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018A -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018A
KR20210036018A KR1020190117911A KR20190117911A KR20210036018A KR 20210036018 A KR20210036018 A KR 20210036018A KR 1020190117911 A KR1020190117911 A KR 1020190117911A KR 20190117911 A KR20190117911 A KR 20190117911A KR 20210036018 A KR20210036018 A KR 20210036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function
product
gene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민텍
Priority to KR102019011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018A/ko
Publication of KR2021003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Gateway)에 설치되는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팩토리 내에 구축된 생산라인 별로 구성된 생산설비들 각각에 연결된 제품 관리기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기능; 상기 데이터 수집기능을 통해 수신된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상기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 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기능; 상기 데이터 저장기능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된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분석하여 일별, 월별, 년도별 및 전체 누적 제품생산량과 일별, 월별, 년도별 및 전체 누적 불량제품 발생량 그리고 현재 및 과거 생산설비의 구동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품 생산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기능; 및 상기 정보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된 제품 생산 상태정보를 관리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출력시키는 정보 제공기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RECORDING MEDIUM HAVING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FOR PRODUC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스마트 팩토리 내 구축된 생산라인별로 구성되어 있는 각각의 생산설비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내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에 설치 가능한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란 제품 생산과 관련된 공정 전반에 걸친 정보 송, 수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형성된 네트워크 내 이동되는 정보들을 기반으로 제품 생산 현장을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제어하며, 더 나아가 제품 생산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은 생산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자원 할당, 생산 예측, 작업 계획 수립, 실시간 작업 할당 및 상태 분석, 인력 관리, 제품 추적 등의 다양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기술적 자동화 및 지능화를 이룰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고 있으며, 특히 특정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제조업 분야에 있어서,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각종 생산라인들은 자동화된 제조 설비들의 실시간 상태 및 공정 수행 결과를 모니터링 하고, 더 나아가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생산 공정의 효율 증대를 위한 생산라인 별 최적화 관리까지도 가능하도록 다양한 첨단 기술들이 적용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정보통신기술(ICT)을 제품 생산과 관련한 제조 분야에 적용해 구축된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내 각종 생산설비들의 상태를 지능화 및 디지털화된 형태로 통합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5909호의 "생산설비 관리시스템, 생산설비 관리방법 및 생산설비 제조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스마트 팩토리 내 생산설비들의 작동 상태 및 작동 결과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경우, 각종 생산라인 별로 구성을 이루는 다수의 생산설비들 각각에 관한 생산 공정 진행 상태 혹은 이력과 관련한 방대한 데이터를 관리자가 제공받아 전체 생산 공정의 상황을 한 눈에 쉽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존재 하였고, 궁극적으로 생산설비 관리에 있어서 관리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정보 혹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생산라인 별로 구성을 이루는 다수의 생산설비들 각각에 관한 생산 공정 진행 상태 혹은 이력과 관련한 방대한 데이터를 관리자가 쉽게 한 눈에 파악하여 즉각 대응할 수 있으며, 관리자 선택적으로 생산설비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만을 선별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Gateway)에 설치되는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스마트 팩토리 내에 구축된 생산라인 별로 구성된 생산설비들 각각에 연결된 제품 관리기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기능; 상기 데이터 수집기능을 통해 수신된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상기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 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기능; 상기 데이터 저장기능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된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분석하여 일별, 월별, 년도별 및 전체 누적 제품생산량과 일별, 월별, 년도별 및 전체 누적 불량제품 발생량 그리고 현재 및 과거 생산설비의 구동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품 생산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기능; 