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548A - 작업용 안전 장갑 - Google Patents

작업용 안전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548A
KR20210051548A KR1020190136974A KR20190136974A KR20210051548A KR 20210051548 A KR20210051548 A KR 20210051548A KR 1020190136974 A KR1020190136974 A KR 1020190136974A KR 20190136974 A KR20190136974 A KR 20190136974A KR 20210051548 A KR20210051548 A KR 20210051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film
wrist
work
glov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0261B1 (ko
Inventor
주민정
Original Assignee
주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정 filed Critical 주민정
Priority to KR1020190136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2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94Protective gloves with accessories, e.g. tools,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79Plastic or rubber gloves with channels for convey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 A41D19/0093Retaining means, e.g. loops for hanging the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작업자에게 위험 물질이 튀는 것을 막기 위한 작업용 안전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손을 감싸서 보호하는 핸드부(110) 및 작업자의 팔목을 감싸서 보호하는 팔목부(120)를 포함하는 장갑(100); 및 상기 장갑(100)의 팔목부(120)의 주위에 부착 형성되되, 작업 대상으로부터 발생한 위험 물질이 작업자에게 튀는 것을 막는 차단막(200)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막(200)은 필요한 경우 팔목부(120)로부터 직립하여 상기 팔목부(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되며, 차단막(200)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팔목부(120)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차단막(200)은 상기 팔목부(120)를 둘러싸는 밀폐형 튜브로 형성되되, 상기 차단막(200)에 형성된 에어 밸브(210)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차단막(200)이 상기 팔목부(120)에 대해서 직립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용 안전 장갑{Safety Glove for Work}
본 발명은 작업용 안전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 현장의 작업 과정에서 위험한 물질이 작업자에게 직접 튀는 것을 막아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작업용 안전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 관리, 유독 물질 관리 등과 같은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는 손과 팔목을 보호하기 위하여 작업용 안전 장갑을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안전 장갑은 방수를 위한 고무 또는 내수성이 우수한 섬유(아라미드 원단)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또는 고온 또는 저온 상태로부터 손을 보호하기 위한 내열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각종 섬유층(유리섬유,폴리에스테르섬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장갑은 일반적으로 손 부분과 팔목 부분을 감싸서 보호하는 형태로 만들어지므로, 손 부분과 팔목 부분은 갑자기 튀는 위험 물질(예를 들면 고온의 액체)로부터 보호될 수 있지만, 작업자의 몸통이나 얼굴로 위험 물질이 튀는 것을 막기는 어렵다.
물이 사용자의 몸통쪽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서 고무장갑의 팔목 삽입부(2)를 넓게 확장시시켜 물흐름 방지부(3)를 형성하는 기술이 종래에 제시되었다(도 9 참조, 특허문헌 1). 그렇지만 도 9의 종래기술은 팔목 삽입부(2)의 일부를 확장시켜서 물흐름 방지부(3)를 형성하기 때문에, 물흐름 방지부(3)가 항상 휘어지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어서 물흐름 방지부가 필요없을 경우에는 도리어 작업에 방해가 되었다. 더 나아가 물흐름 방지부(3)는 구조적 강도가 높지 않아서, 강한 압력에 의해서 작업자에게 튀는 액체는 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97160호 (공고일: 2017.01.18.) 미국 등록특허공보 US7,721,354호 (등록일: 2010.05.25.) 미국 등록특허공보 US5,953,756호 (등록일: 1999.09.2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당한 압력으로 튀어오르는 액체와 같은 위험물질이 작업자에게 닿는 것을 막기위한 차단막을 구비하되, 차단막이 필요 없는 작업을 진행할 경우에는 차단막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작업용 안전 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작업의 성격에 따라 차단막의 형태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작업용 안전 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작업용 안전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손을 감싸서 보호하는 핸드부(110) 및 작업자의 팔목을 감싸서 보호하는 팔목부(120)를 포함하는 장갑(100); 및 상기 장갑(100)의 팔목부(120)의 주위에 부착 형성되되, 작업 대상으로부터 발생한 위험 물질이 작업자에게 튀는 것을 막는 차단막(200)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막(200)은 필요한 경우 팔목부(120)로부터 직립하여 상기 팔목부(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되며, 차단막(200)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팔목부(120)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막(200)은 상기 팔목부(120)를 둘러싸는 밀폐형 튜브로 형성되되, 상기 차단막(200)에 형성된 에어 밸브(210)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차단막(200)이 상기 팔목부(120)에 대해서 직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200)은 상기 팔목부(120)에 부착된 차단막 내측부(230)와 상기 차단막 내측부(230)의 외곽에 형성된 차단막 외측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막 내측부(230)와 상기 차단막 외측부(240)는 서로 격리되어 있어 개별적으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200)은 복수 개의 차단막 섹터(27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차단막 섹터(270)의 일단은 상기 팔목부(120)에 모두 부착되되, 상기 복수 개의 차단막 섹터(270)는 개별적으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여, 필요한 경우 일부 차단막 섹터(270)만 팔목부(120)에 대하여 직립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또 다른 특징한다.
