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232A -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232A
KR20210054232A KR1020190140105A KR20190140105A KR20210054232A KR 20210054232 A KR20210054232 A KR 20210054232A KR 1020190140105 A KR1020190140105 A KR 1020190140105A KR 20190140105 A KR20190140105 A KR 20190140105A KR 20210054232 A KR20210054232 A KR 20210054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location
smoke concentration
ai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394B1 (ko
Inventor
유홍선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올라이트라이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라이트라이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올라이트라이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0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39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고 내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고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 내의 공기가 유입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 상기 창고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 내의 공기를 실시간으로 흡입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과 상기 화재감지기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고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관으로 흡입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흡입된 공기의 연기농도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Air breathing type fire detection system including fire location sensing fuction}
본 발명은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창고와 같은 공간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서, 실시간으로 파악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기반으로 화재감지와 함께, 화재의 위치 파악까지 가능한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동창고와 같은 폐쇄된 공간을 갖는 내부 환경은 공조기에 의하여 건조하고 빠른 공기의 흐름을 갖게 된다. 그러나 화재 상황에서는 냉동창고의 위와 같은 환경으로 인해 화재가 빠르게 확산되므로 냉동창고의 손상 및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화재를 초기 단계에 감지해야 한다.
도 1은 냉장창고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1)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냉동창고(2)에서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가 사용된다.
이러한 통상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1)은 창고(2)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관(20)과, 이러한 흡입관(20)과 화재감지기(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 그리고 연결관 일측에 구비되어 창고(2) 내부의 공기를 흡입관으로 흡입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31)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화재감지기(10)는 흡입관(20)을 통해 흡입된 창고(2) 내부의 공기에서 연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1)은, 창고(2) 내에 화재가 발생되면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만을 판단할 수 있을 뿐,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파악할 수는 없다.
따라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에서, 화재 유무 뿐 아니라, 동시에 화재의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는 개선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728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307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43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3165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창고와 같은 공간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기반으로 화재감지와 동시, 화재의 위치 파악까지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기 저장되어 DB화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대비, 분석하여 화재여부 판단과 동시에 화재의 위치까지 감지할 수 있는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고 내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고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 내의 공기가 유입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 상기 창고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 내의 공기를 실시간으로 흡입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과 상기 화재감지기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고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관으로 흡입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흡입된 공기의 연기농도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은, 끝단이 폐쇄면으로 구성되며, 외면에 서로 특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흡입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실시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연기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기반으로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화재 위치에 따라 최초 연기가 유입되는 흡입홀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초연기가 유입되는 흡입홀의 위치가 상기 폐쇄면에서 멀어질수록 연기농도변화 기울기값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상기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와, 기 측정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저장하여 DB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측정된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매칭하여, 화재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는, 최초연기가 복수의 흡입홀 각각으로 흡입되는 상태에서의 연기농도변화그래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압력변화그래프를 생성하는 측정부; 상기 압력변화그래프를 기반으로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화재 위치에 따라 최초 연기가 유입되는 흡입홀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압력변화그래프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초연기가 유입되는 흡입홀의 위치가 상기 폐쇄면에서 멀어질수록 압력변화 기울기값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상기 압력변화그래프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와, 기 측정된 화재위치별 압력변화그래프를 저장하여 DB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측정된 압력변화그래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재위치별 압력변화그래프를 매칭하여, 화재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재위치별 압력변화그래프는, 최초연기가 복수의 흡입홀 각각으로 흡입되는 상태에서의 압력변화그래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상기 화재감지기에서 판단한 화재위치정보와, 화애여부정보를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창고 내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흡입관에 형성된 복수의 흡입홀에서 각각의 흡입홀 마다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에 대한 연기농도변화인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저장하는 단계; 흡입펌프를 구동하여, 창고 내의 공기가 흡입관의 흡입홀을 통해 유입되어 연결관을 통해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측정부가 연기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 화재가 발생되어, 최초연기가 상기 복수의 흡입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흡입관으로 유입되어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로 유입되는 단계; 및 판단부가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분석하여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는, 측정된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매칭하여, 화재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상기 화재감지기에서 판단한 화재위치정보와, 화애여부정보를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에 따르면, 냉동창고와 같은 공간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기반으로 화재감지와 동시, 화재의 위치 파악까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기 저장되어 DB화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대비, 분석하여 화재여부 판단과 동시에 화재의 위치까지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통상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의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① 위치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① 흡입홀을 통해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의 구성도,
