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289A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5289A KR20210055289A KR1020190141561A KR20190141561A KR20210055289A KR 20210055289 A KR20210055289 A KR 20210055289A KR 1020190141561 A KR1020190141561 A KR 1020190141561A KR 20190141561 A KR20190141561 A KR 20190141561A KR 20210055289 A KR20210055289 A KR 202100552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device
- cushion member
- expansion
- unfolded
- b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6010029216 Nerv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6—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air bag components being completely enclosed in a soft or semi-rigid housing or co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2—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양측면에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한쌍의 하우징; 각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차체의 양측면에서 복수의 좌석이 서로간에 구획되도록 펼쳐지는 제1 및 제2 쿠션부재; 및 각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각 쿠션부재가 펼쳐지도록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차자의 승차위치에 관계없이 승차자에 대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이 설치되는데, 에어백은 차량 정면 충돌사고시 운전석 등에 승차한 승객의 상해를 감소시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 장치이다.
에어백은 탑승자의 보호 부위에 따라 다양한 곳에 배치된다. 스티어링 휠에는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운전석 에어백이 설치되고, 차량의 전방측에는 운전자 옆에 앉은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조수석 에어백이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백은 하우징과 쿠션, 인플레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자율 주행 기술이 개발되면서, 승차자의 위치가 다양하게 변화되는데, 종래의 에어백 장치는 승차자의 위치변화, 특히 대면 착좌시 발생하는 사고에 의한 상해를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승차자의 승차위치에 관계없이 승차자에 대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차체의 양측면에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하우징; 각각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및 각각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하우징에서 복수의 좌석이 서로간에 구획되도록 펼쳐지는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쿠션부재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기 좌석을 가로지르도록 펼쳐지는 제1 팽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쿠션부재는, 상기 제1 쿠션부재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기 좌석을 가로지르도록 펼쳐지는 제2 팽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쿠션부재에는, 상기 제1 팽창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팽창부와 다른 방향으로 펼쳐지는 제1 꺾임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쿠션부재에는, 상기 제2 팽창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팽창부와 다른 방향으로 펼쳐지는 제2 꺾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꺾임부와 상기 제2 꺾임부는, 상기 제1 팽창부와 상기 제2 팽창부가 펼쳐지는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팽창부와 상기 제1 꺾임부의 연결부위 및 상기 제2 팽창부와 상기 제2 꺾임부의 연결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쿠션부재에는, 상기 제1 꺾임부가 구비된 다음, 재차 펼쳐져 상기 좌석을 감싸도록 제1 연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쿠션부재에는, 상기 제2 꺾임부가 구비된 다음, 재차 펼쳐져 상기 좌석을 감싸도록 제2 연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을 감싸도록 상기 차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보호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는 필라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에는 상기 쿠션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보호부재를 찢으면서 펼쳐지도록 티어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팽창부와 상기 제1 꺾임부의 연결부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일단이 상기 제1 팽창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꺾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꺾임부가 펼쳐지는 방향이 상기 제1 팽창부가 펼쳐지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제1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팽창부와 상기 제2 꺾임부의 연결부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일단이 상기 제2 팽창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꺾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꺾임부가 펼쳐지는 방향이 상기 제2 팽창부가 펼쳐지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제2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체의 양측면 B 필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에어백 장치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면 에어백장치에 구성된 제1 및 제2 쿠션부재가 좌석을 서로간에 구획시키도록 펼쳐지기 때문에, 승차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승차자에게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백 장치가 차량의 측면 B 필라에 위치하여, 승차자를 구획하도록 순차적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차량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승차자에 대한 사고 예방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백 장치가 동작하면, 마주보는 좌석을 가로지르도록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형성되고, 나란하게 위치하는 좌석을 가로지르도록 제1 꺾임부와 제 2 꺾임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승차자를 구획시켜, 승차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승차자에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과 쿠션부재를 덮도록 보호부재를 구비시키기 때문에, 에어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 내부의 미관이 에어백으로 인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팽창부와 제1 꺾임부 사이, 그리고 제2 팽창부와 제2 꺾임부 사이에 지지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양측이 아닌 한쪽에서만 에어백이 동작하여 제1 팽창부 또는 제2 팽창부가 형성되더라도, 제1 팽창부 또는 제2 팽창부가 차량의 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팽창부와 제1 꺾임부 사이, 그리고 제2 팽창부와 제2 꺾임부 사이에 지지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꺾임부와 제2 꺾임부의 펼쳐지는 방향이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펼쳐지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 외에 좌석을 감싸도록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승차자에 대한 사고예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장착되는 차량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장착되는 차량에 승차자가 승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차량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부착되는 차량의 측면 필라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 보호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가 펼쳐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꺾임부와 제2 꺾임부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꺾임부와 제2 꺾임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념도.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가 펼쳐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개념도,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꺾임부와 제2 꺾임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가 승차자를 구획하도록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가 승차자를 구획하도록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에 제1 연장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장착되는 차량에 승차자가 승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차량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부착되는 차량의 측면 필라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 보호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가 펼쳐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꺾임부와 제2 꺾임부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꺾임부와 제2 꺾임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념도.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가 펼쳐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개념도,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꺾임부와 제2 꺾임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가 승차자를 구획하도록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가 승차자를 구획하도록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에 제1 연장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장착되는 차량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장착되는 차량에 승차자가 승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차량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부착되는 차량의 측면 필라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 보호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가 펼쳐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꺾임부와 제2 꺾임부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꺾임부와 제2 꺾임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념도이다.
