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574A -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멀티뷰 디스플레이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멀티뷰 디스플레이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574A
KR20210052574A KR1020217012578A KR20217012578A KR20210052574A KR 20210052574 A KR20210052574 A KR 20210052574A KR 1020217012578 A KR1020217012578 A KR 1020217012578A KR 20217012578 A KR20217012578 A KR 20217012578A KR 20210052574 A KR20210052574 A KR 20210052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
light
holographic reality
reality system
haptic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에이. 파탈
Original Assignee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02B3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involving active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4Diffraction gratin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ne or more further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or other 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9Plural gratings positioned on the same surface, e.g. array of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42Gratings for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3/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th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arrays of controllable light sources; using moving apertures or moving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04N13/351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simultaneous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2001/0061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in haptic applications when the observer interacts with the hol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6/00Electro-optic or electronic components relating to digital holography
    • G03H2226/05Means for tracking the ob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및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에게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한다.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은 멀티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멀티뷰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위치 센서, 및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을 포함한다. 가상 햅틱 피드백의 범위는 멀티뷰 이미지 내의 가상 제어부의 범위에 대응된다.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상이한 뷰들에 대응되는 방향들을 갖는 지향성 광빔들을 변조함으로써 멀티뷰 이미지의 복수의 상이한 뷰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멀티뷰 픽셀들의 어레이, 및 대응되는 멀티뷰 픽셀들에 지향성 광빔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멀티뷰 디스플레이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N/A
연방 후원 연구 또는 개발에 관한 진술
N/A
전자 디스플레이들은 매우 다양한 기기들 및 제품들의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아주 보편적인 매체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전자 디스플레이들은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발광(electroluminescent; EL)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및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 OLED(AMOLED) 디스플레이, 전기 영동(electrophoretic; EP) 디스플레이 및 전자 기계(electromechanical) 또는 전자 유체(electrofluidic) 광 변조를 이용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들(예를 들어, 디지털 미세거울(micromirror) 기기, 전기 습윤(electrowetting)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디스플레이들은 능동형 디스플레이들(즉, 광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들) 또는 수동형 디스플레이들(즉, 다른 원천에 의하여 제공되는 광을 변조하는 디스플레이들)로 분류될 수 있다. 능동형 디스플레이들의 가장 명백한 예들로는 CRT, PDP 및 OLED/AMOLED가 있다. 방출광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수동형으로 분류되는 디스플레이들은 LCD 및 EP 디스플레이들이다. 수동형 디스플레이들은 본질적으로 낮은 전력 소모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매력적인 성능 특성들을 종종 나타내지만, 광을 방출하는 능력이 부족한 많은 실제 응용들에서 다소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른 예들 및 실시 예들의 다양한 특징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구조적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뷰 방향에 대응되는 특정 주 각도 방향을 갖는 광빔의 각도 성분들의 그래픽 표현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회절 격자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예로서 도 3b의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부 예들 및 실시 예들은 상술한 도면들에 도시된 특징들에 부가되거나 그 대신에 포함되는 다른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특징들은 상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른 예들 및 실시 예들은 사용자를 위한 홀로그래픽 현실(holographic reality)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특히,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은 멀티뷰(multiview) 또는 3차원(three-dimensional; 3D) 컨텐츠를 포함하는 멀티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은, 사용자와 멀티뷰 디스플레이 또는 위치 센서 간의 접촉 없이,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위치 센서(예를 들어, 정전용량(capacitive) 센서, 2개 이상의 이미지 센서들, 또는 비행시간(time-of-fligh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은 모니터링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사용자와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간의 접촉 없이 사용자에게 가상 햅틱 피드백(virtual haptic feedback)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는 명령(command)에 대응되는 제스처(gesture)를 검출할 수 있고,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은 모니터링된 손 위치에 응답하여 멀티뷰 이미지에 가상 제어부(virtual control)의 활성화(activation)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은 모니터링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멀티뷰 이미지의 멀티뷰 컨텐츠를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2차원 디스플레이(two-dimensional display)' 또는 '2D 디스플레이'는 이미지가 보여지는 방향에 관계 없이 (즉, 2D 디스플레이의 정해진 시야각 또는 범위 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의 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로서 정의된다. 스마트 폰들 및 컴퓨터 모니터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2D 디스플레이들의 예들이다.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멀티뷰 디스플레이(multiview display)'는 상이한 뷰 방향들로 또는 상이한 뷰 방향들로부터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정의된다. 특히, 상이한 뷰들은 멀티뷰 이미지의 객체 또는 장면(scene)의 상이한 시점 뷰들(perspective views)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멀티뷰 이미지의 2개의 상이한 뷰들을 동시에 볼 때3차원 이미지를 보는 것과 같은 인식을 제공하는 경우, 3차원(3D) 디스플레이로도 언급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뷰 디스플레이(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뷰 디스플레이(10)는 보여질 멀티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12)을 포함한다. 멀티뷰 디스플레이(10)는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들(14)을 스크린(12)에 대하여 상이한 뷰 방향들(16)로 제공한다. 뷰 방향들(16)은 스크린(12)으로부터 여러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로 연장되는 화살표들로서 도시되었고, 상이한 뷰들(14)은 화살표들(즉, 뷰 방향들(16)을 묘사함)의 말단에 다각형 박스들로서 도시되었으며, 제한이 아닌 예로서 단지 4개의 뷰들(14) 및 4개의 뷰 방향들(16)이 도시되었다. 도 1a에는 상이한 뷰들(14)이 스크린 위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멀티뷰 이미지가 멀티뷰 디스플레이(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뷰들(14)은 실제로 스크린(12) 상에 또는 스크린(12)의 부근에 나타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뷰들(14)을 스크린(12) 위에 묘사한 것은 단지 도시의 간략화를 위한 것이며, 특정 뷰(14)에 대응되는 개별적인 뷰 방향들(16)로부터 멀티뷰 디스플레이(10)를 보는 것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뷰 방향 또는 대등하게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뷰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갖는 광빔은 일반적으로 각도 성분들(angular components) {θ, φ}로 주어지는 주 각도 방향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각도 성분(θ)은 광빔의 '고도 성분(elevation component)' 또는 '고도각(elevation angle)'으로 언급된다. 각도 성분(φ)은 광빔의 '방위 성분(azimuth component)' 또는 '방위각(azimuth angle)'으로 언급된다. 정의에 의하면, 고도각(θ)은 수직 평면(예를 들어, 멀티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평면에 수직인)에서의 각도이고, 방위각(φ)은 수평 평면(예를 들어, 멀티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평면에 평행인)에서의 각도이다. 도 1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뷰 방향(예를 들어, 도 1a의 뷰 방향(16))에 대응되는 특정 주 각도 방향을 갖는 광빔(20)의 각도 성분들 {θ, φ}의 그래픽 표현을 도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광빔(20)은 특정 지점으로부터 방출되거나 발산된다. 즉, 정의에 의하면, 광빔(20)은 멀티뷰 디스플레이 내의 특정 원점(point of origin)과 관련된 중심 광선(central ray)을 갖는다. 또한, 도 1b는 광빔(또는 뷰 방향)의 원점(O)을 도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멀티뷰 이미지(multiview image)' 및 '멀티뷰 디스플레이(multiview display)'라는 용어들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멀티뷰(multiview)'라는 용어는 복수의 뷰들의 뷰들 간의 각도 시차(angular disparity)를 포함하거나 상이한 시점들(perspectives)을 나타내는 복수의 뷰들로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멀티뷰'라는 용어는 3개 이상의 상이한 뷰들(즉, 최소 3개의 뷰들로서 일반적으로 4개 이상의 뷰들)을 명백히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장면 또는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단지 2개의 상이한 뷰들만을 포함하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디스플레이와는 명백히 구분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멀티뷰 이미지들 및 멀티뷰 디스플레이들은 3개 이상의 뷰들을 포함하지만, 멀티뷰의 뷰들 중 단지 2개만을 동시에 보게끔(예를 들어, 하나의 눈 당 하나의 뷰) 선택함으로써 멀티뷰 이미지들이 (예를 들어, 멀티뷰 디스플레이 상에서) 스테레오스코픽 쌍의 이미지들(stereoscopic pair of images)로 보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멀티뷰 픽셀(multiview pixel)'은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상이한 뷰들의 각각의 뷰의 '뷰(view)' 픽셀들을 나타내는 한 세트 또는 그룹의 서브 픽셀들(sub-pixels)(광 밸브들과 같은)로서 정의된다. 특히, 멀티뷰 픽셀은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들 각각의 뷰 픽셀에 대응되거나 그 뷰 픽셀을 나타내는 개별 서브 픽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멀티뷰 픽셀의 서브 픽셀들은, 서브 픽셀들 각각이 상이한 뷰들 중 대응되는 하나의 뷰의 정해진(predetermined) 뷰 방향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소위 '지향성 픽셀들(directional pixels)'이다. 