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005A -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방법 및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방법 및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005A
KR20210054005A KR1020217012105A KR20217012105A KR20210054005A KR 20210054005 A KR20210054005 A KR 20210054005A KR 1020217012105 A KR1020217012105 A KR 1020217012105A KR 20217012105 A KR20217012105 A KR 20217012105A KR 20210054005 A KR20210054005 A KR 20210054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lockchain
reliability
unconfirmed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034B1 (ko
Inventor
이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스터
Publication of KR2021005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6Transaction verification involving fraud or risk level assessment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체인에 참여한 행위자들의 신뢰도를 산출하여 허위뉴스에 관한 신고정보의 확정 판단을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허위뉴스 여부 확인을 위한 신고정보를 다수 주체가 공유할 수 있다.
둘째, 허위뉴스 여부 확인을 하는 주체 및 시스템 관리 주체에게 신뢰도를 통해 보상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셋째, 신뢰도를 기반으로 허위뉴스 여부의 확률적 판단을 하여 허위뉴스 차단 자동화에 기여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방법 및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본 발명은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기술에 있어서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방법 및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각종 금융사기, 허위 매물에 의한 부정 매매행위, 허위 경력 내지 허위 근무조건 제공행위, 허위 뉴스, 허위 유전체 등 각종 허위 정보들을 이용한 부정 행위가 문제됨에 따라, 각종 사기 행위와 관련된 신고정보가 일반인 및 각 기관에 확실히 제공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허위뉴스는 많은 국가에서 정치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다만, 종래 이러한 온라인상의 신고정보는 신뢰할만한 각 유관기관에서 수집, 보유하고 있어 일반 국민뿐 아니라 각 유관기관들 사이에서도 서로의 정보를 조회할 환경이 마련되지 못하는 정보 비대칭의 실정일 뿐더러 사기 의심 정보의 중복문제, 진위 판정에 따른 비용 및 시간 소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 허위 의심 관련 정보를 공유하여 정보 비대칭을 해결함과 함께 공유된 각종 허위 의심정보의 평가에 있어 신뢰할만한 판단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등록특허 10-1206863(등록일자 :2012년11월26일)에 온라인 네트워크 사용자가 작성한 온라인 네트워크 포스트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온라인 네트워크 사용자간의 피드백에 기반한 사회성을 고려하여 온라인 네트워크 사용자의 평판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판도(reputation) 산출 장치에서 구현되는 온라인 네트워크 사용자의 평판도 산출 방법으로서, 상기 평판도 산출 장치는, 수신부에서 복수의 온라인 네트워크 사용자가 작성한 온라인 네트워크 포스트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정보 획득부에서 사용자 각각이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확률인 제 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평판도 점수 산출부에서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사용자의 평판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네트워크 사용자의 평판도 산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공보의 기술은 평판도를 유저간의 사회적 관계에 기인해 산출할뿐 유저가 생산한 각종 정보의 허위여부는 고려되지 못하고 있어 평판도의 활용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체인에 참여한 행위자들의 신뢰도를 산출하여 허위뉴스에 관한 신고정보의 확정 판단을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블록생성자로 이루어지는 노드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블록체인과 접속하기 위한 블록체인 접속부; 상기 접속부를 통해 가져온 노드간의 트랜잭션 정보들에 대한 정보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관리부; 상기 트랜잭션 정보들을 기반으로 블록체인에 올려진 미확정 신고정보들을 올린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신뢰도 산출부; 상기 신뢰도 산출부에서 산출된 신뢰도 정보 및 기확보 신고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신규로 올려진 미확정 신고정보가 확정 신고정보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블록체인으로 제공하는 신고정보 판단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블록생성자로 이루어지는 