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926A - 유체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유체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926A
KR20210054926A KR1020190141218A KR20190141218A KR20210054926A KR 20210054926 A KR20210054926 A KR 20210054926A KR 1020190141218 A KR1020190141218 A KR 1020190141218A KR 20190141218 A KR20190141218 A KR 20190141218A KR 20210054926 A KR20210054926 A KR 20210054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ressing member
groove
fluid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926A/ko
Priority to US16/939,481 priority patent/US20210131419A1/en
Publication of KR20210054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3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using an excenter as the squeez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04B9/04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the means being cams, eccentrics or pin-and-slot mechanisms
    • F04B9/045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the means being cams, eccentrics or pin-and-slot mechanisms the means being eccentr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04B9/04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the means being cams, eccentrics or pin-and-slot mechanisms
    • F04B9/047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the means being cams, eccentrics or pin-and-slot mechanisms the means being pin-and-slo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10Inorganic materials, e.g. 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40Organic materials
    • F05B2280/4003Synthetic polymers, e.g.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체의 이송 통로를 이루는 튜브; 상기 튜브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수용홈을 구비한 몸체부; 및 상기 수용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튜브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구동하는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수용홈의 내벽 사이에서 압착되어 유체가 유동하는 틈이 형성되지 않는 유체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체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펜서{LIQUID TRANSPORT APPARATUS AND DISPENSER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유체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의 일부 구간을 따라 연속적으로 가압 및 가압 해제를 반복하여 튜브를 통해 유체를 이송하는 유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동 펌프(peristaltic pump)는 단위 시간당 일정량의 유체를 송출하기 위해 유체를 정확량으로 반복적으로 이송하는 펌프를 말한다. 이송하고자 하는 유체는 튜브를 통해서 이동하며 이 때 펌프 헤드가 생리학적 장 운동을 모방한 연동 작용을 통해서 정확한 양을 이송할 수 있다.
종래의 연동 펌프는 유연한 튜브를 통해 원형으로 만들어진 펌프헤드 안쪽에 여러 개의 롤러를 가진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롤러와 원형의 펌프헤드가 밀착되어 회전자가 회전할 때 압축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압력에 의해 유체가 이송되며 다음 롤러에 의해 압축과 함께 한쪽은 밀어내는 방식으로 유체의 흐름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이 롤러가 다수일 때는 연동 펌프를 소형으로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조립 공정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연동 펌프를 소형으로 제작하기 위해 롤러를 1개 사용하는 경우, 롤러의 위치가 튜브의 유체 유입 부분과 유체 배출 부분 사이에 위치할 때, 순간적으로 튜브의 어느 부분도 충분히 압착하지 못하는 틈이 생긴다. 이 경우, 튜브의 유체 유입 부분과 유체 배출 부분에 외압이 작용할 경우, 튜브 내에서의 유체 흐름은 롤러의 회전 방향에 제약을 받지 않고 롤러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불특정하게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이송량이 정해진 이송량 보다 적어 펌프의 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컴팩트하고 심플한 구조를 가지며 유체 이송을 위해 튜브 가압 시 튜브가 압착되는 부분에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틈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유체의 이송량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는 유체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체의 이송 통로를 이루는 튜브; 상기 튜브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수용홈을 구비한 몸체부; 및 상기 수용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튜브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구동하는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수용홈의 내벽 사이에서 압착되어 유체가 유동하는 틈이 형성되지 않는 유체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용홈은, 유체가 유입되는 상기 튜브의 제1 구간 및 유체가 배출되는 상기 튜브의 제3 구간이 삽입되는 제1 홈부; 및 상기 튜브의 제1 및 제3 구간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튜브의 제2 구간이 삽입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홈부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서로 마주하며 상기 수용홈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라운드부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튜브의 제2 구간을 가압하는 원형부; 및 상기 원형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라운드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튜브의 일부분들을 