및 상기 정보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된 제품 생산 상태정보를 관리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출력시키는 정보 제공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데이터 저장기능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된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관리 단말부터 입력 전달되는 차트 생성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차트 생성 기준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생산설비의 특정 기간 내 제품 생산 차트 또는 불량 제품 생산 차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차트정보를 생성하는 차트 생성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트 생성 기준신호는 차트정보 생성 대상이 되는 생산설비를 특정하는 데이터 및 차트정보 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기간을 특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기능은 상기 차트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된 차트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정보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된 제품 생산 상태정보 또는 상기 차트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된 차트 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로부터 입력 전달되는 엑셀 데이터 생성신호의 발생 시 엑셀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엑셀 데이터 생성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관리 단말로부터 입력 전달되는 연동 설비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수집기능을 통해 상기 제품 관리기로부터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동이 활성화되는 생산설비의 개수를 생산라인 별로 설정하는 연동 설비 설정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수집기능은 상기 제품 관리기로부터 상기 연동 설비 설정기능을 통해 연동이 활성화된 생산라인 별 생산설비에 한해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관리 단말로부터 입력 전달되는 로그인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 내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로그인 정보와 매칭 분석하여 적법한 로그인 요청 신호일 시, 해당 로그인 요청 신호를 입력 전달한 상기 관리 단말의 상기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로의 접속 연결을 허용하는 로그인 관리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마트 팩토리 내 생산라인 별로 구성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양한 제품 생산설비들의 생산작업 결과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 팩토리 전반에 걸쳐 효과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 팩토리 내 생산라인 별로 구성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양한 제품 생산설비들의 제품생산량, 불량제품 발생량 그리고 구동 여부와 관련하여 수집된 각종 정보들을 일별, 월별, 년도별과 같이 시간을 기준으로 분류하거나 차트화시켜 관리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관리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확인을 통해 한 눈에 쉽게 실시간 생산 형황 및 과거 생산 이력에 관해 파악할 수 있다.
셋째, 스마트 팩토리 내 생산라인 별로 구성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양한 제품 생산설비들의 제품생산량, 불량제품 발생량 그리고 구동 여부와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는 대상 혹은 해당 정보를 이용해 시간을 기준으로 분류하거나 차트화시키기 위한 기준값을 관리자가 관리 단말을 통해 신호를 입력하여 설정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관리자가 생산설비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만을 선별하여 파악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스마트 팩토리 내 생산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스마트 팩토리 내 생산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내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의 구성요소 및 통신망 연결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발명의 스마트 팩토리 내 생산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내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기능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스마트 팩토리 내 생산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내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 단말에 정보가 출력 제공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스마트 팩토리 내 생산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동작형태에 관한 설명
도1 및 도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팩토리(F) 내 생산설비(M)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제품 관리기(110);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 및 관리 단말(130);을 포함한다.
제품 관리기(110)는 스마트 팩토리(F) 내에 구축된 생산라인(L) 별로 구성된 생산설비(M)들 각각에 연결되어 각 생산설비(M)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품 선별장치이다.
