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673A -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673A
KR20210049673A KR1020200127914A KR20200127914A KR20210049673A KR 20210049673 A KR20210049673 A KR 20210049673A KR 1020200127914 A KR1020200127914 A KR 1020200127914A KR 20200127914 A KR20200127914 A KR 20200127914A KR 20210049673 A KR20210049673 A KR 20210049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link
terminal
harq
timer
pdc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EP20879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30853A4/en
Priority to PCT/KR2020/014061 priority patent/WO2021080240A1/ko
Priority to US17/769,878 priority patent/US20220394810A1/en
Publication of KR20210049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단말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HARQ 동작을 위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CONTROLLING SIDELINK COMMUNIC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본 개시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 데이터 처리 요구, 고속의 데이터 처리 요구와 차량, 산업현장 등에서 무선 단말을 이용하는 다양한 서비스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순히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기계 형태 통신 데이터 등의 다양한 시나리오와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ITU-R은 IMT-2020 국제 표준을 채택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개시하고 있으며, IMT-2020의 요구사항을 맞추기 위한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3GPP에서는 5G 기술로 지칭되는 IMT-2020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LTE-Advanced Pro Rel-15/16 표준과 NR(New Radio Access Technology) 표준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여 진행하고 있고, 두 표준 기술을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로 승인 받을 계획을 가지고 있다.
5G 기술에서는 자율 주행 차량에 적용되어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이드링크 통신(Sidelink communication, 예를 들어, 차량 통신(V2X))에 5G 기술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자율 주행을 위해서 증가되는 데이터에 대한 고 신뢰성을 보장하면서 고속 송수신이 필요하다.
아울러, 군집주행과 같은 다양한 자율 주행 차량의 운행 시나리오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활용한 다수 유니캐스트 데이터 송수신뿐만 아니라 멀티캐스트 데이터 송수신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 통신이 보장되어야 한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은 사이드링크 통신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따라 사이드링크 무선자원 또는 기지국 무선자원에서 지속적으로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이는 심각한 전력 소모의 급증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사이드링크 통신 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급격한 전력 소모 증가를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단말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HARQ 동작을 위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사이드링크 HARQ 동작을 위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단말의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HARQ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HARQ 동작을 위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로 사이드링크 HARQ 동작을 위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송신부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단말의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HARQ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전송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사이드링크 통신 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급격한 전력 소모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동기 신호 블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CORESET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 사이드링크를 위한 DMRS 구조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사이드링크를 위한 DMRS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1(UE1), 단말 2(UE2) 및 이들이 사용하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사이드링크에서 HARQ 피드백 정보를 번들링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사이드링크와 관련된 PSCCH와 연관된 PSSCH의 다중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LTE 시스템에서의 V2X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쳐를 예시적으로 개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DRX 구성(DRX-Config) 정보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 패킷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하며, 단말과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개시하는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접속 기술은 특정 접속 기술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3GPP, 3GPP2, WiFi, Bluetooth, IEEE, ITU 등 다양한 통신 협의기구에서 제정하는 각 세대 별 통신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현재 개시되거나 상용화된 무선 접속 기술에 적용될 수 있고,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무선 접속 기술에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LTE, NR, HSPA 및 IMT-2020(5G 또는 New Radio)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말은 사용 형태에 따라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휴대 기기가 될 수도 있고, V2X 통신 시스템에서는 차량, 차량 내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기계 형태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시스템의 경우에 기계 형태 통신이 수행되도록 통신 모듈을 탑재한 MTC 단말, M2M 단말, URLLC 단말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기지국 또는 셀은 네트워크 측면에서 단말과 통신하는 종단을 지칭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gNB(gNode-B), LPN(Low Power Node), 섹터(Sector), 싸이트(Site),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포인트(예를 들어, 송신포인트, 수신포인트, 송수신포인트), 릴레이 노드(Relay Node),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또한, 셀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BWP(Bandwidth Part)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셀은 단말의 Activation BWP를 의미할 수 있다.
앞서 나열된 다양한 셀은 하나 이상의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스몰 셀(small cell)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2) 무선 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1)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 예가 된다. 2)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3GPP LTE/LTE-A/NR(New RAT) 통신 시스템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기술적 특징이 해당 통신 시스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3GPP에서는 4G(4th-Generation) 통신 기술에 대한 연구 이후에 ITU-R의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의 요구사항에 맞추기 위한 5G(5th-Generation)통신 기술을 개발한다. 구체적으로, 3GPP는 5G 통신 기술로 LTE-Advanced 기술을 ITU-R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향상 시킨 LTE-A pro와 4G 통신 기술과는 별개의 새로운 NR 통신 기술을 개발한다. LTE-A pro와 NR은 모두 5G 통신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특정 통신 기술을 특정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 NR을 중심으로 5G 통신 기술을 설명한다.
NR에서의 운영 시나리오는 기존 4G LTE의 시나리오에서 위성, 자동차, 그리고 새로운 버티컬 등에 대한 고려를 추가하여 다양한 동작 시나리오를 정의하였으며, 서비스 측면에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시나리오, 높은 단말 밀도를 가지되 넓은 범위에 전개되어 낮은 데이터 레이트(data rate)와 비동기식 접속이 요구되는 mMTC(Massive Machine Communication) 시나리오, 높은 응답성과 신뢰성이 요구되고 고속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URLLC(Ultra Reliability and Low Latency) 시나리오를 지원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만족하기 위해서 NR은 새로운 waveform 및 프레임 구조 기술, 낮은 지연속도(Low latency) 기술, 초고주파 대역(mmWave) 지원 기술, 순방향 호환성(Forward compatible) 제공 기술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특히, NR 시스템에서는 순방향(Forard)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연성 측면에서 다양한 기술적 변화를 제시하고 있다. NR의 주요 기술적 특징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R 시스템 일반>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 대한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R 시스템은 5GC(5G Core Network)와 NR-RAN파트로 구분되며, NG-RAN은 사용자 평면(SDAP/PDCP/RLC/MAC/PHY) 및 UE(User Equipment)에 대한 제어 평면(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gNB와 ng-eNB들로 구성된다.gNB 상호 또는 gNB와 ng-e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gNB와 ng-eNB는 각각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로 연결된다. 5GC는 단말 접속 및 이동성 제어 기능 등의 제어 평면을 담당하는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사용자 데이터에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UPF (User Plane Functio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R에서는 6GHz 이하 주파수 대역(FR1, Frequency Range 1)과 6GHz 이상 주파수 대역(FR2, Frequency Range 2)에 대한 지원을 모두 포함한다.
gNB는 단말로 NR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의미하고, ng-eNB는 단말로 E-UTRA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기지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기지국은 gNB및 ng-eNB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gNB 또는 ng-eNB를 구분하여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NR 웨이브 폼,뉴머롤러지 및 프레임 구조>
NR에서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서 Cyclic prefix를 사용하는 CP-OFDM 웨이브 폼을 사용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서 CP-OFDM 또는 DFT-s-OFDM을 사용한다. OFDM 기술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와 결합이 용이하며, 높은 주파수 효율과 함께 저 복잡도의 수신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NR에서는 전술한 3가지 시나리오 별로 데이터 속도, 지연속도, 커버리지 등에 대한 요구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시나리오 별 요구사항을 효율적으로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서로 다른 복수의 뉴머롤러지(numerology) 기반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 NR 전송 뉴머롤러지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CP(Cyclic prefix)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아래 표 1과 같이 15kHz를 기준으로 μ 값이 2의 지수 값으로 사용되어 지수적으로 변경된다.
μ 서브캐리어 간격 Cyclic prefix Supported for data Supported for synch
0 15 Normal Yes Yes
1 30 Normal Yes Yes
2 60 Normal, Extended Yes No
3 120 Normal Yes Yes
4 240 Normal No Yes
위 표 1과 같이 NR의 뉴머롤러지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5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4G 통신 기술 중 하나인 LTE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로 고정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NR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15, 30, 60, 120kHz이고, 동기 신호 전송을 위해서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15, 30, 120, 240kHz이다. 또한, 확장 CP는 60kHz 서브캐리어 간격에만 적용된다. 한편, NR에서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는 1ms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는 10ms의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frame)이 정의된다. 하나의 프레임은 5ms의 하프 프레임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 하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경우에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되고, 각 슬롯은 14개의 OFDM 심볼(symbol)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롯은 노멀 CP의 경우에 고정적으로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나, 슬롯의 시간 도메인에서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는 뉴머롤러지의 경우에 슬롯은 1ms 길이로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길이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30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가지는 뉴머롤러지의 경우에 슬롯은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나, 0.5ms의 길이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두 개의 슬롯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서브프레임과 프레임은 고정된 시간 길이를 가지고 정의되며, 슬롯은 심볼의 개수로 정의되어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시간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NR은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를 슬롯으로 정의하고, 무선 구간의 전송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미니 슬롯(또는 서브 슬롯 또는 non-slot based schedule)도 도입하였다. 넓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면 하나의 슬롯의 길이가 반비례하여 짧아지기 때문에 무선 구간에서의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미니 슬롯(또는 서브 슬롯)은 URLLC 시나리오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것으로 2, 4, 7개 심볼 단위로 스케줄링이 가능하다.
또한, NR은 LTE와 달리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자원 할당을 하나의 슬롯 내에서 심볼 레벨로 정의하였다. HARQ 지연을 줄이기 위해 전송 슬롯 내에서 바로 HARQ ACK/NACK을 송신할 수 있는 슬롯 구조가 정의되었으며, 이러한 슬롯 구조를 자기 포함(self-contained) 구조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NR에서는 총 256개의 슬롯 포맷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중 62개의 슬롯 포맷이 3GPP Rel-15에서 사용된다. 또한, 다양한 슬롯의 조합을 통해서 FDD 또는 TDD 프레임을 구성하는 공통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슬롯의 심볼이 모두 하향링크로 설정되는 슬롯 구조와 심볼이 모두 상향링크로 설정되는 슬롯 구조 및 하향링크 심볼과 상향링크 심볼이 결합된 슬롯 구조를 지원한다. 또한, NR은 데이터 전송이 하나 이상의 슬롯에 분산되어 스케줄링됨을 지원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슬롯 포맷 지시자(SFI, Slot Format Indicator)를 이용하여 단말에 슬롯이 하향링크 슬롯인지, 상향링크 슬롯인지 또는 플렉시블 슬롯인지를 알려줄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특정하게(UE-specific)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구성된 테이블의 인덱스를 SFI를 이용하여 지시함으로써 슬롯 포맷을 지시할 수 있으며,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서 동적으로 지시하거나 RRC를 통해서 정적 또는 준정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NR 물리 자원 >
NR에서의 물리 자원(physical resource)과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자원 블록(resource block), 대역폭 파트(bandwidth part) 등이 고려된다.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이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의 다른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의 광범위 특성(large-scale property)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경우, 2 개의 안테나 포트는 QC/QCL(quasi co-located 혹은 quasi co-location)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광범위 특성은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주파수 시프트(Frequency shift), 평균 수신 파워(Average received power) 및 수신 타이밍(Received Tim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는 NR이 동일 캐리어에서 복수의 뉴머롤러지를 지원하기 때문에 각 뉴머롤러지에 따라 자원 그리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자원 그리드는 안테나 포트, 서브캐리어 간격, 전송 방향에 따라 존재할 수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은 1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며,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만 정의된다. 또한,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는 1개의 OFDM 심볼과 1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자원 블록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NR에서는 자원 블록 그리드를 위한 공통 참조점 역할을 수행하는 "Point A"와 공통 자원 블록, 가상 자원 블록 등을 정의한다.
도 4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이 지원하는 대역폭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R에서는 캐리어 대역폭이 20Mhz로 고정된 LTE와 달리 서브캐리어 간격 별로 최대 캐리어 대역폭이 50Mhz에서 400Mhz로 설정된다. 따라서, 모든 단말이 이러한 캐리어 대역폭을 모두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NR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대역폭 내에서 대역폭 파트(BWP)를 지정하여 단말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역폭 파트는 하나의 뉴머롤러지와 연계되며 연속적인 공통 자원 블록의 서브 셋으로 구성되고,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활성화 될 수 있다. 단말에는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각각 최대 4개의 대역폭 파트가 구성되고, 주어진 시간에 활성화된 대역폭 파트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페어드 스펙트럼(paired spectrum)의 경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대역폭 파트가 독립적으로 설정되며, 언페어드 스펙트럼(unpaired spectrum)의 경우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동작 간에 불필요한 주파수 리튜닝(re-tunn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대역폭 파트가 중심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도록 쌍을 이루어 설정된다.