노드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블록체인과 접속하기 위한 블록체인 접속기능; 상기 접속기능을 통해 가져온 노드간의 트랜잭션 정보들에 대한 정보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관리기능; 상기 관리기능을 통해 가져온 트랜잭션 정보들을 기반으로 블록체인에 올려진 미확정 신고정보들을 올린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신뢰도 산출기능; 상기 신뢰도 산출기능에서 산출된 신뢰도 정보 및 기확보 신고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기능; 상기 저장기능에서 저장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신규로 올려진 미확정 신고정보가 확정 신고정보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상기 접속기능을 통해 블록체인으로 제공하는 신고정보 판단기능;을 컴퓨터장치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클라이언트의 신고를 받은 각종 기사에 관한 신고정보 및 클라이언트 정보를 수집하여 해싱(Hashing)하는 수집단계; 상기 수집단계에서 수집되어 해싱된 신고정보 및 클라이언트 정보들을 해시값으로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정보들을 블록체인에 행위자가 올린 신고정보가 실제 신고정보로 판명된 확률 및 행위자의 부정확정 신고정보 활용도를 포함하는 판단변수로 산출하는 변환단계; 상기 변환단계에서 산출된 판단변수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신뢰도 점수를 산출하는 신뢰도 산출단계; 상기 신뢰도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신뢰도 점수, 단기간 내 미확정 신고정보 제공 빈도, 미확정 신고정보 중복 제공 빈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평가 변수를 통해 미확정 신고정보의 부정여부를 판단하여 부정확정 신고정보로 판명하는 판명단계; 및 상기 판명단계를 통해 판명된 신고정보의 부정여부에 따라 상기 신뢰도 산출단계에 의해 산출된 신뢰도 점수를 새로운 신뢰도 점수로 갱신하는 갱신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허위뉴스 여부 확인을 위한 신고정보를 다수 주체가 공유할 수 있다.
둘째, 허위뉴스 여부 확인을 하는 주체 및 시스템 관리 주체에게 신뢰도를 통해 보상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셋째, 신뢰도를 기반으로 허위뉴스 여부의 확률적 판단을 하여 허위뉴스 차단 자동화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노드들이 이용하는 신고정보의 트랜잭션으로 생성된 복수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블록체인과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서버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산출부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고정보 판단부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 블록체인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10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일종의 분산 원장을 저장하고 있는 복수 대의 노드(Node)로 구성된 P2P(Peer to Peer) 분산 네트워크(Network)를 의미한다. 이러한 블록체인은 적어도 일부의 노드가 동일한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노드가 가진 정보가 위변조되더라도 블록체인 전체는 영향을 받지 않는 특징이 있다. 노드는 블록체인에 연결된 모든 컴퓨팅(Computing)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는 디지털 지갑(Digital wallet), 블록체인 복사본, 검증 엔진, 채굴 엔진, P2P 네트워크 배포 기능(브로드캐스트(Broadcast))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좀 더 단순한 기능을 갖는 클라이언트들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노드는 행위자로서 블록생성자(BP회원(Block Producer))을 포함한다. 이는 기존 블록체인에서 이용하는 POW(Proof of work) 등에서 구현될 때보다 트랜잭션 전송, 검증, 블록 생성 등에 있어 클라이언트들이 제한된 노드인 블록생성자(BP회원)에게 권한을 위임하여 역할을 수행하게 함으로서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함이다. 클라이언트는 허위뉴스를 신고하여 부정확정 판단을 위한 블록체인용 정보판단 서버에 제보행위 등을 할 수 있다. 블록생성자(BP회원)는 여기서 네트워크 라우팅 모듈(routing module)을 포함하면서 트랜잭션 생성 및 저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은 네트워크 라우팅 모듈만을 포함하는 라이트웨이트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노드는 트랜잭션 내역 보관, 트랜잭션 승인, 분산합의 등의 역할을 하며 클라이언트은 트랜잭션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노드는 트랜잭션 보관 데이터베이스를 가진다. 이를 활용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는 별도의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상의 스토리지에 가지고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은 트랜잭션 보관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블록체인상의 노드의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뉴스 데이터에 대한 해시값(Hash) 및 클라이언트에 대한 해시값과 공개키, 개인키 등 인증모듈이 연동되고, 개인키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회원 정보와 연결되어 클라이언트 관리가 될 수 있다.
