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947A -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947A
KR20210051947A KR1020190137880A KR20190137880A KR20210051947A KR 20210051947 A KR20210051947 A KR 20210051947A KR 1020190137880 A KR1020190137880 A KR 1020190137880A KR 20190137880 A KR20190137880 A KR 20190137880A KR 20210051947 A KR20210051947 A KR 20210051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facility
hmi
monitoring system
production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연
Original Assignee
(주)일주지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주지앤에스 filed Critical (주)일주지앤에스
Priority to KR1020190137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1947A/ko
Publication of KR20210051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1Preprocessing measurements, e.g. data collection rate adjustment;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Time series or signal analysis, e.g. frequency analysis or wavelets; Trustworthiness of measurements; Indexes therefor; Measurements using easily measured parameters to estimate parameters difficult to measure; Virtual sensor creation; De-noising; Sensor fusion; Unconventional preprocessing inherently present in specific fault detection methods like PCA-based metho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조 현장에 구축되어 상기 제조 현장에 마련된 각종 생산 설비의 가동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조 현장 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 설비와, 상기 생산 설비와 연동되어 복수의 상기 생산 설비에서 취득되는 복수의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의 수집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게이트웨이부와, 상기 생산 설비 및 상기 게이트웨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동되어 상기 생산 설비의 가동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인 설비 가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측으로 출력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생산 설비와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로컬 관리 모듈과, 상기 게이트웨이부 및 상기 로컬 관리 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제조 현장 내의 전체 생산 설비에서 제공되는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합 관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using HMI optimized for smart factory construction}
본 발명은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필요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팩토리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접목하여 시각화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상기 스마트 팩토리에 구비되는 각종 생산 설비를 가동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과 제조 기술의 효과적인 융합의 대표적인 결과물인 지능형 생산시스템 및 스마트 팩토리 기술은 생산 인프라의 ICT 기반 혁신을 통해 기존의 제조 패러다임에 새로운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제조업 경쟁력의 혁신을 위한 스마트 팩토리 관련 투자 및 기술개발, 관련 기술의 표준화에 대한 관심과 노력으로 제조산업 환경이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정부도 이러한 흐름에 대응하여 스마트 팩토리 보급 및 확산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관련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나, 아직 미국이나 독일 등과 같은 세계 최고의 기술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국내 제조업의 기반을 이루는 중소제조기업의 경우, 첨단 제조 기술 개발 및 적용에 있어서 선진국에 비해 매우 뒤처져 있는 상태이므로, 기술 경쟁력 확보, 나아가서는 제조 원가 절감을 통한 제조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태이다.
그런데, 지능형 생산시스템 혹은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통합 모니터링 플랫폼은, 제조 현장에 초기 도입 시 표준화하기 어려운 복잡한 상황으로 인하여 많은 업체들이 도입을 주저하였고, 이미 도입 운영 중인 업체들도 고도화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장의 다양한 디바이스들로 인하여 투자계획을 수립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제조 환경에 적용 가능하도록 스마트 센서와 스마트 게이트웨이 등을 이용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제조 현황과 관 련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산 운영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한편, 스마트 팩토리의 구축을 통한 생산 설비의 자동화가 진행되었다 하더라도, 생산 공정에서는 필히 작업자의 개입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즉, 자동화 설비로부터 생산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없거나, 품질 정보, 설비의 고장 내역, Lot 변경 등과 같은 작업자에게 의존하는 생산 활동에 대한 정보 수집을 진행하여야 할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KR 10-2010-0025941 A (2010.03.10) '생산 관리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 설비의 가동 현황을 시각화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명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생산 설비에 대한 고도화된 전문 지식을 요구하지 않고도 상기 생산 설비에 대한 운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상기 생산 설비의 운용 편의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에 