가압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원형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는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가압 부재 구동 시 상기 제1 및 제2 홈부를 교대로 이동하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수용홈 내에서 비원형의 폐곡선 궤적을 따라 구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유체 이송 장치는 액추에이터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가압 부재로 전달하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의 중심과 편심된 연결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가압 부재의 원형부의 동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의 연장부는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 형성된 제1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의 제1 홈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홈의 제2 홈부는 상기 제1 홈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제2 홈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을 덮도록 상기 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에 대응하는 제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연장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 홈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상기 가압 부재의 측면과 상기 수용홈의 내벽 사이에 밀착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는 금속재 또는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유체의 이송 통로를 이루는 튜브; 제1 및 제2 홈부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홈부 사이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라운드부가 형성된 수용홈을 가지는 몸체부; 및 상기 튜브를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가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부재는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라운드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튜브의 일부분들을 가압하는 쐐기 형상의 연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튜브는 구동하는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수용홈의 내벽 사이에서 압착되어 유체가 유동하는 틈이 형성되지 않는 유체 이송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술한 유체 이송 장치; 유체가 저장되며 상기 튜브의 유체 유입 부분에 연결된 용기; 및 상기 튜브의 유체 배출 부분에 연결되어 유체 배출 부분으로 이송된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유체 이송 장치, 상기 용기 및 상기 노즐부가 내측에 배치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유체 이송 장치와 상기 노즐부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가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의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의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가압 부재가 회전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구동하는 가압 부재에 의해 튜브의 일부 구간이 가압 및 가압 해제되면서 튜브를 통해 유체가 이송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를 구비한 디스펜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를 구비한 디스펜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의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의 커버를 생략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1)는 몸체부와, 액추에이터(3)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회전 부재(40)와, 회전 부재(4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구동하는 가압 부재(50)와, 구동하는 가압 부재(50)에 의해 일부 구간이 순차적으로 가압됨에 따라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해 유체를 이송하는 신축 및 복원 가능한 재질(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튜브(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1)는 베이스(10)의 상부를 덮는 커버(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일부에 액추에이터(3, 도 8 참조)가 결합될 수 있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고정되는 가이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제작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베이스(10)와 가이드부(30)를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베이스(10)와 가이드부(3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액추에이터(3)는 연결 부재(5, 도 8 참조)를 통해 베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부재(5)는 액추에이터(3)와 베이스(10)를 단순히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액추에이터(3)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의 속도(예를 들면, 액추에이터의 구동축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기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3)는 서보 모터(Servo Motor),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브러시리스 모터(Brushless Motor), BLDC 모터(Brushless DC Motor), 동기 모터(Synchronous Motor), 기어드 모터(Geared Motor) 및 초음파 모터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일측에 연결 부재(5)가 결합되는 결합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5)의 크기나 형상은 결합홈(15)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5)의 크기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타측에 가이드부(30)가 안착되는 안착면(11)이 형성되고, 안착면(11)의 다수의 코너 중 일부 코너들에는 결합 돌기(12a,12b,12c)가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결합 돌기(12a,12b,12c)의 길이는 베이스(10)에 가이드부(30)가 결합되는 경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예를 들면, 가이드부(30)의 높이에 대략 대응하는 길이)이면 충분하다.
