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999A - 배터리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999A
KR20210052999A KR1020190138729A KR20190138729A KR20210052999A KR 20210052999 A KR20210052999 A KR 20210052999A KR 1020190138729 A KR1020190138729 A KR 1020190138729A KR 20190138729 A KR20190138729 A KR 20190138729A KR 20210052999 A KR20210052999 A KR 20210052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us bar
battery
battery cells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은
안선모
전해룡
최영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2999A/ko
Priority to US17/086,711 priority patent/US11527804B2/en
Priority to CN202011205562.1A priority patent/CN112786792A/zh
Publication of KR20210052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999A/ko
Priority to US17/985,502 priority patent/US2023006434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모듈은 양단에 각각 양극탭과 음극탭이 형성되며, 복수개가 적층되는 복수의 배터리셀과, 배터리셀들의 일단에 위치한 양극탭들과 음극탭들이 연결되는 제 1 버스바를 갖는 제 1 버스바조립체, 배터리셀들의 타단에 위치한 양극탭들과 음극탭들이 연결되는 제 2 버스바를 갖는 제 2 버스바조립체, 배터리셀들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싱유닛으로서, 제 1, 2 버스바 중 어느 하나의 버스바에 연결되는 센싱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서 주목 받고 있다.
한편, 이차전지를 차량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밀도 향상과 공간적 제약 해소의 과제 해결이 요구되며, 이에 대한 수단으로 전극탭이 위치되는 모서리 보다 전극탭 사이의 모서리 길이가 훨씬 긴 장폭의 배터리 셀이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인 배터리 셀의 폭이 300mm 이하인 반면, 장폭 배터리 셀은 600mm의 폭을 가지며, 초장폭 배터리 셀의 경우 600mm 이상의 폭을 갖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장폭 또는 초장폭 배터리 셀은 전극탭 사이의 길이가 길어져 셀 내부저항이 높아져 전력 손실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셀의 영역별 온도 차가 크기 때문에 배터리 셀의 성능이 낮아지고 수명 또한 줄어드는 문제가 있으며, 자중에 의해 초장폭의 배터리 셀이 휘어지는 문제 등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셀의 성능정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센싱구조를 개선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간효율을 향상시킨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양단에 각각 양극탭과 음극탭이 형성되며, 복수개가 적층되는 복수의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들의 일단에 위치한 양극탭들과 음극탭들이 연결되는 제 1 버스바를 갖는 제 1 버스바조립체; 상기 배터리셀들의 타단에 위치한 양극탭들과 음극탭들이 연결되는 제 2 버스바를 갖는 제 2 버스바조립체; 상기 배터리셀들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싱유닛으로서, 상기 제 1, 2 버스바 중 어느 하나의 버스바에 연결되는 센싱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2 버스바조립체는 상기 배터리셀들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호 이격되게 상기 배터리셀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제 1, 2 버스바 중 어느 하나의 버스바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버스바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온도센서로서, 상기 배터리셀들의 일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버스바조립체는, 상기 제 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양극터미널과, 제 1 음극터미널을 갖는 제 1 터미널을 형성하는 제 1 터미널플레이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버스바조립체는, 상기 제 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양극터미널과, 제 2 음극터미널을 갖는 제 2 터미널을 형성하는 제 2 터미널플레이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터미널과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모듈의 일측에만 센싱유닛을 장착함으로서, 공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의 셀 구조 및 배치구조를 개선하여,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의 내부저항을 최소화하고, 모듈의 냉각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에서, 배터리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정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배터리모듈(10)은 배터리셀(14)이 적층형성되는 배터리적층체(12)와, 배터리적층체(12)를 형성하는 배터리셀(14)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조립체(20, 30)와, 배터리적층체(12) 및 버스바(22, 32)를 수납 보호하는 모듈케이스(6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셀(14)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배터리적층체(12)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하게 설명한다.
