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352A - Grating having bad smell preventive stoppers being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in the drain thereof and being prevented from arbitrary breakaway - Google Patents

Grating having bad smell preventive stoppers being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in the drain thereof and being prevented from arbitrary breaka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352A
KR20210049352A KR1020190133560A KR20190133560A KR20210049352A KR 20210049352 A KR20210049352 A KR 20210049352A KR 1020190133560 A KR1020190133560 A KR 1020190133560A KR 20190133560 A KR20190133560 A KR 20190133560A KR 20210049352 A KR20210049352 A KR 20210049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drain
stopper
protrusion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5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나래
Original Assignee
전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나래 filed Critical 전나래
Priority to KR1020190133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9352A/en
Publication of KR20210049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3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ating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install a plug for bad smell prevention on a drain, prevents the plug installed on the drain from being arbitrarily detached, can replace only a damaged plug or a destroyed plug to allow convenient and economic maintenance and repair, and allows a plug installed on the drain for slip prevention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More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ting is made by making grating components by bending a metal plate of a rectangular shape and horizontally coupling the grating components. The grating can be easily made in various areas and shapes.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productivity is high.

Description

배수구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고 임의 이탈이 방지되는 악취 방지용 마개를 갖는 그레이팅{Grating having bad smell preventive stoppers being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in the drain thereof and being prevented from arbitrary breakaway} Grating having bad smell preventive stoppers being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in the drain thereof and being prevented from arbitrary breakaway}

본 발명은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i) 악취 방지용 마개가 배수구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고 배수구에 설치된 마개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며, 악취 방지용 마개가 배수구에 밀착될 수 있고, 손상되거나 파손된 마개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ii) 미끄럼 방지를 위해 배수구에 설치된 마개가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고, (iii) 직사각 형상의 금속 평판이 벤딩되어 그레이팅 구성품이 만들어지고 이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방향으로 여러 개가 결합되어 만들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고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생산성이 높은, 그레이팅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rating, and more specifically (i) a stopper for preventing odor can be quickly and easily installed in the drain hole, and a stopper installed in the drain hole is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and the stopper for preventing odor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 hole, Maintenance is convenient and economical because only damaged or damaged stoppers can be replaced, (ii) a stopper installed in the drain hole can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to prevent slipping, and (iii) a rectangular metal plate is bent to form a grating component. This is for grating, which is made and several of these grating components are combi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made in various widths and shape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productivity is high.

본 출원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0016482호(출원일 2019. 2. 13), 제10-2019-0052642호(출원일 2019. 5. 4), 제10-2019-0094603호(출원일 2019. 8. 2)에 기재된 발명의 연속선상에 있는 것으로서, 상기 특허출원들의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된다. This application is filed with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10-2019-0016482 (filing date 2019. 2. 13), 10-2019-0052642 (filing date 2019. 5. 4), and 10-2019-0094603 (filing date 2019. 8) It is on the continuous lin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2),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above patent application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re all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등에 설치되는 빗물 집배수로(集排水路)의 덮개, 하수구의 덮개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In general, grating is widely used as a cover for rainwater collection and drainage channels installed on roads, residential complexes, and subways, and as a cover for sewers.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레이팅(1)은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갖는 엔드 바(2)와, 엔드 바(2)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베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grating 1 includes an end bar 2 having a rectangular inner space, a plurality of bearing bars 3 installed inside the end bar 2, and a cross bar 4 Includes.

베이링 바(3)는 그레이팅(1)에 인가되는 하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베어링 바(3)의 양쪽 단부는 엔드 바(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The bearing bars 3 support most of the load applied to the grating 1, and a plurality of bearing bars 3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Both ends of the bearing bar 3 are joined to the end bar 2 by welding.

크로스 바(4)는 베어링 바(3)와 수직이 되도록 베어링 바(3)의 상단(그레이팅의 윗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어링 바(3)와 엔드 바(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크로스 바(4)는 베어링 바(3)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cross bar 4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bearing bar 3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earing bar 3, and is coupled to the bearing bar 3 and the end bar 2 by welding. The cross bar 4 serves to maintain the spacing of the bearing bar 3.

