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829A - 차량용 비상 구동 회로 및 제어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비상 구동 회로 및 제어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829A
KR20210054829A KR1020190140970A KR20190140970A KR20210054829A KR 20210054829 A KR20210054829 A KR 20210054829A KR 1020190140970 A KR1020190140970 A KR 1020190140970A KR 20190140970 A KR20190140970 A KR 20190140970A KR 20210054829 A KR20210054829 A KR 20210054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line
current
output terminal
power supply
driv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829A/ko
Publication of KR20210054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6Electric voltages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는 제어부에 제어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상기 전원부에 인가하는 제1 연결라인; 이그니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상기 전원부에 인가하는 제2 연결라인; 및 상기 제2 연결라인과 상기 전원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거나, 상기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이그니션 출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비상 구동 회로 및 제어전원 공급장치{Emergency driving circuit for vehicle and power supply for control}
본 발명은 차량용 비상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비상시 이그니션(ignition) 단자를 통해 비상구동 전원을 사용하는 비상 구동 회로에서 이그니션 단자 측 전류 리플을 감소시키는 비상 구동 회로 및 제어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제어하는 각종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배터리 전원을 이용한다. 차량 운행 중 단선이나 고장에 의해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끊기는 경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던 제어부에 전원 공급에 차단되어, 비상 상황에서의 제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비상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제어부가 비상 상황에 맞게 동작하기 위하여, 배터리 전원 뿐만 아니라 다른 전원을 비상용으로 인가받을 수 있도록 비상 구동 회로를 형성한다. 비상 구동 회로로 인가되는 전원은 평상시에는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자에 인가되지 않다가 비상시 전원이 인가되어야 하는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은 연결선에 연결된 컨버터 또는 인터버의 동작에 의해 전압 리플이 발생하는 경우, 비상시가 아님에도 배터리 전원이 아닌 비상 구동 회로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전원 측 전압 리플에 의해 이그니션 측 전류 리플이 매우 커지게 되어 각종 스펙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비상 구동 회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장치에 연결된 다른 구성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나아가, 이그니션 측 전류 리플에 의해 EMI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그니션 출력 측에 작은 전류 리플을 갖는 비상 구동 회로 및 제어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는 제어부에 제어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상기 전원부에 인가하는 제1 연결라인; 이그니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상기 전원부에 인가하는 제2 연결라인; 및 상기 제2 연결라인과 상기 전원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거나, 상기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이그니션 출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상기 제1 연결라인에 전압 리플(ripple)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연결라인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보다 큰 전압 강하를 상기 제2 연결라인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라인에서 분기되어 이그니션 출력단의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연결라인에서 상기 전압 센싱부가 분기되는 지점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수신하여 변환하는 전류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상기 배터리 출력단과 상기 전류 변환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라인에서 분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연결라인은, 상기 배터리 출력단과 상기 전류 변환부를 연결하는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상기 인덕터 앞단에서 분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3 연결라인에 형성되는 필터를 구성하는 인덕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연결라인은, 상기 배터리 출력단과 상기 전류 변환부를 연결하고, 역전류를 보호하는 역전류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상기 역전류 보호부 후단에서 분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상기 전류 변환부의 동작에 따라 전압 리플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전원 공급장치는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상기 전원부에 인가하는 배터리 전원 인가부; 및 이그니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복수의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전원부에 인가하는 이그니션 전원 인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 인가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거나, 상기 이그니션 전원 인가부를 통해 상기 이그니션 출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상기 배터리 전원 인가부에 전압 리플(ripple)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전원 인가부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보다 큰 전압 강하를 상기 이그니션 전원 인가부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그니션 전원 인가부는, 이그니션 출력단의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연결라인에서 상기 전압 센싱부가 분기되는 지점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수신하여 변환하는 전류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전원 인가부는,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분기하여 상기 전원부 및 전류 변환부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전원 인가부는, 상기 배터리 출력단과 상기 전류 변환부를 연결하는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상기 인덕터 앞단에서 분기하여 상기 전원부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전원 인가부는, 상기 배터리 출력단과 상기 전류 변환부를 연결하고, 역전류를 보호하는 역전류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상기 역전류 보호부 후단에서 분기하여 상기 전원부에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 구동 회로에 이용되는 이그니션 측 전류 리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그니션 측 전류 리플이 작아짐으로써 공통으로 연결된 제품에 노이즈 영향이 줄어들게 된다.
