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960A - Formwork structure for beam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Formwork structure for beam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960A
KR20210054960A KR1020200032835A KR20200032835A KR20210054960A KR 20210054960 A KR20210054960 A KR 20210054960A KR 1020200032835 A KR1020200032835 A KR 1020200032835A KR 20200032835 A KR20200032835 A KR 20200032835A KR 20210054960 A KR20210054960 A KR 20210054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horizontal
upright
coupling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7209B1 (en
Inventor
구연진
Original Assignee
구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연진 filed Critical 구연진
Publication of KR2021005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9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2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eam mold construction, which comprises a lower plate (10) extended toward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The lower plate (10) has both end coupling units (12) formed in each of both side ends of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of a floor unit (11).

Description

보 시공용 거푸집{FORMWORK STRUCTURE FOR BEAM CONSTRUCTION} Formwork for beam construction {FORMWORK STRUCTURE FOR BEAM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 거푸집 시공시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으로도 견고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and in particular, to a formwork that is structurally robust while being easy to assemble when constructing a beam formwork.

건물의 천장에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천장 아래쪽으로 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거푸집을 설치한다. I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beams are formed below the ceiling to increase the bearing capacity, and a formwork capable of pouring concrete is installed to form the beams.

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공법이 많이 발전 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보 시공에 따른 거푸집은 현장에 납품하기 위한 납품 기본형태의 거푸집이 있으며, 그 납품된 기본형태의 거푸집이 현장에 설치되면 후속으로 추가적인 철근의 배근이 이루어짐에 따라 거푸집이 완성되고 그 후 궁극적으로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The formwork method for beam construction has been developed a lot. In general, the formwork according to the beam construction is a formwork in the basic form of delivery to be delivered to the site, and when the formwork in the basic form delivered is installed on the site, the formwork is completed as additional reinforcing bars are subsequently reinforced. As a result,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상기 납품 기본형태의 거푸집(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110)의 양측에 측판(120)이 직립하여 결합되고, 그 내측에는 U자형의 스트럽(130)이 일체로 결합된 구성이다. As shown in FIG. 1, the formwork 100 of the delivery basic form has side plates 120 standing upright on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110, and a U-shaped stirrup 13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inside thereof. Configuration.

여기서 U자형의 스트럽(130)을 결합하기 위해서 용접을 해야 하므로 별도의 전기공급과 용접기가 필수적으로 요하게 되며, 용접작업에 있어 U자형의 스트럽(130) 간격과 수직/수평을 맞추기 위한 마킹을 별도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용접작업시에는 주위에 다른 작업자가 없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더욱이 용접부분이 제대로 용접되었는지를 정확히 판단하기가 어려우며 만약 용접부분이 약할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압력에 이탈되면 콘크리트가 쏟아지는 문제 등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다. Here, since welding must be performed to combine the U-shaped stirrup 130, a separate electricity supply and a welding machine are required, and marking to match the vertical/horizontal spacing of the U-shaped stirrup 130 in the welding operation. There is a hassle to have to do it separately, and there are various restrictions, such as that there should be no other workers around during the welding work. Moreove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welded part is properly welded, and if the welded part is weak, it may cause a safety accident such as a problem of pouring concrete if the pressure is released during concrete placement.

국내 등록특허 제10-1009753호“보 구조용 거푸집”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09753 “Beam structure formwork”

따라서 본 발명은 납품 기본형태의 거푸집을 구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용접 없이 조립에 의해 완성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여러 사람이 동시 다발적으로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구조적으로도 견고한 보 시공용 거푸집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ompletion of the formwork in the basic form of delivery by assembling without separate welding, and enables multiple people to quickly assemble simultaneously and quickly, if necessary, and also constructs structurally robust beams. It is to provide a formwork structure for u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 시공용 거푸집을 구성함에 있어서,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constructing a formwork for beam construction,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0)을 구비하고, 하부판(10)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각각 측판(20)이 직립으로 결합되게 하여 내측으로 콘트리트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8)가 마련되게 하며 상기 공간부(8) 내에는 U자형 스트럽(30)이 직립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A lower plate 1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provided, and a space 8 is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late 10 so that the side plates 20 are coupled upright so that concrete can be filled inside. In the space part 8, the U-shaped stirrup 30 is configured to be fitted upright,

하부판(10)은 바닥부(11)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양단 결합부(12)를 형성하고, 측판(20)은 벽체부(21)의 하단에 상기 하부판(10)의 양단 결합부(12)에 대응하는 하단 결합부(22)를 형성하여 서로 맞춤 끼움결합이 되게 하며, The lower plate 10 is formed with both ends 12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11, and the side plate 20 is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21, the both ends 12 of the lower plate 10. ) To form a lower coupling part 2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fit-fit together,

상기 하부판(10)에는 바닥부(11)의 상부로 직립 돌출되는 직립비드(14)를 하나 이상 일체로 연장형성 하고, 직립비드(14)에는 결합홈(16)을 전후방향으로 다 수개 이격되게 형성하되, 결합홈(16)은 진입부(16a)를 구성하고 진입부(16a)의 내측에는 진입부(16a)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각각 최종 결착부(16b)를 연결되게 형성하고, In the lower plate 10, one or more upright beads 14 protruding upright to the top of the bottom 11 are integrally extended, and the upright bead 14 has several coupling grooves 16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However, the coupling groove 16 constitutes the entry portion 16a, and the inner side of the entry portion 16a is formed to connect the final binding portions 16b on both sides of the entry portion 16a, respectively,

상기 좌우 각각의 측판(20)에는 벽체부(21)에서 공간부(8)를 향하여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수평비드(24)를 두 개 이상 상하로 이격되게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수평비드(24)에는 결속공(26)을 형성하여 가로연결대(32)의 양단 절곡연장부(32a)가 끼움결합 되게 하여 U자형 스트럽(30)이 이탈됨을 방지하여 조립에 의해서 견고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되, Two or more horizontal beads 24 protruding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wall part 21 toward the space part 8 are formed integrally extending vertically apart from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and the horizontal beads 24 ) To prevent the U-shaped stirrup (30) from being separated by forming a binding hole (26) so that the bent extensions (32a)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can be fitted, so that the rigidity can be maintained by assembly. But,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비드(24a)와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비드(24b) 중 어느 하나에는 결속공(26)을 하나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속공(26)을 기준으로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을 전후로 이격되게 형성하여, One of the horizontal bead (24a) located at the lower and the horizontal bead (24b) located at the top has one binding hole 26 formed, and the other has a first binding hole ( 26-1)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6-2) are formed to be spaced back and forth,

하부의 수평비드(24a)에 결합되는 가로연결대(32)와 상부의 수평비드(24b)에 결합되는 가로연결대(32) 서로 간에는 U자형 스트럽(30)를 중심으로 전후로 엇갈리는 위치가 되게 하여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bead 24a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coupled to the upper horizontal bead 24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making the U-shaped stirrup 30 at the center of the back and forth staggered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intains a solid coupling state without a fixing means of.

본 발명은 기본형태의 거푸집을 제조함에 있어서, 별도의 용접 없이 조립에 의해 완성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여러 사람이 동시 다발적으로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구조적으로도 견고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가해지는 압력에도 형태변형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manufacturing a basic form of a formwork, it is possible to complete it by assembling without separate welding, and if necessary, several people can quickly assemble it simultaneously and quickly, and it is also structurally sturdy when placing concrete.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shape deformation even under the applied pressure.

또한 현장 조립도 가능하여 장거리 운반시 분리상태의 적재로 기존 용접 등 완제품 상태로 운송하는 것에 대비하여 볼 때 부피가 1/5 정도인바 이는 한 번의 운송시 기존 5배 정도 더 많은 양을 적재하여 운반함에 따라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assemble on-site, so it is about 1/5 of the volume compared to transportation in the state of a finished product such as conventional welding by loading in a separate state during long-distance transportation. As a result, transportation costs can be reduced.