다수의 결합 돌기(12a,12b,12c)는 상단에 각각 체결구멍(13a,13b,13c)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체결구멍(13a,13b,13c)은 베이스(10)의 상부를 덮는 커버(9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구멍(93a,93b,93c)과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90)는 다수의 체결구멍(13a,13b,13c; 93a,93b,93c)에 체결되는 다수의 나사(미도시)를 통해 베이스(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회전 부재(4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관통구멍(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구멍(14)은 베이스(10)의 안착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회전 부재(40)의 저면이 액추에이터(3)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3)의 구동축(3a, 도 8 참조)이 회전 부재(40)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47)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측부에 베이스(10)의 다수의 결합 돌기(12a,12b,12c)가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홈(32a,32b,32c)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0)가 베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베이스(10)의 다수의 결합 돌기(12a,12b,12c)는 가이드부(30)의 다수의 결합홈(32a,32b,32c)에 압박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30)는 가압 부재(50)와 튜브(7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33)이 형성된다. 수용홈(33)은 상호 연통되는 제1 홈부(33a)와 제2 홈부(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부(33a)는 대략 원형을 이루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33a)에 수용되는 튜브(70)의 제2 구간(73)은 가압 부재(50)를 감싼 상태로 제1 홈부(33a)의 형상을 따라 대략 원형을 이루며 배치된다. 이 경우, 튜브(70)는 제1 홈부(33a)의 제1 내벽(37c)과 가압 부재(50)의 원형부(51)의 외주면(51a) 사이에 끼어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제2 홈부(33b)는 제1 홈부(33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대략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33b)는 튜브(70)의 제1 구간(71) 및 제3 구간(75)이 수용될 수 있다. 제2 홈부(33b)는 서로 마주하는 제2 및 제3 내벽(37b,37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내벽(37a,37b) 사이에는 제1 라운딩부(37d)가 형성되며, 제1 및 제3 내벽(37a,37c) 사이에는 제2 라운딩부(37e)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라운딩부(37d,37e)는 가압 부재(50)의 구동에 의해 튜브(70)를 가압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라운딩부(37d,37e)는 각각 수용홈(33)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라운딩부(37d,37e)의 돌출 정도는 제1 및 제2 라운딩부(37d,37e)의 곡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라운딩부(37d,37e)의 곡률은 튜브(70)가 가압 부재(50)에 의해 가압될 때 튜브(70)가 꺾이거나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30)는 수용홈(33)의 바닥에 회전 부재(4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관통구멍(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구멍(30)은 베이스(10)의 제1 관통구멍(14)과 동심으로 배치되며, 제1 관통구멍(14)의 직경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40)는 원통부(41)가 제1 및 제2 관통구멍(14,3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통부(41)는 하부가 제1 관통구멍(14) 내에 위치하고 이와 동시에 상부가 제2 관통구멍(3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수용홈(33)의 바닥에 제1 슬라이딩 홈(3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홈(35)은 가압 부재(50)의 구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 부재(50)의 제1 슬라이딩 돌기(55a, 도 2 참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홈(35)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홈(35)은 제2 홈부(33b)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홈(35)의 배치 방향은 가압 부재(50)의 구동 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슬라이딩 홈(35)이 제2 홈부(33b)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비원형의 폐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가압 부재(50)가 튜브(70)의 제1 내지 제3 구간(71,73,75)을 순차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구간(71) 및 제3 구간(71)은 가압 부재(50)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 각각 제1 라운드부(37d) 및 제2 라운드부(37e)에 인접한 부분으로 한정될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50)의 연장부(53)의해 제1 구간(71) 및 제3 구간(71)의 가압되는 부분은 가압부재(50)의 연장부(53)의 길이(L, 도 8 참조)에 따라 가압 부재(50)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도 있다.
회전 부재(40)는 액추에이터(5)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인가 받아 가압 부재(50)가 회전축의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을 그리면서 구동하도록 가압 부재(50) 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회전 부재(40)는 제1 및 제2 관통구멍(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부(41)와, 원통부(41)의 상면에 원통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 연결 돌기(4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돌기(43)는 가압 부재(50)의 삽입구멍(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돌기(43)의 하단 주변에는 단턱(45)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돌기(43)가 가압 부재(50)의 삽입구멍(52)에 삽입되면 가압 부재(50)의 저면은 단턱(45)의 상면에만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턱(45)은 가압 부재(50)의 저면과 회전 부재(40)의 상면이 접촉하는 것을 제한하여 회전 부재(40)와 가압 부재(50) 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40)와 가압 부재(50) 사이에서 발행할 수 있는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가압 부재(50)의 구동을 방해하는 요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회전 부재(40)는 저면에 액추에이터의 구동축(3a)이 고정 결합되는 고정홈(4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40)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압 부재(50)는 원형부(51)와 연장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부(51)의 중심에는 회전 부재(40)의 연결 돌기(43)가 결합되는 삽입구멍(52)이 형성될 수 있다.