도 4b는 도 4a 상태에서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서 측정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② 위치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② 흡입홀을 통해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의 구성도,
도 5b는 도 5a 상태에서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서 측정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③ 위치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③ 흡입홀을 통해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의 구성도,
도 6b는 도 6a 상태에서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에서 측정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① 위치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① 흡입홀을 통해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에서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변화그래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② 위치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② 흡입홀을 통해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에서,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변화그래프,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③ 위치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③ 흡입홀을 통해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에서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화재위치별 압력변화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100)은, 창고(2) 내에 구비되는 흡입관(20)과, 연결관(30),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고(2) 외부에 설치되어 창고(2) 내의 공기가 유입되어 화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흡입관(20)은 창고(2) 내부에 설치되어 창고(2) 내의 공기를 실시간으로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관(30)은 흡입관(20)과 화재감지기(1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흡입펌프(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30) 일측에 구비되어, 창고(2) 내부의 공기를 흡입관(20)으로 흡입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는, 흡입된 공기의 연기농도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흡입관(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폐쇄면(22)으로 구성되며, 외면에 서로 특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흡입홀(21)이 형성되어 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흡입펌프(31)의 구동에 의해 창고(2) 내의 공기는 복수의 흡입홀(21)을 통해 흡입관(20)으로 유입되어 연결관(30)을 거쳐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로 유입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연기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11)와, 이러한 측정부(11)에서 측정된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기반으로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기농도변화그래프는 화재 위치에 따라 최초 연기가 유입되는 흡입홀(21)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게 된다. 즉, 최초연기가 유입되는 흡입홀(21)의 위치가 폐쇄면(22)에서 멀어질수록 연기농도변화 기울기값은 증가되게 된다.
이는 폐쇄면(22)에 근접한 흡입홀(21)을 통해 연기가 유입되게 되는 경우 또 다른 흡입홀(21)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연기가 희석되게 되므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에서 측정되는 연기농도변화에 대한 기울기 값은 작고, 흡입홀(21)의 위치가 폐쇄면(22)에서 멀어질 수록 화재 연기가 유입된 후, 희석되는 공기의 양이 적어지므로 연기농도변화에 대한 기울기값은 커지게 된다.
따라서 판단부(12)는 연기농도의 값을 기반으로 화재유무를 판단함과 동시에, 이러한 연기농도변화그래프의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화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는, 측정된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13)와, 기 측정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저장하여 DB화하는 데이터베이스(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2)는 측정된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매칭하여, 화재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는, 최초연기가 복수의 흡입홀(21) 각각으로 흡입되는 상태에서의 연기농도변화그래프이다.
즉, 복수의 흡입홀(21) 각각에 대하여 최초 연기가 유입되는 상황에 대한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미리 저장하여 DB화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DB화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들과, 측정된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매칭하여 일치, 유사한 DB에 저장된 연기농도변화그래프에 대한 화재위치값을, 실제 화재위치로 판단하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① 위치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① 흡입홀(21)을 통해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도 4a 상태에서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에서 측정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② 위치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② 흡입홀(21)을 통해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도 5a 상태에서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에서 측정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③ 위치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③ 흡입홀(21)을 통해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도 6a 상태에서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에서 측정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14)에 기 저장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데이터 베이스(14)에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저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①위치에서 최초연기가 유입되는 상태에서의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저장하고, ②위치에서 최초연기가 유입되는 상태에서의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저장하며 ③위치에서 최초연기가 유입되는 상태에서의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저장하게 된다. 모든 흡입홀(21) 위치에 대해 이러한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저장하여 DB화하게 된다.
그리고 흡입펌프(31)를 구동하여, 창고(2) 내의 공기가 흡입관(20)의 흡입홀(21)을 통해 유입되어 연결관(30)을 통해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의 측정부(11)는 연기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되게 되는 경우, 최초연기가 복수의 흡입홀(21)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흡입관(20)으로 유입되어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판단부(12)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분석하여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즉, 판단부(12)는 측정된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상기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매칭하여, 화재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즉, 도 4b와 같은 연기농도변화그래프가 측정되게 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매칭하여, 화재 위치가 ①위치라고 판단하게 된다. 또한, 도 5b와 같은 연기농도변화그래프가 측정되게 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매칭하여, 화재 위치가 ②위치라고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도 6b와 같은 연기농도변화그래프가 측정되게 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매칭하여, 화재 위치가 ③위치라고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시스템(100)은 앞서 언급한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기반으로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압력값의 변화를 기반으로 화재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감지시스템(100)은, 연결관(30) 일측에 압력센서(32)를 구비하여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의 측정부(11)는 압력센서(32)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압력변화그래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판단부(12)는 이러한 압력변화그래프를 기반으로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화재 위치에 따라 최초 연기가 유입되는 흡입홀(21)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압력변화그래프가 측정되게 된다. 즉, 연기입자의 농도가 클수록 측정되는 압력값이 커지기 때문에, 최초 연기가 어느 위치의 흡입홀(21)을 통해 흡입되는지에 따라 압력변화그래프의 형태가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압력변화그래프는 화재 위치에 따라 최초 연기가 유입되는 흡입홀(21)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게 된다. 즉, 최초연기가 유입되는 흡입홀(21)의 위치가 폐쇄면(22)에서 멀어질수록 압력변화 기울기값은 증가되게 된다.
