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699A -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터치 위치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터치 위치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699A
KR20210052699A KR1020190136577A KR20190136577A KR20210052699A KR 20210052699 A KR20210052699 A KR 20210052699A KR 1020190136577 A KR1020190136577 A KR 1020190136577A KR 20190136577 A KR20190136577 A KR 20190136577A KR 20210052699 A KR20210052699 A KR 20210052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display device
adhesive layer
digitiz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승
이장두
히로츠구 키시모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2699A/ko
Publication of KR20210052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an array of force sens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타이저는 중심 기판; 상기 중심 기판의 일면에 위치하는 배선; 상기 배선을 덮는 보호층; 및 상기 중심 기판, 상기 배선 및 상기 보호층을 부착시키는 내부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점착층은 저 모듈러스 값을 가진다.

Description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터치 위치 감지 방법{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DIGITIGER AND TOUCH POSITION DETECTING METHOD}
본 개시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터치 위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한 표시 장치에 적합한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가 구부러지는 경우에도 적절한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은 기판 위에 여러 층과 소자들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종래에는 표시 패널의 기판으로 유리(glass)가 사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유리 기판은 리지드(rigid) 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를 휘거나 변형시키기가 어렵다. 최근에는 가볍고 변형이 쉬운 플라스틱 등의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을 사용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그 용도나 형태에 따라 벤더블(bendable) 표시 장치,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flexible) 기판을 사용하여 휘거나 접을 수 있다.
또한, 최근 표시 장치에는 화면을 터치하면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에 따라서 손의 터치를 감지하거나 별도의 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구부린 경우에도 디지타이저가 정확한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타이저는 중심 기판; 상기 중심 기판의 일면에 위치하는 배선; 상기 배선을 덮는 보호층; 및 상기 중심 기판, 상기 배선 및 상기 보호층을 부착시키는 내부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점착층은 3×108 Pa 이하의 저 모듈러스 값을 가진다.
상기 보호층의 내측면과 상기 배선의 상부면이 가지는 높이차는 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외측면이 가지는 단차는 0.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배선은 상기 중심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배선과 상기 중심 기판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2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1 배선을 덮는 제1 보호층과 상기 제2 배선을 덮는 제2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점착층은 상기 제1 보호층을 부착시키는 제1 내부 점착층과 상기 제2 보호층을 부착시키는 제2 내부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층의 내측면과 상기 제1 배선의 상부면이 가지는 높이차는 1㎛ 이하이며, 상기 제2 보호층의 내측면과 상기 제2 배선의 상부면이 가지는 높이차는 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층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보호층의 외측면이 가지는 단차는 각각 0.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중심 기판을 기준으로 상기 표시 패널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보호층에 부착되어 있는 차폐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층과 상기 제2 보호층은 차폐층용 점착층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차폐층용 점착층은 2×108 Pa 이하의 저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디지타이저를 부착시키는 디지타이저용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타이저용 점착층은 두께가 10㎛ 이상 25㎛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3×108 Pa 이하이고, 상기 제1 내부 점착층은 두께가 20㎛ 이상 50㎛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3×108 Pa 이하이고, 상기 제2 내부 점착층은 두께가 15㎛ 이상 30㎛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1×108 Pa 이하이고, 상기 차폐층용 점착층은 두께가 10㎛ 이상 25㎛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1×108 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디지타이저용 점착층은 두께가 10㎛ 이상 25㎛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4×108 Pa 이하이고, 상기 제1 내부 점착층은 두께가 20㎛ 이상 50㎛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3×108 Pa 이하이고, 상기 제2 내부 점착층은 두께가 15㎛ 이상 30㎛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2×108 Pa 이하이고, 상기 차폐층용 점착층은 두께가 10㎛ 이상 25㎛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2×108 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이 부착되지 않은 상기 디지타이저의 면에 부착되어 있는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상기 디지타이저에 부착시키는 외부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자기장을 띄는 금속인 마그네틱 금속을 포함하거나 1×109 Pa 이상의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위치 감지 방법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접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접힌 정도에 따라 디지타이저가 감지한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하여 얻어진 터치 표시 위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센서에서 제공된 폴딩 각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상기 터치 위치가 접혀진 부분 중 어느 쪽에 위치하는지를 기초로 더하고 빼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량을 가져와서 상기 보정량에 따라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센서에서 제공된 폴딩 각도 또는 폴딩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량을 가져와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센서에서 제공된 폴딩 각도 및 폴딩 회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어긋난 량을 계산하고, 상기 어긋난 량을 기초로 상기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량을 가져와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지타이저가 일정 범위 이하로 평편하게 형성되어 디지타이저와 표시 패널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표시 패널과 디지타이저가 구부렸다가 펴는 동작시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디지타이저가 평편하므로 디지타이저와 표시 패널간의 상대적인 위치도 일정할 수 있도록 하여 디지타이저가 표시 패널의 정확한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구부린 경우에는 표시 패널과 디지타이저간의 위치 관계가 변경될 수 있지만, 구부린 정도를 감안하여 터치 위치를 보정하여 정확하게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접지 않는 경우와 접은 경우 감지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위치 감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통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및 디지타이저(200)를 포함하며, 디지타이저(200)의 배면에 금속 플레이트(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윈도우(150), 편광판(140), 표시용 기판(110), 하부 필름(120) 및 쿠션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각 층은 표시 패널용 내부 점착층(160)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표시용 기판(110)은 폴리 이미드(PI)와 같은 플렉서블한 기판 위에 반도체층, 절연막, 배선, 전극, 및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여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화소를 형성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표시용 기판(110)의 일측에는 화소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부가 위치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한 기판 위에 직접 형성되거나 별도의 집적 회로 칩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하여 구동부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인쇄 회로 기판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표시용 기판(110)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측(상측)에는 편광판(140)이 위치한다. 편광판(140)은 사용자가 표시용 기판(110)에 형성된 배선이나 전극을 시인하지 못하도록 한다. 즉, 외부로부터 입사된 빛이 표시용 기판(110)의 배선이나 전극에서 반사되면 사용자가 이를 시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표시 품질이 저하된다. 이를 막기 위하여 편광판(140)이 형성되어 있다.