또한,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가 펼쳐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개념도,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팽창부와 제2 팽창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꺾임부와 제2 꺾임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념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가 승차자를 구획하도록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가 승차자를 구획하도록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부분 확대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쿠션부재에 제1 연장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200)는, 차량(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장치(200)는, 한 쌍의 하우징(210), 제1 쿠션부재(230), 제2 쿠션부재(250) 및 인플레이터(2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에어백 장치(200)의 외형을 이루며, 차량의 내부 B필라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10)은 제1 하우징(210a)과 제2 하우징(2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10a)은 차량의 차체(130) 우측 B 필라(131)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제1 쿠션부재(230)와 인플레이터(270) 등이 위치할 수 잇다.
제2 하우징(210b)은 차체(130)의 좌측 B 필라(131)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제2 쿠션부재(250)와 인플레이터(270)등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하우징(210b)은 제1 하우징(210a)에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제1 쿠션부재(230)와 제2 쿠션부재(250)가 펼쳐지면 상호 부딪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쿠션부재(230)는, 차체(130)의 우측 B 필라(131)에 위치한 제1 하우징(210a)의 내부에 위치하여, 인플레이터(270)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복수의 좌석(120)이 서로간에 구획되도록 펼쳐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쿠션부재(230)는, 차량에 충격이 가해져 에어백 장치(200)가 동작되면, 인플레이터(270)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차체(130)의 우측 B 필라(131)에서 마주보는 승차자(110)가 위치하는 좌석(120)이 구획되는 방향, 즉 차량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제2 쿠션부재(250)는, 차체(130)의 좌측 B 필라(131)에 위치한 제2 하우징(210b)의 내부에서 제1 쿠션부재(230)에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인플레이터(270)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나란하게 위치하는 좌석(120)이 구획되는 방향, 즉 차량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펼쳐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쿠션부재(230)와 제2 쿠션부재(250)가 마주보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제1 쿠션부재(230)와 제2 쿠션부재(250)가 계속 펼쳐지게 되면, 서로간 부딪지게 되면서, 후술할 제1 꺾임부(233)와 제2 꺾임부(253)가 형성되게 된다.