상술한 저장부(150)에는 BP 정보, 클라이언트 정보, 매체정보, 기사정보(신고된 뉴스 페이지 주소(URL), 썸네일(Thumbnail), 매체ID 등), 기사 및 클라이언트 신뢰도 점수, 코인 트랜잭션 정보(지급내역, 사용내역 등)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는 신고된 뉴스 페이지 주소(URL), 썸네일(Thumbnail) 데이터, 클라이언트 신뢰도 점수 등이 저장될 수 있고, 블록체인에는 상술한 뉴스 URL, 썸네일 및 회원정보 등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해시값(Hash), 타임스탬프값(Timestamp)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상의 노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의 해시값(Hash), 타임스탬프(Timestamp) 등이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의 회원 가입 정보에 대해 저장부(150)에는 식별가능한 아이디 등을 원본으로 저장하여 조회가 가능하게 하며, 블록체인에는 이를 해시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퍼블릭 블록체인이나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두가지 블록체인이 상호작용을 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빗 블록체인 중 하나인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누구에게나 열람/전송이 가능한 공개된 형태의 퍼블릭(Public) 블록체인과 달리 마이닝(Mining) 등이 필요하지 않고 미리 선정된 노드에 의해 통제되는 반 중앙형 블록체인이다. 이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성격을 가지며 한정된 기관에서 각각 노드를 운영하고 각 기관의 노드 간 동의가 있어야 거래가 이루어진다. 다만 열람은 대중에게 부여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러한 컨소시엄 블록체인에서 구현되는 경우. 행위자 중 기관 등이 해당하는 블록생성자(BP회원)가 운용하는 노드를 통해 구성된 반중앙형 블록체인에 연결된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에 클라이언트은 신고정보의 부정확정 정보의 열람 내지 부정확정 판단을 위한 신고 등을 할 수 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 상의 BP 등의 노드는 상술한 다량의 트랜잭션의 무결성, 보안 등을 위해 트랜잭션의 생성, 저장, 검증 등의 관리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블록생성자(BP회원)인 노드들은 블록체인이 보장하는 부정확정 신고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블록체인에 참여한다. 노드들이 정보를 이용할 때마다 발생하는 트랜잭션이 기록되도록 블록 생성 정책 주기에 따라 수집된 트랜잭션에 대한 검증작업을 수행하여 블록들이 생성되며, 이를 통해 블록체인을 이룬다. 블록생성자(BP회원)인 노드들은 적극적으로 블록체인에 참여하여 활동할수록 보상으로 높은 신뢰도를 부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참여 기관들은 적극적으로 부정 신고정보를 공유하면서 데이터베이스(database)가 단일화될 수 있으므로 신고정보 검증에 불필요한 시간 및 비용 등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참여 기관들은 자신들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블록체인에서 활동할 것이 기대된다.
신고행위를 한 클라이언트는 신고를 하거나 신고정보가 부정확정 정보로 판명되어 허위뉴스를 찾아내었을 경우 별도의 보상용 블록체인을 통해 코인 등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보상을 통해 클라이언트들의 신고행위에 대한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즉, 이러한 블록체인 시스템은 종래 각기 흩어져 있는 부정 신고정보를 단일화하면서도 트랜잭션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용을 촉진하도록 참여 주체인 기관의 동기부여를 위해 적극적 참여시 그 보상으로 신뢰도를 부여하며, 미확정 신고정보를 부정 신고정보로 확정함에도 상술한 신뢰도를 기반으로 판정함으로써 보다 신뢰할만한 부정 신고정보를 확정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접속부(110), 신뢰도 산출부(130), 관리부(140), 저장부(150), 신고정보 판단부(160)를 포함한다.
접속부(110)는 블록생성자(BP회원)로 이루어지는 노드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블록체인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블록체인에 트랜잭션(Transaction)을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는 네트워크 라우팅 모듈(Network Routing Module)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접속부(110)를 통해 행위자들은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정보를 이용할 때마다 트랜잭션이 발생한다. 이러한 트랜잭션의 생성, 저장은 노드들에 의해 블록체인 위에서 이루어진다.