도 1은 일반적인 보 시공용 거푸집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보 시공용 거푸집의 구성도,
도 3(도 3a 및 도 3b)은 도 2의 주요부 분해구성도,
도 4는 U자형 스트럽의 결합시 바람직한 결합구조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보 시공용 거푸집의 구성도,
도 6(도 6a 및 도 6b)는 하부판과 측판 간의 결합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하부판 및 측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보 시공용 거푸집의 상부에 천장시공용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이 결합되는 구성 및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beam construction formwork,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rmwork for beam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FIGS. 3A and 3B) is an exploded view of a main part of FIG. 2,
4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coupling structure when the U-shaped stirrup is combined,
Figure 5 (Figure 5a and Figure 5b)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am construction form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FIGS. 6A and 6B)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between a lower plate and a side plate;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wer plate and the side plate,
8 (FIGS. 8A and 8B)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truss girder deck panel for ceiling construction is coupled to an upper part of a beam construction form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pour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3(도 3a 및 도 3b)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 시공용 거푸집(2)(이하 간단히 ‘거푸집’이라고도 함)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0)을 구비하고, 하부판(10)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각각 측판(20)이 직립되게 결합되게 하여 내부에 공간부(8)가 마련되게 한다. Referring to FIGS. 2 to 3 (FIGS. 3A and 3B) together, a beam construction formwork 2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form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plate 1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side plate 20 is coupl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late 10 to be upright, so that the space portion 8 is provided therein.

측판(20)을 하부판(10)의 양측단에 직립으로 결합하기 위해서 하부판(10)은 바닥부(11)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양단 결합부(12)를 형성하고, 측판(20)은 벽체부(21)의 하단에 상기 하부판(10)의 양단 결합부(12)에 대응하는 하단 결합부(22)를 형성하여 서로 맞춤 끼움결합이 되게 한다. 이러한 양단 결합부(12)와 하단 결합부(22) 에 대한 자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In order to connect the side plate 20 to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10 in an upright manner, the lower plate 10 forms a coupling portion 12 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11, and the side plate 20 is a wall. A lower coupling portion 22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s 12 at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ortion 21 so as to be fitted and fitted with each oth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oth ends coupling portion 12 and the lower coupling portion 22 will be described later.

하부판(10)의 바닥부(11)와 측판(20)의 벽체부(21)에는 엠보(M)를 형성하면 강성이 부여된다. When embossing (M) i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11 of the lower plate 10 and the wall portion 21 of the side plate 20, rigidity is imparted.

상기 공간부(8) 내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으로서, 콘크리트를 채우는 공정에 우선하여 보의 구조안정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U자형 스트럽(30)을 비롯하여 다 수개의 철근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주근(40)과 하부주근(42) 등이 배열고정된다. As a space in which concrete is filled in the space part 8,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including the U-shaped stirrup 30, which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eam, prior to the process of filling the concrete, for example, Fig. 8A and As shown in FIG. 8B, the upper main muscle 40 and the lower main muscle 42 are arranged and fixed.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간부(8) 내에 U자형 스트럽(30)을 직립 고정함에 있어서 용접을 하지 않고 조립으로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완성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ixing the U-shaped stirrup 30 in the space 8 upright, it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simply and stably completed by assembling without welding.

즉 도 3(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하부판(10)에는 바닥부(11)의 상부로 직립 돌출되는 직립비드(14)를 하나 이상 일체로 연장형성 하고(본 발명에서는 하나를 형성함), 직립비드(14)에는 결합홈(16)을 전후방향으로 다 수개 이격되게 형성한다. 상기 결합홈(16)은 진입부(16a)를 구성하고 진입부(16a)의 내측에는 진입부(16a)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각각 최종 결착부(16b)를 연결되게 형성하여 ‘

Figure pat00001
’와 같은 형상이 되게 한다. That is, referring to FIG. 3 (FIGS. 3A and 3B ), one or more upright beads 14 protruding upright to the top of the bottom 11 are integrally extended on the lower plate 10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Formed), the upright bead 14 ha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6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coupling groove 16 constitutes an entry portion 16a, and the inner side of the entry portion 16a is formed to connect the final binding portions 16b on both sides, centering on the entry portion 16a.
Figure pat00001
Make it the same shape as'.

상기 하부판(10)에 형성되는 결합홈(16)은 U자형 스트럽(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홈으로서, U자형 스트럽(30)의 하단연결봉(30a)이 결합홈(16)의 진입부(16a)를 통해 먼저 끼워진 후 전후의 최종 결착부(16b)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적 끼움이 되게 한다. 이는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하겠으나 조립된 상태에서도 하부판(10)이 전후 방향으로 밀림이 방지되는 조립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된다. The coupling groove 16 formed in the lower plate 10 is a groove that allows the U-shaped stirrup 30 to be fitted,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of the U-shaped stirrup 30 is It is inserted through the entry portion (16a) first, and then selectively fitted to one of the final binding portions (16b) before and aft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but even in the assembled state, the lower plate 10 can take an assembly form in which it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forward and backward.

또한 U자형 스트럽(30)의 하단연결봉(30a)이 최종 결착부(16b)에 끼워진 후에는 U자형 스트럽(30)은 하단연결봉(30a)을 축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U자형 스트럽(30)의 하단연결봉(30a)이 위치 고정되는 상태에서 직립으로 세우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며, 그 후 직립으로 세운 상태에서 좌우 직립봉(30b)를 측판(20)에 고정하는 작업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fter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of the U-shaped stirrup (30) is inserted into the final binding portion (16b), the U-shaped stirrup (30) can be rotated around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so the operator can It is possible to easily do the work of erecting it upright while the lower connecting rods (30a) of the stirrup 30 are fixed in position, and then fixing the left and right upright rods (30b) to the side plate (20) in an upright state. You can also do it easily.

도 3a를 참고하면, 하부판(10)의 결합홈(16)을 형성함에 있어서 진입부(16a)의 내측 단부에는 진입경사부(16c)를 구성하고, 진입경사부(16c)와 최종 결착부(16b)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이탈방지돌부(16d)를 돌출되게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ure 3a, in forming the coupling groove 16 of the lower plate 10, the entrance inclined portion 16c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entry portion 16a, and the entrance inclined portion 16c and the final binding portion ( In the portion where 16b) is connected to each other, a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16d is formed to protrude.

상기 진입경사부(16c)는 U자형 스트럽(30)의 하단연결봉(30a)을 끼움결합시 이탈방지돌부(16d)까지 원활하게 이동되게 하면서도 진입경사부(16c)의 단부에서 최종 결착부(16b)를 향하여 U자형 스트럽(30)에 힘을 가할 때 U자형 스트럽(30)이 최종 결착부(16b)를 향하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이탈방지돌부(16d)는 U자형 스트럽(30)의 하단연결봉(30a)이 끼움된 후에는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보다 쉽게 U자형 스트럽(30)의 결합작업이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The entrance inclined portion (16c) smoothly moves to the departure preventing protrusion (16d) when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of the U-shaped stirrup (30) is fitted, while the final binding portion (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U-shaped stirrup 30 toward 16b), the U-shaped stirrup 30 is induced to move smoothly toward the final binding portion 16b.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6d) is to prevent the U-shaped stirrup (30) after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is fitted so that it does not come off easily. This configuration makes it easier and more stable to combine the U-shaped stirrup 30.

하부판(10)의 직립비드(14)에는 결합홈(16) 하부에 결속공(18)을 형성할 수 있다. 결속공(18)에는 고정클립(35)을 결합시킴으로써 U자형 스트럽(30)의 하단연결봉(30a)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되게 한다. In the upright bead 14 of the lower plate 10, a binding hole 18 may be formed under the coupling groove 16. By coupling the fixing clip 35 to the binding hole 18,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of the U-shaped stirrup 30 is not separated so that a more stable coupling is achieved.