인플레이터(27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에어백이 동작되면 각 쿠션부재(230, 250)가 펼쳐지도록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인플레이터(270)에는 연결부(271)가 다수개 형성되어, 연결부(271)가 하우징(210)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290)를 통해 나사결합됨으로써, 하우징(2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승차한 승차자나 나란하게 위치하는 승차자에게만 에어백이 동작하지만, 본 발명은 제1 쿠션부재(230)와 제2 쿠션부재(250)가 마주보거나 나란하게 위치하는 승차자(110)를 서로간에 구획하도록 펼쳐지기 때문에, 승차자(110)의 위치에 관계없이 승차자(110)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1 쿠션부재(230)에는 제1 팽창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팽창부(231)는, 제1 쿠션부재(230)에 가스가 공급되면 제1 쿠션부재(230)가 차량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량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좌석(120)은 제1 팽창부(231)를 통해 서로간에 구획되고, 좌석(120)에 승차자(110)가 승차한 상태라면, 제1 팽창부(231)를 통해 승차자(110)는 서로 구획되게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 쿠션부재(250)에는 제2 팽창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팽창부(251)는, 제2 쿠션부재(250)에 가스가 공급되면, 제1 팽창부(231)에 마주보는 위치에서 차량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량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좌석(120)은 제2 팽창부(251)를 통해 서로간에 구획되고, 좌석(120)에 승차자(110)가 안착된 상태라면 제2 팽창부(251)를 통해 승차자(110)는 서로 구획되게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이 동작되면 제1 팽창부(231)와 제2 팽창부(251)가 펼쳐지면서, 각 팽창부(231, 251)가 부딪쳐 나란하게 위치하는 좌석(120)을 가로지르도록 제1 팽창부(231)로부터 제1 꺾임부(233)가 형성되고, 나란하게 위치하는 좌석(120)을 가로지르도록 제2 팽창부(251)로부터 제2 꺾임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꺾임부(233)와 제2 꺾임부(253)가 제1 팽창부(231)와 제2 팽창부(251)가 서로 부딪쳤을 경우 펼쳐지도록 구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팽창부(231)와 제2 팽창부(251)가 일정거리 근접했을 때, 제1 팽창부(231)로부터 제1 꺾임부(233)가 형성되고, 제2 팽창부(251)로부터 제2 꺾임부(253)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꺾임부(233)와 제2 꺾임부(253)는, 제1 팽창부(231)와 제2 팽창부(251)가 펼쳐지는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제1 꺾임부(233)와 제2 꺾임부(253)가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제1 꺾임부(233)와 제2 꺾임부(253)를 통해 나란하게 위치하는 좌석(120)들이 서로간에 구획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팽창부(231)와 제1 꺾임부(233)의 연결부위(C), 그리고 제2 팽창부(251)와 제2 꺾임부(253)의 연결부위(C)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제1 팽창부(231)와 제1 꺾임부(233)의 연결부위(C)가 라운드지지 않게 되면, 연결부위(C)를 통해서는 승차자(110)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충분히 완화시키지 못하지만, 제1 팽창부(231)와 제1 꺾임부(233)의 연결부위(C), 그리고 제2 팽창부(251)와 제2 꺾임부(253)의 연결부위(C)가 라운드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부위(C)를 통해서도 승차자(110)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충분히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쿠션부재(230)와 제2 쿠션부재(250)는, 제1 꺾임부(233)와 제2 꺾임부(253)가 형성된 다음, 재차 펼쳐져 좌석(120)을 감싸도록 제1 꺾임부(233)에는 제1 연장부(235)가 형성되고, 제2 꺾임부(253)에는 제2 연장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꺾임부(233)와 제2 꺾임부(253)가 나란하게 위치하는 좌석(120)을 가로지르도록 펼쳐지더라도 좌석(120)에 앉아 있는 승차자(110)의 후방에는 각 꺾임부(233, 253)가 위치하지 못한 상태로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제1 꺾임부(233)와 제2 꺾임부(253)가 형성된 다음에, 재차 각 쿠션부재(230, 250)가 펼쳐져 제1 꺾임부(233)에 제1 연장부(235)가 형성되게 하고, 제2 꺾임부(253)에 제2 연장부(255)가 형성되게 하여, 제1 연장부(235)와 제2 연장부(255)를 통해 후방으로부터 승차자(110)에게 가해지는 충격도 완화시킨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10a)과 제2 하우징(210b)에는 보호부재(300)가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재(300)는 각 하우징(210)을 감싸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차체(130)에 결합되어 하우징(210)의 외부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부재(300)는 필라트림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필라트림에 힌지 결합된 도어(미도시)를 설치하여, 에어백 장치(20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보호부재(300)에는 티어라인(310)이 형성될 수 있다.
티어라인(310)은 보호부재(300)의 중심에서 상하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각 쿠션부재(230, 250)가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보호부재(300)를 찢으면서 펼쳐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팽창부(231)와 제1 꺾임부(233) 사이, 그리고 제2 팽창부(251)와 제2 꺾임부(253) 사이에는, 제1 꺾임부(233)와 제2 꺾임부(253)가 펼쳐지는 방향이 제1 팽창부(231)와 제2 팽창부(251)가 펼쳐지는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유지되도록 제1 지지부(400)와 제2 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400)와 제2 지지부는 제1 팽창부(231)와 제1 꺾임부(233) 또는 제2 팽창부(251)와 제2 꺾임부(253)의 연결부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일단이 제1 꺾임부(233) 또는 제2 꺾임부(253)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팽창부(231) 또는 제2 팽창부(251)에 연결되어, 제1 꺾임부(233)와 제2 꺾임부(253)가 펼쳐지는 방향이 제1 팽창부(231)와 제2 팽창부(251)가 펼쳐지는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유지되게 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200)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에어백 장치(200)가 차량의 측면 B 필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면, 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차량에 가해진 충격량을 통해 ACU(AIRBAG CONTROL UNIT)가 에어백 장치(200)의 동작여부를 판단한다.
