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936A - Vehicle fuel door opener - Google Patents

Vehicle fuel door ope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936A
KR20210050936A KR1020190135557A KR20190135557A KR20210050936A KR 20210050936 A KR20210050936 A KR 20210050936A KR 1020190135557 A KR1020190135557 A KR 1020190135557A KR 20190135557 A KR20190135557 A KR 20190135557A KR 20210050936 A KR20210050936 A KR 20210050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sealing
housing
rod
fue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4125B1 (en
Inventor
이성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125B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3555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4125B1/en
Publication of KR2021005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9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1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4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improving the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comprises: an opener housing having a storage space and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an opener rod movable toward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opener housing; and a sealing structure mounted in the opening of the opener housing and sealing a gap between the opener housing and the opening. A diameter of the sealing structure can be vari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opener rod by movement and stopping of the opener rod.

Description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VEHICLE FUEL DOOR OPENER}Vehicle fuel door opener {VEHICLE FUEL DOOR OPENER}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너 로드 및 실링구조 사이에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오프너 로드의 신속한 이동을 통해 연료도어의 개방(팝업)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capable of quickly opening (pop-up) a fuel door through rapid movement of the opener rod by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opener rod and the sealing structur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주입장치(fuel filler apparatus)가 설치되어 있다. In general,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a fuel filler apparatus for injecting fuel into a fuel tank.

연료주입장치는 연료탱크로부터 차량의 패널까지 연장된 퓨얼 필러 튜브(fuel filler tube)과, 퓨얼 필러 튜브의 개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퓨얼 캡과, 퓨얼 필러 튜브를 지지하도록 차량의 패널에 설치된 연료도어 하우징과, 연료도어 하우징을 개폐하는 연료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uel injection device includes a fuel filler tube extending from the fuel tank to the panel of the vehicle, a fuel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fuel filler tube, and fuel installed on the panel of the vehicle to support the fuel filler tube. It may include a door housing and a fuel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uel door housing.

연료도어는 연료도어 오프너에 의해 연료도어 하우징을 개방 내지 폐쇄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연료도어가 연료도어 오프너에 결합(lock)됨에 따라 연료도어는 연료도어 하우징을 폐쇄하고, 연료도어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연료도어 오프너로부터 해제됨에 따라 연료도어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연료도어 하우징을 개방(팝업)하도록 구성된다. The fuel door can open or close the fuel door housing by the fuel door opener. Normally, as the fuel door is locked to the fuel door opener, the fuel door closes the fuel door housing, and as the fuel door is released from the fuel door opener by the user's operation, the fuel door has the elastic force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It is configured to open (pop-up) the fuel door housing by means of.

연료도어 오프너는 오프너 하우징과, 오프너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오프너 로드와, 오프너 로드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The fuel door opener includes an opener housing, an opener rod movably mounted on the opener housing, and a driving mechanism for driving the opener rod.

오프너 하우징은 오프너 로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진다. 또한, 오프너 로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를 가지고,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에는 수분, 이물질 등이 유입됨을 차단하는 실링구조가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실링구조는 러버 재질의 실링부재를 가지며, 실링부재는 오프너 로드 및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 사이를 밀봉한다. 그리고, 오프너 로드 및 실링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하기 위하여 실링부재의 내면에 그리스가 도포된다. The opener housing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pener rod. In addition, a sealing structure that has an opening allowing movement of the opener rod and blocks the inflow of moisture, foreign matter, and the like is fixedly mounted to the opening of the opener housing. The sealing structure has a sealing member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the sealing member seals between the opener rod and the opening of the opener housing. In addition, grease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pener rod and the sealing member.

오프너 로드는 연료도어의 후크에 대해 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록돌기를 가지며, 오프너 로드가 구동기구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오프너 로드의 록돌기가 연료도어의 후크에 이탈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연료도어는 연료도어 하우징을 개방 내지 폐쇄한다. The opener rod has a lock protrus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ok of the fuel door, and as the opener rod is moved by the driving mechanism, the lock protrusion of the opener ro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ok of the fuel door. Open or close the door housing.

종래의 연료도어 오프너는 구동기구에 의해 오프너 로드가 이동할 때 오프너 로드와 실링부재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함에 따라 오프너 로드의 이동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연료도어의 개방(팝업)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고, 실링부재는 마찰력에 의해 심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오프너 하우징의 밀봉성이 낮아질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실링부재의 내면에 그리스가 도포됨에 따라 그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fuel door opener, when the opener rod is moved by the driving mechanism, the movement of the opener rod may be delayed as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opener rod and the sealing member, so that the opening (pop-up) of the fuel door may not be smooth. Since the sealing member may be severely deformed by frictional forc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ealing property of the opener housing may be lowered. In addition, as the grease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there is a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are prepared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other than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료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오프너 로드가 이동할 때 오프너 로드 및 실링구조 사이에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오프너 로드의 신속한 이동을 통해 연료도어의 개방(팝업) 내지 폐쇄를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opening (pop-up) the fuel door through rapid movement of the opener rod b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pener rod and the sealing structure when the opener rod moves to open and close the fuel do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capable of quickly executing a door loc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소통하는 개구를 가진 오프너 하우징;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수용공간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이동가능한 오프너 로드; 및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에 장착되고, 상기 오프너 하우징 및 상기 개구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opener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and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An opener rod movable toward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opener housing; And a sealing structure mounted on the opening of the opener housing and sealing between the opener housing and the opening.

