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394A - 고막에 삽입 가능한 환기 튜브 - Google Patents

고막에 삽입 가능한 환기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394A
KR20210055394A KR1020190141782A KR20190141782A KR20210055394A KR 20210055394 A KR20210055394 A KR 20210055394A KR 1020190141782 A KR1020190141782 A KR 1020190141782A KR 20190141782 A KR20190141782 A KR 20190141782A KR 20210055394 A KR20210055394 A KR 20210055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ube
ventilation tube
ventilation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714B1 (ko
Inventor
권지훈
안중호
김영학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7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F11/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20Ear surgery
    • A61F11/202Surgical middle-ear ventilation or drainage, e.g. permanent; Impla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62Ears
    • A61M2210/0668Middle e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고막에 삽입 가능한 환기 튜브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일측에 배치된 제1 개구부, 상기 튜브의 타측에 상기 제1 개구부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배치된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는 통로를 포함하는 환기 튜브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고막에 삽입 가능한 환기 튜브{Ventilation tube insertable into tympanic membrane}
이하, 고막에 삽입되어 중이강 내부의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환기 튜브에 관한 기술이 제공된다.
급성 중이염은 3세 이전의 소아 80%가 경험할 정도로 흔히 발생하고 재발이 빈번하며 많은 항생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질환이다. 삼출성 중이염은 급성 중이염의 후유증이나 저하된 중이 환기관의 기능으로 인해 고막 내에 삼출액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소아 연령에서 난청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10살 이전까지 80%의 소아에서 한번 이상 삼출성 중이염에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출성 중이염을 치료를 위하여 유스타키오관의 기능을 대체하기 위하여 고막을 절개하여 환기 튜브를 삽입하게 된다. 환기관은 중이강 내부의 이물질을 배출하고 고막 전후의 환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환기관은 Paparella형으로 불리우는 것으로 실리콘으로 제작되어 1.14mm의 직경을 가진 환기공이 2.2mm 저도의 길이에 걸쳐서 고막에 거치되는 것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밖에 티타늄으로 제작되어 직경 1mm의 1.55mm의 길이의 환기공을 가진 환기관이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809260호(등록일: 2017년 12월 08일) 미국 특허등록공보 제6599297호(등록일: 2003년 07월 29일)
일실시예에 따른 고막에 삽입 가능한 환기 튜브는 상기 튜브의 일측에 배치된 제1 개구부, 상기 튜브의 타측에 상기 제1 개구부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배치된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환기 튜브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고막이 배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환기 튜브의 내면은 상기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의 내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튜브의 외면 사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면은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경사면 각각은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해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된 경사면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에 이물질이 유입될 시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튜브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 가능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른 환기 튜브는 상기 튜브에 이물질이 유입될 시 상기 이물질은 상기 홈에 채워지고, 상기 홈에 채워진 이물질의 중량에 의해 상기 튜브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상기 돌출된 경사면이 만곡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개구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로는 상기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개구부는 비원형(non-circular form)이고, 상기 통로는 상기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른 상기 통로는 제2 개구부에 인접한 부위의 단면적이 제1 개구부에 인접한 부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적은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로 향할수록 선형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 튜브의 일측에 인접한 부위는 소수성으로 형성되고, 상기 환기 튜브의 타측에 인접한 부위는 친수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종래 환기 튜브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통로 내부에 경사면을 포함한 환기 튜브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통로 내부에 경사면을 포함한 환기 튜브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종래 환기 튜브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통로 내부에 경사면을 포함한 환기 튜브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통로 내부에 경사면을 포함한 환기 튜브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튜브가 고막에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개구부가 비원형인 환기 튜브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개구부가 비원형인 환기 튜브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제2 개구부로 향할수록 환기 통로가 선형적으로 좁아지는 환기 튜브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제2 개구부로 향할수록 환기 통로가 선형적으로 좁아지는 환기 튜브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통로 내면에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환기 튜브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통로 내면에 복수개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환기 튜브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종래 환기 튜브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환기 튜브(100)는 길이 방향에 따라 두 개의 개구부(101, 102)가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고, 두 개구부(101, 102)들의 단면적은 동일하였다. 환기 튜브(100)의 내부는 환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이강 내부의 이물질은 환기 통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환기 튜브(100)는 중이강의 크기로 인해 튜브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하지 못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손쉽게 침투할 수 있으며, 사우나, 수영, 샤워 등 중이로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큰 활동에는 제약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튜브의 길이를 5~7mm 늘린 특수한 형태의 환기 튜브가 사용될 수 있으나 기존의 환기 튜브에 비해 삽입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통로 내부에 경사면(304)을 포함한 환기 튜브 장치(300)의 사시도를, 도 4는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환기 튜브는 제1 개구부(302) 및 제2 개구부(301)가 원형이고, 내면(303)과 외면은 각각 내주면 및 외주면으로 통로의 튜브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내면(303), 외면 및 통로의 형태는 비원형에 국한되지 않고, 고막에 설치되어 내부의 오염물질을 배출시키는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고막에 삽입 가능한 환기 튜브는 환기 통로 양쪽의 개구부의 단면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환기 튜브의 일측에는 제1 개구부(302)가 배치될 수 있고, 일측의 맞은편에 제1 개구부(302)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의 제2 개구부(30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302)와 제2 개구부(301) 사이에 환기 통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부(302)는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중이강을 향해 형성될 수 있고, 제2 개구부(301)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중이의 외부를 향해 형성될 수 있다.
