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063A - 센싱 장치 - Google Patents

센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063A
KR20210056063A KR1020190142681A KR20190142681A KR20210056063A KR 20210056063 A KR20210056063 A KR 20210056063A KR 1020190142681 A KR1020190142681 A KR 1020190142681A KR 20190142681 A KR20190142681 A KR 20190142681A KR 20210056063 A KR20210056063 A KR 20210056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nsor
disposed
substrate
referenc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도희
이태진
홍범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2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6063A/ko
Publication of KR20210056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8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enzyme electrodes, e.g. with immobilised oxidase
    • A61B5/1486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enzyme electrodes, e.g. with immobilised oxidas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125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e of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체내용 센서는 기준 전극, 동작 전극, 보조 전극, 그리고 플렉시블하며,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이 외부를 향하며, 상기 제2면이 내부를 향하도록 나선 형상으로 감긴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각각에는 상기 기준 전극, 상기 동작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동작 전극 상에는 소정의 체내 성분과 반응하는 생체 반응 물질이 배치된다.

Description

센싱 장치{SENSING DEVICE}
본 발명은 센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내에 삽입되는 체내용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술의 발달에 따라 체내 성분 및 생리학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의료용 생체정보 측정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체내 성분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체내용 센싱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체내용 센싱 장치의 한 예로, 세포간질액(interstitial fluid) 내 체내 성분과 반응하는 생체 반응 물질이 도포된 센서가 피부를 뚫고 인체에 삽입되며, 체내 성분과 생체 반응 물질 간 전기화학적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가 체외에 배치된 신호처리부로 전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인체에 삽입되는 센서의 크기가 클수록 체내 성분과 접촉하는 면적이 늘어나며, 이에 따라 센싱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센서의 크기가 커질수록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더욱 커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체에 삽입된 센서에는 검출하고자 하는 체내 성분뿐만 세포간질액에 흘러 다니는 단백질 등의 기타 이물질이 흡착될 수도 있다. 센서에 이물질이 흡착되는 경우, 센싱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센서의 수명도 짧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확하고, 수명이 길며,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체내용 센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체내용 센서는 기준 전극, 동작 전극, 보조 전극, 그리고 플렉시블하며,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이 외부를 향하며, 상기 제2면이 내부를 향하도록 나선 형상으로 감긴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각각에는 상기 기준 전극, 상기 동작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동작 전극 상에는 소정의 체내 성분과 반응하는 생체 반응 물질이 배치된다.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각각에는 상기 기준 전극, 상기 동작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면에는 상기 기준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2면에는 상기 동작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비아홀이 형성되며, 상기 비아홀을 통하여 상기 기준 전극에 연결된 와이어, 상기 동작 전극에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보조 전극에 연결된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폭이 10 내지 1000㎛이고, 나선 간 간극이 1 내지 300㎛인 나선 형상으로 꼬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전극, 상기 동작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소수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전극, 상기 동작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입도(D50)는 5 내지 100nm일 수 있다.
상기 나선 형상의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나선 형상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체내용 센서 장치는 기준 전극, 동작 전극, 보조 전극, 그리고 플렉시블하며,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포함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각각에는 상기 기준 전극, 상기 동작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동작 전극 상에는 소정의 체내 성분과 반응하는 생체 반응 물질이 배치된 체내용 센서, 상기 체내용 센서를 감싸는 센서 가이드, 그리고 상기 체내용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체내용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가이드는 상기 체내용 센서와 함께 체내에 주입된 후, 독립적으로 인출되고, 상기 체내용 센서는 체내에서 상기 센서 가이드와 이탈된 후, 상기 제1면이 외부를 향하며, 상기 제2면이 내부를 향하도록 나선 형상으로 감긴다.