상기 실링구조의 직경이 상기 오프너 로드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상기 오프너 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가변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sealing structure may be configured to be variabl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pener rod by moving and stopping the opener rod.

싱기 실링구조는 상기 오프너 로드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는 상기 오프너 로드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상기 오프너 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new sealing structur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disposed to surround the opener rod, and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a radial direction of the opener rod by moving and stopping the opener rod.

상기 오프너 로드는 복수의 외주홈을 가지고, 각 실링부재는 복수의 외주홈 중에서 어느 한 외주홈에 선택적으로 치합가능한 치형을 가지며, 상기 치형은 상기 각 실링부재의 내면으로부터 내경방향을 따라 돌출할 수 있다. The opener rod has a plurality of outer circumferential grooves, each sealing member has a tooth shape that can be selectively engag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uter circumferential grooves, and the tooth shape can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each sealing member along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have.

상기 오프너 로드가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는 상기 오프너 로드의 외주홈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상기 오프너 로드가 정지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는 상기 오프너 로드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각 실링부재의 치형이 상기 오프너 로드의 외주홈에 치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the opener rod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er housing,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move awa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of the opener rod, and as the opener rod stops,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move the opener rod. By moving toward, the teeth of each sealing member may be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of the opener rod.

상기 실링구조는 복수의 실링부재에 개별적으로 고정된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와,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 및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를 지지하는 실링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aling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lide carriers individually fixed to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and a sealing housing supporting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slide carriers.

각 슬라이드 캐리어는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각 실링부재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상호 대응하는 슬라이드 캐리어 및 실링부재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slide carrier is integrally coupled to each of the sealing members by insert injection molding, so that the slide carriers and the sealing membe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body.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는 복수의 스프링에 의해 상기 실링하우징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lide carriers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ealing housing by a plurality of springs.

각 스프링은 각 슬라이드 캐리어의 외면 및 상기 실링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Each sp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each slide carri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housing.

상기 실링하우징은 복수의 가이드돌기를 가지고, 각 가이드돌기는 상기 실링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슬라이드 캐리어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각 스프링이 상기 각 가이드돌기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aling housing has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each guide protrusion extends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housing toward a slide carrier, and each spring may be disposed around each of the guide protrusions.

상기 각 슬라이드 캐리어는 상기 각 가이드돌기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홀을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slide carriers may have a receiving hole for movably receiving each of the guide protrusions.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오프너 로드가 오프너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경우에는 실링구조의 실링부재들이 오프너 로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오프너 로드 및 실링부재들 사이의 마찰력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료도어의 개폐를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ner rod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er housing f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fuel door, the sealing members of the sealing structure move away from the opener ro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pener rod and the sealing members. The fuel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more quickly through this.

또한, 연료도어의 개방 내지 폐쇄상태를 유지하고자 오프너 로드가 구동기구에 의해 정지될 경우에는 실링구조의 실링부재들이 오프너 로드를 향해 이동하고, 이에 각 실링부재의 치형이 오프너 로드의 외주홈에 기밀하게 치합됨으로써 오프너 로드 및 실링부재들 사이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pener rod is stopped by the driving mechanism in order to maintain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fuel door, the sealing members of the sealing structure move toward the opener rod, so that the teeth of each sealing member are seal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of the opener rod. By engaging in such a way, sealing properties between the opener rod and the sealing members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링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복수의 실링부재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내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실링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복수의 실링부재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외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의 실링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링구조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의 실링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수의 실링부재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내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실링구조에서 복수의 실링부재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수의 슬라이더 캐리어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내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의 실링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수의 실링부재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외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실링구조에서 복수의 실링부재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복수의 슬라이더 캐리어가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의 외경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ealing structure of FIG. 1 in detail, and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are moved in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of an opening of an opener housing.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ealing structure of FIG. 1 in detail, and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are moved in an outer diameter direction of an opening of an opener housin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ling structure of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sealing structure shown in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ling structure of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are moved in an inner diameter direction of an opening of an opener housin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are omitted from the sealing structure of FIG. 7, and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slider carriers are moved in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of an opening of the opener housin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ling structure of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are moved in an outer diameter direction of an opening of an opener housin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are omitted from the sealing structure of FIG. 9, and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lider carriers are moved in an outer diameter direction of an opening of an opener housin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and the like may be used. These terms are for distinguishing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10)는 오프너 하우징(11)과, 오프너 하우징(11)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오프너 로드(12)와, 오프너 로드(12)를 이동시키는 구동기구(1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fuel door opener 10 includes an opener housing 11, an opener rod 12 mounted movably with respect to the opener housing 11, and a dri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opener rod 12. It includes (13).