원형부(51)의 외주면(51a)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연장부(53)의 양측면(53a,53b)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의 양측면(53a,53b)은 각각 원형부(51)의 외주면(51a)에 이어진다.
원형부의 외주면(51a)은 튜브(70)의 제2 구간을 가압할 수 있다. 연장부의 양측면(53a,53b)은 수용홈(33)의 제1 및 제2 라운드부(37d,37e)에 인접한 튜브(70)의 일부분들을 가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장부(53)는 대략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형부(5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53)의 형상은 가압 부재(50)가 구동하는 동안 튜브(70)의 일부 구간을 연속적으로 가압할 때, 가압되고 있는 지점의 튜브(70) 내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틈(또는 통로)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고려한 것이다.
이와 같이 대략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부(53)는 수용홈(33)의 크기, 제1 및 제2 라운드부(37d,37e)의 돌출 정도나 곡률, 튜브(70)의 외경의 크기 등에 따라, 연장부(53)의 길이(L) 또는 각도(θ)를 적절히 조절하여 가압 부재(50)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중인 튜브의 가압 지점에서 튜브 내 틈이 발행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연장부(53)는 하면에 제1 슬라이딩 돌기(55a)가 형성되고, 상면에 제2 슬라이딩 돌기(55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돌기(55a,55b)는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돌기(55a)는 가이드부(30)의 제1 슬라이딩 홈(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 슬라이딩 돌기(55b)는 커버(90)의 저면에 형성된 제2 슬라이딩 홈(95, 도 4 참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경우, 제2 슬라이딩 홈(95)은 제1 슬라이딩 홈(35)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1 슬라이딩 홈(35)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부재(50)는 회전 부재(4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일정한 폐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구동하게 된다. 가압 부재(50)는 구동 중에 튜브(70)의 제1 구간(71)의 일부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2 구간(73) 및 제3 구간(75)의 일부분을 가압 후 가압 해제 함으로써, 튜브(70) 내의 유체를 제1 구간(71) 측으로부터 제3 구간(75)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가압 부재(50)는 소정의 강성 및 내구성을 갖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거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부재(50)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합성 수지는 소정의 강성, 내구성 및 탄력성을 갖는 PA(polyamide) 나일론 수지일 수 있다. 가압 부재(50)가 PA 나일론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 튜브(70)를 가압할 때 가압 부재(50)가 자체 탄성력을 가지므로 압력에 의해 튜브(7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튜브(70)는 가압 부재(50)에 의해 가압된 후 가압 해제될 때 형상이 복원될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면, 실리콘 또는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튜브(70)는 수용홈(33)에서 가압 부재(50)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부분이 수용홈(33)의 내벽과 가압 부재(50)의 외주면 사이에서 압박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압 부재(50)의 구동에 의해 튜브(70)가 수용홈(33)의 상측 및 하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커버(90)는 다수의 나사를 통해 베이스(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커버(90)는 가이드부(30)의 수용홈(33)을 덮을 수 있다.
