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044A -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044A
KR20210052044A KR1020190138078A KR20190138078A KR20210052044A KR 20210052044 A KR20210052044 A KR 20210052044A KR 1020190138078 A KR1020190138078 A KR 1020190138078A KR 20190138078 A KR20190138078 A KR 20190138078A KR 20210052044 A KR20210052044 A KR 20210052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grating
fixing member
bearing bar
paint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3834B1 (ko
Inventor
윤준태
성천생
신동진
주상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83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그레이팅의 하부에 배치된 구조물의 도장면을 보호하는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상에 안착되는 제1 보호커버; 및 상기 제1 보호커버의 상측에서 상기 그레이팅을 구성하는 베어링 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보호커버를 상기 그레이팅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베어링 바의 상면과 마주보는 제1 상면부; 상기 베어링 바의 양 측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상면부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1-1 측면부 및 제1-2 측면부; 및 상기 베어링 바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2 측면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면부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A PAINTED SURFACE UNDER GRATING}
본 발명은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건조 시 선체 블록과 같은 구조물의 금속 표면에는 부식 및 열화 방지 등을 위한 도장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물 상에는 그레이팅(grating)이 설치되어 갑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레이팅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구조물의 전체 하중을 낮추거나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지만, 구조물의 도장면이 오염된 경우 그레이팅을 들어올려야 하는 등 세척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선주에게 인도되기 전까지 구조물 상에서는 각종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그로 인해 발생하는 철 분진이 그레이팅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해 도장면 상에 퇴적되어 도장면에 고착되거나 수분과 만나 자체 부식됨으로써 구조물의 전체 외관을 해치고 재 도장 작업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종래에는 그레이팅 상에 예를 들어 PVC 계통의 보호커버를 설치하여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을 보호하였다.
하지만, 보호커버는 장기 옥외 노출 또는 열화로 인해 손상될 수 있고, 그레이팅, 특히 그레이팅 상부의 미끄럼 방지 돌기와의 마찰 등에 의해서도 손상될 수 있으므로, 보호 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호커버는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고정되었는데, 강한 바람이 부는 혹독한 해상 또는 조선소 환경에서 접착 테이프가 분리되면서 보호커버가 이탈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보호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오염 정도는 줄일 수 있다고 하더라도 결국 재 도장 작업을 실시할 수 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유지보수 비용이 이중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8630호(2014.02.24, 그레이팅 홀 커버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8129호(2004.08.05, 선박제조공정의 도장면 보호판)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그레이팅이 설치된 구조물에서 도장면의 오염을 억제하는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그레이팅의 하부에 배치된 구조물의 도장면을 보호하는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상에 안착되는 제1 보호커버; 및 상기 제1 보호커버의 상측에서 상기 그레이팅을 구성하는 베어링 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보호커버를 상기 그레이팅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베어링 바의 상면과 마주보는 제1 상면부; 상기 베어링 바의 양 측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상면부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1-1 측면부 및 제1-2 측면부; 및 상기 베어링 바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2 측면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면부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2 측면부는 상기 제1-1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1 하면부까지의 제1 수평거리가 상기 제1-1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1-2 측면부의 상단까지의 제2 수평거리 이상이 되도록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커버의 일부는 상기 베어링 바와 상기 제1 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도장면에서 상향 연장되는 상기 구조물의 측벽부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보호커버 상에 안착되는 제2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보호커버가 상기 제1 보호커버와 함께 상기 그레이팅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보호커버의 상기 제1 보호커버 상에 안착된 영역의 상측에서 상기 베어링 바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커버의 일부는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보호커버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측벽부와 마주보는 제2-1 측면부; 상기 제2-1 측면부와 마주보는 제2-2 측면부; 및 상기 제2-1 측면부의 상단과 상기 제2-2 측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2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커버의 일단은 상기 제2 고정부재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상기 제2-1 측면부와 상기 제2-2 측면부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2-1 측면부의 상기 측벽부와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는 제1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커버의 일단에는 상기 제1 영구자석과 반대 극성을 띠는 제2 영구자석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그레이팅 상에 보호커버를 배치하여 도장면을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제1 고정부재에 의해 보호커버를 그레이팅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보호커버의 임의 이탈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고정부재가 그레이팅으로부터 분리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보호커버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조물(10)은 도장면(11)을 포함할 수 있고, 도장면(11)의 상측에는 그레이팅(2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조물(10)은 선체 블록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장면(11)은 도장 작업에 의해 구조물(10) 상에 형성되는 도장층의 외부 노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구조물(10)은 도장면(11)에서 상향 연장되는 측벽부(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측벽부(13)와 그레이팅(20) 사이에는 완충부재(300), 예를 들어 스펀지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레이팅(20)은 서포트 또는 브래킷 등을 통해 구조물(10)에 설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순히 구조물(10) 상에 안착될 수도 있다.
