020190167003 A KR1020190167003 A KR 1020190167003A KR 20190167003 A KR20190167003 A KR 20190167003A KR 20210056879 A KR20210056879 A KR 20210056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luminescent
surface layer
photocatalyst
cement paste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0655B1 (en
Inventor
곽종원
박정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10056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8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6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B01J35/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038Resistance against physical degradation
    • C04B2111/2061Materials containing photocatalysts, e.g. TiO2, for avoiding staining by air pollutant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with a photocatalyst applied to a surface thereof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with a photocatalyst applied to a surface thereof comprises: a body portion comprising a base layer and a surface layer in the form of a porous media formed on the base layer and having a plurality of pores to have water permeability;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layer; and a cement paste portion including a first paste region formed on the surface layer to surround and fix the circumference of the photoluminescent particles. The cement paste portion can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cement and photocatalysts.

Description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LUMINESCENCE PAVING BLOCK WITH PHOTOCATALYST APPLIED TO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Phosphorescent sidewalk block with surface applied photocatalys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UMINESCENCE PAVING BLOCK WITH PHOTOCATALYST APPLIED TO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원은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hoto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sidewalk bloc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은 시멘트몰탈을 성형틀에 넣고 그 위에 안료, 색소층을 만든 다음, 무늬 성형판이 가압면에 부착된 가압판으로 압력을 가하여 찍어낸 뒤, 일정 시간 건조, 양생한 다음, 표면을 연마함으로써 제조된다.In general, for a sidewalk block, a cement mortar is placed in a molding mold, a pigment and a pigment layer are formed thereon, and then the pattern molding plate is stamped by applying pressure with a pressure plate attached to the pressing surface, followed by drying and cur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the surface is cleaned. It is manufactured by polishing.

그런데, 최근 들어 광촉매가 함유된 블록을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들 특히, 자동차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산화물(NOx) 또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광촉매 소재가 사용된 부재를 보도블록에 삽입하는 내장식 보도블록 또는 성형 시 시멘트몰탈에 광촉매입자를 첨가하는 일체식 보도블록이 알려져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a technology for removing air pollutants, particularly nitrogen oxides (NOx) contained in automobile exhaust gas or fine dust in the atmosphere, has been developed using a block containing a photocatalyst. For example, a built-in sidewalk block in which a member using a photocatalytic material is inserted into a sidewalk block, or an integrated sidewalk block in which photocatalyst particles are added to a cement mortar during molding are known.

그러나, 종래의 내장식 보도블록은 광촉매 부재가 보도블록 내부에 묻히므로 원활한 광촉매 반응을 기대할 수 없고, 별도의 광촉매 부재를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작 단가가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체식 보도블록은 성형 전 시멘트몰탈에 첨가되는 광촉매입자가 시멘트몰탈 내에 고르게 분포하지 못하므로, 시공 후 광분해에 의한 청정효과가 보도블록 표면에서 불균일하게 나타나거나 희박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uilt-in sidewalk block, since the photocatalyst member is buried inside the sidewalk block, a smooth photocatalytic reaction cannot be expected, and since a separate photocatalyst member must be manufactu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greatly increas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ntegrated sidewalk block has a problem that the photocatalytic particles added to the cement mortar before molding are not evenly distributed in the cement mortar, so that the cleaning effect due to photolysis after construction appears unevenly or sparse on the sidewalk block surface. .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30664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30664.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촉매가 대기에 보다 많이 노출될 수 있어 질소산화물 또는 미세먼지의 제거 효과를 종래 대비 보다 효과적으로 기대할 수 있고, 더불어 보도블록에 발광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since the photocatalyst can be more exposed to the atmosphere, the effect of removing nitrogen oxides or fine dust can be expected more effectively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in addition, a light emitting function can be provided to the sidewalk bloc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otocatalyst to which a photocatalyst is applie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측면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고 투수성을 가지도록 복수의 공극이 형성되는 포러스 미디어 형태의 표층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표층의 상면 상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표층에 일부 삽입 배치되는 복수의 축광 알갱이; 및 상기 축광 알갱이의 둘레를 둘러싸 고정하도록 상기 표층 상에 형성되는 제1 페이스트 영역을 포함하는 시멘트 페이스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는 시멘트 및 광촉매를 포함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hotocatalys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a substrate layer and a plurality of pores formed on the substrate layer to have water permeability. A body portion including a surface layer in the form of a porous media; A plurality of phosphorescent grains partially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surface layer so as to protrude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layer; And a cement paste portion including a first paste region formed on the surface layer to surround and fix the photoluminescent grains, wherein the cement paste por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cement and a photocatalyst.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는, 상기 표층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페이스트 영역과 연결되는 제2 페이스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페이스트 영역은,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의 축광 및 발광을 위해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의 상단이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최종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cement paste part includes a second paste region formed in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oids so as to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urface lay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paste region, and the first paste region includes the plurality of It may include that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are formed to have a final thickness that can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ment paste part for photoluminescence and light emission of the photoluminescent particles.

상기 제1 페이스트 영역은, 상기 표층 상에 타설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의해 초기 두께만큼 형성된 다음, 타설된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상기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초기 두께보다 얇은 상기 최종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aste region is formed by an initial thickness by the cement paste poured on the surface layer, and then some of the poured cement paste is moved to the insid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oids, so that the final thickness is thinner than the initial thickness. It may include those formed in a thickness.

상기 제1 페이스트 영역은, 상기 초기 두께만큼 형성된 다음, 가압 기구에 의해 표면이 하향 가압됨으로써,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상기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로 이동되는 속도 또는 양이 상기 가압 기구의 미사용시 대비 증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aste region is formed by the initial thickness, and then the surface is pressed downward by a pressing mechanism, so that a speed or amount at which some of the cement paste moves in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oids is not used by the pressing mechanism. It may include an increase over time.

상기 가압 기구는 상기 축광 알갱이에 부착된 시멘트 페이스트의 제거를 위한 동작을 수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press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to perform an operation for removing the cement paste attached to the photoluminescent grains.

상기 초기 두께는 상기 축광 알갱이의 돌출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이고, 상기 최종 두께는 상기 축광 알갱이의 돌출 높이보다 작은 크기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itial thickness may b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hotoluminescent grains, and the final thickness may include a size small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hotoluminescent grains.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는, 상기 표층이 경화되기 전 상기 표층 상에 배치된 다음, 편평한 하면을 갖는 프레스 장치에 의해 하향 가압됨으로써, 오차 범위 이내에서 서로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갖도록 상기 표층에 일부 삽입되어 1차 고정되고,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에 의해 2차 고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are disposed on the surface layer before the surface layer is cured, and then pressed downward by a press device having a flat lower surface, and ar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so as to have the same protrusion height within an error range. It may include the secondary fixing, and secondary fixing by the cement paste portion.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는 축광석 및 축광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hosphorescent grain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hosphorescent stone and a phosphorescent capsule.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는 축광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축광캡슐은 축광안료를 포함하는 축광안료부 및 상기 축광안료부를 둘러싸는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may include a photoluminescent capsule, and the photoluminescent capsule may include a photoluminescent pigment part including a photoluminescent pigment and a coating part surrounding the photoluminescent pigment part.