관리부(130)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가져온 트랜잭션 정보들에 대한 추가, 이전, 갱신, 및 삭제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후술하는 신뢰도 산출 및 신고정보 판단에 필요한 판단 변수들을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들로부터 산출하는 업무도 수행할 수 있다. 관리부(130)에서는 상기 트랜잭션 정보들을 해시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판단 변수들은 클라이언트의 트랜잭션 발생도, 블록체인에 클라이언트이 올린 신고정보가 실제 신고정보로 판명된 확률, 클라이언트의 부정확정 신고정보 활용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신뢰도 산출부(14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 또는 블록체인의 노드에 저장된 해시값을 기반으로 신고정보들을 올린 행위자들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한다. 또한, 신뢰도 산출부는 상술한 관리부(130)에서 산출한 다양한 판단 변수를 이용해서 신뢰도를 산출하는 신뢰도 산출수단 및 상기 신뢰도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신뢰도를 새로운 신뢰도로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변수는 적용가능한 경우에 따라 달리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이를 통해 각 행위자들의 신뢰도는 갱신되며 각 행위자들에게 제공된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에서의 적극적인 참여로 신뢰도가 제고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신뢰도는 행위자들의 참여에 따른 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상기 관리부(130)에서 산출한 판단변수, BP 정보, 클라이언트 정보, 매체 정보(국가, 기본URL 등), 기사 정보 (웹 크롤러(Web Crawler)에 의해 수집된 URL, 썸네일 등의 해시값 등), 기사 및 클라이언트의 신뢰도 점수 및 기확보정보와 신고정보 등이 저장된다.
신고정보 판단부(160)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뢰도 산출부에서 산출된 신뢰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관리부(130)에서 산출한 판단 변수 및 신고한 클라이언트의 신뢰도 점수를 기반으로 신규로 올려진 미확정 신고정보가 부정확정 신고정보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블록체인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판단 변수는 일반적인 행위자들의 회원 정보, 각 노드를 운영하는 기관에서 수집한 거래 정보로 부정 확정되거나 미확정 된 신고정보, 블록체인에 행위자가 올린 신고정보가 실제 부정 거래인지 판명된 개수, 행위자의 부정확정 신고정보 활용도, 단기간 내 미확정 신고정보 제공 빈도, 미확정 신고정보 중복 제공 빈도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판단 변수는 수시로 관리부(130)을 거치며 새롭게 저장되어 갱신되거나 폐기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고정보 판단부(160)는 제공된 신고정보가 일정 기준치를 만족할 때 작동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각 행위자들이 처음 신고 등을 할 때가 아니라 반복 신고가 이루어져 빈도수가 일정 기준을 넘거나 특정 시간내에서 반복해서 이루어지거나 신뢰도가 높은 행위자에 의해 신고가 이루어지는 등의 기준을 만족할 때부터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신고정보 판단부(160)는 정보추출수단(161), 행위자 확인수단(162), 정보 판단수단(163) 및 정보제공수단(164)를 포함한다.
정보추출수단(161)은 저장부에 새로 저장되는 신규의 정보들 중 미확정 신고정보 추출한다.
행위자 확인수단(162)은 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미확정 신고정보를 올린 행위자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신뢰도 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행위자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한다.
정보 판단수단(163)은 행위자 확인수단(152)에서 확인된 행위자 및 해당 행위자의 신뢰도 정보를 기반으로 미확정 신고정보의 부정여부를 판단하여 부정확정 신고정보로 판명한다.
정보제공수단(164)은 정보 판단수단(163)에 의해 판단된 결과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블록체인으로 제공하고 저장부에 제공한다.
또한, 정보 판단수단(163)은 행위자의 신뢰도 정보, 단기간 내 미확정 신고정보 제공 빈도, 미확정 신고정보 중복 제공 빈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판단 변수를 통해 미확정 신고정보의 부정여부를 판단하여 부정확정 신고정보로 판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변수는 적용가능한 경우에 따라 달리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정보 제공수단(164)이 제공하는 정보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결과는 판단 변수에 따라 확률적으로 판명된 부정 확정 신고정보이며 블록체인에 제공되도록 접속부에 제공되어 행위자들이 신고정보의 부정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으며, 신뢰도 산출수단 및 신고정보 판단부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제공하는데 공여된다.