오프너 하우징(11)은 연료도어 하우징(3)에 장착될 수 있고, 특히 오프너 하우징(11)의 상단이 연료도어 하우징(3)의 장착개구(4)에 결합될 수 있다. 연료도어(2)가 연료도어 하우징(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료도어(2)는 오프너 로드(12)가 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5)를 가질 수 있고, 후크(5)는 오프너 하우징(11)와 인접한 위치의 연료도어(2)의 저면으로부터 오프너 하우징(11)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The opener housing 11 may be mounted on the fuel door housing 3, and in particular, the upper end of the opener housing 11 may be coupled to the mounting opening 4 of the fuel door housing 3. The fuel door 2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uel door housing 3. The fuel door 2 may have a hook 5 to which the opener rod 12 is detachably coupled, and the hook 5 is an opener housing from the bottom of the fuel door 2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pener housing 11. It can protrude toward (11).

오프너 하우징(11)은 이동가능한 오프너 로드(12)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4)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오프너 하우징(11)은 오프너 로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구(15)를 가지고, 개구(15)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오프너 하우징(11)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오프너 하우징(11)은 그 상단에 형성된 넥(17, neck)을 가질 수 있고, 넥(17)은 개구(15)를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넥(17)이 개구(15)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opener housing 11 may have an accommodation space 14 accommodating the movable opener rod 12. In addition, the opener housing 11 may have an opening 15 allowing movement of the opener rod, and the opening 15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o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opener housing 11. The opener housing 11 may have a neck 17 formed at its upper end, and the neck 17 may be configured to define an opening 15. That is, the neck 17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pening 15.

오프너 로드(12)는 연료도어(2)의 후크(5)에 대해 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록돌기(16)를 가질 수 있고, 록돌기(16)는 오프너 로드(12)의 상단으로부터 연료도어(2)의 후크(5)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The opener rod 12 may have a lock protrusion 16 detachably coupled to the hook 5 of the fuel door 2, and the lock protrusion 16 may have a fuel door ( It can extend toward the hook 5 of 2).

오프너 로드(12)는 구동기구(13)에 의해 오프너 하우징(11)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는 구동기구(13)에 의해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프너 로드(12)는 오프너 하우징(11)의 하부방향(도 1의 화살표 D방향) 또는 상부방향(도 1의 화살표 U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opener rod 12 may be configured to move relative to the opener housing 11 by a drive mechanism 13. The opener rod 12 can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er housing 11 by the driving mechanism 13. As illustrated in FIG. 1, the opener rod 12 may move in the lower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arrow D in FIG. 1) or in the upper direction (in direction of arrow in FIG. 1) of the opener housing 11.

오프너 로드(12)의 하부 방향 이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프너 로드(12)가 구동기구(13)에 의해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을 향해 이동함(도 1의 화살표 D 방향)으로써 오프너 로드(12)의 대부분은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오프너 로드(12)의 록돌기(16)가 연료도어(2)의 후크(5)와 결합되면 연료도어(2)는 연료도어 하우징(3)을 폐쇄할 수 있다. When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opener rod 12 is specifically described, the opener rod 12 moves toward the receiving space 14 of the opener housing 11 by the driving mechanism 13 (arrow D in FIG. 1 ). Direction), most of the opener rod 12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4 of the opener housing 11, and the lock protrusion 16 of the opener rod 12 is the hook 5 of the fuel door 2 When combined with the fuel door 2 can close the fuel door housing 3.

오프너 로드(12)의 상부 방향 이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프너 로드(12)가 구동기구(13)에 의해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외측을 향해 이동함(도 1의 화살표 U방향)으로써 오프너 로드(12)의 대부분은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이에 오프너 로드(12)의 록돌기(16)가 연료도어(2)의 후크(5)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연료도어(2)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연료도어 하우징(3)을 개방(팝업)할 수 있다. When the upward movement of the opener rod 12 is described in detail, the opener rod 12 moves toward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14 of the opener housing 11 by the driving mechanism 13 (Fig. 1). Arrow U direction), most of the opener rod 12 can protrude from the receiving space 14 of the opener housing 11, and thus the lock protrusion 16 of the opener rod 12 is a hook of the fuel door 2 By separation from (5), the fuel door 2 can open (pop-up) the fuel door housing 3 by the elastic force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구동기구(13)는 기계식 작동구조 또는 전자식 작동구조 등을 통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계식 작동구조는 운전석에 마련된 작동버튼이 케이블 등을 통해 구동기구(13)에 연결됨으로써 케이블이 작동버튼의 조작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구동기구(13)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식 작동구조는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기구(13)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기구(13)는 오프너 로드(12)를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drive mechanism 13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rough a mechanical operation structure or an electronic operation structure. The mechanical operation structur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drive mechanism 13 as the cable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by connecting the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driver's seat to the drive mechanism 13 through a cable or the like. The electronic operating structur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drive mechanism 13 by an electrical signal such as a solenoid or a motor. The drive mechanism 13 may be configured to move or stop the opener rod 12.