이는 폐쇄면(22)에 근접한 흡입홀(21)을 통해 연기가 유입되게 되는 경우 또 다른 흡입홀(21)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연기가 희석되게 되므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에서 측정되는 압력변화에 대한 기울기 값은 작고, 흡입홀(21)의 위치가 폐쇄면(22)에서 멀어질 수록 화재 연기가 유입된 후, 희석되는 공기의 양이 적어지므로 압력변화에 대한 기울기값은 커지게 된다.
따라서 판단부(12)는 압력값을 기반으로 화재유무를 판단함과 동시에, 이러한 압력변화그래프의 기울기값을 기반으로 화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는, 압력변화그래프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13)와, 기 측정된 화재위치별 압력변화그래프를 저장하여 DB화하는 데이터베이스(14)를 포함하고, 판단부(12)는 측정된 압력변화그래프와,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화재위치별 압력변화그래프를 매칭하여, 화재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① 위치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① 흡입홀을 통해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에서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변화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② 위치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② 흡입홀을 통해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에서,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압력변화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③ 위치에 화재가 발생된 경우 ③ 흡입홀을 통해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에서 압력센서에서 측정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화재위치별 압력변화그래프는, 최초연기가 복수의 흡입홀(21) 각각으로 흡입되는 상태에서의 개별 압력변화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14)에 기 저장된 화재위치별 압력변화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20)에 형성된 복수의 흡입홀(21)에서 각각의 흡입홀(21) 마다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에 대한 압력변화인 화재위치별 압력변화그래프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흡입펌프(31)를 구동하여, 창고(2) 내의 공기가 흡입관(20)의 흡입홀(21)을 통해 유입되어 연결관(30)을 통해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로 유입되고,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의 측정부(11)가 압력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된다.
화재가 발생되면, 최초연기가 복수의 흡입홀(21)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흡입관(20)으로 유입되어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10)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판단부(12)는 측정된 압력변화그래프를 분석하여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즉, 측정된 압력변화그래프와,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화재위치별 압력변화그래프를 매칭하여, 화재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100)은 앞서 언급한 연기농도모니터링과 압력변화모니터링을 동시에 적용하여 화재위치와 화재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100)은 통신수단(15)에 의해 모니터링부(13)와,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3) 사이를 통신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3)를 사용하는 관리자 등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를 통해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10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직접 제어신호를 사용자 단말기(3)를 통해 전송시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종래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2:창고
10: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
11:측정부
12:판단부
13:모니터링부
14:데이터베이스
20:흡입관
21:흡입홀
22:폐쇄면
30:연결관
31:흡입펌프
32:압력센서
100: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Claims (10)

  1. 창고 내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고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 내의 공기가 유입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
    상기 창고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 내의 공기를 실시간으로 흡입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과 상기 화재감지기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고 내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관으로 흡입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흡입된 공기의 연기농도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끝단이 폐쇄면으로 구성되며,
    외면에 서로 특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흡입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실시간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연기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기반으로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화재 위치에 따라 최초 연기가 유입되는 흡입홀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연기가 유입되는 흡입홀의 위치가 상기 폐쇄면에서 멀어질수록 연기농도변화 기울기값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는,
    상기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와, 기 측정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저장하여 DB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측정된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매칭하여, 화재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는, 최초연기가 복수의 흡입홀 각각으로 흡입되는 상태에서의 연기농도변화그래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상기 화재감지기에서 판단한 화재위치정보와, 화재 발생 여부 정보를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8. 창고 내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흡입관에 형성된 복수의 흡입홀에서 각각의 흡입홀 마다 최초연기가 흡입되는 상태에 대한 연기농도변화인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저장하는 단계;
    흡입펌프를 구동하여, 창고 내의 공기가 흡입관의 흡입홀을 통해 유입되어 연결관을 통해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의 측정부가 연기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
    화재가 발생되어, 최초연기가 상기 복수의 흡입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흡입관으로 유입되어 공기흡입형 화재감지기로 유입되는 단계; 및
    판단부가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분석하여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유무와 화재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는,
    측정된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화재위치별 연기농도변화그래프를 매칭하여, 화재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연기농도변화그래프와, 상기 화재감지기에서 판단한 화재위치정보와, 화재 발생 여부 정보를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방법.