<구체적인 신고정보 부정확정 판단 프로세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행위자의 신뢰도 등을 기반으로 한 신고정보의 부정 확정 판단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적용가능한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블록체인으로 연결된 각 행위자들은 접속부(110)를 통해 기판단된 부정 확정 신고정보 등을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상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용하면서 이러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게 된다. 이하는 신규로 등록되는 미확정 신고정보에 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먼저, 홈페이지, 커뮤니티, 언론사 등 정보 게재 또는 거래가 이루어지는 동안 각 행위자들의 신고 또는 제보행위에 의해 게재정보 또는 거래정보는 미확정 신고정보가 접속부(110)를 통해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크롤러(Web Crawler) 등으로 이미 수집된 허위뉴스의 URL, 썸네일 등과 비교하여 중복 신고된 신고정보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때 수집된 정보는 해싱(Hashing)되어 해시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중복판단시에는 신규로 등록되는 미확정 신고정보에 대해 위 해시값과 대비하여 판단한다.
이러한 미확정 신고정보가 일정한 기준을 넘도록 반복 신고 등이 이루어진다면 신고정보 판단부(160)에 의해 부정 확정 판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정보추출수단(161)은 새로 저장되는 신규 정보 중 미확정 신고정보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한다. 행위자 확인수단(162)은 미확정 신고정보를 올린 행위자의 신뢰도 정보를 저장부에서 조회하여 확인한다. 이후 정보판단수단(163)은 이미 산출되어진 각 신고 내지 제보한 행위자의 블록체인에 기록된 트랜잭션 내지 신뢰도 등을 기반으로 한 상술한 변수들에 의해 확률적으로 신고정보의 부정 확정을 판단할 수 있다. 다시 판단된 결과는 상기 접속부를 통해 각 행위자들에게 제공되고 저장부에 제공하여 저장된다.
이에 따라 차후 실제 신고정보 여부 등이 판명이 난다면 이러한 신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행위자는 신뢰도 산출부(130)상의 신뢰도 산출 수단(131)에 의해 각종 판단 변수에 의해 주기적으로 신뢰도가 산출되며 갱신수단(132)에 의해 신뢰도는 갱신된다. 이렇게 갱신된 신뢰도는 다시 상술한 바와 같이 신고정보 판단부(160)에서 신고정보 부정 확정 판단에 이용된다. 또한, 갱신된 신뢰도는 신고 내지 제보를 한 각 행위자에게 보상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추가로 신고행위를 한 클라이언트는 신고정보가 부정확정 정보로 판명되어 허위뉴스를 찾아내었을 경우 별도의 보상용 블록체인을 통해 코인 등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보상을 통해 클라이언트들의 신고행위에 대한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다만, 상술한 프로세스의 순서 내지 변수는 유동적일 수 있음을 고려해야한다.
<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설명>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은 접속기능, 추출기능, 신뢰도 산출기능, 저장기능 및 신고정보 판단기능을 포함한다.
블록체인 접속기능에 의해 클라이언트 및 블록생성자(BP회원)로 이루어지는 행위자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블록체인과 접속할 수 있다.
관리기능에 의해 상기 접속기능에 의해 가져온 트랜잭션 정보들에 대한 추가, 이전, 갱신, 및 삭제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관리할 수 있다.
신뢰도 산출기능에 의해 추출기능에 추출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블록체인에 올려진 신고정보들을 올린 행위자들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저장기능에 의해 신뢰도 산출기능에서 산출된 신뢰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은 저장기능에 저장된 신뢰도를 기반으로 신규로 올려진 미확정 신고정보가 부정확정 신고정보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블록체인으로 제공하는 신고정보 판단기능을 컴퓨터장치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발명의 나머지 기술도 마찬가지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에 과한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방법 설명>
상술한 본 발명의 제1형태 및 제2형태의 구체적인 작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인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방법은 수집단계, 저장단계, 변환단계, 산출단계, 판명단계 및 갱신단계를 포함한다.