그레이팅(20)은 상호간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복수의 베어링 바(21) 및 복수의 크로스 바(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베어링 바(21)는 상호간에 X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베어링 바(21) 각각은 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크로스 바(23)는 상호간에 Y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크로스 바(23) 각각은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X 방향(제1 방향) 및 Y 방향(제2 방향)은 도장면(11)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X 방향과 Y 방향은 상호간에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는 제1 보호커버(110) 및 제1 고정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보호커버(120) 및 제2 고정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보호커버(110)는 그레이팅(2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그레이팅(20) 하부에 배치되는 도장면(11)이 외부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보호커버(120)는 제1 보호커버(110) 상에 안착되어 구조물(10)의 측벽부(13)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커버(110)와 제2 보호커버(120)는 그레이팅(20) 상에서 상호간에 일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10)의 도장면(11)과 측벽부(13)를 연결하는 코너 부분에 외부 오염물질이 퇴적 내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210)는 제1 보호커버(110) 및 제2 보호커버(120)의 상측에서 베어링 바(2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재(210)는 제2 보호커버(120)의 제1 보호커버(110) 상에 안착된 영역의 상측에서 베어링 바(2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호커버(120)는 제1 보호커버(110)와 함께 그레이팅(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210)를 베어링 바(21)에 결합하기 위해 공구(30)가 사용될 수도 있다. 공구(30)에는 제1 고정부재(210)가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220)는 구조물(20)의 측벽부(23)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보호커버(120)는 후술하는 것처럼 제2 고정부재(2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내지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고정부재(210)는 제1 상면부(211), 제1-1 측면부(213), 제1-2 측면부(215) 및 제1 하면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면부(211)는 X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베어링 바(21)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1 측면부(213) 및 제1-2 측면부(215)는 제1 상면부(211)의 X 방향의 양단에서 Z 방향과 평행하게 하향 연장되어 베어링 바(21)의 양 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하면부(217)는 제1-2 측면부(215)의 하단에서 X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베어링 바(21)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Z 방향(제3 방향)은 X 방향 및 Y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1 측면부(213)의 하단과 제1 하면부(217)의 자유 단은 상호간에 X 방향 및 Z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면부(217)의 X 방향의 길이는 제1 상면부(211)의 X 방향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고정부재(210)는 상술한 것처럼 제1 보호커버(110) 및 제2 보호커버(120)의 상측에서 하향 이동하여 베어링 바(21)에 결합됨으로 인해, 제1 보호커버(110)의 일부는 베어링 바(21)와 제1 고정부재(2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제2 보호커버(120)의 일부는 제1 보호커버(110)와 제1 고정부재(2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1 고정부재가 그레이팅으로부터 분리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2 측면부(215)는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될 수 있고, 그 결과 제1-1 측면부(213)로부터 제1 하면부(217)의 자유 단까지의 X 방향으로의 제1 수평거리(d1)는 제1-1 측면부(213)로부터 제1-2 측면부(215)의 상단까지의 제2 수평거리(d2)와 동일하거나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재(21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베어링 바(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고정부재(220)는 제2-1 측면부(221), 제2-2 측면부(223) 및 제2 상면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측면부(221)는 Z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구조물의 측벽부(13)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2 측면부(223)는 Z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2-1 측면부(22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상면부(225)는 