버스바조립체(20, 30)는 버스바(22, 32)와, 터미널플레이트(24, 34)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22, 32)는 배터리적층체(12)의 양단에 형성되며, 복수의 배터리셀(14)의 전극탭들(15a, 15b, 16a, 16b)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버스바(22, 32)는 배터리적층체(12)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결합되어, 배터리셀(14)의 양단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된 전극탭들(15a, 15b, 16a, 16b)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터미널플레이트(24, 34)는 버스바(22, 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터미널들(40, 50)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버스바(22, 32)와 연결되는 터미널플레이트(24, 34)는 배터리적층체(12)의 일단에 제 1 양극터미널(42)과 제 1 음극터미널(44)을 형성하고, 배터리적층체(12)의 타단에 제 2 양극터미널(52)과 제 2 음극터미널(54)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양극터미널(42)과 제 1 음극터미널(44)을 제 1 터미널(40), 제 2 양극터미널(52)과 제 2 음극터미널(54)들을 제 2 터미널(50)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배터리모듈(10)의 일단에 있는 제 1 양극터미널(42)과 제 1 음극터미널(44)을 제 1 터미널(40)로, 배터리모듈(10)의 타단에 있는 제 2 양극터미널(52)과 제 2 음극터미널(54)을 제 2 터미널(50)로 각각 명명할 수 있다. 제 1, 2 양극터미널(42, 52)와 제 1, 2 음극터미널(44, 54)는 배터리모듈(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같은 극성의 터미널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2 양극터미널(42, 52)와 제 1, 2 음극터미널(44, 54)는 배터리모듈(10)의 양단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양극터미널들(42, 52)이 배터리모듈(10)의 길이를 형성하는 일측면과 가깝게 배치되면, 음극터미널들(44, 54)는 배터리모듈(10)의 타측면과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모듈(10)은 제 1 터미널(40)로부터 제 2 터미널(50)을 향하는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이방향과 수직한 폭방향의 너비가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모듈(10)은 폭보다 길이가 길고, 양단에 각각 양극터미널과 음극터미널이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플레이트(24, 34)는 버스바(22, 32)와 별도의 구성으로 결합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스바(22)가 상부버스바(22a)와 하부버스바(22b)로 구분되고, 상부버스바(22a)는 터미널플레이트(24)에서 배터리적층체(12)와 마주하는 면에 배치되고, 하부버스바(22b)는 터미널플레이트(24, 34)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버스바(22, 32)는 복수의 전극탭들(15a, 15b, 16a, 16b)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고, 터미널플레이트(24, 34)는 버스바(22, 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터미널(42, 52)과 음극터미널(44, 54)을 형성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모듈케이스(60)는 배터리모듈(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모듈케이스(60)는 안착공간(62b)을 형성하는 케이스바디(62)와, 케이스바디(62)에 결합되는 케이스커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바디(62)는 안착공간(62b)과 연통하는 개구(62a)를 포함하며, 케이스커버(70)는 개구(62a)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커버(70)는 케이스바디(62)의 전후방에 결합되는 전방커버(72)와 후방커버(74), 케이스바디(62)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76)를 포함할 수 있다.
전후방커버(72, 74)는 터미널플레이트(24, 34)의 외측에 결합되어, 각각 터미널플레이트들(24, 34)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커버(70)는 전후방커버(72, 74)와, 터미널플레이트들(24, 34)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션커버(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슐레이션커버(78)는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후방커버(74)는 터미널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되는 개구부(72a)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플레이트(24, 34)에 형성되는 양극터미널(42, 52)과 음극터미널(44, 54)은 개구부(72a)를 통해 전후방커버(74)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케이스바디(62)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면케이스(64)와, 하면케이스(64)로부터 연장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케이스(6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바디(62)는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그 전,후방과 상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바디(62)가 ‘ㅁ’자 단면을 가지고, 그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도 있다. 케이스바디(62)가 복수의 배터리셀(14)이 안착되는 안착공간(62b)을 형성하는 구조면 이를 만족한다. 배터리적층체(12)는 그 최외측면에 배치되며, 측면케이스(66)의 내면과 최외측의 배터리셀(14)사이에 배치되어, 완충기능을 하는 완충부재(18)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바디(62)와 케이스커버(70)는 배터리적층체(12)와 버스바(22, 32), 터미널등 배터리모듈(10)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배터리모듈(10)은 센싱유닛(9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유닛(90)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하게 설명한다.