<NR 초기 접속>
NR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셀 검색 및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셀 검색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동기 신호 블록(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를 이용하여 단말이 해당 기지국의 셀에 동기를 맞추고, 물리계층 셀 ID를 획득하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는 절차이다.
도 5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동기 신호 블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SB는 각각 1개 심볼 및 127개 서브 캐리어를 점유하는 PSS(primary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3개의 OFDM 심볼 및 240 개의 서브캐리어에 걸쳐있는 PBCH로 구성된다.
단말은 시간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SSB를 모니터링하여 SSB를 수신한다.
SSB는 5ms 동안 최대 64번 전송될 수 있다. 다수의 SSB는 5ms 시간 내에서 서로 다른 전송 빔으로 전송되며, 단말은 전송에 사용되는 특정 하나의 빔을 기준으로 볼 때에는 20ms의 주기마다 SSB가 전송된다고 가정하고 검출을 수행한다. 5ms 시간 내에서 SSB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빔의 개수는 주파수 대역이 높을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Hz 이하에서는 최대 4개의 SSB 빔 전송이 가능하며, 3~6GHz까지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최대 8개,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최대 64개의 서로 다른 빔을 사용하여 SSB를 전송할 수 있다.
SSB는 하나의 슬롯에 두 개가 포함되며,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아래와 같이 슬롯 내에서의 시작 심볼과 반복 횟수가 결정된다.
한편, SSB는 종래 LTE의 SS와 달리 캐리어 대역폭의 센터 주파수에서 전송되지 않는다. 즉, SSB는 시스템 대역의 중심이 아닌 곳에서도 전송될 수 있고, 광대역 운영을 지원하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복수의 SSB가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단말은 SSB를 모니터링 하는 후보 주파수 위치인 동기 래스터(synchronization raster)를 이용하여 SSB를 모니터링 한다. 초기 접속을 위한 채널의 중심 주파수 위치 정보인 캐리어래스터(carrier raster)와 동기 래스터는 NR에서 새롭게 정의되었으며, 동기 래스터는 캐리어래스터에 비해서, 주파수 간격이 넓게 설정되어 있어서, 단말의 빠른 SSB 검색을 지원할 수 있다.
단말은 SSB의 PBCH를 통해서 MIB를 획득할 수 있다. MIB(Master Information Block)는 단말이 네트워크가 브로드캐스팅 하는 나머지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기 위한 최소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PBCH는 시간 도메인 상에서의 첫 번째 DM-RS 심볼의 위치에 대한 정보, SIB1을 단말이 모니터링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SIB1 뉴머롤러지 정보, SIB1 CORESET에 관련된 정보, 검색 공간 정보, PDCCH 관련 파라미터 정보 등), 공통 자원 블록과 SSB 사이의 오프셋 정보(캐리어 내에서의 절대 SSB의 위치는 SIB1을 통해서 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IB1 뉴머롤러지 정보는 단말이 셀 검색 절차를 완료한 이후에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사용되는 일부 메시지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메시지 1 내지 4 중 적어도 하나에 SIB1의 뉴머롤러지 정보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RMSI는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1)을 의미할 수 있으며, SIB1은 셀에서 주기적으로(ex, 160ms) 브로드캐스팅 된다. SIB1은 단말이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며, PDSCH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단말이 SIB1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PBCH를 통해서 SIB1 전송에 사용되는 뉴머롤러지 정보, SIB1의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CORESET(Control Resource Set)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단말은 CORESET 내에서 SI-RNTI를 이용하여 SIB1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고,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SIB1을 PDSCH 상에서 획득한다. SIB1을 제외한 나머지 SIB들은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단말의 요구에 따라 전송될 수도 있다.
도 6는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셀 검색이 완료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PRACH를 통해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특정 슬롯에서 연속된 무선 자원으로 구성되는 PRACH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단말이 셀에 초기 접속하는 경우에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되며, 빔 실패 복구(BFR, Beam Failure Recovery)를 위해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비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된다.
단말은 전송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식별자(ID), UL Grant (상향링크 무선자원), 임시 C-RNTI(Temporary Cell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그리고 TAC(Time Alignment Command) 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위한 랜덤 액세스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식별자는 포함된 UL Grant, 임시 C-RNTI 그리고 TAC가 어느 단말에게 유효한지를 알려주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식별자는 기지국이 수신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식별자일 수 있다. TAC는 단말이 상향 링크 동기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PDCCH상의 랜덤 액세스 식별자, 즉 RA-RNTI(Random Access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지시될 수 있다.
유효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단말은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처리하고, 기지국으로스케줄링된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TAC을 적용시키고, 임시 C-RNTI를 저장한다. 또한, UL Grant를 이용하여, 단말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단말은 경쟁 해소를 위한 하향링크 메시지를 수신한다.
<NR CORESET>
NR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1~3 심볼의 길이를 가지는 CORESET(Control Resource Set)에서 전송되며, 상/하향 스케줄링 정보와 SFI(Slot format Index), TPC(Transmit Power Control) 정보 등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NR에서는 시스템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CORESET 개념을 도입하였다. CORESET(Control Resource Set)은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의미한다. 단말은 CORESET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하나 이상의 검색 공간을 사용하여 제어 채널 후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CORESET 별 QCL(Quasi CoLocation) 가정을 설정하였으며, 이는 종래 QCL에 의해서 가정되는 특성인 지연 스프레드, 도플러 스프레드, 도플러 쉬프트, 평균 지연 외에 아날로그 빔 방향에 대한 특성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7은 CORESET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CORESET은 하나의 슬롯 내에서 캐리어 대역폭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시간 도메인 상에서 CORESET은 최대 3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CORESET은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캐리어 대역폭까지 6개의 자원 블록의 배수로 정의된다.
첫 번째 CORESET은 네트워크로부터 추가 구성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초기 대역폭 파트 구성의 일부로 MIB를 통해서 지시된다. 기지국과의 연결 설정 후에 단말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CORESET 정보를 수신하여 구성할 수 있다.
<LTE 사이드링크>
기존 LTE 시스템에서는 단말 간 직접 통신 및 V2X(특히 V2V)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단말 간 직접 통신(즉 사이드링크)을 위한 무선 채널 및 무선 프로토콜 설계가 이루어졌다.
사이드링크와 관련하여, 무선 사이드링크 송신단과 수신단 간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 신호인 PSSS/SSSS 및 이와 관련한 사이드링크 MIB(Master Information Block) 송수신을 위한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ing Channel)이 정의되었고, 또한 디스커버리 정보 송수신을 위한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 송수신을 위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sidelink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설계가 이루어졌다.
또한, 사이드링크를 위한 무선자원 할당을 위해서 기지국이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mode 1과 단말이 무선자원 풀(Pool)에서 선택하여 할당하는 mode 2로 구분되어 기술이 개발되었다. 또한, LTE 시스템에는 V2X 시나리오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술적 진화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3GPP는 Rel-14에서 차량 인식과 관련된 27가지 서비스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도로상황에 따른 주요 성능 요구사항을 결정하였다. 또한, 최근 Rel-15에서는 군집주행, 첨단운전, 원거리 차량센서 등 보다 진화된 25가지 서비스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6가지 성능 요구사항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 종래 D2D 통신 기반으로 개발된 사이드링크 기술을 V2X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개발이 진행되었다. 특히, C-V2X(Cellular-V2X)에 적용하기 위해서 사이드링크의 물리계층 디자인을 고속환경에 적합하도록 향상시키는 기술과 자원할당 기술 및 동기화 기술이 주요 연구 기술로 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이드링크는 3GPP Rel-12 이후에 개발된 D2D 통신, Rel-14 이후의 V2X 통신에 사용되는 링크를 의미하며, 각 채널 용어, 동기 용어, 자원 용어 등은 D2D 통신 요구사항, V2X Rel-14, 15 요구사항에 무관하게 동일한 용어로 설명한다. 다만,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Rel-12/13에서의 D2D 통신을 위한 사이드링크를 기준으로 V2X 시나리오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사이드링크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이드링크와 관련된 용어는 비교 차이와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D2D 통신/V2X 통신/C-V2X 통신을 나누어 설명하는 것일 뿐, 특정 시나리오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드링크 물리계층 디자인>
V2X 통신을 위해서는 채널 추정 성능과 주파수 오프셋 추정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파일럿 신호인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가 D2D 통신보다 많이 할당될 필요가 있다.
도 8은 종래 사이드링크를 위한 DMRS 구조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사이드링크를 위한 DMRS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Rel-12/13) DMRS는 PSCCH, PSSCH, PSBCH의 서브프레임 당 2개가 할당되어 있으며, DMRS 사이의 간격은 0.5ms이다. C-V2X 단말은 사이드링크 전송용으로 정의된 6GHz 중심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차량 단말의 경우 상대속도를 고려해 280km/h로 이동한다. 이때 상관 시간은 0.277ms가 되고, 이 값은 Rel-12/13의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보다 짧기 때문에 채널 추정 시간이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V2X 통신을 위한 사이드링크에서는 서브프레임 당 DMRS의 개수를 4개로 증가하고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을 0.214ms로 감소시켜 빠른 채널 변화에도 채널 추정이 용이하도록 물리계층 디자인을 변경했다.
한편, DMRS 심볼 패턴을 선택하는 방법 중 일 예는 전용 캐리어에서 PSCCH/PSSCH은 2/5/8/11번 OFDM 심볼에 DMRS를 할당하고, PSBCH는3/5/8/10번 OFDM 심볼에 DMRS를 할당한다. 2GHz 대역에서는 DMRS가 2개인 Rel-12/13 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채널 및 캐리어 주파수 대역에 따라 DMRS 전송 개수 및 패턴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D2D에서 사용하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은 다수의 차량이 밀집되어 동시에 접속하는 C-V2X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한다
<자원할당>
도 9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V2X 단말(차량으로 표기하나, 사용자 단말 등 다양하게 설정 가능함)은 기지국(eNB 또는 gNB 또는 ng-eNB)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기지국 커버리지 밖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커버리지 내의 단말 간(UE N-1, UE G-1, UE X)에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기지국 커버리지 내의 단말과 밖의 단말 간(ex, UE N-1, UE N-2)에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기지국 커버리지 밖의 단말 간(ex, UE G-1, UE G-2)에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해당 단말이 사이드링크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통신을 위한 무선자원의 할당이 요구되며, 무선자원의 할당은 크게 기지국 핸들링 할당과 단말 자체적으로 선택하여 할당하는 방식이 있다.
구체적으로, D2D에서 단말이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은 기지국이 자원의 선택과 관리에 개입하는 centralized 방식(Mode 1)과 단말이 사전 설정된 자원을 무작위로 선택하는 distributed 방식(Mode 2)이 있다. D2D와 유사하게 C-V2X에서도 기지국이 자원의 선택과 관리에 개입하는 방식(Mode 3)과 V2X에서 차량이 직접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Mode 4)이 있다. Mode 3에서 기지국은 송신 단말에게 SA(Scheduling Assignment) pool 자원 영역과 이에 할당되는 DATA pool 자원 영역을 스케줄링 해준다.
도 10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1(UE1), 단말 2(UE2) 및 이들이 사용하는 사이드링크 리소스 풀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eNB로 표기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gNB 또는 ng-eNB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휴대폰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차량, 인프라장치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a)에서 송신 단말(UE1)은 일련의 자원의 집합을 의미하는 자원 풀 내에서 특정한 자원에 해당하는 자원 유닛을 선택하고 해당 자원 유닛을 사용하여 사이드링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수신 단말(UE2)는 UE1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 풀을 구성(configured) 받고 해당 단말의 송신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풀은 UE1이 기지국의 연결 범위에 있는 경우 기지국이 알려줄 수 있으며, 기지국의 연결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 단말이 알려주거나 또는 사전에 정해진 자원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원 풀은 복수의 자원 유닛으로 구성되며 각 단말은 하나 또는 복수의 자원 유닛을 선정하여 자신의 사이드링크 신호 송신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전체 주파수 자원이 NF개로 분할되고 전체 시간 자원이 NT개로 분할되어 총 NF*NT개의 자원 유닛이 정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는 해당 자원 풀이 NT 서브프레임을 주기로 반복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자원 유닛이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나타날 수도 있다.