다시 말해, 제품 관리기(1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팩토리(F) 내에 구축된 생산라인(L) 별로 구성된 생산설비(M)들 각각의 제조 공정 진행에 따라 결과물로서 생산되는 제품을 선별하여 정상 제품의 생산량을 측정함은 물론이고, 불량 제품의 얼마나 발생하였는지 그리고 더 나아가 연결된 생산설비(M)가 정상적으로 구동 중인지 혹은 통신장애가 발생하였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데이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제품 관리기(110)는 아래 설명될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함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에 따라 RF(RADIO FREQUENCY)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혹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 등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상호 데이터, 신호 혹은 정보의 송, 수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는 제품 관리기(110)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 생산설비(M)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생산설비(M)별로 일별, 월별, 년도별 및 전체 누적 제품생산량과 일별, 월별, 년도별 및 전체 누적 불량제품 발생량 그리고 현재 및 과거 생산설비의 구동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품 생산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품 생산 상태정보는 일일 제품생산량(실시간 제품생산량), 월별 총 제품생산량, 년도별 총 제품생산량, 현재까지의 총 전체 누적 제품생산량, 일일 불량제품 발생량(실시간 불량제품 발생량), 월별 총 불량제품 발생량, 년도별 총 불량제품 발생량, 현재까지의 총 전체 누적 불량제품 발생량, 현재 생산설비의 구동이 정상인지 여부, 현재 생산설비의 구동이 통신장애 상태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는 아래 설명될 관리 단말(130)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함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에 따라 RF(RADIO FREQUENCY)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혹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 등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상호 데이터, 신호 혹은 정보의 송, 수신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에 따라서는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와 관리 단말(130)은 별도의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관리 단말(130)은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와 상호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생성된 제품 생산 상태정보 및 차트 정보를 수신 후 출력 가능한 PC, 태블릿, 스마트 폰과 같은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관리 단말(130)은 관리자의 지시사항을 반영한 입력신호의 발생을 위한 별도의 입력모듈,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정보의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모듈,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로의 접속을 통해 상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호 데이터, 신호 혹은 정보의 송, 수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관리 단말(130)에 구비되는 출력모듈은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의 정보 제공부(126)로부터 전송되는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 상태정보 및 차트정보를 화면 출력하기 위한 HMI (Human Machine Interfaces) 디스플레이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2.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에 설치되는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의 기능 형태에 관한 설명
우선,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부(121), 데이터 저장부(122), 정보 생성부(123), 차트 생성부(124), 엑셀 데이터 생성부(125), 정보 제공부(126), 연동 설비 설정부(127) 및 로그인 관리부(128)를 포함하며, 실시에 따라 해당 세부구성은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 내 하드웨어적으로 마련된 기능부로 작동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에 설치되는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120P)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마련되는 기능부로 작동한다.
여기서, 데이터 수집부(121)는 제품 관리기(110)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 생산설비(M)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저장부(122)는 데이터 수집부(121)를 통해 수신한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부(122)를 통해 각 생산설비(M)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은 데이터 저장부(122) 자체에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이거나 실시에 따라 별도로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 내에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 생성부(123)는 데이터 저장부(122)의 데이터 저장기능을 통해 저장 관리된 각 생산설비(M)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분석하여 일별, 월별, 년도별 및 전체 누적 제품생산량과 일별, 월별, 년도별 및 전체 누적 불량제품 발생량 그리고 현재 및 과거 생산설비의 구동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품 생산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정보 생성부(123)는 관리 단말(130)부터 입력 전달되는 제품 생산 상태정보 생성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생산설비의 특정 기간 내 제품생산량 또는 불량제품 발생량 또는 구동여부에 대한 제품 생산 상태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생성부(123)의 정보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되는 제품 생산 상태정보는 당일 하루동안의 실시간 제품생산량 또는 불량제품 발생량, 특정 월 기준 누적 제품 생산량 또는 불량제품 발생량, 특정 년 기준 누적 제품 생산량 또는 불량제품 발생량 및 전체 누적 제품 생산량 또는 불량제품 발생량에 대한 정보 외에도 관리자가 관리 단말(130)을 통해 신호를 입력하여 설정한 기간 내의 제품생산량 또는 