상기 체내용 센서와 상기 송신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체내용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센싱 성능이 우수하고 수명이 긴 체내용 센싱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느끼는 이물감 등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을 일반적인 연속혈당측정시스템(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CGMS)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연속혈당측정시스템 내 센서의 단면도의 한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체내용 센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센서부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체내용 센서의 제조 방법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체내용 센서의 제조 및 체내 주입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내용 센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일반적인 연속혈당측정시스템(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CGMS)을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연속혈당측정시스템 내 센서의 단면도의 한 예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CGMS(10)는 센서(12) 및 트랜스미터(14)를 포함한다. 센서(12)는 피부를 뚫고 체내로 삽입되는 니들 형태일 수 있다. 센서(12)는 전극(20), 전극(20) 상에 배치된 효소층(22) 및 효소층(22) 상에 배치된 반투과막(24)을 포함할 수 있다. CGMS(10)는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효소층(22)은 글루코오스 옥시다아제(glucose oxidase)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2)가 피부를 뚫고 체내로 삽입되면, 세포간질액 내 글루코오스는 효소층(22)의 글루코오스 옥시다아제와 반응하여 글루콘산으로 바뀌며, 소정의 전하를 방출한다. 소정의 전하는 전극(20)과 반응하여 전류를 형성하며, 전극(20)에 흐르는 전류는 와이어(미도시)를 따라 체외의 트랜스미터(14)로 전달된다. 트랜스미터(14)는 전극(20)으로부터 전달된 전류와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단말(20)로 송신하며, 이에 따라 외부 단말(20)은 체내의 혈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속혈당측정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체내에 침투되어 세포간질액 내 체내 성분을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체내용 센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체내용 센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체내용 센싱 장치(100)는 센서부(110), 연결부(120), 신호처리부(130) 및 송신부(140)를 포함하고, 송신부(140)는 외부의 단말(200)과 통신한다.
센서부(110)는 피부를 뚫고 체내에 삽입되며, 세포간질액(interstitial fluid) 내 체내 성분을 센싱한다. 이를 위하여, 센서부(110)는 소정의 체내 성분 및 이와 반응하는 생체 반응 물질 간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소정의 체내 성분 및 이와 반응하는 생체 반응 물질 간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이온 및/또는 전자가 생성될 경우, 이로 인한 전류를 이용하여 소정의 체내 성분의 유무 또는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부(11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
여기서, 소정의 체내 성분은 혈당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혈액 또는 세포간질액 등에 존재하는 혈당, 젖산, 콜레스테롤, 도파민, 산호, Na+, Ka+, 요소 등의 다양한 생화학 물질 또는 각종 바이오 마커일 수 있다. 그리고, 생체 반응 물질은 소정의 체내 성분과 반응하는 물질로, 효소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가 체내의 당수치를 센싱하고자 하는 경우, 생체 반응 물질은 글루코오스 옥시다아제일 수 있다.
센서부(110)는 연결부(120)를 통하여 신호처리부(130)에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부(120)는 센서부(110)의 전극에 연결된 와이어일 수 있고, 체내에 배치된 센서부(110)의 전류는 연결부(120)를 통하여 체외의 신호처리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130)는 센서부(110)로부터 연결부(120)를 통하여 전달 받은 전류량을 이용하여 소정의 체내 성분에 대한 정보를 산출한다. 이를 위하여, 신호처리부(130)는 센서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전류량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후, 소정의 체내 성분에 대한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30)는 산출한 정보를 송신부(140)를 통하여 외부의 단말(200)에게 전송한다. 이때, 송신부(140)는 외부의 단말(20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고, 외부의 단말(200)은 송신부(14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등에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도시하며, 도 6은 도 5의 센서부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센서부(110)는 기판(300) 및 기판(300) 상에 배치된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 310), 동작 전극(working electrode, 320) 및 보조 전극(counter electrode, 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300)은 플렉시블하며, 제1면(302) 및 제1 면(302)의 반대면인 제2면(304)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300)은,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 PEEK(poly ether ether ketone), PI(polyim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기판(300)은 생체 적합성이고, 체내의 세포간질액의 흐름에 따라 플렉시블하게 휘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열성형이 가능하다. 또한, 기판(300)은 1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3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내지 1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열성형된 기판(300)의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동작 전극(320)은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으로, 동작 전극(320) 상에는 소정의 체내 성분과 반응하는 생체 반응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체내 성분은 센서부(110)가 센싱하고자 하는 성분으로, 혈액 또는 세포간질액 등에 존재하는 혈당, 젖산, 콜레스테롤, 도파민, 산호, Na+, Ka+, 요소 등의 다양한 생화학 물질 또는 각종 바이오 마커일 수 있다. 그리고, 생체 반응 물질은 소정의 체내 성분과 반응하는 물질로, 효소 등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생체 반응 물질 상에는 반투과성 막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하고자 하는 소정의 체내 성분만이 선택적으로 투과될 수 있으며, 동작 전극(320) 상에 코팅된 생체 반응 물질이 동작 전극(320)으로부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기준 전극(310)은 동작 전극(320)과의 전위차를 형성하는 전극이며, 보조 전극(330)은 동작 전극(320)의 전류 신호 측정을 위한 전극이다. 즉, 보조 전극(330)에는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동작 전극(320)에서는 생체 반응 물질과 소정의 체내 성분 간 반응으로 인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기준 전극(310)은 보조 전극(330)에 일정한 전압이 걸리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전극(320)은 작업 전극과 혼용될 수 있으며, 보조 전극(330)은 상대 전극과 혼용될 수 있다.