한편, 자원 풀은 여러 종류로 세분화될 수 있다. 먼저 각 자원 풀에서 전송되는 사이드링크 신호의 컨텐츠(contents)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신호의 컨텐츠는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에 대하여 별도의 자원 풀이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신호의 컨텐츠로서, SA(Scheduling assignment),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 디스커버리 채널(Discovery channel)이 있을 수 있다.
SA는 송신 단말이 후행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의 전송으로 사용하는 자원의 위치 및 그 외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위해서 필요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나 MIMO 전송 방식, TA(timing advance)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 신호는 동일 자원 유닛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와 함께 멀티플렉싱되어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SA 자원 풀이란 SA가 사이드링크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되어 전송되는 자원의 풀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V2X 통신에 적용되는 FDM방식은 SA 자원 할당 이후 데이터 자원이 할당되는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제어 채널 자원과 데이터 채널 자원을 시간 도메인 상에서 분리하는 non-adjacent 방식과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연속적으로 할당하는 adjacent 방식 등이 고려된다.
한편, 동일 자원 유닛 상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와 함께 SA가 멀티플렉싱되어 전송되는 경우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한 자원 풀에서는 SA 정보를 제외한 형태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만이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SA 자원 풀 내의 개별 자원 유닛 상에서 SA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었던 자원 요소들을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 자원 풀에서는 여전히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채널은 송신 단말이 자신의 ID 등의 정보를 전송하여 인접 단말로 하여금 자신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를 위한 자원 풀일 수 있다. 사이드링크 신호의 컨텐츠가 동일한 경우에도 사이드링크 신호의 송수신 속성에 따라서 상이한 자원 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이나 디스커버리 메시지라 하더라도 사이드링크 신호의 송신 타이밍 결정 방식(예를 들어 동기 기준 신호의 수신 시점에서 송신되는지 아니면 거기에서 일정한 TA를 적용하여 전송되는지)이나 자원 할당 방식(예를 들어 개별 신호의 전송 자원을 기지국이 개별 송신 단말에게 지정해주는지 아니면 개별 송신 단말이 pool 내에서 자체적으로 개별 신호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지), 신호 포맷(예를 들어 각 사이드링크 신호가 한 서브프레임에서 차지하는 심볼의 개수나, 한 사이드링크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세기, 사이드링크 단말의 송신 전력 세기 등에 따라서 다시 상이한 자원 풀로 구분될 수 있다.
<동기 신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링크 통신 단말의 경우에 기지국 커버리지 밖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에도 사이드링크를 이용한 통신은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지국 커버리지 밖에 위치하는 단말이 동기를 획득하는 문제가 중요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특히 차량간, 차량과 다른 단말, 차량과 인프라 네트워크와의 통신에서 시간 및 주파수 동기를 잡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D2D 통신은 단말간의 시간 동기를 위해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동기 신호인 SLSS(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하였다. C-V2X에서는 동기화 성능 개선을 위해 추가적으로 위성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동기 확립에 우선권이 부여되거나 기지국이 우선권에 대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자신의 송신 동기를 결정함에 있어서 기지국이 직접 송신하는 동기 신호를 최우선적으로 선택하고, 만일 기지국 커버리지 외곽에 위치한 경우에는 기지국 커버리지 내부의 단말이 송신하는 SLSS에 우선적으로 동기를 맞추는 것이다.
한편, 차량에 설치된 무선 단말이나, 차량에 장착된 단말은 배터리 소모에 대한 문제가 상대적으로 덜하고, navigation 목적을 위하여 GPS와 같은 위성신호를 이용할 수 있기에 위성 신호를 단말간 시간 또는 주파수 동기를 설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위성 신호에는 예시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외에 GLONA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ALILEO, BEIDOU 등과 같은 GNSS 신호가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사이드링크 동기신호에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SSS, 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세컨더리 동기 신호(SSSS, 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가 있을 수 있다. PSSS는 소정 길이의 자도프 추 시퀀스(Zadoff-chu 시퀀스) 또는 PSS와 유사/변형/반복된 구조 등일 수 있다. 또한 DL PSS와 달리 다른 자도프 추 루트 인덱스(예를 들어, 26, 37)를 사용할 수 있다. SSSS는 M-시퀀스 또는 SSS와 유사/변형/반복된 구조 등일 수 있다. 만약 단말들이 기지국으로부터 동기를 맞출 경우, SRN은 기지국이 되며, SLSS는 PSS/SSS가 된다.
DL의 PSS/SSS와 달리 PSSS/SSSS는 UL 서브캐리어 매핑 방식을 따른다. PSSCH(Physical Sidelink synchronization channel)는 사이드링크 신호 송수신 전에 단말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기본이 되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LSS에 관련된 정보, 듀플렉스 모드(Duplex Mode, DM), TDD UL/DL 구성, 리소스 풀 관련 정보, SLSS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subframe offset, 브로드캐스트 정보 등)가 전송되는 채널일 수 있다. PSSCH는 SLSS와 동일한 서브프레임 상에서 또는 후행하는 서브프레임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DM-RS는 PSSCH의 복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RN은 SLSS, PSSCH를 전송하는 노드일 수 있다. SLSS는 특정 시퀀스 형태일 수 있고, PSSCH는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 시퀀스거나 사전에 정해진 채널 코딩을 거친 후의 코드 워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SRN은 기지국 또는 특정 사이드링크 단말이 될 수 있다. 부분 네트워크 커버리지(partial network coverage) 또는 커버리지 밖(out of network coverage)의 경우에는 단말이 SRN이 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커버리지 밖(out of coverage) 단말과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SLSS는 릴레이 될 수 있으며, 다중 홉을 통해 릴레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기 신호를 릴레이 한다는 것은 직접 기지국의 동기신호를 릴레이 하는 것뿐만 아니라, 동기 신호 수신 시점에 맞추어 별도의 포맷의 사이드링크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사이드링크 동기 신호가 릴레이 됨으로써 커버리지 안 단말과 커버리지 밖 단말이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R 사이드링크>
전술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에 기반한 V2X와 달리 자율주행과 같이 복잡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 NR 기반의 V2X 기술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NR V2X의 경우에 NR의 프레임 구조, 뉴머롤러지, 채널 송수신 절차 등을 적용하여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유연한 V2X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기지국과 단말 간의 자원 공유 기술, 사이드링크 캐리어 병합(CA, Carrier Aggregation) 기술, 보행자 단말을 위한 부분 센싱 기술 및 sTTI 등의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NR V2X에서는 LTE V2X에서 사용하는 브로드캐스트 뿐만 아니라 유니캐스트 및 그룹캐스트를 지원하기로 하였다. 이때 그룹캐스트 및 유니캐스트에 대해서는 목표 그룹 ID를 사용하기로 하였으나 소스 ID의 사용 여부는 추후 논의하기로 하였다.
또한, QOS를 위해 HARQ를 지원하기로 함에 따라 제어 정보에는 HARQ 프레세스 ID(HARQ Process ID)도 포함하기로 하였다. LTE HARQ에서는 하향링크 전송 후 4개의 서브프레임들 후에 HARQ를 위한 PUCCH를 전송하였으나, NR HARQ에서는 피드백 타이밍을 예를 들어 DCI 포맷 1_0 또는 1_1에서 PUCCH 자원 지시자(PUCCH resource indicator)나 PDSCH에 대한 HARQ 피드백 타이밍 지시자(PDSCH-to-HARQ feedback timing indicator)로 PUCCH 자원 및 피드백 타이밍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1은 사이드링크에서 HARQ 피드백 정보를 번들링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LTE V2X에서는 시스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서 별도의 HARQ ACK/NACK 정보를 전송하지 않았으며, 데이터 전송 안전성을 위해서 송신 단말이 선택에 따라 데이터를 1회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NR V2X는 데이터 전송 안정성 측면에서 HARQ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정보를 번들링하여 전송함으로써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송신 단말(UE1)이 수신 단말(UE2)로 3개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 단말이 이에 대한 HARQ ACK/NACK 정보를 생성하면, 이는 PSCCH를 통해서 번들링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PSCCH를 통해서 HARA ACK/NACK이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채널 또는 다른 채널을 통해서 전송될 수도 있으며, 번들링된 HARQ 정보는 3비트 이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3GHz 이하 주파수 영역에 대한 FR1에서는 SCS(Subcarrier spacing)으로 15 kHz, 30 kHz, 60 kHz, 120 kHz를 후보군으로 논의하기로 하였다. 또한, 3GHz 초과 주파수 영역에 대한 FR2에 대해서는 SCS(Subcarrier spacing)으로 30 kHz, 60 kHz, 120 kHz, 240 kHz를 후보군으로 논의하기로 하였다. NR V2X는 최소 스케줄링 단위로 14개 심볼들보다 작은 미니 슬롯(예를 들어 2/4/7 심볼)이 지원될 수 있다.
RS의 후보군으로는 DM-RS, PT-RS, CSI-RS, SRS, AGC training 신호들을 논의하기로 하였다.
PSCCH와 연관된 PSSCH의 다중화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 4가지 옵션들을 논의하기로 하였다. Option 2가 LTE V2X에서 PSCCH와 PSSCH의 다중화와 유사하다.
동기화 기작
NR 사이드링크 동기화는 사이드링크 동기 신호(들) 및 PSBCH를 포함하고, 사이드링크 소스는 GNSS, gNB와 함께 UE를 포함할 수 있다.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NR 사이드링크 통신은 적어도 두 개의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 모드들, 즉 모드 3 및 모드 4가 정의될 수 있다. 모드 3에서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해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자원(들)을 스케줄링 한다. 모드 4에서 단말은 기지국 에 의해 구성된 사이드링크 자원들 또는 미리 구성된 사이드링크 자원들 내에서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들)을 결정한다.
모드 4는 다음과 같은 자원 할당 서브-모드들을 커버할 수 있다. 즉, UE가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을 자동적으로 선택하거나, 다른 UE(들)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 선택을 돕거나,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구성된 그랜트로 구성되거나, 다른 단말(들)의 사이드링크 전송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NR preemtion
URLLC 단말과 같이 지연에 크리티컬한 단말의 경우, 이미 다른 eMBB 단말 등에 할당된 데이터 자원이라도 선점(preemption)하여 데이터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group common DCI를 통해 데이터 자원의 어느 영역이 선점되었는지 정보를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Uu 인터페이스 기반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구성
NR Uu는 Uu와 NR 사이드링크 사이 공유된 licensed 캐리어 및/또는 전용 NR 사이드링크 캐리어를 위한 NR 사이드링크 자원들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자원 할당은 동적인 자원 할당과 활성화/비활성화 기반 자원 할당을 지원할 수 있다. 활성화/비활성화 기반 자원 할당은 SPS 할당 또는 NR grant free type-2를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럭,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또는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NR(New Radio)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 3GPP에서 진행된 NR은 LTE 대비 향상된 데이터 전송율 뿐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QoS 요구사항(requirements)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졌다. 특히 NR의 대표적 사용 시나리오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TC)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정의되었으며,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 별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LTE 대비 유연한(flexible) 프레임 구조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는 data rates, latency, reliability, coverage 등에 대한 요구조건이 서로 상이하다. 이에 따라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사용 시나리오 별 요구사항을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numerology(e.g. subcarrier spacing, subframe, TTI, etc.) 기반의 무선 자원 유닛(unit)을 효율적으로 멀티플렉싱하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값을 갖는 numerology에 대해 하나 혹은 복수의 NR component carrier(s)를 통해 TDM, FDM 혹은 TDM/FDM 기반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time domain에서의 스케줄링 단위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time unit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NR에서는 time domain structure의 한 종류로서 subframe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다. 해당 subframe duration을 정의하기 위한 reference numerology로서 LTE와 동일한 15kHz SCS(Sub-Carrier Spacing) 기반 normal CP overhead의 14개의 OFDM symbols로 구성된 단일한 subframe duration을 정의하기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NR에서 subframe은 1ms의 time duration을 가진다. 단, LTE와 달리 NR의 subframe은 절대적인 reference time duration으로서, 실제 상/하향 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의 기반의 되는 time unit으로서 slot 및 mini-slot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slot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 y값은 normal CP의 경우, SCS값에 관계 없이 y=14의 값을 갖도록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임의의 slot은 14개의 심볼로 구성된다. 또한, 해당 slot의 전송 방향(transmission direction)에 따라 모든 심볼이 D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혹은 모든 심볼이 U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혹은 DL portion + (gap) + UL portion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numerology(혹은 SCS)에서 전술한 slot보다 적은 수의 심볼로 구성된 mini-slot이 정의된다. mini-slot 기반의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짧은 길이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설정되거나, 혹은 slot aggregation을 통해 상/하향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긴 길이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URLLC와 같이 latency에 민감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15kHz와 같이 SCS값이 작은 numerology 기반의 프레임 구조에서 정의된 1ms(14 symbols) 기반의 slot 단위 스케줄링이 이루어질 경우, latency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14개의 심볼로 구성된 slot보다 적은 수의 OFDM 심볼로 구성된 mini-slot을 정의하여 이를 기반으로 URLLC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스케줄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LTE V2X 통신>
기존 LTE 시스템에서는 단말 간 직접 통신 및 V2X(특히 V2V)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단말 간 직접 통신(즉 사이드링크)을 위한 무선 채널 및 무선 프로토콜 설계가 이루어졌다.