마련되는 복수의 생산 설비를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는 운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조 현장에 구축되어 상기 제조 현장에 마련된 각종 생산 설비의 가동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조 현장 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 설비와, 상기 생산 설비와 연동되어 복수의 상기 생산 설비에서 취득되는 복수의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의 수집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게이트웨이부와, 상기 생산 설비 및 상기 게이트웨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동되어 상기 생산 설비의 가동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인 설비 가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측으로 출력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생산 설비와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로컬 관리 모듈과, 상기 게이트웨이부 및 상기 로컬 관리 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제조 현장 내의 전체 생산 설비에서 제공되는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합 관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합 관제 모듈은 상기 생산 설비가 설치된 구역과는 독립된 구역에 마련되면서, 상기 생산 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관리자 단말 장치와,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생산 설비와 연동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생산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로컬 관리 모듈은 상기 생산 설비가 설치된 구역에 마련되면서, 상기 생산 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로컬 단말 장치와, 상기 생산 설비와 연동되며, 상기 로컬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생산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웨이부와 연동되도록 구비되며, 생산 현장 또는 생산 설비의 온도 정보를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온도 센서, 상기 생산 현장 또는 상기 생산 설비의 습도 정보를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습도 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웨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웨이부를 통해 상기 생산 설비와 연동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생산 설비의 설비 가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관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생산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생산 설비에 대한 진행 현황을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로컬 관리 모듈을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명확하게 상기 생산 설비의 진행 현황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비 운용시의 운용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생산 설비와 대응되어 설치되는 로컬 관리 모듈 뿐만 아니라, 전체 생산 설비에서 제공되는 설비 가동 데이터의 시각화 출력 진행을 통해, 스마트 팩토리의 전체 관리자가 보다 명확하고 신속하게 생산 설비의 운용 상태를 파악하고 운용할 수 있는 보다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관제 모듈을 통해, 생산 설비가 설치된 구역과 독립된 구역에 마련되어 전체 생산 설비에 대한 제어를 진행하여 다수의 생산 설비를 총괄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 소모를 저감하여 스마트 팩토리의 운용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내의 온, 습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온, 습도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 조건에서의 상기 생산 설비의 안정적인 운용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생산 설비의 운용 효율성 및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각화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로컬 관리 모듈을 통해, 특정 생산 설비에 대한 운용 제어를 보다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 설비의 운용에 필요한 전문적인 학습을 진행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상기 생산 설비를 운용할 수 있는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로컬 관리 모듈 및 통합 관제 모듈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로컬 관리 모듈 및 통합 관제 모듈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1000)은 생산 설비(100), 게이트웨이부(200), 로컬 관리 모듈(300), 통합 관제 모듈(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생산 설비(100)는 스마트 팩토리를 구성하는 제조 현장 내에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 설비(100a, 100b, 100c)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생산 설비의 가동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생산 설비(100)에 가동 데이터 수집용 센서 수단이 상기 생산 설비(100) 각각에 개별적으로 탑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게이트웨이부(200)는 상기 생산 설비들(100a, 100b, 100c)로부터 획득 가능한 각종 정보의 송수신 및 수집을 진행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생산 설비(100)와 연결되어 상기 생산 설비(100)에서 취득되는 상기 생산 설비(100)의 가동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인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의 수집을 진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웨이부(200)는 복수의 상기 생산 설비(100a, 100b, 100c)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산 설비(100a, 100b, 100c)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산 설비(100a)의 자동 제어를 위해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모듈(110)이 