나아가, 이그니션 측 전류 리플의 저감으로 EMI 성능 개선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전류 리플이 크게 발생하는 비상 구동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비상 구동 회로에 따른 이그니션 측에 발생하는 전류 리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와 종래의 비상 구동 회로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에서의 전류 리플과 종래의 비상 구동 회로에서의 전류 리플을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는 전원부(110), 배터리 출력단(120)과 연결되는 제1 연결라인, 이그니션 출력단(130)과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 및 복수의 다이오드(140)로 구성된다. 전압 센싱부(210), 전류 변환부(220), 인덕터(230), 역전류 보호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다이오드,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는 차량에 장착된 다양한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회로로, 비상 상황에서도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차량의 모터 등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으로, 제어부의 동작을 위해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해야 한다.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함에 있어서, 차량은 배터리 전원을 이용한다.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출력되는 배터리 출력단에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연결하고, 전원부는 배터리 출력단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부가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전원을 생성한다. 제어부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가 동작하지 않아, 제어부가 제어해야 하는 차량의 부품들을 동작시키기 어려워질 수 있다.
특히, 차량이 운행 중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차량이 안전하게 정차해야 되는 경우, 차량의 모터 등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는 차량의 모터가 안전하게 정지하도록 신호를 인가하게 되는데, 제어부에 인가되는 전원이 끊기는 경우, 차량의 모터를 안전하게 정지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비상 상황시 제어부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 출력단뿐만 아니라 이그니션 출력단을 전원부에 연결하여 비상 상황시 이그니션 출력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다,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어려운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이그니션 출력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부에 제어전원을 인가한다. 제어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정상 동작하는 평상시에는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되, 이그니션 출력단은 전원부에 연결은 되어 있으나, 이그니션 출력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지 않는다. 즉, 이그니션 출력단으로 전원을 인가받는 연결라인 또는 회로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배터리 출력단에 연결된 인버터 또는 컨버터 등의 구성들의 동작에 따라 전압 리플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플(ripple)이란 직류전원에 발생하는 교류성분으로, 노이즈에 해당하는 성분을 의미한다. 리플은 파고치, 파저대파고치, 실효치, 백분율실효치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전압 리플은 전압에 발생하는 교류성분을 의미하고, 전류 리플은 전류에 발생하는 교류성분을 의미한다.
배터리 출력단을 연결하는 연결 라인에 전압 리플이 발생하는 경우, 동작하지 않아야 하는 이그니션 출력단에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이로 인해 이그니션 출력단을 연결하는 연결 라인이나 회로에 전류 리플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전류 리플이 크게 발생하는 비상 구동 회로의 회로도이다. 제어부에 제어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1)는 배터리 출력단(12) 및 이그니션 출력단(13)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고, 제어부에 인가할 제어전원을 생성하여 각 제어부에 제어전원을 인가한다. 여기서, 제어부에 제어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1)는 파워 서플라이 회로(Power supply circuit)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11)에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제어전원은 제어 IC들로 인가되어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출력단(12)에서 출력된 전원은 전원부(11)와 모터 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컨버터 또는 인버터(22)로 인가될 수 있다. 전원부(11)와 컨버터 또는 인터버 블록(22)은 노드 15에서 분기되어 전원을 인가받는다.
전원부(11)는 배터리 출력단(12)뿐만 아니라 이그니션 출력단(13)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평소에는 배터리 출력단(12)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그니션 출력단(13)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다. 이를 위하여, 전원부(11)는 연결라인 1을 통해 배터리 출력단(12)과 연결되고, 연결라인 2를 통해 이그니션 출력단(13)과 연결된다. 이그니션 출력단(13)에 연결된 연결라인 2에 하나의 다이오드(14)를 이용하여 평소에는 연결라인 2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연결라인 2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배터리 출력단(12)에서 출력된 전원은 전원부(11)와 모터 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컨버터 또는 인버터(22)로 인가되며, 전원부(11)와 컨버터 또는 인터버 블록(22)은 노드 15에서 분기되어 전원을 인가받는다. 배터리 출력단(12)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달하는 연결라인에 흐르는 전류는 컨버터 또는 인버터 블록(22)의 동작에 의해 전압 리플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컨버터 또는 인터버 블록(22)은 연결된 모터 구동을 위해 동작하고, 모터가 구동하는 경우, 배터리 출력단(12)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달하는 연결라인에 전압 리플이 발생할 수 있다.