사이드링크와 관련하여, 무선 사이드링크 송신단과 수신단 간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 신호인 PSSS/SSSS 및 이와 관련한 사이드링크 MIB(Master Information Block) 송수신을 위한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ing Channel)이 정의되었고, 또한 디스커버리 정보 송수신을 위한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 송수신을 위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sidelink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설계가 이루어졌다.
또한, 사이드링크를 위한 무선자원 할당을 위해서 기지국이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mode 1과 단말이 무선자원 풀(Pool)에서 선택하여 할당하는 mode 2로 구분되어 기술이 개발되었다. 또한, LTE 시스템에는 V2X 시나리오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술적 진화가 요구되었다.
차량에 이동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 or LTE-Advanced)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은 인터넷 및 다른 차량과 연결될 수 있다.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은 이하의 4가지 유형을 포함한다.
- V2V(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차량과 차량 간의 통신
-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차량과 인프라 간의 통신
- V2N(Vehicle to Network) Communication: 차량과 네트워크 간의 통신
- V2P(Vehicle to Pedestrian) Communication: 차량과 보행자 간의 통신
도 13은 LTE 시스템에서의 V2X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쳐를 예시적으로 개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V2X 서비스는 PC5 인터페이스 및/또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PC5 인터페이스를 통한 지원은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통해 제공되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V2X 통신 단말(UE A 내지 D) 간에는 PC5 인터페이스로 연계되며, V2X 통신 단말과 V2X 컨트롤 기능은 V3 인터페이스로 연계된다. 또한, V2X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각 V2X 통신 단말의 V2X 어플리케이션은 V1 인터페이스로 연계된다. V2X 통신 단말은 Uu 인터페이스로 기지국(E-UTRAN)과 연계되고, 기지국은 코어망(MME 및 S/P GW)과 S1 인터페이스로 연계된다. MME와 S/P GW는 HSS와 S6a 인터페이스로 연계되고, HSS는 V2X 컨트롤 기능과 V4 인터페이스로 연계된다. 코어망 개체는 V2X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SGi 인터페이스로 연계된다. 한편, 각 V2X 통신 단말의 V2X 어플리케이션은 상호 V5 인터페이스로 연계된다.
종래 LTE 시스템에서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의 자원할당은 아래와 같은 두 가지 모드를 지원했다.
- 스케줄되는 자원할당: 데이터 전송을 위해 RRC 연결을 필요로 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 전송자원 할당을 요청하고,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제어정보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전송자원을 할당한다. 단말은 스케줄링 요청과 이따르는 사이드링크 BSR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구성된 SL-RNTI를 사용하여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전송자원을 스케줄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 모드를 제1 모드로 표기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다른 명칭(D2D를 위한 사이드링크 Mode 1, V2X를 위한 사이드링크 Mode 3)으로 대체될 수 있다.
- 단말 자율적 자원할당: 단말이 미리 구성된 사이드링크 자원 풀로 내에서 스스로 자원을 선택하고, 사이드링크 제어정보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전송포맷을 선택한다. 자원풀이 선택되면 전체 사이드링크 제어 주기 동안 선택이 유효하다. 해당 주기가 끝나면 단말은 자원풀 선택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단말이 사이드링크 자원 풀내에서 일정 기준에 따라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하는 자원할당 모드를 제2 모드(D2D를 위한 사이드링크 Mode 2, V2X를 위한 사이드링크 Mode 4)로 표기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다른 명칭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 모드 및 제2 모드는 동일 시구간 내에서 중복하여 적용될 수 없었다. 즉, 종래 임의의 단말은 임의의 시간에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자원할당 모드에 따라서만 동작할 수 있었다.
Public Safety 등과 같은 D2D 통신에서는 두 가지 모드(모드1, 모드2)에서 모두 동일한 자원할당 구조를 공유한다. PSCCH period 내에서 데이터 전송이 스케줄된다. 이 주기 내에서 한 셋의(a set of) 서브프레임이 PSCCH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다른 한 셋의 서브프레임은 PSSCH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하나의 상응하는 PSSCH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SCCH는 항상 PSSCH 데이터 이전에 전송된다.
V2X 통신에서는 두 가지 모드(모드3, 모드4)에서는 PSCCH와 PSSCH를 할당하기 위해 D2D 통신의 두가지 모드와 전혀 다른 자원할당 구조를 사용한다. 먼저 두 물리채널(PSCCH와 PSSCH)을 서로 다른 주기로 분산해 전송할 수 있도록 PSCCH period가 없다. PSCCH와 PSSCH는 주파수 도메인 내에 분리된다. SCI format 1에서 두 개의 동일한(identical) SCIs와 상응하는 PSSCH 전송블락이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전송될 수 있다. 전송블락은 한 번 또는 두 번 전송될 수 있다. 두 번 전송될 경우에 수신기는 PSSCH 전송 블락의 리던던시 버전에 대한 컴바이닝을 제공한다.
단말이 기지국/셀 커버리지 밖(out of coverage)에 있을 때,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서,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를 위한 한 셋의 전송 및 수신 자원 풀이 단말에 사전구성 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링크 데이터 정보를 위한 한 셋의 전송 및 수신 자원 풀이 단말에 사전구성 될 수 있다. 일부 단말이 커버리지 내(in coverage)에 있고 일부 단말이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라도,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모든 단말은 서빙셀, 이웃 셀 그리고 out of coverage (i.e. pre-configured transmission resource pools)로부터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을 위해, 모든 사용되는 자원 풀의 합집합(union)으로 수신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자원 풀이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단말이 사이드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전력 소모가 증가한다.
NR V2X
3GPP는 NR 기반으로 vehicles platooning, extended sensors, advanced driving, remote driving 등과 같은 향상된 V2X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NR V2X 스타디 아이템을 승인했다. NR V2X는 LTE V2X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대체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며, 향상된 V2X 서비스에 대해 LTE V2X를 보완하고 LTE V2X와 연동을 지원할 것을 가정하고 있다. 또한, 해당 아이템에서는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와 사이드링크 그룹캐스트 및 사이드링크 브로드캐스트 전송 타입을 지원한다.
NR V2X에서 자원할당 방식은 기지국이 단말 간 통신자원에 대해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제1 모드와 단말이 자원 풀로부터 자율적으로 자원을 선택하는 제2 모드 방식이 지원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제2 모드는 다음과 같은 세부 형태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분될 수도 있다.
- 모드 2-a: 단말이 자동적으로 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을 선택(UE autonomously selects sidelink resource for transmission).
- 모드 2-b: 단말은 다른 단말(들)에 대한 사이드링크 자원 선택을 지원(UE assists sidelink resource selection for other UE(s)).
- 모드 2-c: 단말은 사이드링크 전송을 위한 NR 구성 그랜드로 구성(UE is configured with NR configured grant (type-1 like) for sidelink transmission).
- 모드 2-d: 단말은 다른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을 스케줄링(UE schedules sidelink transmissions of other UEs)
이와 같이, NR V2X도 기본적으로 종래 LTE V2X 자원할당 방식을 따를 것이 예상된다. 또한, 유사한 형태의 송수신 방식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수신 단말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모든 자원 풀에서 연속적으로 사이드링크 수신 자원 풀을 모니터링 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사이드링크 상에 DRX 기능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법이 제공되지 않았다. 이와 함께 기지국에서 스케줄링되는 모드에서 송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e.g. 사이드링크 그랜트)을 수신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사이드링크 그랜트를 전력 효율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개시는 사이드링크 통신 단말이 전력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특히 송신단말이 전력효율적으로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차량 통신, V2X 통신, D2D 통신을 사이드링크 통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단말 간에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동작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전술한 제1 모드와 제2 모드의 정의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서로 다른 임의의 자원할당 방식이라면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 해당되어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임의의 자원할당 방식은 둘 이상이 존재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는 두 개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셋 이상의 모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NR 기지국을 통해 NR 단말과 NR 단말 간 사이드링크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는 NR 기지국을 통해 NR 단말과 LTE 단말 간 사이드링크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는 NR 기지국을 통해 LTE 단말과 LTE 단말 간 사이드링크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는 LTE 기지국을 통해 LTE 단말과 LTE 단말 간 사이드링크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는 LTE 기지국을 통해 LTE 단말과 NR 단말 간 사이드링크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는 LTE 기지국을 통해 NR 단말과 NR 단말 간 사이드링크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는 5G 시스템(또는 5G Core Network)를 통해 연결된 eLTE 기지국에 연결하는 LTE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는 LTE와 NR 무선연결을 동시에 제공하는 EN-DC(E-UTRAN NR Dual Connectivity) 단말 또는 NE-DC(NR E-UTRAN Dual Connectivity)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니캐스트 방식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그룹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를 위한 DRX 파라미터와 그룹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를 위한 DRX 파라미터가 구분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 역시 본 실시예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본 개시는 사이드링크 기반의 V2X 통신뿐만 아니라 사이드링크 기반의 임의의 응용(e.g. Public safety, IoT, commercial D2D) 통신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전송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HARQ 정보 또는 HARQ 피드백 정보로 기재하여 설명하며, 용어에 제한은 없다.
먼저, 단말이 PDCCH를 비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이 PSCCH를 비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동작은 후술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HARQ 동작을 위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400).
예를 들어, 단말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여 HARQ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은 사이드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 또는 임의의 설정에 따라 기지국으로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무선자원을 동적으로 할당 받아서, 단말이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타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에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e.g. ACK/NACK, SL HARQ process ID를 포함하는 HARQ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는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타 단말로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무선자원을 기지국으로부터 재할당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 단말은 기지국의 설정 또는 지시에 따라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410).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타 단말로 전송한다. 이 경우, 사이드링크 데이터는 유니캐스트 방식, 멀티캐스트 방식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에 의해서 전송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데이터는 PSCCH 또는 PSSCH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으며,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의 제한은 없다.
단말은 전송한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타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 동작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타 단말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만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정상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HARQ 피드백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타 단말로부터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타 단말로부터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기지국으로 이를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은 타 단말로부터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기지국으로 이를 지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은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420).
예를 들어, 단말이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으로 지시한 경우에,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해야 한다. 따라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PDCCH의 수신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단말은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PDCCH가 수신되는지 모니터링한다.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DRX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HARQ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시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DRX 파라미터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끝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DRX 파라미터는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 및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타이머는 해당 타이머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타이머를 이용하여 단말은 비연속적으로 설정되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을 설정하고, PDCCH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후,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하고,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정지한다. 만약,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한다. 단말은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에만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즉,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가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PDCCH 모니터링이 시작되기 까지의 대기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된 후,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한 경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타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타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은 타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 경우,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개시할 수 있다.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의 개시 시점과 관련된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어떤 조건으로 설정되었는지에 따라 값이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PDCCH가 수신되면, PDCCH 상의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타 단말로 재전송한다.
이상의 동작을 통해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통신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기지국 PDCCH 모니터링을 비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최소한의 단말 전력 소모를 통해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기지국은 단말로 사이드링크 HARQ 동작을 위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500).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DRX 동작을 위한 것으로, 단말과 타 단말간의 사이드링크 통신에서의 DRX 동작을 위한 정보와는 구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이드링크 통신이 아닌 단말과 기지국 간의 Uu 인터페이스 통신을 위한 DRX 파라미터와도 구분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510).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타 단말로 전송하고, 설정에 따라 타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링크 데이터는 유니캐스트 방식, 멀티캐스트 방식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에 의해서 전송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데이터는 PSCCH 또는 PSSCH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으며,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의 제한은 없다.
