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341A - 전기차 배터리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전기차 배터리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341A
KR20210051341A KR1020190136488A KR20190136488A KR20210051341A KR 20210051341 A KR20210051341 A KR 20210051341A KR 1020190136488 A KR1020190136488 A KR 1020190136488A KR 20190136488 A KR20190136488 A KR 20190136488A KR 20210051341 A KR20210051341 A KR 20210051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hicle
management server
management
r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규
김장수
이현우
진홍교
Original Assignee
(주)명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신 filed Critical (주)명신
Priority to KR1020190136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1341A/ko
Publication of KR20210051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터리 관리 서버는, 차량 대여 중인 배터리 및 대여 대상 배터리의 관리 정보가 기재된 배터리 데이터베이스; 차량 대여 중인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배터리 검사부; 이상이 존재하는 배터리에 대하여 추가 분석을 수행하는 배터리 분석부; 및 외부 단말이나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차 배터리 관리 서버{BATTERY MANAGEMENT SERVER OF 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터리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친환경 기술의 부각과 함께 공기 오염이 적은 전기차(electric vehicle)의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전기차는 친환경적인 면에서나 소음이 적다는 면에서 매우 고무적이지만, 충전소가 적고 충전에 적어도 30분 이상이 소요되는 점에서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면, 기존의 패러다임(paradigm)을 반전시킬 수 있는 장점을 많이 갖고 있는 바, 세계 각국의 정부에서는 환경 오염을 막기 위해 이러한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정책적인 지원을 점차 증대시켜 가고 있다.
그러나, 전기차의 사용을 늘리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사안들이 아직 적지 않다. 이러한 충전소 부재, 너무 긴 충전 시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현재,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의 사용거리는 비교적 짧다.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배터리를 교체식으로 변형함으로써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었을 때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배터리를 배터리 팩에 넣은 후, 배터리 팩을 자동차의 바닥 하부에 있는 지정된 구획실에 삽입한다. 따라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신속하게 교체함으로써 사용거리가 증가된 배터리를 자동차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배터리 팩은 쉽게 접근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교체 동작은 신속하면서 완벽히 보호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이미 종래기술에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전기자동차에 있는 배터리 팩을 쉽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시한 구조를 언급할 수 있다. 배터리 팩을 전기자동차의 섀시(차대) 아래에 삽입한 후 후크로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배터리 팩 위에는 스마트 카드가 배치되어, 배터리 팩의 충전비용을 검증할 수 있게 한다.
전기자동차의 섀시 아래에 마련된 구획실에 배터리를 삽입하고, 배터리를 상기 구획실 내에 고착시키는 수단에 대해 기재한 구조 또한 언급할 수 있다. 배터리를 구획실 내에 삽입하면 배터리의 단자들이 자동차의 전기 수단과 접촉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배터리와 자동차 간의 에너지 교환이 가능해진다. 배터리를 구획실 내에 삽입하면 배터리와 자동차 간에 전기접촉이 일어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시도들은 모두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며, 관련 서비스를 추가 위한 유연성도 존재하지 않았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10-2012-0076524호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성이 높은 전기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위한 배터리 관리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추가 서비스 반영을 위한 유연성이 우수한 전기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위한 배터리 관리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제조사와의 역할 및 관리 책임 분담이 분명한 전기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위한 배터리 관리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관리 서버는, 차량 대여 중인 배터리 및 대여 대상 배터리의 관리 정보가 기재된 배터리 데이터베이스; 차량 대여 중인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배터리 검사부; 이상이 존재하는 배터리에 대하여 추가 분석을 수행하는 배터리 분석부; 및 외부 단말이나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전기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위한 배터리 관리 서버를 실시하면, 자동차 및 배터리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은, 추가 서비스 반영을 위한 유연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은 차량 제조사와의 역할 및 관리 책임 분담이 분명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은 친환경 차량의 매출 증대로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의 판매 대수가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관리 서버는, 배터리 전문 관리 모델로 전기차 실 사용자의 배터리 관리(수리, 유지 등) 비용을 저감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관리 서버는,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관리 모델로 적용/개발되어, 배터리 라이프 사이클(Battery life cycle)을 전문 관리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배터리 대여 업체의 차량 제조사와의 역할 및 관리 책임 분담을 분명히 하는 관점에서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터리 관리 서버를 포함한 전기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배터리 대여 업체의 차량 제조사와의 역할 및 관리 책임 분담을 분명히 하는 관점에서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시한 구조에서, 전기차가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인도될 때, 비록 전기차 차량에 배터리가 내장되어 함께 인도되지만, 차량과 배터리의 관리 책임은 분리하여, 차량은 소비자가 배터리는 전문 관리(대여) 업체가 소유 및 관리한다. 즉, 배터리 관리에 대한 노하우를 보유한 전문 관리 업체가 배터리 등록, 관리, 교정, 폐기 전과정 담당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상기 전문 관리 업체가 배터리의 관리를 위해 보유하는 정보로서, 차대 번호, 배터리 식별 번호, 인증방법, 관리 영업 정보, 차주와 전문 관리 업체와의 통신모듈 정보, 보험 정보, 보조금 정보 등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교환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기술하겠다.