오프너 하우징(11)의 개구(15)에는 수분, 이물질 등이 유입됨을 차단하는 실링구조(20)가 장착된다. 실링구조(20)는 오프너 로드(12) 및 오프너 하우징(11)의 개구(15) 사이를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sealing structure 20 is installed in the opening 15 of the opener housing 11 to block the inflow of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The sealing structure 20 may be configured to seal between the opener rod 12 and the opening 15 of the opener housing 11.

본 발명에 의한 실링구조(20)는 그 직경이 오프너 로드(12)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오프너 로드(12)의 반경방향을 따라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프너 로드(12)의 이동 시에 오프너 로드(12) 및 실링구조(20)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저감될 수 있다. The sealing structur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s diameter is vari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pener rod 12 by moving and stopping the opener rod 12. Through this, when the opener rod 12 is moved,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opener rod 12 and the sealing structure 20 may be reduc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구조(20)는 오프너 로드(12)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오프너 로드(1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복수의 실링부재(21)와, 복수의 실링부재(21)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와, 복수의 실링부재(21) 및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를 지지하는 실링하우징(23)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structure 20 includes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that ar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opener rod 12 by moving and stopping the opener rod 12, and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lide carriers 22 that are individually coupled to 21), and a sealing housing 23 that supports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and a plurality of slide carriers 22.

복수의 실링부재(21)는 오프너 로드(12)를 환형으로 둘러싸도록 오프너 로드(12)의 둘레에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실링부재(21)는 오프너 로드(12)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오프너 로드(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around the opener rod 12 so as to surround the opener rod 12 in an annular shape.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pener rod 12 by moving and stopping the opener rod 12.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실링부재(21)는 오프너 하우징(11)의 개구(15)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환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실링부재(21)는 동일한 반경을 가진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복수의 실링부재(21)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될 경우에는 오프너 로드(12)의 둘레에서 동일한 반경을 가진 원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각 실링부재(21)는 도 5, 도 6, 도 7, 도 9와 같이 사분원 형상 등과 같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실링부재(21)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등과 같은 러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may b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pening 15 of the opener housing 11 to have an annular structure as a whole.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may have a circular arc shape having the same radius. Accordingly, when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are continuou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circular shape having the same radius around the opener rod 12 Can be configured. According to an example, each sealing member 21 may have an arc shape such as a quadrant shape as shown in FIGS. 5, 6, 7, and 9. Each sealing member 21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such as Thermo Plastic Elastomer (TPE).

오프너 로드(12)는 적어도 일부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외주홈(31)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외주홈(31)은 오프너 로드(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각 실링부재(21)는 외주홈(31)들 중에서 어느 한 외주홈(31)에 선택적으로 치합가능한 치형(41)를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치형(41)은 각 실링부재(21)의 내면으로부터 내경방향을 따라 돌출할 수 있다. 특히, 치형(41)은 각 실링부재(21)의 원호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연장될 수 있다. The opener rod 12 may have a plurality of outer circumferential grooves 31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outer circumferential grooves 31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er rod 12. Each of the sealing members 21 may have teeth 41 capable of selectively engaging any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s 31. 2 and 3, the teeth 41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each sealing member 21 along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In particular, the teeth 41 may extend continuously along the arc direction of each sealing member 21.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오프너 로드(12)가 정지함에 따라 복수의 실링부재(21)는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이 오프너 로드(12)의 어느 한 외주홈(31)에 기밀하게 치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as the opener rod 12 stops,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mov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of the opener rod 12, thereby forming the teeth of each sealing member 21. 41 may be hermetically engaged in any on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of the opener rod 12.