고정클립(35)은 일측의 결합핀(35a)과 타측의 걸림벽(35b)이 일체로 구성되어, 결합핀(35a)은 하부판(10)의 결속공(18)에 끼움결합되고 걸림벽(35b)은 결합홈(16)의 진입부(16a)에 끼워져 U자형 스트럽(30)의 하단연결봉(30a)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고정클립(35)의 결합핀(35a)은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진 형상을 하면서도 단턱이 형성되게 하여, 하부판(10)의 결속공(18)에 끼움결합이 원활하게 하면서 결합완료 된 후에는 잘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는 U자형 스트럽(30)이 결합된 상태의 거푸집(2)을 공사 현장까지 차량 등으로 이동시 진동에 의해 고정클립(35)이 빠질 수 있는 부분까지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The fixing clip 35 has a coupling pin 35a on one side and a locking wall 35b on the other side are integrally configured, and the coupling pin 35a is fitted into the binding hole 18 of the lower plate 10, and the locking wall ( 35b) is inserted into the entry portion (16a) of the coupling groove (16) so that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of the U-shaped stirrup (30) is not separated. The coupling pin (35a) of the fixing clip (35) has a tapered shape that decreases in diameter toward the end, and a stepped jaw is formed so that the coupling is completed while smoothly fitting into the binding hole (18) of the lower plate (10). Do not fall out well afterwards. This prevents the U-shaped stirrup 30 from a part where the fixing clip 35 can be removed by vibration when moving the formwork 2 in the combined state to a construction site by a vehicle or the like.

다음으로 좌우에 각각 위치하는 측판(20)에는 벽체부(21)에서 공간부(8)를 향하여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수평비드(24)를 하나 이상 일체로 연장형성한다. 수평비드(24)는 공간부(8)에 타설하는 콘크리트 양에 따라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그 갯 수를 적절하게 증가시켜 형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두 개를 상하로 이격되게 연장형성한다. Next, one or more horizontal beads 24 protruding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wall portion 21 toward the space portion 8 are integrally extended on the side plates 20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horizontal beads 24 can be formed by appropriatel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m to withstand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ncrete poured in the space 8,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ar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and spaced apart.

상기 수평비드(24)에는 결속공(26)을 형성한다. 결속공(26)에는 가로연결대(32)의 양단 절곡연장부(32a)가 끼움결합 되게 하여 U자형 스트럽(30)이 이탈됨을 방지하여 조립에 의해서 견고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로연결대(32)의 결합은 좌우 측판(20) 간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서로 벌어지지도 오므라들지도 않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가해지는 압력에도 잘 견디게 한다. A binding hole 26 is formed in the horizontal bead 24. In the binding hole 26, the bending extensions 32a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are fitted so that the U-shaped stirrup 3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so that the rigidity can be maintained by the assembly.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firmly supports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so that they do not open or collapse, so that they can withstand the pressure applied during concrete placement.

하부판(10)을 비롯한 측판(20)의 재질은 어떠한 것으로 해도 무방하나 본 건 발명에서는 금속재의 철판을 포밍기로 성형하여 제조되는바 포밍성형시 직립비드(14)와 수평비드(24)는 두 겹으로 포개져 구성된다. 이러한 직립비드(14)와 수평비드(24)는 콘크리트 타설시 가해지는 압력이 클 경우 그 두 겹이 서로 벌어질 수 있으며 만약 벌어질 경우 측판(20)은 외측으로 불룩해지고, 하부판(10)은 하부로 불룩해져 쳐질 수 있으며 이는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The material of the side plate 20 including the lower plate 10 may be any material,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plate of metal material is formed by a forming machine, and the upright bead 14 and the horizontal bead 24 are double-layered. It is composed of overlapping. These upright bead 14 and horizontal bead 24, when the pressure applied during concrete pouring is large, the two layers may be spread apart, and if they are opened, the side plate 20 is bulging outward, and the lower plate 10 is It can bulge down and be struck, which can lead to a safety accident.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상기 가로연결대(32)는 좌우 측판(20)의 두 겹으로 구성되는 수평비드(24)에 형성되는 결속공(26)에 끼움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압력에도 벌어짐 현상도 방지되게 하고 이는 연계하여 하부판(10)의 직립비드(14)의 벌어짐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수평비드(14)는 두 겹을 다시 접어 네 겹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With respect to this phenomenon,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e 26 formed in the horizontal bead 24 composed of two layer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spreading even under pressure when placing concrete. In connection with it, the upright bead 14 of the lower plate 10 is also prevented from spreading. The horizontal bead 14 may be configured to form four layers by folding two layers again.

특히 본 발명에서는 수평비드(24)에 결속공(26)을 형성함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비드(24a)에는 결속공(26)을 하나 형성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비드(24b)에는 결속공(26)을 두 개 즉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을 전후로 이격되게 형성한다. 상기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는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비드(24a)에 형성되는 결속공(26)의 직상부 위치를 중심으로 전후로 이격배치되게 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orming the binding hole 26 in the horizontal bead 24, one binding hole 26 is formed in the horizontal bead 24a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binding hole 26 is formed in the horizontal bead 24b located at the top. Two balls 26, that is, a first binding hole 26-1 and a second binding hole 26-2,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The first binding hole 26-1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6-2 are spaced back and forth around the position of the binding hole 26 formed in the horizontal bead 24a located at the bottom. .

상기와 같은 하부판(10)과 측판(20)의 구성을 바탕으로 U자형 스트럽(30)의 결합시 바람직한 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A preferred coupling structure when the U-shaped stirrup 30 is coupled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plate 10 and the side plate 2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3b 및 도 4를 함께 참고하면, 하부판(10)에 형성되는 결합홈(16)에 U자형 스트럽(30)의 하단연결봉(30a)을 끼움 결함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형성되는 결착홈(16b) 중 선택하여 한쪽으로 결합되게 한다. Referring to FIGS. 3B and 4 together, when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of the U-shaped stirrup 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6 formed in the lower plate 10, the coupling groove 16b formed in the front or rearward direction. ) To be combined to one side.

그 후 U자형 스트럽(30)은 하단연결봉(30a)을 축으로 하여 선회시켜 직립되게 한 후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비드(24a)의 결속공(26)에 가로연결대(32)를 끼워 결합한다. After that, the U-shaped stirrup 30 is rotated with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as an axis to make it upright, and then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e 26 of the horizontal bead 24a located at the bottom and coupled. .

이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비드(24b)에도 가로연결대(32)를 끼워야 하는데, 이때 상부의 수평비드(24b)에는 두 개의 결속공 즉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 중 선택하여야 한다. 이 선택을 함에 있어서 하부의 수평비드(24a)에 결합된 가로연결대(32)와 대비하여 서로 간에는 U자형 스트럽(30)를 중심으로 전후로 엇갈리는 위치가 되도록 결속공을 선택하여 가로연결대(32)를 끼운다. 이러한 결합으로 인하여 U자형 스트럽(30)은 하단연결봉(30a)을 축으로 선회가 불가능해지는 상태가 되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조립작업이 보다 쉽고 견고하게 된다. In this state, the horizontal bead (24b) located at the top should also be fitted with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At this time, the horizontal bead (24b) on the top has two binding holes, that is, the first binding hole (26-1) and the second binding hole. You must choose from (26-2). In making this selection, in contrast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coupled to the horizontal bead 24a at the bottom,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by selecting the binding holes so that they are staggered back and forth around the U-shaped stirrup 30 from each other. Insert. Due to this combination, the U-shaped stirrup 30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rotate about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and thus a solid fixed state is maintained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Therefore, the assembly work is easier and more robust.