또한, 다양한 예들 및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뷰 픽셀의 서브 픽셀들에 의하여 나타나는 상이한 뷰 픽셀들은 상이한 뷰들 각각에서 대등한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유사한 위치들 또는 좌표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멀티뷰 픽셀은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들 각각의 {x 1, y 1}에 위치하는 뷰 픽셀들에 대응되는 개별 서브 픽셀들을 가질 수 있고, 제 2 멀티뷰 픽셀은 상이한 뷰들 각각의 {x 2, y 2}에 위치하는 뷰 픽셀들에 대응되는 개별 서브 픽셀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뷰 픽셀 내의 서브 픽셀들의 개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뷰들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뷰 픽셀은 64개의 상이한 뷰들을 갖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64개의 서브 픽셀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8x4 어레이의 뷰들(즉, 32개의 뷰들)을 제공할 수 있고, 멀티뷰 픽셀은 32개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즉, 각각의 뷰마다 하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상이한 서브 픽셀은, 예를 들어 64개의 상이한 뷰들에 대응되는 뷰 방향들 중 상이한 하나에 대응되는, 관련 방향(즉, 광빔의 주 각도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멀티뷰 픽셀들의 개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뷰들 내의 '뷰' 픽셀들(즉, 선택된 뷰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개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가 640x480개의 뷰 픽셀들(즉, 640x480의 뷰 해상도)을 포함하는 경우,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307,200개의 멀티뷰 픽셀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뷰들이 100x100개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경우,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도합 10,000개(즉, 100x100=10,000)의 멀티뷰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광체(light guide)'는 내부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를 이용하여 그 내에서 광을 안내하는 구조물로서 정의된다. 특히, 도광체는 도광체의 동작 파장(operational wavelength)에서 실질적으로 투명한 코어(core)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도광체의 유전체 재료와 도광체를 둘러싸는 재료 또는 매질 사이의 경계에서 광을 안내하기 위하여 내부 전반사를 이용하는 유전체 광학 도파로(dielectric optical waveguide)를 지칭한다. 정의에 의하면, 내부 전반사를 위한 조건은 도광체의 굴절률이 도광체 재료의 표면에 인접한 주변 매질의 굴절률보다 커야 한다는 것이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광체는 내부 전반사를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술한 굴절률 차이에 부가하여 또는 그에 대신하여 코팅(coating)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은 반사 코팅일 수 있다. 도광체는 판(plate) 또는 슬래브(slab) 가이드 및 스트립(strip) 가이드 중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도광체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판 도광체(plate light guide)'에서와 같이 도광체에 적용되는 경우의 '판(plate)'이라는 용어는, 종종 '슬래브' 가이드로 지칭되는, 한 장씩의(piece-wise) 또는 구분적으로 평면인(differentially planar) 층 또는 시트로서 정의된다. 특히, 판 도광체는 도광체의 상단 표면 및 하단 표면(즉, 대향면들)에 의하여 경계를 이루는 2개의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들로 광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도광체로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상단 및 하단 표면들은 서로 떨어져 있고 적어도 구별적인 의미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즉, 판 도광체의 임의의 구별적으로 작은 섹션 내에서, 상단 및 하단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공면(co-planar) 상에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판 도광체는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 있고(즉, 평면에 국한됨), 따라서 판 도광체는 평면형 도광체이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판 도광체는 1개 또는 2개의 직교하는 차원들로 만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 도광체는 단일 차원으로 만곡되어 원통형 형상의 판 도광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곡률이든 광을 안내하기 위하여 판 도광체 내에서 내부 전반사가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큰 곡률 반경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회절 격자(diffraction grating)'는 회절 격자 상에 입사하는 광의 회절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열된 복수의 특징부들(즉, 회절 특징부들)로서 광범위하게 정의된다. 일부 예들에서, 복수의 특징부들은 주기적 방식 또는 준-주기적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회절 격자는 복수의 회절 격자들을 포함하는 혼합-주기(mixed-period) 회절 격자일 수 있고, 복수의 회절 격자들의 각각의 회절 격자는 특징부들의 상이한 주기적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절 격자는 1차원(one-dimensional; 1D)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특징부들(예를 들어, 재료 표면 내의 복수의 홈들(grooves) 또는 융기들(ridges))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회절 격자는 특징부들의 2차원(two-dimensional; 2D) 어레이 또는 2차원으로 정의된 특징부들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 격자는 재료 표면 상의 돌출들(bumps) 또는 재료 표면 내의 구멍들(holes)의 2D 어레이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회절 격자는 제 1 방향 또는 제 1 차원으로 실질적으로 주기적일 수 있고, 회절 격자를 가로지르는 또는 회절 격자를 따르는 다른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비주기적(예를 들어, 일정한, 무작위적인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리고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회절 격자(diffraction grating)'는 회절 격자 상에 입사하는 광의 회절을 제공하는 구조물이다. 광이 도광체로부터 회절 격자 상에 입사하면, 제공된 회절 또는 회절적 산란(diffractive scattering)은 회절 격자가 회절에 의하여 도광체로부터 광을 커플 아웃(couple out)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회절적 커플링(diffractive coupling)'을 야기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와 같이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회절 격자는 회절에 의하여(즉, 회절각(diffractive angle)으로) 광의 각도를 재지향시키거나 변경시킨다. 특히, 회절의 결과로서, 회절 격자를 떠나는 광은 일반적으로 회절 격자 상에 입사하는 광(즉, 입사광)의 전파 방향과는 상이한 전파 방향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회절에 의한 광의 전파 방향의 변경은 '회절적 재지향(diffractive redirection)'으로 언급된다. 따라서, 회절 격자는 회절 격자 상에 입사하는 광을 회절적으로 재지향시키는 회절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구조물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도광체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회절 격자는 또한 도광체로부터의 광을 회절적으로 커플 아웃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회절 격자의 특징부들은 '회절 특징부들(diffractive features)'로 언급되고, 재료 표면(즉, 2개의 재료들 사이의 경계)에, 표면 내에 및 표면 상에 중 하나 이상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은 도광체의 표면일 수 있다. 회절 특징부들은 표면의, 표면 내의 또는 표면 상의 홈들, 융기들, 구멍들 및 돌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광을 회절시키는 다양한 구조물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 격자는 재료 표면 내에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회절 격자는 재료 표면으로부터 상승하는 복수의 평행한 융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절 특징부들(예를 들어, 홈들, 융기들, 구멍들, 돌출들 등)은 정현파 프로파일, 직사각형 프로파일(예를 들어, 이진 회절 격자), 삼각형 프로파일 및 톱니 프로파일(예를 들어, 블레이즈 격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회절을 제공하는 다양한 단면 형상들 또는 프로파일들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예들에 따르면, 회절 격자(예를 들어, 후술될 바와 같은 회절적 멀티빔 소자의 회절 격자)는 도광체(예를 들어, 판 도광체)로부터의 광을 광빔으로서 회절적으로 산란 또는 커플 아웃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국부적으로 주기적인 회절 격자의 또는 이에 의하여 제공되는 회절각(diffraction angle; θ m )은 식(1)으로 주어질 수 있다.
Figure pct00001
(1)
여기서, λ는 광의 파장, m은 회절 차수, n은 도광체의 굴절률, d는 회절 격자의 특징부들 간의 거리 또는 간격, θ i 는 회절 격자 상의 광의 입사각이다. 간략화를 위하여, 식(1)은 회절 격자가 도광체의 표면에 인접하고 도광체 외부의 재료의 굴절률은 1인 것(즉, n out = 1)으로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회절 차수(m)는 정수로 주어진다(즉, m = ± 1, ± 2, ...). 회절 격자에 의하여 생성되는 광빔의 회절각(θ m )은 식(1)으로 주어질 수 있다. 회절 차수(m)가 1인 경우(즉, m = 1) 1차 회절, 더 구체적으로는 1차 회절각(θ m )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회절 격자(3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회절 격자(30)는 도광체(40)의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는 입사각(θ i)으로 회절 격자(30) 상에 입사되는 광빔(50)을 도시한다. 입사 광빔(50)은 도광체(40) 내의 안내된 광빔이다. 또한, 도 2에는 입사 광빔(50)의 회절의 결과로서 회절 격자(30)에 의하여 회절적으로 생성되고 도광체(40)로부터 커플 아웃 또는 산란된 지향성 광빔(60)이 도시되었다. 지향성 광빔(50)은 식(1)으로 주어진 바와 같은 회절각(θ m)(또는 본 명세서에서 '주 각도 방향(principal angular direction)')을 갖는다. 예를 들어, 지향성 광빔(60)은 회절 격자(30)의 회절 차수 'm'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회절 특징부들은 만곡될 수 있고 또한 광의 전파 방향에 대하여 정해진 배향(예를 들어, 경사 또는 회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 특징부들의 커브(curve) 및 회절 특징부들의 배향 중 하나 또는 모두는 회절 격자에 의하여 산란되는 광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향성 광의 주 각도 방향은 입사광의 전파 방향에 대하여 광이 회절 격자 상에 입사하는 지점에서의 회절 특징부의 각도의 함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멀티빔 소자(multibeam element)'는 복수의 광빔들을 포함하는 광을 생성하는 백라이트 또는 디스플레이의 구조물 또는 소자이다. 정의에 의하면, '회절적(diffractive)' 멀티빔 소자는 회절적 커플링에 의하여 또는 회절적 커플링을 이용하여 복수의 광빔들을 생성하는 멀티빔 소자이다. 특히, 일부 실시 예들에서, 회절적 멀티빔 소자는 도광체 내에서 안내된 광의 일부를 회절적으로 커플 아웃시킴으로써 복수의 광빔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백라이트의 도광체에 광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회절적 멀티빔 소자는 멀티빔 소자의 경계 또는 범위(extent) 내에 복수의 회절 격자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멀티빔 소자에 의하여 생성된 복수의 광빔들의 광빔들은 서로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다. 특히, 정의에 의하면, 복수의 광빔들 중 어느 하나의 광빔은 복수의 광빔들 중 다른 하나의 광빔과는 상이한 정해진 주 각도 방향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회절적 멀티빔 소자의 회절 격자들 내의 회절 특징부들의 간격 또는 격자 피치는 서브 파장(sub-wavelength)(즉, 안내된 광의 파장 미만)일 수 있다.
복수의 회절 격자들을 갖는 멀티빔 소자가 이후의 논의들에서 예시적인 예로서 이용되지만, 일부 실시 예들에서 미세(micro) 반사 소자 및 미세 굴절 소자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이 멀티빔 소자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 반사 소자는 삼각 형상 거울, 사다리 형상 거울, 피라미드 형상 거울, 직사각 형상 거울, 반구 형상 거울, 오목 거울 및/또는 볼록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미세 굴절 소자는 삼각 형상 굴절 소자, 사다리 형상 굴절 소자, 피라미드 형상 굴절 소자, 직사각 형상 굴절 소자, 반구 형상 굴절 소자, 오목 굴절 소자 및/또는 볼록 굴절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광빔들은 광 필드(light field)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빔들은 실질적으로 원추형 공간 영역에 국한되거나 복수의 광빔들 내의 광빔들의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포함하는 정해진 각도 확산(angular spread)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광빔들의 정해진 각도 확산은 그 조합으로써(즉, 복수의 광빔들) 광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광빔들 내의 여러 광빔들의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은 회절적 멀티빔 소자의 크기(예를 들어, 길이, 폭, 면적 등 중의 하나 이상)와 회절적 멀티빔 소자 내의 회절 격자의 배향 및 '격자 피치(grating pitch)' 또는 회절 특징부 간격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특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회절적 멀티빔 소자는 '연장된 점 광원(extended point light source)', 즉 회절적 멀티빔 소자의 범위(extent)에 걸쳐(across) 분포된 복수의 점 광원들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그리고 도 1b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절적 멀티빔 소자에 의하여 생성되는 광빔은 각도 성분들 {θ, φ}로 주어지는 주 각도 방향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시준기(collimator)'는 광을 시준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임의의 광학 기기 또는 장치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시준기는 시준 거울 또는 반사체, 시준 렌즈, 또는 이의 다양한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시준 반사체를 포함하는 시준기는 포물선형 곡선 또는 형상에 의해 특징화된 반사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시준 반사체는 형상화된 포물선형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형상화된 포물선형(shaped parabolic)'은 형상화된 포물선형 반사체의 만곡된(curved) 반사 표면이 정해진 반사 특성(예를 들어, 시준의 정도)을 달성하기 위해 결정된 방식으로 '진정한(true)' 포물선형 곡선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시준 렌즈는 구형으로 형상화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양면 볼록 구형 렌즈).