편광판(140)의 상측에는 윈도우(1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표시용 기판(11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플렉서블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편광판(140)과 함께 외부 광의 반사를 줄이기 위하여 필요한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광학적 특성의 층은 윈도우(150)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표시용 기판(110)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측의 반대측(하측)에는 하부 필름(120)이 위치한다. 하부 필름(120)은 기본적으로 표시용 기판(110)의 화소에서 방출된 빛이 하측으로도 방출될 수 있는데, 하측으로 방출된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검은색을 가지는 층(블랙층)을 포함한다. 블랙층은 자체적으로 엠보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 필름(120)은 블랙층 외의 다양한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필름(120)의 하측에는 쿠션층(130)이 위치한다. 쿠션층(130)은 표시용 기판(110)의 하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표시용 기판(1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쿠션층(130)은 실시예에 따라서 2 이상의 쿠션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각 층은 표시 패널용 내부 점착층(160)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즉, 윈도우(150)와 편광판(140) 사이, 편광판(140)과 표시용 기판(110) 사이, 표시용 기판(110)과 하부 필름(120) 사이, 및 하부 필름(120)과 쿠션층(130)사이에는 표시 패널용 내부 점착층(160)이 위치한다. 표시 패널용 내부 점착층(160)은 광학적 특성 및 플렉서블 특성이 좋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0)을 반복하여 접고 펴는 동작을 하더라도 표시 패널용 내부 점착층(160)의 양측이 서로 떨어져 박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표시 패널용 내부 점착층(160)가 위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점착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0)의 하측에는 디지타이저(200)가 위치하며, 디지타이저용 점착층(170)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디지타이저(200)의 구조는 후술하는 도 2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지타이저(200)의 하측에는 금속 플레이트(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190)는 표시 패널(100)을 굽히는 경우 원상태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구리와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200)와 금속 플레이트(190)도 외부 점착층(180)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단면도이다.
디지타이저(200)는 본체(205)와 차폐층(230)을 포함하며, 차폐층(230)과 디지타이저의 본체(205)는 차폐층용 점착층(235)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차폐층(230)은 펜의 터치 위치를 감지함에 있어서, 디지타이저(200)가 하부에서 전달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의하여 위치를 잘 못 감지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금속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층(230)은 자기장을 띄는 금속인 마그네틱 금속(magnetic metal)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 본체(205)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며, 중심 기판(210), 중심 기판(210)의 일면에 위치하는 배선(211, 212), 배선(211, 212)을 덮는 보호층(220, 221), 및 중심 기판(210), 배선(211, 212) 및 보호층(220, 221)을 부착시키는 내부 점착층(225, 22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선(211, 212)은 각각 절연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하나의 배선(211)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면, 다른 하나의 배선(212)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한 중심 기판(210)의 양면에 각각 배선(211, 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측에 각각 보호층(220, 221)이 위치한다.