본 발명에서는 하부의 수평비드(24a)에 하나의 결속공(26)을 형성하고 상부의 수평비드(24b)에 두 개의 결속공 즉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을 형성하였으나, 반대로 하부의 수평비드(24a)에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을 형성하고 상부의 수평비드(26b)에 하나의 결속공(26)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binding hole 26 is formed in the lower horizontal bead 24a, and two binding holes, that is, the first binding hole 26-1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6,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bead 24b of the upper portion. -2) was formed, but on the contrary, a first binding hole (26-1) and a second binding hole (26-2)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bead (24a) on the lower side, and one binding hole is formed on the horizontal bead (26b) on the upper side. It can also be configured by forming (26).

상기 조립상태에서 필요시에는 U자형 스트럽(30)에 대하여 별도의 용접을 병행할 수도 있다. 즉 보 거푸집 자체의 제작에는 구태여 용접작업이 필요 없으나, 이를 이용하여 보 시공시 직교로 만나는 보 간의 연결부분이나 혹은 천장시공용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DP, 도 8 참조)을 안착한 후 콘크리트 타설시 하중에 눌림 현상이 발생 가능한 부분에는 별도로 U자형 스트럽(30)과 측판(20) 간에 서로 접하는 부분에 대하여 용접을 추가로 할 수 있다. In the assembled state, if necessary, separate welding may be performed on the U-shaped stirrup 30. In other words, the construction of the beam form itself does not require any welding work. Welding may be additionally applied to a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the U-shaped stirrup 30 and the side plate 20 separately in the portion where the pressing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load.

한편, U자형 스트럽(30)을 하부판(10)과 좌우 측판(20) 내의 공간부(8)에 결합시 좌우 측판(20) 간에는 결속공(26)에 가로연결대(32)가 결합이 되고, 이와 더불어 전후로 배열되는 U자형 스트럽(30) 간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부주근(40)과 하부주근(42) 등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측판(20)은 전후로 밀림이 자연적으로 방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haped stirrup 30 is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8 in the lower plate 10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is coupled to the binding hole 26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In addition, between the U-shaped stirrup 30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the upper main muscle 40 and the lower main muscle 42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re combined. 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side plate 20 is naturally prevented from being pushed back and forth.

이에 비하여 하부판(10)에는 가로연결대(32)가 없으며, 납품 기본형태의 보에는 상부주근(40)과 하부주근(42)의 직접적인 결합이 없다. In contrast, the lower plate 10 does not have a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and there is no direct coupling between the upper main muscle 40 and the lower main muscle 42 in the basic form of delivery.

따라서 좌우 측판(20)에 대하여 하부판(10)의 전후 밀림도 방지되게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U자형 스트럽(30)을 하부판(10)의 결합홈(16)에 결합시 전후로 이웃하는 U자형 스트럽(30) 서로 간에는 도 4의 (a)와 같이 하부판(10)의 결합홈(16) 내에서 최대로 먼 거리(d1)가 되게 하거나 또는 도 4의 (b)와 같이 최대로 가까운 거리(d2)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lower plate 10 from being push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For this purpose, when the U-shaped stirrup 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6 of the lower plate 10, the adjacent U-shaped stirrups (30) From each other, the maximum distance (d1) within the coupling groove (16) of the lower plate (10) as shown in (a) of FIG. 4 or the maximum distance (d2) as shown in (b) of FIG. 4 ) Is desirable.

왜냐하면 만약 도 4의 (c)와 같이 전후로 이웃하는 U자형 스트럽(30)이 모두 하부판(10)의 결합홈(16)과 측판(20)의 결합홈(26) 내에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면 동일한 방향에 공간(G)이 생기게 되어 그 공간(G) 내에서 하부판(10)이 밀려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하부판(10)은 하부로 이탈이 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Because if the U-shaped stirrup 30 adjacent to the front and rear as shown in FIG. 4(c) are all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coupling groove 16 of the lower plate 10 and the coupling groove 26 of the side plate 20 Since a space G is created in the same direction, the lower plate 10 can be pushed and moved within the space G, and in this case, the lower plate 10 may be separated downward, and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도 5(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보 시공용 거푸집(2A)의 구성도이다. Figure 5 (Figure 5a and Figure 5b)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am construction form (2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고하면, 하부판(10A)은 직립돌출 되는 직립비드(14)에 별도의 결합홈(16)의 형성을 배제함에 따라 U자형 스트럽(30) 결합시 직립비드(14) 상부에 U자형 스트럽(30)의 하단연결봉(30a)이 얹혀지는 구성이 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as the lower plate 10A excludes the formation of a separate coupling groove 16 in the upright bead 14 protruding upright, when the U-shaped stirrup 30 is combined, the U-shaped upper part of the upright bead 14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of the stirrup (30) is mounted on the configura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U자형 스트럽(30) 결합시 좌우 측판(20)에 형성된 결합홈(26)의 위치에 맞추어 U자형 스트럽(30)의 하단연결봉(30a)을 전후로 위치이동을 쉽게 할 수 있게 되고 그 후 U자형 스트럽(30)의 좌우 직립봉(30b)을 직립으로 세운 후 좌우 측판(20) 간의 결속공(26)에 가로연결대(32)를 결합하면 용이하게 조립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haped stirrup 30 is coupled,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of the U-shaped stirrup 30 can be easily mov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groove 26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After that, the left and right upright rods (30b) of the U-shaped stirrup (30) are erected upright, and then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is coupled to the binding hole (26)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to facilitate assembly work. You lose.

그리고 좌우 각각의 측판(20)에는 벽체부(21)에서 공간부(8)를 향하여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수평비드(24)를 두 개 이상 상하로 이격되게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수평비드(24) 각각에는 결속공(26)을 형성하되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을 전후로 이격되게 형성한다.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에는 수직핀(37a)과 수평고리(37b)가 일체로 구성된 결속클립(37)을 끼움 고정하여 U자형 스트럽(30)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In addition, two or more horizontal beads 24 protruding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wall part 21 toward the space part 8 are formed integrally extending vertically apart from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and the horizontal beads 24 ) Each of the binding holes 26 is formed, but the first binding hole 26-1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6-2 are formed to be spaced back and forth. In the first binding hole 26-1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6-2, a binding clip 37 comprising a vertical pin 37a and a horizontal ring 37b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shaped stirrup 30 ) Is firmly maintained.

결속클립(37)의 수직핀(37a)도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진 형상을 하면서도 단턱이 형성되게 하여, 측판(20)의 제1,2 결속공(26-1)(26-2)에 끼움결합이 원활하게 하고 결합완료 된 후에는 잘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는 U자형 스트럽(30)이 결합된 상태의 거푸집(2)을 공사 현장까지 차량 등으로 이동시 진동에 의해 결속클립(37)이 빠질 수 있는 부분까지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The vertical pin (37a) of the binding clip (37) also has a tapered shape with a smaller diameter as it goes toward the end, and a stepped jaw is 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inding holes (26-1) (26-2) of the side plate (20) are formed. ) To fit smoothly and not to come off well after mating is completed. This prevents the U-shaped stirrup 30 from a part where the binding clip 37 can be removed by vibration when moving the formwork 2 in a combined state to a construction site by a vehicle or the lik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측판(20) 간의 내측 공간부(8)에는 가로연결대(32)의 결합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는 가로연결대(32)를 전후로 배열하는 구성으로서, 이 경우 가로연결대(30)로 인하여 후속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주근(42)의 결합에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왜냐하면 하부주근(42)은 전후로 길게 연장되므로 하부주근(42)은 바람직하게는 U자형 스트럽(30)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리는 방식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수월한데 가로연결대(32)가 전후로 배열되어 있으며 하부주근(42)을 상부에서 하부로 내릴 수가 없게 되는바, 전방 또는 후방에서 밀어 넣는 방법으로 위치시킬 수 밖에 없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coupling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in the inner space 8 between the side plates 20. As described above,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horizontal connector 32 is arranged back and forth, and in this case, due to the horizontal connector 30, a failure occurs in the coupling of the lower main muscle 42, which is performed as a subsequent operation. Because the lower main muscle 42 extends long back and forth, it is easy to position the lower main muscle 42 in a way that is preferably lowered from the top of the U-shaped stirrup 30, but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is arranged back and forth. Since the lower main muscle 42 cannot be lower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t has no choice but to be positioned by pushing it from the front or the rear.

