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375A - 피드백 경로를 포함하는 모듈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 - Google Patents

피드백 경로를 포함하는 모듈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375A
KR20210053375A KR1020190138549A KR20190138549A KR20210053375A KR 20210053375 A KR20210053375 A KR 20210053375A KR 1020190138549 A KR1020190138549 A KR 1020190138549A KR 20190138549 A KR20190138549 A KR 20190138549A KR 20210053375 A KR20210053375 A KR 20210053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eedback
modulator
adder
feedback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훈
이병근
김성민
이주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3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3375A/ko
Publication of KR20210053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124Sampling or signal 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A/D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02Provisions or arrangements for saving power, e.g. by allowing a sleep mode, using lower supply voltage for downstream stages, using multiple clock domains or by selectively turning on stages when need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6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 H03M1/08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of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회로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제 1 피드백 블록, 및 제 2 피드백 블록을 포함한다. ADC는 제 1 아날로그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제 1 피드백 블록은, 제 1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노이즈 쉐이핑(noise shaping)을 위해 입력단으로 피드백될 제 1 피드백 신호를 생성한다. 제 2 피드백 블록은,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고, 필터링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제 2 피드백 신호로서 입력단으로 피드백한다. 제 1 아날로그 신호는 제 1 피드백 신호 및 제 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Description

피드백 경로를 포함하는 모듈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ELECTRONIC CIRCUIT IMPLEMENTING MODULATOR INCLUDING FEEDBACK PATH}
본 발명은 전자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피드백 경로를 포함하는 모듈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는 휴대성을 위해 작은 크기로 설계된다. 모바일 장치들은 작은 크기의 반도체 장치들을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는 배터리 등과 같이 한정적인 전력만을 저장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장치를 사용한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를 설계하기 위해 작은 크기에 배치되고, 적은 전력을 소비하는 전자 회로의 설계가 요구된다.
대부분의 모바일 장치들은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AD/DA(Analog to Digital/Digital to Analog) 모듈레이터는 모바일 장치들에 포함되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들 중 하나이다. 높은 성능의 모바일 장치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고해상도의 AD/DA 모듈레이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고해상도의 AD/DA 모듈레이터가 높은 복잡도의 설계를 통해 구현되는 경우, 구현되는 AD/DA 모듈레이터는 넓은 면적에 배치되고 많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 등에 고해상도의 AD/DA 모듈레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낮은 복잡도의 설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AD/DA 모듈레이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피드백 경로들을 통해 높은 차수의 노이즈 쉐이핑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피드백 경로를 포함하는 모듈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회로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제 1 피드백 블록, 및 제 2 피드백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ADC는 제 1 아날로그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피드백 블록은, 제 1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노이즈 쉐이핑(noise shaping)을 위해 입력단으로 피드백될 제 1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피드백 블록은,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고, 필터링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제 2 피드백 신호로서 입력단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제 1 아날로그 신호는 제 1 피드백 신호 및 제 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은 전력을 소모하고 낮은 복잡도로 설계되고 작은 면적에 배치되지만 높은 차수의 노이즈 쉐이핑 특성을 갖는 모듈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모듈레이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예시적인 모듈레이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레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도 3의 제 1 피드백 경로 및 제 2 피드백 경로의 예시적인 구성들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도 2의 모듈레이터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 및 도 3의 모듈레이터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보여주는 그래프 이다.
