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768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768A
KR20210051768A KR1020190137454A KR20190137454A KR20210051768A KR 20210051768 A KR20210051768 A KR 20210051768A KR 1020190137454 A KR1020190137454 A KR 1020190137454A KR 20190137454 A KR20190137454 A KR 20190137454A KR 20210051768 A KR20210051768 A KR 20210051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supplied
display device
reference pow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현
한민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1768A/ko
Publication of KR2021005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기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표시 패널을 제 1 구간, 제 2 구간, 제 3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전원부는 제 3 구간에서 기준 전원을 가변하여 공급한다. 제 3 구간에서 기준 전원이 제 1 구간과 동일한 레벨의 제 1 전압으로 가변하여 인가 되므로, 구동 트랜지스터에 대한 추가적인 에이징 효과로 인해 노이즈나 예상치 않은 변화를 방지하여 화상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명세서는 소비 전력 절감을 위해 2가지 이상의 구동 모드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드 전환 시 트랜지스터에 전원을 가변하여 인가함으로써 소자 특성에 대한 신뢰성을 개선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 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양자점표시장치(Quantum Dot Display; QD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에는 복수의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 및 표시 패널 및 구동부에 공급할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 등이 포함된다.
전원부 및 구동부를 통해 구동되는 표시 패널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서브 화소들을 통해 영상을 구현한다. 다수의 서브 화소들 각각은 발광 소자와, 발광 소자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화소 회로를 구비한다.
이 때 표시 패널의 구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이징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에이징 공정은 서브 화소에 배치된 트랜지스터에 오프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의 전류 누설 특성을 줄여 안정화시키는 공정이다.
일반적으로 에이징 공정은 제작 과정에서 적용되지만, 보다 나은 구동 성능 확보를 위해 구동 중에도 트랜지스터에 오프 스트레스를 인가하는 에이징 구동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는 2가지 이상의 구동 모드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 모드 전환 시 트랜지스터에 전원을 가변하여 인가함으로써 소자 특성에 대한 신뢰성을 개선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드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절전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절전 모드에서 표시 패널은 동화상이나 정지화상이 표시 패널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표시 패널의 수명 연장 또는 성능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일부 기능 블록만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중에도 오프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의 전류 누설을 낮추는 에이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기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표시 패널을 제 1 구간, 제 2 구간, 제 3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전원부는 상기 제 3 구간에서 상기 기준 전원을 가변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트랜지스터와 전원 배선, 데이터 배선을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제 1 구간, 제 2 구간, 제 3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동하도록 모드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전환 신호 생성부, 모드 전환 신호에 따라 제 1 구간에서 영상 신호를 공급하고, 제 3 구간에서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기준 전원을 상기 전원 배선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기준 전원은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는 제 3 구간에서 기준 전원이 제 1 구간과 동일한 레벨의 제 1 전압으로 가변하여 인가 되므로, 구동 트랜지스터에 대한 추가적인 에이징(Aging) 효과로 인해 노이즈나 예상치 않은 변화를 방지하여 화상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구간에서 제 1 구간보다 큰 부하가 발생하더라도, 기준 전원이 계단 형태로 가변하여 공급되므로, 전원 공급 라인이 단락되어 번트(Burnt)와 같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파형도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는 기본적으로 호스트 시스템(190), 타이밍 제어부(170), 데이터 구동부(130), 게이트 구동부(150)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1000)와 전원부(120) 및 표시 패널(110)을 포함한다.
호스트 시스템(190)은 스케일러(scaler)를 내장한 SoC(System on chip)를 포함하며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 패널(110)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포맷의 데이터신호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호스트 시스템(190)은 데이터신호와 함께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타이밍 제어부(170)에 공급한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호스트 시스템(190)으로부터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메인 클럭 등의 타이밍 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 구동부(130)와 게이트 구동부(15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호스트 시스템(190)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DATA)를 영상 처리(데이터 보상 등)하여 데이터 구동부(130)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제1구동신호(DDC) 등에 대응하여 동작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 데이터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감마부의 감마전압에 대응하여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 신호(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영상 데이터로 전환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표시 패널(110)의 데이터 라인들(DL1 ~ DLn)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연성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은 이방성 도전필름(ACF) 등에 의해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70)와 별도로 분할된 회로가 아닌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50)는 타이밍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제2구동신호(GDC) 등에 대응하여 동작한다. 게이트 구동부(150)는 게이트 하이 전압이나 게이트 로우 전압의 게이트신호(또는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50)는 게이트신호를 순방향으로 순차 출력하거나 역방향으로 순차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50)는 표시 패널(110)의 게이트 라인들(GL1 ~ GLm)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한다.