배터리모듈(10)은 냉각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재는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케이스바디(62)와 케이스커버(7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셀(14)의 냉각을 다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모듈은 제 1, 2 터미널(40, 50)이 독립적으로 동작되므로, 제 1, 2 터미널(40, 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별도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배터리모듈에 대한 냉각부재의 배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제 1, 2 터미널(40, 50)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모듈(10)의 주위 즉, 하부케이스, 측면케이스, 상부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에 대해 냉각부재를 배치할 수 있으며, 하부케이스, 측면케이스, 상부커버 전부에 대해 냉각부재를 배치할 수도 있다. 냉각부재는 하부케이스, 측면케이스, 상부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과 면접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에서, 배터리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배터리셀(14)은 전극탭들(15a, 15b, 16a, 16b)이 위치한 모서리의 길이보다 전극탭 사이의 모서리 길이가 훨씬 긴 장폭 또는 초장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셀(14)들은 전극탭들(15a, 15b, 16a, 16b)이 인출된 전극조립체(미도시)와,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외장재(14a)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음극판이 세퍼레이터와 함께 권취된 권취형 또는 다수의 양극판과 다수의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된 스택형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장재(14a)는 외부 절연층, 금속층 및 내부 접착층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전극조립체와 전해액 등의 내부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전극탭이 배터리셀(14)의 양단에 하나씩 형성된 구조의 경우, 배터리셀(14)의 폭이 길어지면 전극탭 사이의 길이가 길어져서 배터리셀(14)의 내부저항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터리셀(14)의 일단에만 양극탭과 음극탭이 배치되어 활성화되는 경우, 전극탭이 활성화되는 일단의 특정 영역 전류밀도가 높아져서, 배터리셀(14)의 특정 영역이 타 영역에 비하여 과열되고, 전류밀도가 높아지며 표면 압력이 상승하여 덴드라이트가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배터리셀(14)은 그 일단에 형성되는 제 1 양극탭(15a)과, 제 1 음극탭(15b)을, 타단에 형성되는 제 2 양극탭(16a)과, 제 2 음극탭(16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배터리셀(14)은 양단에 각각 양극탭(15a, 16a)과, 음극탭(15b, 16b)을 위치시킬 수 있다. 제 1 양극탭(15a)과 제 1 음극탭(15b), 제 2 양극탭(16a)과 제 2 음극탭(16b)은 서로 좌우 반전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양극탭들(15a, 16a)과 음극탭들(15b, 16b)은 상호 거리가 짧은 탭들로 전류가 흐를 수 있어서, 배터리셀(14)의 내부저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배터리적층체(12)는 배터리셀(14)이 복수개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적층체(12)는 단일 배터리셀(14)보다 높은 전압을 얻기 위하여 전극탭들(15a, 15b, 16a, 16b)을 버스바조립체(20, 30)에 의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셀(14)들은 도 4에서와 같이 양극탭(15a, 16a)과 음극탭(15b, 16b)이 적층방향으로 교번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셀(14)들은 좌우방향 즉, 배터리모듈(10)의 폭방향으로 적층되어 배터리적층체(1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셀(14)의 배치 및 적층방향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를 참고할 때, 버스바조립체(20, 30)는 배터리모듈(10)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 1 버스바조립체(20)와, 배터리모듈(10)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 2 버스바조립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버스바조립체(20, 30)는 각각 배터리모듈(10)의 일단과 타단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독립적인 양극터미널(42, 52)과 음극터미널(44, 54)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버스바조립체(20)는 제 1 버스바(22)와 제 1 터미널플레이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적층체(12)의 일단에 위치되는 제 1 양극탭(15a)과 제 1 음극탭(15b)은 제 1 버스바(22)를 통해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터미널플레이트(24)는 제 1 양극탭(15a)과 제 1 음극탭(15b)이 연결되는 제 1 버스바(22)와 연결되어 제 1 양극터미널(42)과, 제 1 음극터미널(44)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버스바조립체(30)는 제 2 버스바(32)와, 제 2 터미널플레이트(34)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적층체(12)의 타단에 위치되는 제 2 양극탭(16a)과 제 2 음극탭(16b)은 제 2 버스바(32)를 통해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터미널플레이트(34)는 제 2 양극탭(16a)과 제 2 음극탭(16b)이 연결되는 제 2 버스바(32)와 연결되어 제 2 양극터미널(52)과 제 2 음극터미널(54)을 형성할 수 있다. 배터리모듈(10)의 제 1, 2 양극터미널(42, 52)과, 제 1, 2 음극터미널(44, 54)은 인접한 다른 배터리모듈의 터미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모듈(10)은 제 1, 2 양극터미널(42, 52)과, 제 1, 2 음극터미널(44, 54)이 모두 활성화되므로, 어느 한 단에 결합된 전극탭들만이 활성화 될 경우 전류가 밀집되며 발생하는 온도 불균형 현상을 최소화하고, 덴드라이트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모듈(10)은 제 1 양극터미널(42)과, 제 1 음극터미널(44)이 제 1 터미널(40)로, 제 2 양극터미널(52)과, 제 2 음극터미널(54)이 제 2 터미널(50)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2 터미널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별도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제 1, 2 터미널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서, 제 1, 2 터미널 사이에 위치하는 배터리적층체(12)의 4면을 형성하는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냉각부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4면들 전부에 대응되도록 냉각부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정면도이다.