도 6은 도 3의 모듈레이터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구성들 및 구조들과 같은 세부적인 사항들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의 벗어남 없이 본문에 기재된 실시 예들의 변형들은 통상의 기술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명확성 및 간결성을 위하여 잘 알려진 기능들 및 구조들에 대한 설명들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들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며, 특정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들의 정의는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사항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들 또는 상세한 설명에서의 회로들은 도면에 도시되거나 또는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성 요소 이외에 다른 것들과 연결될 수 있다. 회로들 또는 구성 요소들 사이의 연결은 각각 직접적 또는 비직접적일 수 있다. 회로들 또는 구성 요소들 사이의 연결은 각각 통신에 의한 연결이거나 또는 물리적인 접속일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문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또는 과학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의 맥락적 의미와 동등한 의미를 갖도록 해석되며, 본문에서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 또는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갖도록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모듈레이터(modulator)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듈레이터(100)는 가산기들(110 및 130), 루프 필터(120),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140), 및 피드백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가산기(110)는 모듈레이터(100)의 외부로부터 신호(Vin)를 수신할 수 있다. 가산기(110)는 피드백 DAC(150)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Dfb)를 수신할 수 있다. 가산기(110)는 아날로그 도메인에서 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가산할 수 있다. 예로서, 신호들(Vin 및 Dfb)은 아날로그 신호들일 수 있고, 가산기(110)는 수신되는 신호(Vin)와 신호(Dfb)를 가산하여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가산기(110)는 신호(Vin)의 레벨로부터 신호(Dfb)의 레벨을 빼서 얻어지는 레벨을 갖는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신호들의 레벨들은 전압 레벨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산기(110)는 신호(S1)를 루프 필터(1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가산기(110)는 신호(S1)를 가산기(130)로 피드포워드(feedfoward)할 수 있다.
루프 필터(120)는 가산기(110)로부터 신호(S1)를 수신할 수 있다. 루프 필터(120)는 신호(S1)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예로서, 루프 필터(120)는 신호(S1)에 포함되는 신호 성분들 중 특정 주파수들을 갖는 신호 성분들의 크기들을 감쇄시킬 수 있다. 루프 필터(120)는 신호(S1)를 필터링하여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 루프 필터(1200)는 신호(S2)를 가산기(13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로서, 루프 필터(120)는 적분기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루프 필터(120)는 신호(S1)에 포함된 신호 성분들 중 기준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들을 갖는 신호 성분들의 크기들을 감쇄시킬 수 있다. 예로서, 루프 필터(120)는 수학식 1에 따른 전달 함수 L1(z)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1
단, 수학식 1에서 “z”는 z 변환(z-transform)에 따른 복소 주파수를 나타내고, A1은 루프 필터(120)의 이득을 나타낸다. 루프 필터(120)는 A1의 이득 특성을 갖기 위해, 증폭 소자와 같은 능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루프 필터(12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의 양은 모듈레이터(100)의 다른 구성들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의 양보다 많을 수 있다. 루프 필터(120)가 수학식 1에 따른 전달 함수 L1(z)를 가질 경우, 모듈레이터(100)는 루프 필터에 의해 1차의 노이즈 쉐이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가산기(130)는 루프 필터(120)로부터 신호(S2)를 수신할 수 있다. 가산기(130)는 가산기(110)로부터 피드포워드되는 신호(S1)를 수신할 수 있다. 가산기(110)는 수신되는 신호(S2)와 피드포워드되는 신호(S1)를 가산하여 신호(S3)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가산기(130)는 신호(S1)의 레벨과 신호(S2)의 레벨의 더하여 얻어지는 레벨을 갖는 신호(S3)를 생성할 수 있다.
ADC(140)는 가산기(130)로부터 신호(S3)를 수신할 수 있다. ADC(14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로서, ADC(140)는 신호(S3)를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Dout)를 생성할 수 있다. ADC(140)는 신호(Vin)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신호(Dout)를 모듈레이터(100) 외부의 다른 구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ADC(140)는 디지털 신호(Dout)를 피드백 DAC(150)로 출력할 수 있다.
ADC(140)에 의해 신호(S3)가 변환될 때, 양자화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양자화 에러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때 발생하는 에러로서, 변환되기 전의 아날로그 신호의 레벨과 변환된 후의 디지털 신호의 데이터의 값 사이의 차이와 관련될 수 있다. 여기서, 차이라는 표현은 산술적인 차이를 의미하기보다는 개념적인 차이를 의미한다는 것으로 잘 이해될 것이다.
예로서, 신호(EQ1)의 레벨은 신호(S3)를 디지털 신호(Dout)로 변환할 때 발생되는 양자화 에러의 크기를 표현할 수 있다. 예로서, 신호(EQ1)에 의해 표현되는 양자화 에러의 크기는 신호(S3)의 레벨과 디지털 신호(Dout)의 데이터의 값 사이의 차이와 관련될 수 있다.