이하, 도 6a 내지 6d를 참조하여 회전 부재(40)의 구동에 따라 회전 부재(40)와 연동하는 가압 부재(50)의 구동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가압 부재가 회전 부재의 회전에 연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서는 가압 부재(50)의 초기 위치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3 연결점(P1,P2,P3)이 일직선으로 배열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부재(50)의 연장부(53)는 제1 및 제2 라운드부(37d,37e)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하지만, 가압 부재(50)의 초기 위치는 반드시 전술한 배치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제1 연결점(P1)은 회전 부재(40)의 고정홈(4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액추에이터(3)의 구동축(3a)의 중심점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연결점(P2)은 가압 부재(50)의 삽입구멍(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회전 부재(40)의 연결 돌기(43)의 중심점에 해당할 수 있다. 제3 연결점(P3)은 가이드부(30)의 제1 슬라이딩 홈(35)과 커버(90)의 제2 슬라이딩 홈(95)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가압 부재(50)의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돌기(55a,55b)의 중심점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돌기(55a,55b)는 동심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제2 연결점(P2)은 제1 연결점(P1)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3 연결점(P3)은 제1 및 제2 슬라이딩 홈(55a,55b)의 대략 하단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회전 부재(40)가 액추에이터(3)로부터 구동력을 인가 받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 부재(50)는 회전 부재(40)와 연동하여 구동한다.
회전 부재와 연동하는 가압 부재(50)는 초기 위치에서 도 6b와 같이 제1 홈부(33a)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돌기(55a,55b)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홈(35,95)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압 부재(50)의 원형부(51)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돌기(55a,55b)를 중심으로 우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다.
가압 부재(50)의 연장부(53)는 제1 및 제2 라운드부(37d,37e) 사이를 완전히 벗어나지 않은 위치에 있게 된다. 연장부(53)의 우측면(53a)과 제1 라운드부(37d) 사이의 간격이 연장부(53)의 좌측면(53b)과 제2 라운드부(37e)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결점(P2)은 제1 연결점(P1)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3 연결점(P3)은 제1 및 제2 슬라이딩 홈(55a,55b)의 대략 중간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가압 부재(50)는 회전 부재(40)와 연동하여 계속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가압 부재(50)는 도 6c와 같이 제1 홈부(33a)의 우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돌기(55a,55b)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홈(35,95)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압 부재(50)의 원형부(51)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돌기(55a,55b)를 중심으로 좌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다.
가압 부재(50)의 연장부(53)는 제1 및 제2 라운드부(37d,37e) 사이를 완전히 벗어난 위치에 있게 된다.
이 경우, 제2 연결점(P2)은 제1 연결점(P1)의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3 연결점(P3)은 제1 및 제2 슬라이딩 홈(55a,55b)의 대략 상단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회전 부재(40)가 액추에이터(3)로부터 구동력을 인가 받아 계속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 부재(50)는 회전 부재(40)와 연동하여 구동한다.
회전 부재와 연동하는 가압 부재(50)는 제1 홈부(33a)의 상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돌기(55a,55b)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홈(35,95)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가압 부재(50)의 원형부(51)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돌기(55a,55b)를 중심으로 좌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다.
가압 부재(50)의 연장부(53)는 제1 및 제2 라운드부(37d,37e) 사이를 완전히 벗어나지 않은 위치에 있게 된다. 이 경우, 연장부(53)의 좌측면(53b)과 제2 라운드부(37e) 사이의 간격이 연장부(53)의 우측면(53a)과 제1 라운드부(37d)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결점(P2)은 제1 연결점(P1)의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3 연결점(P3)은 제1 및 제2 슬라이딩 홈(55a,55b)의 대략 중간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 부재(50)는 도 6d과 같은 위치에서 회전 부재(40)에 의해 계속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6a와 같은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 부재(5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폐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회전 부재(4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액추에이터(3)의 회전축(3a)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 부재(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가압 부재(50) 역시 회전 부재(40)와 연동하여 이동하는 궤적은 시계 방향을 따라 구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전술한 가압 부재(50)의 반 시계 방향으로의 구동에 의해 튜브(70)가 가압되고, 이에 따라 유체가 튜브의 제1 구간(71) 측으로부터 흡입되어 튜브의 제2 구간(73)을 거쳐 제3 구간(75)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 튜브(70)의 제1 구간(71)의 단부에는 유체가 저장된 소정의 용기(120, 도 8 참조)가 연결될 수 있고, 제3 구간(75)의 단부에는 튜브(70)를 따라 제1 구간(71) 측에서 제2 구간(73)을 거쳐 제3 구간(75) 측으로 이송된 유체를 토출할 수 있는 노즐부(130, 도 8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구동하는 가압 부재에 의해 튜브의 일부 구간이 가압 및 가압 해제되면서 튜브를 통해 유체가 이송되는 연속적인 과정 중 순차적으로 임의의 위치에서의 평면도들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가압 부재(50)는 초기 위치에서, 튜브(70)의 일부분들을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부재(50)의 연장부에 의해 가압되는 튜브(70)의 일부분은 연장부(53)의 우측면(53a)과 수용홈(33)의 제1 라운드부(37d) 사이의 튜브(70)의 일부분과, 연장부(53)의 좌측면(53b)과 수용홈(33)의 제2 라운드부(37e) 사이의 튜브(70)의 일부분일 수 있다.