따라서 상기 결속클립(37)에 의하면 가로연결대(32)의 결합을 배제함으로써 하부주근(42)을 상부에서 하부로 내릴 수 있게 되어 전방 또는 후방에서 밀어넣지 않고 쉽게 결합을 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binding clip 37, by excluding the coupling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the lower main muscle 42 can be lower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it can be easily coupled without being pushed in from the front or the rear.

한편 측판(20)의 상하로 이격되게 수평비드(24)을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각각의 수평비드(24)에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을 전후로 이격되게 형성하여 결속클립(37)을 끼움 고정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보 시공용 거푸집(2)에의 하부판(10)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Meanwhile, horizontal beads 24 are integrally exten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plate 20, and a first binding hole 26-1 and a second binding hole 26-2 are formed in each horizontal bead 24.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inding clips 37 are fitted and fixed by being formed back and forth apart can be applied equally to the lower plate 10 of the beam construction formwork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상기 조립상태에서 필요시에는 앞서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U자형 스트럽(30)에 대하여 별도의 용접을 병행할 수도 있다. 특히 하부판(10)의 직립비드(14) 상단과 U자형 스트럽(30)의 하단연결봉(30a) 간에 용접이 이루어지면 조립의 상태가 좀더 견고해 질 수 있다. When necessary in the assembled state, separate welding may be performed on the U-shaped stirrup 3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 In particular, when welding is per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upright bead 14 of the lower plate 10 and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of the U-shaped stirrup 30, the state of the assembly may be more robust.

도 5b를 참고하면, 좌우 측판(20)의 상단에는 단위연장판(28)을 적층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시공시 요구되는 보의 높이가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U자형 스트럽(30)의 높이도 길어지게 될 것이다. 이에 맞춰 측판(20)의 높이도 증가되어야 하는데 이때 요구되는 높이에 맞는 측판(20)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대하여 측판(20)의 상단에 단위연장판(28)을 적층결합하면 쉽게 해결된다. Referring to FIG. 5B, the unit extension plates 28 may be stacked on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This may increase the height of the beam required during construction, and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U-shaped stirrup 30 will also increase.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side plate 20 must be increased. At this time, it is easily solved by stacking and combining the unit extension plate 28 on the top of the side plate 20 against the hassle of replacing the side plate 20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height. .

다음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부판(10)은 바닥부(11)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양단 결합부(12)를 형성하고, 측판(20)은 벽체부(21)의 하단에 상기 하부판(10)의 양단 결합부(12)에 대응하는 하단 결합부(22)를 형성하여 서로 맞춤 끼움결합이 되게 한다. Next, as mentioned above, the lower plate 10 forms the coupling portions 12 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ortion 11, and the side plate 20 is the lower plate 10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portion 21. ) By forming a lower coupling portion 22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12 at both ends of the) so as to be fitted and fitted with each other.

도 6(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측판(20)의 하단 결합부(22)는 벽체부(21)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220)를 구성하고, 수평연장부(220)의 단부에서 상부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연결부(222)를 구성한다. 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FIGS. 6A and 6B ), first, the lower coupling part 22 of the side plate 20 constitutes a horizontal extension part 220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wall part 21 And, it constitutes an inclined connection portion 222 that extends obliquely inward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220 to the top.

그리고 하부판(10)의 양단 결합부(12)는 측판(20)의 경사연결부(222)가 끼움 결합되도록 양단부에는 하부 개방형태의 결합홈부(120)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하되, 결합홈부(120)는 좌우로는 외측벽부(124) 및 내측벽부(126)와 상부에는 상단지지면(122)으로 구성한다. And the coupling portion 12 of the lower plate 10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so that the coupling groove 120 of the lower open type is formed at both ends so that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222 of the side plate 20 is fitted and coupled, and the coupling groove portion ( 120 is composed of an outer wall portion 124 and an inner wall portion 126 on the left and right, and an upper support surface 122 on the upper side.

상기 결합홈부(120)의 양측 벽부(124)(126) 중 외측벽부(124)는 상단지지면(122)의 외측 단부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측판(20)과의 결합시 경사진 외측벽부(124)와 상단지지면(122) 사이에 측판(20)의 경사연결부(222)의 단부(222a)가 삽입되어 걸림된 상태가 되게 하여 하중을 받을수록 더 강하게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outer wall portion 124 of the wall portions 124 and 126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groove 12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support surface 122 to be inclined when combined with the side plate 20 The end portion 222a of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222 of the side plate 20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support surface 122 and the 124 and the upper support surface 122 so as to be in a locked state so that the stronger the binding is made as the load is received.

결합홈부(120)의 내측벽부(126)는 측판(20)의 경사연견부(222)의 경사 각도에 준하는 계단식 접촉면부(126a)를 형성하면 데크플레이트 결합시 접촉면이 추가되게 하여 콘크리트의 타설액의 유출방지를 더 강화시킬 수 있게 되고, 측판(20)의 절곡부(224)가 하부판(10)의 내측벽부(126)에 보다 안정적인 끼움결합이 된다. When the inner wall portion 126 of the coupling groove 120 is formed with a stepped contact surface portion 126a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connecting portion 222 of the side plate 20, the contact surface is added when the deck plate is combined, so that the concrete is poured. The leakage prevention of the liquid can be further strengthened, and the bent portion 224 of the side plate 20 is more securely fitted to the inner wall portion 126 of the lower plate 10.

도 6a를 참고하면, 하부판(10)을 구성하는 결합홈부(120)의 상단지지면(122)과 외측벽부(124) 간의 수직 높이(H1)는 측판(20)을 구성하는 경사연결부(222)의 수직 높이(H2)이 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는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사연결부(222) 내측으로 콘크리트의 유입이 가능토록 하여 보다 견고한 보가 형성되게 한다. 6A, the vertical height H1 between the upper support surface 122 and the outer wall portion 124 of the coupling groove 120 constituting the lower plate 10 is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222 constituting the side plate 20 The vertical height (H2) of is formed to be smaller. This allows concrete to flow into the inclined connection part 222 as shown in FIG. 6B to form a more robust beam.

하부판(10)을 구성하는 결합홈부(120)의 외측벽면(124) 상단으로부터 내측벽부(126) 하단까지의 수평 너비(L1)는 측판(20)의 수평연장부(220)의 수평 너비(L2)에 준하도록 형성한다. 이는 하부판(10)에 측판(20)을 결합시 억지 끼움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흘러내림도 방지되게 한다. The horizontal width (L1)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surface 124 of the coupling groove 120 constituting the lower plate 10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ll portion 126 is the horizontal width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220 of the side plate 20 ( It is formed to conform to L2). This ensures that when the side plate 20 is coupled to the lower plate 10, the coupled state is maintained by force fitting and the flow of the poured concrete is prevented.

한편 하부판(10)과 측판(2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도 좌우 방향으로도 어느 정도 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중량체이다. 이처럼 중량체임을 감안할 때 하부판(10)의 좌우 단부에 측판(20)을 직립되게 세워 고정하는 것을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plate 10 and the side plate 20 are formed to be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have a certain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re heavy bodies. Considering that it is such a heavy body, it will not be easy to fix the side plate 20 upright 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late 10.