일부 실시 예들에서, 시준기는 연속 반사체(continuous reflector) 또는 연속 렌즈(continuous lens)일 수 있다(즉, 실질적으로 매끄럽고 연속적인 표면을 갖는 반사체 또는 렌즈). 다른 실시 예들에서, 시준 반사체 또는 시준 렌즈는, 프레넬(Fresnel) 반사체 또는 프레넬 렌즈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광의 시준을 제공하는 실질적으로 불연속적인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시준기에 의하여 제공되는 시준의 양은 실시 예마다 정해진 정도 또는 양이 다를 수 있다. 또한, 시준기는 2개의 직교하는 방향들(예를 들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로 시준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시준기는 2개의 직교하는 방향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시준을 제공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σ 로 표시되는 '시준 계수(collimation factor)'는 광이 시준되는 정도로서 정의된다. 특히,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시준 계수는 시준된 광의 빔 내의 광선들(light rays)의 각도 확산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시준 계수(σ)는 시준된 광의 빔 내의 대부분의 광선들이 특정한 각도 확산 내에(예를 들어, 시준된 광빔의 중심 또는 주 각도 방향에 대하여 +/- σ 도) 있음을 명시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 따르면, 시준된 광빔의 광선들은 각도 측면에서 가우시안(Gaussian) 분포를 가질 수 있고, 각도 확산은 시준된 광빔의 피크(peak) 세기의 절반만큼에서 결정되는 각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광원(light source)'은 광의 원천(예를 들어, 광을 생성하고 방출하도록 구성된 광학 방출기(optical emitter))으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광원은 활성화되거나 턴 온 되는 경우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같은 광학 방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광원은 실질적으로 임의의 광의 원천이거나, LED, 레이저, OLED, 중합체 LED, 플라즈마-기반 광학 방출기, 형광 램프, 백열 램프 및 사실상 임의의 다른 광의 원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광학 방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에 의하여 생성된 광은 컬러를 가질 수 있거나(즉, 광의 특정 파장을 포함할 수 있음), 또는 파장들의 범위일 수 있다(예를 들어, 백색광).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원은 복수의 광학 방출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은 한 세트 또는 그룹의 광학 방출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학 방출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같은 세트 또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광학 방출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광의 컬러 또는 파장과는 상이한 컬러를, 또는 대등하게는 파장을, 갖는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컬러들은 원색들(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 표현은 특허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의미, 즉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소자(element)'는 하나 이상의 소자를 의미하며, 따라서 '상기 소자'는 '상기 소자(들)'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단', '하단', '상부', '하부', '상', '하', '전', '후', '제1', '제 2', '좌' 또는 '우'에 대한 언급은 본 명세서에서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수치 값에 적용되는 경우의 '약'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수치 값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장비의 허용 오차 범위 내를 의미하거나, ±10%, 또는 ±5%, 또는 ±1%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대부분, 또는 거의 전부, 또는 전부, 또는 약 51% 내지 약 100% 범위 내의 양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며, 제한이 아닌 논의의 목적으로 제시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3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예로서 도 3b의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은 멀티뷰 컨텐츠를 멀티뷰 이미지들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은, 비접촉(contactless) 또는 '가상(virtual)' 사용자 입력(input)과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사용자(즉, 이하 '사용자')에 대한 비접촉 또는 '가상' 햅틱 피드백의 조합을 이용하여, 멀티뷰 컨텐츠와의 상호 작용(interaction)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사용자는, 가상 사용자 입력 및 가상 햅틱 피드백을 이용하여 멀티뷰 이미지 내의 가상 제어부를 통해, 멀티뷰 컨텐츠를 수정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멀티뷰 컨텐츠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은 멀티뷰 이미지 내의 가상 제어부의 범위(extent)(즉, 위치, 크기 및 모양)에 대응되는 범위를 갖는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햅틱 피드백은, 사용자와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 간의 실제적인 또는 물리적인 접촉 없이 가상 제어부와의 물리적인 상호 작용의 감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은 멀티뷰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한다. 멀티뷰 디스플레이(110)는 멀티뷰 컨텐츠를 멀티뷰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뷰 이미지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사용자(101)에게 보여지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뷰 디스플레이(110)는 멀티뷰 컨텐츠를 멀티뷰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전자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뷰 디스플레이(110)는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용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 넷북 컴퓨터, 미디어 재생 기기, 전자 책 기기,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 컴퓨팅 기기, 휴대용 컴퓨팅 기기, 가전 기기, 및 디스플레이 헤드셋(가상 현실 헤드셋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에서 이용되는 또는 이들의 다양한 전자 디스플레이들이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110)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멀티빔 소자들 및 지향성 광빔들을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들의 뷰 픽셀들로서 변조하도록 구성된 광 밸브들의 어레이를 이용하는,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10)은 위치 센서(120)를 더 포함한다. 위치 센서(120), 또는 더 일반적으로 위치 센서(120)를 포함하는 측정 서브시스템은 사용자(101)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120)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사용자(101)의 손의 위치 또는 사용자(101)의 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위치 센서(120)는 사용자(101)의 머리의 위치, 사용자(101)의 눈의 위치, 및 사용자(101)가 보유한 객체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의 단순화를 위하여, 사용자(101)의 '손(hand)'이라는 용어는, 손이 모니터링될 수 있는 사용자(101)의 임의의 물리적인 부분 또는 상태(condition)를 나타낼 수 있다는 이해 하에 기술된다. 특히,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손'이라는 용어는 손 전체뿐만 아니라 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위치(position)'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위치(location)를 모니터링하는 것과 상대적인 움직임(motion)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b 및 도 3c는, 제한이 아닌 예로서, 위치 센서(120)에 의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는 사용자(101)의 손(102)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위치 센서(120)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사용자(101)의 손(102)의 위치 및 움직임 중 하나 또는 모두를 검출하기 위한 측정과 같은, 위치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기기들 또는 센서들(종종 '센싱 모듈(들)' 또는 '센싱 유닛(들)'로 지칭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101)의 손의 위치 및 움직임 측정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사용자(101)와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 간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또는 직접적인 접촉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물리적인 접촉 없이 위치 센서(120)에 의하여 수행되는 측정은 종종, 예를 들어, '가상 상호 작용' 또는 '간접적(indirect)' 또는 '비접촉(touchless) 상호 작용'으로 지칭될 수 있다. 직접적인 또는 물리적인 접촉 없이 사용자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점선 화살표를 이용하여 도 3a에 묘사되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특히 가상 또는 간접적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위치 센서(120)는 사용자(101)의 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정전용량 센서,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및 비행시간 센서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많은 상이한 센서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정전용량 센서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측정하거나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정전용량 센서는 사용자(101)의 손 또는 손가락의 근접에 의하여 야기되는 정전용량 센서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반으로 손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은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에 의하여 캡처된 이미지들의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를 이용하여 손의 위치 및 움직임 중 하나 또는 모두를 결정하거나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의 상이한 필드들(fields) 또는 뷰(view) 또는 시점들(perspectives)을 갖는 둘 이상의 이미지 센서들이 손의 이미지들을 캡처할 수 있다. 캡처된 이미지들의 분석(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은 사용자(101)의 손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상이한 시점들로부터 캡처된 이미지들의 비교를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비행시간 센서는 손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음향 신호,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마이크로파 신호, 음향 신호, 적외선 신호, 및 기타 광학 신호(예를 들어, 가시 또는 자외선 파장 중 하나 또는 모두에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무선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행시간 센서는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무선 신호가 손에서 반사되면 무선 신호가 손과 비행시간 센서 사이를 왕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의 길이를 기반으로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위치 센서(120)(또는 위치 센서(120)를 포함하는 측정 서브시스템)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움직임 및 배향(orientation) 중 하나 또는 모두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120)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움직임 및 배향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자이로스코프 및 가속도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손의 위치는, 예를 들어 측정된 움직임 및 측정된 배향 중 하나 또는 모두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위치 센서(120)는 물리적인 버튼, 물리적인 스위치 및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스크린(예를 들어, 멀티뷰 디스플레이(110)의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터치(touch)' 센서를 포함하거나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3a에 도시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은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130)을 더 포함한다.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130)은 사용자(101)에게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가상 햅틱 피드백은, 사용자(101)와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 간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사용자(101)에게 제공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햅틱 피드백의 범위는 멀티뷰 이미지 내의 가상 제어부의 범위에 대응된다. 물리적인 접촉 없이 사용자(101)에게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사용자(101)에게 초점을 맞춘 복수의 점선 화살표들을 이용하여 도 3a에 묘사되었다.