중심 기판(210)과 그 상측면에 위치하는 상측 배선(211)은 내부 상측 점착층(225)을 통하여 상측 보호층(220)과 부착된다. 여기서 상측 보호층(220)의 하부면과 상측 배선(211)의 상부면은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높이차(g)를 가질 수 있다. 즉, 상측 배선(211)의 상부면이 상측 보호층(220)의 하부면(내측면)보다 높이차(g)만큼 더 높은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높이차로 인하여 상측 보호층(220)의 상부면이 상측 배선(211)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좀 더 높은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측 배선(211)의 상부면과 상측 보호층(220)의 하부면간의 높이차(g)는 1㎛ 이하일 수 있으며, 상측 보호층(220)의 상부면(외측면)이 가지는 단차는 0.2㎛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측 배선(211)의 상부면과 상측 보호층(220)의 하부면간의 높이차는 0.2㎛ 이하일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상측 배선(211)과 상측 보호층(220)의 사이에는 내부 상측 점착층(225)이 없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얇게 내부 상측 점착층(225)이 상측 배선(211)과 상측 보호층(2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에도 상측 배선(211)의 상부면과 상측 보호층(220)의 하부면간의 높이차는 1㎛ 이하일 수 있어 내부 상측 점착층(225)이 상측 배선(211)의 위에 형성되는 두께가 1㎛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측 배선(211)의 상부면이 상측 보호층(220)의 하부면보다 낮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해당 부분에 내부 상측 점착층(225)이 위치하여 높이차이를 메울 수 있으며, 높이 차이를 메운 내부 상측 점착층(225)의 두께는 1㎛이하일 수 있다.
또한, 중심 기판(210)의 하측 구조도 상측 구조에 대칭 구조를 가진다. 중심 기판(210)의 하측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중심 기판(210)과 그 하측면에 위치하는 하측 배선(212)은 내부 하측 점착층(226)을 통하여 하측 보호층(221)과 부착된다. 여기서 하측 보호층(221)의 상부면과 하측 배선(212)의 하부면은 상측 구조에서와 같이 높이차를 가질 수 있다. 즉, 하측 배선(212)의 하부면이 하측 보호층(221)의 상부면(내측면)보다 높이차만큼 더 낮은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높이차로 인하여 하측 보호층(221)의 하부면이 하측 배선(212)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좀 더 낮은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측 배선(212)의 하부면과 하측 보호층(221)의 상부면간의 높이차는, 상측과 동일하게, 1㎛ 이하일 수 있으며, 하측 보호층(221)의 하부면(외측면)이 가지는 단차도, 상측과 동일하게, 0.2㎛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측 배선(212)의 하부면과 하측 보호층(221)의 상부면간의 높이차는 0.2㎛ 이하일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하측 배선(212)과 하측 보호층(221)의 사이에는 내부 하측 점착층(226)이 없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얇게 내부 하측 점착층(226)이 하측 배선(212)과 하측 보호층(22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에도 하측 배선(212)의 하부면과 하측 보호층(221)의 하부면간의 높이차는 1㎛ 이하일 수 있어 내부 하측 점착층(226)이 하측 배선(212)의 아래에 형성되는 두께가 1㎛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달리 하측 배선(212)의 하부면이 하측 보호층(221)의 상부면보다 높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해당 부분에 내부 하측 점착층(226)이 위치하여 높이차이를 메울 수 있으며, 높이 차이를 메운 내부 하측 점착층(226)의 두께는 1㎛이하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중심 기판(210)의 상하에 위치하는 것을 나누어 설명하였지만, 이를 하나로 모아서 높이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보호층(220, 221)의 내측면과 이와 인접하는 배선(211, 212)의 일면이 가지는 높이차는 1㎛ 이하일 수 있고, 보호층(220, 221)의 외측면이 가지는 단차는 0.2㎛ 이하일 수 있다.
내부 점착층(225, 226)은 작은 모듈러스(modulus)값을 가져 소프트한 특성을 가진다. 여기서 모듈러스는 영의 모듈러스(young's modulus)이며, 단위는 Pa을 사용하고, 이는 압력 단위이다. 즉, 모듈러스는 단위 변형을 발생시키기 위한 압력으로, 모듈러스가 큰 값을 가지면, 단위 변형을 위하여 큰 압력이 필요하므로 점착층의 특성이 딱딱(hard)하여 변형이 용이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점착층의 모듈러스 값은 3×108 Pa 이하로 작아 소프트한 특성을 가지며,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보호층(220, 221)이 작은 단차를 가진다. 그 결과 표시 패널(100)에 부착하기도 용이하며, 표시 패널(100)과 디지타이저(200)가 디지타이저용 점착층(170)에 의하여 강하게 부착되어 구부렸다 펴는 동작을 많이 수행하더라도 박리되지 않아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소프트한 특성은 내부 점착층(225, 226)의 모듈러스 값이 3×108 Pa 이하인 값을 가진다. 본 모듈러스 값은 상온에서 측정된 값이며, 본 출원서에서 기재된 점착층의 모듈러스 값은 모두 상온 기준의 값이다.
한편,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점착층(225, 226)의 모듈러스 값은 3×108 Pa 이하인 값을 가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1×108 Pa 이하인 값을 가질 수 있다.