실시예에 따르면, 도 3과 같이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실링부재(21)는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으로부터 외경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내측을 향해 이동(화살표 D 방향)하거나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외측을 향해 이동(화살표 U방향)할 때,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이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로부터 외경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각 실링부재(21)는 오프너 로드(12)의 이동에 의해 오프너 로드(12)의 반경방향(또는 오프너 하우징(11)의 개구(15)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링구조(20)의 직경은 오프너 로드(12)의 이동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즉,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실링부재(21)는 오프너 로드(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링구조(20)의 직경이 가변될 수 있다. 특히, 오프너 로드(12)가 이동할 때,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이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21)들은 오프너 로드(12)의 반경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the opener rod 12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er housing 11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are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of the opener rod 12. You can move away from it. The opener rod 12 may move toward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14 of the opener housing 11 (in the direction of arrow D) or toward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14 of the opener housing 11 (in the direction of arrow U). At this time, the teeth 41 of each sealing member 21 may be relatively moved along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of the opener rod 12. That is, each sealing member 21 can mov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pener rod 12 (or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pening 15 of the opener housing 11) by the movement of the opener rod 12, through which The diameter of the sealing structure 20 may be varied by the movement of the opener rod 12. That is, as the opener rod 12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er housing 11,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can mov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pener rod 12, through which the sealing structure 20 The diameter of can be varied. In particular, when the opener rod 12 moves, since the teeth 41 of each sealing member 21 can move relativ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of the opener rod 12, the sealing members 21 It can be easily mov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12).

도 2를 참조하면, 각 외주홈(31)은 하나 이상의 제1상측경사면(31a) 및 하나 이상의 제1하측경사면(31b)을 가질 수 있고, 치형(41)은 하나 이상의 제1상측경사면(31a)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상측경사면(41a) 및 하나 이상의 제1하측경사면(31b)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하측경사면(41b)을 가질 수 있다. 치형(41)의 제2상측경사면(41a)은 각 외주홈(31)의 제1상측경사면(31a)에 대해 슬라이드되거나 치형(41)의 제2하측경사면(41b)은 각 외주홈(31)의 제1하측경사면(31b)에 대해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 each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may have one or mor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s 31a and one or mor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s 31b, and the teeth 41 are at least on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31a. It may have at least one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41a corresponding to) and at least on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41b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31b. The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41a of the teeth 41 slides against the first upper inclined surface 31a of each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or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41b of the teeth 41 is each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It may be configured to sl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31b).

도 3을 참조하면,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내측을 향해 이동(도 3의 화살표 D 방향)하거나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외측을 향해 이동(도 3의 화살표 U방향)할 때,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의 제2상측경사면(41a)이 오프너 로드(12)의 각 외주홈(31)의 제1상측경사면(31a)을 따라 이동하거나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의 제2하측경사면(41b)이 오프너 로드(12)의 각 외주홈(31)의 제1하측경사면(31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실링부재(21)가 오프너 로드(12)에 대해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오프너 로드(12) 및 실링부재(21)들 사이의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프너 로드(12)의 저마찰 이동구조가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opener rod 12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14 of the opener housing 11 (in the direction of arrow D in FIG. 3) or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14 of the opener housing 11. When moving toward (in the direction of arrow U in Fig. 3), the second upper inclined surface 41a of the teeth 41 of each sealing member 21 is the first upper side of each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of the opener rod 12 Mov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31a or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41b of the teeth 41 of each sealing member 21 along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31b of each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of the opener rod 12 You can move. In this way, since each sealing member 21 can move along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ener rod 12,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pener rod 12 and the sealing member 21 can be relatively reduced, through which the opener The low-friction moving structure of the rod 12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는 오프너 하우징(11)의 개구(15)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환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는 복수의 실링부재(21)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각 실링부재(21)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도 5, 도 6, 도 8, 도 10와 같이 각 실링부재(21)에 부합하는 사분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lide carriers 22 may have an annular structure as a whole by being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pening 15 of the opener housing 11. The plurality of slide carriers 22 may be individual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and each slide carrier 22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each sealing member 21. According to an example, each slide carrier 22 may be formed in a quadrant shape corresponding to each sealing member 21 as shown in FIGS. 5, 6, 8, and 10. Each slide carrier 22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P).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각 실링부재(21)에 일체형으로 결합됨으로써 상호 대응하는 각 슬라이드 캐리어(22) 및 각 실링부재(21)는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실링부재(21) 및 이에 결합된 슬라이드 캐리어(22)는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각 실링부재(21)는 결합홈(25)을 가질 수 있고,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각 실링부재(21)의 결합홈(2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6)를 가질 수 있다. 각 슬라이드 캐리어(22)의 결합돌기(26)가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각 실링부재(21)의 결합홈(25)에 박힘(embedded)으로써 각 슬라이드 캐리어(22) 및 각 실링부재(21)에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slide carrier 22 is integrally coupled to each sealing member 21 through insert injection molding, so that each slide carrier 22 and each sealing member 21 corresponding to each other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body. Thereby, each sealing member 21 and the slide carrier 22 coupled thereto can move together. Each sealing member 21 may have a coupling groove 25, and each slide carrier 22 may have a coupling protrusion 26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5 of each sealing member 21. The coupling protrusion 26 of each slide carrier 22 is embedded in the coupling groove 25 of each sealing member 21 through insert injection molding, so that it is attached to each slide carrier 22 and each sealing member 21. It can be composed of a single body.