더 나아가 상기 차단막(200)의 일부에 투명한 윈도우(260)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작업 대상물을 주시하는데 차단막(200)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200)과 상기 팔목부(120)에는 상기 차단막(200)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팔목부(120)에 결착되도록 하는 벨크로 또는 단추와 같은 결착수단(250)이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차단막 내측부(230)와 상기 차단막 외측부(240) 각각에는 결착수단(250)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막 외측부(24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차단막 외측부(240)가 절첩되어 상기 차단막 내측부(230)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은 차단막을 공기가 주입된 튜브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차단막을 구비한 안전 장갑과 비교하여 구조적 강도가 높아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분출되는 액체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단막이 필요없는 작업을 진행할 경우에는, 차단막에 충진된 공기를 빼고 이를 장갑의 팔목부에 결착시킴으로써, 차단막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차단막을 다수 개의 섹터로 분할하고, 필요한 부분에만 공기를 충진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의 성격에 맞추어 차단막을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차단막의 일부에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단면 형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단면 형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손이 들어가는 핸드부(110)와 팔목이 들어가는 팔목부(120)로 이루어지는 장갑(100) 자체는 기존의 장갑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팔목부(120)의 소정 위치에 팔목부(120)를 감싸는 형태로 차단막(200)이 형성되는데, 위 차단막(200)은 보일러 관리 또는 유해 물질 취급 과정에서 튈 수 있는 유해 물질이 장갑(100)에 의하여 보호받지 못하는 부위에 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차단막(200)은 에어 밸브(210)를 통하여 충진되는 공기에 의하여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하는 튜브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막(200)과 장갑(100)의 팔목부(120)가 접합되는 부분(S)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넓게 부착되어 있다(면접합 됨). 그러므로 차단막(200) 내부에 공기가 빠져 있을 때에는 차단막(200)이 구조적 강도를 가지지 못하는 반면, 내부에 공기가 차 있을 때에는 차단막(200)이 장갑(100)의 팔목(120)에 대하여 직립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차단막(200)이 차단막 내측부(230)와 차단막 외측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차단막 내측부(230)와 차단막 외측부(240)는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개별적으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차단막(200)을 넓게 써야 할 필요성이 있을 때에는 차단막 내측부(230)와 차단막 외측부(240) 모두에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고, 차단막(200)의 사이즈를 작게 하려고 할 때에는 차단막 내측부(230)에만 공기를 주입하고, 차단막 외측부(240)에는 공기를 주입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차단막 내측부(230)와 차단막 외측부(240)의 소정 위치에는 결착수단(250)이 형성되어 있어서, 차단막 외측부(240)와 차단막 내측부(230)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차단막 외측부(240)를 접었을 때, 위 결착수단(250)에 의해서 차단막 외측부(240)가 접힌 상태로 차단막 내측부(230)에 결착될 수 있다. 위 결착수단(250)으로는 탈착이 자유로운 벨크로 또는 체결용 단추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차단막 외측부(240)와 차단막 내측부(230) 두 개로 분리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그 이상의 개수로 분리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200)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인데, 차단막 내측부(230)와 차단막 외측부(240)가 맞닿는 부분, 그리고 차단막 내측부(230)와 장갑(100)의 팔목부(120)가 맞닿는 부분(S)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접합되어 있어서, 차단막 내측부(230) 또는 차단막 외측부(240)에 공기가 주입되면, 차단막 내측부(230) 또는 차단막 외측부(240)는 직립하려고 하는 힘을 받게 된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의 형상을 도시한 것인데,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차단막(200)의 소정 부분, 바람직하게는 작업자의 시선과 작업 대상물 사이에 위치하는 손등 방향으로 윈도우(260)가 설치되어 있다. 