도시한 자동차 제어부(10)는 외부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체가 되는 ECU 등 차량에 설치된 차량 관련 제어 장치가 될 수 있다.
도시한 CAN 통신모듈(22)은, 차량에 기 설치되며 차량에 구비된 각종 구성물/부가장치/부품/센서들로부터 상기 자동차 제어부를 위한 정보 및 지시들을 송수신하는 차량 내부 데이터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도시한 배터리(26)는 전문 관리 업체가 소유하며 차량의 소유자에게 대여되어 해당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 모듈이 될 수 있다.
도시한 배터리 정보 전송부(24)는 상기 CAN 통신모듈(22)을 통해 배터리 운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자동차 제어부(10)로 전송하고, 배터리 충방전에 대한 지시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시한 차량의 제1 외부 통신 모듈(27)은 차량 사용자의 단말(30, 예: 스마트폰)로부터 지시를 받고, 배터리 모니터링/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차량의 제2 외부 통신 모듈(28)은 배터리 전문 관리 업체의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차량의 제3 외부 통신 모듈(29)은 차량 사용자의 단말(30, 예: 스마트폰)로부터 지시를 받고, 차량 자체의 모니터링/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외부 통신 모듈(27), 제2 외부 통신 모듈(28) 및 제3 외부 통신 모듈(29)을 각자 독립적으로 표현하였지만, 구현에 따라 3 통신 모듈들 전부 또는 일부가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 있다.
도시한 배터리 제어부(40)는 상기 배터리(26)와 함께 자동차에서 착탈되는 배터리 모듈에 포함되도록 구현하거나, 배터리 모듈과 별도로 차량에 추가로 구비되는 장치(차량에 대한 서드파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한 배터리 관리 서버(400)는 배터리 전문 관리 업체가 보유하는 서버이다.
도시한 배터리 관리 서버(400)는, 차량 대여 중인 배터리 및 대여 대상 배터리의 관리 정보가 기재된 배터리 데이터베이스(420); 차량 대여 중인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배터리 검사부(460); 이상이 존재하는 배터리에 대하여 추가 분석을 수행하는 배터리 분석부(470); 및 외부 통신 모듈(490, 28)과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전문 관리 업체가 배터리의 관리를 위해 보유하는 정보로서, 차대 번호, 배터리 식별 번호, 인증방법, 관리 영업 정보, 차주와 전문 관리 업체와의 통신모듈 정보, 보험 정보, 보조금 정보 등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검사부(460)는 운용 중인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이상 확인부(462); 상기 이상 확인부(462)에서 정상으로 판단하면, 정상 상태에서의 조치를 수행하는 정상 조치부(464); 상기 이상 확인부(462)에서 이상으로 판단하면, 이상 상태에서의 조치를 수행하는 이상 조치부(4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상 조치부(464) 및 이상 조치부(466)가 수행하는 조치는 정상/이상 판정과 함께 즉각적으로 수행될 것이 요망되는 조치이며, 즉각성이 요구되지 않는 조치들은 상기 배터리 분석부(470)의 분석 작업 이후에 별도의 조치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즉각적으로 수행될 것이 요망되는 조치로서, 배터리의 이상/정상 판정 결과에 대한 상기 배터리 제어부(40)로의 전송이 있을 수 있다.
차량에 대여된 배터리의 운용 상태에 대한 정보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2 통신 모듈(28)을 경유하여 상기 배터리 데이터베이스(420)에 기록된다. 도시한 이상 확인부(462)는 상기 배터리 데이터베이스(420)에 기록된 배터리 운용 상태 정보로부터 배터리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다른 구현에서는 배터리 데이터베이스(420)에 기록에 의존하지 않고, 상기 제2 통신 모듈(28)을 경유하여 직접 배터리의 운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확인(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분석부(470)는, 배터리 이상이 발생된 경우 그 심각도를 분석할 수 있다. 그 분석 결과 심각도 관리 레벨에 따라 배터리 조치 수준의 차등을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그 심각도에 따라 DATA BASE에서 직접 배터리 이상 조치하거나, DATA BASE에서 차량으로 신호를 주어 배터리 이상 조치하거나, DATA BASE에서 사용자에게 신호를 주어 배터리 이상 조치하거나, DATA BASE에서 외부(관리업체/경찰/보험 등)에 신호를 주어 배터리 이상 조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터리 데이터베이스(420)에, 이상 상황 심각도 판정을 위한 테이블과, 심각도 및 이상 종류에 대하여 필요한 조치들이 기록된 테이블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운용 중인 각 개별 배터리 별로, 누적된 운전 상태 모니터링 정보들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운용 중인 각 개별 배터리 별로 누적 수집되는 운전 상태 모니터링 정보로서, 배터리의 SoC, SoH, 동작 온도, 누적 충방전 회수/용량, 배터리 종류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종류 정보로서, 배터리의 사양 정보, 제조사, 제조일시, 제조모델, 제조 공장에 대한 정보들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사양 정보로서, 배터리 용량, 내부 단위 전지 개수, 충방전 전압/전류, 적정 온도, 적정 충전 속도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운용 중인 각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 및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제어부(40)는, 상기 배터리 관리 서버가 결정한 정책에 따라 배터리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서브 배터리 모듈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해당 서브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이용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충/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제어부(40)가 상기 배터리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차량에 다른 목적으로 기 설치된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별도의 무선 통신 모듈 또는 배터리 제어부는 무선 통신이 곤란한 배터리 팩쪽에 구비하지 못하고, 이와 이격된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상기 배터리 제어부(40)와 상기 차량에 기 설치된 무선 통신 모듈과의 연결 작업이 소요된다.
상기 배터리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30)로서 자동차 운전자가 보유한 스마트폰으로 배터리 모니터링/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장착된 SoH가 너무 낮아진 경우, 배터리 모듈 교환 절차를 밟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의 충방전 이력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및 회생 충전이 너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차량 운전 자체가 급가속 및 급제동이 많은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운전 패턴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00 : 배터리 관리 서버
420 : 배터리 데이터베이스
460 : 배터리 검사부
470 : 배터리 분석부
490 : 외부 통신 모듈