X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2-1 측면부(221)의 상단과 제2-2 측면부(223)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2-1 측면부(221)는 측벽부(13)와 제2-2 측면부(2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호커버(120)의 일단은 제2 고정부재(220)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제2-1 측면부(221)와 제2-2 측면부(223)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제2-2 측면부(223)는 제2 보호커버(120)를 가압하여 제2 보호커버(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보호커버(120)의 삽입 또는 분리 시에는 제2-2 측면부(223) 또는 제2 상면부(225)가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보호커버(120)는 제1 영구자석(227)과 제2 영구자석(121) 간 자기력에 의해 제2 고정부재(2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영구자석(227)은 제2-1 측면부(221)의 측벽부(13)와 마주보는 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영구자석(227)과 반대 극성을 띤 제2 영구자석(121)은 제2 보호커버(12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구자석(227)은 N극일 수 있고, 제2 영구자석(121)은 S극일 수 있다.
제1 영구자석(227)은 제2 고정부재(220)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측벽부(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1 측면부(221)의 측벽부(13)와 마주보는 면에는 완충 재질, 예를 들어 스펀지 타입의 접착층(229)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의 보호커버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보호커버(110) 및 제2 보호커버(120)는 각각 제1 투명층(110a, 120a), 제1 투명층(110a, 120a) 상에 적층되는 제2 투명층(110b, 120b), 및 제1 투명층(110a, 120a)과 제2 투명층(110b, 120b) 사이에 배치되는 메쉬층(110c, 12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투명층(110a, 120a) 및 제2 투명층(110b, 120b)은 투명한 난연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폴리에틸렌(PE)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커버(110, 120)의 상측에 위치한 작업자가 그레이팅(20)의 상태, 예를 들어 관통 홀의 형성 여부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2 투명층(110b, 120b)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110d, 120d)가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메쉬층(110c, 120c)은 메쉬 형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강선(steel wire)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호커버(110) 및 제2 보호커버(120)의 기계적 충격, 마모 등에 의한 손상 및 기능 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구조물 11: 도장면
13: 측벽부 20: 그레이팅
21: 베어링 바 23: 크로스 바
30: 공구 110: 제1 보호커버
120: 제2 보호커버 121: 제2 영구자석
210: 제1 고정부재 211: 제1 상면부
213: 제1-1 측면부 215: 제1-2 측면부
217: 제1 하면부 220: 제2 고정부재
221: 제2-1 측면부 223: 제2-2 측면부
225: 제2 상면부 227: 제1 영구자석
229: 접착층 300: 완충부재

Claims (7)

  1. 그레이팅의 하부에 배치된 구조물의 도장면을 보호하는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 상에 안착되는 제1 보호커버; 및
    상기 제1 보호커버의 상측에서 상기 그레이팅을 구성하는 베어링 바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보호커버를 상기 그레이팅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베어링 바의 상면과 마주보는 제1 상면부;
    상기 베어링 바의 양 측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상면부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1-1 측면부 및 제1-2 측면부; 및
    상기 베어링 바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2 측면부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하면부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측면부는 상기 제1-1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1 하면부까지의 제1 수평거리가 상기 제1-1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1-2 측면부의 상단까지의 제2 수평거리 이상이 되도록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 가능한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커버의 일부는 상기 베어링 바와 상기 제1 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면에서 상향 연장되는 상기 구조물의 측벽부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보호커버 상에 안착되는 제2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보호커버가 상기 제1 보호커버와 함께 상기 그레이팅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보호커버의 상기 제1 보호커버 상에 안착된 영역의 상측에서 상기 베어링 바에 결합되는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커버의 일부는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보호커버 사이에 개재되는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측벽부와 마주보는 제2-1 측면부;