상기 축광안료부는 상기 축광안료의 발광시 빛의 산란이 유도되도록 상기 축광안료와 혼합되는 유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luminescent pigment part may include glass particles mixed with the photoluminescent pigment to induce scattering of light when the photoluminescent pigment emits ligh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의 제조 방법은, (a) 상기 표층이 경화되기 전 상기 표층 상에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가 상기 표층에 일부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를 가압하여 1차 고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표층 상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타설하여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축광 알갱이의 둘레를 둘러싸 2차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catalytic surface-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on the surface layer before the surface layer is cured. Placing it; (b) first fixing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by pressing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so that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ar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And (c) placing cement paste on the surface layer to form the cement paste portion, thereby surrounding and secondary fixing the photoluminescent grains.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는, 상기 표층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페이스트 영역과 연결되는 제2 페이스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페이스트 영역은, 상기 표층 상에 타설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의해 초기 두께만큼 형성된 다음,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상기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초기 두께보다 얇은 최종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최종 두께는,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의 축광 및 발광을 위해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의 상단이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e cement paste part includes a second paste region formed in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oids so as to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urface lay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paste region, and in step (c), the second paste region 1 The paste region is formed to an initial thickness by the cement paste poured on the surface layer, and then some of the cement paste is moved to the inside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oids, thereby forming a final thickness thinner than the initial thickness, The final thickness may be formed such that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ar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ment paste part for photoluminescence and light emission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페이스트 영역은, 상기 초기 두께만큼 형성된 다음, 가압 기구에 의해 표면이 하향 가압됨으로써,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상기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로 이동되는 속도 또는 양이 상기 가압 기구의 미사용시 대비 증가 될 수 있다.In the step (c), the first paste region is formed by the initial thickness, and then the surface is pressed downward by a pressing mechanism, so that a portion of the cement paste is moved to the insid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oids or The amount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when the pressurizing mechanism is not used.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가압 기구는 표면을 하향 가압하는 동작과 함께, 상기 축광 알갱이에 부착된 시멘트 페이스트의 제거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step (c), the pressing mechanism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removing the cement paste attached to the photoluminescent grains together with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surface downward.

상기 초기 두께는 상기 축광 알갱이의 돌출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이고, 상기 최종 두께는 상기 축광 알갱이의 돌출 높이보다 작은 크기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itial thickness may b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hotoluminescent grains, and the final thickness may include a size small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hotoluminescent grains.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표층이 경화되기 전 상기 표층 상에 배치된 다음, 편평한 하면을 갖는 프레스 장치에 의해 하향 가압됨으로써, 오차 범위 이내에서 서로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갖도록 상기 표층에 일부 삽입되어 1차 고정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에 의해 2차 고정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are disposed on the surface layer before the surface layer is cured in the step (b), and then pressed downward by a press device having a flat lower surface, so that they have the same protrusion height within an error range. It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and first fixed, and in step (c), it may be secondarily fixed by the cement paste part.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표층 상에 형성되는 제1 페이스트 영역을 포함하는 시멘트 페이스트부가 광촉매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광촉매가 대기에 보다 많이 노출될 수 있어 질소산화물(NOx) 또는 미세먼지의 제거(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making the cement paste portion including the first paste region formed on the surface layer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a photocatalyst, the photocatalyst can be more exposed to the atmosphere, and thus nitrogen Oxide (NOx) or fine dust removal (reduction) effect can be expected.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표층에 일부 삽입 배치되고 시멘트 페이스트부에 의해 둘러싸이게 고정되는 복수의 축광 알갱이를 통해 발광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광 알갱이의 배치 형태를 통해 특정 그림 등을 표현하여 시각적 효과가 부여되는 보도블록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luminous effect may be exhibited through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and fixed to be surrounded by a cement paste part. For example, a sidewalk block to which a visual effect is given by expressing a specific picture or the like through the arrangement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may be implemented.

즉, 본원의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은 광촉매를 포함하는 시멘트 페이스트부가 복수의 축광 알갱이의 둘레를 둘러싸 고정하는 부분(제1 페이스트 영역)과 포러스 미디어 형태의 표층에 있는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제2 페이스트 영역)에 형성될 수 있어, NOx 저감 효과와 더불어 복수의 축광 알갱이가 더욱 단단하게 고정되어 축광 및 발광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hoto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of the photocatalyst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nce it may be formed in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voids (the second paste region),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are more rigidly fixed in addition to the NOx reduction effect, thereby further maximizing the photoluminescence and light emission effects.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축광 알갱이가 축광캡슐인 경우, 축광캡슐에 축광안료와 더불어 유리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축광안료의 발광시 빛의 산란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plurality of phosphorescent particles are phosphorescent capsules, the scattering effect of light is further increased when the phosphorescent pigment emits light by including glass particles in addition to the phosphorescent pigment in the phosphorescent capsule. I can make it.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압 기구에 의해 제1 페이스트 영역의 표면을 하향 가압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타설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최종 두께가 복수의 축광 알갱이의 돌출 높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복수의 축광 알갱이의 상단이 외부로 더욱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performing an operation of downward pressing the surface of the first paste region by a pressing mechanism, the final thickness of the cement paste to be poured is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lurality of phosphorescent grains. It is formed in a smaller size so that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may be further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압 기구에 의해 제1 페이스트 영역의 표면을 하향 가압하는 동작과 함께 복수의 축광 알갱이에 부착된 시멘트 페이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복수의 축광 알갱이에 의한 축광 및 발광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operation for removing the cement paste adhered to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downward pressing the surface of the first paste region by the pressing mechanism can be performed. Therefore, the effect of photoluminescence and light emission by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can be further increased.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 obtainable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의 제조에 있어서 표층 상에 복수의 축광 알갱이를 배치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의 제조에 있어서 복수의 축광 알갱이가 표층에 일부 삽입되도록 복수의 축광 알갱이를 가압하여 1차 고정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의 제조에 있어서 표층 상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타설하여 시멘트 페이스트부를 형성함으로써 축광 알갱이의 둘레를 둘러싸 2차 고정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표층 상에 형성되는 제1 페이스트 영역 및 표층 상에 타설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초기 두께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표층 상에 타설된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로 이동되어 최종 두께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페이스트 영역의 표면이 가압 기구에 의해 하향 가압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 이다.
도 7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축광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에 있어서 축광안료부와 코팅부를 포함하는 축광캡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hotocatalyst surface-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rranging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on a surface layer in manufacturing a photocatalytic surface-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schematic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irst fixing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by pressing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so that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ar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in the manufacture of a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to which a photo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cross-sectional view.
FIG. 4 i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condary fixing around the circumference of photoluminescent grains by pouring cement paste on the surface layer to form a cement paste part in the manufacture of a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to which a photo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5A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initial thickness formed by a first paste region formed on a surface layer and a cement paste poured on the surface layer in the photocatalys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o be.
Figure 5b is a photo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hotocatalyst is applied, some of the cement paste poured on the surface is moved to the insid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oids to form a final thickness. It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at.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at the surface of the first paste region is pressed downward by a pressing mechanism in the photocatalys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7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hoto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a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and a photoluminescent ston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hotoluminescent capsule including a photoluminescent pigment part and a coating part in a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to which a photocatalyst is surface appli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catalyst surface-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application.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the cas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positioned "on", "upper", "upper", "under", "lower", and "lower" of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이하 '본 보도블록'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hereinafter referred to as'the main sidewalk block') to which a photocatalyst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hotocatalyst surface-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보도블록(100)은 본체부(1), 복수의 축광 알갱이(2) 및 시멘트 페이스트부(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idewalk block 100 includes a body portion 1, a plurality of phosphorescent grains 2, and a cement paste portion 3.