피드백 DAC(150)는 ADC(140)로부터 디지털 신호(Dout)를 수신할 수 있다. 피드백 DAC(140)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로서, 피드백 DAC(140)는 디지털 신호(Dout)를 변환하여 신호(Dfb)를 생성할 수 있다. 피드백 DAC(1400)는 신호(Dfb)를 피드백하여 신호(Dfb)를 가산기(11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모듈레이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듈레이터(200)는 가산기들(210_1 내지 210_n, 및 230), 루프 필터들(220_1 내지 220_n), ADC(240), 및 피드백 DAC(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도 1과 비교하면, 가산기들(210_1 내지 210_n)의 예시적인 구성들 및 동작들은 도 1의 가산기(110)의 예시적인 구성 및 동작들과 각각 유사하고, 가산기(230)의 예시적인 구성 및 동작들은 도 1의 가산기(130)의 예시적인 구성 및 동작들과 각각 유사하고, ADC(240)의 예시적인 구성 및 동작들은 도 1의 ADC(140)의 예시적인 구성 및 동작들과 각각 유사하고, 피드백 DAC(250)의 예시적인 구성 및 동작들은 도 1의 피드백 DAC(150)의 예시적인 구성 및 동작들과 각각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피드백 DAC(2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Dfb)는 가산기들(210_1 내지 210_n)로 각각 피드백될 수 있다. 가산기들(210_1 내지 210_n) 각각의 전단의 노드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들은 가산기(230)로 피드포워드될 수 있다. 가산기(230)는 피드포워드 되는 신호들을 합산하여 신호(Sn)를 생성할 수 있다. 가산기(230)는 신호(Sn)를 ADC(240)로 출력할 수 있다.
ADC(240)에 의해 신호(Sn)가 변환될 때, 양자화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예로서, 신호(EQ2)의 레벨은 신호(Sn)를 디지털 신호(Dout)로 변환할 때 발생되는 양자화 에러의 크기를 표현할 수 있다. 예로서, 신호(EQ2)에 의해 표현되는 양자화 에러의 크기는 신호(Sn)의 레벨과 디지털 신호(Dout)의 데이터의 값 사이의 차이와 관련될 수 있다.
루프 필터들(220_1 내지 220_n) 각각은 수학식 1에 따른 전달 함수를 가질 수 있다. 루프 필터들(220_1 내지 220_n)의 개수가 "n"인 경우(단, n은 자연수), 직렬로 연결되는 1차의 루프 필터들(220_1 내지 220_n)에 의해 모듈레이터(200)는 "n"차의 노이즈 쉐이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설계자는 원하는 차수의 노이즈 쉐이핑 차수를 갖는 모듈레이터(200)를 설계하기 위해, 루프 필터들(220_1 내지 220_n)의 개수 및 가산기들(210_1 내지 210_n)의 개수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레이터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듈레이터(300)는 가산기(310), 루프 필터(320), 제 1 피드백 경로(330), ADC(340), 및 제 2 피드백 경로(3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모듈레이터(300)는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로서, 모듈레이터(300)는 모듈레이터(3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노트북 컴퓨터, 이동식 장치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아날로그 신호 및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모듈레이터(30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전자 장치가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가산기(310)는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신호(Vin)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가산기(310)는 전자 장치 외부의 다른 장치/시스템으로부터 신호(Vin)를 수신할 수 있다. 가산기(310)는 제 1 피드백 경로(350)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Xfb)를 수신할 수 있다. 가산기(310)는 제 2 피드백 경로(350)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Dfb2)를 수신할 수 있다.
가산기(310)는 아날로그 도메인에서 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가산할 수 있다. 예로서, 신호들(Vin, Xfb, 및 Dfb2)은 아날로그 신호들일 수 있고, 가산기(310)는 수신되는 신호들(Vin, Xfb, 및 Dfb2)을 가산하여 신호(X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가산기(310)는 신호(Vin)의 레벨로부터 신호(Dfb2)의 레벨과 신호(Xfb)의 레벨을 빼서 얻어지는 레벨을 갖는 신호(X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가산기(310)는 수신되는 신호들(Vin, Xfb, 및 Dfb2)을 가산하기 위한 능동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가산기(310)가, 수신되는 신호들(Vin, Xfb, 및 Dfb2)이 더해지는 노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가산기(310)는 신호(X1)를 루프 필터(320)로 출력할 수 있다.