전원부(120)는 데이터 구동부(130), 타이밍 제어부(170) 등을 구동하기 위한 로직 전원(VCC, GND)과 표시 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기준 전원(EVDD, EVSS)을 출력한다. 이 밖에, 전원부(120)는 게이트 구동부(150)에 전달하기 위한 게이트 하이 전압이나 게이트 로우 전압 등 표시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생성한다.
전원부(120)에서 생성된 로직 전원 및 기준 전원은 전원 공급 라인을 통해 표시 패널(110) 및 구동부(1000)에 공급 된다.
표시 패널(110)은 서브 화소들(SP), 서브 화소들(SP)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들(DL1 ~ DLn), 서브 화소들(SP)에 연결된 게이트 라인들(GL1 ~ GLm)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은 게이트 구동부(150)로부터 출력된 게이트 신호와 데이터 구동부(130)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10)은 기판을 포함하고, 서브 화소들(SP)은 기판 상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화소에는 게이트 라인(GL1)과 데이터 라인(DL1)에 연결(또는 교차부에 형성된)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스위칭 트랜지스터(SW)를 통해 공급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화소 회로(PC)가 포함된다. 화소 회로(PC)에는 구동 트랜지스터(DTFT),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같은 회로 그리고 이들 중 하나를 보상하기 위한 화소보상회로가 포함된다.
화소 회로(PC)에서 구동 트랜지스터(DTFT)의 데이터 전극은 전원 공급 라인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접속되며, 게이트 전극은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데이터 전극 또는 소스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 및 화소 회로(PC)의 구동 트랜지스터(DTFT)는 정극성 또는 부극성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정극성 특성을 갖는 트랜지스터는 전류 흐름의 매체가 정공이고, 부극성 특성을 갖는 트랜지스터는 전류 흐름의 매체가 전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지스터는 정극성 특성을 갖는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극성 특성을 갖는 트랜지스터 이거나, 또는 정극성과 부극성의 특성을 모두 갖는 상보성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화소 보상 회로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문턱전압, 전류 이동도 등),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특성(문턱전압)이나 이들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해 마련 된다. 화소 보상 회로는 자체적으로 또는 외부 회로와의 연동으로 동작한다. 화소 보상 회로는 하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 등으로 구성된다. 화소 보상 회로는 보상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 패널(110)은 서브 화소들(SP)의 화소 회로(PC)의 구성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로 구현되거나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구현된다. 표시 패널(110)이 액정 표시 패널로 구현된 경우, 이는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또는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표시 패널(11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구현된 경우, 이는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영상 데이터에 따라 전류 구동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압(Vdata)을 스위칭 트랜지스터(SW)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FT)의 게이트 전극으로 전달하여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통제함으로써 구동 된다. 데이터 전압(Vdata)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W)가 턴 온 시에 구동 트랜지스터(DTFT)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고, 턴 오프 시에 데이터 전압(Vdata)에 관계없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에 의해서만 구동 트랜지스터(DTFT)의 게이트 전극 전압이 결정되어야 한다.
화소 회로(PC)에서 사용되는 트랜지스터는 정극성 또는 부극성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정극성 특성을 갖는 트랜지스터는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데이터 전압(Vdata)을 턴 온/턴 오프 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가 오프 상태일 때, 오프 스트레스의 레벨이 높으면 스위칭 트랜지스터(SW) 턴 오프 시에 누설 전류가 흐르게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TFT)에 원치 않는 전압이 전달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누설 전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에 인가되는 전류를 변화 시키며, 표시 패널(110)에 휘점(은하수 현상) 이나 무라(Mura) 등의 불량의 원인이 된다.
트랜지스터의 에이징(Aging)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양단에 네가티브 바이어스 스트레스(Negative bias stress)를 인가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오프 스트레스의 레벨을 강제적으로 낮추어, 노이즈나 예상치 않은 변화를 방지하여 화상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표시 장치는 텔레비젼,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영상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웨어러블, 홈시어터 및 모바일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10)은 액정표시 패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등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11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를 일례로 한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와 구동 트랜지스터 구동을 위한 기준 전원(EVDD, EVSS)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기준 전원은 미리 정해진 일정한 전압 레벨을 갖는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표시 장치는 소형, 중형 또는 대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소형이나 중형과 같이 저소비전력을 요구하는 장치로 구현 시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소형으로 구현되는 경우, 밀리와트(mW) 단위의 소비전력도 배터리의 수명(battery life time)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소형이나 중형 표시 장치 등의 구동 시간(실행 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식 중 일례로, 표시 패널(110)에 영상을 비표시하는 구간 동안 표시 패널(110)을 일시적으로 끄거나 휘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이 구간 동안 표시 패널(110)의 구동 주파수를 낮춘다.