실링하우징(23)은 오프너 하우징(11)의 넥(17)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오프너 하우징(11)의 넥(17)은 그 상단으로부터 외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51)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오프너 하우징(11)의 넥(17)은 플랜지(51)에 의해 한정된 끼움홈(53)을 가질 수 있다. 실링하우징(23)은 그 하단에 끼움돌기(52)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하우징(23)의 끼움돌기(5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넥(17)의 끼움홈(53)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실링하우징(23)은 오프너 하우징(11)의 넥(17)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The sealing housing 23 may be mounted on the neck 17 of the opener housing 11. 5 and 6, the neck 17 of the opener housing 11 may have a flange 51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thereof, and the neck 17 of the opener housing 11 may be a flange It may have a fitting groove 53 defined by (51). The sealing housing 23 may have a fitting protrusion 52 at its lower end. As shown in FIG. 6, the fitting protrusion 52 of the sealing housing 23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53 of the neck 17 of the opener housing 11, so that the sealing housing 23 is the opener housing 11 )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neck 17.

실링하우징(23)는 그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돌기(27)를 가질 수 있고, 각 가이드돌기(27)는 실링하우징(23)의 내면으로부터 슬라이드 캐리어(2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수용홀(29)을 가질 수 있고, 수용홀(29)은 가이드돌기(27)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슬라이드 캐리어(22)가 이동함에 따라 각 가이드돌기(27)는 수용홀(29)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28)이 각 가이드돌기(27)의 둘레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각 스프링(28)은 각 가이드돌기(27)를 따라 연장된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The sealing housing 23 may have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27 formed on its inner surface, and each guide protrusion 27 may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housing 23 toward the slide carrier 22. Each slide carrier 22 may have a receiving hole 29, and the receiving hole 29 may be configured to movably accommodate the guide protrusion 27. As each slide carrier 22 moves, each guide protrusion 27 may be movab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29. A plurality of springs 28 may be individually disposed around each guide protrusion 27, and each spring 28 may be a coil spring extending along each guide protrusion 27.

각 스프링(28)이 실링하우징(23)의 내면 및 각 슬라이드 캐리어(22)의 외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는 복수의 스프링(28)을 통해 실링하우징(23)의 내면에 대해 개별적이고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가 정지된 조건(외력이 각 슬라이드 캐리어(22)에 인가되지 않는 조건)에서, 도 2와 같이 각 스프링(28)이 신장됨으로써 각 슬라이드 캐리어(22)는 각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실링하우징(23)의 중심을 항해 탄성적으로 편향(elastically biased)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가 이동하는 조건에서, 도 3과 같이 각 슬라이드 캐리어(2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개구(15)의 외경방향(OD)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28)이 압축될 수 있다. Each spring 28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housing 23 and the outer surface of each slide carrier 22,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slide carriers 22 are sealed through the plurality of springs 28 ( 23) can be individually and elastically supported against the inner surface.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opener rod 12 is stopped (the condi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each slide carrier 22), each spring 28 is elongated as shown in FIG. The center of the sealing housing 23 can be elastically biased by the elastic force of.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opener rod 12 moves, the spring 28 is compressed as each slide carrier 22 moves along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D of the opening 15 of the opener housing 11 as shown in FIG. 3. I can.

도 3을 참조하면, 연료도어(2)의 개폐를 위하여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오프너 로드(12)가 연료도어(2)를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내측을 향해(화살표 D방향) 할 수 있고, 오프너 로드(12)가 연료도어(2)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오프너 하우징(11)의 수용공간(14)의 외측을 향해 이동(화살표 U방향)할 수 있다.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조건(외력이 각 슬라이드 캐리어(22)에 인가되는 조건)에서,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은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을 따라 오프너 로드(12)의 외경방향(OD)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이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함에 따라 상호 결합된 실링부재(21) 및 슬라이드 캐리어(22)는 오프너 로드(12)의 외경방향(OD)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인접한 슬라이드 캐리어(22)들의 측면들이 서로 간에 이격됨(도 10 참조)과 동시에 인접한 실링부재(21)들의 측면들이 서로 간에 이격(도 9 참조)됨으로써 복수의 실링부재(21) 및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가 개구(15)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복수의 실링부재(21) 및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가 오프너 로드(12)의 외경방향(OD)으로 이동함으로써 오프너 로드(12) 및 실링구조(20) 사이의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저감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프너 로드(12)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연료도어(2)의 개방(팝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opener rod 12 may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er housing 11 to open and close the fuel door 2. That is, when the opener rod 12 wants to close the fuel door 2, it can be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14 of the opener housing 11 (in the direction of arrow D), and the opener rod 12 When the door 2 is to be opened, it can be mo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14 of the opener housing 1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U).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opener rod 12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er housing 11 (a condition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each slide carrier 22), the teeth 41 of each sealing member 21 are formed by the opener rod ( It can be moved continuously along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D) of the opener rod 12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of 12). That is, as the teeth 41 of each sealing member 21 move awa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of the opener rod 12, the sealing member 21 and the slide carrier 22 coupled to each other are the opener rod 12 ),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slide carriers 22 adjacent thereto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ee FIG. 1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adjacent sealing members 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ee FIG. 9).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and the plurality of slide carriers 22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pening 15. In this way, when the opener rod 12 moves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opener housing 11,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and the plurality of slide carriers 22 move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D) of the opener rod 12.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pener rod 12 and the sealing structure 20 can be relatively reduced, and through this, the opener rod 12 can move quickly, so that the fuel door 2 can be opened (pop-up) quickly. have.