다만,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 동작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타 단말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만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정상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HARQ 피드백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단말이 타 단말로부터 수신한 HARQ 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은 단말이 타 단말로부터 수신한 HARQ 피드백 정보가 NACK을 지시하는 경우에만, 단말로부터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단말이 타 단말로부터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단말의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HARQ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520).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HARQ 피드백 정보가 NACK을 지시하는 경우에 단말로 사이드링크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는 PDCCH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PDSCH 등 다양한 하향링크 채널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은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 파리미터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DRX 파라미터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시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DRX 파라미터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끝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DRX 파라미터는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 및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타이머는 해당 타이머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비연속적으로 설정되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을 설정하고, PDCCH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후,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하고,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정지한다. 만약,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한다. 단말은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에만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즉,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가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PDCCH 모니터링이 시작되기 까지의 대기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된 후,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한 경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타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타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은 타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 경우,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개시할 수 있다.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의 개시 시점과 관련된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어떤 조건으로 설정되었는지에 따라 값이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설정된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단말로 전송한다.
이상의 동작을 통해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통신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기지국 PDCCH 모니터링을 비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최소한의 단말 전력 소모를 통해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또는 각각을 조합하여/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송신단말의 SL HARQ 프로세스마다 DRX 파라미터를 정의하는 실시예
각각의 사이드링크 캐리어에 대해, MAC 엔티티에 복수의 병렬 사이드링크 프로세스를 유지하는 하나의 HARQ 엔티티가 설정된다. 전송된 그리고 구성된 하나의 사이드링크 그랜트와 이에 연계된 HARQ 정보는 하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에 연계된다. 사이드링크 HARQ 엔티티와 사이드링크 HARQ 프로세스는 모든 캐스트 유형(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PC5 인터페이스 상에서 HARQ 피드백 기반으로 재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SL(Sidelink) 송신단말(SL Tx UE)은 기지국으로 SL BSR(Buffer status report)를 전송한다. 기지국은 SL 송신단말로 PDCCH(DCI)를 통해 SL 그랜트를 전송한다. 해당 SL 그랜트는 SL 송신단말을 위한 SL HARQ 정보, SL 그랜트를 통해 지시한 SL HARQ 전송에 대한 피드백을 SL 송신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PUCCH 자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ARQ 정보는 NDI(New Data Indicator), TBS(Transport Block Size), RV(Redundancy Version) 및 HARQ 프로세스 ID 중 하나 이상의 정보로 구성된다.
SL 송신단말은 PSCCH를 통해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송한다. SCI는 SL 수신단말을 위한 SL HARQ 정보, SCI를 통해 지시한 SL HARQ 전송에 대한 피드백을 SL 수신단말이 SL 송신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PSCCH/PSFCH 자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L 송신단말은 상응하는 PSSCH를 통해 데이터(TB)를 SL 수신단말로 전송한다. SL 수신단말이 해당 TB에서 데이터 수신을 실패하면, SL 수신단말은 이에 대한 확인(NACK)정보(HARQ 피드백 정보)를 SL 송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L 송신단말은 N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이러한 동작(HARQ feedback)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송신단말에 구성했을 때, SL 송신단말은 N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재전송을 위한 SL 그랜트를 SL 송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L 송신단말은 PSCCH를 통해 SCI를 전송한다. SL 송신단말은 상응하는 PSSCH를 통해 데이터(TB)를 SL 수신단말로 전송한다. SL 수신단말은 그 TB에서 데이터 수신에 성공하면, SL 수신단말은 이에 대한 확인(ACK)정보를 SL 송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L 송신단말은 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유니캐스트와 그룹캐스트 통신의 경우, 송신단말에서 전송되는 각각의 TB는 캐스트유형, 소스ID, 목적지ID 및 HARQ 프로세스 ID에 연계된다. 송신단말의 MAC 개체는 사이드링크 물리계층으로부터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e.g. ACK, NACK)을 수신할 수 있다.
송신단말에 대해 HARQ 프로세스 별로 또는 사이드링크 무선베어러별로 또는 논리채널별로 또는 논리채널그룹별로 HARQ 피드백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 될 수 있다. HARQ 피드백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정보는 기지국이 RRC 전용정보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지시할 수 있다.
송신단말의 MAC 개체의 임의의 SL RNTI(예를 들어, SL-RNTI, SL-V-RNTI)에 의해서 식별되는 PDCCH 모니터링 동작 제어를 위해서 DRX 구성이 RRC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여기서 SL RNTI는 모드 1 스케줄링을 위해 단말에 구성되는 RNTI를 나타낸다. 두 개의 서로 다른 단말 특정한 SL RNTI가 단말에 구성될 수 있다. 하나는 동적인 그랜트를 위해 DCI에 CRC 스크램블링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configured grant type-2를 위해 DCI에 CRC 스크램블링을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MAC 개체는 RRC 연결상태에 있을 때, DRX가 구성되었다면, 모든 활성화된 서빙 셀에 대해 DRX 동작을 사용하여 PDCCH를 비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렇지않다면, MAC 개체는 TS38.213에 명시된대로 PDCCH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이러한 DRX 동작을 위해서, 기지국에 의해서 새로운 파라미터가 정의되어 지시될 수 있다.
일 예로, SL HARQ 프로세스마다, 사이드링크 송신단말의 MAC 개체에 의한 HARQ 재전송을 위해서 설정되는 SL 그랜트의 수신이 기대되기 전까지의 최소 듀레이션을 지시하기 위한 DRX 파라미터(the minimum duration before a SL HARQ retransmission grant is expected by the MAC entity)가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사이드링크 송신단말의 MAC 개체에 의한 HARQ 재전송을 위해서 설정되는 SL 그랜트의 수신이 기대되기 전까지의 임의의 듀레이션을 지시하기 위한 DRX 파라미터(the maximum/expected duration before a SL HARQ retransmission grant is expected by the MAC entity)가 정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를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SL) 타이머 또는 drx-HARQ-RTT-TimerSL로 표기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유사한 임의의 다른 이름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SL HARQ 프로세스마다, 사이드링크 송신단말의 MAC엔티티가 SL 재전송을 위한 하나의 SL 그랜트를 수신할 때까지의 최대 듀레이션을 지시하기 위한 DRX 파라미터(the maximum duration until a grant for SL retransmission is received)가 정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를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SL) 타이머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SL로 표기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유사한 임의의 다른 이름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단말에 DRX(DRX 사이클) 동작이 구성된다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SL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은 액티브 타임에 포함될 수 있다. 액티브 타임은 아래의 타임을 포함할 수 있다.
- drx-onDurationTimer or drx-InactivityTimer or drx-RetransmissionTimerDL or drx-RetransmissionTimerUL or ra-ContentionResolutionTimer is running; or
- a Scheduling Request is sent on PUCCH and is pending; or
-a PDCCH indicating a new transmission addressed to the C-RNTI of the MAC entity has not been received after successful reception of a Random Access Response for the Random Access Preamble not selected by the MAC entity among the contention-based Random Access Preamble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DRX 동작이 구성될 때, MAC 개체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1> 만약 하나의 MAC PDU가 하나의 configured sidelink grant에서 전송된다면:
2>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에 대한 drx-HARQ-RTT-TimerSL를 시작한다. 예를 들어, drx-HARQ-RTT-TimerSL 시작 시점은 해당하는 PSSCH(또는 PSCCH) 전송의 첫번째 반복의 끝 이후 첫번째 심볼이 될 수 있다. 또는 drx-HARQ-RTT-TimerSL 시작 시점은 해당하는 PSSCH(또는 PSCCH) 전송의 끝 이후 첫번째 심볼이 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시점이 될 수 있다.
2>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에 대한 drx-RetransmissionTimerSL를 정지(stop)한다.
1> 만약 drx-HARQ-RTT-TimerSL이 만료된다면:
2>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에 대한 drx-RetransmissionTimerSL를 시작한다. 예를 들어, drx-RetransmissionTimerSL 시작 시점은 drx-HARQ-RTT-TimerSL의 만료 후 첫 번째 심볼이 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시점이 될 수 있다.
1> 만약 MAC 엔티티가 액티브 타임에 있다면:
2> TS 38.213에 명시된대로 PDCCH를 모니터링한다.
2> 만약 PDCCH가 하나의 SL 전송을 지시한다면:
3>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에 대한 drx-HARQ-RTT-TimerSL를 시작한다. 예를 들어, drx-HARQ-RTT-TimerSL 시작 시점은 해당하는 PSSCH(또는 PSCCH) 전송의 첫번째 반복의 끝 이후 첫번째 심볼이 될 수 있다. 또는 drx-HARQ-RTT-TimerSL 시작 시점은 해당하는 PSSCH(또는 PSCCH) 전송의 끝 이후 첫번째 심볼이 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시점이 될 수 있다.
3>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에 대한 drx-RetransmissionTimerSL를 정지(stop)한다.
전술한 drx-HARQ-RTT-TimerSL는 도 16과 같이 하나의 사이드링크 전송 이후에 재전송까지 UL 또는 DL 인터페이스 상의 RTT(Round Trip Time)과 같거나 더 긴 값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drx-HARQ-RTT-TimerSL는 도 16의 스텝 2 수신 후 시작하여, 스텝 6 수신이 기대되기 전까지 동작되도록 타이머(타이머 값)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의 동작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시예
한편,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은 액티브 타임에 포함될 수 있다. 액티브 타임은 TS 38.213에 명시된대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액티브 타임에서 단말은 연속적인 슬롯을 통해서 PDCCH를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가능한 액티브 타임을 감소시켜야 단말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시작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해당하는 S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송신단말(MAC엔티티 또는 HARQ 엔티티 또는 HARQ 프로세스)이 SL 물리계층으로부터 NACK을 지시하는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을 수신했을 때, 시작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이 ACK을 지시하거나,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을 수신하지 못했을 때는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이 ACK을 지시하는 경우, 만약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이라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정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해당하는 SL HARQ 프로세스의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했을 때 시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면, 만약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이라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정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해당하는 S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송신단말(MAC엔티티 또는 HARQ 엔티티 또는 HARQ 프로세스)은 SL 물리계층으로부터 NACK을 지시하는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송신단말(MAC엔티티 또는 물리계층)은 도 16의 5번 스텝과 같이 기지국으로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을 NACK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의 5번 스텝은 임의의 물리채널(e.g. PUCCH, PUSCH)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송신단말이 해당하는 SL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송신단말이 기지국으로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을 NACK으로 지시할 때 시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송신단말이 기지국으로 NACK을 지시하는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을 전송하지 않거나, 전송하기 전까지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송신단말이 기지국으로 ACK를 지시하는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을 전송하는 경우, 만약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이라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정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에 DRX 동작이 구성될 때, MAC엔티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1> 만약 drx-HARQ-RTT-TimerSL 만료된다면:
2> 만약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의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했다면:
3>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에 대한 drx-RetransmissionTimerSL를 시작한다. 예를 들어, drx-RetransmissionTimerSL 시작 시점은 drx-HARQ-RTT-TimerSL의 만료 후 첫번째 심볼이 될 수 있다.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SL 시작 시점은 임의의 시점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에 DRX 동작이 구성될 때, MAC엔티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1> 만약 drx-HARQ-RTT-TimerSL만료된다면:
2> 만약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의 데이터 전송에 실패했다는 HARQ 피드백을 수신했다면:
3>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에 대한 drx-RetransmissionTimerSL를 시작한다. 예를 들어, drx-RetransmissionTimerSL 시작 시점은 drx-HARQ-RTT-TimerSL의 만료 후 첫번째 심볼이 될 수 있다.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SL 시작 시점은 임의의 시점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에 DRX가 구성될 때, MAC엔티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1> 만약 drx-HARQ-RTT-TimerSL만료된다면:
2> 만약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의 데이터 전송에 실패했다는 HARQ 피드백을 기지국으로 전송했다면(또는 재전송을 요청했다면, 또는 기지국으로 HARQ 피드백을 전송하고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 일정한 오프셋/듀레이션 후에):
3>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에 대한 drx-RetransmissionTimerSL를 시작한다. drx-RetransmissionTimerSL 시작 시점은 drx-HARQ-RTT-TimerSL의 만료 후 첫번째 심볼이 될 수 있다.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SL 시작 시점은 임의의 시점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동작을 통해서, drx-RetransmissionTimerSL 타이머의 동작 시간을 최소화하여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일정한 오프셋/듀레이션은 기지국에 의해 RRC 시그널링 또는 DCI를 통해 단말로 지시될 수 있다.
