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972A -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972A
KR20210051972A KR1020190137935A KR20190137935A KR20210051972A KR 20210051972 A KR20210051972 A KR 20210051972A KR 1020190137935 A KR1020190137935 A KR 1020190137935A KR 20190137935 A KR20190137935 A KR 20190137935A KR 20210051972 A KR20210051972 A KR 20210051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ns
projector
main body
min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진
Original Assignee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1972A/ko
Publication of KR2021005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0Details adapted to collapse or fold, e.g. for portabil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를 수납할 수 있는 도어를 구비하여 이 도어를 통해 렌즈가 360도 회전 가능한 미니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키 패드를 포함하는 본체와, 렌즈를 수납할 수 있는 도어부와, 본체 및 도어에 연결되어 본체에서 도어가 360도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부와, 힌지에 돌기를 구비하여 원하는 투사 각도에서 안정적으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돌기부를 구비한 휴대용 미니 프로젝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렌즈를 기기의 외부가 아닌 기기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렌즈의 파손 및 유지보수를 개선하여 미니 프로젝터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키 패드가 본체에 구비되어 있어 미니프로젝터에서 구현하기 어려웠던 기능을 포함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도어가 360도 회전하도록 연결된 힌지부를 통해 도어가 다양한 각도로 펼쳐질 수 있어 도어에 구비된 렌즈가 다양한 각도로 비디오를 투사할 수 있도록 제공하므로 폭 넓은 동작 범위를 가진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통해 원하는 각도에서 비디오를 투사 시 힌지부에 구비된 돌기에 의해 그 각도에 고정력을 부여하여 외부에 압력에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미니 프로젝터의 멀티미디어 기능의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Door-type mini projector}
본 발명은 휴대용 미니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를 수납할 수 있는 도어를 구비하는 것으로 본체와 도어의 각 기능을 다르게 구현하고 불편사항을 개선하는 것으로 미니 프로젝터의 멀티미디어 기능의 활용성과 휴대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는 360도 투사 각도가 조정 가능한 미니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터(projector)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의 화상을 일정 크기의 스크린 또는 벽면에 투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기기이다. 이러한 프로젝터는 더욱 다양한 곳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되고 있으며 이 소형화된 미니 프로젝터는 휴대성이 용이하다는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미니 프로젝터의 본체 외부에 렌즈부가 구비되어 있어 휴대가 간편한 소형의 구조를 갖추고 있어도 유지관리 및 취급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는 미니 프로젝트의 장점인 휴대성에서 결여되는 부분이었다.
또한, 프로젝터의 사용이 점차 다양해 짐에 따라 필요한 기능 중 하나인 글씨 입력 기능을 투사된 화면 상의 키 패드를 하드웨어의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포인터를 이동시켜 글씨를 하나하나 선택하거나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등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는 키 패드 사용으로 글씨 입력 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프로젝터의 투사 각도 조절 시에는 삼각대 등의 별도 액세서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고정된 렌즈를 통해 제공되는 투사 각도에 공간적인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미니 프로젝터의 렌즈가 외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결여된 휴대성과 유지보수를 개선하고 또한, 종래의 미니 프로젝터의 형태로는 구현하기 힘들었던 기능을 추가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의 활용성을 높이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액세서리를 통해 프로젝터의 투사 각도를 조절하였던 불편함을개선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스크린에 프로젝터만으로도 투사 각도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사용자에게 개선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렌즈를 수납할 수 있도록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의 내부에 렌즈를 수납함으로서 렌즈의 파손 방지 및 유지보수를 개선한다.
또한, 키 패드를 포함하는 본체와, 렌즈를 수납할 수 있는 도어로 기기를 구성하여 본체에는 키 패드를 탑재하여 입력 기능을 추가하고, 렌즈가 구비된 도어는 360도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힌지부를 통해 별도의 액세서리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프로젝터가 자체적으로 렌즈의 투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형태를 갖게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에 돌기부를 구비하여 원하는 각도에서 외부의 압력에 의해 쉽게 변경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렌즈가 기기의 외부가 아닌 기기의 내부에 도어를 통해 구비되는 것으로 미니 프로젝터의 장점인 소형화와 휴대성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이를 통해 렌즈의 파손 방지 및 유지보수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와 도어가 분리되는 것으로 각각 다른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종래의 프로젝터에서는 구현할 수 없었던 하드웨어 상의 키패드를 구비하여 자판 기능을 추가하는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360도 회전하는 도어에 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별도의 액세서리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화상을 투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종래의 고정된 렌즈에 따른 공간적 제약을 넓히는 것으로 사용성을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렌즈가 구비된 360도 회전하는 도어를 사용하여 원하는 각도에서 화상을 투사 시 쉽게 각도가 변형되지 않도록 힌지부에 돌기를 형성하는 것으로 각도의 고정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에서 화상을 관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다른 효과는 차세대 미니 프로젝터의 형태를 제공하는 것으로 종래의 미니 프로젝터 형태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을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의 도어가 닫힌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의 도어가 180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의 도어가 180도 이상 개방된 상태에서 힌지부의 돌기를 통해 각도를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의 도어의 개폐 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의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본체 하나만 가지는 일체형 미니 프로젝터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의 도어가 닫힌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A)는 크게 본체(100)와, 도어(200) 및 힌지부(300)로 구분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의 도어가 180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니 프로젝터(A)는 본체(100)와 도어(200)로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어 각각 다른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체(100)는 각종 전자 소자의 내장이 가능하며 전면에는 키 패트(101)가 구비된다.
도어(200)는 전면에 렌즈(201)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의 도어가 180도 이상 개방된 상태에서 힌지부의 돌기를 통해 각도를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와 도어(200)는 구분되어 구비되어 있고 힌지부(300)를 통해 본체(100)를 중심으로 도어(200)가 360도 회전 가능하여 원하는 각도에서 도어(200)에 부착된 렌즈(201)로부터 화상을 투사할 수 있다.
한편, 도어(200)가 180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후술될 힌지(301)와 돌기부(400)에 의해 일정 압력에서도 고정될 수 있는 형태를 갖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의 도어의 개폐 상태를 순서대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체(10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도어(200)와 힌지부(300)의 조합으로 도어(200)가 360도 회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의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체(100)와 도어(200)가 맞닿는 면에 각각의 힌지홈(302)을 양 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힌지홈(302)에 힌지부(300)의 힌지(301)가 결합된다.
한편, 힌지(301)는 각도별 고정할 수 있도록 돌기(400(을 구비한 형태를 갖춘다.
도 6은 종래의 본체 하나만 가지는 일체형 미니 프로젝터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미니 프로젝터(B)는 프로젝터의 크기가 소형화 되었을 뿐 그 외향적으로 변화가 없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데에 기술적 한계가 있는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
또한, 렌즈가 외부에 구비되어 있어 렌즈 파손에 의한 휴대성과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A : 본 발명에 의한 미니 프로젝터
100 : 본체
101 : 키패드
200 : 도어
201 : 렌즈
300 : 힌지부
301 : 힌지
302 : 힌지홈
400 : 돌기부
B : 기존 외부에 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일체형 미니 프로젝터