본체부(1)는 기재층(11) 및 기재층 상에 형성되고 투수성을 가지도록 복수의 공극이 형성되는 포러스 미디어(porous media) 형태의 표층(12)을 포함한다.The body portion 1 includes a base layer 11 and a surface layer 12 in the form of a porous media formed on the base layer and in which a plurality of pores are formed to have water permeability.

복수의 공극은 표층(12)이 투수성을 가질 수 있도록 이웃하는 공극간의 상호 연결성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투수성(공극 간 상호 연결성)을 가지도록 복수의 공극이 형성됨으로써, 상호 연결된 공극을 통해 후술할 시멘트 페이스트 또한 표층(12) 표면 상에 노출된 공극에 도달한 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공극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되는 형태로 포러스 미디어 형태의 표층(12) 내부로 스며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겠지만, 이처럼 투수성(상호 연결성)을 갖는 공극에 대하여 시멘트 페이스트가 스며들어 양생(경화)됨으로써, 시멘트 페이스트부(3)는 표층(12)과 일체적으로 결합(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ores may be formed to have interconnectivity between neighboring pores so that the surface layer 12 may have water permeability. In this way, a plurality of pores are formed to have water permeability (interconnectivity between pores), so that the cement paste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interconnected pores also reaches the pore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layer 12 and then the pores located at the lower side. It can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surface layer 12 in the form of a porous media in a form that is gradually mov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as the cement paste permeates and cures (hardens) the pores having water permeability (interconnectivity), the cement paste part 3 can be integrally combined (connected) with the surface layer 12. have.

다시 말해, 표층(12) 상에 시멘트 페이스트가 타설되는 경우 표층(12)의 상단에 위치한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 시멘트 페이스트가 형성된 후, 시멘트 페이스트가 형성된 복수의 공극과 상호 연결성을 가지는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 시멘트 페이스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 시멘트 페이스트가 형성됨으로써 시멘트 페이스트부(3)와 표층(12)의 일체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cement paste is poured on the surface layer 12, after the cement paste is formed inside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pores located at the top of the surface layer 12, the plurality of pores in which the cement paste is formed and have interconnectivity. Cement paste may be formed inside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oids. In this way, since the cement paste is formed inside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oids, the integrity of the cement paste portion 3 and the surface layer 12 may be further strengthened.

예시적으로, 표층(12)은 10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층(12)은 기존 상용제품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surface layer 12 may be formed to be 10 mm or less. In addition, the surface layer 12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using a method similar to the existing commercial produ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의 제조에 있어서 표층 상에 복수의 축광 알갱이를 배치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의 제조에 있어서 복수의 축광 알갱이가 표층에 일부 삽입되도록 복수의 축광 알갱이를 가압하여 1차 고정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rranging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on a surface layer in manufacturing a photocatalytic surface-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irst fixing by pressing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so that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ar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in the manufacture of a photocatalyst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according to FIG.

축광 알갱이(2)는 표층(12)의 상면 상으로 돌출되도록 표층(12)에 일부 삽입 배치되는 구성이다. 본 보도블록(100)에 포함되는 축광 알갱이(2)는 가로등 조명, 태양 등의 광원으로부터 조사 내지 발산되는 빛을 흡수 저장(축광)하였다가 가로등이 소등되거나 태양이 일몰되는 것과 같이 광원으로부터 조사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저장된(축광한) 빛을 스스로 발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축광 알갱이(2)는 축광석 형태 또는 축광캡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photoluminescent grains 2 are partially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surface layer 12 so as to protrude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layer 12. The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included in the sidewalk block 100 absorb and store (phosphorescent) light emitted or irradiated from light sources such as streetlight lighting and the sun, and then receive irradiation from the light source such as the street light is turned off or the sun is sunset. In situations where it is not possible, it can emit stored (phosphorylated) light by itself. For example, the photoluminescent granules 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hotoluminescent stone or a photoluminescent capsu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를 참조하면, 축광 알갱이(2)는 표층(12)에 미삽입된 상태로 표층(12) 상에 일단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축광 알갱이(2)는 표층(12)이 경화되기 전에 표층(12)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경화되기 전이라 함은 복수의 축광 알갱이(2)가 하향 가압될 때 표층(12)에 일부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표층(12)의 경화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미경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hotoluminescent grains 2 may be once disposed on the surface layer 12 in a state that is not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12.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2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 layer 12 before the surface layer 12 is cured. Here, the term “before curing” means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layer 12 has not been cured (uncured state)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12 when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are pressed downward. I can.