KR1020190140105A 2019-11-05 2019-11-05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 KR102294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105A KR102294394B1 (ko) 2019-11-05 2019-11-05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105A KR102294394B1 (ko) 2019-11-05 2019-11-05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232A true KR20210054232A (ko) 2021-05-13
KR102294394B1 KR102294394B1 (ko) 2021-08-27

Family

ID=7591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105A KR102294394B1 (ko) 2019-11-05 2019-11-05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94325A (zh) * 2021-12-20 2023-06-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冷凝机组的控制方法、装置和冷凝机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656B1 (ko) 2013-10-16 2015-06-25 한국전기연구원 자기 부상 이송 장치
KR101544383B1 (ko) 2012-12-31 2015-08-13 한국기계연구원 안내 전자석 변환 스위치부를 갖는 자기부상 시스템 및 이의 정지 방법
KR101630783B1 (ko) 2013-12-11 2016-06-15 한국기계연구원 안내 기능을 갖는 추진 전자석을 포함하는 자기부상 시스템
KR20160097188A (ko) * 2013-10-16 2016-08-17 엑스트랄리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다양한 흐름 변형에 의한 흡입된 입자 탐지
KR101672899B1 (ko) 2015-02-25 2016-11-04 한국기계연구원 대차 프레임을 개선한 자기부상 열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383B1 (ko) 2012-12-31 2015-08-13 한국기계연구원 안내 전자석 변환 스위치부를 갖는 자기부상 시스템 및 이의 정지 방법
KR101531656B1 (ko) 2013-10-16 2015-06-25 한국전기연구원 자기 부상 이송 장치
KR20160097188A (ko) * 2013-10-16 2016-08-17 엑스트랄리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다양한 흐름 변형에 의한 흡입된 입자 탐지
KR101630783B1 (ko) 2013-12-11 2016-06-15 한국기계연구원 안내 기능을 갖는 추진 전자석을 포함하는 자기부상 시스템
KR101672899B1 (ko) 2015-02-25 2016-11-04 한국기계연구원 대차 프레임을 개선한 자기부상 열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94325A (zh) * 2021-12-20 2023-06-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冷凝机组的控制方法、装置和冷凝机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394B1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6454B2 (en) Air flow sensor
US20100077866A1 (en) Tilt sensor for use with proximal flow sensing device
CN101002972B (zh) 判断流量传感器反接的方法及其呼吸力学测量模块
TWI629670B (zh) 微粒偵測系統及微粒偵測方法
EP2044883A3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detection of the experitory flow limitation
CN108474713B (zh) 喷射装置和泄漏检测模块
CA2606881A1 (en) Vehicle ignition interlock systems with retesting frequency control
KR20210054232A (ko)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
EP2881922B1 (en) Redundant input pipe networks in aspirated smoke detectors
WO2020061095A3 (en) Gas analyzer with chemochromic sensor assembly
CN110006599A (zh) 氦气质谱检漏仪信号的自检装置及自检方法
KR20200091937A (ko) 가스 검출 장치
KR102152657B1 (ko)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
KR20210054233A (ko) 압력변화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파악이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
TWI743225B (zh) 具有距離相依控制氣流傳送的嗅探檢漏器
KR20230163155A (ko) 연기농도 모니터링을 통한 화재위치 조기감지가 가능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시스템 및 감지방법
US20130145866A1 (en) Device for monitoring sample-collection using a piston pump
CN204903099U (zh) 气体泄漏探测系统
CN111929428B (zh) 多功能酒精检测仪及酒精检测方法
CN107748121A (zh) 空气检测器
US117332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false alarm event in gas detection
CN203585480U (zh) 一种具有微漏检测功能的燃气自闭阀
CN107702944B (zh) 一种安全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217244381U (zh) 一种集成有红外光源的双通道呼末二氧化碳传感器
CN105065248A (zh) 变容压缩机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