도 3b 및 도 3c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멀티뷰 디스플레이(110) 상에, 예를 들어 멀티뷰 이미지의 일부로서, 디스플레이된 3차원 버튼으로서의 가상 제어부(104)를 도시한다. 가상 제어부(104)는 점선 윤곽선을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크기(예를 들어, L x W x H) 및 모양을 갖는다. 가상 햅틱 피드백의 범위는 가상 제어부(104)의 위치, 크기 및 모양에 대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101)의 손(102)이 가상 제어부(104)의 범위 내에 위치되는 경우, 사용자(101)는 가상 햅틱 피드백의 결과로서 가상 제어부(104)와의 접촉을 느끼거나(fell), 감지하거나(sense)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인식(perceiv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130)은 비접촉 또는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하여 무엇보다도 초음파 압력(ultrasound or ultrasonic pressure), 공기압(air pressure), 또는 정전하(electrostatic charge)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압력, 공기압 또는 정전하의 범위는 가상 제어부(104)의 범위(예를 들어, 시각적 범위)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위치 센서(120)에 의하여 제공되는 위치 또는 움직임 측정은 멀티뷰 디스플레이(1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뷰 이미지의 멀티뷰 컨텐츠를 수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뷰 디스플레이(110)는 가상 제어부(104)를 이용하여 명령의 시각적 표시(visual indication)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 센서(120)에 의하여 제공되는 손의 위치 또는 움직임은 제스처 또는 제어 입력에 대응될 수 있다. 제스처의 영향은 가상 제어부(104)의 위치, 크기 및 모양 중 하나 이상을 변경함으로써 멀티뷰 컨텐츠의 수정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는, 제스처(예를 들어, 가상 제어부(104)를 누르는 손) 이전의 가상 제어부(104)가 도시되었다. 도 3c에는 제스처 이후의 가상 제어부(104)가 묘사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제어부(104)는 명령 입력이 발생하였음을 사용자(101) 인터페이스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눌러졌다. 이와 같이, 멀티뷰 디스플레이(110)는 디스플레이된 멀티뷰 컨텐츠를 수정함으로써 제스처에 대응되는 명령의 엔트리(entry)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130)에 의하여 제공되는 가상 햅틱 피드백은 멀티뷰 컨텐츠의 수정을 제공하는 명령의 엔트리의 물리적 표시를 시뮬레이션(simulate)할 수 있다. 멀티뷰 컨텐츠의 수정은 멀티뷰 컨텐츠의 핀치(pinch), 멀티뷰 컨텐츠의 회전, 멀티뷰 컨텐츠의 치환(displacing), 및 멀티뷰 컨텐츠의 변형(deforming) 또는 압축(compressing)(예를 들어, 도 3c에서와 같이 가상 제어부(104)의 눌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130)은 모니터링된 위치 또는 움직임에 대한 응답으로 멀티뷰 컨텐츠에 가상 아이콘(예를 들어, 가상 제어부(104))의 활성화와 같은 명령에 대한 응답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10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13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초음파 압력, 공기압, 또는 정전하를 이용하여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초음파 압력, 공기압 또는 정전하는 사용자(101)의 손에 힘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101)가 가상 제어부(104)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누르는 것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손에 힘을 가하는(force) 방식으로 제공되는 가상 햅틱 피드백은, 사용자(101)가 실제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즉, 멀티뷰 디스플레이(110) 또는 그 위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제어부(104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101)에게 가상 제어부(104)와 접촉 및 상호 작용하는 인식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햅틱 피드백은 디스플레이된 멀티뷰 컨텐츠의 수정과 함께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130)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은 제스처 또는 명령 입력에 대한 응답에 관한 융합되고(integrated) 직관적인 피드백을 사용자(101)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디스플레이된 멀티뷰 컨텐츠의 수정은 또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에 대한 사용자(101)의 위치, 사용자(101)의 응시 방향 및 머리 추적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은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에 대한 사용자(101)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뷰 컨텐츠의 수정은 모니터링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배향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상태(condition)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향은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및 기타 유형의 배향 측정(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이미지 센서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의 분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된 멀티뷰 컨텐츠의 수정은 위치 센서(120)를 이용하여 수행된 측정 및 모니터링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배향 모두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뷰 컨텐츠의 수정은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멀티뷰 디스플레이(110) 상에 제공될 컨텐츠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넓은 폭 또는 축을 갖는 파노라마 장면(panoramic scene)을 포함하는 경우,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뷰 컨텐츠는 폭 또는 축을 따라 더 많은 개수의 뷰들을 제공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축(예를 들어, 길이 및 폭)을 따라 정보 공간 밀도(information spatial density)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석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된 멀티뷰 컨텐츠는 가장 큰 정보 공간 밀도를 갖는 축을 따라 더 많은 개수의 뷰들을 제공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도 3a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은 프로세싱 서브시스템, 메모리 서브시스템, 전력 서브시스템 및 네트워킹 서브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은, 마이크로프로세서,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계산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서브시스템은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공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에 의하여 이용될 수 있는 데이터 및 명령어들(instructions)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데이터 및 명령어들은, 멀티뷰 컨텐츠를 멀티뷰 디스플레이(110) 상에 멀티뷰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하는 것, 디스플레이될 멀티뷰 컨텐츠 또는 멀티뷰 이미지(들)을 프로세싱하는 것, 제어 제스처를 나타내는 사용자(101)의 손의 위치를 포함하는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멀티뷰 컨텐츠를 제어하는 것, 및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130)을 통하여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모리 서브시스템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및 다양한 형태의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메모리 서브시스템에 저장되고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에 의하여 이용되는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명령어들 또는 명령어들의 세트 및 운영 체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운영 체제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동작 동안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프로그램 메커니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소프트웨어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메모리 서브시스템의 다양한 모듈들 내의 명령어들은 고수준 절차 언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및 어셈블리 또는 기계 언어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그래밍 언어는 프로세싱 서브시스템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도록 컴파일되거나 해석될 수, 예를 들어 구성 가능하거나 구성될 수(본 논의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력 서브시스템은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게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에너지 저장 구성 요소(예를 들어,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킹 서브시스템은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연결되어 통신하도록 구성된(즉, 네트워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기기들 및 서브시스템 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킹 서브시스템은 블루투스(BluetoothTM) 네트워킹 시스템, 셀룰러 네트워킹 시스템(예를 들어, UMTS, LTE 등과 같은 3G/4G/5G),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네트워킹 시스템, IEEE 802.12에 기술된 표준에 기반한 네트워킹 시스템(예를 들어, WiFi 네트워킹 시스템) 및 이더넷 네트워킹 시스템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의 일부 동작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의 이러한 동작들은 매우 다양한 구성들 및 아키텍처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의 일부 또는 모든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둘 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기술에서의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명령어들, 운영 체제(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서브시스템을 위한 드라이버) 또는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c의 사시도는 단지 본 명세서에서의 논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절개되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멀티뷰 디스플레이(200)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멀티뷰 디스플레이(110)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뷰 디스플레이(200)는 서로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202)을 (예를 들어, 광 필드(light field)로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공된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202)은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개별적인 뷰 방향들에 대응되는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로 멀티뷰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산란되어 멀어지게 지향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지향성 광빔들(202)은 멀티뷰 컨텐츠, 예를 들어 멀티뷰 이미지를 갖는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하도록 변조(예를 들어, 후술될 바와 같은 광 밸브들을 이용하여)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또한 후술될 서브 픽셀들과 광 밸브들(230)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뷰 픽셀(206)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뷰 디스플레이(200)는 도광체(210)를 포함한다. 도광체(210)는 도광체(210)의 길이를 따라 광을 안내된 광(204)(즉, 안내된 광빔)으로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광체(210)는 광학 도파로로서 구성된 유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재료는 유전체 광학 도파로를 둘러싸는 매질의 제 2 굴절률보다 큰 제 1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굴절률들의 차이는 도광체(210)의 하나 이상의 안내 모드에 따라 안내된 광(204)의 내부 전반사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광체(210)는 연장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실질적으로 평면형 시트의,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슬래브 또는 판 광학 도파로(즉, 판 도광체)일 수 있다. 실질적으로 평면형 시트의 유전체 재료는 내부 전반사를 이용하여 안내된 광(204)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예들에 따르면, 도광체(210)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료는 다양한 유형의 유리(예를 들어, 실리카 유리(silica glass), 알칼리-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alkali-aluminosilicate glass), 보로실리케이트 유리(borosilicate glass) 등) 및 실질적으로 광학적으로 투명한 플라스틱들 또는 중합체들(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아크릴 유리(acrylic glas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유전체 재료들 중 임의의 것으로 구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도광체(210)는 도광체(210)의 표면(예를 들어, 상단 표면 및 하단 표면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적어도 일부 상에 클래딩층(cladding layer)(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 따르면, 클래딩층은 내부 전반사를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광체(210)는 도광체(210)의 제 1 표면(210')(예를 들어, '전'면 또는 앞쪽)과 제 2 표면(210")(예를 들어, '후'면 또는 뒤쪽) 사이에서, 0이 아닌 전파 각도로 내부 전반사에 따라 안내된 광(204)을 (예를 들어 안내된 광빔으로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안내된 광(204)은 도광체(210)의 제 1 표면(210')과 제 2 표면(210") 사이에서 0이 아닌 전파 각도로 반사되거나 '바운싱(bouncing)'됨으로써 전파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의 상이한 컬러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안내된 광빔들로서의 안내된 광(204)은 도광체(210)에 의하여 안내될 수 있고, 각각의 안내된 광빔은 복수의 상이한 컬러별, 0이 아닌 전파 각도들 중 개별적인 하나로 안내될 수 있다. 도시의 간략화를 위하여 도 4a 내지 도 4c에는 0이 아닌 전파 각도가 도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도 4a에서 굵은 화살표는 도광체의 길이를 따르는 안내된 광(204)의 전파 방향(203)을 묘사한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0이 아닌 전파 각도(non-zero propagation angle)'는 도광체(210)의 표면(예를 들어, 제 1 표면(210') 또는 제 2 표면(210"))에 대한 각도이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0이 아닌 전파 각도는 0보다 크고 도광체(210) 내의 내부 전반사의 임계각보다 작다. 예를 들어, 안내된 광(204)의 0이 아닌 전파 각도는 약 10도 내지 약 50도 사이, 일부 예들에서는 약 20도 내지 약 40도 사이, 또는 약 25도 내지 약 35도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0이 아닌 전파 각도는 약 30도일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0이 아닌 전파 각도는 약 20도, 또는 약 25도, 또는 약 35도일 수 있다. 또한, 도광체(210) 내의 내부 전반사의 임계각보다 작게 선택되는 한, 특정한 0이 아닌 전파 각도가 특정한 구현을 위하여 선택(예를 들어, 임의로)될 수 있다.