1×108 Pa 이하인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내부 점착층(225, 226)이 보다 더 소프트하여 보호층(220, 221)과 배선(211, 212)가 가지는 높이차(g)가 보다 적게 발생하며, 거의 평편한 수준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패널(100)과 디지타이저(200)가 디지타이저용 점착층(170)에 의한 부착 특성이 보다 향상되어 구부리고 펴는 동작에서 박리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적다. 하지만, 내부 점착층(225, 226)이 3×108 Pa 이하인 모듈러스 값을 가지더라도 수만회 접었다 폈다하는 동작 중에 박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충분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차폐층(230)의 마그네틱 금속(magnetic metal)도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므로 모듈러스 값을 가지며, 1×109 Pa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보다 강한 모듈러스 값을 가질 필요가 있어 1.8×109 Pa 이상의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차폐층(230)의 모듈러스 값은 상한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이는 차폐층(230)도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져야 표시 장치(10) 전체적으로 플렉서블하므로 표시 장치(10)가 휠 수 있는 정도의 모듈러스 값을 상한으로 한다. 이러한 차폐층(230) 모듈러스 값의 상한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를 휘게 하는지 아니면 별도의 장치를 통하여 휘게 하는지 등 사용 예에 따라서 상한의 변동이 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차폐층(230)의 모듈러스 값의 상한은 1×1011 Pa 이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비교예인 도 3을 통하여 3×108 Pa 보다 큰 모듈러스 값을 가지는 내부 점착층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를 살펴본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단면도이다.
도 3과 같이 내부 점착층(225', 226')이 딱딱한 경우에는 도 2와 달리 배선(211', 212')과 보호층(220', 221')의 사이에 접착층이 반드시 위치하게 되며, 그 변형이 어려워 도 3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 3에서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디지타이저는 상하측의 표면이 큰 단차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중심 기판(210')의 상하에 위치하는 배선(211', 212')의 상하에서 내부 점착층(225', 226')이 큰 모듈러스를 가져 딴딴하여 일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보호층(220', 221')이 볼록 돌출되는 구조를 가져 비교예의 디지타이저는 평편한 구조를 가지기 어려우며, 보호층(220', 221')의 단차는 0.2㎛ 초과의 값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볼록 돌출되는 구조의 비교예의 디지타이저는 표시 패널(100)과 디지타이저용 점착층(170)에 의하여 부착시 일정한 강도로 부착되기 어렵다. 즉, 구부렸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용이하게 표시 패널(100)과 디지타이저가 분리되는 박리 현상이 발생하는 불량이 발생한다.
이러한 박리 현상은 디지타이저 내에서 본체(205')와 차폐층(230')이 차폐층용 점착층(235')를 통하여 부착될 때에도 용이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박리 현상은 플렉서블하지 않은 리지드 타입의 표시 장치에서는 그 불량이 적게 발생하지만, 플렉서블한 표시 장치에서는 구부리는 동작이 수시로 발생하기 때문에 수만번 이상의 구부림 동작에서도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도 3의 비교예의 디지타이저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차폐층용 점착층(235)는 큰 모듈러스(3×108 Pa 초과)를 가지는 점착층을 사용하여 본체(205)과 차폐층(230)을 부착시키는 실시예였다. 하지만, 차폐층용 점착층도 작은 모듈러스 값(3×108 Pa 이하)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도 4를 통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단면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디지타이저(200)의 본체(205)와 차폐층(230)이 작은 모듈러스 값을 가지는 차폐층용 점착층(236)에 의하여 부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작은 모듈러스 값을 가지는 차폐층용 점착층(236)는 2×108 Pa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디지타이저(200)가 차폐층(23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통하여 차폐층을 포함하지 않는 디지타이저의 개략 구조를 살펴본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4와 달리 차폐층(230)과 차폐층(230)과 본체(205)를 부착시키는 차폐층용 점착층(236)가 제거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디지타이저(200)가 차폐층(230)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그 배면에 위치하는 금속 플레이트(190)가 차폐층(2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차폐층(230)을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금속 플레이트(190)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차폐층(230)의 역할과 금속 플레이트(190)의 역할 및 특성을 모두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10)는 다양한 방식으로 휘거나 접힐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방식인 인폴딩 방식과 아웃폴딩 방식의 경우 각 점착층(170, 225, 226, 236)이 가지는 두께 및 모듈러스 값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인폴딩 방식을 살펴본다.