예시적으로, 표층(12) 상에 복수의 축광 알갱이(2)를 배치하는 방법으로는 표층(12) 상에 복수의 축광 알갱이(2)를 무작위로 흩뿌려 놓는 방법, 표층(12) 상에 복수의 축광 알갱이(2)를 배치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도안된 디자인을 자동화 기계를 이용하여 표층(12)에 축광 알갱이(2)가 배치되게 하는 방법, 표층(12) 상에 복수의 축광 알갱이(2)를 배치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접착력 있는 코팅지에 연출하고자 하는 도안을 프린팅 한 후 표층(12) 위로 덮어 가압하여 도안이 표층(12)의 표면부로 옮겨지게 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emplarily, as a method of disposing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on the surface layer 12, a method of randomly scattering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on the surface layer 12, and on the surface layer 12 As another method of arranging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a method of arranging the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on the surface layer 12 by using an automated machine in the designed design, and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on the surface layer 12 ( 2) As another method of arranging, there is a method of printing a pattern to be displayed on an adhesive coated paper and then covering it over the surface layer 12 and pressing the pattern so that the pattern is transferred to the surface portion of the surface layer 12, but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다른 예로, 표층(12) 상에 복수의 축광 알갱이(2)를 배치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정해진 틀에 구멍을 내고 틀 속에 들어있는 복수의 축광 알갱이(2)가 구멍을 통과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정해진 틀이란 미리 계획된 문양, 형상 등에 대응하여 축광 알갱이가 통과 가능한 구멍을 복수개 형성하여 둔 판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구멍은 문양, 형상 등의 윤곽 라인 등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틀은 편평한 밑면이 상기 판재로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문양, 형상 등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틀의 상측에 축광 알갱이를 투입함으로써, 복수의 축광 알갱이(2)가 미리 계획한 문양, 형상 등에 대응하여 기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표층(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another method of arranging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on the surface layer 12, there is a method of making a hole in a predetermined frame and allowing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contained in the frame to pass through the hole. Here, the predetermined frame may mea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photoluminescent grains can pass are formed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pattern, shape, and the like. For example,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at intervals along an outline line such as a pattern or shape. For example, the fram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as the plate material and an open top,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way, by injecting the photoluminescent particles in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in which the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shape, etc. are formed,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pass through the holes formed in response to the previously planned pattern, shape, etc. Can be placed on

도 3을 참조하면, 표층(12)상에 배치된 복수의 축광 알갱이(2)는 편평한 하면을 갖는 프레스 장치에 의해 하향 가압됨으로써, 오차범위 이내에서 서로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갖도록 표층(12)에 일부 삽입되어 1차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2 disposed on the surface layer 12 are pressed downward by a press device having a flat lower surface, so that a portion of the surface layer 12 has the same protruding height within an error range. It can be inserted and first fixed.

예시적으로, 프레스 장치에는 보도블록의 제조시 사용되는 다양한 가압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축광 알갱이(2)가 오차범위 이내에서 서로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갖도록 가압되게 하기 위해서, 프레스 장치는 편명한 하면을 갖는 장치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표층(12)은 프레스 장치에 의해 축광 알갱이(2)가 가압되었을 때 축광 알갱이(2)의 삽입을 허용할 수 있는 정도로 미경화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미경화된 표층(12)에 일부 삽입된 축광 알갱이(2)는 삽입된 부분이 미경화된 표층(12)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호 작용되는 마찰력 등에 의해 1차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오차범위 이내에서 서로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갖는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 정도의 돌출 높이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완전히 일치하는 돌출 높이는 아니고 미차는 있지만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는 수준의 오차만이 존재하는 돌출 높이를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Exemplarily, various pressing devices used in manufacturing a press block may be applied to the press device. In addition, in order to force the photoluminescent grains 2 to have the same protruding height within an error range, the press device is preferably a device having a flat lower surface.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layer 12 may be in a state of uncured to a degree that permits insertion of the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when the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are pressed by a press device. Accordingly, the photoluminescent grains 2 partially inserted into the uncured surface layer 12 may be first fixed by frictional force interacting with the inserted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uncured surface layer 12 is in contact. For reference, having the same protrusion height within the error range means that the protrusion height is substantially the same, and it is not exactly the same protrusion height, bu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ut can be regarded as the same. It can mean having a protrusion height where only a level of error exists.

또한, 프레스 장치를 이용한 복수의 축광 알갱이(2)를 하향 가압하는 방법에는 가벼운 진동을 주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가압과 진동이 병행됨으로써, 경화가 진행 중인 표층(12)에 대한 축광 알갱이(2)의 삽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pressing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downward using a press device may include applying light vibration. As the pressure and vibration are performed in parallel, insertion of the photoluminescent grains 2 into the surface layer 12 in which curing is in progress can be made more efficiently.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의 제조에 있어서 표층 상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타설하여 시멘트 페이스트부를 형성함으로써 축광 알갱이의 둘레를 둘러싸 2차 고정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4 i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condary fixing around the circumference of photoluminescent grains by pouring cement paste on the surface layer to form a cement paste part in the manufacture of a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to which a photo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시멘트 페이스트부(3)는 시멘트 및 광촉매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시멘트 페이스트부(3)는 시멘트를 시멘트 페이스트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The cement paste part 3 is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cement and a photocatalyst. The cement paste part 3 may contain cement in the form of a cement paste.

예시적으로, 시멘트 페이스트부(3)에 포함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에는 수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수축저감제 및 팽창재가 혼입될 수 있다. 또한, 시멘트 페이스트에는 적정의 유동성과 점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성능 감수제, 증점제, 소포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시멘트 페이스트에는 경화시간 단축을 위해 액상 또는 분말 급결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시멘트 페이스트에는 광활성화 증가 및 NOx 저감효과를 위해 칼슘 또는 칼슘 화합물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시멘트 페이스트는 미적 기능의 극대화 및 축광석의 기능을 증대하기 위해 무기질의 색상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 shrinkage reducing agent and an expanding material may be mixed in the cement paste included in the cement paste part 3 to prevent cracking due to shrinkage. In addition, a high-performance water reducing agent, a thickening agent, and an antifoaming agent may be used in the cement paste in order to maintain an appropriate fluidity and viscosity. In addition, the cement paste may contain a liquid or powder quick-setting agent to shorten the curing time. In addition, calcium or a calcium compound may be additionally added to the cement paste to increase photoactivation and reduce NOx. In addition, the cement paste may include an inorganic color pigment in order to maximize the aesthetic function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phosphorescent stone.

또한, 시멘트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시멘트는 보통포틀랜트시멘트(OPC)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시멘트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시멘트에는 표층의 공극을 골고루 메우기 위한 방법으로서 고분말 시멘트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ment included in the cement paste may be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high-powder cement may be applied to the cement included in the cement paste as a method for evenly filling the voids in the surface layer.

또한, 시멘트 페이스트부(3)에 포함되는 광촉매에는 시멘트와 혼합(배합)되는 형태로 사용하는 기알려지거나 향후 개발될 다양한 광촉매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catalyst included in the cement paste part 3 may include various photocatalysts that are known or developed in the future, which are used in the form of mixing (blending) with cement.