한편, 기판(300)의 제1면(302) 및 제2면(304) 각각에는 기준 전극(310),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기판(300)의 양면에 기준 전극(310),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이 배치되므로, 센서부(110)가 차지하는 단위 면적 또는 단위 부피 당 배치되는 전극의 개수가 많아지므로, 측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판(3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비아홀(306)이 형성되며, 비아홀(306)을 통하여 기준 전극(310)에 연결된 와이어(W1), 동작 전극(320)에 연결된 와이어(W2) 및 보조 전극(330)에 연결된 와이어(W3)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W1, W2, W3)는 도 3에서 설명한 연결부(120)의 일부 구성일 수 있으며, 센서부(110)의 전극(310, 320, 330)에 흐르는 전류를 체외의 신호처리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와이어(W1, W2, W3)는 기판(300)의 양면 중 한면에 모인 후 체외로 인출되므로, 배선이 용이하다.
기판(300)과 기준 전극(310),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 사이에는 씨드층(34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씨드층(340)은 티타늄(Ti) 및 니켈(N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기판(300)과 기준 전극(310),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 간의 접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또는, 기판(300) 상에 씨드층(340)을 형성하기 전에, 기판(300)을 전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판(300)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하거나, 기판(300)의 표면에 친수성 프라이머를 코팅하면, 기판(300)의 표면이 친수성으로 바뀌므로, 기판(300)의 표면에 씨드층(340)이 형성되기 유리하다.
이에 따르면, 기판(300), 씨드층(340) 및 전극(310, 320, 330) 간 밀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기준 전극(310),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 각각은 금(Au) 및 백금(Pt) 중 적어도 하나의 나노파티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준 전극(310)은 염화은(AgCl)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이는 증착, 스퍼터링, 도금, 증발, 코팅 등에 의하여 기판(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증착, 스퍼터링, 도금, 증발, 코팅 등의 처리 조건에 따라 전극(310, 320, 330)을 이루는 나노파티클의 입자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전극(310),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 각각은 금(Au) 및 백금(P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전극(310),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 각각은 주름진(wrinkled) 금속 또는 다공성(porous)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센싱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기준 전극(310),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 각각은 D50이 5 내지 100n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5n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nm인 나노 파티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극(310, 320, 330)의 표면이 매끄러우므로, 이물질이 흡착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은 혈액 또는 세포간질액에 존재하는 단백질, 혈소판, 세포, 섬유아세포, 면역물질, 혈구 등 검출하고자 하는 체내 성분 이외의 물질을 의미하며, 이물질이 전극(310, 320, 330)의 표면에 흡착될 경우, 센싱 기능이 저하되며, 센서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또는, 전극(310, 320, 330) 상에 이물질이 흡착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전극(310, 320, 330)의 표면을 소수성 물질로 코팅할 수도 있다. 전극(310, 320, 330)의 표면이 소수성 물질로 코팅될 경우, 이물질이 전극(310, 320, 330)의 표면에 흡착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소수성 물질은 생체 적합성 소수성 물질일 수 있으며, 특별히 종류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300)의 제1면(302)이 외부를 향하고, 제2면(304)이 내부를 향하도록 나선 형상으로 꼬일 수 있다. 여기서, 나선 형상은 소정 방향(예, Z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곡률로 반복하여 회전하며 연장되는 3차원 형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기판이 실린더의 외주면을 감싸며 이어지는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나선 형상은 스파이럴 형상, 헬리컬 형상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300)이 나선 형상으로 꼬이는 경우, 기판(30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분산되므로, 평면형 기판에 비하여 더욱 플렉시블하고, 이에 따라 세포간질액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사용자의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이때, 기판(300)은 폭(D)이 1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8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600㎛인 나선 형상으로 감길 수 있다. 폭(D)은 Z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선 형상에서 Z방향에 수직하는 X방향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으며, Z축 상 소정 위치에서의 제1면(302)과 다른 제1면(302) 간 최대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기판(300)의 폭(D)이 이러한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제2면(304)에 의하여 형성되는 빈 공간에는 소정의 체내 성분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제2면(304)에 의하여 형성되는 빈 공간에는 모세관 현상이 작용하며, 세포간질액의 수집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기판(300)의 나선 형상을 이루는 나선 간 간극(H)은 1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일 수 있다. 