인폴딩 방식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화면이 표시되는 측이 내측이 되도록 접히는 방식으로 완전히 접은 후에는 사용자가 화면을 볼 수 없는 방식이다. 인폴딩 방식으로 접히는 경우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접히는 기준선을 중심으로 상측을 향하여 접히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인폴딩 방식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에서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점착층의 두께 및 모듈러스 값을 설정하여 접었다 폈다는 반복하는 경우에도 박리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점착층 종류 두께(㎛) 모듈러스(Pa)
디지타이저용 점착층(170) 10㎛ 이상 25㎛ 이하 3×108 Pa 이하
내부 상측 점착층(225) 20㎛ 이상 50㎛ 이하 3×108 Pa 이하
내부 하측 점착층(226) 15㎛ 이상 30㎛ 이하 1×108 Pa 이하
차폐층용 점착층(236) 10㎛ 이상 25㎛ 이하 1×108 Pa 이하
인폴딩의 경우 도 1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층일수록 압축력을 받으며, 하측에 위치하는 층일수록 인장력을 받는다. 그러므로 압축력을 받는 위치의 점착층은 상대적으로 큰 모듈러스를 가지도록 하여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막고, 인장력을 받는 위치의 점착층은 상대적으로 작은 모듈러스를 가지도록 하여 용이하게 늘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표 1과 같은 모듈러스 값을 가지며, 상측에 위치하는 층이 보다 큰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점착층(170, 225, 226, 236)의 적어도 2 이상이 동일한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도 1을 기초로 볼 때, 표 1의 점착층(170, 225, 226, 236)은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인장력을 중심으로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아웃폴딩 방식을 살펴본다.
아웃폴딩 방식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화면이 표시되는 측이 외측이 되도록 접히는 방식으로 완전히 접은 후에는 사용자가 화면을 볼 수 있는 방식이다. 아웃폴딩 방식으로 접히는 경우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접히는 기준선을 중심으로 하측을 향하여 접히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아웃폴딩 방식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에서는 아래의 표 2와 같이 점착층의 두께 및 모듈러스 값을 설정하여 접었다 폈다는 반복하는 경우에도 박리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점착층 종류 두께(㎛) 모듈러스(Pa)
디지타이저용 점착층(170) 10㎛ 이상 25㎛ 이하 4×108 Pa 이하
내부 상측 점착층(225) 20㎛ 이상 50㎛ 이하 3×108 Pa 이하
내부 하측 점착층(226) 15㎛ 이상 30㎛ 이하 2×108 Pa 이하
차폐층용 점착층(236) 10㎛ 이상 25㎛ 이하 2×108 Pa 이하
아웃폴딩의 경우 도 1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층일수록 인장력을 받으며, 하측에 위치하는 층일수록 압축력을 받는다. 하지만, 도 1을 기초로 볼 때, 표 2의 점착층(170, 225, 226, 236)은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압축력을 중심으로 받으므로 표 1과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큰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인폴딩 방식과 아웃폴딩 방식을 중심으로 점착층(170, 225, 226, 236)의 두께 및 모듈러스 값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타이저(200)가 일정 범위 이하로 평편하게 형성되어 디지타이저(200)와 표시 패널(100)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더라도 표시 패널(100)과 디지타이저(200)가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디지타이저(200)가 평편하므로 디지타이저(200)와 표시 패널(100)간의 상대적인 위치도 일정하여 사용자가 펜으로 표시 패널(100)의 특정 위치를 터치한 경우 그 위치를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편한 위치에서의 터치 위치의 감지는 접혔을 때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즉, 접혔을 때의 디지타이저(200)에서의 터치 감지에는 오류가 발생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하여 살펴본다.
도 6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접지 않는 경우와 접은 경우 감지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서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지 않고 평편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펜으로 표시 패널(100)을 터치하는 위치(P; 이하 터치 위치라고 함)는 수직 방향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디지타이저(200)에서 S 위치(이하 감지 위치라고 함)로 감지되고, 그에 따라서 표시 패널(100)에서 D 위치(이하 터치 표시 위치라고 함)에서 터치가 있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 때, P위치와 D 위치는 동일하므로 터치 감지 동작에 이상이 없다.
하지만, 도 6(B)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혀 있는 경우에는 표시 패널(100)과 디지타이저(200)가 접히면서 일부 배열이 어긋나게 되면서 터치 감지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도 6(B)에서는 인폴딩되는 경우에 표시 패널(100)의 접히는 반경이 작아 더 넓은 영역에 위치하지만, 디지타이저(200)는 접히는 반경이 커서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에 위치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표시 패널(100)의 P 위치를 터치하는 경우 디지타이저(200)에서는 S 위치에서 터치를 감지하며, S 위치에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표시 패널(100)의 D 위치에서 터치가 있는 것으로 표시하게 되므로 실제의 터치 위치(P)와 터치 표시 위치(D)간의 차이가 발생하며 이를 보정해줄 필요가 있다.
도 6(B)에서는 이와 같은 보정시에 고려되는 방식 중 하나인, 표시 패널(100)과 디지타이저(200)간에 대응하는 부분(도 6(B)에서는 가장자리의 위치)이 이동하면서 생긴 차이를 각도(θ)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방식을 간단하게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각도(θ)는 도 6(A)와 같이 접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변경된 각도를 나타낸다. 도 6(A)와 같이 접지 않은 경우에는 수직 방향으로 디지타이저(200)가 감지되므로, 도 6(B)에서는 수직 방향에 대한 각도(θ)가 도시되어 있다.