한편,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은 기지국과의 통신 뿐만 아니라 타 단말과의 통신에서도 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 및 기지국의 또 다른 실시예로 단말 및 기지국이 DRX 동작을 수행하는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의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는 임의의 조합으로 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말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700).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PSCCH 수신에 DRX 동작을 적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은 RRC 연결, RRC Idle 및 RRC inactive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단말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는 사이드링크 특정한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종래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SIB에 포함될 수도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사이드링크 무선 베어러(SLRB)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는 기지국 또는 PSCCH를 전송하는 송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RRC 메시지를 통해서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를 각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이드링크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로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를 단말에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710).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 파라미터를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DRX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사이드링크 자원 풀, 단말, MAC 개체, 단말 그룹 및 세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캐리어 별로 또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 별로 또는 단말 별로 또는 MAC 개체 별로 또는 단말 그룹 별로 또는 세션 별로 DRX 파라미터가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DRX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HARQ RTT 타이머,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재전송 타이머,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온듀레이션 타이머 및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인액티비티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RX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각 정보는 단말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구성하는 DRX 파라미터와는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비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720).
예를 들어, 단말은 DRX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PSCCH를 비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해당 단말을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또한, 송신 단말도 DRX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이 모니터링하는 시구간에서 PSCCH를 전송한다.
또는, 단말은 사이드링크 HARQ 활성화 여부에 기초하여 PSCCH 비연속 모니터링 동작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가 활성화되는 경우 또는 비활성화 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DRX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PSCCH를 모니터링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HARQ 활성화 여부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또는 임의의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동작을 통해서 사이드링크 통신 단말도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피어링되는 기지국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은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800).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PSCCH 수신에 DRX 동작을 적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는 DRX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DRX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캐리어, 사이드링크 자원 풀, 단말, MAC 개체, 단말 그룹 및 세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캐리어 별로 또는 사이드링크 자원 풀 별로 또는 단말 별로 또는 MAC 개체 별로 또는 단말 그룹 별로 또는 세션 별로 DRX 파라미터가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DRX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HARQ RTT 타이머,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재전송 타이머,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온듀레이션 타이머 및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인액티비티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RX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각 정보는 단말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구성하는 DRX 파라미터와는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은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810).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은 RRC 연결, RRC Idle 및 RRC inactive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단말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는 사이드링크 특정한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또는 종래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SIB에 포함될 수도 있다. 시스템 정보에는 사이드링크 무선 베어러(SLRB)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는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RRC 메시지를 통해서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를 각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이드링크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로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은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를 비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 파라미터를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단말은 DRX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PSCCH를 비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해당 단말을 위한 사이드링크 통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또한, 송신 단말도 DRX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이 모니터링하는 시구간에서 PSCCH를 전송한다.
또는, 단말은 사이드링크 HARQ 활성화 여부에 기초하여 PSCCH 비연속 모니터링 동작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가 활성화되는 경우 또는 비활성화 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DRX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PSCCH를 모니터링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HARQ 활성화 여부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또는 임의의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기지국 및 단말의 각 동작에 대해서 보다 세부적인 실시예를 다양하게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예는 임의의 조합으로 기지국 또는 단말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의 각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서 임의의 단계가 전술한 기지국 또는 단말 동작에 추가 또는 수정 또는 삭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또는 각각을 조합하여/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캐리어별/자원풀별/단말별/MAC엔티티별/그룹별/세션별 사이드링크 상의 비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을 위한 파라미터 구성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사이드링크 기술에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제어정보(SCI: Sidelink Control Information)가 전송될 수 있는 모든 자원풀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했다. 이를 위한 전력소모를 절감하기 위해 사이드링크 단말이 비연속 수신을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특정 셀/캐리어/주파수, 특정 자원 풀, 특정 단말, 특정 MAC 엔티티(e.g. MCG MAC, SCG MAC) 및 특정 그룹/그룹캐스트세션(e.g. L1 source ID, L1 destination ID, L2 source ID, L2 destination ID, 이들의 임의의 조합(e.g. L1 source ID와 L1 destination ID)) 및 특정 브로드캐스트세션(e.g. L1 source ID, L1 destination ID, L2 source ID, L2 destination ID,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e.g. L1 source ID와 L1 destination ID))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비연속 수신을 위한 파라미터가 단말(또는 수신단말)에 구성(또는 사전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 단말은 구성된 비연속 수신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셀/캐리어/주파수, 해당 자원 풀, 해당 단말, 해당 MAC 엔티티, 해당 그룹/그룹캐스트세션 및 해당 브로드캐스트세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비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신 단말은 구성된 비연속 수신 파라미터에 따라 임의의 셀/캐리어/주파수, 임의의 자원 풀, 임의의 단말, 임의의 MAC 엔티티, 임의의 그룹/그룹캐스트세션 및 임의의 브로드캐스트세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비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임의의 셀/캐리어/주파수, 임의의 자원 풀, 임의의 단말, 임의의 MAC 엔티티, 임의의 그룹/그룹캐스트세션 및 임의의 브로드캐스트세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비연속 수신을 위한 파라미터가 단말(또는 수신단말)에 구성(또는 사전구성)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구성된 비연속 수신 파라미터에 따라 비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파라미터에는 다음의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RRC IDLE/RRC inactive 단말을 위해 사이드링크 특정한 SIB을 통해 비연속 수신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실시예
일 예를 들어 RRC IDLE/RRC inactive 단말을 위해 또는 RRC Connected 단말의 특정 디폴트 동작을 지시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비연속 수신 파라미터(DRX 파라미터)를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비연속 수신 구성정보(DRX 구성정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SL-DRX-Config로 표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특정한 시스템정보(또는 셀 특정한 SIB 또는 임의의 SIB)를 통해, 단말의 PSCCH 모니터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IDLE/RRC inactive 단말이 사이드링크 통신 수신 자원 풀을 통해 PSCCH를 모니터링 할 때(또는 RRC IDLE/RRC inactive 단말이 PSCCH 풀을 모니터링 할 때, 또는 RRC IDLE/RRC inactive 단말이 PSCCH 자원을 모니터링 할 때), SIB 구성에 기반하여 비연속 수신 파라미터가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은 SLRB(Sidelink Radio Bearer)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특정한 SIB(또는 셀 특정한 SIB 또는 임의의 SIB)를 통해 PC5 QoS 프로파일을 SLRB에 매핑하도록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RRC IDLE/RRC inactive 단말이 새로운 PC5 QoS 플로우의 전송을 개시할 때, SIB 구성에 기반하여 PC5 QoS 프로파일에 연계된 SLRB를 설정할 수 있다.
송신단말(TX UE)이 수신단말(RX UE)에 RRC 시그널링을 통해 비연속 수신 파라미터를 지시하는 실시예
일 예를 들어 특정 단말이 사이드링크를 통해서 다른 단말을 디스커버하고, TS23.303의 상위 계층 프로트콜(e.g. PC5 Signalling Protocol)을 통해 단말 간 직접 링크가 셋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송신단말은 사이드링크를 통해 전송할 패킷이 발생하면, 송신단말의 상위 계층은 전송할 패킷을 PC5 QoS 룰에 따라 PC5 QoS flow에 매핑한다. 그리고 송신단말은 전송할 패킷을 연계된 QoS flow 식별자(e.g. PC5 QFI)와 함께 AS(Access stratum)로 전달한다. 송신단말은 기지국으로 SLRB 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상향링크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SLRB 요청은 PC5 QoS flow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 예로 사이드링크 전송에 관심이 있는 단말이 사이드링크 자원 요청을 위해서 전송하는 사이드링크 단말 정보 메시지를 통해서, 송신단말은 기지국으로 SLRB 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신단말은 임의의 상향링크 RRC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 SLRB 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기지국은 SLRB 구성을 송신단말로 지시한다. 해당 SLRB 구성정보는 QoS flow에 대한 SLRB 매핑, PDCP/RLC/LCH 구성 및 해당 SLRB 데이터가 송수신될 사이드링크 셀/캐리어 구성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송신단말은 SLRB를 구성할 수 있다. 송신단말은 SLRB 구성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단말은 SLRB를 구성할 수 있다. 수신단말은 송신단말에게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단말은 사이드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신단말은 기지국으로 SLRB 구성을 요청할 수 있다. 기지국은 SLRB 구성을 송신단말로 지시한다. 기지국은 해당 송신단말에 피어링되는(사이드링크를 통한 직접 링크를 가진) 수신단말로 직접 SLRB 구성을 지시한다. 해당 SLRB 구성정보는 QoS flow에 대한 SLRB 매핑, PDCP/RLC/LCH 구성 및 해당SLRB 데이터가 송수신될 사이드링크 셀/캐리어 구성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단말은 SLRB를 구성할 수 있다. 수신단말은 SLRB를 구성할 수 있다. 송신단말은 기지국으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단말은 기지국으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단말은 사이드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RRC IDLE/RRC inactive 상태의 송신단말은 SLRB 구성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단말은 SLRB를 구성할 수 있다. 수신단말은 송신단말에게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단말은 사이드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RRC IDLE/RRC inactive 상태의 SLRB 구성을 위한 정보가 시스템정보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기지국은 SLRB(Sidelink Radio Bearer)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지국은 사이드링크 특정한 SIB(또는 셀 특정한 SIB 또는 임의의 SIB)을 통해 PC5 QoS 프로파일을 SLRB에 매핑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RRC IDLE/RRC inactive 단말이 새로운 PC5 QoS 플로우의 전송을 개시할 때, SIB 구성에 기반하여 PC5 QoS 프로파일에 연계된 SLRB를 설정할 수 있다.
송신단말이 기지국으로 SLRB 구성을 요청할 때, 또는 사이드링크 전송에 관심이 있는 단말이 사이드링크 자원을 요청하기 위한 사이드링크 단말 정보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때, 또는 기지국이 SLRB 구성을 송신단말로 지시할 때, 또는 송신단말이 SLRB 구성을 수신단말로 전송할 때, 또는 기지국이 수신단말로 SLRB 구성을 지시할 때, 해당하는 RRC 메시지는 비연속 수신을 위한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하는 RRC 메시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PSCCH 자원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하는 RRC 메시지는 단말이 선호/요청/기대하는 비연속 파라미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하는 RRC 메시지는 비연속 수신을 위한 단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비연속 수신을 위한 단말 식별자(e.g. L1 destination ID, L1 source ID, etc.)를 지시하는 실시예
비연속 수신 기능은 MAC 엔티티에 사전 구성되거나 전술한 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RRC 시그널링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PSCCH 자원 구성을 가지고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PSCCH 자원 구성이 사전 구성(preconfiguration)될 수 있다. PSCCH 자원 구성은 PSCCH 수신을 위한 것이거나, PSCCH 전송을 위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PSCCH 자원 구성은 사이드링크 전송모드 별로 연계될 수 있다. 단말은 각각의 사이드링크 전송모드에 연계된 각각의 PSCCH 자원 구성에 대해, 상위 계층에 의해 PSCCH 상에서 상응하는 SCI format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PSCCH 자원 구성, L1 source ID 및 L1 destination ID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PSCCH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비연속 수신 기능을 통해 MAC 엔티티에서 임의의 사이드링크 RNTI(e.g. SL-RNTI, SL-V-RNTI, SL-SPS-RNTI, 기지국 또는 송신단말 또는 스케줄링 단말에 의해 유니캐스트 기반의 사이드링크 RNTI가 할당된 경우 그 RNTI) 또는 L1 destination ID 또는 L1 source ID 또는 L1 source ID와 L1 destination ID 또는 L1 그룹캐스트 ID 또는 L1 브로드캐스트 ID에 대한 PSCCH 모니터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해당하는 임의의 사이드링크 RNTI, L1 destination ID, L1 source ID, L1 source ID와 L1 destination ID, L1 그룹캐스트 ID, L1 브로드캐스트 ID가 사전 구성되거나 RRC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로 지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하는 단말은 단말 식별자에 연계된 PSCCH에 대해 비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트리거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을 위한 파라미터 실시예
단말이 RRC 연결상태에 있을 때, 모든 사이드링크 캐리어에 대해(또는 모든 활성화된 사이드링크 캐리어에 대해, 또는 모든 구성된 사이드링크 캐리어에 대해), 단말의 MAC 엔티티는 PSCCH를 비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RRC IDLE/RRC inactive 상태에 있더라도 비연속적 수신 기능이 단말에 사전구성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해당 시스템정보 또는 특정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단말 내부의 임의의 상태변경 등 임의의 트리거 조건이 발생될 때, 단말에 DRX가 (사전) 구성되었다면, 모든 사이드링크 캐리어에 대해(또는 모든 활성화된 사이드링크 캐리어에 대해, 또는 모든 구성된 사이드링크 캐리어에 대해), 단말의 MAC 엔티티는 PSCCH를 비연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단말은 PSCCH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비연속 수신 파라미터는 다음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o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설명의 편의를 위해 drx-HARQ-RTT-TimerSL로 표기): MAC 엔티티에 의해 HARQ 재전송을 위한 SCI(또는 SL 그랜트)가 기대되기 전까지의 최소 듀레이션 정보. 해당 타이머는 SL HARQ 프로세스 마다 동작될 수 있다. 이는 수신단말 관점의 파라미터 일 수 있다.