루프 필터(320)는 가산기(310)로부터 신호(X1)를 수신할 수 있다. 루프 필터(320)는 신호(X1)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예로서, 루프 필터(320)는 신호(X1)에 포함되는 신호 성분들 중 특정 주파수들을 갖는 신호 성분들의 크기들을 감쇄시킬 수 있다. 루프 필터(320)는 신호(X1)를 필터링하여 신호(X2)를 생성할 수 있다. 루프 필터(320)는 신호(X2)를 ADC(340) 및 제 1 피드백 경로(330)로 출력할 수 있다.
루프 필터(320)는 적분기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루프 필터(320)는 수학식 2에 따른 전달 함수 L2(z)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2
단, 수학식 2에서 “z”는 z 변환에 따른 복소 주파수를 나타내고, A2은 루프 필터(320)의 이득을 나타낸다. 루프 필터(320)는 A2의 이득 특성을 갖기 위해, 증폭 소자와 같은 능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피드백 경로(330)는 루프 필터(320)로부터 신호(X2)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피드백 경로(330)는 신호(X2)를 노이즈 쉐이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제 1 피드백 경로(330)는 신호(X2)를 필터링할 수 있다.
예로서, 제 1 피드백 경로는 신호(X2)에 포함되는 신호 성분들 중 특정 주파수들을 갖는 신호 성분들의 크기들을 감쇄시킬 수 있다. 제 1 피드백 경로(330)는 신호(X2)를 필터링 하여 신호(Xfb)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피드백 경로(330)는 신호(Xfb)를 가산기(31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 1 피드백 경로(330)의 예시적인 구성 및 동작들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ADC(340)는 루프 필터(320)로부터 신호(X2)를 수신할 수 있다. ADC(34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로서, ADC(340)는 신호(X2)를 변환하여 신호(Dout)를 생성할 수 있다. ADC(34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전자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ADC(340)는 플래시(Flash) ADC, 파이프 라인(Pipelined) ADC, SAR(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AD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ADC로 구현될 수 있다.
ADC(340)에 의해 신호(X2)가 변환될 때, 양자화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예로서, 신호(EQ3)의 레벨은 신호(X2)를 디지털 신호(Dout)로 변환할 때 발생되는 양자화 에러의 크기를 표현할 수 있다. 예로서, 신호(EQ3)에 의해 표현되는 양자화 에러의 크기는 신호(X3)의 레벨과 디지털 신호(Dout)의 데이터의 값 사이의 차이와 관련될 수 있다.
ADC(1500)는 디지털 신호(Dout)를 모듈레이터(3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로서, ADC(340)는 모듈레이터(3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로 디지털 신호(Dout)를 출력할 수 있고, 디지털 신호(Dout)는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도 6 참조). ADC(340)는 디지털 신호(Dout)를 제 2 피드백 경로(350)로 출력할 수 있다.
제 2 피드백 경로(350)는 ADC(340)로부터 디지털 신호(Dout)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피드백 경로(350)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로서, 제 2 피드백 경로(350)는 디지털 신호(Dout)를 변환하여 신호(Dfb2)를 생성할 수 있다. 피드백 DAC(1400)는 신호(Dfb2)를 피드백하여 신호(Dfb2)를 가산기(31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 2 피드백 경로(350)의 예시적인 구성 및 동작들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가산기(1100)에 의해 피드백 되는 신호들(Xfb 및 Dfb2)의 레벨들이 신호(Vin)의 레벨로부터 빼짐에 따라, 신호들(Xfb 및 Dfb2)의 레벨들과 신호(Vin)의 레벨 사이의 차이 값을 레벨로 갖는 신호(X1)가 생성될 수 있다. 피드백 되는 신호들(Xfb 및 Dfb2)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신호(X1)는 루프 필터(320) 및 ADC(340)를 통해 디지털 신호(Dout)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피드백 경로(330)를 통해 신호(X2)에 기초하여 노이즈 쉐이핑이 계속적으로 수행되고, 제 2 피드백 경로(350)를 통해 디지털 신호(Dout)로부터 변환되는 신호(Dfb2)가 계속적으로 피드백 됨에 따라, 신호(Vin)의 레벨과 디지털 신호(Dout)의 데이터의 값 사이의 차이는 계속적으로 디지털 신호(Dout)로 변환될 수 있다. 계속적인 피드백에 의해, 신호(Vin)의 레벨과 디지털 신호(Dout)의 데이터의 값 사이의 차이는 “0”으로 수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피드백 경로(330) 및 제 2 피드백 경로(350)에 의해 신호(Vin)의 레벨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Dout)가 모듈레이터(30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 1 피드백 경로 및 제 2 피드백 경로의 예시적인 구성들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피드백 경로(330)는 제 1 피드백 필터(331)를 포함하고, 제 2 피드백 경로(350)는 피드백 DAC(351) 및 제 2 피드백 필터(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피드백 경로(330) 및 제 2 피드백 경로(350)는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해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 1 피드백 경로(330) 및 제 2 피드백 경로(350)는 가산기(310)로 피드백될 신호들(Xfb 및 Dfb2)의 레벨들을 조정하기 위한 커패시터들과 같은 수동 소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피드백 필터(331)는 신호(X2)를 필터링 하여 신호(Xfb)를 생성할 수 있따. 제 1 피드백 필터(331)는 신호(Xfb)를 가산기(310)로 피드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3차 및 4차의 고역 통과 필터의 특성들을 갖는 제 1 피드백 필터(331)가 설명될 것이나, 제 1 피드백 필터(331)가 임의의 차수를 갖는 고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갖도록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음이 잘 이해될 것이다.