추가적으로 탑재되는 경우, 상기 PLC 모듈(110)과도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생산 설비(100a)에서 상기 PLC 모듈(100)을 거쳐,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수집가능하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로컬 관리 모듈(300)은 상기 생산 설비(100)와, 상기 게이트웨이부(2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동되어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측으로 출력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생산 설비(100)와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컬 관리 모듈(300)은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컬 관리 모듈(300)상에 HMI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컬 관리 모듈(300)은 로컬 단말 장치(310) 및 로컬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술한 생산 설비(100), 게이트웨이부(200), 통합 관제 모듈(400)와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컬 단말 장치(310)는 상기 생산 설비(100)가 설치된 구역에 마련되면서, 상기 생산 설비(1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로컬 단말 장치(310)는 입력부와 출력부가 분리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가 병합된 상태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컬 제어부(320)가 상기 로컬 단말 장치(3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컬 관리 모듈(300)상에 HMI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복수의 생산 설비(100a, 100b, 100c)에 대한 진행 현황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부(200)의 현재 상태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기 로컬 관리 모듈(300)을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명확하게 상기 생산 설비의 진행 현황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비 운용시의 운용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통합 관제 모듈(400)은 상기 게이트웨이부(200) 및 상기 로컬 관리 모듈(300)과 연동되어, 상기 제조 현장 내의 전체 생산 설비에서 제공되는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통합 관제 모듈(400)은 생산 설비가 설치된 구역과 독립된 구역에 마련되어 전체 생산 설비에 대한 제어를 진행하여 다수의 생산 설비를 총괄 운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통합 관제 모듈(400)은 상술한 로컬 단말 장치(3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구성과 동일하게, 상기 통합 관제 모듈(300)상에 HMI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통합 관제 모듈(40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부(200) 및 상기 로컬 관리 모듈(300)과 통신 가능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합 관제 모듈(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 장치(410) 및 통합 제어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410)는 상기 생산 설비가 설치된 구역과는 독립된 구역에 마련되면서, 상기 생산 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통합 제어부(420)는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410) 및 상기 생산 설비(100)와 연동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410)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생산 설비(100)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합 관제 모듈(400)을 통해, 상기 생산 설비(100)가 설치된 구역과 독립된 구역에 마련되어 전체 생산 설비(100)에 대한 제어를 진행하여 다수의 생산 설비를 총괄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 소모를 저감하여 스마트 팩토리의 운영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덧붙여,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로컬 단말 장치(310) 및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41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워치형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로컬 단말 장치(310) 또는 관리자 단말 장치(41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상기 로컬 단말 장치(310) 또는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410)가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500)는 최적 조건에서의 상기 생산 설비의 안정적인 운용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게이트웨이부(200)와 연동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웨이부(200)와 직접 연동되는 로컬 관리 모듈(300c)을 통해, 상기 센서부(500)를 통해 취득한 상기 환경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센서부(500)는 생산 현장 또는 생산 설비의 온도 정보를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온도 센서, 상기 생산 현장 또는 상기 생산 설비의 습도 정보를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습도 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되는 상기 센서부(500)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내의 온, 습도 환경에 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명확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온, 습도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 조건에서의 상기 생산 설비의 안정적인 운용을 진행함으로써 상기 생산 설비의 운용 효율성 및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생산 관리 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생산 관리 모듈(600)은 상기 게이트웨이부(200)와 연결되도록 구축된다.
그리고, 상기 생산 관리 모듈(600)은 상기 게이트웨이부(200)를 통해 상술한 복수의 생산 설비들(100a, 100b, 100c)과 연동되도록 마련된다.