배터리 출력단(12) 측 연결라인에 전압 리플이 발생하는 경우, 이와 연결된 연결라인 1에도 전압 리플이 영향을 미치고, 연결라인 1의 전압 리플에 의해 전압이 떨어지는 크기에 따라 전류가 흐르지 않아야 하는 연결라인 2에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이로 인해 연결라인 2의 전류에 전류 리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그니션 출력단(13) 측에 흐르는 전류는 전류 리플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연결라인 1에 전압 리플이 발생하면, 연결라인 1에 발생하는 전압강하가 연결라인 2에 발생하는 전압강하보다 작게 되고, 전원부는 연결라인 1이 아닌 연결라인 2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연결라인 2의 전류 리플이 증가하게 된다.
이그니션 출력단(13) 측에 전류 리플이 발생할 때 배터리 출력단(12) 측에 흐르는 전류와 이그니션 출력단(13) 측에 흐르는 전류는 도 3(A)와 같이 측정될 수 있다. 도 3(A)에서 IKL30은 배터리 출력단(12) 측에 흐르는 전류이고, IKL15은 이그니션 출력단(13) 측에 흐르는 전류이다. 배터리 출력단(12) 측에 전압 리플이 발생하면, 배터리 출력단(12) 측에 흐르는 전류인 IKL30에 전류 리플이 발생하고, 전류의 크기가 흔들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배터리 출력단(12) 측에 흐르는 전류인 IKL30에 전류 리플이 발생하는 경우, 이그니션 출력단(13) 측에 흐르는 전류인 IKL15에도 전류 리플이 영향을 미쳐 전류의 크기가 크게 흔들리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류 리플이 배터리 출력단(12) 측에 흐르는 전류인 IKL30에 미치는 영향보다 이그니션 출력단(13) 측에 흐르는 전류인 IKL15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그니션 출력단(13)에 흐르는 전류는 이그니션 출력단(13)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받는 부품들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일정 전류를 유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제조 업체의 요구 스펙 조건은 10 mA일 수 있다. 하지만, 전류 리플이 발생하게 되면, 도 3(B)와 같이, 이그니션 출력단(13) 측에 흐르는 전류인 IKL15의 크기가 크게 흔들리게 된다. 이그니션 출력단(13) 측에 흐르는 전류인 IKL15의 최저치는 -442mA이고, 최대치는 624mA이고, RMS(Root Means Sqaure) 값은 206.4mA로 스펙 조건인 10mA를 크게 벗어나게 된다.
또한, 이그니션 출력단(13) 측에 흐르는 전류에 전류 리플이 크게 발생하는 바, 전원부(11) 이외에 이그니션 출력단(13)에 연결된 다른 구성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해당 구성들에 의도치않은 비정상적인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부품의 정상적이지 못한 동작 내지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이그니션 출력단(13) 측에 흐르는 전류에 발생하는 전류 리플에 의해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성능이 나빠질 수 있다. EMI는 전자파 장해로, 전자 기기로부터 부수적으로 발생되는 전자파가 그 자체의 기기 또는 타 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EMI 성능이 나빠지는 경우, 차량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는 전류 리플이 이그니션 출력단에 발생하는 것을 저감하도록 도 1과 같이, 다이오드(140)를 이용한다. 이하, 이그니션 출력단의 전류 리플을 저감하는 비상 구동 회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부(110)는 제어부에 제어전원을 인가한다. 전원부(110)는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부에 제어전원을 인가한다. 전원부(110)는 배터리 출력단(120) 또는 이그니션 출력단(130)에서 전원을 인가받는다. 평상시에는 배터리 출력단(120)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부에 맞게 전원을 변환하여 제어전원을 생성하고, 제어전원을 해당 제어부에 인가한다.