Claims (1)

  1. 차량 대여 중인 배터리 및 대여 대상 배터리의 관리 정보가 기재된 배터리 데이터베이스;
    차량 대여 중인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배터리 검사부;
    이상이 존재하는 배터리에 대하여 추가 분석을 수행하는 배터리 분석부; 및
    외부 단말이나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서버.


KR1020190136488A 2019-10-30 2019-10-30 전기차 배터리 관리 서버 KR20210051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488A KR20210051341A (ko) 2019-10-30 2019-10-30 전기차 배터리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488A KR20210051341A (ko) 2019-10-30 2019-10-30 전기차 배터리 관리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341A true KR20210051341A (ko) 2021-05-10

Family

ID=7591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488A KR20210051341A (ko) 2019-10-30 2019-10-30 전기차 배터리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13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1804A (zh) * 2023-07-07 2023-08-11 湖南大学 一种大规模储能电站健康管理系统及运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524A (ko) 2010-11-29 2012-07-09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524A (ko) 2010-11-29 2012-07-09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1804A (zh) * 2023-07-07 2023-08-11 湖南大学 一种大规模储能电站健康管理系统及运行方法
CN116581804B (zh) * 2023-07-07 2023-09-08 湖南大学 一种大规模储能电站健康管理系统及运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341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control of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US90795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 fleet of vehicles having an energy storage system
US90565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of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CN112055912A (zh) 电池管理装置、电池信息处理系统以及电池信息处理方法
JP5685885B2 (ja) 車両用電池パック
US9035791B2 (en) Data collection method and data collection system
US20120053774A1 (en) Method for Validation and Introduction of One or More Features in Electrically Powered System
CN111497682B (zh) 电池包群智能管理系统、方法及电池包监控诊断装置
CN105245510A (zh) 一种电动乘用车进行换电的验证控制系统
CN101903786B (zh) 基于远程信息处理的用于车队的电池寄生负载确认的方法和系统
CN114616123A (zh) 电动交通工具的电池网络管理系统、方法及交通工具
WO2017118286A1 (zh) 运用云端架构以物联网为基础的电池能源分配管理系统
EP3585642B1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balancing a battery pack
CN205075673U (zh) 一种电动乘用车进行换电的验证控制装置
US20130119944A1 (en) Transmission of data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a battery powering a driving motor of a motor vehicle
KR20150121352A (ko) 차량 종합 관제시스템
KR20210051341A (ko) 전기차 배터리 관리 서버
US11383616B2 (en) Vehicle battery life tracking system
US1024778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battery system,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US6442494B1 (en) Method and circuit for detecting batteries in a distributed battery network
KR102577666B1 (ko)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기반 이산 충전 방법 및 soc 기반 충전 제어 시스템
KR101934857B1 (ko) 차량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US202202363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 battery fault
KR102257598B1 (ko) 전동차 배터리 상태진단 서버, 방법 및 시스템
CN212783566U (zh) 电池包群智能管理系统及电池包监控诊断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