도광체(210) 내의 안내된 광(204)은 0이 아닌 전파 각도(예를 들어, 약 30도 내지 약 35도)로 도광체(210) 내부로 유입되거나 커플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렌즈, 거울 또는 이와 유사한 반사체(예를 들어, 경사진 시준 반사체), 회절 격자 및 프리즘(미도시) 뿐만 아니라 이의 다양한 조합들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커플링 구조물(coupling structure)이 안내된 광(204)으로서 0이 아닌 전파 각도로 도광체(210)의 입력 단부의 내부로 광을 커플링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커플링 구조물 없이 또는 실질적으로 커플링 구조물의 이용 없이, 광은 도광체(210)의 입력 단부의 내부로 직접 유입될 수 있다(즉, 직접 또는 '버트(butt)' 커플링이 이용될 수 있음). 도광체(210)의 내부로 커플되면, 안내된 광(204)은 일반적으로 입력 단부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전파 방향(203)(예를 들어, 도 4a에서 x-축을 따라 가리키는 굵은 화살표들로서 도시됨)으로 도광체(210)를 따라 전파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을 도광체(210) 내부로 커플링함으로써 생성된 안내된 광(204)은, 또는 대등하게는 안내된 광(204)은, 시준된 광빔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준된 광(collimated light)' 또는 '시준된 광빔(collimated light beam)'은 일반적으로 광빔(예를 들어, 안내된 광(204))의 광선들이 광빔 내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광의 빔으로서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시준된 광빔으로부터 분기되거나 산란되는 광의 광선들은 시준된 광빔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뷰 디스플레이(200)는, 예를 들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시준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렌즈, 반사체 또는 거울과 같은 시준기(예를 들어, 경사진 시준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원 자체가 시준기를 포함한다. 도광체(210)에 제공되는 시준된 광은 시준된 안내된 광빔이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안내된 광(204)은 시준 계수(σ)에 따라 시준되거나 시준 계수(σ)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 안내된 광(204)은 시준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광체(210)는 안내된 광(204)을 '재순환(recycle)'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광체의 길이를 따라 안내되었던 안내된 광(204)은 전파 방향(203)과는 상이한 다른 전파 방향(203')으로 도광체의 길이를 따라 다시 재지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체(210)는 광원에 인접한 입력 단부에 대향하는 도광체(210)의 단부에 반사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체는 안내된 광(204)을 재순환된 안내된 광으로서 입력 단부를 향하여 다시 반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 재순환(예를 들어, 반사체를 이용하는)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또 다른 광원이 다른 전파 방향(203')으로 안내된 광(204)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전파 방향(203')을 갖는 안내된 광(204)을 제공하기 위한 안내된 광(204)의 재순환 및 또 다른 광원의 이용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안내된 광이, 예를 들어 후술되는 멀티빔 소자들에게, 두 번 이상 이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밝기를 증가(예를 들어, 지향성 광빔들(202)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a에서, 재순환된 안내된 광의 전파 방향(203')을 지시하는 굵은 화살표(예를 들어, 음의 x-방향으로 향하는)는 도광체(210) 내의 재순환된 안내된 광의 일반적인 전파 방향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뷰 디스플레이(200)는 도광체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220)을 포함한다. 특히,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의 멀티빔 소자들(220)은 유한한 공간만큼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광체의 길이를 따라 개별적이고 구분되는 소자들을 나타낸다. 즉, 본 명세서의 정의에 의하면,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의 멀티빔 소자들(220)은 유한한(즉, 0이 아닌) 소자간 거리(예를 들어, 유한한 중심간 거리)에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의 멀티빔 소자들(220)은 일반적으로 서로 교차되거나, 중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의 각각의 멀티빔 소자(220)는 일반적으로 멀티빔 소자들(220)의 다른 것들로부터 구분되고 떨어져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의 멀티빔 소자들(220)은 1차원(1D) 어레이 또는 2차원(2D) 어레이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빔 소자들(220)은 선형 1D 어레이로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멀티빔 소자들(220)은 직사각형 2D 어레이 또는 원형 2D 어레이로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어레이(즉, 1D 또는 2D 어레이)는 규칙적이거나 균일한 어레이일 수 있다. 특히, 멀티빔 소자들(220) 간의 소자간 거리(예를 들어, 중심간 거리 또는 간격)는 어레이에 걸쳐(across) 실질적으로 균일하거나 일정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들(220) 간의 소자간 거리는 어레이에 걸쳐 변할 수 있거나, 도광체(210)의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거나, 또는 두 경우 모두에 대하여 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의 멀티빔 소자(220)는 안내된 광(204)의 일부를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202)로서 제공, 커플 아웃 또는 산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안내된 광의 일부는 회절적 산란, 반사적 산란, 및 굴절적 산란 또는 커플링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커플 아웃되거나 산란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c는 지향성 광빔들(202)을 도광체(210)의 제 1(또는 전방) 표면(210')으로부터 향하게 묘사된 복수의 분기되는 화살표들로서 도시한다. 또한, 이상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그리고 후술될 바와 같이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빔 소자(220)의 크기는 멀티뷰 픽셀(206)의 서브 픽셀(또는 대등하게는 광 밸브(230))의 크기와 유사하다. 본 명세서에서, '크기'는 길이, 폭, 또는 면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방식들 중 임의의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픽셀 또는 광 밸브(230)의 크기는 이들의 길이일 수 있고, 멀티빔 소자(220)의 유사한 크기 또한 멀티빔 소자(220)의 길이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크기는 면적을 지칭할 수 있고, 멀티빔 소자(220)의 면적은 서브 픽셀(또는 광 밸브(230))의 면적과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220)의 크기는 서브 픽셀 크기와 유사하고, 멀티빔 소자 크기는 서브 픽셀 크기의 약 50% 내지 약 200%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빔 소자의 크기를 's'로 나타내고 서브 픽셀의 크기를 'S'로 나타내면(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빔 소자의 크기(s)는 다음과 같이 주어질 수 있다.
Figure pct00002
다른 예에서, 멀티빔 소자의 크기는 서브 픽셀 크기의 약 60%보다 큰, 또는 서브 픽셀 크기의 약 70%보다 큰, 또는 서브 픽셀 크기의 약 80%보다 큰, 또는 서브 픽셀 크기의 약 90%보다 큰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서브 픽셀 크기의 약 180% 보다 작은, 또는 서브 픽셀 크기의 약 160%보다 작은, 또는 서브 픽셀 크기의 약 140%보다 작은, 또는 서브 픽셀 크기의 약 120%보다 작은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한 크기(comparable size)'에 의하면, 멀티빔 소자의 크기는 서브 픽셀 크기의 약 75% 내지 약 150% 사이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멀티빔 소자(220)는 크기면에서 서브 픽셀과 유사할 수 있고, 멀티빔 소자의 크기는 서브 픽셀의 크기의 약 125% 내지 약 85% 사이이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빔 소자(220)와 서브 픽셀의 유사한 크기들은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뷰들 간의 암 영역들(dark zones)을 감소시키도록, 또는 일부 예들에서는 최소화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멀티빔 소자(220)와 서브 픽셀의 유사한 크기들은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뷰들(또는 뷰 픽셀들) 간의 중첩을 감소시키도록, 일부 예들에서는 최소화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멀티뷰 디스플레이(200)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의 지향성 광빔들(202)을 변조하도록 구성된 광 밸브들(230)의 어레이를 더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지향성 광빔들(202) 중 상이한 것들은 광 밸브 어레이 내의 광 밸브들(230) 중 상이한 것들을 통과하고 그에 의하여 변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의 광 밸브(230)는 멀티뷰 픽셀(206)의 서브 픽셀에 대응되고, 한 세트의 광 밸브들(230)은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멀티뷰 픽셀(206)에 대응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밸브 어레이의 상이한 세트의 광 밸브들(230)은 멀티빔 소자들(220) 중 대응되는 하나로부터 지향성 광빔들(202)을 수신하고 변조하도록 구성되며, 즉 각각의 멀티빔 소자(220)마다 하나의 고유한 세트의 광 밸브들(230)이 존재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액정 광 밸브들, 전기 영동 광 밸브들 및 전기 습윤 기반의 광 밸브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상이한 유형들의 광 밸브들이 광 밸브 어레이의 광 밸브들(230)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광 밸브 세트(230a)는 제 1 멀티빔 소자(220a)로부터 지향성 광빔들(202)을 수신하고 변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광 밸브 세트(230b)는 제 2 멀티빔 소자(220b)로부터 지향성 광빔들(202)을 수신하고 변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밸브 어레이 내의 각각의 광 밸브 세트들(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광 밸브 세트들(230a, 230b))은 각각 상이한 멀티빔 소자(220)(예를 들어, 소자들(220a, 220b)) 및 상이한 멀티뷰 픽셀(206) 모두에 대응되고, 광 밸브 세트들의 개별 광 밸브들(230)은 개별적인 멀티뷰 픽셀들(206)의 서브 픽셀들에 대응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들(220) 및 대응되는 멀티뷰 픽셀들(206)(즉, 서브 픽셀들의 세트들 및 대응되는 광 밸브들(230)의 세트들) 간의 관계는 일대일 관계일 수 있다. 즉, 멀티뷰 픽셀들(206)의 개수와 멀티빔 소자들(220)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도 4b는 상이한 세트의 광 밸브들(230)(그리고 대응되는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멀티뷰 픽셀(206)이 점선으로 둘러싸인 것으로 도시된 일대일 관계를 예로서 명시적으로 도시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멀티뷰 픽셀들(206)의 개수와 멀티빔 소자들(220)의 개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 중 한 쌍의 멀티빔 소자들(220) 간의 소자간 거리(예를 들어, 중심간 거리)는, 예를 들어 광 밸브 세트들로 나타내지는, 대응되는 한 쌍의 멀티뷰 픽셀들(206) 간의 픽셀간 거리(예를 들어, 중심간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멀티빔 소자(220a)와 제 2 멀티빔 소자(220b) 간의 중심간 거리(d)는 제 1 광 밸브 세트(230a)와 제 2 광 밸브 세트(230b) 간의 중심간 거리(D)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멀티빔 소자들(220)들의 쌍들 및 대응되는 광 밸브 세트들의 상대적인 중심간 거리들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빔 소자들(220)은 멀티뷰 픽셀들(206)을 나타내는 광 밸브 세트들 간의 간격(즉, 중심간 거리 D)보다 크거나 작은 소자간 간격(즉, 중심간 거리 d)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220)의 형상은 멀티뷰 픽셀(206)의 형상과, 또는 대등하게는 멀티뷰 픽셀(206)에 대응되는 광 밸브들(230)의 세트(또는 '서브 어레이')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빔 소자(220)는 정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멀티뷰 픽셀(206)(또는 대응되는 한 세트의 광 밸브들(230)의 배열)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멀티빔 소자(220)는 직사각 형상을, 즉 폭 또는 가로 방향 치수보다 큰 길이 또는 세로 방향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이 예에서, 멀티빔 소자(220)에 대응되는 멀티뷰 픽셀(206)(또는 대등하게는 한 세트의 광 밸브들(230)의 배열)은 유사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b는 정사각 형상의 멀티빔 소자(220) 및 광 밸브들(230)의 정사각형 세트들을 포함하는 대응되는 정사각 형상의 멀티뷰 픽셀들(206)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 다른 예들에서(미도시), 멀티빔 소자들(220) 및 대응되는 멀티뷰 픽셀들(206)은, 삼각형, 육각형 및 원형을 포함하는 또는 적어도 이러한 형상들에 근사하는,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220)의 형상과 멀티뷰 픽셀(206)의 형상 간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멀티빔 소자(220)는 특정한 멀티뷰 픽셀(206)에 현재 할당된 서브 픽셀들의 세트를 기반으로 주어진 시간에 단지 하나의 멀티뷰 픽셀(206)에게 지향성 광빔들(202)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빔 소자들(220) 중 주어진 하나와 특정 멀티뷰 픽셀(206)에 대한 서브 픽셀들의 세트의 현재의 할당과 관련하여,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뷰들에 대응되는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지향성 광빔들(202)은 하나의 대응되는 멀티뷰 픽셀(206)과 이의 서브 픽셀들에, 즉 멀티빔 소자(220)에 대응되는 한 세트의 광 밸브들(230)에, 실질적으로 국한된다. 이와 같이,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각각의 멀티빔 소자(220)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현재의 상이한 뷰들에 대응되는 한 세트의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대응되는 한 세트의 지향성 광빔들(202)을 제공한다(즉, 한 세트의 지향성 광빔들(202)은 현재의 상이한 뷰 방향들 각각에 대응되는 방향을 갖는 광빔을 포함함).