배터리모듈(10)은 센싱유닛(9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셀(14)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연결된 배터리셀(14)들의 상태는 모니터링될 수 있어야 한다. 센싱유닛(90)은 배터리셀(14)들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유닛(90)이 감지하는 배터리셀(14)의 상태는 전압상태뿐만 아니라 온도정보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유닛(90)은 배터리모듈(10) 내부에 배치되는 온도센서(98)와 연결되어, 배터리셀(14)들의 온도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센싱유닛(90)은 배터리셀(14)들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버스바(22, 32)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센싱유닛(90)은 배터리셀(14)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센싱유닛(90)은 도 2에서와 같이 배터리적층체(12)의 일측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유닛(90)은 제 1, 2 버스바(22, 32) 중 어느 하나의 버스바에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셀(14)들의 일단에서의 제 1 양극탭(15a), 제 1 음극탭(16a)은 배터리셀(14)들의 타단에서의 제 2 양극탭(15b), 제 2 음극탭(16b)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센싱유닛(90)은 제 1, 2 버스바(22, 32) 중 어느 하나의 버스바에만 장착되어도 배터리셀들(14)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유닛(90)을 제 1, 2 버스바(22, 32) 중 어느 하나의 버스바에만 장착시킴으로서, 배터리셀(14)들의 일단과 타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FPCB와 같은 별도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센싱유닛(90)은 버스바조립체(20, 30)에 장착되는 회로기판(92)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92)은 배터리셀(14)들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92)은 커넥터(94)와 복수의 연결부(9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94)는 복수의 배터리셀(14)의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전달커넥터(94)는 회로기판(92)의 커넥터(94)에 결합되고, 전달커넥터(94)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 상태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96)는 회로기판(92)에 연결되며, 복수의 레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96)는 제 1, 2 버스바(22, 32) 중 어느 하나의 버스바(22, 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96)는 버스바(22, 32)에 연결되어, 배터리셀(14)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회로기판(92)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배터리 모듈 12 : 배터리적층체
14 : 배터리셀 20, 30 : 버스바조립체
22, 24 : 버스바 24, 34 : 터미널플레이트
40, 50 : 터미널 42, 44 : 양극터미널
52, 54 : 음극터미널 60 : 모듈케이스
62 : 케이스바디 70 : 케이스커버
80 : 모듈버스바 82 : 모듈BMS
84 : 전원연결부 90 : 센싱유닛

Claims (6)

  1. 양단에 각각 양극탭과 음극탭이 형성되며, 복수개가 적층되는 복수의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들의 일단에 위치한 양극탭들과 음극탭들이 연결되는 제 1 버스바를 갖는 제 1 버스바조립체;
    상기 배터리셀들의 타단에 위치한 양극탭들과 음극탭들이 연결되는 제 2 버스바를 갖는 제 2 버스바조립체;
    상기 배터리셀들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싱유닛으로서, 상기 제 1, 2 버스바 중 어느 하나의 버스바에 연결되는 센싱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버스바조립체는 상기 배터리셀들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호 이격되게 상기 배터리셀들과 연결되는 배터리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제 1, 2 버스바 중 어느 하나의 버스바에 장착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버스바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유닛은,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온도센서로서, 상기 배터리셀들의 일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셀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스바조립체는,
    상기 제 1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양극터미널과, 제 1 음극터미널을 갖는 제 1 터미널을 형성하는 제 1 터미널플레이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버스바조립체는,
    상기 제 2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양극터미널과, 제 2 음극터미널을 갖는 제 2 터미널을 형성하는 제 2 터미널플레이트;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미널과 상기 제 2 터미널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모듈.