불량제품 발생량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트 생성부(124)는 데이터 수집부(121)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된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이용해 관리 단말(130)로부터 입력 전달되는 차트 생성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차트 생성 기준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생산설비의 특정 기간 내 제품 생산 차트 또는 불량 제품 생산 차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차트정보를 생성하는 차트 생성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차트 생성 기준신호는 차트정보 생성 대상이 되는 생산설비를 특정하는 데이터 및 차트정보 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기간을 특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엑셀 데이터 생성부(125)는 정보 생성부(123)의 정보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된 제품 생산 상태정보 또는 차트 생성부(124)의 차트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된 차트 정보를 관리 단말(130)로부터 입력 전달되는 엑셀 데이터 생성신호의 발생 시 엑셀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신호를 발생 후 전달한 관리 단말(130)에 다신 전송하는 엑셀 데이터 생성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엑셀 데이터 생성부(125)의 엑셀 데이터 생성기능을 통해 변환 생성되는 엑셀 데이터는 엑셀 데이터 생성부(125) 자체를 통해 관리 단말(130)과 통신하여 직접 전송할 수도 있지만, 실시에 따라 아래 설명될 정보 제공부(126)를 통해 관리 단말(130)에 전송하거나 관리 단말(130)에 엑셀 데이터 다운로드 링크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정보 제공부(126)는 정보 생성부(123)를 통해 생성된 제품 생산 상태정보 또는 차트 생성부(124)를 통해 생성된 차트 정보를 관리 단말(130)에 전송하여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단말(130)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모듈에 제품 생산 정보 또는 차트 정보가 출력되도록 정보 제공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연동 설비 설정부(127)는 관리 단말(130)로부터 입력 전달되는 연동 설비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부(121)의 데이터 수집기능을 통해 제품 관리기(110)로부터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동이 활성화되는 생산설비(M)의 개수를 생산라인(L) 별로 설정하는 연동 설비 설정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정보 생성부(123)의 정보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된 제품 생산 상태정보 또는 차트 생성부(124)의 차트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된 차트 정보를 제공받아 모니터링을 통해 통합 관리를 수행하고자 하는 생산설비(M)의 개수를 생산라인(L) 별로 설정하기 위해 관리 단말(130) 연동 설비 설정신호를 입력 생성시키고, 이와 같이 생성된 연동 설비 설정신호는 연동 설비 설정부(127)에 전달되어 연동 설비 설정부(127)가 연동 설비 설정 기능을 통해 데이터 수집부(121)의 데이터 수집 기능을 통해 데이터 수집 대상이 되는 생산설비(M)를 특정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집부(121)의 데이터 수집기능은 제품 관리기(110)로부터 연동 설비 설정부(127)의 연동 설비 설정기능을 통해 연동이 활성화된 생산라인(L) 별 생산설비(M)에 한해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수신한다.
마지막으로, 로그인 관리부(128)는 관리 단말(130)로부터 입력 전달되는 로그인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 내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로그인 정보와 매칭 분석하여 적법한 로그인 요청 신호일 시, 해당 로그인 요청 신호를 입력 전달한 관리 단말(130)의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로의 접속 연결을 허용하는 로그인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적법한 관리자 권한을 가진 자만이 관리 단말(130)을 통해 각종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제공되는 제품 생산 상태정보와 차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엑셀 데이터까지도 다운로드 받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팩토리 내 생산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110 : 제품 관리기
120 :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
121 : 데이터 수집부 122 : 데이터 저장부
123 : 정보 생성부 124 : 차트 생성부
125 : 엑셀 데이터 생성부 126 : 정보 제공부
127 : 연동 설비 설정부 128 : 로그인 관리부
130 : 관리 단말
F : 스마트 팩토리
L : 생산라인
M : 생산설비

Claims (5)

  1.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Gateway)에 설치되는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스마트 팩토리 내에 구축된 생산라인 별로 구성된 생산설비들 각각에 연결된 제품 관리기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기능;
    상기 데이터 수집기능을 통해 수신된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상기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 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기능;
    상기 데이터 저장기능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된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분석하여 일별, 월별, 년도별 및 전체 누적 제품생산량과 일별, 월별, 년도별 및 전체 누적 불량제품 발생량 그리고 현재 및 과거 생산설비의 구동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한 제품 생산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기능; 및