다시 도 4a를 참조하면, 멀티뷰 디스플레이(200)는 광원(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원(240)은 도광체(210) 내에서 안내될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광원(240)은 도광체(210)의 입구 표면 또는 단부(입력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광원(240)은 LED, 레이저(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광의 원천(예를 들어, 광학 방출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원(240)은 특정한 컬러로 나타나는 협대역 스펙트럼을 갖는 실질적으로 단색광(monochromatic light)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광학 방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단색광의 컬러는 특정한 색 공간 또는 색 모델(예를 들어, 적-녹-청(red-green-blue; RGB) 색 모델)의 원색일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광원(240)은 실질적으로 광대역 또는 다색광(polychromatic light)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광대역 광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240)은 백색광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원(240)은 광의 상이한 컬러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상이한 광학 방출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광학 방출기들은 광의 상이한 컬러들 각각에 대응되는 안내된 광의 상이한, 컬러별, 0이 아닌 전파 각도들을 갖는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원(240)은 시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준기는 광원(240)의 광학 방출기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비-시준된(uncollimated)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준기는 실질적으로 비-시준된 광을 시준된 광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시준기는, 0이 아닌 전파 각도를 가지며 정해진 시준 계수에 따라 시준되는, 시준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컬러들의 광학 방출기들이 이용되는 경우, 시준기는 상이한, 컬러별, 0이 아닌 전파 각도들 및 상이한 컬러별 시준 계수들 중 하나 또는 모두를 갖는 시준된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준기는 전술한 안내된 광(204)으로서 전파될 수 있도록 시준된 광빔을 도광체(210)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뷰 디스플레이(200)는 안내된 광(204)의 전파 방향(203, 203')에 직교하는(또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도광체(210)를 관통하는 방향에서 광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투명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도광체(210) 및 이격된 멀티빔 소자들(220)은 제 1 표면(210') 및 제 2 표면(210'') 모두를 통하여 광이 도광체(2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투명화(transparency)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멀티빔 소자들(220)의 비교적 작은 크기 및 멀티빔 소자(220)의 비교적 큰 소자간 간격(예를 들어, 멀티뷰 픽셀들(206)과의 일대일 대응) 모두에 기인하여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빔 소자들(220)은 도광체의 표면들(210', 210'')에 직교하게 전파하는 광에 대하여도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220)를 포함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220)를 포함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5a 및 도 5b는 회절 격자(222)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220)를 도시한다. 회절 격자(222)는 안내된 광(204)의 일부를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202)로서 회절적으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다. 회절 격자(222)는 안내된 광의 일부의 회절적 커플링 아웃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회절 특징부 간격 또는 회절 특징부 또는 격자 피치만큼 서로 이격된 복수의 회절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회절 격자(222)의 회절 특징부들의 간격 또는 격자 피치는, 서브 파장(즉, 안내된 광의 파장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220)의 회절 격자(222)는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도광체(210)의 표면에, 또는 도광체(210)의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절 격자(222)는 도광체(210)의 제 1 표면(210')에 위치하거나 제 1 표면(21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 1 표면(210')의 회절 격자(222)는 안내된 광의 일부를 제 1 표면(210')을 통하여 지향성 광빔들(202)로서 회절적으로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투과 모드 회절 격자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절 격자(222)는 도광체(210)의 제 2 표면(210")에 위치하거나 제 2 표면(21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 2 표면(210")에 위치하는 경우, 회절 격자(222)는 반사 모드 회절 격자일 수 있다. 반사 모드 회절 격자로서, 회절 격자(222)는 안내된 광의 일부를 회절시키고, 회절적으로 지향성 광빔들(202)로서 제 1 표면(210')을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도록 회절된 안내된 광의 일부를 제 1 표면(210')을 향하여 반사시키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회절 격자는, 예를 들어 투과 모드 회절 격자 및 반사 모드 회절 격자 중 하나 또는 모두로서, 도광체(210)의 표면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회절 격자(222)의 회절 특징부들은 서로 이격된 홈들 및 융기들 중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홈들 또는 융기들은 도광체(210)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광체(210)의 표면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홈들 또는 융기들은 도광체의 재료 이외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광체(210)의 표면 상에 다른 재료의 필름 또는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220)의 회절 격자(222)는 회절 특징부 간격이 회절 격자(222) 전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거나 변하지 않는 균일한 회절 격자이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회절 격자(222)는 처프된(chirped) 회절 격자이다. 정의에 의하면, '처프된' 회절 격자는 처프된 회절 격자의 범위(extent) 또는 길이에 걸쳐 변화하는 회절 특징부들의 회절 간격(즉, 격자 피치)을 나타내거나 갖는 회절 격자이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처프된 회절 격자는 거리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회절 특징부 간격의 처프를 갖거나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정의에 의하면, 처프된 회절 격자는 '선형적으로 처프된' 회절 격자이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220)의 처프된 회절 격자는 회절 특징부 간격의 비-선형 처프를 나타낼 수 있다. 지수적 처프, 로그적 처프 또는 실질적으로 비-균일 또는 랜덤하지만 단조로운 방식으로 변화하는 처프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비-선형 처프들이 이용될 수 있다. 정현파 처프 또는 삼각형 또는 톱니 처프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비-단조(non-monotonic) 처프들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처프들 중 임의의 조합도 이용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220)를 포함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220)를 포함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6a 및 도 6b는 미세 반사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220)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다. 멀티빔 소자(220)로서 이용되는 또는 멀티빔 소자(220) 내의 미세 반사 소자들은, 반사 재료(예를 들어, 반사성 금속) 또는 이의 층을 이용하는 반사체, 또는 내부 전반사(TIR)를 기반으로 하는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반사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220)는 도광체(210)의 표면(예를 들어, 제 2 표면(210"))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미세 반사 소자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210', 210") 사이의 도광체(2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는 도광체(210)의 제 2 표면(210")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반사면들을 갖는 미세 반사 소자(224)(예를 들어, '프리즘형' 미세 반사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220)를 도시한다. 도시된 프리즘형 미세 반사 소자(224)의 반사면들은 도광체(210)로부터의 안내된 광(204)의 일부를 반사(즉, 반사적으로 커플)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반사면들은 도광체(210)로부터의 안내된 광의 일부를 반사하기 위하여, 안내된 광(204)의 전파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즉,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반사면들은 도광체(210) 내에 반사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표면(210") 내의 프리즘형 공동(cavity)의 표면들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프리즘형 공동이 이용되는 경우, 공동 표면들에서의 굴절률 변화가 반사(예를 들어, TIR 반사)를 제공할 수 있거나, 반사면들을 형성하는 공동 표면들이 반사성 재료로 코팅되어 반사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b는, 반구형 미세 반사 소자(224)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만곡된 표면을 갖는 미세 반사 소자(224)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22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미세 반사 소자(224)의 특정 표면 곡선은, 안내된 광(204)이 접촉하는 만곡된 표면 상의 입사점에 따라, 안내된 광의 일부를 상이한 방향들로 반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체(210)로부터 반사적으로 산란된 안내된 광의 일부는 제 1 표면(210')을 빠져나가거나 제 1 표면(210')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도 6a의 프리즘형 미세 반사 소자(224)와 마찬가지로, 도 6b의 미세 반사 소자(224)는, 제한이 아닌 예로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체(210) 내의 반사 재료이거나 제 2 표면(210")에 형성된 공동(예를 들어, 반원형 공동)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또한, 제한이 아닌 예로서, 2개의 전파 방향들(203, 203')(즉, 굵은 화살표들로서 도시됨)을 갖는 안내된 광(204)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2개의 전파 방향들(203, 203')을 사용하는 것은, 대칭적인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202)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멀티빔 소자(220)를 포함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7은 미세 굴절 소자(226)를 포함하는 멀티빔 소자(220)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미세 굴절 소자(226)는 안내된 광(204)의 일부를 도광체(210)로부터 굴절적으로 커플 아웃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굴절 소자(226)는 안내된 광의 일부를 지향성 광빔들(202)로서 도광체(210)로부터 커플 아웃시키거나 산란시키기 위하여 굴절(예를 들어, 회절 또는 반사와 반대인)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미세 굴절 소자(226)는 반구 형상, 직사각 형상 또는 프리즘 형상(즉, 경사면들을 갖는 형상)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미세 굴절 소자(2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체(210)의 표면(예를 들어, 제 1 표면(210')) 외부로 연장되거나 돌출될 수 있고, 또는 표면 내의 공동(미도시)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미세 굴절 소자(226)는 도광체(210)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미세 굴절 소자(226)는 도광체의 표면에 인접하는, 일부 예들에서는 도광체의 표면에 접촉하는,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의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가 제공된다.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멀티뷰 이미지의 픽셀들로서 또는 멀티뷰 이미지의 픽셀들을 형성하는, 변조된 지향성 광빔들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방출되는 변조된 지향성 광빔들은 멀티뷰 이미지의 뷰들의 상이한 뷰 방향들에 대응되는 서로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다. 다양한 비제한적인 예들에서,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제공되는 멀티뷰 이미지는 각각 대응되는 개수의 뷰 방향들을 갖는 (4 x 4) 뷰들, (4 x 8) 뷰들 및 (8 x 8) 뷰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멀티뷰 이미지는 정보(예를 들어 장면 또는 객체)의 3차원(3D) 표현을 멀티뷰 이미지의 멀티뷰 컨텐츠로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방출되는 변조된 지향성 광빔들의 상이한 각각은 멀티뷰 이미지와 관련된 상이한 뷰들의 개별 픽셀들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뷰들은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뷰 이미지 내에 정보 또는 멀티뷰 컨텐츠의 '안경 불필요(glasses free)'(예를 들어, 오토스테레오스코픽(autostereoscopic)) 표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는 상이한 뷰 방향들의 상이한 뷰들에 따라 멀티뷰 컨텐츠를 포함하는 멀티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에 의하여 방출되는 변조된 지향성 광빔들(302)은, 멀티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이용되고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들의 픽셀들(즉, 뷰 픽셀들)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에서 변조된 지향성 광빔들(302)이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로부터 발산하는 화살표들로서 도시되었다. 방출되는 변조된 지향성 광빔들(302)의 화살표들에 점선들이 이용되어,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 변조를 강조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는 멀티뷰 픽셀들(330)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멀티뷰 픽셀들(330)의 어레이는 멀티뷰 이미지의 복수의 상이한 뷰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뷰 픽셀 어레이의 멀티뷰 픽셀(330)은,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304)을 변조하고 방출되는 변조된 지향성 광빔들(302)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뷰 픽셀(330)은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멀티뷰 픽셀(206)에 대응되는 광 밸브들(230)의 어레이의 광 밸브들(230)의 세트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특히, 멀티뷰 픽셀(330)의 서브 픽셀은 전술한 광 밸브(23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즉,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의 멀티뷰 픽셀(330)은 한 세트의 광 밸브들(예를 들어, 광 밸브들(230)의 세트)을 포함할 수 있고, 멀티뷰 픽셀(330)의 서브 픽셀은 한 세트의 광 밸브들 중 하나의 광 밸브(예를 들어, 단일 광 밸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는 멀티빔 소자들(320)의 어레이를 더 포함한다. 멀티빔 소자 어레이의 각각의 멀티빔 소자(320)는 대응되는 멀티뷰 픽셀(330)에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304)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304)의 지향성 광빔들(304)은 서로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다. 특히,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지향성 광빔들(304)의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은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의 상이한 뷰들의 상이한 뷰 방향들에 대응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320)는 전술한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멀티빔 소자(22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빔 소자(32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전술한 회절 격자(222)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멀티빔 소자(32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전술한 미세 반사 소자(224)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미세 반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멀티빔 소자(320)는 미세 굴절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 굴절 소자는 도 7에 도시된 전술한 미세 굴절 소자(226)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는 도광체(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광체(310)는 광을 안내된 광으로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광은 내부 전반사에 의하여, 예를 들어 안내된 광빔으로서,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체(310)는 광 입력 에지(edge)로부터의 광을 안내된 광빔으로서 안내하도록 구성된 판(plate) 도광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의 도광체(310)는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도광체(21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빔 소자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들(320)은 안내된 광의 일부를 지향성 광빔들(304)로서 도광체(310)로부터 산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빔 소자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320)의 크기는 멀티뷰 픽셀(330)의 복수의 서브 픽셀들의 서브 픽셀의 크기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320)의 크기는 서브 픽셀의 크기의 절반보다 클 수 있고 서브 픽셀의 크기의 두 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멀티빔 소자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들(320) 간의 소자간 거리는 멀티뷰 픽셀 어레이의 멀티뷰 픽셀들(330) 간의 픽셀 간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빔 소자들(320) 간의 소자간 거리는 멀티뷰 픽셀들(330) 간의 픽셀간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들(320) 간의 소자간 거리 및 대응되는 멀티뷰 픽셀들(330) 간의 픽셀간 거리는, 중심간 거리로서 정의되거나 간격 또는 거리의 등가 측정치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멀티뷰 픽셀 어레이의 멀티뷰 픽셀들(330)과 멀티빔 소자 어레이의 멀티빔 소자들(320) 간에는 일대일 대응 관계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빔 소자들(320) 간의 소자간(예를 들어, 중심간) 거리는 멀티뷰 픽셀들(330) 간의 픽셀간(예를 들어, 중심간)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뷰 픽셀(330) 내의 각각의 서브 픽셀은 대응되는 멀티빔 소자(320)에 의하여 제공되는 복수의 지향성 광들의 지향성 광빔들(304) 중 상이한 각각을 변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멀티뷰 픽셀(330)은 오직 하나의 멀티빔 소자(320)로부터의 지향성 광빔들(304)을 수신하고 변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광체(310)를 포함하는 실시 예들 중 일부에서(미도시),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는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은 도광체(310)에게, 0이 아닌 전파 각도를 갖는, 일부 실시 예들에서는 도광체(310) 내의 안내된 광의 정해진 각도 확산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준 계수에 따라 시준되는,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원은 전술한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광원(240)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복수의 광원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체(310)에 광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광체(310)의 2개의 상이한 에지들 또는 단부들(예를 들어, 대향 단부들)에 한 쌍의 광원들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는 위치 센서(340)를 더 포함한다. 