o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재전송 타이머(설명의 편의를 위해 drx-RetransmissionTimerSL 로 표기): 사이드링크 재전송이 수신 될 때까지의 최대 듀레이션 정보, 해당 타이머는 SL HARQ 프로세스 마다 동작될 수 있다. 이는 수신단말 관점의 파라미터 일 수 있다.
o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온듀레이션 타이머: 사이드링크에서 DRX 사이클의 시작에서 듀레이션 정보
o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인액티비티 타이머: MAC 엔티티에 대해 PSCCH가 새로운 사이드링크 전송을 지시한 PSCCH 오케이젼(또는 PSCCH 주기 또는 PSCCH 수신시점) 이후 듀레이션 정보
만약 단말이 사이드링크를 통한 송신과 수신을 모두 고려하여 비연속 수신을 수신하는 경우 DRX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o 사이드링크 수신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설명의 편의를 위해 drx-HARQ-RTT-TimerRX-SL로 표기): MAC 엔티티에 의해 HARQ 재전송을 위한 수신 SCI(또는 SL 그랜트)가 기대되기 전까지 최소 듀레이션 정보. 해당 타이머는 SL 수신 HARQ 프로세스 마다 동작될 수 있다.
o 사이드링크 송신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설명의 편의를 위해 drx-HARQ-RTT-TimerTX-SL로 표기): MAC 엔티티에 의해 송신 HARQ 재전송을 위한 그랜트[또는 SCI(예를 들어 만약 단말로부터 스케줄링을 할당받는 경우) 또는 DCI(예를 들어 만약 기지국으로 스케줄링을 할당받는 경우)]가 기대되기 전까지 최소 듀레이션 정보. 해당 타이머는 SL 송신 HARQ 프로세스 마다 동작될 수 있다.
o 사이드링크 수신 비연속수신 재전송 타이머(설명의 편의를 위해 drx-RetransmissionTimerRX-SL 로 표기): 사이드링크 재전송이 수신 될 때까지의 최대 듀레이션 정보. 해당 타이머는 SL 수신 HARQ 프로세스 마다 동작될 수 있다.
o 사이드링크 송신 비연속수신 재전송 타이머(설명의 편의를 위해 drx-RetransmissionTimerTX-SL 로 표기): 사이드링크 재전송을 위한 그랜트[또는 SCI(예를 들어 만약 단말로부터 스케줄링을 할당받는 경우) 또는 DCI(예를 들어 만약 기지국으로 스케줄링을 할당받는 경우)]가 수신될 때까지의 최대 듀레이션 정보. 해당 타이머는 SL 송신 HARQ 프로세스 마다 동작될 수 있다.
SIB을 통해 DRX 파라미터 셋을 지시하는 실시예
다양한 요구사항에 따라 복수의 서로 다른 파라미터 값을 가지는 비연속 수신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별/자원풀별/단말별/MAC엔티티별/그룹별/세션별 서로 다른 파라미터 값을 가지는 복수의 비연속 수신 구성 셋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 사전구성 셋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작은 온듀레이션 타이머 값과 인액티비티 타이머 값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두번째 사전구성 셋은 중간 온듀레이션 타이머 값과 인액티비티 타이머 값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세번째 사전구성 셋은 큰 온듀레이션 타이머 값과 인액티비티 타이머 값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해당 구성 셋은 인덱스/ID를 가지고 구분될 수 있다. 단말은 서로 다른 파라미터 값을 가지는 복수의 비연속 수신 구성 셋들이 모두 사전 구성할 수 있다.
단말이 복수의 비연속 수신 구성 셋을 사전 구성하는 경우, 기지국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특정 파라미터 값을 가지는 비연속 수신 구성 셋을 사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구성 셋을 구분하는 인덱스/ID를 통해 해당 구성 셋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이 선호/요청/기대하는 인덱스/ID정보를 Uu인터페이스 상의 단말 도움정보(또는 임의의 상향링크 RRC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e.g. 수신단말)은 단말이 선호/요청/기대하는 인덱스/ID정보를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 상의 단말 도움정보(또는 임의의 사이드링크 RRC 메시지)를 통해 다른 단말(e.g. 송신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사이드링크 DRX HARQ RTT 타이머는 Uu인터페이스 상의 DRX HARQ RTT 타이머 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의 실시예
일 예를 들어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되는 사이드링크 전송모드(ex, 모드 1)를 사용하는 경우, HARQ 재전송을 위해 송신단말이 수신단말로부터 HARQ 피드백(NACK)을 수신하면, 송신단말은 재전송이 필요함을 기지국에 지시한다. 예를 들어 송신단말은 사이드링크 HARQ ACK/NACK report via PUCCH or PUSCH, PUCCH, 임의의 L1 시그널링, BSR 및 임의의 MAC C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재전송이 필요함을 지시할 수 있다. 이후, 송신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그랜트를 수신하여, 수신단말로 HARQ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이 송신단말로 전송하는 사이드링크 그랜트는 사이드링크 HARQ 프로세스 ID, NDI, redundancy version, 주파수 도메인 자원정보 및 시간 도메인 자원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단말이 사이드링크 전송/재전송을 수행할 때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사이드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PSCCH 상의 SCI에 포함해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링크 재전송을 위해서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Uu 인터페이스 상의 RTT(Round Trip Time)에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의 PC5 인터페이스 상의 RTT(Round Trip Time)가 더해져 총 RTT가 산출될 수 있다. 비연속 수신에서 HARQ-RTT 타이머가 동작하는 듀레이션 동안에는 데이터 수신이 기대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링크 DRX HARQ RTT 타이머를 Uu인터페이스 상의 DRX HARQ RTT 타이머 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e.g. drx-HARQ-RTT-TimerRX-SL, drx-HARQ-RTT-TimerTX-SL, drx-HARQ-RTT-TimerSL)를 Uu인터페이스 비연속수신 HARQ RTT(e.g. drx-HARQ-RTT-TimerDL, drx-HARQ-RTT-TimerUL)보다 큰 값(e.g. 예를 들어 Uu인터페이스 설정 값의 두 배)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DRX 구성(DRX-Config) 정보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종래 NR 기술에서 drx-HARQ-RTT-Timer는 0과 56 심볼 사이에 값을 선택해 구성될 수 있었다. 56심볼은 15kHz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의 경우에 4ms에 해당한다. 만약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에 대해서도 동일한 범위를 가지도록 한다면, 불필요하게 단말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는 종래의 최대값인 56심볼 보다 더 큰 값(예를 들어 두 배인 112심볼 또는 56심볼보다 큰 임의의 자연수 또는 56심볼보다 크고 112심볼 보다 작은 임의의 자연수)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9의 각 파라미터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 drx-HARQ-RTT-TimerDL: Value in number of symbols of the BWP where the transport block was received.
- drx-HARQ-RTT-TimerUL: Value in number of symbols of the BWP where the transport block was received.
- drx-RetransmissionTimerDL: Value in number of slot lengths of the BWP where the transport block was transmitted. sl0 corresponds to 0 slots, sl1 corresponds to 1 slot, sl2 corresponds to 2 slots, and so on.
- drx-RetransmissionTimerUL
Value in number of slot lengths of the BWP where the transport block was transmitted. sl0 corresponds to 0 slots, sl1 corresponds to 1 slot, sl2 corresponds to 2 slots, and so on.
HARQ 피드백 여부를 고려한 비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 수행하는 실시예
단말 간 유니캐스트 방식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공할 때, 단말간 거리, 응용 유형, QoS 요구사항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전송을 수행하도록 L1/L2 프로시져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를 들어 SL HARQ 엔티티에 속한 전체 HARQ 프로세스에 대해서 또는 HARQ 프로세스 별로 HARQ 피드백을 비활성화(디스에이블)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HARQ 프로세스 별로 HARQ 수신 단말에서 송신 단말로 HARQ 피드백을 디스에이블 시킬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를 HARQ 피드백 디스에이블로 표기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HARQ disable, HARQ deactivation, no SL HARQ feedback, 사이드링크 수신 단말에서 HARQ 피드백 disable 등 HARQ를 동작시키지 않는 형태를 의미하는 임의의 명칭으로 대체될 수 있다.
만약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에서) HARQ 피드백이 활성화(enable) 된 경우라면, 수신단말이 송신단말로부터 SCI를 수신할 때(예를 들어, PSCCH가 사이드링크 전송을 지시하면),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e.g. drx-HARQ-RTT-TimerRX-SL, drx-HARQ-RTT-TimerTX-SL, drx-HARQ-RTT-TimerSL)를 시작한다.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e.g. drx-HARQ-RTT-TimerRX-SL, drx-HARQ-RTT-TimerTX-SL, drx-HARQ-RTT-TimerSL)가 만료되면,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재전송 타이머(drx-RetransmissionTimerRX-SL, drx-RetransmissionTimerTX-SL, drx-RetransmissionTimerSL)를 시작한다.
그렇지않고 만약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에서) HARQ 피드백이 disable 된 경우라면, 수신단말이 송신단말로부터 SCI를 수신할 때(예를 들어 PSCCH가 사이드링크 전송을 지시하면),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e.g. drx-HARQ-RTT-TimerRX-SL, drx-HARQ-RTT-TimerTX-SL, drx-HARQ-RTT-TimerSL)를 적용하지 않는다. 또는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에서) HARQ 피드백이 disable 된 경우라면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 역시 디스에이블 된다. 또는 HARQ 피드백이 disable 된 경우라면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를 특정 값(e.g. 0)으로 세팅할 수 있다. 해당 HARQ 프로세스에 대해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가 디스에이블 된다면,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재전송 타이머 역시 디스에이블 시킬 수 있다. 또는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재전송 타이머를 특정 값(e.g. 0)으로 세팅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해당 HARQ 프로세스에 대해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가 디스에이블 된다고 할지라도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해 송신단말에서 재전송을 하도록 구성된 경우 또는 이에 따라 수신단말이 재전송을 기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재전송 타이머를 시작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다른 예로 만약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에서) HARQ 피드백이 enable 된 경우 또는 disable 된 경우, 수신단말이 송신단말로부터 SCI를 수신할 때(예를 들어 PSCCH가 사이드링크 전송을 지시하면), 만약 반복 전송이 사전구성/구성된 경우라면, 해당 반복전송이 종료된 후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HARQ RTT 타이머(e.g. drx-HARQ-RTT-TimerRX-SL, drx-HARQ-RTT-TimerTX-SL, drx-HARQ-RTT-TimerSL)를 시작한다.