따라서 하부판(10)의 양측에 측판(20)을 직립되게 결합시 측판(20)은 호이스트 등과 같은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좌우 측판(20)의 상단부분을 후크 등으로 걸어 들어올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프트 장치를 통하여 하부판(10)의 양단에 측판(20)을 직립되게 결합한 후에는 리프트 장치는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그 상태에서 도 6b의 ④와 같이 결속공(26)에 가로연결대(32)를 몇 곳에 결합하면 리프트 장치를 제거하더라도 보의 모양을 유지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하부판과(10)에 형성되는 결합홈에(16)에 U자형 스트럽(30)을 결합하는 후속작업을 하면 보를 제작함에 편리(수월)하게 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ide plate 20 is connected to be upright on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plate 20 uses a lift device such as a hoist to lift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with a hook or the like. And after the side plates 20 are vertical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10 through the lift device, the lift device maintains its state, and in that state,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 32) can be combined in several place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beam even if the lift device is removed. In that state, if the subsequent work of coupling the U-shaped stirrup 30 to the coupling groove 16 formed in the lower plate and 10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make the beam convenient (easy).

도 7은 하부판(10) 및 측판(2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a)는 측판(20)의 수평비드(24) 형성시 상부 또는 하부로 절곡 연장되게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b)는 하부판(10)의 양단결합부(12)를 구성하는 외측벽부(124)의 모양 변경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wer plate 10 and the side plate 20. That is, (a) shows that when the horizontal bead 24 of the side plate 20 is formed, it can be formed to be bent upward or downward. And (b) shows an example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outer wall portion 124 constituting the coupling portion 12 of the lower plate 10 at both end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 시공용 거푸집(2)은 별도의 용접 없이 조립에 의해 완성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여러 사람이 동시 다발적으로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구조적으로도 견고한 보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beam construction formwork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d by assembling without separate welding, and if necessary, several people can quickly assemble at the same time, and structurally Also, solid beam construction becomes possible.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2)--보 시공용 거푸집 (8)--공간부
(10)--하부판 (11)--바닥부
(12)--양단 결합부 (14)--직립비드
(16)--결합홈 (16a)--진입부
(16b)--최종 결착부 (16c)--진입경사부
(16d)--이탈방지돌부 (18)--결속공
(20)--측판 (21)--벽체부
(22)--하단 결합부 (24)--수평비드
(24a)--하부 수평비드 (24b)--상부 수평비드
(26)--결속공 (26-1)--제1 결속공
(26-2)--제2 결속공 (28)--단위연장판
(30)--U자형 스트럽 (30a)--하단연결봉
(30b)--직립봉 (32)--가로연결대
(32a)--절곡연장부 (35)--고정클립
(35a)--결합핀 (35b)--걸림벽
(37)--결속클립 (37a)--수직핀
(37b)--수평고리
(40)--상부주근 (42)--하부주근
(120)--결합홈부 (122)--상단지지면
(124)--외측벽부 (126)--내측벽부
(126a)--접촉면부
(220)--수평연장부 (222)--경사연결부
(224)--절곡부
(DP)--천장시공용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2)--Formwork for beam construction (8)--Space part
(10)--bottom plate (11)--bottom
(12)--Both ends (14)--Erect bead
(16)--Mating groove (16a)--Entry part
(16b)--final end (16c)--entrance slope
(16d)--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 (18)--Binding hole
(20)--Side plate (21)--Wall part
(22)--Bottom joint (24)--Horizontal bead
(24a)--Lower horizontal bead (24b)--Upper horizontal bead
(26)--The Binding Ball (26-1)--The 1st Binding Ball
(26-2)--The 2nd Bonding Hole (28)--Unit Extension Edition
(30)--U-shaped stirrup (30a)--bottom connecting rod
(30b)--Upright rod (32)--Horizontal connecting rod
(32a)--Bending extension (35)--Fixing clip
(35a)--Mating pin (35b)--Holding wall
(37)--Binding clip (37a)--Vertical pin
(37b)--Horizontal Ring
(40)--upper major muscle (42)--lower major muscle
(120)--Joining groove (122)--Top support ground
(124)--Outer wall section (126)--Inner wall section
(126a)--contact surface
(220)--Horizontal extension (222)--Inclined connection
(224)--Bending
(DP)--truss girder deck panel for ceiling construction