도 2를 참조하면, 오프너 로드(12)가 정지될 때 외력이 각 슬라이드 캐리어(22)에 인가되지 않으며, 이에 각 스프링(28)이 신장됨으로써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22)는 각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개구(15)의 내경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호 결합된 슬라이드 캐리어(22) 및 실링부재(21)가 오프너 로드(12)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은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에 치합될 수 있으며, 인접한 슬라이드 캐리어(22)들의 측면들이 서로간에 밀착됨(도 8 참조)과 동시에 인접한 실링부재(21)들의 측면들이 서로 간에 밀착(도 7 참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프너 로드(12)의 정지 시에 복수의 실링부재(21)가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에 치합되고, 복수의 실링부재(21)가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의 둘레에 기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오프너 로드(12) 및 실링부재(21)들 사이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when the opener rod 12 is stopped,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each of the slide carriers 22, and thus each spring 28 is elongated so that the plurality of slide carriers 22 are each spring 28. It can be moved along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of the opening 15 by the elastic force of, and the tooth shape of each sealing member 21 as the mutually coupled slide carrier 22 and the sealing member 21 move toward the opener rod 12 41 may be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of the opener rod 12, and the sides of the adjacent slide carriers 2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ee FIG. 8) and the sides of the adjacent sealing members 21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ee Fig. 7). In this way, when the opener rod 12 is stopped,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are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of the opener rod 12, and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21 are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pener rod 12. The sealing property between the opener rod 12 and the sealing member 21 can be secured by airtight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groove 31.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연료도어(2)의 개폐를 위하여 오프너 로드(12)가 오프너 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경우에는 실링구조(20)의 실링부재(21)들이 오프너 로드(1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오프너 로드(12) 및 실링부재(21)들 사이의 마찰력을 대폭 저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료도어(2)의 개폐를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ner rod 12 moves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opener housing 11 f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fuel door 2, the sealing members 21 of the sealing structure 20 are provided with the opener rod ( By moving away from 12),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pener rod 12 and the sealing member 21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rough thi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uel door 2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또한, 연료도어(2)의 개방 내지 폐쇄상태를 유지하고자 오프너 로드(12)가 구동기구(13)에 의해 정지될 경우에는 실링구조(20)의 실링부재(21)들이 오프너 로드(12)를 향해 이동하고, 이에 각 실링부재(21)의 치형(41)이 오프너 로드(12)의 외주홈(31)에 기밀하게 치합됨으로써 오프너 로드(12) 및 실링부재(21)들 사이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opener rod 12 is stopped by the drive mechanism 13 in order to maintain the open or closed state of the fuel door 2, the sealing members 21 of the sealing structure 20 And the teeth 41 of each sealing member 21 are hermetically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1 of the opener rod 12, thereby sealing property between the opener rod 12 and the sealing member 21. Can be secur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연료도어 3: 연료도어 하우징
4: 장착개구 5: 후크
10: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11: 오프너 하우징
12: 오프너 로드 13: 구동기구
14: 수용공간 15: 개구
16: 록돌기 17: 넥
20: 실링구조 21: 실링부재
22: 슬라이드 캐리어 23: 실링하우징
25: 결합홈 26: 결합돌기
27: 가이드돌기 28: 스프링
31: 외주홈 41: 치형
2: fuel door 3: fuel door housing
4: mounting opening 5: hook
10: Vehicle fuel door opener 11: Opener housing
12: opener rod 13: drive mechanism
14: accommodation space 15: opening
16: rock protrusion 17: neck
20: sealing structure 21: sealing member
22: slide carrier 23: sealing housing
25: coupling groove 26: coupling protrusion
27: guide protrusion 28: spring
31: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41: tooth