나선 간 간극(H)이 이와 같은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나선 형상의 내부, 즉 제2면(304)에 의하여 형성되는 빈 공간에 단백질 등의 이물질이 침투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00)의 제1면(302)에 기준 전극(310),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이 배치되고, 기판(300)의 제2면(304)에도 기준 전극(310),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300)의 양면에 기준 전극(310),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이 배치될 경우, 센싱하고자 하는 소정의 체내 성분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센싱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00)의 제1면(302)에는 기준 전극(310)이 배치되고, 제2면(304)에는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이 배치되며, 기준 전극(310)이 배치된 제1면(302)은 외부를 향하고,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이 배치된 제2면(304)은 내부를 향하도록 나선 형상으로 감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300)은 폭(D)이 1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8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600㎛이고, 나선 간 간극(H)은 1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가 되도록 감긴 나선 형상인 경우, 나선 형상의 내부, 즉 제2면(304)에 의하여 형성되는 빈 공간 내에 센싱하고자 하는 소정의 체내 성분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지만, 이물질이 침투할 가능성은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센싱 기능 저하에 영향을 덜 미치는 기준 전극(310)이 배치된 제1면(302)은 외부를 향하고, 실질적으로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동작 전극(320) 및 보조 전극(330)이 배치된 제2면(304)은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하면, 센서의 정확도 및 내구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체내용 센서의 제조 방법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체내용 센서의 제조 및 체내 주입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판 상에 전극을 형성한다(S700). 여기서, 기판은 LCP(liquid crystal polymer), PEEK(poly ether ether ketone), PI(polyim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하거나 친수성 프라이머로 코팅하여 전처리한 후, 씨드층을 올리고,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은 금(Au) 및 백금(Pt) 중 적어도 하나의 나노파티클을 증착, 스퍼터링, 도금, 증발, 코팅 등의 기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의 표면의 전처리, 씨드층의 형성 및 전극의 형성은 기판의 양면 상에 모두 행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열성형(thermo-forming)한다(S710). 이에 따라, 전극이 형성된 기판은 나선 형상으로 감길 수 있다.
다음으로, 전극을 효소로 코팅한다(S720). 이를 위하여, 나선 형상으로 감긴 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효소 용액에 딥캐스팅(dip casting)하거나, 전극에 효소 용액을 스프레잉하거나, 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펼쳐 고정시킨 후 효소 용액에 드롭캐스팅(drop casting)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열성형한 후, 전극을 효소로 코팅하면, 효소가 열에 의하여 변성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효소가 코팅된 센서를 센서 가이드에 삽입한다(S730).
도 8(a)를 참조하면, 센서 가이드(400)는 말단이 뾰족한 니들 형상이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센서 가이드(400)의 말단은 오픈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의 단계 S720에서 형성된 센서는 단계 S730과 같이 센서 가이드(400) 내에 삽입된다. 이때, 센서는 열성형되어 나선 형상으로 감겨 있으나, 센서 가이드(400) 내부에는 펼쳐진 평면 형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8(b)와 같이, 평면 형상으로 펼쳐진 센서는 센서 가이드(400)에 의하여 감싸지며, 센서 가이드(400)와 함께 체내에 주입된다.
이후, 센서 가이드(400)가 체내로부터 독립적으로 인출되면, 센서는 센서 가이드(400)로부터 이탈되며, 단계 S710에서 열성형된 형상으로 다시 감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300)은 LCP(liquid crystal polymer), PEEK(poly ether ether ketone), PI(polyimde) 등으로 이루어지므로, 열에 의하여 나선 형상으로 성형이 가능하며,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펼친 상태에서 센서 가이드(400) 내에 삽입하여 체내로 주입된 후 센서 가이드(400)와 분리될 경우 다시 나선 형상으로 복구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나선 형상으로 꼬인 센서를 사용자의 불편함이나 센서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고도 체내에 주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내용 센서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나선 형상으로 감긴 체내용 센서는 지지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500)는 생분해성 폴리머 또는 생체적합성 금속일 수 있으며, 지지대(500)와 기판(300)은 생체에 적용 가능한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생분해성 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PLA), 폴리글라이콜산(PGA) 계 폴리머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지지대(500)는 나선 형상의 기판(300)의 일측에 배치되어 나선 형상을 지지하며, 나선 간 간극을 유지할 수 있다.