환기 튜브는 고막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인체와 접촉된 상태로 사용되어도 염증이 유발되지 않으며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환기 튜브는 실리콘 또는 티타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인체 내부에 삽입되어 사용되고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환기 튜브는 튜브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부(305) 및 제2 고정부(30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고정부(305) 및 제2 고정부(306)는 튜브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격되어, 환기 튜브가 고막에 삽입될 시 제1 고정부(305) 및 제2 고정부(306) 사이에 고막이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고정부(305) 및 제2 고정부(306)는 각각 환기 튜브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고정부(305) 및 제2 고정부(306)는 환기 튜브의 외면 중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튜브의 내면(303)은 내면(303)으로부터 제2 개구부(301)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04)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304)은 제2 개구부(301)를 내측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제2 개구부(301)를 향할수록 튜브 길이방향과 수직한 단면적은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구부(302)의 단면적보다 제2 개구부(301)의 단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 제2 개구부(301)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04)은 예시적으로, 제2 개구부(301)의 중심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304)일 수 있다.
제2 개구부(301)의 단면적이 제1 개구부(302)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환기 통로, 제1 개구부(302), 및 제2 개구부(301)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 침투를 막을 수 있고, 내부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데는 용이할 수 있어 중이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염증 감염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도 5은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통로 내부에 경사면(504)을 포함한 환기 튜브 장치(500)의 사시도, 도 6는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튜브의 경사면(504)은 내면(503)으로부터 제2 개구부(501)의 내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개구부(501)와 튜브의 외면 사이에 홈(505)이 형성될 수 있다. 튜브의 내면(503)은 제2 개구부(501)로 향할수록 튜브 내측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제공될 수 있고, 튜브의 외면도 튜브가 일정한 두께를 갖기 위해 제2 개구부(501)로 향할수록 튜브 내측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튜브의 내면(503)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튜브 내면(503)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사면(504)을 포함함으로써, 튜브에 홈(505)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면(504)은 튜브 길이 방향의 중심에서 내면(503)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데, 경사면(504)이 내면(503)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경사면(504)이 제1 개구부(502)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수록 더 깊은 홈(505)이 제공될 수 있다.
환기 튜브 중 제2 개구부(501)가 형성된 타측에 홈(505)이 형성되므로,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될 시 홈(505)에 채워질 수 있고, 중이 외부로부터 튜브의 타측 표면에 도달한 이물질은 제2 개구부(501) 대신 홈(505)으로 유입되어 홈(505)이 없을 때보다 보다 더 이물질 침투를 막기 용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돌출된 경사면(504)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환기 튜브에 이물질이 유입될 시 이물질에 의해 튜브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물질이 홈(505)에 채워지고, 홈(505)에 채워진 이물질의 중량에 의해 돌출된 경사면(504)은 튜브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 가능할 수 있다. 튜브의 돌출된 경사면은 튜브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 가능할 수 있는데, 유입되는 이물질 양에 따라 경사면에 더 큰 외력이 부가되어 경사면이 튜브 내부의 중심을 가릴 수 있다.