표시 패널(110)이 꺼졌다가 다시 정상적으로 구동될 때, 표시 패널(110)이 영상을 표시하기 전에 표시 패널(110)에 공급되는 기준 전원을 가변하여 인가함으로써 트랜지스터의 에이징(Aging)을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파형도 이고,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파형도 이며, 도 5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파형도 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소형이나 중형 표시 장치 등은 구동 시간(실행 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시 패널(110)에 영상을 비표시하는 절전모드 구간 동안 표시 패널(110)을 일시적으로 끄거나 휘도를 낮춘다.
디스플레이 모드는 표시 패널(110)에 동화상이나 정지화상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 1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구간은 표시 패널(110)에 영상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어 화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반면, 표시 패널(110)에 영상을 비표시하는 절전 모드는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구동을 하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제 2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절전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거나, 반대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구간을 제 3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70)는 절전 모드를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드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도록 모드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전환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원부(120)는 표시 패널(110)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 1 구간에서 일정한 레벨의 제 1 전압의 기준 전원을 인가하고, 표시 패널(110)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제 2 구간에서는 기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제 1 구간 이외에도 제 3 구간에서 기준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전원부(120)는 제 3 구간에 인가되는 기준 전원을 제 1 구간과 동일한 레벨의 제 1 전압으로 인가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에서 스위칭 트랜지스터(SW) 및 화소 회로(PC)가 정극성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경우 에이징(Aging) 공정이 필수적일 수 있다.
트랜지스터의 에이징(Aging)은 표시 장치 제작 과정에서만 수행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 3 구간에서 기준 전원이 제 1 구간과 동일한 레벨의 제 1 전압으로 가변하여 인가 되므로, 구동 트랜지스터에 대한 추가적인 에이징(Aging)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130)는 모드 전환 신호에 따라, 제 2 구간에서 제 1 구간 전환되는 제 3 구간 및 제 1 구간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 되는 제 3 구간에서 블랙 영상 데이터(B)를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블랙 영상 데이터(B)는 적어도 1 프레임 이상 동안 공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3 구간에서 기준 전원이 공급되는 V 구간이 포함되도록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3 구간에서 기준 전원이 인가될 때, 데이터 구동부(130)에서는 블랙 영상 데이터(B)가 공급되므로, 표시 패널(110)은 블랙 영상만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3 구간에서 기준 전원이 계단 형태로 가변하여 공급될 수 있다.
기준 전원을 가변 하여 공급 될 때, 기준 전원이 공급되는 구간을 V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고, V 구간은 각각 레퍼런스 전압에서 제 1 전압 레벨로 상승하는 R 구간과 반대로 제 1 전압 레벨에서 레퍼런스 전압으로 하강하는 F 구간, 제 1 전압 레벨을 유지하는 H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전원부(120)는 제 3 구간에서 기준 전원이 인가 될 때, 제 1 구간과 동일한 레벨의 제 1 전압으로 공급되는데, 이 때, 기준 전원은 제 1 전압을 등분한 만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계단 형태로 인가될 수 있다.
V 구간은 적어도 1 프레임 이상 동안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쉬운 이해를 위해 R 구간 및 F 구간이 H 구간과 비슷하거나 더 크게 표현되었으나, R 구간 및 F 구간은 H 구간 보다 훨씬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V 구간이 1 프레임 인 경우에, R 구간 및 F 구간은 1 프레임의 1/1000 이하일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기준 전원이 계단 형태로 인가 될 때 제 1 전압을 2등분 하거나 4등분 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더 분할된 계단 형태로 인가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원은 반드시 제 1 전압을 등분한 형태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레벨로 계단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구간에서 기준 전원이 제 1 전압 레벨로 공급될 때, 제 1 구간보다 큰 부하가 발생할 경우에는 전원 공급 라인이 단락되어 번트(Burnt) 되는 불량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기준 전원이 계단 형태로 가변하여 공급될 경우에는, 이와 같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3 구간에서 에이징(Aging)을 위한 기준 전원이 반복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전원부(120)는 제 3 구간에서 기준 전원을 적어도 2회 이상 반복하여 공급할 수 있다. V 구간은 각각 적어도 1 프레임 이상일 수 있으며, 각 V 구간의 사이 간격은 1 프레임일 수 있다.