Claims (5)

  1. 키 패드를 포함하는 본체와,
    렌즈를 포함하는 도어와,
    본체 및 도어에 연결되어 본체에서 도어가 360도 회전하도록 하는 힌지부와, 힌지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와 도어로 분리되어 있는 프로젝터는 각각의 기능을 다르게 구비하여 본체에는 키 패드 기능을 탑재하여 자판 기능을 추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미니프로젝터.
  3. 제 1항에 있어서,
    본체와 도어로 분리되어 있는 프로젝터는 각각의 기능을 다르게 구비하여 도어에는 렌즈를 탑재하여 렌즈가 기기 안쪽으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미니프로젝터.
  4. 제 1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부 및 도어의 하부에 구비된 힌지홈에 각각 힌지가 삽입되어 본체 및 도어가 힌지부에 대해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미니프로젝터.
  5. 제 4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부 및 도어의 하부에 구비된 힌지는 돌기 형태로 구비하여 일정 각도에서 각도를 유지할 수있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형 미니프로젝터.




KR1020190137935A 2019-10-31 2019-10-31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 KR20210051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935A KR20210051972A (ko) 2019-10-31 2019-10-31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935A KR20210051972A (ko) 2019-10-31 2019-10-31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972A true KR20210051972A (ko) 2021-05-10

Family

ID=7591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935A KR20210051972A (ko) 2019-10-31 2019-10-31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19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2122B2 (en) Rotatable display fixing module
KR101129555B1 (ko) 개폐를 위한 돌림 및 미끄럼 개념의 기기
TWI526141B (zh) 電子裝置
TWI488026B (zh) 可折疊電子裝置
CN109710027B (zh) 携带式电子装置
US8081437B2 (en) Computer with projecting device
US10915163B2 (en) Electronic device, hinge assembly and augmented reality interaction process for electronic device
TWI701495B (zh) 相機模組以及電子裝置
JP2009141750A (ja) 情報処理装置
US6751090B1 (en) Rotatable display fixing module
US6989948B2 (en) Compact magnifier for mounting to a portable video device
JP2023130452A (ja) 撮像装置
JP2006005564A (ja) 携帯電話装置
TW201933027A (zh) 相機模組以及電子裝置
KR20210051972A (ko) 도어형 미니 프로젝터
JP2017091150A (ja) 携帯用情報機器
TWM539210U (zh) 電子裝置
TWM581713U (zh) 具有遮蔽影像擷取模組功能的電子裝置
JP2010156363A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JP4633849B1 (ja) 携帯型電子機器
TW201314422A (zh) 具有投影功能之電腦裝置
KR200485127Y1 (ko) 노트북 겸용 스마트폰
TWI696414B (zh) 機殼
TWI410206B (zh) 可攜帶型電子裝置
JP3005246U (ja) プロジェクター収納アタッシュケー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