먼저, 액추에이터(3)를 구동시키면 액추에이터의 회전축(3a)이 반 시계 방향으로 소정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회전 부재(40)는 회전축(3a)과 함께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 부재(50)를 구동시킨다.
도 7b를 참조하면, 초기 위치에 있는 가압 부재(50)는 회전 부재(40)와 연동하여 수용홈의 제1 홈부(33a) 내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가압 부재(50)는 초기 위치에서부터 도 7b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수용홈(33)의 내벽 측으로 튜브(70)의 제2 구간(73)에서 일부 구간(85)을 연속적으로 가압한다.
이때 튜브(70)의 가압되는 일부 구간에서는 튜브(70)가 완전히 압착됨에 따라 튜브(70) 내에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틈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틈이 벌어지지 않는 이유로, 가압 부재(50)가 초기 위치에서 도 7b에 도시된 위치까지 구동하는 동안 연장부(53)의 우측면(53a)이 튜브(70)를 지속적으로 가압하다가 점차 원형부(51)의 외주면(51a)이 연장부(53)의 우측면(53a)과 함께 튜브(70)를 가압하는 동작을 들 수있다.
가압 부재(50)가 초기 위치에서 튜브를 가압하면서 도 7b에 도시된 수용홈(33)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튜브의 제2 구간(73) 내의 공간은 제1 구간(71) 측에 인접한 공간이 점차 협소해지고 제3 구간(75) 측에 인접한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구간(73) 내에 위치한 유체는 가압력에 의해 제3 구간(75)에 인접한 측으로 이송된다. 또한, 가압 부재(50)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제2 라운드부(37e)에 대응하는 튜브(77)의 일부분에는 유체가 제2 구간(73)으로부터 제3 구간(75)으로 이송될 수 있는 통로(77c)가 확보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구간(71) 내의 공간은 제2 구간(73)에 인접한 측의 공간의 압력이 용기(120)와 인접한 측의 압력보다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간(71) 내의 유체는 제2 구간(73) 측에 인접한 부분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가압 부재(50)는 계속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40)와 연동하여 수용홈(33)의 제1 홈부(33a) 내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가압 부재(50)는 튜브(70)의 제2 구간(73)의 우측 부분으로부터 제2 구간(73)의 중앙 부분까지 순차적으로 가압한다. 이때 튜브(70)의 가압되는 일부 구간에서는 튜브(70)가 완전히 압착됨에 따라 튜브(70) 내에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틈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 경우, 가압 부재(50)에 의해 가압되는 튜브(70)의 제2 구간(73)의 중앙 부분을 제외하고 가압 부재(5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튜브(70)의 나머지 부분들 튜브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통로(77b,77c,77d,77e)가 확보될 수 있다.