이와 같이, 그레이팅(1)은 베이링 바(3)와 크로스 바(4) 및 엔드 바(2)가 교차되어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다수 개의 구멍(격자)을 갖는다. 그런데, 그레이팅(1) 아래의 빗물, 오폐수 등에서 만들어진 악취와 벌레 등이 상기 구멍을 통해 위로 올라온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way, the grating 1 is made by crossing the bearing bar 3, the cross bar 4, and the end bar 2, and thus has a plurality of holes (lattices).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odors and insects made from rainwater, wastewater, etc. under the grating (1) rise upward through the hole.

그러나, 상기 구멍(격자)은 우수(雨水)가 아래쪽, 예를 들어 집배수로(集排水路) 또는 하수구로 이동되는 통로이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과, 악취와 벌레 등의 차단을 위해 구멍을 밀폐해야 한다는 점이 서로 충돌되기 때문에 악취와 벌레 등의 차단이 용이하지 않다. However, the hole (lattice) is a passage through which rainwater moves downward, for example, to a collection and drainage channel or a sewer, so it must be kept open and to block odors and insects. It is not easy to block odors and insects because they collide with each other that the hole must be sealed.

한편, 상기 그레이팅은 구멍(격자)을 통해 쓰레기, 낙엽, 자갈 등이 아래로 떨어져서 집배수로와 하수구를 막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레이팅 위에 나무 판재 등을 설치하기도 하지만 나무 판재는 배수를 막는다는 문제점과, 보행자나 차량이 미끄러지기 쉽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rating has a problem in that garbage, fallen leaves, gravel, etc. fall down through the holes (grids) to block the collection and drainage channel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wooden plate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on the grating, but the wooden plate has a problem that it prevents drainage and that pedestrians or vehicles are liable to slip.

아울러, 그레이팅(1)은 엔드 바(2), 베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각각 제조하고 이를 용접하는 데에 많은 작업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In addition, the grating 1 ha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work time and cost to manufacture and weld the end bar 2, the bearing bar 3, and the cross bar 4, respectively.

그리고, 그레이팅(1)은 엔드 바(2)가 형성하는 직사각형 공간의 내측에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설치된 구조이므로, 그 형상 및/또는 넓이를 쉽게 변경시킬 수가 없고, 동일한 넓이와 형상의 그레이팅을 반복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그레이팅(1)의 형상 및/또는 넓이를 변경시키려면 엔드 바(2)와 베어링 바(3) 및 크로스 바(4)를 새로 제작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In addition, since the grating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earing bar 3 and the cross bar 4 are installed inside the rectangular space formed by the end bar 2, the shape and/or width cannot be easily changed, and the sa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gratings of width and shape must be repeatedly installed. If, in order to change the shape and/or the width of the grating 1, the end bar 2, the bearing bar 3, and the cross bar 4 need to be newly manufactured, which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물을 아래쪽으로 잘 배출하면서도 악취와 벌레 등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악취방지용 마개를 갖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grating having a stopper for preventing odors that effectively blocks odors and insects while discharging water well downward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악취방지용 마개가 배수구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되고 배수구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ting in which a stopper for preventing odor is quickly and conveniently installed in the drain and does not deviate from the drai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악취방지용 마개 중에서 일부가 파손된 경우에 파손된 마개만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nomical and easy maintenance and repair grating so that only the damaged stopper can be replaced when some of the stopper for preventing odor is damag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악취방지용 마개가 배수구에 밀착될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ting in which a stopper for preventing odor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a drai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배수구에 설치된 미끄럼 방지용 마개가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ting capable of filtering out foreign matter by a non-slip stopper installed in a drain for preventing slipp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ting that can be easily made into various widths and shapes since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are horizontally combin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아서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ting that can shorte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work time because the bearing bar 3 and the cross bar 4 are not required an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us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ha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여러 개의 배수구(111)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본체부(113); 및, 본체부(113)의 아랫면에 결합되어 배수구(111)를 밀폐하는 악취방지 유닛(150);을 포함한다. The grat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3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drain holes 1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t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3, the odor prevention unit 150 for sealing the drain 111; includes.

악취방지 유닛(150)은,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본체부(113)의 아랫면에 결합된 결합부(151); 및, 배수구(111)의 아랫면을 밀폐하도록 결합부(151)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악취 방지용 마개(1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dor prevention unit 15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51 formed to extend in a lengthwise direction in a rod shape a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3; And, a plurality of odor-preventing stoppers 153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oupling portion 151 to seal the lower surface of the drain hole 111; may include.