제 3 구간에서 기준 전원은 표시 패널(110)에 공급 되거나 공급이 중단 되도록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므로, 트랜지스터의 에이징(Aging)이 더욱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V 구간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전원부(120)는 영상이 표시되는 제 1 구간에서 표시 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기준 전원을 제 3 구간에서 제 1 전압 레벨로 상승하여 공급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기준 전원도 트랜지스터의 에이징(Aging)을 위한 기준 전원과 같이 동일하게 계단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부(120)에서 표시 패널(110)에 기준 전원을 공급 시에 전원 공급 라인이 단락되어 번트(Burnt)와 같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120)는 제 2 구간에서 제 1 구간으로 전환되는 제 3 구간만이 아니라, 제 1 구간에서 제 2 구간으로 전환되는 제 3 구간에서도 기준 전원을 가변하여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모드 전환 신호에 따라, 기준 전원을 반복적으로 가변하여 표시 패널(110)에 공급하는 V 구간 및 V 구간의 사이 간격을 모두 포함하도록 블랙 영상 데이터(B)를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원부(120)가 제 3 구간 동안 기준 전원을 반복적으로 가변하여 표시 패널(110)에 공급하는 경우, 데이터 구동부(130)에서는 블랙 영상 데이터(B)가 공급되므로, 표시 패널(110)은 블랙 영상만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블랙 영상 데이터(B)는 적어도 기준 전원의 V 구간을 포함하도록 공급되며, 전체 제 3 구간 동안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기준 전원이 공급되는 V 구간은 1 회 당 적어도 1 프레임 이상 동안 공 급될 수 있다.
전원부(120)는 V 구간이 필요에 따라 1 프레임 보다 더 오래 동안 지속되도록 기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V 구간의 R 구간 및 F 구간은 제 1 전압이 등분되어 공급되는 각 계단은 V 구간의 폭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V 구간이 모두 포함되도록 블랙 영상 데이터(B)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 구간이 1 프레임 동안 공급되는 경우 이를 모두 포함하도록 2 프레임 동안 블랙 영상 데이터(B)를 공급할 수 있고, V 구간이 3 프레임 동안 공급되는 경우, 4 프레임 동안 블랙 영상 데이터(B)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3 구간이 4 프레임인 것으로 적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드 전환 시 반응 속도를 사용자가 시감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에서 4 프레임 보다 크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발광 영역과 베젤 영역을 갖는 기판, 발광 영역에서 연장되어 베젤 영역까지 형성되는 뱅크층, 상기 기판 상에서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며, 단차를 갖는 복수의 신호 배선, 상기 복수의 신호 배선과 중첩되며, 상기 기판과 인접하도록 배치된 제 1 금속층, 상기 제 1 금속층 상에서 상기 뱅크층과 인접하도록 배치된 제 2 금속층 및 상기 제 1 금속층과 제 2 금속층 사이에 제 1 중간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외부 광이 반사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기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제 1 구간, 제 2 구간, 제 3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 3 구간에서 상기 기준 전원을 가변하여 공급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제 1 구간에서 고정전압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 2 구간에서 공급이 중단되며, 제 3 구간에서 가변하여 공급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제 3 구간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의 고정전압의 공급 및 중단이 반복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제 3 구간에서 계단 형태로 가변하여 공급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고정전압을 등분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계단 형태로 공급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준 전원은 적어도 1프레임 이상 공급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준 전원은 R 구간 및 F 구간이 H 구간의 1/1000 이하로 구동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 3 구간에서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는 적어도 2 프레임 이상 공급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원 배선, 데이터 배선을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제 1 구간, 제 2 구간, 제 3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동하도록 모드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전환 신호 생성부,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구간에서 영상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 3 구간에서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기준 전원을 상기 전원 배선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제 1 구간에서 고정전압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 2 구간에서 공급이 중단되며, 상기 제 3 구간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의 고정전압의 공급 및 중단이 반복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제 3 구간에서 계단 형태로 가변하여 공급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고정전압을 등분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계단 형태로 공급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준 전원은 적어도 1프레임 이상 공급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기준 전원은 R 구간 및 F 구간이 H 구간의 1/1000 이하로 구동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기준 전원의 가변 공급 시에, 상기 데이터 배선에 상기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상기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는 상기 기준 전원의 V 구간 이상으로 공급되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10 : 표시 패널
120 : 전원부
130 : 데이터 구동부
150 : 게이트 구동부
170 : 타이밍 제어부
190 : 호스트 시스템
1000 : 구동부