배터리 출력단(120)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제1 연결라인을 통해 전원부(110)에 인가되고, 이그니션 출력단(130)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전원부(110)에 인가된다. 이때, 이그니션 출력단(130)이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과 전원부(110) 사이에는 복수의 다이오드(140)가 연결된다.
전원부(110)는 상기 제1 연결라인을 통해 배터리 출력단(120)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거나,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이그니션 출력단(130)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다. 전원부(110)는 평소에는 제1 연결라인을 통해 배터리 출력단(120)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다가,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배터리 출력단(120)의 전류가 끊기거나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이그니션 출력단(130)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다.
평소에는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이그니션 출력단(130)으로부터 전류가 전원부(110)에 인가되지 않고,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만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이그니션 출력단(130)으로부터 전류가 전원부(110)에 인가되어야 되도록 제2 연결라인에 다이오드가 형성되는데, 제1 연결라인에 발생하는 전압 리플에 의해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전류가 전원부(110)에 인가되고, 제2 연결라인에 전류 리플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가 아닌 복수의 다이오드를 제2 연결라인에 연결한다.
복수의 다이오드(140)는 제1 연결라인에 전압 리플(ripple)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연결라인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보다 큰 전압 강하를 제2 연결라인에서 발생시킨다. 즉, 복수의 다이오드를 제2 연결라인에 연결함으로써 전압 리플에 의해 제1 연결라인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보다 제2 연결라인의 전압강하를 크게하여 제2 연결라인을 통한 전원 인가를 방지한다.
다이오드는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반도체 부품으로 한쪽 방향에 대해서 전류를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에 대해서 전류의 흐름을 저지하는 정류 작용을 한다. 다이오드는 전압 강하(Voltage Drop)의 특성을 가진다. 다이오드 전압 강하는 다이오드 출력단의 전압이 입력단의 전압보다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전압 강하의 정도를 나타내는 Vf는 보통 0.7 V이며, 전압 강하의 정도는 다이오드의 종류와 용량에 달라질 수 있다.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 특성을 이용하여, 제2 연결라인의 전압강하를 크게 함으로써 제1 연결라인에 발생하는 전압강하보다 제2 연결라인에 발생하는 전압강하를 크게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의 전압강하보다 제2 연결라인의 전압강하가 큰 경우, 제1 연결라인에 전압 리플이 발생하더라도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전원부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다이오드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전압강하 특성이 강한 하나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지 않고, 복수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압 강하를 크게하여, 제2 연결라인의 전류 리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이오드의 Vf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전류 리플에 의해 제1 연결라인에 발생하는 전압강하가 큰 환경에서는 제2 연결라인을 통한 전류 차단이 어려워진다. 또한,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 Vf는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고온조건에서 Vf가 악화되는데, 차량에 적용되는 비상 구동 회로는 온도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하나의 다이오드만을 이용하여 비상 구동 회로의 다이오드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제1 연결라인에 전압 리플가 발생하더라도 제2 연결라인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기 위해 필요한 전압 강하를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다이오드 즉 2 개 이상의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전압 리플에 의해 제1 연결라인에 전압강하가 발생하더라도 복수의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를 크게 함으로써 제1 연결라인의 전압강하보다 제2 연결라인의 전압강하가 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전원부(110)는 제1 연결라인으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연결라인의 전류 리플이 저감된다.
복수의 다이오드(140)는 도 2의 전류 리플이 큰 비상 구동 회로에서 전원부(11) 바로 전단에 이그니션 출력단 측에 형성되는 다이오드인 D2(14)를 포함할 수 있다. D2(14)에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를 추가하여 복수의 다이오드(14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다이오드(140) 중 하나의 다이오드는 도 2의 D2(14) 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추가적인 다이오드일 수 있다.