Claims (8)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0)을 구비하고, 하부판(10)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각각 측판(20)이 직립으로 결합되게 하여 내측으로 콘트리트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8)가 마련되게 하며 상기 공간부(8) 내에는 U자형 스트럽(30)이 직립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하부판(10)은 바닥부(11)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양단 결합부(12)를 형성하고, 측판(20)은 벽체부(21)의 하단에 상기 하부판(10)의 양단 결합부(12)에 대응하는 하단 결합부(22)를 형성하여 서로 맞춤 끼움결합이 되게 하며,
상기 하부판(10)에는 바닥부(11)의 상부로 직립 돌출되는 직립비드(14)를 하나 이상 일체로 연장형성 하고, 직립비드(14)에는 결합홈(16)을 전후방향으로 다 수개 이격되게 형성하되, 결합홈(16)은 진입부(16a)를 구성하고 진입부(16a)의 내측에는 진입부(16a)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각각 최종 결착부(16b)를 연결되게 형성하고,
상기 좌우 각각의 측판(20)에는 벽체부(21)에서 공간부(8)를 향하여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수평비드(24)를 두 개 이상 상하로 이격되게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수평비드(24)에는 결속공(26)을 형성하여 가로연결대(32)의 양단 절곡연장부(32a)가 끼움결합 되게 하여 U자형 스트럽(30)이 이탈됨을 방지하여 조립에 의해서 견고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되,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비드(24a)와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비드(24b) 중 어느 하나에는 결속공(26)을 하나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속공(26)을 기준으로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을 전후로 이격되게 형성하여,
하부의 수평비드(24a)에 결합되는 가로연결대(32)와 상부의 수평비드(24b)에 결합되는 가로연결대(32) 서로 간에는 U자형 스트럽(30)를 중심으로 전후로 엇갈리는 위치가 되게 하여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 시공용 거푸집.
A lower plate 1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provided, and a space 8 is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late 10 so that the side plates 20 are coupled upright so that concrete can be filled inside. In the space part 8, the U-shaped stirrup 30 is configured to be fitted upright,
The lower plate 10 is formed with both ends 12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11, and the side plate 20 is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21, the both ends 12 of the lower plate 10. ) To form a lower coupling part 2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fit-fit together,
In the lower plate 10, one or more upright beads 14 protruding upright to the top of the bottom 11 are integrally extended, and the upright bead 14 has several coupling grooves 16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However, the coupling groove 16 constitutes the entry portion 16a, and the inner side of the entry portion 16a is formed to connect the final binding portions 16b on both sides of the entry portion 16a, respectively,
Two or more horizontal beads 24 protruding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wall part 21 toward the space part 8 are formed integrally extending vertically apart from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and the horizontal beads 24 ) To prevent the U-shaped stirrup (30) from being separated by forming a binding hole (26) so that the bent extensions (32a)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can be fitted, so that the rigidity can be maintained by assembly. But,
One of the horizontal bead (24a) located at the lower and the horizontal bead (24b) located at the top has one binding hole 26 formed, and the other has a first binding hole ( 26-1)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6-2) are formed to be spaced back and forth,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bead 24a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coupled to the upper horizontal bead 24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making the U-shaped stirrup 30 at the center of the back and forth staggered position. A formwork for beam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olid bond is maintained without any means of fixing.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0)을 구비하고, 하부판(10)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각각 측판(20)이 직립으로 결합되게 하여 내측으로 콘트리트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8)가 마련되게 하며 상기 공간부(8) 내에는 U자형 스트럽(30)이 직립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하부판(10)은 바닥부(11)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양단 결합부(12)를 형성하고, 측판(20)은 벽체부(21)의 하단에 상기 하부판(10)의 양단 결합부(12)에 대응하는 하단 결합부(22)를 형성하여 서로 맞춤 끼움결합이 되게 하며,
상기 하부판(10)에는 바닥부(11)의 상부로 직립 돌출되는 직립비드(14)를 하나 이상 일체로 연장형성 하고, 직립비드(14)에는 결합홈(16)을 전후방향으로 다 수개 이격되게 형성하되, 결합홈(16)은 진입부(16a)를 구성하고 진입부(16a)의 내측에는 진입부(16a)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각각 최종 결착부(16b)를 연결되게 형성하고,
상기 좌우 각각의 측판(20)에는 벽체부(21)에서 공간부(8)를 향하여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수평비드(24)를 두 개 이상 상하로 이격되게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수평비드(24) 각각에는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을 전후로 이격되게 형성하여,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에는 수직핀(37a)과 수평고리(37b)가 일체로 구성된 결속클립(37)을 끼움 고정하여 U자형 스트럽(30)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 시공용 거푸집.
A lower plate 1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provided, and a space 8 is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late 10 so that the side plates 20 are coupled upright so that concrete can be filled inside. In the space part 8, the U-shaped stirrup 30 is configured to be fitted upright,
The lower plate 10 is formed with both ends 12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11, and the side plate 20 is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21, the both ends 12 of the lower plate 10. ) To form a lower coupling part 2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fit-fit together,
In the lower plate 10, one or more upright beads 14 protruding upright to the top of the bottom 11 are integrally extended, and the upright bead 14 has several coupling grooves 16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However, the coupling groove 16 constitutes the entry portion 16a, and the inner side of the entry portion 16a is formed to connect the final binding portions 16b on both sides of the entry portion 16a, respectively,
Two or more horizontal beads 24 protruding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wall part 21 toward the space part 8 are formed integrally extending vertically apart from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and the horizontal beads 24 ) Each of the first binding holes (26-1) and the second binding holes (26-2) are formed to be spaced back and forth,
In the first binding hole 26-1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6-2, a binding clip 37 comprising a vertical pin 37a and a horizontal ring 37b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shaped stirrup 30 A formwork for beam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ded state of) is kept firmly.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판(10)의 결합홈(16)은 진입부(16a)의 내측 단부에는 진입경사부(16c)를 구성하고, 진입경사부(16c)와 최종 결착부(16b)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이탈방지돌부(16d)를 돌출되게 구성하여, 상기 진입경사부(16c)는 U자형 스트럽(30)의 끼움결합시 이탈방지돌부(16d)까지 원활하게 이동되게 하면서도 진입경사부(16c)의 단부에서 최종 결착부(16b)를 향하여 U자형 스트럽(30)에 힘을 가할 때 U자형 스트럽(30)이 최종 결착부(16b)를 향하여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이탈방지돌부(16d)는 U자형 스트럽(30)의 하단연결봉(30a)이 최종 결착부(16b)에 끼워진 후 하단연결봉(30a)이 쉽게 빠지는 현상이 방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 시공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2,
The coupling groove (16) of the lower plate (10) constitutes an entrance slope (16c) at the inner end of the entrance (16a), and is separated from the portion where the entrance slope (16c) and the final binding portion (16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figuring the prevention protrusion (16d) to protrude, the entry slope (16c) is smoothly moved to the departure prevention projection (16d) when the U-shaped stirrup (30) is fitted at the end of the entrance slope (16c)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U-shaped stirrup 30 toward the final binding portion 16b, the U-shaped stirrup 30 is guided to move smoothly toward the final binding portion 16b,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16d) ) Is a formwork for beam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of the U-shaped stirrup (30) is inserted into the final binding portion (16b) and then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is prevented from being easily removed.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판(10)의 직립비드(14)에는 결합홈(16) 하부에 결속공(18)을 형성하며, 결속공(18)에는 일측의 결합핀(35a)과 타측의 걸림벽(35b)이 일체로 구성되는 고정클립(35)을 결합시킴으로써 U자형 스트럽(30)의 하단연결봉(30a)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 시공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2,
In the upright bead 14 of the lower plate 10, a coupling hole 18 is formed under the coupling groove 16, and a coupling pin 35a on one side and a locking wall 35b on the other side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coupling hole 18 Formwork for beam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onnecting rod (30a) of the U-shaped stirrup (30) is not separated by combining the fixing clip (35) consisting of.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0)을 구비하고, 하부판(10)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각각 측판(20)이 직립으로 결합되게 하여 내측으로 콘트리트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8)가 마련되게 하며 상기 공간부(8) 내에는 U자형 스트럽(30)이 직립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하부판(10)은 바닥부(11)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양단 결합부(12)를 형성하고, 측판(20)은 벽체부(21)의 하단에 상기 하부판(10)의 양단 결합부(12)에 대응하는 하단 결합부(22)를 형성하여 서로 맞춤 끼움결합이 되게 하며,
상기 하부판(10)에는 바닥부(11)의 상부로 직립 돌출되는 직립비드(14)를 하나 이상 일체로 연장형성 하고,
상기 좌우 각각의 측판(20)에는 벽체부(21)에서 공간부(8)를 향하여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수평비드(24)를 두 개 이상 상하로 이격되게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수평비드(24)에는 결속공(26)을 형성하여 가로연결대(32)의 양단 절곡연장부(32a)가 끼움결합 되게 하여 U자형 스트럽(30)이 이탈됨을 방지하여 조립에 의해서 견고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되,
하부에 위치하는 수평비드(24a)와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비드(24b) 중 어느 하나에는 결속공(26)을 하나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속공(26)을 기준으로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을 전후로 이격되게 형성하여,
하부의 수평비드(24a)에 결합되는 가로연결대(32)와 상부의 수평비드(24b)에 결합되는 가로연결대(32) 서로 간에는 U자형 스트럽(30)를 중심으로 전후로 엇갈리는 위치가 되게 하여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 시공용 거푸집.
A lower plate 1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provided, and a space 8 is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late 10 so that the side plates 20 are coupled upright so that concrete can be filled inside. In the space part 8, the U-shaped stirrup 30 is configured to be fitted upright,
The lower plate 10 is formed with both ends 12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11, and the side plate 20 is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21, the both ends 12 of the lower plate 10. ) To form a lower coupling part 2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fit-fit together,
One or more upright beads 14 protruding upright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11 are integrally extended on the lower plate 10, and
Two or more horizontal beads 24 protruding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wall part 21 toward the space part 8 are formed integrally extending vertically apart from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and the horizontal beads 24 ) To prevent the U-shaped stirrup (30) from being separated by forming a binding hole (26) so that the bent extensions (32a)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can be fitted, so that the rigidity can be maintained by assembly. But,
One of the horizontal bead (24a) located at the lower and the horizontal bead (24b) located at the top has one binding hole 26 formed, and the other has a first binding hole ( 26-1)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6-2) are formed to be spaced back and forth,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bead 24a and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32 coupled to the upper horizontal bead 24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making the position of the U-shaped stirrup 30 in the front and rear. A formwork for beam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olid bond is maintained without a means of fixing of.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0)을 구비하고, 하부판(10)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각각 측판(20)이 직립으로 결합되게 하여 내측으로 콘트리트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8)가 마련되게 하며 상기 공간부(8) 내에는 U자형 스트럽(30)이 직립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하부판(10)은 바닥부(11)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양단 결합부(12)를 형성하고, 측판(20)은 벽체부(21)의 하단에 상기 하부판(10)의 양단 결합부(12)에 대응하는 하단 결합부(22)를 형성하여 서로 맞춤 끼움결합이 되게 하며,
상기 하부판(10)에는 바닥부(11)의 상부로 직립 돌출되는 직립비드(14)를 하나 이상 일체로 연장형성 하고,
상기 좌우 각각의 측판(20)에는 벽체부(21)에서 공간부(8)를 향하여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수평비드(24)를 두 개 이상 상하로 이격되게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수평비드(24) 각각에는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을 전후로 이격되게 형성하여,
제1 결속공(26-1)과 제2 결속공(26-2)에는 수직핀(37a)과 수평고리(37b)가 일체로 구성된 결속클립(37)을 끼움 고정하여 U자형 스트럽(30)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 시공용 거푸집.
A lower plate 1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provided, and a space 8 is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late 10 so that the side plates 20 are coupled upright so that concrete can be filled inside. In the space part 8, the U-shaped stirrup 30 is configured to be fitted upright,
The lower plate 10 is formed with both ends 12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11, and the side plate 20 is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21, the both ends 12 of the lower plate 10. ) To form a lower coupling part 2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fit-fit together,
One or more upright beads 14 protruding upright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11 are integrally extended on the lower plate 10, and
Two or more horizontal beads 24 protruding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wall part 21 toward the space part 8 are formed integrally extending vertically apart from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and the horizontal beads 24 ) Each of the first binding holes (26-1) and the second binding holes (26-2) are formed to be spaced back and forth,
In the first binding hole 26-1 and the second binding hole 26-2, a binding clip 37 comprising a vertical pin 37a and a horizontal ring 37b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shaped stirrup 30 A formwork for beam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ded state of) is kept firmly.
제1항, 제2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 시공시 요구되는 보의 높이가 증가될 경우 요구되는 높이에 맞춰 단위연장판(28)을 좌우 측판(20)의 상단에 적층되게 결합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 시공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6,
Formwork for beam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height of the beam required for beam construction increases, the unit extension plate 28 is laminated to the top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0 according to the required height.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0)을 구비하고, 하부판(10)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각각 측판(20)이 직립되게 결합되게 하여 콘트리트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8)가 마련되도록 구성하고, 하부판(10)은 바닥부(11)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양단 결합부(12)를 형성하고, 측판(20)은 벽체부(21)의 하단에 상기 하부판(10)의 양단 결합부(12)에 대응하는 하단 결합부(22)를 형성하여 서로 맞춤 끼움결합이 되게 하되,
측판(20)의 하단 결합부(22)는 벽체부(21)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220)를 구성하고, 수평연장부(220)의 단부에서 상부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연결부(222)를 구성하며,
하부판(10)의 양단 결합부(12)는 측판(20)의 경사연결부(222)가 끼움 결합되도록 양단부에는 하부 개방형태의 결합홈부(120)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연장 형성하되, 결합홈부(120)는 좌우로는 외측벽부(124) 및 내측벽부(126)와 상부에는 상단지지면(122)으로 구성하며,
결합홈부(120)의 양측 벽부(124)(126) 중 외측벽부(124)는 상단지지면(122)의 외측 단부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측판(20)과의 결합시 경사진 외측벽부(124)와 상단지지면(122) 사이에 측판(20)의 경사연결부(222)의 단부(222a)가 삽입되어 걸림된 상태가 되게 하여 하중을 받을수록 더 강하게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결합홈부(120)의 내측벽부(126)는 측판(20)의 경사연견부(222)의 경사 각도에 준하는 계단식 접촉면부(126a)를 형성하여 데크플레이트 결합시 접촉면이 추가되게 하여 콘크리트의 타설액의 유출방지를 더 강화시키고,
측판(20)의 절곡부(224)가 하부판(10)의 내측벽부(126)에 보다 안정적인 끼움결합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 시공용 거푸집.
A lower plate 10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s provided, and a space 8 is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wer plate 10 so that the side plates 20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a space 8 that can be filled with concrete is provided, and the lower plate (10) forms the coupling portions 12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ortion 11, respectively, and the side plate 20 is a coupling portion 12 at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10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portion 21 By forming the lower coupling portion 22 corresponding to, but to be fitted and fitted with each other,
The lower coupling part 22 of the side plate 20 constitutes a horizontal extension part 220 that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wall part 21, and an inclination that extends obliquely inward from the end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220 It constitutes the connection part 222,
The coupling portions 12 at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10 are integrally extended so that the coupling grooves 120 of the lower open shape are formed at both ends so that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s 222 of the side plate 20 are fitted, but the coupling grooves 120 ) Is composed of an outer wall portion 124 and an inner wall portion 126 on the left and right and an upper support surface 122 on the upper side,
Out of the wall portions 124 and 126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groove 120, the outer wall portion 124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support surface 122 to be inclined when combined with the side plate 20 ( The end portion (222a) of the inclined connection portion 222 of the side plate 20 is inserted between 124) and the upper support surface 122 to become a locked state, so that the stronger the binding is made as the load is received,
The inner wall portion 126 of the coupling groove 120 forms a stepped contact surface portion 126a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connecting portion 222 of the side plate 20 so that a contact surface is added when the deck plate is combined to place concrete. To further strengthen the prevention of leakage of liquid,
A formwork for beam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224 of the side plate 20 is more securely fitted to the inner wall portion 126 of the lower plate 10.
KR1020200032835A 2019-11-06 2020-03-17 Formwork structure for beam construction KR1023572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654 2019-11-06
KR20190140654 2019-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960A true KR20210054960A (en) 2021-05-14
KR102357209B1 KR102357209B1 (en) 2022-01-28