예로서, 제 1 피드백 필터(331)는 수학식 3에 따른 전달 함수 F1(z)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3을 참조하면, 전달 함수 “F1(z)”은 3차 고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3
예로서, 제 1 피드백 필터(331)는 수학식 4에 따른 전달 함수 F2(z)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4를 참조하면, 전달 함수 F2(z)는 4차 고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4
피드백 DAC(351)는 ADC(340)로부터 디지털 신호(Dout)을 수신할 수 있다. 피드백 DAC(351)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로서, 제 2 피드백 경로(350)로는 디지털 신호(Dout)를 변환하여 신호(Dfb1)를 생성할 수 있다. 피드백 DAC(351)는 신호(Dfb1)를 제 2 피드백 필터(352)로 출력할 수 있다.
제 2 피드백 필터(332)는 신호(Dfb1)를 필터링 하여 신호(Dfb2)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피드백 필터(332)는 신호(Dfb2)를 가산기(310)로 피드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3차 및 4차의 고역 통과 필터의 특성들을 갖는 제 2 피드백 필터(352)가 설명될 것이나, 제 2 피드백 필터(352)가 임의의 차수를 갖는 고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갖도록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음이 잘 이해될 것이다.
예로서, 제 2 피드백 필터(352)는 수학식 5에 따른 전달 함수 H1(z)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3을 참조하면, 전달 함수 H1(z)는 3차 고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5
예로서, 제 2 피드백 필터(332)는 수학식 4에 따른 전달 함수 H2(z)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4를 참조하면, 전달 함수 H2(z)는 4차 고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6
모듈레이터(300)는, 1개의 루프 필터(320)만을 포함하더라도, 제 1 피드백 경로(330) 및 제 2 피드백 경로(352)의 동작들에 의해, 높은 차수의 노이즈 쉐이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쉐이핑의 차수가 충분히 큰 경우, 모듈레이터(300)는 신호(Vin)에 대한 고 해상도의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신호(Dout)의 데이터는 신호(Vin)의 레벨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모듈레이터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 및 도 3의 모듈레이터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보여주는 그래프 이다. 도 5의 예에서, x축은 모듈레이터(200 또는 300)가 갖는 노이즈 쉐이핑 특성의 차수를 나타내고, y축은 모듈레이터(200 또는 30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듈레이터들(200 및 300)이 갖는 노이즈 쉐이핑 특성의 차수들이 증가할수록 모듈레이터들(200 및 30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증가할 수 있다.
예로서, 모듈레이터들(200 및 300)이 더 높은 차수의 노이즈 쉐이핑 특성을 갖기 위해, 모듈레이터들(200 및 300)은 더 복잡한 구성의 필터들(예컨대, 도 2의 루프 필터들(220_1 내지 220_n), 도 3의 루프 필터(320), 도 4의 제 1 피드백 필터(331) 및 제 2 피드백 필터(351))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레이터들(200 및 300)에 포함되는 필터들의 구성이 복잡할수록 필터들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쉐이핑의 차수가 증가할수록 모듈레이터들(200 및 30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증가할 수 있다.