이때, 튜브의 제3 구간(75) 측에 인접한 제2 구간(73) 내의 유체는 통로(77c)를 통해 의해 제3 구간(75)으로 이송되며, 제1 구간(71) 내의 유체는 통로(77d)를 통해 제1 구간(71)에 인접한 제2 구간(73)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가압 부재(50)는 계속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40)와 연동하여 수용홈(33)의 제1 홈부(33a) 내의 상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가압 부재(50)는 튜브(70)의 제2 구간(73)의 중앙 부분부터 제2 구간(73)의 좌측 부분까지 연속적으로 가압한다. 이때 튜브(70)의 가압되는 일부 구간에서는 튜브(70)가 완전히 압착됨에 따라 튜브(70) 내에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틈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튜브의 제2 구간(75)의 좌측 부분에 있는 유체는 제3 구간(75)으로 이송되고, 제1 구간(71)으로 유입된 유체는 통로(77d)를 통해 제2 구간(73)의 우측 부분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어서, 가압 부재(50)가 계속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40)와 연동하여 도 7a와 같이 초기 위치로 이동한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1)는 가압 부재(50)가 폐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일 방향으로 구동 시 가압되고 있는 튜브(70)의 피가압부 내에 유체가 유동할 할 수 있는 틈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튜브(70)를 통해 원하는 이송 방향(제1 구간→제2 구간→제3 구간)으로 유체를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1)는 작동에 있어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종래기술에 비해 심플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제작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를 구비한 디스펜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예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전술한 유체 이송 장치(1)를 적용할 수 있다.
디스펜서(100)는 케이스(110)와, 유체를 저장하는 용기(120)와, 케이스(110) 외부로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내측에 유체 이송 장치(1), 액추에이터(3), 연결 부재(5), 용기(120) 및 노즐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용기(120)는 튜브의 제1 구간(71)에 연결되는 유체 배출포트(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120) 내에 저장된 유체는 튜브의 제1 구간(71)을 통해 튜브의 유체 이송 장치(1)로 공급될 수 있다.
노즐부(130)는 일측에 튜브의 제3 구간(75)에 연결되는 유체 유입포트(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이송 장치(1)로부터 이송된 유체가 튜브의 제3 구간(75)을 통해 노즐부(130)로 공급될 수 있다.
노즐부(130)는 타측에 유체 이송 장치(1)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소정 량씩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33)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33)는 케이스(110)와 연통되어 있어 유체를 케이스(110)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이송 장치를 구비한 디스펜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전술한 유체 이송 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100')는 전술한 디스펜서(100)와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용기(120')가 케이스(110')의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디스펜서(100')는 X축, Y축, Z축으로 이동하여 소정 위치에서 유체를 토출할 수 있도록 3축이동장치(15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3축이동장치(150)는 X축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가동부(151), Y축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가동부(155), Z축을 따라 이동하는 제3 가동부(155)가 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100')는 유체 또는 소정의 점도를 가지는 액상 물질을 인쇄회로기판 상의 소정 위치에 토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디스펜서(100) 역시 도 9에 도시한 디스펜서(100')와 마찬가지로 3축이동장치(150)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유체 이송 장치
3: 액추에이터
10: 베이스
30: 가이드부
40: 회전 부재
50: 가압 부재
70: 튜브
90: 커버
100, 100': 디스펜서

Claims (20)

  1. 유체의 이송 통로를 이루는 튜브;
    상기 튜브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수용홈을 구비한 몸체부; 및
    상기 수용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튜브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구동하는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수용홈의 내벽 사이에서 압착되어 유체가 유동하는 틈이 형성되지 않는 유체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유체가 유입되는 상기 튜브의 제1 구간 및 유체가 배출되는 상기 튜브의 제3 구간이 삽입되는 제1 홈부; 및
    상기 튜브의 제1 및 제3 구간을 상호 연결하는 상기 튜브의 제2 구간이 삽입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홈부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서로 마주하며 상기 수용홈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라운드부가 형성된 유체 이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튜브의 제2 구간을 가압하는 원형부; 및
    상기 원형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라운드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튜브의 일부분들을 가압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 이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원형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체 이송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유체 이송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가압 부재 구동 시 상기 제1 및 제2 홈부를 교대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유체 이송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수용홈 내에서 비원형의 폐곡선 궤적을 따라 구동하는 유체 이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에서 발생한 동력을 상기 가압 부재로 전달하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체 이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의 중심과 편심된 연결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가압 부재의 원형부의 동심에 연결된 유체 이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연장부는 상기 수용홈의 바닥에 형성된 제1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된 유체 이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제1 홈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홈의 제2 홈부는 상기 제1 홈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제2 홈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유체 이송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을 덮도록 상기 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에 대응하는 제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연장부는 상기 제2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된 유체 이송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 홈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유체 이송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가압 부재의 측면과 상기 수용홈의 내벽 사이에 밀착 상태로 삽입되는 유체 이송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수지로 형성된 유체 이송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금속재 또는 합성 수지로 형성된 유체 이송 장치.