특히, 상기 생산 관리 모듈(600)은 상기 생산 설비(100)에서 취득되는 설비 가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생산 관리 모듈(600)은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모듈(610) 및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모듈(6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산 관리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산 관리 데이터는, 상기 생산 설비의 작업 계획, 작업 절차, 설비 상태 정보, 작업자 관리, 생산품의 품질 관리, 생산 공정 관리, 생산 설비 유지 보수 관리, 자원 관리, 생산품의 주문 정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산 관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생산 관리 모듈의 탑재를 통해, 상기 생산 설비의 설비 가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선되는 생산 관리 데이터를 통해, 상기 생산 관리 데이터에 입각하여 제품 생산에 대한 환경 변화에 즉각적인 대응을 진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100 : 생산 설비
100a, 100b, 100c : 생산 설비
110 : PLC 모듈
200 : 게이트웨이부
300 : 로컬 관리 모듈
310 : 로컬 단말 장치
320 : 로컬 제어부
400 : 통합 관제 모듈
410 : 관리자 단말 장치
420 : 통합 제어부
500 : 센서부
600 : 생산 관리 모듈
610 : MES 모듈
620 : ERP 모듈

Claims (5)

  1. 제조 현장에 구축되어 상기 제조 현장에 마련된 각종 생산 설비의 가동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조 현장 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 설비;
    상기 생산 설비와 연동되어 복수의 상기 생산 설비에서 취득되는 복수의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의 수집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게이트웨이부;
    상기 생산 설비와, 상기 게이트웨이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동되어 상기 생산 설비의 가동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인 설비 가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측으로 출력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생산 설비와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로컬 관리 모듈; 및
    상기 게이트웨이부 및 상기 로컬 관리 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제조 현장 내의 전체 생산 설비에서 제공되는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합 관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 모듈은,
    상기 생산 설비가 설치된 구역과는 독립된 구역에 마련되면서, 상기 생산 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관리자 단말 장치; 및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 및 상기 생산 설비와 연동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생산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관리 모듈은,
    상기 생산 설비가 설치된 구역에 마련되면서, 상기 생산 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수신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로컬 단말 장치; 및
    상기 생산 설비 및 상기 로컬 단말 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로컬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생산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로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웨이부와 연동되도록 구비되며, 생산 현장 또는 생산 설비의 온도 정보를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온도 센서, 상기 생산 현장 또는 상기 생산 설비의 습도 정보를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습도 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웨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웨이부를 통해 상기 생산 설비와 연동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생산 설비의 설비 가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설비 가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팩토리의 생산 관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생산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0137880A 2019-10-31 2019-10-31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51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80A KR20210051947A (ko) 2019-10-31 2019-10-31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80A KR20210051947A (ko) 2019-10-31 2019-10-31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947A true KR20210051947A (ko) 2021-05-10

Family

ID=7591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880A KR20210051947A (ko) 2019-10-31 2019-10-31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19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233A (ko) 2021-12-14 2023-06-21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테리아루 케이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941A (ko) 2008-08-28 2010-03-10 (주)에이시에스 생산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941A (ko) 2008-08-28 2010-03-10 (주)에이시에스 생산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233A (ko) 2021-12-14 2023-06-21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테리아루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085B1 (ko) Fbd 머신러닝 기반의 동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1163361Y (zh) 一种用于工业生产线的控制系统
JP2018063712A (ja) プロセス制御ハードウェアをコミッショニ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104089377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和装置以及控制器
CN103678093A (zh) 一种自动化测试框架及测试方法
CN104076770A (zh) 生产线监控方法及系统
WO2004034204A9 (en) Services portal
CN108388208A (zh) 一种基于工业互联网的设备管理系统
Yao et al. Developing a PC-based automated monitoring and control platform for electric power systems
CN109324572A (zh) 机台自动化管理系统及其方法
US11269790B2 (en) Implementing and configuring a universal I/O card for a process control I/O network
Lewis et al. Maintenance of mobile mine equipment in the information age
CN102222270A (zh) 生产制造执行管理系统及生产任务管理器、工艺岗位终端
KR20090073643A (ko) 생산 현장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049590A (zh) 可扩展的能量管理架构
KR20210051947A (ko) 스마트 팩토리 운용에 최적화된 HMI(Human-Machine Interface)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36018A (ko)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N106292584A (zh) 一种基于模块化的控制单元的柔性制造系统
CN103177074B (zh) 定制制造执行系统屏幕的图形用户界面
Saturno et al. Proposal for new automation architecture solutions for industry 4.0
KR100545737B1 (ko) 생산 정보화 시스템
Mazur et al. Analysis of PLC vs. DCS in industrial petrochemical applications
KR102409862B1 (ko) 실시간 로봇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10065471A (ko) 블록공정 관리용 증강현실 장치
Vach et al. Management of a company-wide module pool for modular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