ACU가 에어백 장치(200)의 동작상태로 판단하면, ACU의 제어에 따라 에어백 장치(200)의 인플레이터(270)가 제1 쿠션부재(230)와 제2 쿠션부재(250) 측으로 가스를 공급하여, 각 쿠션부재가 차량의 내부에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제1 쿠션부재(230)는 차량의 우측 B 필라(131)의 제1 하우징(210a)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쿠션부재(250)는 차량의 좌측 B 필라(131)의 제2 하우징(210b)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제1 쿠션부재(230)와 제2 쿠션부재(250)가 전개되면, 서로 부딪치게 된다.
여기서, 제1 쿠션부재(230)는, 제2 쿠션부재(250)를 향해 마주보는 좌석(12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제1 팽창부(231)가 형성되고, 제2 쿠션부재(250)는 제1 쿠션부재(230)를 향해 마주보는 좌석(12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제2 팽창부(251)가 형성된다.
제1 팽창부(231)와 제2 팽창부(251)가 계속 펼쳐지게 되면 상호 부딪치게 되는데, 제1 팽창부(231)와 제2 팽창부(251)가 상호 부딪치게 되면, 제1 팽창부(231)로부터 연장되도록 제1 꺾임부(233)가 나란하게 위치하는 좌석(120)을 가로지르도록 펼쳐지고, 제2 팽창부(251)로부터 연장되도록 제2 꺾임부(253)가 나란하게 위치하는 좌석(120)을 가로지르도록 펼쳐져, 각 좌석(120)이 제1 팽창부(231)와 제2 팽창부(251), 그리고, 제1 꺾임부(233)와 제2 꺾임부(253)를 통해 서로간에 구획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면 에어백 장치(200)에 구성된 제1 쿠션부재(230)와 제2 쿠션부재(250)가 좌석(120)을 서로간에 구획시키도록 펼쳐지기 때문에, 승차자(110)의 위치에 관계없이 승차자(110)에게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에어백 장치(200)가 차량의 측면 B 필라(131)에 위치하여, 승차자(110)를 구획하도록 순차적으로 펼쳐지기 때문에, 차량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승차자(110)에 대한 사고 예방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에어백 장치(200)가 동작하면, 마주보는 좌석(120)을 가로지르도록 제1 팽창부(231)와 제2 팽창부(251)가 형성되고, 나란하게 위치하는 좌석(120)을 가로지르도록 제1 꺾임부(233)와 제 2 꺾임부(253)가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승차자(110)를 구획시켜, 승차자(110)의 위치에 관계없이 승차자(110)에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하우징(210)과 각 쿠션부재(230, 250)를 덮도록 보호부재(300)를 구비시키기 때문에, 에어백 장치(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 내부의 미관이 에어백으로 인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팽창부(231)와 제1 꺾임부(233) 사이, 그리고 제2 팽창부(251)와 제2 꺾임부(253) 사이에 지지부(400)가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양측이 아닌 한쪽에서만 에어백이 동작하여 제1 팽창부(231) 또는 제2 팽창부(251)가 형성되더라도, 제1 팽창부(231) 또는 제2 팽창부(251)가 차량의 내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팽창부(231)와 제1 꺾임부(233) 사이, 그리고 제2 팽창부(251)와 제2 꺾임부(253) 사이에 지지부(400)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 꺾임부(233)와 제2 꺾임부(253)의 펼쳐지는 방향이 제1 팽창부(231)와 제2 팽창부(251)가 펼쳐지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제1 팽창부(231)와 제2 팽창부(251) 외에 좌석(120)을 감싸도록 제1 연장부(235)와 제2 연장부(255)가 형성되기 때문에, 승차자(110)에 대한 사고예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차량 110: 승차자
120: 좌석 130: 차체
131: B 필라 200: 에어백 장치
210: 하우징 210a: 제1 하우징
210b: 제2 하우징 230: 제1 쿠션부재
231: 제1 팽창부 233: 제1 꺾임부
235: 제1 연장부 250: 제2 쿠션부재
251: 제2 팽창부 253: 제2 꺾임부
255: 제2 연장부 270: 인플레이터
271: 연결부 290: 나사
300: 보호부재 310: 티어라인
400: 지지부 C: 연결부위
120: 좌석 130: 차체
131: B 필라 200: 에어백 장치
210: 하우징 210a: 제1 하우징
210b: 제2 하우징 230: 제1 쿠션부재
231: 제1 팽창부 233: 제1 꺾임부
235: 제1 연장부 250: 제2 쿠션부재
251: 제2 팽창부 253: 제2 꺾임부
255: 제2 연장부 270: 인플레이터
271: 연결부 290: 나사
300: 보호부재 310: 티어라인
400: 지지부 C: 연결부위
Claims (14)
- 차체의 양측면에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하우징;
각각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및
각각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하우징에서 복수의 좌석이 서로간에 구획되도록 펼쳐지는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부재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기 좌석을 가로지르도록 펼쳐지는 제1 팽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쿠션부재는,
상기 제1 쿠션부재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기 좌석을 가로지르도록 펼쳐지는 제2 팽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부재에는,
상기 제1 팽창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팽창부와 다른 방향으로 펼쳐지는 제1 꺾임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쿠션부재에는,