도 2의 루프 필터들(220_1 내지 220_n) 및 도 3의 루프 필터(320) 각각은 다양한 유형의 능동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루프 필터들(220_1 내지 220_n) 및 도 3의 루프 필터(320) 각각은 필터링되는 신호들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루프 필터들(220_1 내지 220_n) 및 도 3의 루프 필터(32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의 양은 모듈레이터들(200 및 3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의 양보다 많을 수 있다.
예로서, 모듈레이터들(200 및 300)이 갖는 노이즈 쉐이핑 특성의 차수가 3인 경우, 모듈레이터(20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P1이고 모듈레이터(30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P1일 수 있다. P2는 P1 보다 클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비교하면, 도 2의 모듈레이터(200)는 k차의 노이즈 쉐이핑 특성을 갖기 위해 k개의 루프 필터들(220_1 내지 220_n)을 포함할 수 있다(단, k는 임의의 자연수). 반면, 도 3의 모듈레이터(300)는 k차의 노이즈 쉐이핑 특성을 갖더라도 하나의 루프 필터(320)만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레이터들(200 및 300)이 갖는 노이즈 쉐이핑 특성의 차수들이 서로 동일할 때, 모듈레이터(200)에 포함되는 루프 필터들(220_1 내지 220_n)의 개수는 모듈레이터(300)에 포함되는 루프 필터(320)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또한, 모듈레이터(200)에 포함되는 루프 필터들(220_1 내지 220_n)의 개수가 모듈레이터(300)에 포함되는 루프 필터(320)의 개수 보다 많기 때문에, 모듈레이터(30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모듈레이터(20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 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모듈레이터(300)가 배치되는 면적은 모듈레이터(200)가 배치되는 면적 보다 작고, 모듈레이터(300)의 설계에 대한 복잡도는 모듈레이터(200)의 설계에 대한 복잡도 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설계자는 적은 전력을 소모하고 작은 면적에 배치되는 모듈레이터(300)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모듈레이터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전자 장치(1000)는 프로세서(1100), 메모리(1200), 스토리지(1300), 통신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0), 센서 블록(1600), 및 버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전자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은 도 6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0)는 도 6에 나타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도 6에 나타내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전자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들을 제어/관리할 수 있다. 예로서, 프로세서(1100)는 범용 프로세서, 전용 프로세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전자 장치(1000)를 동작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산을 처리할 수 있다. 예로서, 프로세서(1100)는 통신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0), 및 센서 블록(1600) 등에 포함되는 모듈레이터(예컨대, 도 3의 모듈레이터(30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들에 기초하여 다양한 연산을 처리할 수 있다.
메모리(1200)는 전자 장치(1000)의 동작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로서, 메모리(1200)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처리된 또는 처리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로서, 메모리(1200)는 통신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0), 및 센서 블록(1600) 등에 포함되는 모듈레이터(예컨대, 도 3의 모듈레이터(30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들이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로서, 메모리(1200)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M), SDRAM(Synchronous 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o-resistive RAM), ReRAM(Resistive RAM), FRAM(Ferro-electric RAM) 등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200)는 이종의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300)는 전력 공급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로서, 스토리지(1300)는 통신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0), 및 센서 블록(1600) 등에 포함되는 모듈레이터(예컨대, 도 3의 모듈레이터(30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들이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로서, 스토리지(1300)는 플래시 메모리, PRAM, MRAM, ReRAM, FRAM 등과 같은 다양한 불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스토리지(1300)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SD(Secure Digital) 카드 등과 같은 착탈식 메모리, 및/또는 eMMC(Embedded Multimedia Card) 등과 같은 내장(Embedded)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400)는 전자 장치(1000)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시스템과 신호들을 교환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통신 장치(1400)는 안테나, 송수신기, 및 MODEM(Modulator/Demodul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ODEM 및/또는 송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모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MODEM 및/또는 송수신기는 도 3의 모듈레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통신 장치(1400)의 송수신기 및/또는 MODEM은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규약에 따라, 외부 장치/시스템과 교환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0)는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0) 사이의 통신을 중재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0)를 통해 명령을 전자 장치(1000)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0)는 사용자의 행동(예컨대, 터치 및 움직임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0)의 센서들은 감지되는 사용자의 행동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0)는 센서들에 의해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변환하기 위한 모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500)는 도 3의 모듈레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0)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5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센서 블록(1500)은 전자 장치(1000)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물리 신호들(예컨대, 빛, 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센서 블록(1500)은 이미지 센서 블록 및 오디오 센서 