수집단계는 클라이언트의 신고를 받은 각종 기사에 관한 신고정보 및 클라이언트 정보를 수집하여 해싱(Hashing)한다. 해싱은 하나의 문자열을 원래의 것을 상징하는 더 짧은 길이의 값이나 키로 변환하는 것으로 해시값을 대조하여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저장단계는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신고정보 및 클라이언트 정보들은 서버의 저장부에 저장하고 해싱된 신고정보 및 클라이언트 정보들은 해시값으로 블록체인에 저장한다.
변환단계는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정보들을 통해 행위자가 올린 신고정보가 실제 신고정보로 판명된 확률 및 행위자의 부정확정 신고정보 활용도를 포함하는 판단변수로 산출한다.
산출단계는 변환단계에서 산출된 판단변수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신뢰도 점수를 산출한다.
판명단계는 신뢰도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신뢰도 점수, 단기간 내 미확정 신고정보 제공 빈도, 미확정 신고정보 중복 제공 빈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평가 변수를 통해 미확정 신고정보의 부정여부를 판단하여 부정확정 신고정보로 판명한다. 상술한 평가변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갱신단계는 판명단계를 통해 판명된 신고정보의 부정여부에 따라 상기 신뢰도 산출단계에 의해 산출된 신뢰도 점수를 새로운 신뢰도 점수로 갱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용 정보를 판단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각기 흩어져 있는 부정 신고정보를 단일화하는데 있어 참여 주체인 기관의 동기부여를 위해 적극적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서 신뢰도를 부여하며, 미확정 신고정보를 부정 신고정보로 확정함에도 부여된 신뢰도를 기반으로 산출함으로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부정 신고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100: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110: 접속부

130: 신뢰도 산출부
131: 신뢰도 산출수단
132: 갱신 수단
140: 관리부
150: 저장부
160: 신고정보 판단부
161: 정보 추출수단
162: 행위자 확인수단
163: 정보 판단수단
164: 정보 제공수단

Claims (12)

  1. 블록생성자로 이루어지는 노드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블록체인과 접속하기 위한 블록체인 접속부;
    상기 접속부를 통해 가져온 노드간의 트랜잭션 정보들에 대한 정보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관리부;
    상기 관리부를 통해 가져온 트랜잭션 정보들을 기반으로 블록체인에 올려진 미확정 신고정보들을 올린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신뢰도 산출부;
    상기 신뢰도 산출부에서 산출된 신뢰도 정보 및 기확보 신고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신규로 올려진 미확정 신고정보가 확정 신고정보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블록체인으로
    제공하는 신고정보 판단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 산출부는,
    클라이언트의 신뢰도는 클라이언트의 트랜잭션 발생도, 블록체인에 클라이언트가 올린 신고정보가 실제 부정확정 신고정보로 판명된 확률, 클라이언트의 부정확정 신고정보 활용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판단 변수를 이용해서 산출하는 신뢰도 산출수단; 및
    상기 신뢰도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신뢰도를 새로운 신뢰도로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포함하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정보 판단부는,
    상기 저장부에 새로 저장되는 신규의 정보들 중 미확정 신고정보 추출하는 정보 추출수단;
    상기 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미확정 신고정보를 올린 행위자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신뢰도 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행위자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하는 행위자 확인 수단;
    상기 행위자 확인수단에서 확인된 행위자 및 해당 행위자의 신뢰도 정보를 기반으로 미확정 신고정보의 부정여부를 판단하여 부정확정 신고정보로 판명하는 정보 판단수단; 및
    상기 정보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결과를 저장부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판단수단은,