위치 센서(340)는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위치 센서(340)는 사용자와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 간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340)는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의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 또는 대등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의한 제스처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스처는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 위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스처는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제어부(즉, 객체, 가상 아이콘, 또는 기타 제어부(control) 등)와의 가상 상호 작용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는 제스처가 수행되는 동안 또는 제스처가 수행된 결과로서 모니터링된 손의 위치를 기반으로 멀티뷰 이미지의 멀티뷰 컨텐츠를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스처는, 물리적인 접촉이 없더라도 사용자의 손과 가상 제어부 간의 물리적인 상호 작용이 발생한 것처럼, 멀티뷰 컨텐츠를 수정할 수 있다. 즉,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는, 사용자와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 간의 접촉을 포함하지 않는 가상 상호 작용에 따라 수행된 제스처를 이용하여 멀티뷰 컨텐츠의 제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위치 센서(340)는 전술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위치 센서(120)(또는 측정 서브시스템)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잇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340)는, 정전용량 센서,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및 비행시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비행시간 센서는 RF/마이크로파 신호, 음향 신호, 적외선 신호, 및 가시 또는 자외선 파장을 포함하는 광학 신호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무선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300)는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350)을 더 포함한다.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350)은 사용자에게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가상 햅틱 피드백은 모니터링된 위치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가상 햅틱 피드백의 범위는 가상 제어부의 범위에 대응된다. 즉, 가상 햅틱 피드백의 범위는 멀티뷰 이미지 내의 가상 제어부의 크기, 모양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에 대응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가상 햅틱 피드백의 결과로서 가상 제어부와의 물리적인 상호 작용을 갖는 접촉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상호 작용의 인식은 사용자에 의한 제스처에 대한 응답을 시뮬레이션하는 감각(sensory)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뷰 이미지 내의 가상 제어부는 가상 아이콘에 대응될 수 있고,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350)은 모니터링된 위치에 대한 응답으로 가상 아이콘의 활성화에 대응되는 감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에 일치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예로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동작 방법(4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동작 방법(400)은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멀티뷰 컨텐츠를 멀티뷰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410)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멀티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410)하는 단계는 멀티뷰 이미지의 상이한 뷰 방향들에 대응되는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지향성 광빔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복수의 광 밸브들을 이용하여(또는 대등하게는 광 밸브들의 어레이를 이용하여) 지향성 광빔들을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지향성 광빔들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의 멀티빔 소자는 안내된 광의 일부를 지향성 광빔들로서 도광체로부터 산란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의 멀티빔 소자는 전술한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멀티빔 소자들(220)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빔 소자들은 전술한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회절 격자(222), 미세 반사 소자(224) 및 미세 굴절 소자(226)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회절 격자, 미세 반사 소자 및 미세 굴절 소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빔 소자들은 멀티뷰 픽셀의 서브 픽셀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광 밸브들은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와 관련하여 전술한 광 밸브들(230)의 어레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특히, 광 밸브들의 상이한 세트들은, 제 1 및 제 2 광 밸브 세트들(230a, 230b)이 상이한 멀티뷰 픽셀들(206)에 대응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이한 멀티뷰 픽셀들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광 밸브 어레이의 개별적인 광 밸브들은,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의 전술한 논의에서 전술한 광 밸브(230)가 서브 픽셀에 대응되는 것처럼, 멀티뷰 픽셀들의 서브 픽셀들에 대응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400)은 광원을 이용하여 도광체에 광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광은, 도광체 내에서 0이 아닌 전파 각도를 갖는 것 및 정해진 시준 계수에 따라 시준되는 것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해당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광체는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도광체(21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은 도광체 내에서 내부 전반사에 따라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광원은 전술한 광원(240)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도광체를 따라 광을 안내된 광으로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광은 0이 아닌 전파 각도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안내된 광은 시준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정해진 시준 계수에 따라 시준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광체는 멀티뷰 디스플레이(2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도광체(21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은 도광체 내에서 내부 전반사에 따라 안내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동작 방법(400)은 사용자의 손의 위치(또는 움직임)을 모니터링(42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420)하는 단계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위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420)하는 단계는 사용자와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즉, 위치 센서 및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포함함) 간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센서는 정전용량 센서,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 및 비행시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손의 위치에 대응되는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중 상이한 이미지 센서들에 의하여 캡처된 이미지들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비행시간 센서를 이용하여 손에 의한 무선 신호의 반사를 이용하여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행시간 센서는 RF/마이크로파 신호, 음향 신호, 적외선 신호, 및 가시 또는 자외선 파장의 기타 광학 신호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위치 센서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과 관련하여 전술한 위치 센서(12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동작 방법(400)은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430)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공(430)된 가상 햅틱 피드백은 모니터링된 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가상 햅틱 피드백은 사용자와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즉,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 및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포함함) 간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제공(430)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가상 햅틱 피드백의 범위는 멀티뷰 이미지 내의 가상 제어부의 범위에 대응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430)하는 단계에서 이용되는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은 전술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100)의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130)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특히,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을 이용하여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430)하는 단계는, 초음파 압력, 공기압 및 정전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손에 물리적인 감각(sensation)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적인 감각은 가상 햅틱 피드백의 범위에 대응되는 공간 영역에 생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미도시),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동작 방법(400)은 모니터링된 위치 또는 움직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멀티뷰 이미지의 멀티뷰 컨텐츠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사용자 상호 작용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된 멀티뷰 이미지 내의 멀티뷰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하여 비접촉 모니터링 및 비접촉 가상 햅틱 피드백을 이용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 및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예들 및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다. 전술한 예들은 단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을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인 예들 중 일부를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백히, 당업자는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의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 많은 다른 구성들을 쉽게 고안할 수 있다.

Claims (20)

  1. 홀로그래픽 현실(holographic reality) 시스템으로서,
    멀티뷰 컨텐츠를 멀티뷰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멀티뷰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손의 모니터링된 위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위치 센서 -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간의 접촉 없이 상기 위치 센서에 의하여 제공됨 -; 및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 - 상기 가상 햅틱 피드백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간의 접촉 없이 제공됨 -; 을 포함하되,
    상기 가상 햅틱 피드백의 범위는 상기 멀티뷰 이미지 내의 가상 제어부의 범위에 대응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은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멀티뷰 컨텐츠를 수정하도록 구성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정전용량 센서,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및 비행시간(time-of-flight)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시간 센서는 무선 주파수, 마이크로파 신호, 음향 신호, 적외선 신호 및 다른 광학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제스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은 초음파 압력, 공기압 및 정전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은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멀티뷰 컨텐츠에 상기 가상 제어부의 활성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상기 멀티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상이한 뷰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은 상기 상이한 뷰들의 상이한 뷰 방향들에 대응되는 서로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도광체의 길이를 따르는 전파 방향으로 광을 안내된 광으로서 안내하도록 구성된 상기 도광체; 및
    상기 도광체의 길이를 따라 분포된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 - 상기 복수의 멀티빔 소자들의 멀티빔 소자는 상기 안내된 광의 일부를 상기 상이한 뷰들에 대응되는 상기 상이한 주 각도 방향들을 갖는 상기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로서 상기 도광체로부터 산란시키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멀티뷰 픽셀들의 어레이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멀티뷰 픽셀은 상기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의 지향성 광빔들을 변조함으로써 상기 상이한 뷰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뷰 디스플레이는 상기 도광체의 입력에 광학적으로 결합된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안내된 광으로서 안내될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13.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로서,
    멀티뷰 이미지의 복수의 상이한 뷰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멀티뷰 픽셀들의 어레이 - 멀티뷰 픽셀은 상기 상이한 뷰들의 뷰 방향들에 대응되는 방향들을 갖는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변조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함 -;
    멀티빔 소자들의 어레이 - 각각의 멀티빔 소자는 대응되는 멀티뷰 픽셀에 상기 복수의 지향성 광빔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됨 -;
    사용자와 상기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 간의 접촉 없이 상기 멀티뷰 이미지 내의 가상 제어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위치 센서; 및
    상기 손의 모니터링된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 - 상기 가상 햅틱 피드백의 범위는 상기 가상 제어부의 범위에 대응됨 -;
    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래픽 현실 디스플레이는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멀티뷰 이미지의 멀티뷰 컨텐츠를 수정하도록 구성되는,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정전용량 센서,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및 비행시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은 초음파 압력, 공기압 및 정전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뷰 이미지 내의 상기 가상 제어부는 가상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은 상기 모니터링된 위치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가상 아이콘의 활성화에 대응되는 감각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홀로그래픽 현실 멀티뷰 디스플레이.