블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이미지 센서 블록은 전자 장치(1000)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해 렌즈,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신호 처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블록은 렌즈를 통해 빛을 수신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를 통해 수신되는 빛을 광전 변환 하기 위한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광전 변환에 의해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모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이미지 센서는 도 3의 모듈레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기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디지털 신호들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0) 외부의 객체와 관련되는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오디오 센서 블록은 정자 장치(1000)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 처리기 및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센서 블록은 마이크를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기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모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오디오 신호 처리기는 도 3의 모듈레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기는 모듈레이터(30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오디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버스(1700)는 전자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서 통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프로세서(1100), 메모리(1200), 스토리지(1300), 통신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0), 및 센서 블록(1600)은 버스(1700)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로서, 프로세서(1100), 메모리(1200), 및 스토리지(1300)는 버스(1700)를 통해 통신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0), 및 센서 블록(1600)의 모듈레이터(30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버스(1700)는 전자 장치(1000)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포맷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모듈레이터
200: 모듈레이터
300: 모듈레이터
1000: 전자 장치

Claims (1)

  1.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한 노이즈 쉐이핑(noise shaping)을 위해 입력단으로 피드백될 제 1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피드백 블록; 및
    상기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주파수 성분들 중 대상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성분들을 감쇄시켜 생성되는 제 2 피드백 신호를 상기 입력단으로 피드백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피드백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입력 신호는 상기 제 1 피드백 신호 및 제 2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전자 회로.
KR1020190138549A 2019-11-01 2019-11-01 피드백 경로를 포함하는 모듈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 KR20210053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49A KR20210053375A (ko) 2019-11-01 2019-11-01 피드백 경로를 포함하는 모듈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49A KR20210053375A (ko) 2019-11-01 2019-11-01 피드백 경로를 포함하는 모듈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375A true KR20210053375A (ko) 2021-05-12

Family

ID=7591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549A KR20210053375A (ko) 2019-11-01 2019-11-01 피드백 경로를 포함하는 모듈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33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109B1 (ko) 디지털 도메인에서 노이즈 쉐이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모듈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
EP3324611B1 (en) Event-based sensor, user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N107003973B (zh) 用于模拟前端的低功率情境感知控制的方法、电路和设备
US8779957B2 (en) Low distortion feed-forward delta-sigma modulator
US20150123829A1 (en) Apparatuses and method of switched-capacitor integrator
KR101906226B1 (ko)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US20150311914A1 (en) Reconfigurable analog-to-digital converter, image sensor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20161998A1 (en) Ramp signal generator,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nd image sensor
US20220217026A1 (en) Power efficiency in an analog feedback class d modulator
US10827145B2 (en) Analog to digital converting circuit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10053375A (ko) 피드백 경로를 포함하는 모듈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
US20220216836A1 (en) Increasing power efficiency in a digital feedback class d driver
CN108377150B (zh) 增量调制器、包括增量调制器的模数转换器及通信装置
US9338546B2 (en) Circuit assembly for processing an input signal, microphone assembly and method for following an input signal
JP2018508904A (ja) 画像認識アクセラレータ、端末デバイス、および画像認識方法
US20190271753A1 (en) Signal error calibrating method
US20150145585A1 (en) Sample Rate Converter and Rate Estimator Thereof and Rate Estimation Method Thereof
US11411543B2 (en) Power efficiency in an audio playback path
US11581901B2 (en) Digital pre-distortion compensation of digital-to-analog converter non-linearity
US20210050870A1 (en) Digital-to-analog conversion system
KR20120003313A (ko)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102116669B1 (ko) 파이프라인 변환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
US11133737B2 (en) Electronic circuit for compensating voltage based on auto zeroing operation
US20240176584A1 (en) Scalable Switch Capacitor Computation Cores for Accurate and Efficient Deep Learning Inference
Jung et al. Optimal dynamic range scaling of ΔΣ ADC using bias current esti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