    행위자의 신뢰도 정보, 단기간 내 미확정 신고정보 제공 빈도, 미확정 신고정보 중복 제공 빈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판단 변수를 통해 미확정 신고정보의 부정여부를 판단하여 부정확정 신고정보로 판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신고한 클라이언트에게 보상용 코인을 지급할 수 있도록 보상용 블록체인에 접속하는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6. 블록생성자로 이루어지는 노드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블록체인과 접속하기 위한 블록체인 접속기능;
    상기 접속기능에 의해 가져온 노드간의 트랜잭션 정보들에 대한 정보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관리기능;
    상기 관리기능에 의해 가져온 트랜잭션 정보들을 기반으로 블록체인에 올려진 미확정 신고정보들을 올린 클라이언트들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신뢰도 산출기능;
    상기 신뢰도 산출기능에서 산출된 신뢰도 정보 및 기확보 신고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기능;
    상기 저장기능에서 저장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신규로 올려진 미확정 신고정보가 확정 신고정보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상기 접속기능을 통해 블록체인으로 제공하는 신고정보 판단기능;을 컴퓨터장치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고정보 판단기능은,
    상기 저장기능에서 새로 저장되는 신규의 정보들 중 미확정 신고정보 추출하는 정보 추출수단;
    상기 정보 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미확정 신고정보를 올린 행위자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신뢰도 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행위자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하는 행위자 확인 수단;
    상기 행위자 확인수단에서 확인된 행위자 및 해당 행위자의 신뢰도 정보를 기반으로 미확정 신고정보의 부정여부를 판단하여 부정확정 신고정보로 판명하는 정보 판단수단; 및
    상기 정보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결과를 저장부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판단수단은,
    행위자의 신뢰도 정보, 단기간 내 미확정 신고정보 제공 빈도, 미확정 신고정보 중복 제공 빈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판단 변수를 통해 미확정 신고정보의 부정여부를 판단하여 부정확정 신고정보로 판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 산출기능은,
    클라이언트의 신뢰도는 클라이언트의 트랜잭션 발생도, 블록체인에 클라이언트가 올린 신고정보가 실제 부정확정 신고정보로 판명된 확률, 클라이언트의 부정확정 신고정보 활용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판단 변수를 이용해서 산출하는 신뢰도 산출수단; 및
    상기 신뢰도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신뢰도를 새로운 신뢰도로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포함하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0. 제6항에 있어서,
    신고한 클라이언트에게 보상용 코인을 지급할 수 있도록 보상용 블록체인에 접속하는 보상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1. 클라이언트의 신고를 받은 각종 기사에 관한 신고정보 및 클라이언트 정보를 수집하여 해싱(Hashing)하는 수집단계;
    상기 수집단계에서 수집한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고, 해싱된 신고정보 및 클라이언트 정보들을 해시값으로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정보들을 통해 행위자가 올린 신고정보가 실제 신고정보로 판명된 확률 및 행위자의 부정확정 신고정보 활용도를 포함하는 판단변수로 산출하는 변환단계;
    상기 변환단계에서 산출된 판단변수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신뢰도 점수를 산출하는 신뢰도 산출단계;
    상기 신뢰도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신뢰도 점수, 단기간 내 미확정 신고정보 제공 빈도, 미확정 신고정보 중복 제공 빈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평가 변수를 통해 미확정 신고정보의 부정여부를 판단하여 부정확정 신고정보로 판명하는 판명단계; 및
    상기 판명단계를 통해 판명된 신고정보의 부정여부에 따라 상기 신뢰도 산출단계에 의해 산출된 신뢰도 점수를 새로운 신뢰도 점수로 갱신하는 갱신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각 단계는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명단계에서 신고정보가 부정확정 신고정보로 판명되면 신고한 클라이언트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보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방법.