  17. 유체의 이송 통로를 이루는 튜브;
    제1 및 제2 홈부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홈부 사이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라운드부가 형성된 수용홈을 가지는 몸체부; 및
    상기 튜브를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라운드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튜브의 일부분들을 가압하는 쐐기 형상의 연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튜브는 구동하는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수용홈의 내벽 사이에서 압착되어 유체가 유동하는 틈이 형성되지 않는 유체 이송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체 이송 장치;
    유체가 저장되며 상기 튜브의 유체 유입 부분에 연결된 용기; 및
    상기 튜브의 유체 배출 부분에 연결되어 유체 배출 부분으로 이송된 유체를 토출하기 위한 노즐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이송 장치, 상기 용기 및 상기 노즐부가 내측에 배치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이송 장치 및 상기 노즐부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가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KR1020190141218A 2019-11-06 2019-11-06 유체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펜서 KR20210054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218A KR20210054926A (ko) 2019-11-06 2019-11-06 유체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펜서
US16/939,481 US20210131419A1 (en) 2019-11-06 2020-07-27 Liquid transport apparatus and dispens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218A KR20210054926A (ko) 2019-11-06 2019-11-06 유체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926A true KR20210054926A (ko) 2021-05-14

Family

ID=7568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218A KR20210054926A (ko) 2019-11-06 2019-11-06 유체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131419A1 (ko)
KR (1) KR2021005492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31419A1 (en)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4600B2 (en) Tube pump
EP1825144B1 (en) Peristaltic pump
TWI242072B (en) A tube valve, a tube valve apparatus and a head cleaning apparatus
US7217108B2 (en) Peristaltic hose pump
CA2569252A1 (en) Oral care device
US8834138B2 (en) Fluid transporting device of the peristaltic type with a push pin and push plate arrangement
JP2005069226A (ja) 蠕動型ポンプ
JP2009216080A (ja) チューブユニット、制御ユニット、マイクロポンプ
JPS62223481A (ja) ポンプ
TWI334011B (en) Valve
US9993392B2 (en) Enteral feeding pump system
CA2589643A1 (en) Compressors for hand held oral care devices
US9217428B2 (en) Tubing pump for delivering fluid in a tube
KR20210054926A (ko) 유체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펜서
KR20130049329A (ko) 캠식 유체 토출 장치
US20170072132A1 (en) Medical injection systems and pumps
KR101430672B1 (ko) 모유 역류 방지 및 맛사지 기능을 갖는 전동식 유축기
US20090211474A1 (en) Printing press inking systems
KR102582934B1 (ko) 카트리지 모듈, 약액 토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395167B1 (ko) 약액 토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JP4389587B2 (ja) チューブバルブおよびヘッドクリーニング装置
KR102371695B1 (ko) 박동형 유체 이송장치
US8070455B2 (en) Scotch-yoke mechanism for redundant actuation applications
JP3374970B2 (ja) ポンプ装置
KR101020269B1 (ko) 의료용 액체 공급장치의 펌핑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의료용 액체 공급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