그리고, 악취 방지용 마개(153)는, 결합부(151)에 결합되되 결합부(151)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된 연결부(154); 및, 배수구(111)를 밀폐하도록 연결부(154)의 단부에 마련된 덮개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stopper for odor prevention 153, doedo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51, the connecting portion 154 extending to one or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151; And a cover part 155 provid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154 to seal the drain hole 111.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부(151)에는 홈라인(152c) 또는 돌기라인이 형성되고, 연결부(154)에는 상기 홈라인(152c) 또는 돌기라인과 결합되는 돌기라인(156) 또는 홈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A groove line 152c or a protrusion line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15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rotrusion line 156 or a groove line coupled to the groove line 152c or the protrusion line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54 Can be.

연결부(154)는 덮개부(155)를 배수구(111)에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며, 덮개부(155) 위에 물이 저장되면 물의 하중에 의해 덮개부(155)가 아래로 회동하여 배수구(111)가 개방되고, 상기 물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덮개부(155)가 원위치로 복귀한다.The connection part 154 has an elastic force that makes the cover part 155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 hole 111, and when water is stored on the cover part 155, the cover part 155 is rotated downward by the load of water, and the drain hole 111 Is opened, and when the water is removed, the cover part 155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n elastic for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악취방지 유닛(150)은 결합부(151)와 연결부(154) 및 덮개부(155)가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악취방지 유닛(150)은,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본체부(113)의 아랫면에 결합되는 결합부(151); 및, 소정 간격으로 결합부(151)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54); 및, 배수구(111)를 밀폐하도록 연결부(154)의 단부에 마련된 덮개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grating odor prevention unit 150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art 151, the connection part 154, and the cover part 155 are integrally formed. Specifically, the odor prevention unit 15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51 formed to extend in a lengthwise direction in a rod shape a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3; And, a connection portion 154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151 to one or both sid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cover part 155 provid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154 to seal the drain hole 111.

바람직하게, 덮개부(155)가 배수구(111)에 밀착되도록, 연결부(154)가 그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본체부(113)를 향하여 1˚~ 15˚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so that the cover portion 15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 hole 111, the connection portion 154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center to the body portion 113 toward the outside by 1˚ to 15˚.

상기 경사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상기 경사와 함께, 마개(153)는 탄성부재(15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57)는 연결부(154)의 내부 또는 덮개부(155)와 연결부(154)의 내부에서 결합부(151)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매설될 수 있다. 탄성부재(157)는 덮개부(155)가 배수구(111)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 As an alternative to or in conjunction with the slope, the stopper 153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157. Specifically, the elastic member 157 may be bur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portion 151 inside the connection portion 154 or inside the cover portion 155 and the connection portion 154. The elastic member 157 appli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cover portion 15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 hole 111.

악취방지 유닛(150)은 간격 유지재(159)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유지재(159)는 악취 방지용 마개(153)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간격 유지재(159)가 결합부(151)에 고정 설치되면 악취 방지용 마개(153)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The odor prevention unit 150 may include a gap holding material 159. The spacing member 159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between the odor preventing plugs 153. Therefore, when the gap-holding member 159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oupling part 151, the gap between the odor preventing stopper 153 is kept constant.

결합부(151)의 홈라인(152c)은 결합부(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홈라인(152c)의 양측 내부에는 제1 돌출부(152d)가 형성되며, 돌기라인(156)이 홈 라인(152c)에 삽입될 때 제1 돌출부(152d)가 돌기라인(156) 하단의 요홈(156a)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부(151)와 악취 방지용 마개(153)가 체결될 수 있다.The groove lines 152c of the coupling portion 151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51, and first protrusions 152d are formed inside both sides of the groove line 152c, and the projection line 156 Whe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line 152c, the first protrusion 152d is fastened to the groove 156a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line 156, so that the coupling part 151 and the stopper 153 for preventing odor can be fastened. have.

그리고, 홈라인(152c)의 양측 외부에는 제2 돌출부(152e)가 형성되고 간격 유지재(159)의 내측에는 체결돌기(159a)가 형성되며, 제2 돌출부(152e)와 체결돌기(159a)가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간격 유지재(159)가 결합부(151)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악취 방지용 마개(153)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second protrusions 152e are formed outside both sides of the home line 152c, and fastening protrusions 159a are formed inside the space holder 159, and the second protrusion 152e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59a are formed. By being fastened, the spacing member 159 is fixed to the coupling part 151,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odor preventing stopper 153 may be fixed.