    상기 정보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된 제품 생산 상태정보를 관리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출력시키는 정보 제공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데이터 저장기능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된 각 생산설비별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관리 단말부터 입력 전달되는 차트 생성 기준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차트 생성 기준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생산설비의 특정 기간 내 제품 생산 차트 또는 불량 제품 생산 차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차트정보를 생성하는 차트 생성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트 생성 기준신호는 차트정보 생성 대상이 되는 생산설비를 특정하는 데이터 및 차트정보 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기간을 특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기능은 상기 차트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된 차트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정보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된 제품 생산 상태정보 또는 상기 차트 생성기능을 통해 생성된 차트 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로부터 입력 전달되는 엑셀 데이터 생성신호의 발생 시 엑셀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관리 단말에 전송하는 엑셀 데이터 생성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관리 단말로부터 입력 전달되는 연동 설비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수집기능을 통해 상기 제품 관리기로부터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연동이 활성화되는 생산설비의 개수를 생산라인 별로 설정하는 연동 설비 설정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기능은 상기 제품 관리기로부터 상기 연동 설비 설정기능을 통해 연동이 활성화된 생산라인 별 생산설비에 한해 제품 생산량, 불량 제품 발생량 및 구동여부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관리 단말로부터 입력 전달되는 로그인 요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 내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로그인 정보와 매칭 분석하여 적법한 로그인 요청 신호일 시, 해당 로그인 요청 신호를 입력 전달한 상기 관리 단말의 상기 서버 통합형 게이트웨이로의 접속 연결을 허용하는 로그인 관리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90117911A 2019-09-25 2019-09-25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210036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911A KR20210036018A (ko) 2019-09-25 2019-09-25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911A KR20210036018A (ko) 2019-09-25 2019-09-25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018A true KR20210036018A (ko) 2021-04-02

Family

ID=7546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911A KR20210036018A (ko) 2019-09-25 2019-09-25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60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246B1 (ko) * 2023-10-05 2023-12-04 (주)제이시스 코딩 없이 스마트 팩토리를 완성할 수 있는 mes 구축 시스템
KR102625337B1 (ko) * 2023-10-23 2024-01-15 주식회사 제이시스 범용 pc 기반 스마트 팩토리 구축 시스템
KR102641624B1 (ko) * 2023-10-30 2024-02-28 주식회사 제이시스 범용 mes 구축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246B1 (ko) * 2023-10-05 2023-12-04 (주)제이시스 코딩 없이 스마트 팩토리를 완성할 수 있는 mes 구축 시스템
KR102625337B1 (ko) * 2023-10-23 2024-01-15 주식회사 제이시스 범용 pc 기반 스마트 팩토리 구축 시스템
KR102641624B1 (ko) * 2023-10-30 2024-02-28 주식회사 제이시스 범용 mes 구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652B1 (ko) 빅데이터 플랫폼을 이용한 스마트 공장 운영 관리 솔루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6018A (ko) 생산설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8055371B2 (en) Services portal
US201403037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ilding energy
US201101611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terprise building automation
KR101059061B1 (ko) 스마트 그리드용 시설물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296302B1 (en) One-click deployment of industrial software
CN107909300A (zh) 智能工厂管理平台和方法
CN108971807A (zh) 一种现场焊接施工工艺智能管理控制方法及管理系统
CN104142630A (zh) 用信息叠加把基于云的数据用于工业自动化环境的虚拟化
KR20190088581A (ko) Fbd 머신러닝 기반의 동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032115A (zh) 用于分析报告数据的系统和方法
CN108830503A (zh) 一种全过程工程咨询服务方法及系统
CN104764595A (zh) 远程诊断系统
CN105184886A (zh) 一种云数据中心智能巡检系统及方法
US20130282333A1 (en) Service port explorer
CN102804211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US20180300637A1 (en) Domain knowledge integration into data-driven feature discovery
CN109639756A (zh) 一种终端网络关联关系展示和设备接入实时监测系统
Lewis et al. Maintenance of mobile mine equipment in the information age
CN117314094A (zh) 基于ai智能园区的能源管控方法及系统
CN112598339A (zh) 煤炭数字化检测检验系统
CN116822115A (zh) 一种基于数字孪生技术的智慧园区的环境管理方法及系统
CN108983723A (zh) 一种现场施工工艺智能管理控制方法及管理系统
CN111435238B (zh) 自动发现并归类工厂电力与能量智能设备以供分析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