도 1의 확대도 및 도 4를 참조하면, 시멘트 페이스트부(3)는 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둘레를 둘러싸 고정하도록 표층(12)상에 형성되는 제1 페이스트 영역(31)을 포함한다. 이처럼 제1 페이스트 영역(31)이 축광 알갱이(2)의 둘레를 둘러쌈으로써, 표층(12)상에 배치된 복수의 축광 알갱이(2)는 시멘트 페이스트부(3)에 의해 2차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FIG. 1 and FIG. 4, the cement paste part 3 includes a first paste region 31 formed on the surface layer 12 so as to surround and fix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 As the first paste region 31 surrounds the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in this way,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disposed on the surface layer 12 can be secondarily fixed by the cement paste part 3. have.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축광 알갱이(2)는 미경화 상태의 표층(12)에 대하여 일부 삽입된 상태로 1차 고정된 다음, 시멘트 페이스트부(3)의 제1 페이스트 영역(31)에 의해 2차 고정되는 형태로 다각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hotoluminescent grains 2 are first fixed in a partially inserted stat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layer 12 in the uncured state, and then by the first paste region 31 of the cement paste part 3. It can be fixed in multiple ways in a secondary fixed form.

시멘트 페이스트부(3)는 표층(12)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제1 페이스트 영역(31)과 연결되는 제2 페이스트 영역(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페이스트 영역(32) 및 이와 연계되는 시멘트 페이스트부(3)의 두께 변화와 관련하여서는 이하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한다.The cement paste part 3 may include a second paste region 32 formed in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oids so as to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urface layer 12 and connected to the first paste region 31. . A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aste region 32 and the cement paste portion 3 associated therewit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rawings.

도 5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표층 상에 형성되는 제1 페이스트 영역 및 표층 상에 타설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초기 두께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5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표층 상에 타설 된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로 이동되어 최종 두께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5A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initial thickness formed by a first paste region formed on a surface layer and a cement paste poured on the surface layer in the photocatalys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5B is a photo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ome of the cement paste poured on the surface is moved to the inside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oids to reduce the final thickness. It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formation.

도 5a를 참조하면, 제1 페이스트 영역(31)은 표층(12) 상에 타설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의해 초기 두께(t1)만큼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first paste region 31 may be formed by an initial thickness t1 by cement paste poured on the surface layer 12.

이때, 제1 페이스트 영역(31)의 초기 두께(t1)는 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돌출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돌출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라 함은, 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돌출 높이와 완전히 동일한 크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한 크기를 의미한다. 또한, 초기 두께(t1)라는 것은, 시멘트 페이스트가 표층(12) 상에 타설된 직후에 측정되는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itial thickness t1 of the first paste region 31 may b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Illustratively,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does not mean only the size that is exactly the same as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but the same size within an error range. do. In addition, the initial thickness t1 may mean a thickness measured immediately after the cement paste is poured onto the surface layer 12.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제1 페이스트 영역(31)은 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축광 및 발광을 위해 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상단이 시멘트 페이스트부(3)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최종 두께(t2)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페이스트 영역(31)의 최종 두께(t2)는 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돌출 높이보다 작은 크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페이스트 영역(31)은 표층(12) 상에 타설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의해 초기 두께(t1)만큼 형성된 다음, 타설된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초기 두께(t1)보다 얇은 최종 두께(t2)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최종 두께(t2)는 초기 두께(t1)보다 Δa만큼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축광 알갱이(2)는 Δa에 대응하는 두께만큼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5B, in the first paste region 31,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may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ment paste part 3 for photoluminescence and light emission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It can be formed to a final thickness (t2). That is, the final thickness t2 of the first paste region 31 may be small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In other words, the first paste region 31 is formed by the initial thickness t1 by the cement paste poured on the surface layer 12, and then some of the poured cement paste is moved in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oids. , It may be formed to a final thickness (t2) thinner than the initial thickness (t1). 5A and 5B, the final thickness t2 may be formed to be thinner by Δa than the initial thickness t1, and accordingly, the photoluminescent grains 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Δa.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페이스트 영역의 표면이 가압 기구에 의해 하향 가압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at the surface of a first paste region is pressed downward by a pressing mechanism in the photocatalys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제1 페이스트 영역(31)은 초기 두께(t1)만큼 형성된 다음, 가압 기구에 의해 표면이 하향 가압됨으로써,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로 이동되는 속도 또는 양이 가압 기구의 미사용시 대비 증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paste region 31 is formed by an initial thickness t1, and then the surface is pressed downward by a pressing mechanism, so that a portion of the cement paste moves into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oids. Alternatively, the amount may be increased compared to when the pressurizing device is not used.

이러한 가압 기구에 의한 제1 페이스트 영역(31)의 표면 가압은, 제1 페이스트 영역(31)을 형성하고 있던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표층(12)의 공극으로 스며들면서 제1 페이스트 영역(31)의 표면의 높이가 낮아지는 양(크기)이 축광 알갱이(2)의 상단의 높이가 낮아지는 양(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대적 차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광 알갱이(2)는 Δa에 대응하는 두께만큼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The surface pressurization of the first paste region 31 by such a pressing mechanism is performed by the first paste region 31 while some of the cement paste forming the first paste region 31 permeates into the voids of the surface layer 12.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size) of lowering the height of the surface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amount (size) of lowering the upper end of the photoluminescent grains 2. Due to this relative difference, as a result, the photoluminescent grains 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Δa as shown in FIG. 5B.

예시적으로, 가압 기구에 의한 가압은 가급적 축광 알갱이(2)는 가압하지 않고 제1 페이스트 영역(31)의 표면만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sing by the pressing mechanism may proceed in the direction of selectively pressing only the surface of the first paste region 31 without pressing the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as much as possible.