한편, 돌기라인(156)은 이웃하는 악취 방지용 마개(153)를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복수 개의 악취 방지용 마개(153)가 일체로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otrusion line 156 may be extended to connect the neighboring odor preventing plugs 153 to each other. In this case, a plurality of odor preventing plugs 153 are integrally connected.

바람직하게, 덮개부(155)는, 연결부(154)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테두리부(155a); 및, 테두리부(155a)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된 삽입 가이드부(155b);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ver portion 155 includes an edge portion 155a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54; And an insertion guide portion 155b formed to extend and protrude from the edge portion 155a.

삽입 가이드부(155b)의 외경은 배수구(111)의 내경 보다 작고, 이에 따라 삽입 가이드부(155b)가 연결부(154)의 탄성력에 의해 배수구(111)에 용이하게 삽입되며, 상기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 가이드부(155b)는 덮개부(155)가 배수구(111)로부터 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guide part 155b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hole 111, and accordingly, the insertion guide part 155b is easily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11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part 154, and in the inserted state The insertion guide part 155b may prevent the cover part 155 from being laterally separated from the drain hole 111.

덮개부(155)가 테두리부(155a)와 삽입 가이드부(155b)를 갖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덮개부(155)는 연결부(154)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배수구(111)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진 평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an alternative to that the cover portion 155 has an edge portion 155a and an insertion guide portion 155b, the cover portion 155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54 and has an area capable of covering the drain hole 111. It can also be made of a flat flat surface.

배수구(111)에는 미끄럼방지용 마개(160)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미끄럼방지용 마개(160)는, 배수구(111)에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관통부가 형성된 몸체(161); 상기 관통부를 구획하여 작은 구멍(163a)으로 만드는 구획부(163); 및, 구획부(163)의 중앙에서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A non-slip stopper 160 may be inserted into the drain 111 and installed. Specifically, the non-slip stopper 160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111, and the body 161 having a through part formed therein; A partition part 163 making a small hole 163a by partitioning the through part; And a protrusion 165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partition 163.

몸체(161)의 상단 둘레에는 걸림부(161a)가 형성되고, 작은 구멍(163a)은 몸체(161)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걸림부(161a)가 배수구(111)의 상단 둘레에 걸리도록 설치되면 돌출부(165)가 그레이팅의 윗면 보다 위로 돌출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A locking portion (161a) is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body 161, a small hole (163a) is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161 up and down, and the locking portion (161a) is caught around the upper end of the drain hole (111). When installed so that the protrusion 165 protrudes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ing.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본체부(113)와 지지부(112)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연결 바(140)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밀착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gr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closely coupling at least two grating components 110 having the main body 113 and the support 112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connection bar 140.

지지부(112)는 본체부(113)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지지부(112)가 서로 접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부(112) 및/또는 본체부(113)의 양쪽 단부가 연결바(140)에 용접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12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downward from two sides facing each other of the body part 113.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112 and/or the main body part 113 are welded to the connecting bar 140 or fastened to the connection bar 140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rts 112 of the neighboring grating components 110 are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ntact each other. By being coupled by the neighboring grating components 110 may be coupled.

지지부(112)와 연결 바(140)는 본체부(113)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기존 그레이팅에 설치되던 베어링 바(3) 및, 베어링 바(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그레이팅 윗면에 설치되던 크로스 바(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12 and the connection bar 140 support a load acting on the body part 113. In addition, the gr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a bearing bar 3 installed on the existing grating to support a load, and a cross bar 4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bearing bars 3. May not.

상기 연결 바(140)는 그 상단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의 연장된 부분(144)이 본체부(113)를 지지하거나, 그 하단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의 연장된 부분이 지지부(112)의 양쪽 하단의 홈에 삽입되거나, 그 상단과 하단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ar 140 has an upper e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extended portion 144 at the upper end supporting the main body 113, or the lower e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extended portion at the lower end supporting the support 112 )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s of both lower ends, or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gr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물을 아래쪽으로 잘 배출하면서도 악취와 벌레 등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1. It can effectively block odors and insects while discharging water well.