복수의 다이오드는 서로 같은 용량의 다이오드일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다이오드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다이오드의 Vf 스펙은 전압 리플에 의해 발생하는 제1 연결라인의 전압 강하보다 제2 연결라인의 전압 강하가 크도록 하는 값일 수 있다. 이는 비상 구동 회로가 적용되는 제품의 스펙이나 환경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다이오드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류 리플을 줄이는 것은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를 크게 하는 것으로, 복수의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각 다이오드의 전압 강하를 이용하여 전체 전압 강하를 크게 할 수 있는 바, 복수의 다이오드는 직렬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는 도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고, 비상 구동 회로는 도 5와 같은 회로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의 회로도는 하나의 예로 도시한 것으로, 회로의 정상적인 동작 또는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커패시터, 다이오드, 접지선 들이 도시되어 있다. 회로도에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이 아닌 다른 구성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회로도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다른 구성들이 추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는 도 4와 같이, 제2 연결라인에서 분기되어 이그니션 출력단의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센싱부(210)는 이그니션 출력단(130)의 전압을 센싱한다. 전압 센싱부(210)는 이그니션 출력단(130)의 전압을 센싱하고 전압 레벨에 따라 각종 스위치 또는 부품들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전압 센싱부(210)인 Voltage sensing block(210)은 도 5와 같이 이그니션 출력단인 KL15(Ignition)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다이오드(140)는 제2 연결라인에서 전압 센싱부(210)가 분기되는 지점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다이오드(140)는 전압 센싱부(210)가 분기되는 지점 이전에 위치하는 경우, 다이오드(140)에 의해 전압 센싱부(210)가 전압을 센싱함에 있어서, 전압 센싱 오차를 크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이그니션 전압 레벨에 의한 온/오프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그니션 출력단(130)과 전압 센싱부(210)가 연결되는 지점은 도 5와 같이, Enable 신호와 전압 센싱이 되는 지점이기 때문에 역전류 보호(Reverse protection)용 다이오드인 D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다이오드(140) 또는 복수의 다이오드(140) 중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가 전압 센싱부(210) 전단에 위치하는 경우, 즉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가 다이오드 D1에 직렬 연결된다면 다이오드 개수의 추가로 늘어난 Vf로 인해 KL15(ignition) 전압 센싱에 오차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작용(side effect)의 발생없이 전압 강하를 크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다이오드(140)는 제2 연결라인에서 전압 센싱부(210)가 분기되는 지점의 후단에 위치시킨다. 즉, 도 5와 같이, 복수의 다이오드(140)인 D5 및 D2는 복수의 다이오드는 제2 연결라인(520) 중 전원부의 입력단 바로 전단에 직렬로 연결한다.
배터리 출력단(120) 측에는 도 4와 같이, 배터리 출력단(120)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수신하여 변환하는 전류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연결라인은 배터리 출력단(120)과 전류 변환부(220)를 연결하는 제3 연결라인에서 분기될 수 있다. 배터리 출력단(120)에서 출력되는 전류는 전원부(110)와 모터 등을 구동하기 위해 전류를 변환하는 전류 변환부(220)로 분기되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변환부(220)는 컨버터 또는 인버터일 수 있다. 모터 구동에 따른 전류 변환부(220)의 동작에 의해 전압 리플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제3 연결라인은 배터리 출력단(120)과 전류 변환부(220)를 연결하는 인덕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출력단(120)에서 출력된 전류는 전원부(110)와 전류 변환부(220)로 인가되는데, 전류 변환부(220)로 인가되는 전류는 인덕터를 통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인덕터(230)는 제3 연결라인에 형성되는 필터를 구성하는 인덕터일 수 있다. 즉, 인덕터는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와 함께 출력 측 필터로 동작할 수 있다.
배터리 출력단(120)에서 출력된 전류를 전원부(110)에 인가하는 제1 연결라인(510)은 도 5와 같이, 인덕터(230) 앞단에서 분기될 수 있다. 배터리 출력단(120)에서 출력된 전류를 인덕터(230) 앞단에서 분기하여 전원부(110)에 인가함으로써 인덕터(230)의 임피던스를 통해 제1 연결라인(510)에 발생하는 전압 리플을 줄일 수 있다.