전술한 HARQ 피드백 (enable/disable) 여부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HARQ 피드백 (enable/disable) 여부는 특정 논리채널에 연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논리채널 구성정보는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에 대한 논리채널우선순위(LCP)에서 HARQ 피드백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제한(restriction)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ARQ 피드백 인에이블이 구성된 논리채널과 HARQ 피드백 디스에이블이 구성된 논리채널은 동일한 MAC PDU로 멀티플렉스 될 수 없다.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인에이블이 구성된 논리채널의 MAC PDU에 대한 전송/재전송을 수행하는 사이드링크 HARQ 프로세스에는 물리계층이 그 전송/재전송에 대한 PSFCH를 모니터하도록 지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HARQ 피드백 (enable/disable) 여부는 HARQ 프로세스 ID 별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HARQ 피드백 (enable/disable) 여부는 특정 L1 source ID 또는 L1 destination ID 또는 특정 단말, 또는 특정 MAC 엔티티(e.g. MCG MAC, SCG MAC), 또는 특정 그룹/그룹캐스트세션(e.g. L1 source ID, L1 destination ID, L2 source ID, L2 destination ID,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e.g. L1 source ID와 L1 destination ID)) 또는 특정 브로드캐스트세션(e.g. L1 source ID, L1 destination ID, L2 source ID, L2 destination ID,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e.g. L1 source ID와 L1 destination ID)에 연계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HARQ 피드백 (enable/disable) 여부는 SCI를 통해 수신단말로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단말은 전송할 TB(또는 MAC PDU)에 대해 QoS 파라미터와 CBR(Channel busy ratio) 등에 기반하여 HARQ 피드백을 수행할 지 여부를 결정하고, HARQ 피드백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SCI에 포함해 보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송신단말은 사이드링크 상에 HARQ 피드백이 디스에이블되는 경우에도, 전송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블라인드 반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단말은 번들로 동일한 TB(Transport Block)의 복수 전송(e.g. MAC schedules packets in a bundle with pdsch-AggregationFactor > 1 in down link)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단말은 번들로 동일한 TB의 복수 전송을 소프트 컴바이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신단말은 동일한 TB(Transport Block)의 복수 전송(e.g. MAC schedules the same TB on the same HARQ process without NDI being toggled)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단말은 동일한 TB의 복수 전송을 소프트 컴바이닝할 수 있다. 만약 송신단말이 (블라인드) 반복 전송을 통해 BLER을 낮추고자 한다면, 송신단말과 수신단말은 반복전송이 기대되는 시간을 얼라인되도록 사전구성/구성함으로써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RRC 메시지를 통해(또는 임의의 L1/L2 시그널링을 통해), HARQ 피드백이 디스에이블 될 때, 송신단말은 반복 전송을 위한 정보를 수신단말로 지시할 수 있다. 또는 HARQ 피드백이 디스에이블 될 때, 수신단말은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재전송 타이머(drx-RetransmissionTimerTX-SL, RetransmissionTimerRX-SL RetransmissionTimerSL) 또는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인액티비티 타이머를 이용하여 PSCCH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반복 전송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일 예를 들어, 단말은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재전송 타이머(drx-RetransmissionTimerTX-SL, RetransmissionTimerRX-SL RetransmissionTimerSL)를 이용하여 반복 전송이 기대되는 시간동안 PS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ARQ 피드백이 디스에이블 될 때, 만약 PSCCH가 사이드링크 전송을 지시하며, 만약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의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디코드되지 않았다면, 단말(MAC 엔티티)은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재전송 타이머를 시작한다.
다른 예를 들어, 반복전송이 수신될 때까지 최대 듀레이션을 정의하는 새로운 DRX 파라미터가 정의되어, 반복 전송이 기대되는 시간 동안 단말은 PS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DRX사이클이 구성될 때, 새롭게 정의된 DRX 파라미터에 따른 타이머가 동작하는 동안 단말은 액티브 타임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ARQ 피드백이 디스에이블 되고, 만약 PSCCH가 사이드링크 전송을 지시하며, 만약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의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디코드되지 않았다면, 단말(MAC 엔티티)은 새롭게 정의된 DRX 파라미터에 따른 타이머를 시작한다.
한편, HARQ 피드백이 디스에이블된 경우, 단말은 블라인드 반복 전송을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항상 PSCCH를 통해 새로운 전송을 지시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단말의 MAC 엔티티)은 PSCCH 수신의 종료 후에 첫 심볼에서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인액티비티 타이머를 시작 또는 재시작한다. 또는 신규 전송이 아닌 반복 전송의 경우에도 PSCCH가 사이드링크 전송을 지시한다면, 단말은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인액티비티 타이머를시작 또는 재시작한다. 또는 신규 전송이 아닌 반복 전송의 경우에도 PSCCH가 사이드링크 전송을 지시하고, 만약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의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디코드되지 않았다면, 단말은 사이드링크 비연속수신 인액티비티 타이머를 시작 또는 재시작한다. 기지국은 DRX 인액티비티 타이머를 0이 아닌 값으로 세팅해 지시함으로써 단말과 블라인드 반복 전송을 위한 시간을 맞춰 PSCCH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지시한다.
또는, 단말이 항상 반복전송을 기대하고 PSCCH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은 전력소모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단말의 HARQ 피드백을 디스에이블하고 BLER를 낮추기 위해 반복전송을 수행한다면, 기지국은 단말이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지시정보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지시정보는 MAC CE 시그널링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지시정보는 SCI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RRC 시그널링, MAC CE 또는 SCI에는 HARQ 프로세스 ID 및 반복전송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신단말은 송신단말의 반복전송 횟수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도움정보를 송신단말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해당 도움정보는 HARQ 수신 실패율 및 요청 반복 전송 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동작을 통해서 수신 단말은 PSCCH를 비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단말 및 기지국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PDCCH 및/또는 PSCCH를 위한 DRX 동작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간략하게 설명한다. 단말 및 기지국은 전술한 동작을 전부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2000)은,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HARQ 동작을 위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030)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2020) 및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20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030)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여 HARQ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2000)은 사이드링크 무선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 또는 임의의 설정에 따라 기지국으로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무선자원을 동적으로 할당 받아서, 단말(2000)이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타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에 단말(2000)은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HARQ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는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타 단말로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무선자원을 기지국으로부터 재할당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 단말(2000)은 기지국의 설정 또는 지시에 따라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HARQ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부(2020)는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타 단말로 전송한다. 이 경우, 사이드링크 데이터는 유니캐스트 방식, 멀티캐스트 방식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에 의해서 전송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데이터는 PSSCH 또는 PSSCH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으며,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의 제한은 없다.
수신부(2030)는 전송한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타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 동작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타 단말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만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정상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HARQ 피드백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송신부(2020)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부(2020)는 타 단말로부터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신부(2020)는 타 단말로부터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기지국으로 이를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2000)은 타 단말로부터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기지국으로 이를 지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단말(2000)이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으로 지시한 경우에, 수신부(2030)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2010)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PDCCH의 수신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의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어부(2010)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PDCCH가 수신되는지 모니터링한다.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DRX 파라미터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HARQ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시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DRX 파라미터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끝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DRX 파라미터는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 및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타이머는 해당 타이머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타이머를 이용하여 제어부(2010)는 비연속적으로 설정되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을 설정하고, PDCCH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10)는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후,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하고,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정지한다. 만약,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어부(2010)는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한다. 제어부(2010)는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에만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즉,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가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PDCCH 모니터링이 시작되기 까지의 대기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된 후,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한 경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10)는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010)는 타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타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2010)는 타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 경우,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개시할 수 있다.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의 개시 시점과 관련된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어떤 조건으로 설정되었는지에 따라 값이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PDCCH가 수신되면, 송신부(2020)는 PDCCH 상의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타 단말로 재전송한다.
이 외에도, 제어부(2010)는 전술한 본 실시예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PDCCH 또는 PSCCH를 비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데에 필요한 전반적인 단말(20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송신부(2020)와 수신부(2030)는 전술한 본 실시예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타 단말 및 기지국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기지국(2100)은서, 단말로 사이드링크 HARQ 동작을 위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2120) 및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2120)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단말의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HARQ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DRX 동작을 위한 것으로, 단말과 타 단말간의 사이드링크 통신에서의 DRX 동작을 위한 정보와는 구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이드링크 통신이 아닌 단말과 기지국 간의 Uu 인터페이스 통신을 위한 DRX 파라미터와도 구분될 수 있다.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타 단말로 전송하고, 설정에 따라 타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링크 데이터는 유니캐스트 방식, 멀티캐스트 방식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에 의해서 전송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데이터는 PSSCH 또는 PSSCH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으며,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 등의 제한은 없다.
다만,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 동작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타 단말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만 NACK을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정상 수신 여부와 무관하게, HARQ 피드백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수신부(2130)는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부(2130)는 단말이 타 단말로부터 수신한 HARQ 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신부(2130)는 단말이 타 단말로부터 수신한 HARQ 피드백 정보가 NACK을 지시하는 경우에만, 단말로부터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2100)은 단말이 타 단말로부터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송신부(212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HARQ 피드백 정보가 NACK을 지시하는 경우에 단말로 사이드링크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는 PDCCH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PDSCH 등 다양한 하향링크 채널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은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 파리미터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DRX 파라미터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시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DRX 파라미터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끝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DRX 파라미터는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 및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타이머는 해당 타이머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비연속적으로 설정되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을 설정하고, PDCCH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후,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하고,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정지한다. 만약,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한다. 단말은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에만 PDCCH를 모니터링한다. 즉,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가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PDCCH 모니터링이 시작되기 까지의 대기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된 후,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한 경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의 개시 시점과 관련된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어떤 조건으로 설정되었는지에 따라 값이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송신부(2120)는 설정된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단말로 전송한다.
이 외에도, 제어부(2110)는 전술한 본 실시예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단말이 PDCCH 또는 PSCCH를 비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데에 필요한 전반적인 기지국(2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송신부(2120)와 수신부(2130)는 전술한 본 실시예를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이상의 동작을 통해서, 단말은 사이드링크 통신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기지국 PDCCH 모니터링을 비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최소한의 단말 전력 소모를 통해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들 중 본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 구성, 부분들은 전술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위에서 개시한 표준 문서들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장치,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시스템", "프로세서", "컨트롤러", "컴포넌트", "모듈", "인터페이스", "모델", 또는 "유닛" 등의 용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구동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컨트롤러, 제어 프로세서, 개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가 모두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장치(예: 시스템, 컴퓨팅 디바이스 등)에 위치하거나 둘 이상의 장치에 분산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 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단말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HARQ 동작을 위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X 파라미터는,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HARQ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시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 및 상기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끝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정지하며,
    상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하되,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에 상기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상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된 후,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작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로 설정되는 방법.
  6.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사이드링크 HARQ 동작을 위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상기 단말의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HARQ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RX 파라미터는,
    상기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시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 및 상기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끝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정지하며,
    상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하되,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에 상기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상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된 후,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작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의해서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로 설정되는 방법.
  11.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사이드링크 HARQ 동작을 위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RX 파라미터는,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HARQ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시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 및 상기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끝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포함하는 단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정지하며,
    상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하되,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에 상기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상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된 후,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작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로 설정되는 단말.
  16.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로 사이드링크 HARQ 동작을 위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부는,
    상기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에 포함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상기 단말의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에서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HARQ 재전송을 위한 사이드링크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PDCCH를 전송하는 기지국.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링크 비연속 HARQ 구성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DRX 파라미터는,
    상기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시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 및 상기 PDCCH 비연속적 모니터링 구간의 끝점을 특정하기 위한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포함하는 기지국.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정지하며,
    상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를 시작하되,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동작 중인 경우에 상기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연속수신 재전송 사이드링크 타이머는,
    상기 비연속수신 HARQ RTT 사이드링크 타이머가 만료된 후,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작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의해서 성공적으로 전송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경우 및 상기 사이드링크 데이터에 대한 전송 실패를 지시하는 HARQ 피드백 정보를 상기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로 설정되는 기지국.
KR1020200127914A 2019-10-24 2020-10-05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49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879753.0A EP4030853A4 (en) 2019-10-24 2020-10-15 SIDELINK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LATED DEVICE
PCT/KR2020/014061 WO2021080240A1 (ko) 2019-10-24 2020-10-15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7/769,878 US20220394810A1 (en) 2019-10-24 2020-10-15 Method for controlling sidelink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35 2019-10-24
KR20190133035 2019-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673A true KR20210049673A (ko) 2021-05-06

Family

ID=7591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914A KR20210049673A (ko) 2019-10-24 2020-10-05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96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252A1 (ko) * 2021-09-16 2023-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수신 단말의 sl drx 활성 시간을 고려한 sl 모드 1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4096669A1 (ko) * 2022-11-03 202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l-u에서 mcst를 위한 sl drx 동작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252A1 (ko) * 2021-09-16 2023-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수신 단말의 sl drx 활성 시간을 고려한 sl 모드 1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4096669A1 (ko) * 2022-11-03 202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l-u에서 mcst를 위한 sl drx 동작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0534A (ko)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107171A (ko)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3362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link harq feedback information
KR20210002002A (ko)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US2022034601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idelink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for
EP403085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idelink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KR102246074B1 (ko) Nr v2x에서 사이드링크 프레임 및 물리계층 구조
US2023038904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idelink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for
KR20210125421A (ko)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98708A (ko)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12491B1 (ko)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37532A (ko)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34924A (ko)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49673A (ko)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38323A (ko)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60789B1 (ko) Nr v2x에서 동적으로 harq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는 harq 피드백 방법 및 그 장치
EP40722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sidelink communication using coordination information
KR20200054028A (ko) Nr v2x에서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2188882B1 (ko) Nr v2x에서 동적으로 harq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는 harq 피드백 방법 및 그 장치
KR102467308B1 (ko)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34619B1 (ko)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54293B1 (ko) Nr v2x에서 harq 피드백 방법 및 그 장치
KR102195867B1 (ko)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05710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idelink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for
KR20210127282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단말의 사이드링크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