Family

ID=7591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835A KR102357209B1 (en) 2019-11-06 2020-03-17 Formwork structure for beam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20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53B1 (en)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Beam structural form
KR20140090816A (en) * 2013-01-10 2014-07-18 황기수 An assembly type beam mold
KR101606479B1 (en) * 2015-04-13 2016-03-25 주식회사 아이앤티강업 Steel plate for rainforcing concrete slabs
KR101710535B1 (en) * 2016-11-22 2017-02-27 구연진 Deck plate for mold
KR101785721B1 (en) * 2016-11-22 2017-10-16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Deck Plate Spacer
KR102003025B1 (en) * 2018-10-24 2019-07-24 주식회사 미라클디앤씨 Beam structural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034141B1 (en) * 2019-03-29 2019-10-18 임환빈 bea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53B1 (en)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Beam structural form
KR20140090816A (en) * 2013-01-10 2014-07-18 황기수 An assembly type beam mold
KR101606479B1 (en) * 2015-04-13 2016-03-25 주식회사 아이앤티강업 Steel plate for rainforcing concrete slabs
KR101710535B1 (en) * 2016-11-22 2017-02-27 구연진 Deck plate for mold
KR101785721B1 (en) * 2016-11-22 2017-10-16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Deck Plate Spacer
KR102003025B1 (en) * 2018-10-24 2019-07-24 주식회사 미라클디앤씨 Beam structural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034141B1 (en) * 2019-03-29 2019-10-18 임환빈 bea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209B1 (en)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028B1 (en) Earth retaining structure having beam
KR102095491B1 (en) Spacer for beam deck and beam construction using thereof
KR102171825B1 (en) Double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connection steel beam and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EP3177779B1 (en) A building element, a building comprising one or more such building elements and a method for joining such a building element and a support element
JP6499853B2 (en) Seismic wall structure
KR102095488B1 (en) Formwork structure for beam construction
CN211948866U (en) Assembled concrete beam column insertion type bolt splicing node
JP2017179997A (en) Column-beam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JP6839910B2 (en) Joint structure
KR20210054960A (en) Formwork structure for beam construction
KR200372315Y1 (en) Moving-fabricated supporting bracket structure of downward construction system
CN105102734B (en) Mixed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7297861A (en) Joint part structure of bridge pier with pile
CN111270762A (en) Fabricated concrete beam column insertion type bolt splicing node and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
JP6849491B2 (en) Exposed column base structure of steel column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6704801B2 (en) Rebuilding building with existing underground outer wall
JP7186655B2 (en) Construction method of beam-column connection structure
JP6418730B2 (en) Precast member construction method
KR101137959B1 (en) Prefab apparatus for reinforcing head of pile
KR100387751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 foundation pile
KR101736009B1 (en)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KR102638379B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using Truss Girder
JP7345399B2 (en) Foundation material for pillars
JP4813125B2 (en) Steel plate concrete members and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s
KR20130019531A (en) Concrete filled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