  18.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멀티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멀티뷰 컨텐츠를 멀티뷰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와 상기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상기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가상 햅틱 피드백은 상기 손의 모니터링된 위치를 기반으로 하며 그리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제공됨 -; 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 햅틱 피드백의 범위는 상기 멀티뷰 이미지 내의 가상 제어부의 범위에 대응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동작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손의 위치에 대응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중 상이한 이미지 센서들에 의하여 캡처된 이미지들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상기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비행시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손에 의한 무선 신호의 반사를 이용하여 상기 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동작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가상 햅틱 피드백 유닛을 이용하여 가상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초음파 압력, 공기압 및 정전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손에 물리적인 감각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리적인 감각은 상기 가상 햅틱 피드백의 범위에 대응되는 공간 영역에 생성되는,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17012578A 2018-10-01 2018-10-01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멀티뷰 디스플레이 및 방법 KR202100525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8/053816 WO2020072034A1 (en) 2018-10-01 2018-10-01 Holographic reality system,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574A true KR20210052574A (ko) 2021-05-10

Family

ID=7005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578A KR20210052574A (ko) 2018-10-01 2018-10-01 홀로그래픽 현실 시스템, 멀티뷰 디스플레이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698605B2 (ko)
EP (1) EP3861384A4 (ko)
JP (1) JP2022503796A (ko)
KR (1) KR20210052574A (ko)
CN (1) CN112823299B (ko)
CA (1) CA3109757A1 (ko)
TW (1) TWI714250B (ko)
WO (1) WO2020072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2292B1 (en) 2018-06-10 2022-08-23 Apple Inc. Super-blazed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with sub-wavelength structures
US11212514B2 (en) * 2019-03-25 2021-12-28 Light Field Lab, Inc. Light field display system for cinemas
US11754767B1 (en) 2020-03-05 2023-09-12 Apple Inc. Display with overlaid waveguide
TWI757941B (zh) * 2020-10-30 2022-03-11 幻景啟動股份有限公司 影像處理系統以及影像處理裝置
CN114894354B (zh) * 2022-04-11 2023-06-13 汕头大学 基于表面结构色的压力感知反馈装置及深度学习识别方法
CN114833826B (zh) * 2022-04-20 2023-07-04 上海傅利叶智能科技有限公司 实现机器人碰撞触觉的控制方法、装置以及康复机器人
TWI832654B (zh) * 2023-01-04 2024-02-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觸覺回饋裝置及產生觸覺回饋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028A (ja) 1997-09-30 1999-04-23 Toshiba Corp 3次元映像表示装置
US6191796B1 (en) * 1998-01-21 2001-02-20 Sensabl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interfacing with rigid and deformable surfaces in a haptic virtual reality environment
JP4741488B2 (ja) * 2003-07-03 2011-08-03 ホロタッチ,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ホログラフィックヒュー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
DE10339076B4 (de) * 2003-08-26 2007-10-31 Seereal Technologies Gmbh Autostereoskopisches Multi-User-Display
US7834850B2 (en) * 2005-11-29 2010-11-16 Navisense Method and system for object control
US20150121287A1 (en) * 2006-07-03 2015-04-30 Yoram Ben-Meir System for generating and controlling a variably displayable mobile device keypad/virtual keyboard
GB2461294B (en) * 2008-06-26 2011-04-06 Light Blue Optics Ltd Holographic image display systems
US8963954B2 (en) * 2010-06-30 2015-02-24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 constant level of information in augmented reality
WO2012038856A1 (en) 2010-09-21 2012-03-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view display device
US8847919B2 (en) * 2011-02-02 2014-09-30 Apple Inc. Interactive holographic display device
EP2518590A1 (en) * 2011-04-28 2012-10-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RU2608322C2 (ru) * 2011-10-20 2017-01-1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Голографические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е интерфейсы для медицинских процедур
WO2013089490A1 (ko) * 2011-12-15 2013-06-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촉감 제공 장치 및 방법
TW201326972A (zh) 2011-12-30 2013-07-01 Ind Tech Res Inst 顯示裝置
US8711118B2 (en) * 2012-02-15 2014-04-29 Immersion Corporation Interactivity model for shared feedback on mobile devices
US9389415B2 (en) 2012-04-27 2016-07-12 Leia Inc. Directional pixel for use in a display screen
US9459461B2 (en) 2012-05-31 2016-10-04 Leia Inc. Directional backlight
US9201270B2 (en) 2012-06-01 2015-12-01 Leia Inc. Directional backlight with a modulation layer
US9298168B2 (en) 2013-01-31 2016-03-29 Leia Inc. Multiview 3D wrist watch
US9367136B2 (en) * 2013-04-12 2016-06-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olographic object feedback
CN104508353B (zh) 2013-07-30 2018-08-31 镭亚股份有限公司 基于多束衍射光栅的背光照明
EP3108286B1 (de) 2014-02-19 2024-01-10 PA.Cotte Family Holding GmbH Anzeigevorrichtung
WO2015152776A1 (en) * 2014-04-02 2015-10-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view display control
US9865089B2 (en) * 2014-07-25 2018-01-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rtual reality environment with real world objects
US9557466B2 (en) 2014-07-30 2017-01-31 Leia, Inc Multibeam diffraction grating-based color backlighting
US10427034B2 (en) * 2014-12-17 2019-10-01 Igt Canada Solutions Ulc Contactless tactile feedback on gaming terminal with 3D display
CN104460115B (zh) 2014-12-31 2017-09-01 苏州大学 一种多视角像素指向型背光模组及裸眼3d显示装置
KR102243288B1 (ko) * 2015-01-28 2021-04-22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3차원(3d) 전자 디스플레이
JP2017027401A (ja) * 2015-07-23 2017-02-02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操作装置
US11347354B1 (en) * 2015-09-03 2022-05-31 sigmund lindsay clements Laser mid-air hologram touch input buttons for a toilet bidet
KR102274753B1 (ko) 2015-09-05 2021-07-08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집광 백라이트 및 이를 이용한 근안 디스플레이
US10798371B2 (en) * 2015-09-05 2020-10-06 Leia Inc. Multiview display with head tracking
EP3345390B1 (en) 2015-09-05 2023-06-07 LEIA Inc. Multiview display with head tracking
KR20170029320A (ko) * 2015-09-07 2017-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43400A1 (ja) * 2015-09-08 2017-03-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350649B1 (en) * 2015-09-17 2024-05-08 Fathom Optics Inc. Multi-view display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3363197A4 (en) 2015-10-16 2019-05-22 LEIA Inc. MULTILAYER GRID BASED EYE-ONLY DISPLAY
EP3408705A4 (en) 2016-01-30 2019-09-11 LEIA Inc. MULTI-LAYERED ELEMENT BASED BACKLIGHTING AND DISPLAY THEREOF
KR102367308B1 (ko) * 2016-01-30 2022-02-24 레이아 인코포레이티드 수렴 시점들을 갖는 다중 빔 요소-기반 역광 조명
KR20170096420A (ko) * 2016-02-16 2017-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화형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WO2017141228A1 (en) * 2016-02-20 2017-08-24 Vats Nitin Realistic gui based interactions with virtual gui of virtual 3d objects
JP6593229B2 (ja) * 2016-03-09 2019-10-23 株式会社Soken 触覚提示装置
US10055867B2 (en) * 2016-04-25 2018-08-21 Qualcomm Incorporated Accelerated light field display
US10928677B2 (en) 2016-05-23 2021-02-23 Leia Inc. Diffractive multibeam element-based backlighting
KR20230166155A (ko) * 2016-07-15 2023-12-06 라이트 필드 랩 인코포레이티드 라이트 필드 및 홀로그램 도파관 어레이에서의 에너지의 선택적 전파
WO2018017215A1 (en) * 2016-07-16 2018-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esture based 3-dimensional object transformation
DE102016216577A1 (de) 2016-09-01 2018-03-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Interaktion mit Bildinhalten, die auf einer Anzeige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dargestellt werden
US20180095635A1 (en) * 2016-10-04 2018-04-05 Facebook, Inc. Controls and Interfaces for User Interactions in Virtual Spaces
US10216145B2 (en) * 2016-10-27 2019-0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on between multiple holograms
WO2018100575A1 (en) * 2016-11-29 2018-06-07 Real View Imaging Ltd. Tactile feedback in a display system
CN107221223B (zh) * 2017-06-01 2020-04-1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带有力/触觉反馈的虚拟现实飞机座舱系统
US10261470B2 (en) * 2017-06-01 2019-04-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ended projection boundary of holographic display device
GB201709199D0 (en) * 2017-06-09 2017-07-26 Delamont Dean Lindsay IR mixed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gaming system
CN107340871A (zh) * 2017-07-25 2017-11-10 深识全球创新科技(北京)有限公司 集成手势识别与超声波触觉反馈的装置及其方法和用途
US11048329B1 (en) * 2017-07-27 2021-06-29 Emerge Now Inc. Mid-air ultrasonic haptic interface for immersive computing environments
EP4030753A1 (en) * 2017-08-23 2022-07-20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SAS Light field image engin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rojected 3d light fields
US10512839B2 (en) * 2017-09-28 2019-12-24 Igt Interacting with three-dimensional game elements using gaze detection
CN107908000B (zh) * 2017-11-27 2019-05-21 西安交通大学 一种带有超声虚拟触觉的混合现实系统
US11650354B2 (en) * 2018-01-14 2023-05-16 Light Field Lab,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ndering data from a 3D environment
CN112219154B (zh) * 2018-05-17 2023-05-05 Pcms控股公司 基于衍射元件的3d显示定向背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23299A (zh) 2021-05-18
EP3861384A1 (en) 2021-08-11
JP2022503796A (ja) 2022-01-12
TWI714250B (zh) 2020-12-21
EP3861384A4 (en) 2022-05-11
US11698605B2 (en) 2023-07-11
WO2020072034A1 (en) 2020-04-09
US20210200150A1 (en) 2021-07-01
TW202017367A (zh) 2020-05-01
CA3109757A1 (en) 2020-04-09
CN112823299B (zh)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8605B2 (en) Holographic reality system,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EP3408699B1 (en) Multibeam element-based backlighting having converging views
KR102309395B1 (ko) 공유 카메라를 구비하는 카메라 서브-어레이들을 갖는 멀티뷰 카메라 어레이, 멀티뷰 시스템, 및 방법
EP3602152A1 (en) Backlight,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employing tapered collimator
KR102309397B1 (ko) 크로스-렌더 멀티뷰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
US11467421B2 (en) Multi-directional backlight, multi-user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KR20210037005A (ko) 사용자 추적 기능이 있는 멀티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US20210250572A1 (en) Contextual lightfield display system,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CA3109757C (en) Holographic reality system,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JP7256830B2 (ja) 動的に再構成可能なマルチビューピクセルを用いるマルチビューディスプレイ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