    상기 제2-1 측면부와 마주보는 제2-2 측면부; 및
    상기 제2-1 측면부의 상단과 상기 제2-2 측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2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커버의 일단은 상기 제2 고정부재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상기 제2-1 측면부와 상기 제2-2 측면부 사이로 삽입되는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2-1 측면부의 상기 측벽부와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는 제1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보호커버의 일단에는 상기 제1 영구자석과 반대 극성을 띠는 제2 영구자석이 결합되는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KR1020190138078A 2019-10-31 2019-10-31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KR102653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078A KR102653834B1 (ko) 2019-10-31 2019-10-31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078A KR102653834B1 (ko) 2019-10-31 2019-10-31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044A true KR20210052044A (ko) 2021-05-10
KR102653834B1 KR102653834B1 (ko) 2024-04-03

Family

ID=7591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078A KR102653834B1 (ko) 2019-10-31 2019-10-31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8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1579U (ko) * 1986-11-28 1988-06-14
JPH0314889U (ko) * 1989-06-28 1991-02-14
JPH10159163A (ja) * 1996-11-29 1998-06-16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床板材連結金具
KR200358129Y1 (ko) 2004-05-21 2004-08-05 조종래 선박제조공정의 도장면 보호판
KR101241682B1 (ko) * 2011-10-20 2013-03-11 주식회사 삼원케미칼 선박 구조물 건조용 커버 시트
KR101368630B1 (ko) 2012-07-06 2014-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홀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1579U (ko) * 1986-11-28 1988-06-14
JPH0314889U (ko) * 1989-06-28 1991-02-14
JPH10159163A (ja) * 1996-11-29 1998-06-16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床板材連結金具
KR200358129Y1 (ko) 2004-05-21 2004-08-05 조종래 선박제조공정의 도장면 보호판
KR101241682B1 (ko) * 2011-10-20 2013-03-11 주식회사 삼원케미칼 선박 구조물 건조용 커버 시트
KR101368630B1 (ko) 2012-07-06 2014-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그레이팅 홀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834B1 (ko) 202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39461A1 (en) Attachment of wall elements
RU2639014C2 (ru) 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грузов и кран
US20110056765A1 (en) Window Platform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210052044A (ko)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EP3080367B1 (en) System for providing base isolation against seismic activity
KR200444498Y1 (ko) 승강기용 가설 보양패널
KR100751516B1 (ko) 금속 타일과, 이를 구비하는 공장용 바닥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KR102653835B1 (ko) 그레이팅 하부 도장면 보호 장치
US10153627B1 (en) Floor cable cover for heavy-use environments
KR200276604Y1 (ko) 지하매설 파이프의 보호장치
KR20200023861A (ko) 로프 보호기구
KR20140003753U (ko)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EP1209786A1 (en) Elevated floor panel with a cable outlet
KR200391095Y1 (ko) 승강기 보호대
KR200478703Y1 (ko) 랙 연결부위의 케이블 보호장치
JP7461021B2 (ja) 二重床構造
KR20230095434A (ko) 내구성이 우수한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KR20120092310A (ko) 선박 구조물 건조용 커버 시트 및 선박 구조물 건조용 커버 시트 설치방법
KR101400014B1 (ko) 추락방지용 족장
KR102202073B1 (ko) 자석 마감재 및 자석 마루 구조
KR200447128Y1 (ko) 클리어 플로어
JP5458281B2 (ja) 玄関ドア枠敷居部養生構造及び玄関ドア枠敷居部養生部材
JP6720462B2 (ja) 作業台および塗装作業方法
KR200448233Y1 (ko) 케이블 트레이 상부덮개
JP3099739U (ja) 端部補強グレーチ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