KR1020217012105A 2018-10-24 2018-10-24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방법 및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573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2643 WO2020085531A1 (ko) 2018-10-24 2018-10-24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방법 및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005A true KR20210054005A (ko) 2021-05-12
KR102573034B1 KR102573034B1 (ko) 2023-09-01

Family

ID=7033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105A KR102573034B1 (ko) 2018-10-24 2018-10-24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서버,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방법 및 블록체인용 정보 판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98126A1 (ko)
KR (1) KR102573034B1 (ko)
WO (1) WO20200855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807A (ko) * 2021-11-05 2023-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28B1 (ko) * 2012-10-19 2014-03-13 한국과학기술원 게시물의 신뢰도를 표시할 수 있는 온라인 게시판 시스템 및 온라인 게시판의 게시물의 신뢰도 표시 방법
KR20170038181A (ko) * 2017-03-19 2017-04-06 이기백 웹 기반 개인 평판 작성, 조회 및 변호 시스템
KR101869815B1 (ko) * 2017-06-22 2018-06-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집단지성을 이용한 뉴스 판단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7823B2 (en) * 2004-05-02 2008-11-25 Markmonito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data related to possible online fraud
US8869245B2 (en) * 2011-03-09 2014-10-21 Ebay Inc. Device reputation
US8813239B2 (en) * 2012-01-17 2014-08-19 Bitdefender IPR Management Ltd. Online fraud detection dynamic scoring aggregation systems and methods
US9852427B2 (en) * 2015-11-11 2017-12-26 Idm Glob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anction screening
KR102514457B1 (ko) * 2017-01-10 2023-03-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록체인을 이용한 공공 단체의 거래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443310B2 (en) * 2017-12-19 2022-09-13 Paypal, Inc. Encryption based shared architecture for content classific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28B1 (ko) * 2012-10-19 2014-03-13 한국과학기술원 게시물의 신뢰도를 표시할 수 있는 온라인 게시판 시스템 및 온라인 게시판의 게시물의 신뢰도 표시 방법
KR20170038181A (ko) * 2017-03-19 2017-04-06 이기백 웹 기반 개인 평판 작성, 조회 및 변호 시스템
KR101869815B1 (ko) * 2017-06-22 2018-06-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집단지성을 이용한 뉴스 판단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wayHertz. ‘BLOCKCHAIN IN FAKE NEWS - TRANSFORMING NEWS INDUSTRY’. 블로그 게시물, 2018.9.15. (출처: https://www.leewayhertz.com/blockchain-fake-news/)* *
이세훈 외 1명.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가짜 뉴스 신뢰성 검증 플랫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제26권 제2호, 2018.7., pp.78-7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807A (ko) * 2021-11-05 2023-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세탁-건조장치의 연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5531A1 (ko) 2020-04-30
US20210398126A1 (en) 2021-12-23
KR102573034B1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9791B2 (ja) 掲示板情報管理システム
Matzutt et al. Thwarting unwanted blockchain content insertion
EP3655905B1 (en)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JP2022549581A (ja) Dag構造のブロックチェーンにおいてブロックの連続的順序を決定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方法、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Dennis et al. Rep on the roll: a peer to peer reputation system based on a rolling blockchain
Dhall et al. Blockchain-based framework for reducing fake or vicious news spread on social media/messaging platforms
US20200409952A1 (en) Sql processing engine for blockchain ledger
CN110599331B (zh) 基于区块链的债务催收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1860856B2 (en) Managing distributed ledger storage space
CN110827028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采集交易系统和方法
KR20220149702A (ko) 블록체인을 위한 더 빠른 뷰 변경
US11507535B2 (en) Probabilistic verification of linked data
Wijaya et al. On the unforkability of monero
US20220329436A1 (en) Token-based identity validation via blockchain
US11343313B1 (en) Fault tolerant periodic leader rotation for blockchain
US20210117404A1 (en) Offline verification with document filter
DE112021002053T5 (de) Verrauschte Transaktion zum Schutz von Daten
Snow et al. Business processes secured by immutable audit trails on the blockchain
KR20230005353A (ko) 탈중앙화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허가된 이벤팅
Bruschi et al. Tunneling trust into the blockchain: A merkle based proof system for structured documents
US20210126787A1 (en) Optimal endorser node determination based on state
Elgohary et al. Improving uncertainty in chain of custody for image forensics investigation applications
Kaushik et al. Role of blockchain technology in digital forensics
EP41200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retrieval,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Zhao Graph-based forensic investigation of bitcoin trans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