도 6(A)와 같이, 배터리 출력단인 KL30(Battery+)(12)에서 전원부(Power supply Circuit for control ICs, 11)로 전류 인가하는 연결라인(1)이 인덕터 L1(23) 후단즉, B+_DC_link(15)에 연결되어 분기되는 경우, 도 2의 컨버터 또는 인버터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B+_DC_link(15) 단에 전압 리플이 크게 발생되며, 그 전압 리플로 인해 B+_DC_link(15)의 전압이 가장 낮은 포인트에서 KL15로부터 다이오드 D2를 통해 전류가 유입되어 KL15의 전류 리플이 커지게 된다.
하지만, 도 6(B)와 같이, 배터리 출력단인 KL30(Battery+)(120)에서 전원부(110)로 전류 인가하는 연결라인(510)이 인덕터 L1(230) 전단인 B+_front(150)에 연결하면, 인덕터 L1(230)의 임피던스로 인해 B+_front(150)의 전압 리플이 B+_DC_link의 전압 리플 대비 작기 때문에, KL15로부터 다이오드 D2를 통해 유입되는 전류 리플이 작아지게 된다.
배터리 출력단(120)과 전류 변환부(220)를 연결하는 제3 연결라인은 배터리 출력단(120)과 전류 변환부(220)를 연결하고 역전류를 보호하는 역전류 보호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역전류 보호부(240)는 출력 측 전류 또는 전압 등의 변화나 노이즈가 입력단 측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역전류 보호부(240)는 도 5의 Reverse protection circuit(240)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510)은 역전류 보호부(240) 후단에서 분기될 수 있다. 배터리 출력단(120)과 연결되는 연결라인은 역전류 보호부(240)와 연결되고, 역전류 보호부(240) 후단에서 분기되고, 분기된 연결라인 중 하나의 연결라인은 전원부(110)와 연결되고, 다른 연결라인은 인덕터(230)를 통해 전류 변환부(220)와 연결된다. 즉, 전원부(110)와 연결되는 제1 연결라인(510)은 도 5와 같이, 역전류 보호부(240)와 인덕터(230) 사이의 지점(150)에서 분기된다.
이그니션 출력단 측 전류 리플이 저감된 도 5의 비상 구동 회로를 이그니션 출력단 측 전류 리플이 큰 도 2의 비상 구동 회로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비상 구동 회로는 이그니션 출력단(130)과 전원부(110)를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520)에서 전원부(110) 앞단에 형성되는 다이오드(140)의 구성과 배터리 출력단(120)단과 전원부(11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라인(510)이 인덕터(230) 전단에서 분기되는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이그니션 출력단(130)에 발생하는 전류 리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그니션 출력단(130)과 전원부(110)를 연결하는 복수의 다이오드(140) 또는 복수의 다이오드(140) 및 배터리 출력단(120)에서 전원부(110)로 인가되는 연결라인의 분기점을 인덕터(230) 전단으로 형성함으로써 배터리 출력단(120)에 발생하는 전압 리플에 의해 이그니션 출력단(130)에서 전원부(110)로 전류가 인가되어 이그니션 출력단(130)에 발생하는 전류 리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와 같이, 비상 구동 회로를 구현하는 경우, 이그니션 출력단에서의 전류는 도 7 및 도 8의 결과와 같이 전류 리플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A)은 도 2의 비상 구동 회로에서의 이그니션 측 전류를 측정한 결과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에서의 이그니션 측 전류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7(A)에서 이그니션 측 전류에 전류 리플이 크게 형성되는 것에 반해 도 7(B)에서는 이그니션 측 전류의 전류 리플이 상당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 각각에서의 전류 RMS 값은 도 8과 같다. 도 7(A)의 경우, 206.4 mA로 요구되는 스펙 조건인 10 mA 미만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도 7(B)의 경우, 9.24 mA로 요구되는 스펙 조건인 10 mA 미만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구동 회로는 제어전원 공급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전원 공급장치는 전원부, 배터리 전원 인가부, 이그니션 전원 인가부로 구성되며, 도 1 내지 도 8의 비상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전원 공급장치의 배터리 전원 인가부는 배터리 출력단에 대응되고, 이그니션 전원 인가부는 이그니션 출력단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전원 공급장치는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상기 전원부에 인가하는 배터리 전원 인가부, 및 이그니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복수의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전원부에 인가하는 이그니션 전원 인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 인가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거나, 상기 이그니션 전원 인가부를 통해 상기 이그니션 출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다.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상기 배터리 전원 인가부에 전압 리플(ripple)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전원 인가부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보다 큰 전압 강하를 상기 이그니션 전원 인가부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이그니션 전원 인가부는, 이그니션 출력단의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상기 전압 센싱부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수신하여 변환하는 전류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전원 인가부는,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분기하여 상기 전원부 및 전류 변환부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전원 인가부는, 상기 배터리 출력단과 상기 전류 변환부를 연결하는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상기 인덕터 앞단에서 분기하여 상기 전원부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전원 인가부는, 상기 배터리 출력단과 상기 전류 변환부를 연결하고, 역전류를 보호하는 역전류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상기 역전류 보호부 후단에서 분기하여 상기 전원부에 인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전원부