상기 제2 팽창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팽창부와 다른 방향으로 펼쳐지는 제2 꺾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꺾임부와 상기 제2 꺾임부는,
상기 제1 팽창부와 상기 제2 팽창부가 펼쳐지는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창부와 상기 제1 꺾임부의 연결부위 및 상기 제2 팽창부와 상기 제2 꺾임부의 연결부위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부재에는,
상기 제1 꺾임부가 구비된 다음, 재차 펼쳐져 상기 좌석을 감싸도록 제1 연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쿠션부재에는,
상기 제2 꺾임부가 구비된 다음, 재차 펼쳐져 상기 좌석을 감싸도록 제2 연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을 감싸도록 상기 차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보호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필라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에는 상기 쿠션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보호부재를 찢으면서 펼쳐지도록 티어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창부와 상기 제1 꺾임부의 연결부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일단이 상기 제1 팽창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꺾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꺾임부가 펼쳐지는 방향이 상기 제1 팽창부가 펼쳐지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제1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팽창부와 상기 제2 꺾임부의 연결부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일단이 상기 제2 팽창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꺾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꺾임부가 펼쳐지는 방향이 상기 제2 팽창부가 펼쳐지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제2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체의 양측면 B 필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1561A KR20210055289A (ko) | 2019-11-07 | 2019-11-07 | 에어백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1561A KR20210055289A (ko) | 2019-11-07 | 2019-11-07 | 에어백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5289A true KR20210055289A (ko) | 2021-05-17 |
Family
ID=7615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1561A KR20210055289A (ko) | 2019-11-07 | 2019-11-07 | 에어백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5528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31150A1 (ko) | 2021-04-28 | 2022-11-0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석출 검출 장치 및 방법 |
-
2019
- 2019-11-07 KR KR1020190141561A patent/KR2021005528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31150A1 (ko) | 2021-04-28 | 2022-11-0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리튬 석출 검출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72165B2 (ja) | エアバッグ装置 | |
US8596674B2 (en) | Vehicle side airbag apparatus | |
JP5679075B2 (ja) | 自動車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 |
JP6022178B2 (ja) | 車両センター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
US7753159B2 (en) | Exterior air-bag for vehicles | |
US7845455B2 (en) | Exterior airbag for vehicles | |
US7390013B2 (en) | Airbag module | |
EP2004454B1 (en) | Impact absorbing airbag inflator | |
US7144032B2 (en) | Expandable pelvic side airbag | |
CN111137238A (zh) | 乘员保护装置 | |
JP2007161090A (ja) |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 |
JP2005096525A (ja) | ニーボルスタ構造 | |
KR102144753B1 (ko) | 자동차의 센터 사이드 에어백 장치 | |
JP2008114713A (ja) | センターエアバッグ装置 | |
JP6755072B2 (ja) | 車両構造 | |
JPH02303951A (ja) | 乗物用乗員拘束エアバッグ | |
JP4395172B2 (ja) |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 |
KR20210055289A (ko) | 에어백 장치 | |
US20170088089A1 (en) | Side airbag apparatus | |
KR20120093036A (ko) | 통합형 에어백 모듈 | |
JP7384717B2 (ja) | 乗員保護装置 | |
JPH0624282A (ja) |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 |
KR101627120B1 (ko) | 차량용 에어백 | |
US20200198570A1 (en) | Airbag assembly having an augmented inflatable airbag cushion | |
JP6414955B2 (ja) | 乗員保護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