도 6(B)에서는 인폴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아웃폴딩 등 다른 모든 휘거나 접는 방식에서 터치 감지가 부정확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2를 통하여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휘거나 접혀 있는 경우 터치된 위치를 보정하여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 내지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위치 감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위치 감지 방법은 터치가 발생할 때마다 직접 계산을 통하여 터치된 위치를 보정하고 감지하는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7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의 터치 위치 감지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펜으로 표시 패널(100)의 터치가 발생하면 디지타이저(200)에서는 터치된 위치를 감지한다(S10). 디지타이저(200)의 감지 위치(S)는 도 6(B)와 같이 접혀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사용하면 터치 표시 위치(D)와 실제 터치 위치(P)사이에 오차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혀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6(A)의 경우이므로 디지타이저(200)가 감지한 감지 위치(S)를 이용하여 그대로 사용하여 터치 표시 위치(D)를 제공하더라도 터치 위치(P)와 동일하므로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혀 있는 경우에는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S30)는 크게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디지타이저(200)가 감지한 감지 위치(S)를 보정하고, 그 후 보정된 감지 위치를 기초로 터치 표시 위치(D)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보정된 감지 위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히는 정도에 따라서 변경된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디지타이저(200)가 감지한 감지 위치(S)에 대응하는 터치 표시 위치(D)를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혀 접히는 정도에 따라서 보정하여 터치 표시 위치(D)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하에서는 디지타이저(200)가 감지한 감지 위치(S)에 대응하는 터치 표시 위치(D)를 보정하여 제공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의 S30 단계에서는 도 6(B)에서 도시한 각도(θ)나 표시 패널(100)에서 발생된 변위차이를 계산하여 터치 표시 위치(D)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각도(θ)와 다른 기준으로 측정된 각도를 사용하여 보정할 수도 있다.
그 후 보정된 터치 표시 위치(D)를 표시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S3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히는 정도를 감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센서(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센서(11)가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힐 때 발생하는 각도(폴딩 각도)를 감지한다. 이하에서의 폴딩 각도는 도 6(B)의 각도(θ)와 동일할 수도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혀 있는 경우에는 센서(11)로부터 폴딩 각도를 제공받아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S35)를 수행한다. 즉, 폴딩 각도가 큰 경우에는 더 큰 오차가 발생하므로 큰 보정량이 정해진다.
이렇게 계산된 보정량이 정해지면, 디지타이저(200)가 감지한 감지 위치(S)를 보정하여 터치 표시 위치(D)를 결정한다. (S30)
그 후 보정된 터치 표시 위치(D)를 표시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힐 때, 접히는 기준선의 좌측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우측에 위치하는지에 따라서 보정을 수행하는 방향이 반대가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는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9의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혀 있는 경우에는 센서(11)로부터 폴딩 각도를 제공받아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S35)를 수행한다. 즉, 폴딩 각도가 큰 경우에는 더 큰 오차가 발생하므로 큰 보정량이 정해진다.
이렇게 계산된 보정량이 정해지면, 터치 위치(P)가 표시 장치(10)의 좌측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36)를 수행한다.
터치 위치(P)가 표시 장치(10)의 좌측에 위치하면, 보정량을 더하여 보정된 터치 표시 위치(D)를 구한다. (S36-1)
한편, 터치 위치(P)가 표시 장치(10)의 우측에 위치하면, 보정량을 빼서 보정된 터치 표시 위치(D)를 구한다. (S36-2)
그 후, 이렇게 보정된 터치 표시 위치(D)를 표시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통하여 매번 위치 보정을 계산하여 터치 표시 위치(D)를 구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하지만, 매번 계산하는 경우에는 최종 터치 표시 위치(D)를 구하는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 이미 정해진 보정량을 룩업 테이블(LUT) 형태로 저장해두고 이를 불러와서 보정하는 실시예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의 실시예는 룩업 테이블(LUT)을 사용하여 터치 위치를 보정하고 감지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0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펜으로 표시 패널(100)의 터치가 발생하면 디지타이저(200)에서는 터치된 위치(감지 위치 S)를 감지한다(S10).
그 후,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혀 있지 않은 경우에는 디지타이저(200)가 감지한 감지 위치(S)를 이용하여 그대로 사용하여 터치 표시 위치(D)를 표시한다. (S40)
한편,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혀 있는 경우에는 위치를 보정할 필요가 있으며, 룩업 테이블(LUT)로부터 제공된 보정량을 기초로 터치 표시 위치(D)를 구하며, 도 10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혀 있는 경우에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센서(11)로부터 폴딩 각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아 보정량을 룩업 테이블(LUT)로부터 결정하는 단계(S37)를 수행한다. 룩업 테이블(LUT)에는 폴딩 각도에 따른 보정량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해당 각도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을 찾으면 보정량을 결정할 수 있어 간단하게 보정량을 결정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LUT)로부터 찾은 보정량에 따라서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S30)를 수행하여 보정된 터치 표시 위치(D)를 구한다. 보정량에 기초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방식은 도 9에서 사용된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터치 위치(P)가 표시 장치(10)의 좌측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우측에 위치하는지를 기초로 방향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해진 터치 표시 위치(D)는 표시(S40)되어 표시 장치(10)가 접히는 경우에도 터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도 10의 실시예와 달리 센서(11)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가 폴딩 각도 외에 폴딩 횟수도 포함한다. 즉, 폴딩 횟수가 증가하면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혔다 펴졌을 때 원 상태인 평편하게 펴지지 못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보정량을 산출한다.