다른 예로, 가압 기구에 의한 가압은 축광 알갱이(2)가 보다 하향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은 가압 크기(이러한 가압 크기는 표층(12)의 경화 진행 상태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이면서, 이와 동시에 제1 페이스트 영역(31)을 형성하고 있던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표층(12)의 공극으로 스며드는 것은 촉진할 수 있는 정도의 가압 크기는 충족하는 정도의 가압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압 기구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의 세기(크기)는, 시멘트 페이스트가 표층(12)상에 충분히 스며들 수 있게 하여 시멘트 페이스트부(3)와 표층(12)의 일체성이 향상될 수 있는 세기로 하되, 복수의 축광 알갱이(2)가 제1 페이스트 영역(31)의 최종 두께(t2) 이하로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정도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도 가급적 축광 알갱이(2)는 가압하지 않고 제1 페이스트 영역(31)의 표면만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가압이 진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As another example, the pressurization by the pressurization mechanism is a small pressurization size (this pressurization size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uring progress of the surface layer 12) that prevents the phosphorescent grains 2 from being inserted downward, and this At the same time, a pressure size sufficient to promote penetration of some of the cement paste forming the first paste region 31 into the voids of the surface layer 12 may be achieved. That is, the intensity (size) of the pressure transmitted by the pressurization mechanism allows the cement paste to sufficiently permeate on the surface layer 12 so that the integrity of the cement paste portion 3 and the surface layer 12 can be improved. Although the intensity is set, it may mean an intensity such that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are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inserted below the final thickness t2 of the first paste region 31. In addition, even in such a case, it would be more preferable to pressurize the photoluminescent grains 2 in a direction that selectively presses only the surface of the first paste region 31 without pressurizing the photoluminescent grains 2.

예시적으로, 가압 기구는 스크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압 기구는 에어 블로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llustratively, the pressing mechanism may include a scraper. As another example, the pressurizing mechanism may include an air blow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가압 기구는 복수의 축광 알갱이(2)에 부착된 시멘트 페이스트의 제거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FIG. 6, the pressing mechanism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removing the cement paste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즉, 복수의 축광 알갱이(2) 표면에 시멘트 페이스트가 부착되면 축광 및 발광 효율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가압 기구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이 복수의 축광 알갱이(2)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페이스트를 제거함으로써 축광 및 발광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복수의 축광 알갱이(2)에 부착된 시멘트 페이스트의 제거를 위한 동작은 하향 가압력과 수평력이 조합된 힘이 가해지는 동작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압 기구가 시멘트 페이스트부(3)의 표면을 빗자루 쓸듯이 비스듬히 쓸어내는 동작을 함으로써 전술한 하향 가압도 발생함과 동시에 수평으로 작용하는 분력이 함께 발생될 수 있어 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페이스트를 제거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cement past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the photoluminescence and luminous efficiency may be lowered, so the operation performed by the pressing mechanism is performed by removing the cement past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And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luminous efficiency. The operation for removing the cement paste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may be an operation in which a force combined with a downward pressing force and a horizontal force is applied. Exemplarily, the pressing mechanism sweeps the surface of the cement paste part 3 at an angle like a broom sweep, so that the above-described downward pressure can also be generated and a component force acting horizontally can be generated together, so that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 The cement paste attached to the surface of 2) can be removed.

도 7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축광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7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에 있어서 축광안료부와 코팅부를 포함하는 축광캡슐의 단면도이다.Figure 7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hotocatalytic surface-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a photoluminescent ston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igure 7b is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the surface 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hotoluminescent capsule including a photoluminescent pigment part and a coating part.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복수의 축광 알갱이(2)는 축광석(21) 및 축광캡슐(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7A and 7B, the plurality of phosphorescent grains 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hosphorescent stone 21 and a phosphorescent capsule 22.

축광석(21)은 고휘도의 축광안료를 고온 소성하여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축광석(21)은 기존 상용제품과 유사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hosphorescent stone 21 may be made by firing a phosphorescent pigment of high brightness at high temperature. Illustratively, the phosphorescent ore 21 may be similar to an existing commercial produ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축광캡슐(22)은 축광안료를 포함하는 축광안료부(221) 및 축광안료부(221)를 둘러싸는 코팅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팅부(222)는 축광 알갱이(2)(축광캡슐)을 표층(12)에 일부 삽입할 때 사용되는 프레스 장치, 축광 알갱이(2)의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압 기구, 기타 예기치 못한 충격 등 외부 영향(외력 작용)으로 인해 축광캡슐(22)의 적어도 일부가 손상되어 축광안료부(221)가 축광캡슐(22)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 및 재료 강도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축광안료부(221)는 축광안료의 발광 시 빛의 산란이 유도되도록 축광안료와 혼합되는 유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유리 입자는 유리 파우더, 유리 조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리 입자는 축광안료가 발광할 때 빛의 산란효과를 더욱 증대시켜 축광캡슐(22)의 상측이 아닌 하측으로 조사되는 빛을 다시 산란시켜 축광캡슐(22)의 상측으로 재조사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축광캡슐(22)의 발광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축광안료와 유리입자의 혼합 비율은, 축광캡슐(22)이 축광 및 발광 기능이 보다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photoluminescent capsule 22 may include a photoluminescent pigment part 221 including a photoluminescent pigment and a coating part 222 surrounding the photoluminescent pigment part 221. In addition, the coating unit 222 is a press device used when partially inserting the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phosphorescent capsules) into the surface layer 12, a pressing device used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surface of the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At least a part of the phosphorescent capsule 22 is damaged due to external influences (external force action) such as other unexpected impacts, and the thickness and thickness sufficient to protect the phosphorescent pigment portion 221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phosphorescent capsule 22 It may be provided to have material strength. In addition, the photoluminescent pigment part 221 may include glass particles that are mixed with the photoluminescent pigment so that light scattering is induced when the photoluminescent pigment emits light. Illustratively, the glass particles may include glass powder, glass fragments,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glass particles further increase the scattering effect of light when the photoluminescent pigment emits light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hotoluminescent capsule 22 is scattered again, thereby inducing re-irradiation to the upper side of the photoluminescent capsule 22, The luminous effect of the photoluminescent capsule 22 can be further maximized. In addition, the mixing ratio of the phosphorescent pigment and the glass particles is preferably se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hosphorescent capsule 22 can perform the phosphorescent and light emitting functions more smoothly.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을 제조하는데 적용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제조 방법(이하 '본 제조 방법'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조 방법은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catalyst-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to manufacture a photocatalyst-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referred to as'this manufacturing method' Ham) will be explained.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may be applied to a photocataly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to a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to which the surface is applied. Accordingly, with respect to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nfigurations that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salpin configuration, and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simplified or omitted.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catalyst surface-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제조 방법은 표층(12)이 경화되기 전 표층(12)상에 복수의 축광 알갱이(2)를 배치하는 단계(S110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8,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disposing a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on the surface layer 12 before the surface layer 12 is cured (step S110).

S110 단계에서, 복수의 축광 알갱이(2)를 배치하는 방법 및 복수의 축광 알갱이(2)가 표층(12)이 경화되기 전에 표층(12)상에 배치되는 형태에 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step S110, the method of arranging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and the form in which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are disposed on the surface layer 12 before the surface layer 12 is cured have been described above, so detailed descriptions Is omitted.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제조 방법은 복수의 축광 알갱이(2)가 표층(12)에 일부 삽입되도록 복수의 축광 알갱이(2)를 가압하여 1차 고정하는 단계(S120 단계)를 포함한다.3 and 8,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a step of first fixing by pressing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so that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ar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12 (step S120). do.