윈도우(260)는 작업자의 시선을 가리지 않도록 투명하고 유연한 성질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PET 등의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을 도시한 것인데, 차단막(200)이 다수 개의 차단막 섹터(270)로 나뉘어 있고, 각각의 차단막 섹터(270)에 개별적으로 에어 밸브(210)가 형성되어, 공기의 주입 및 배축이 차단막 섹터(270)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필요한 차단막 섹터(270)에만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고, 필요하지 않은 차단막 섹터(270)는 공기를 주입하지 않음으로써, 작업자가 작업 환경에 맞추어 차단막(200)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차단막(200)이 3개의 차단막 섹터(270)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차단막 섹터(270)의 크기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을 도시한 것인데, 제4 실시예와는 차단막 섹터(270)의 개수에만 차이가 있다. 도 7(a)는 차단막 섹터(270)를 모두 접은 상태를, 도 7(b)는 차단막 섹터(270)들 중 일부에만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차단막 섹터(270)와 장갑(100)의 팔목부(120)에는 결착수단(250)이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차단막 섹터(270)는 팔목부(120)에 붙어 있게 하여 작업 과정에서 걸리적 거리는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을 도시한 것인데, 제5 실시예와 다른 점은 차단막 섹터(270) 중 일부를 제거하고, 차단막 섹터(270)가 제거된 자리에 윈도우(260)를 형성한 것이다. 윈도우(260)와 관련해서는 제3 실시예에에서 설명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안전 장갑은 작업 상황에 맞추어 차단막(200)의 운용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장갑 110: 핸드부
120: 팔목부 200: 차단막
210: 에어 밸브 230: 차단막 내측부
240: 차단막 외측부 250: 결착수단
260: 윈도우 270: 차단막 섹터

Claims (7)

  1. 작업자에게 위험 물질이 튀는 것을 막기 위한 작업용 안전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손을 감싸서 보호하는 핸드부(110) 및 작업자의 팔목을 감싸서 보호하는 팔목부(120)를 포함하는 장갑(100); 및
    상기 장갑(100)의 팔목부(120)의 주위에 부착 형성되되, 작업 대상으로부터 발생한 위험 물질이 작업자에게 튀는 것을 막는 차단막(200)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막(200)은 필요한 경우 팔목부(120)로부터 직립하여 상기 팔목부(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되며, 차단막(200)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팔목부(120)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장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200)은 상기 팔목부(120)를 둘러싸는 밀폐형 튜브로 형성되되, 상기 차단막(200)에 형성된 에어 밸브(210)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차단막(200)이 상기 팔목부(120)에 대해서 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장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200)은 상기 팔목부(120)에 부착된 차단막 내측부(230)와 상기 차단막 내측부(230)의 외곽에 형성된 차단막 외측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막 내측부(230)와 상기 차단막 외측부(240)는 서로 격리되어 있어 개별적으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장갑.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200)은 복수 개의 차단막 섹터(27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차단막 섹터(270)의 일단은 상기 팔목부(120)에 모두 부착되되, 상기 복수 개의 차단막 섹터(270)는 개별적으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여, 필요한 경우 일부 차단막 섹터(270)만 팔목부(120)에 대하여 직립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장갑.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200)의 일부에 투명한 윈도우(2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장갑.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200)과 상기 팔목부(120)에는 상기 차단막(200)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팔목부(120)에 결착되도록 하는 결착수단(2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장갑.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기 차단막 내측부(230)와 상기 차단막 외측부(240) 각각에는 결착수단(250)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막 외측부(24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차단막 외측부(240)가 절첩되어 상기 차단막 내측부(230)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안전 장갑.