120: 배터리 출력단
130: 이그니션 출력단
140: 다이오드
210: 전압 센싱부
220: 전류 변환부
230: 인덕터
240: 역전류 보호부

Claims (10)

  1. 제어부에 제어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상기 전원부에 인가하는 제1 연결라인;
    이그니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상기 전원부에 인가하는 제2 연결라인; 및
    상기 제2 연결라인과 상기 전원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거나, 상기 제2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이그니션 출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동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상기 제1 연결라인에 전압 리플(ripple)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연결라인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보다 큰 전압 강하를 상기 제2 연결라인에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동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라인에서 분기되어 이그니션 출력단의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비상 구동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연결라인에서 상기 전압 센싱부가 분기되는 지점의 후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동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수신하여 변환하는 전류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상기 배터리 출력단과 상기 전류 변환부를 연결하는 제3 연결라인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동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라인은,
    상기 배터리 출력단과 상기 전류 변환부를 연결하는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상기 인덕터 앞단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동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상기 제3 연결라인에 형성되는 필터를 구성하는 인덕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동 회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라인은,
    상기 배터리 출력단과 상기 전류 변환부를 연결하고, 역전류를 보호하는 역전류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상기 역전류 보호부 후단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동 회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라인은,
    상기 전류 변환부의 동작에 따라 전압 리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구동 회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상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제어전원 공급장치.
KR1020190140970A 2019-11-06 2019-11-06 차량용 비상 구동 회로 및 제어전원 공급장치 KR20210054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970A KR20210054829A (ko) 2019-11-06 2019-11-06 차량용 비상 구동 회로 및 제어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970A KR20210054829A (ko) 2019-11-06 2019-11-06 차량용 비상 구동 회로 및 제어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829A true KR20210054829A (ko) 2021-05-14

Family

ID=7591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970A KR20210054829A (ko) 2019-11-06 2019-11-06 차량용 비상 구동 회로 및 제어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48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22323A1 (en) Overvoltage-protective device for power system, AC/DC converter and DC/DC converter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US6104149A (en) Circuit and method for improving short-circuit capability of IGBTs
US20150373807A1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current leakage phenomenon occurs on led load and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method thereof
EP2476003A1 (en) Topology surveying a series of capacitors
US6320359B1 (en) DC-DC converter and controller for detecting a malfunction therein
JP4712429B2 (ja) 電圧レギュレータフィードバック保護方法及び装置
US8300427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over current protection method thereof
EP177576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9990023672A (ko) 컨버터 회로 장치
US10263527B1 (en) Power converter
US77466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daptive current limiter
EP2690769B1 (en) Power supply circuit
JP6819302B2 (ja) 状態検出装置
US11509301B2 (en) Electronic switch with current regulation
KR20210054829A (ko) 차량용 비상 구동 회로 및 제어전원 공급장치
CN112039016A (zh) 过电流保护模块及相关的过电流保护方法
CN205646767U (zh) 电源过压保护电路及电源装置
US7781911B2 (en) Power supply circuit having power assigning elements between output branches
US6239998B1 (en) Inverter circuit
KR101466305B1 (ko)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 모니터링 시스템
JP2007116873A (ja) 電源装置
JPWO2019202922A1 (ja) 電力変換装置
CN216819698U (zh) 终端电源供给电路和装置
US9681092B1 (en) Cable TV amplifier system
JP7304826B2 (ja) 半導体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