S120단계에서, 복수의 축광 알갱이(2)는 표층(12)이 경화되기 전 표층(12)상에 배치된 다음 편평한 하면을 갖는 프레스 장치에 의해 하향 가압됨으로써, 오차범위 이내에서 서로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갖도록 표층(12)에 일부 삽입되어 1차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프레스 장치 및 오차범위 이내에서 서로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갖는다는 것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프레스 장치를 이용한 복수의 축광 알갱이(2)를 하향 가압하는 방법에는 가벼운 진동을 주는 것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step S120,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2 are placed on the surface layer 12 before the surface layer 12 is cured, and then pressed downward by a press device having a flat lower surface, thereby achieving the same protrusion height within an error range. It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12 so as to have a primary fixation. In this case, since the press device and the fact that they have the same protrusion height within the error range have been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method of pressing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downward using the press device may include applying light vibration, and this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제조 방법은 표층(12) 상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타설하여 시멘트 페이스트부(3)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둘레를 둘러싸 2차 고정하는 단계(S130 단계)를 포함한다. 시멘트 페이스트부(3)는 시멘트 및 광촉매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시멘트 페이스트부(3)는 시멘트를 시멘트 페이스트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시멘트 페이스트에 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S. 4 and 8, in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a cement paste is poured on the surface layer 12 to form a cement paste part 3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2 and secondarily fix it ( Step S130). The cement paste part 3 is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cement and a photocatalyst. The cement paste part 3 may contain cement in the form of a cement paste. Since the cement paste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즉, 표층(12)상에 배치된 복수의 축광 알갱이(2)는 시멘트 페이스트부(3)에 의해 2차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축광 알갱이(2)는 미경화 상태의 표층(12)에 대하여 일부 삽입된 상태로 1차 고정된 다음, 시멘트 페이스트부(3)의 제1 페이스트 영역(31)에 의해 2차 고정되는 형태로 다각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2 disposed on the surface layer 12 may be secondarily fixed by the cement paste portion 3.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photoluminescent grains 2 are first fixed in a partially inserted stat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layer 12 in the uncured state, and then by the first paste region 31 of the cement paste part 3. It can be fixed in multiple ways in a secondary fixed form.

S130 단계에서, 시멘트 페이스트부(3)는 표층(12)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제1 페이스트 영역(31)과 연결되는 제2 페이스트 영역(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페이스트 영역(32) 및 이와 연계되는 시멘트 페이스트부(3)의 두께 변화와 관련하여서는 이하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한다.In step S130, the cement paste portion 3 i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oids so as to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urface layer 12, and a second paste area 32 connected to the first paste area 31 is formed. Can include. A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aste region 32 and the cement paste portion 3 associated therewit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rawings.

도 5a를 참조하면, 제1 페이스트 영역(31)은 표층(12) 상에 타설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의해 초기 두께(t1)만큼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first paste region 31 may be formed by an initial thickness t1 by cement paste poured on the surface layer 12.

이때, 제1 페이스트 영역(31)의 초기 두께(t1)는 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돌출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일 수 있다.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돌출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에 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the initial thickness t1 of the first paste region 31 may b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2. Regarding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2 Since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제1 페이스트 영역(31)은 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축광 및 발광을 위해 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상단이 시멘트 페이스트부(3)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최종 두께(t2)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페이스트 영역(31)의 최종 두께(t2)는 복수의 축광 알갱이(2)의 돌출 높이보다 작은 크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페이스트 영역(31)은 표층(12) 상에 타설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의해 초기 두께(t1)만큼 형성된 다음, 타설된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초기 두께(t1)보다 얇은 최종 두께(t2)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최종 두께(t2)는 초기 두께(t1)보다 Δa만큼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축광 알갱이(2)는 Δa에 대응하는 두께만큼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5B, in the first paste region 31,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may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ment paste part 3 for photoluminescence and light emission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It can be formed to a final thickness (t2). That is, the final thickness t2 of the first paste region 31 may be small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In other words, the first paste region 31 is formed by the initial thickness t1 by the cement paste poured on the surface layer 12, and then some of the poured cement paste is moved in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oids. , It may be formed to a final thickness (t2) thinner than the initial thickness (t1). 5A and 5B, the final thickness t2 may be formed to be thinner by Δa than the initial thickness t1, and accordingly, the photoluminescent grains 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Δa.

도 6을 참조하면, 제1 페이스트 영역(31)은 초기 두께(t1)만큼 형성된 다음, 가압 기구에 의해 표면이 하향 가압됨으로써,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로 이동되는 속도 또는 양이 가압 기구의 미사용시 대비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기구에 의한 제1페이스트 영역(31)의 표면 가압에 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paste region 31 is formed by an initial thickness t1, and then the surface is pressed downward by a pressing mechanism, so that a portion of the cement paste moves into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oids. Alternatively, the amount may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non-use of the pressurization mechanism. Since the pressure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aste region 31 by such a pressing mechanism has been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가압 기구는 복수의 축광 알갱이(2)에 부착된 시멘트 페이스트의 제거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urther, referring to FIG. 6, the pressing mechanism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removing the cement paste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2. Since this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1: 본체부
11: 기재층
12: 표층
2: 축광알갱이
21: 축광석
22: 축광캡슐
221: 축광안료부
222: 코팅부
3: 시멘트 페이스트부
31: 제1 페이스트 영역
32: 제2 페이스트 영역
100: photocatalyst applied on the surface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1: main body
11: base layer
12: surface layer
2: phosphorescent grain
21: Phosphorite
22: phosphorescent capsule
221: phosphorescent pigment part
222: coating part
3: Cement paste part
31: first paste area
32: second paste area

Claims (10)