돌출된 경사면(504)이 튜브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됨으로써, 제2 개구부(501)는 더 좁아질 수 있고, 그 결과 제2 개구부(501)를 통해 이물질 침입을 더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이에 반해, 돌출된 경사면(504)이 탄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제1 개구부(502)를 통해 중이강 내부의 오염 물질을 배출하는데 있어서, 제2 개구부(501)는 더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돌출된 경사면(504)으로 인해 제2 개구부(501)를 통해 이물질 침입을 막고, 제1 개구부(502)를 통해 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것이 더 용이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구부(50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통로는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501) 및 통로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단면의 형태는 원형에 국한되지 않고, 고막에 삽입가능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튜브(720)가 고막(710)에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환기 튜브(720)는 튜브(720)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튜브(720)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격되어, 환기 튜브(720)가 고막(710)에 삽입될 시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사이에 고막(71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환기 튜브(720)에 중력 등의 외력이 가해져도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가 고막(710)에 걸려 환기 튜브(720)가 고막(71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개구부(801)가 비원형인 환기 튜브 장치(800)의 사시도, 도 9는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구부(801)는 비원형이고, 통로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단면은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부(801) 및 통로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단면의 형태는 비원형에 국한되지 않고, 고막에 삽입가능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802), 제2 개구부(801) 및 통로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단면의 형태는 이물질과의 접촉 면적에 따라 이물질 침입을 막고, 오염물질 배출을 막는데 효과적인 형태일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제2 개구부(1001)로 향할수록 환기 통로가 선형적으로 좁아지는 환기 튜브 장치의 사시도를, 도 11은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일실시예들은 튜브의 내면(1003)이 튜브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통로는 제2 개구부(1001)에 인접한 부위의 단면적이 제1 개구부(1002)에 인접한 부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튜브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적은 제1 개구부(1002)로부터 제2 개구부(1001)로 향할수록 선형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튜브의 통로는 밑면과 윗면이 제1 개구부(1002) 및 제2 개구부(1001)로 형성되는 원뿔대 형태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튜브는 일측에 인접한 부위가 소수성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인접한 부위는 친수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의 일측은 제1 개구부(1002)가 배치된 부분으로, 액체 형태의 이물질을 배척하기 위해 튜브 일측에 인접한 부위는 소수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반해, 튜브의 타측은 제2 개구부(1001)가 배치된 부분으로, 통로를 따라 제1 개구부(1002)로 액체 형태의 이물질을 흘려보내지 않기 위해 튜브 타측에 인접한 부위는 친수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기 튜브는 친수성 및 소수성 중 하나의 성질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측 및 타측 중 하나는 환기 튜브의 재질과 다른 성질의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환기 튜브는 실리콘 재질로 소수성일 수 있고, 환기 튜브의 타측은 친수성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통로 내면에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환기 튜브 장치(1200)의 사시도를, 도 13은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 튜브의 내면(1203)이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경사면 각각은 제1 개구부(1202)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따르면 튜브 내면(1203)은 제1 경사면(1204a) 및 제2 경사면(120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1204a)은 도 5를 통해 상술하였듯이 제2 개구부(1201a)와 외면 사이에 제1 홈(1205a)이 형성되도록 내면(1203)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경사면(1204b)에 의해 제3 개구부(1201b)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경사면(1204b)은 제3 개구부(1201b)와 외면 사이에 제2 홈(1205b)이 형성되도록 내면(1203)에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경사면 각각은 제1 개구부(1202)를 향해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구부(1202) 보다 제2 개구부(1201a)의 단면적이 작지만, 제3 개구부(1201b)의 단면적은 제2 개구부(1201a)보다 단면적이 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중이강 내부의 오염물질 배출은 제1 개구부(1202)의 단면적을 이용하지만, 외부 이물질은 제3 개구부(1201b)를 통해 유입되므로, 더 효과적으로 외부 이물질 유입을 막고, 오염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 2 경사면(1204)에 따라 제1, 2 홈(1205)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환기 튜브는 더 많은 양의 외부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돌출된 제1, 2 경사면(1204)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환기 튜브에 이물질이 유입될 시 이물질에 의해 튜브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물질이 홈에 채워지고, 홈에 채워진 이물질의 중량에 의해 돌출된 제1, 2 경사면(1204)은 튜브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 가능할 수 있다. 경사면이 복수개인 경우 환기 튜브는 이물질 유입시 외부 이물질을 복수 번 필터링하게 제공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이물질 침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2 및 13의 일실시예를 통해 2개의 경사면, 홈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물질 침입을 차단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환기 튜브는 복수개의 경사면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2)

  1. 고막에 삽입 가능한 환기 튜브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일측에 배치된 제1 개구부;
    상기 튜브의 타측에 상기 제1 개구부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배치된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는 통로
    를 포함하는 환기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튜브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고막이 배치 가능한,
    환기 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내면은,
    상기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의 내측으로(inwardly) 경사진 경사면
    을 포함하는 환기 튜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의 내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튜브의 외면 사이에 홈이 형성되는 환기 튜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은,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경사면 각각은,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해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환기 튜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경사면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에 이물질이 유입될 시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튜브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만곡 가능한,
    환기 튜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에 이물질이 유입될 시 상기 이물질은 상기 홈에 채워지고, 상기 홈에 채워진 이물질의 중량에 의해 상기 튜브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상기 돌출된 경사면이 만곡 가능한,
    환기 튜브.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로는,
    상기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환기 튜브.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비원형(non-circular form)이고,
    상기 통로는,
    상기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단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환기 튜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제2 개구부에 인접한 부위의 단면적이 제1 개구부에 인접한 부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환기 튜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적은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기 제2 개구부로 향할수록 선형적으로 작아지는,
    환기 튜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튜브의 일측에 인접한 부위는 소수성으로 형성되고,
    상기 환기 튜브의 타측에 인접한 부위는 친수성으로 형성되는,
    환기 튜브.