Claims (17)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 1 구간, 영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절전하는 제 2 구간 및 상기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을 교대로 전환하는 제 3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기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 3 구간에서 상기 기준 전원을 가변하여 공급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 1 구간에서 기준 전원을 고정전압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구간에서는 기준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제 3 구간에서 상기 제 1 구간에 공급되는 전압과 동일한 레벨의 전압을 공급 및 중단을 적어도 한번 이상 반복하여 공급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제 3 구간에서 계단 형태로 가변하여 공급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고정전압을 등분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계단 형태로 공급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원은 적어도 1프레임 이상 공급되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구간에 공급되는 가변 기준 전원은 상기 제 1 구간에 공급되는 전압과 동일한 레벨을 유지하는 H 구간, 레퍼런스 전압에서 상기 H 구간의 전압 레벨까지 상승하는 R 구간 및 상기 H 구간의 전압 레벨에서 상기 레퍼런스 전압까지 하강하는 F 구간으로 구분되고, R 구간 및 F 구간이 H 구간의 1/1000 이하로 구동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구간에서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는 적어도 2 프레임 이상 공급되는, 표시 장치.
  10.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원 배선, 데이터 배선을 갖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 1 구간, 영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절전하는 제 2 구간 및 상기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을 교대로 전환하는 제 3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동하도록 모드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전환 신호 생성부;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구간에서 영상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 3 구간에서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기준 전원을 상기 전원 배선에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가변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 1 구간에서 기준 전원을 고정전압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구간에서는 기준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며, 상기 제 3 구간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의 고정전압의 공급 및 중단이 반복되는,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제 3 구간에서 계단 형태로 가변하여 공급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구간에 공급되는 가변 기준 전원은 상기 고정전압을 등분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계단 형태로 공급되는, 표시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구간에 공급되는 가변 기준 전원은 적어도 1프레임 이상 공급되는, 표시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구간에 공급되는 가변 기준 전원은 상기 제 1 구간에 공급되는 전압과 동일한 레벨을 유지하는 H 구간, 레퍼런스 전압에서 상기 H 구간의 전압 레벨까지 상승하는 R 구간 및 상기 H 구간의 전압 레벨에서 상기 레퍼런스 전압까지 하강하는 F 구간으로 구분되고, R 구간 및 F 구간이 H 구간의 1/1000 이하로 구동하는, 표시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제 3 구간에서 가변 기준 전원을 공급할 때 상기 데이터 배선에 상기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영상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 3 구간에서 공급되는 가변 기준 전원 공급 구간이상으로 공급되는, 표시 장치.
KR1020190137454A 2019-10-31 2019-10-31 표시 장치 KR20210051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454A KR20210051768A (ko) 2019-10-31 2019-10-31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454A KR20210051768A (ko) 2019-10-31 2019-10-31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768A true KR20210051768A (ko) 2021-05-10

Family

ID=7591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454A KR20210051768A (ko) 2019-10-31 2019-10-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17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453B1 (ko)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US9952478B2 (en) Display device with positive polarity and negative polarity pixel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607397B1 (ko) 표시 장치의 전원 제어 회로
US20170004798A1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723853B2 (en) Driving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JP5452616B2 (ja) 画素回路及び表示装置
KR10126083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60082758A (ko) 데이터 구동부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EP3174043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WO2020026954A1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16110335A (zh) 显示装置、显示面板和显示驱动方法
KR102379188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200056096A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238637B1 (ko) 표시장치
KR202100827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US9165523B2 (en) Driver circuit for image lines of a display device with arrangement to improve multi-level grayscale display
KR20210051768A (ko) 표시 장치
KR20190083028A (ko) 셔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30067973A (ko) 표시장치 및 데이터 구동 회로
KR20180014337A (ko) 액정표시장치
KR102242651B1 (ko) 표시장치
KR10210289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05148362A (ja) Tft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tft液晶パネル駆動モジュール
KR102223903B1 (ko) 표시장치
KR20070040210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