즉,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혀 있는 경우에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센서(11)로부터 폴딩 각도에 대한 정보 및 폴딩 횟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아 폴딩 각도 및 폴딩 횟수에 따른 어긋난 량(sheer 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S70) 여기서, 어긋난 량(sheer 량)은 폴딩 각도가 클수록 클 뿐만 아니라, 폴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도 증가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그 후, 계산된 어긋난 량(sheer 량)을 이용하여 보정량을 룩업 테이블(LUT)로부터 결정하는 단계(S38)를 수행한다. 룩업 테이블(LUT)에는 어긋난 량(sheer 량)에 따른 보정량이 저장되어 있어 간단하게 보정량을 결정할 수 있다.
룩업 테이블(LUT)로부터 찾은 보정량에 따라서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S30)를 수행하여 보정된 터치 표시 위치(D)를 구한다. 보정량에 기초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방식은 도 9에서 사용된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터치 위치(P)가 표시 장치(10)의 좌측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우측에 위치하는지를 기초로 방향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해진 터치 표시 위치(D)는 표시(S40)되어 표시 장치(10)가 접히는 경우에도 터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와 달리 폴딩 각도 정보외에 폴딩 위치에 대한 정보도 사용하여 보정량을 산출하는 실시예이다. 폴딩 위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접는지 아니면 표시 장치(10)의 일측에 치우쳐진 위치를 접는지에 따라서 폴딩 각도가 같더라도 보정량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고려한다. 도 12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10)의 다양한 위치를 기준으로 휘거나 접힐 수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접혀 있는 경우에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센서(11)로부터 폴딩 각도에 대한 정보 및 폴딩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아 폴딩 각도 및 폴딩 위치에 따라 보정량을 결정하는 단계(S39)를 수행한다. 이 때, 룩업 테이블(LUT)에는 폴딩 각도 및 폴딩 위치에 따른 보정량이 저장되어 있으며, 두 값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여 보정량으로 사용한다.
그 후, 룩업 테이블(LUT)로부터 찾은 보정량에 따라서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S30)를 수행하여 보정된 터치 표시 위치(D)를 구한다. 보정량에 기초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방식은 도 9에서 사용된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터치 위치(P)가 표시 장치(10)의 좌측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우측에 위치하는지를 기초로 방향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해진 터치 표시 위치(D)는 표시(S40)되어 표시 장치(10)가 접히는 경우에도 터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면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접은 경우, 표시 패널과 디지타이저간의 위치 관계가 변경될 수 있지만, 접힌 정도를 감안하여 보정하여 터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서 언급하고 있는 폴딩 각도, 폴딩 회수, 폴딩 위치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사용하여 디지타이저가 정확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하나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접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휘거나 접힐 수도 있어 다양한 형태로 휘는 경우에까지 확장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플렉서블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11: 센서 110: 표시용 기판
120: 하부 필름 130: 쿠션층
140: 편광판 150: 윈도우
160: 표시 패널용 내부 점착층 170: 디지타이저용 점착층
180: 외부 점착층 190: 금속 플레이트
200: 디지타이저 205: 디지타이저 본체
210: 중심 기판 211, 212: 배선
220, 221: 보호층 225, 226: 내부 점착층
230: 차폐층 235, 236: 차폐층용 점착층

Claims (20)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타이저는
    중심 기판;
    상기 중심 기판의 일면에 위치하는 배선;
    상기 배선을 덮는 보호층; 및
    상기 중심 기판, 상기 배선 및 상기 보호층을 부착시키는 내부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점착층은 3×108 Pa 이하의 저 모듈러스 값을 가지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보호층의 내측면과 상기 배선의 상부면이 가지는 높이차는 1㎛ 이하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보호층의 외측면이 가지는 단차는 0.2㎛ 이하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배선은 상기 중심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배선과 상기 중심 기판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2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1 배선을 덮는 제1 보호층과 상기 제2 배선을 덮는 제2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점착층은 상기 제1 보호층을 부착시키는 제1 내부 점착층과 상기 제2 보호층을 부착시키는 제2 내부 점착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보호층의 내측면과 상기 제1 배선의 상부면이 가지는 높이차는 1㎛ 이하이며,
    상기 제2 보호층의 내측면과 상기 제2 배선의 상부면이 가지는 높이차는 1㎛ 이하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보호층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보호층의 외측면이 가지는 단차는 각각 0.2㎛ 이하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7. 제4항에서,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중심 기판을 기준으로 상기 표시 패널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보호층에 부착되어 있는 차폐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차폐층과 상기 제2 보호층은 차폐층용 점착층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차폐층용 점착층은 2×108 Pa 이하의 저 모듈러스 값을 가지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0. 제8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디지타이저를 부착시키는 디지타이저용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디지타이저용 점착층은 두께가 10㎛ 이상 25㎛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3×108 Pa 이하이고,
    상기 제1 내부 점착층은 두께가 20㎛ 이상 50㎛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3×108 Pa 이하이고,
    상기 제2 내부 점착층은 두께가 15㎛ 이상 30㎛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1×108 Pa 이하이고,
    상기 차폐층용 점착층은 두께가 10㎛ 이상 25㎛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1×108 Pa 이하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디지타이저용 점착층은 두께가 10㎛ 이상 25㎛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4×108 Pa 이하이고,