KR1020190141782A 2019-11-07 2019-11-07 고막에 삽입 가능한 환기 튜브 KR102332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782A KR102332714B1 (ko) 2019-11-07 2019-11-07 고막에 삽입 가능한 환기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782A KR102332714B1 (ko) 2019-11-07 2019-11-07 고막에 삽입 가능한 환기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394A true KR20210055394A (ko) 2021-05-17
KR102332714B1 KR102332714B1 (ko) 2021-12-02

Family

ID=7615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782A KR102332714B1 (ko) 2019-11-07 2019-11-07 고막에 삽입 가능한 환기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71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4792A (en) * 1985-01-22 1988-05-17 Richards Medical Company Middle ear ventilating tube
US5207685A (en) * 1992-02-11 1993-05-04 Cinberg James Z Tympanic ventilation tube and related technique
KR20000061741A (ko) * 1999-03-30 2000-10-25 류광준 귓병 치료용 튜브
JP2010520317A (ja) * 2007-02-28 2010-06-10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親水性コーティング
KR101809260B1 (ko) 2016-11-21 2017-12-14 주식회사 제이앤킴 중이염 치료용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
KR20180090394A (ko) * 2008-12-24 2018-08-10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무음 삼출물 제거
JP6599297B2 (ja) 2016-11-14 2019-10-30 株式会社ニューギン 遊技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4792A (en) * 1985-01-22 1988-05-17 Richards Medical Company Middle ear ventilating tube
US5207685A (en) * 1992-02-11 1993-05-04 Cinberg James Z Tympanic ventilation tube and related technique
KR20000061741A (ko) * 1999-03-30 2000-10-25 류광준 귓병 치료용 튜브
JP2010520317A (ja) * 2007-02-28 2010-06-10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親水性コーティング
KR20180090394A (ko) * 2008-12-24 2018-08-10 아클라런트, 인코포레이션 무음 삼출물 제거
JP6599297B2 (ja) 2016-11-14 2019-10-30 株式会社ニューギン 遊技機
KR101809260B1 (ko) 2016-11-21 2017-12-14 주식회사 제이앤킴 중이염 치료용 고막천공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714B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6047T3 (es) Elemento de instalación sanitario
ES2437920T3 (es) Válvula de membrana
KR20210055394A (ko) 고막에 삽입 가능한 환기 튜브
BR112015015729B1 (pt) Protetor de ouvido de atenuação seletiva
US20160269816A1 (en) Waterproof cover structure with array of microtubes
US5775336A (en) Tubular medical device
AR049281A1 (es) Metodo para estabilizar rotacionalmente lentes de contacto
KR102084146B1 (ko) 이관 기능부전 치료를 위한 이관 내 삽입 스텐트
AR037173A1 (es) Lentes intraoculares provistos de bordes angulares para prevenir una opacificacion capsular posterior y su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KR101260676B1 (ko) 중이염 치료용 천자침 안내기
KR20120062753A (ko) 입구로부터 출구로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US20150257933A1 (en) H2O Cilia Head Swab
KR20140055990A (ko) 귀 온도계를 위한 검침 커버
KR101604990B1 (ko) 스텐트
JP2016504163A5 (ko)
ITMI20012831A1 (it) Dispositivo silenziato di alimentazione d'acqua ad un serbatoio in particolare per il riempimento di una cassetta di risciacquamento per app
CN112654336A (zh) 用于产生到外耳道中的空气流的装置的管头
RU2017130221A (ru) Картридж для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и,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и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картриджа в посадочном гнезде для картриджа
JP2000303531A (ja) ドレン管用逆止弁
Qin et al. ERP difference between processing of nouns and verbs.
US20150209185A1 (en) Ear Protection Device
KR20210128592A (ko) 외이도 세척 장치
JP2009028197A (ja) 内視鏡の鉗子栓
KR101797374B1 (ko) 멀티 가변형 방음패널
WO2016103743A1 (ja) シャワーヘッドに取り付ける水飛散防止用フ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