지지대(500)를 포함하는 체내용 센서는 도 8에서 예시한 센서 가이드(400) 내에 나선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삽입된 후 체내에 주입될 수 있다.
또는, 지지대(500)가 주입 가이드의 역할을 하여 도 8에서 예시한 센서 가이드(400) 없이도 체내에 주입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기준 전극,
    동작 전극,
    보조 전극, 그리고
    플렉시블하며,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이 외부를 향하며, 상기 제2면이 내부를 향하도록 나선 형상으로 감긴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각각에는 상기 기준 전극, 상기 동작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동작 전극 상에는 소정의 체내 성분과 반응하는 생체 반응 물질이 배치된 체내용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각각에는 상기 기준 전극, 상기 동작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이 배치되는 체내용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는 상기 기준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2면에는 상기 동작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이 배치되는 체내용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비아홀이 형성되며,
    상기 비아홀을 통하여 상기 기준 전극에 연결된 와이어, 상기 동작 전극에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보조 전극에 연결된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하는 체내용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폭이 10 내지 1000㎛이고, 나선 간 간극이 1 내지 300㎛인 나선 형상으로 꼬인 체내용 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극, 상기 동작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소수성 물질이 도포된 체내용 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극, 상기 동작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입도(D50)는 5 내지 100nm인 체내용 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형상의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나선 형상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체내용 센서.
  9. 기준 전극, 동작 전극, 보조 전극, 그리고 플렉시블하며,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포함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 각각에는 상기 기준 전극, 상기 동작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동작 전극 상에는 소정의 체내 성분과 반응하는 생체 반응 물질이 배치된 체내용 센서,
    상기 체내용 센서를 감싸는 센서 가이드, 그리고
    상기 체내용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체내용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가이드는 상기 체내용 센서와 함께 체내에 주입된 후, 독립적으로 인출되고,
    상기 체내용 센서는 체내에서 상기 센서 가이드와 이탈된 후, 상기 제1면이 외부를 향하며, 상기 제2면이 내부를 향하도록 나선 형상으로 감긴 체내용 센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용 센서와 상기 송신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체내용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체내용 센싱 장치.
KR1020190142681A 2019-11-08 2019-11-08 센싱 장치 KR20210056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681A KR20210056063A (ko) 2019-11-08 2019-11-08 센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681A KR20210056063A (ko) 2019-11-08 2019-11-08 센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063A true KR20210056063A (ko) 2021-05-18

Family

ID=7615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681A KR20210056063A (ko) 2019-11-08 2019-11-08 센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60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Flexible electrochemical biosensors for health monitoring
EP1841363B1 (en) Catheter-free implantable needle biosensor
US10060877B2 (en) Electrochemical sensor for determining an analyte concentration
US10448872B2 (en) Analyte sensor apparatuses having improved electrode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US11510595B2 (en) Tubular sensor for the detection of an analyte
JP5684825B2 (ja) 分析物センサシステム
CN107961016B (zh) 具有包括小型感测斑点的感测表面的分析物传感器
CA2888644C (en) Microarray electrodes useful with analyte senso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US201202835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analyte monitoring
CN106456072A (zh) 可穿戴的电化学传感器和方法
TW201010670A (en) Electrode system for measuring an analyte concentration under in-vivo conditions
Coffel et al. BioMEMS for biosensors and closed-loop drug delivery
CN109312383B (zh) 用于连续葡萄糖传感器的原位化学堆栈
WO2007091633A1 (ja) 生体用デバイス、生体用デバイスの接触部構造および生体センサ
US20230337947A1 (en) Analyte sensor electrode arrangements
WO2015008018A1 (en) Microneedle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70196488A1 (en) Serial Electrochemical Measurements of Blood Components
US20220257181A1 (en) Minimally invasive continuous analyte monitoring for closed-loop treatment applications
CN110320254B (zh) 可注射的多级螺旋纤维状传感器及其制备方法
KR20210056063A (ko) 센싱 장치
US20230113107A1 (en) Sensing device
US20230389837A1 (en) Analyte sensor for measuring at varying depths within a user
CN113038875A (zh) 寿命延长的分析物传感器
KR20210079009A (ko) 센싱 장치
JP2017023451A (ja) 生体情報測定装置および薬液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