    상기 제1 내부 점착층은 두께가 20㎛ 이상 50㎛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3×108 Pa 이하이고,
    상기 제2 내부 점착층은 두께가 15㎛ 이상 30㎛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2×108 Pa 이하이고,
    상기 차폐층용 점착층은 두께가 10㎛ 이상 25㎛ 이하이며, 모듈러스 값은 2×108 Pa 이하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이 부착되지 않은 상기 디지타이저의 면에 부착되어 있는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상기 디지타이저에 부착시키는 외부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자기장을 띄는 금속인 마그네틱 금속을 포함하거나 1×109 Pa 이상의 모듈러스 값을 가지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5.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접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접힌 정도에 따라 디지타이저가 감지한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하여 얻어진 터치 표시 위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위치 감지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센서에서 제공된 폴딩 각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터치 위치 감지 방법.
  17. 제15항에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상기 터치 위치가 접혀진 부분 중 어느 쪽에 위치하는지를 기초로 더하고 빼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터치 위치 감지 방법.
  18. 제15항에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량을 가져와서 상기 보정량에 따라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터치 위치 감지 방법.
  19. 제18항에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센서에서 제공된 폴딩 각도 또는 폴딩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량을 가져와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터치 위치 감지 방법.
  20. 제18항에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센서에서 제공된 폴딩 각도 및 폴딩 회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어긋난 량을 계산하고, 상기 어긋난 량을 기초로 상기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량을 가져와서 상기 터치 위치를 보정하는 터치 위치 감지 방법.
KR1020190136577A 2019-10-30 2019-10-30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터치 위치 감지 방법 KR20210052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577A KR20210052699A (ko) 2019-10-30 2019-10-30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터치 위치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577A KR20210052699A (ko) 2019-10-30 2019-10-30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터치 위치 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699A true KR20210052699A (ko) 2021-05-11

Family

ID=7591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577A KR20210052699A (ko) 2019-10-30 2019-10-30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터치 위치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269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1346B2 (en) 2019-08-02 2022-03-22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display panel and digitizer
CN114241906A (zh) * 2021-11-30 2022-03-2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US11500506B2 (en) 2020-05-14 2022-11-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gitizer with reduced wiring visibility
WO2023008899A1 (ko) * 2021-07-27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63473A1 (ko) * 2022-02-25 2023-08-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일체형 차폐층을 갖는 디지타이저 패널 및 이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1346B2 (en) 2019-08-02 2022-03-22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display panel and digitizer
US11500506B2 (en) 2020-05-14 2022-11-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gitizer with reduced wiring visibility
US11914833B2 (en) 2020-05-14 2024-0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3008899A1 (ko) * 2021-07-27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4241906A (zh) * 2021-11-30 2022-03-2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WO2023163473A1 (ko) * 2022-02-25 2023-08-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일체형 차폐층을 갖는 디지타이저 패널 및 이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2699A (ko)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터치 위치 감지 방법
TWI601040B (zh) 具有整合型觸控螢幕的顯示裝置
US9904396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ouch and bending sensing function
US9239656B2 (en)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276351B2 (en) Display device
TWI520019B (zh) 觸控螢幕面板及具有其之顯示裝置
TWI390280B (zh) 觸控面板顯示器與觸控顯示裝置
KR102031778B1 (ko)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600127B2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KR20170080203A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20120127095A1 (en) Flat panel display with an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US20110057892A1 (en) Flat panel display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KR101694429B1 (ko)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US10884541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70031518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658706B2 (en) Touch panel
US20150286325A1 (en) Flat panel display
JP2021089428A (ja) ディスプレー装置
US11069754B2 (en) Display device
US20130162572A1 (en) Touch panel
KR20120066542A (ko) 터치방식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1927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US9537482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37246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388802B1 (ko) 터치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