KR1020190136974A 2019-10-30 2019-10-30 작업용 안전 장갑 KR102260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974A KR102260261B1 (ko) 2019-10-30 2019-10-30 작업용 안전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974A KR102260261B1 (ko) 2019-10-30 2019-10-30 작업용 안전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548A true KR20210051548A (ko) 2021-05-10
KR102260261B1 KR102260261B1 (ko) 2021-06-02

Family

ID=7591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974A KR102260261B1 (ko) 2019-10-30 2019-10-30 작업용 안전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26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9007A (ja) * 1995-10-27 1997-05-06 Yoshiaki Mizoguchi 水切り付手袋
JP3056152U (ja) * 1997-09-30 1999-02-12 青木 建作 汚水を吸収排除する清掃用手袋の構造
JPH11189905A (ja) * 1997-12-25 1999-07-13 Chitose Nakamura 作業時の着脱が楽なゴム又は合成樹脂手袋
US5953756A (en) 1996-08-13 1999-09-21 Vrissimdjis; Constantine Solon Glove of rubber or the like
JP2002013015A (ja) * 2000-06-23 2002-01-18 Hoei:Kk たれず手袋
JP2002309419A (ja) * 2001-04-10 2002-10-23 Hiroaki Sudo 袖汚れ防止機能付ゴム手袋
JP2003055818A (ja) * 2001-08-09 2003-02-26 Nishioka:Kk 調理用ハンドカバー
US7721354B2 (en) 2006-09-21 2010-05-25 Ansell Healthcare Products Llc Glove with integrally formed arm trough for capturing liquids and a method therefor
JP2011137273A (ja) * 2010-01-04 2011-07-14 Keiko Tatsumi 腕ガード
KR101697160B1 (ko) 2015-07-15 2017-01-18 주식회사 명진 물흐름 방지부가 형성되는 고무장갑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고무장갑 제조용 몰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152B2 (ja) 1997-11-25 2000-06-26 日本電気オフィスシステム株式会社 Fipモジュールのフレームパルス信号統合化回路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9007A (ja) * 1995-10-27 1997-05-06 Yoshiaki Mizoguchi 水切り付手袋
US5953756A (en) 1996-08-13 1999-09-21 Vrissimdjis; Constantine Solon Glove of rubber or the like
JP3056152U (ja) * 1997-09-30 1999-02-12 青木 建作 汚水を吸収排除する清掃用手袋の構造
JPH11189905A (ja) * 1997-12-25 1999-07-13 Chitose Nakamura 作業時の着脱が楽なゴム又は合成樹脂手袋
JP2002013015A (ja) * 2000-06-23 2002-01-18 Hoei:Kk たれず手袋
JP2002309419A (ja) * 2001-04-10 2002-10-23 Hiroaki Sudo 袖汚れ防止機能付ゴム手袋
JP2003055818A (ja) * 2001-08-09 2003-02-26 Nishioka:Kk 調理用ハンドカバー
US7721354B2 (en) 2006-09-21 2010-05-25 Ansell Healthcare Products Llc Glove with integrally formed arm trough for capturing liquids and a method therefor
JP2011137273A (ja) * 2010-01-04 2011-07-14 Keiko Tatsumi 腕ガード
KR101697160B1 (ko) 2015-07-15 2017-01-18 주식회사 명진 물흐름 방지부가 형성되는 고무장갑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고무장갑 제조용 몰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261B1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8474B1 (en) Saturation, chemical, and impact-resistant protective glove
US5960475A (en) Protective garments
CA1179451A (en) Impervious oversleeve with antiroll-down collar for surgical gown
US6530090B1 (en) Protective garment with glove retaining mechanism
EP1441610A1 (en) Protective garments with glove flaps
CA2618320C (en) Protective glove
US20140157475A1 (en) Multipurpose Composite Extended-Sleeve Protective Glove
NZ543125A (en) Impervious partial sleeve with glove retention
CA2577696A1 (en) Protective garment
JP2010133772A (ja) 防護服
ES2312550T3 (es) Guante de proteccion de resistencia mecanica reforzada y su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BR112012025797B1 (pt) alojamento de mangueira e conjunto de alojamento de mangueira
TWI314124B (en) Protective packaging for medicament dispenser and combination of a medicament dispenser and a protective package
US5548842A (en) Protective garment with harness access
KR102260261B1 (ko) 작업용 안전 장갑
CN104223500B (zh) 手套
US20180092412A1 (en) Gown with Concentric Sleeves and Corresponding Methods
GB2508504A (en) Garment having puncturable portion
CN201263855Y (zh) 消防员防核防化服
KR102045947B1 (ko) 재난 안전 망토
CN109862799B (zh) 手套附接系统
AU2021204168B2 (en) Tactical glove
KR102627597B1 (ko) 방화 장갑
KR200267469Y1 (ko) 쿠션 주머니가 부착된 훈련복
EP2945582B1 (en) Protective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