KR1020190138729A 2019-11-01 2019-11-01 배터리모듈 KR20210052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729A KR20210052999A (ko) 2019-11-01 2019-11-01 배터리모듈
US17/086,711 US11527804B2 (en) 2019-11-01 2020-11-02 Battery module including stacked battery cells
CN202011205562.1A CN112786792A (zh) 2019-11-01 2020-11-02 电池模块
US17/985,502 US20230064347A1 (en) 2019-11-01 2022-11-11 Battery module including stacked battery ce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729A KR20210052999A (ko) 2019-11-01 2019-11-01 배터리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999A true KR20210052999A (ko) 2021-05-11

Family

ID=7568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729A KR20210052999A (ko) 2019-11-01 2019-11-01 배터리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527804B2 (ko)
KR (1) KR20210052999A (ko)
CN (1) CN1127867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0880A1 (zh) * 2022-05-31 2023-12-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7848B2 (en) * 2009-01-12 2012-09-04 A123 Systems, Inc. Safety venting mechanism with tearing tooth structure for batteries
KR101707976B1 (ko) * 2013-10-29 2017-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체결구조를 갖는 센싱 모듈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US10014117B2 (en) * 2014-06-20 2018-07-03 Tai-Her Yang Electricity storing/discharging device with single-layer folding covering and packaging single input/output electric conductive interface having electrode plate pair with multiple-sided electric conductive terminals
KR102088609B1 (ko) * 2017-01-20 2020-03-12 가부시키가이샤 인비젼 에이이에스씨 재팬 조전지, 조전지에 사용되는 버스 바 홀더 및 조전지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64347A1 (en) 2023-03-02
US20210135179A1 (en) 2021-05-06
CN112786792A (zh) 2021-05-11
US11527804B2 (en)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5961B2 (ja) 二次電池を利用した電池モジュール
JP5646039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用電圧検出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採用し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US7927728B2 (en) Battery module interface
US8802259B2 (en)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JP5743356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と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US9484591B2 (en)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EP1689009A1 (en) Battery pack
EP2535962A2 (en) Battery module having enhanced welding reliability and medium or large battery pack including same
US20210135182A1 (en) Battery system
EP2472635A1 (en) Assembled battery and assembled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KR20130025245A (ko) 전지모듈
US11228061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US20220037707A1 (en) Battery Pack and Holder
EP2874204B1 (en) Battery assembly
JP2019021593A (ja) 電線配索構造及びバスバモジュール
US10892462B2 (en) Battery structure
KR102366138B1 (ko) 전지 모듈
US20230064347A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stacked battery cells
US10468643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220006134A1 (en) Battery module
JP3674921B2 (ja) 燃料電池
US20230307796A1 (en) Battery pack
EP4152512A1 (en) Battery,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battery
EP3358644B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KR20240049152A (ko) 축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