Claims (10)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소통하는 개구를 가진 오프너 하우징;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수용공간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이동가능한 오프너 로드; 및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개구에 장착되고, 상기 오프너 하우징 및 상기 개구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구조의 직경이 상기 오프너 로드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상기 오프너 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가변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An opener hou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and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An opener rod movable toward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opener housing; And
Includes; a sealing structure mounted on the opening of the opener housing and sealing between the opener housing and the opening,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configured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sealing structure is variabl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pener rod by movement and stopping of the opener rod.
청구항 1에 있어서,
싱기 실링구조는 상기 오프너 로드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복수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는 상기 오프너 로드의 이동 및 정지에 의해 상기 오프너 로드의 반경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ew sealing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arranged to surround the opener rod,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are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a radial direction of the opener rod by moving and stopping the opener ro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로드는 복수의 외주홈을 가지고,
각 실링부재는 복수의 외주홈 중에서 어느 한 외주홈에 선택적으로 치합가능한 치형을 가지며,
상기 치형은 상기 각 실링부재의 내면으로부터 내경방향을 따라 돌출한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opener rod has a plurality of outer circumferential grooves,
Each sealing member has a tooth shape that can be selectively engag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uter circumferential grooves,
The tooth shape is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sealing members in an inner diameter direc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로드가 상기 오프너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는 상기 오프너 로드의 외주홈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상기 오프너 로드가 정지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는 상기 오프너 로드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각 실링부재의 치형이 상기 오프너 로드의 외주홈에 치합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The method of claim 3,
As the opener rod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er housing,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move awa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of the opener rod,
As the opener rod stops,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move toward the opener rod so that the teeth of each sealing member engage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of the opener ro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링구조는 복수의 실링부재에 개별적으로 고정된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와, 상기 복수의 실링부재 및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를 지지하는 실링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aling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slide carriers individually fixed to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and a sealing housing supporting the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slide carriers.
청구항 5에 있어서,
각 슬라이드 캐리어는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각 실링부재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상호 대응하는 슬라이드 캐리어 및 실링부재는 단일체로 구성되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The method of claim 5,
Each slide carrier is integrally coupled to each of the sealing members by insert injection molding, so that the slide carriers and the sealing membe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configured as a single bod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캐리어는 복수의 스프링에 의해 상기 실링하우징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The method of claim 5,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wherein the plurality of slide carriers are elastical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ealing housing by a plurality of springs.
청구항 7에 있어서,
각 스프링은 각 슬라이드 캐리어의 외면 및 상기 실링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개재되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The method of claim 7,
Each spring is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each slide carri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housing.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실링하우징은 복수의 가이드돌기를 가지고, 각 가이드돌기는 상기 실링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슬라이드 캐리어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각 스프링이 상기 각 가이드돌기의 둘레에 배치되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The method of claim 8,
The sealing housing has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each guide protrusion extend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aling housing toward the slide carrier,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in which each of the springs is disposed around each of the guide protrusion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드 캐리어는 상기 각 가이드돌기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홀을 가지는 차량용 연료도어 오프너.

The method of claim 9,
Each of the slide carriers is a fuel door opener for a vehicle having a receiving hole for movably accommodating each of the guide projections.

KR1020190135557A 2019-10-29 Vehicle fuel door opener KR1026641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57A KR102664125B1 (en) 2019-10-29 Vehicle fuel door ope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57A KR102664125B1 (en) 2019-10-29 Vehicle fuel door ope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936A true KR20210050936A (en) 2021-05-10
KR102664125B1 KR102664125B1 (en) 2024-05-09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2447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US20160121744A1 (en)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can be driven electrically
KR20130129073A (en) Actuating drive for a motor vehicle
US11643851B2 (en) Motor vehicle lock
WO2011081926A1 (en) Actuation device
JP2007147076A (en) Cushioning adjustment element
CN106312669A (en) Chuck apparatus
US10533352B2 (en) Push to release fuel door operator assembly
US3947006A (en) Gas spring, piston locking
KR102181357B1 (en) Syringe
US7575390B2 (en) Coupling device for a damper
US20170015184A1 (en) Weatherstrip for sunroof apparatus
US20150218853A1 (en) Lock release apparatus
KR102664125B1 (en) Vehicle fuel door opener
KR20210050936A (en) Vehicle fuel door opener
WO2019207394A1 (en) Electromechanical switch having movable contact and dampener
US10266043B2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1875656B1 (en) Variable belt molding structure for vehicle door
US11162283B2 (en) Vehicle lid lock device
KR101232844B1 (en) Air damper
KR20190119578A (en) Automotive valve device
CA2994843C (en) Switch
JP2014105730A (en) Cushion clip
CN205371434U (en) Air damper
KR101986715B1 (en) Buffer Apparatus for closing of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