보도블럭에 있어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되고 투수성을 가지도록 복수의 공극이 형성되는 포러스 미디어 형태의 표층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표층의 상면 상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표층에 일부 삽입 배치되는 복수의 축광 알갱이; 및
상기 축광 알갱이의 둘레를 둘러싸 고정하도록 상기 표층 상에 형성되는 제1 페이스트 영역을 포함하는 시멘트 페이스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는 시멘트 및 광촉매를 포함하는 재질인 것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In the sidewalk block,
A body portion including a base layer and a surface layer in the form of a porous media formed on the base layer and in which a plurality of pores are formed to have water permeability;
A plurality of phosphorescent grains partially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surface layer so as to protrude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layer; And
Comprising a cement paste portion including a first paste region formed on the surface layer to surround and fix the photoluminescent grains,
The cement paste portion is a material containing a cement and a photocatalyst, the photocatalyst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는, 상기 표층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페이스트 영역과 연결되는 제2 페이스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페이스트 영역은,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의 축광 및 발광을 위해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의 상단이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최종 두께로 형성되는 것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cement paste part includes a second paste region formed in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oids so as to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urface lay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paste region,
The first paste region is formed to have a final thickness such that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ar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ment paste part for photoluminescence and light emission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Sidewalk blo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스트 영역은, 상기 표층 상에 타설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의해 초기 두께만큼 형성된 다음, 타설된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상기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초기 두께보다 얇은 상기 최종 두께로 형성되는 것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paste region is formed by an initial thickness by the cement paste poured on the surface layer, and then some of the poured cement paste is moved to the insid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oids, so that the final thickness is thinner than the initial thickness. The photocatalyst is formed in a thickness, the photo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두께는 상기 축광 알갱이의 돌출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이고,
상기 최종 두께는 상기 축광 알갱이의 돌출 높이보다 작은 크기인 것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The method of claim 3,
The initial thickness i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hotoluminescent grains,
The final thickness is a size small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hotoluminescent grains, photo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는,
상기 표층이 경화되기 전 상기 표층 상에 배치된 다음, 편평한 하면을 갖는 프레스 장치에 의해 하향 가압됨으로써, 오차 범위 이내에서 서로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갖도록 상기 표층에 일부 삽입되어 1차 고정되고,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에 의해 2차 고정되는 것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phosphorescent grains,
The surface layer is disposed on the surface layer before it is cured, and is then pressed downward by a press device having a flat lower surface, so that the surface layer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so as to have the same protruding height within an error range and first fixed,
The photo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hotocatalyst, which is secondarily fixed by the cement past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는 축광석 및 축광캡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comprises at least one of a photoluminescent stone and a photoluminescent capsule, a photocatalyst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제1항에 따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의 제조방법으로서,
(a) 상기 표층이 경화되기 전 상기 표층 상에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를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가 상기 표층에 일부 삽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를 가압하여 1차 고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표층 상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타설하여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축광 알갱이의 둘레를 둘러싸 2차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제조 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to which the photocatalyst according to claim 1 is applied on the surface,
(a) disposing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grains on the surface layer before the surface layer is cured;
(b) first fixing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by pressing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so that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ar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And
(c)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catalyst-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comprising the step of secondary fixing around the photoluminescent grains by pouring cement paste on the surface layer to form the cement paste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는, 상기 표층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페이스트 영역과 연결되는 제2 페이스트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 페이스트 영역은, 상기 표층 상에 타설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의해 초기 두께만큼 형성된 다음, 시멘트 페이스트 중 일부가 상기 복수의 공극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초기 두께보다 얇은 최종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최종 두께는,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의 축광 및 발광을 위해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의 상단이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두께인 것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ement paste part includes a second paste region formed in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oids so as to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urface lay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paste region,
In the step (c), the first paste region is formed by an initial thickness by the cement paste poured on the surface layer, and then some of the cement paste is moved to the inside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oids, so that the initial It is formed to a final thickness that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The final thickness is a thickness at which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can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ement paste part for photoluminescence and light emission of the plurality of photoluminescent particles, a photocatalyst-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manufacturing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두께는 상기 축광 알갱이의 돌출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이고,
상기 최종 두께는 상기 축광 알갱이의 돌출 높이보다 작은 크기인 것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initial thickness i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hotoluminescent grains,
The final thickness is a size small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hotoluminescent grains, photocatalyst is applied to the surface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manufacturing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광 알갱이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표층이 경화되기 전 상기 표층 상에 배치된 다음, 편평한 하면을 갖는 프레스 장치에 의해 하향 가압됨으로써, 오차 범위 이내에서 서로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갖도록 상기 표층에 일부 삽입되어 1차 고정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부에 의해 2차 고정되는 것인, 광촉매가 표면 적용된 축광형 보도블록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plurality of phosphorescent grains,
In the step (b), the surface layer is disposed on the surface layer before it is cured, and then pressed downward by a press device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so that the surface layer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urface layer so as to have the same protrusion height within an error range. Car is fixed,
In the step (c),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catalyst-applied photoluminescent sidewalk block that is secondarily fixed by the cement paste portion.
KR1020190167003A 2019-11-11 2019-12-13 Luminescence paving block with photocatalyst applied to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706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255 2019-11-11
KR20190143255 2019-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879A true KR20210056879A (en) 2021-05-20
KR102270655B1 KR102270655B1 (en) 2021-06-29

Family

ID=7614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003A KR102270655B1 (en) 2019-11-11 2019-12-13 Luminescence paving block with photocatalyst applied to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6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592B1 (en) 2021-08-04 2023-08-29 이기영 A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walk block by processing waste solar panel and sidewalk block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5433A (en) * 2010-03-19 2011-09-27 소우섭 Block structure having eco-friendly function
KR101792710B1 (en) * 2017-02-24 2017-11-03 주식회사 세영 the improved block with noctilucent chip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5433A (en) * 2010-03-19 2011-09-27 소우섭 Block structure having eco-friendly function
KR101792710B1 (en) * 2017-02-24 2017-11-03 주식회사 세영 the improved block with noctilucent chip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655B1 (en)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1103B (en)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CN103155024B (en) The solid luminous device of tool photoluminescence wavelength conversion and label
JP4123057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1248538B (en) Method for producing an LED chip and led chip
JP2003046133A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046140A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8203439A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anufacture thereof
ES2151427A1 (en) Planar type lens manufacturing method
KR20210056879A (en) Luminescence paving block with photocatalyst applied to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53010B1 (en) Sidewalk construction method for nightscape using luminous stone and black light
JP2005123238A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179502A1 (en) Selective masking and plugging of honeycomb bodies
CN106574764A (en) Phosphor plate, and illumination device containing same
DE102013206133B4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version element and conversion element
JP2005072129A (en) Visible light emitting devic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CN102522483A (en) Optical wavelength conversion chip,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wavelength conversion chip and light source device
KR101758912B1 (en) A led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3204343B1 (en) Surface provided with a pattern of luminescent elements
CN104409609B (en) A kind of LED lamp and its manufacture method and manufacture mould
KR100577353B1 (en) A boundary block having reflection and phosphorescence for light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therof
CN105182696B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halftone
JP2008081988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uminous element
JP2006097443A (en) Storage fluorescen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833662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board and the board thereof
JP2009074247A (en) Slip prevent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