2. 악취방지용 마개가 배수구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되고, 설치된 악취방지용 마개는 배수구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2. The odor prevention stopper is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in the drain, and the installed odor prevention stopper does not deviate from the drain.

3. 악취방지용 마개가 배수구에 밀착될 수 있다.3. The stopper for preventing odor can be tightly attached to the drain.

4. 파손된 마개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다.4. Maintenance is easy and economical because only damaged caps can be replaced.

5. 미끄럼 방지를 위해 배수구에 설치된 미끄럼 방지용 마개가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다.5. To prevent slipping, a non-slip stopper installed in the drain can filter out foreign matter.

6.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이 수평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넓이와 형상으로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6. Since a number of grating components are horizontally combined, it can be easily made in various widths and shapes.

7.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 그레이팅의 윗면에 설치되는 크로스 바)가 필요하지 않고 제2 지지부가 필요하지 않아서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7. Since the bearing bar (3) and the cross bar (4, the cross ba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are not required and the second support is not required,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Accordingly,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a는 도 2의 그레이팅에 구비되는 악취방지 유닛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A-A' 단면을 확대한 도면.
도 5a는 악취방지용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B-B' 단면도.
도 6a는 결합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우측면도.
도 7a는 결합부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우측면도.
도 8a는 간격 유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C-C' 단면도.
도 9a는 악취방지용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b는 악취방지용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악취방지용 마개가 아래로 회동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a는 악취방지용 마개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b는 도 10a의 좌측면도.
도 11a는 악취방지용 마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b는 도 11a의 D-D' 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악취방지용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b는 도 12a의 E-E'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 구비된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a는 도 13의 그레이팅에 구비된 미끄럼 방지용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F-F' 단면도.
도 15a는 미끄럼 방지용 마개와 악취방지용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b는 미끄럼 방지용 마개와 악취방지용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악취방지용 마개가 아래로 회동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악취방지 유닛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7a는 도 16의 악취방지 유닛이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b는 도 16의 악취방지 유닛이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악취방지용 마개가 아래로 회동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a는 도 16의 악취방지 유닛과 미끄럼 방지용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b는 도 16의 악취방지 유닛과 미끄럼 방지용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악취방지용 마개가 아래로 회동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t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at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grating of Figure 2;
Figure 4a is a plan view showing an odor prevention unit provided in the grating of Figure 2;
Figure 4b is an enlarged view of the cross section AA' of Figure 4a.
Figure 5a is a plan view showing a stopper for preventing odor.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 5A.
Figure 6a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upling portion.
Fig. 6B is a right side view of Fig. 6A.
Figure 7a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upling portion.
Fig. 7B is a right side view of Fig. 7A.
8A is a plan view showing a spacer.
Figure 8b is a cross-sectional view CC' of Figure 8a.
Figure 9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topper for preventing odor is installed in the drain.
Figure 9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topper for preventing odor is installed in the drain, a view showing that the stopper for preventing odor is rotated downward.
10A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stopper for preventing odor.
Fig. 10B is a left side view of Fig. 10A.
Figure 11a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stopper for preventing odor.
1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1A.
12A is a plan view showing a stopper for preventing odor of grat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12A.
13 is a plan view showing a grating component provided in a gratin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is a plan view showing an anti-slip stopper provided in the grating of FIG. 13.
1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F' of FIG. 14A.
Figure 1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anti-slip stopper and the stopper for preventing odor are installed in the drain.
Figure 1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anti-skid stopper and the stopper for odor prevention are installed in the drain, a view showing that the stopper for preventing odor is rotated downward.
16 is a plan view showing a grating odor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odor prevention unit of Figure 16 is installed in the drain.
1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odor prevention unit of FIG. 16 is installed in a drain, and a view showing that the odor prevention stopper is rotated downward.
Figure 18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odor prevention unit and the anti-skid stopper of Figure 16 is installed in the drain.
FIG. 18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dor prevention unit and the non-slip stopper of FIG. 16 installed in the drain, and a view showing that the odor prevention stopper is rotated downwar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and variations.

제1 실시예Embodiment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그레이팅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at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grating.

도면을 참조하면, 그레이팅(100)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그레이팅 구성품(110)을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 바(140) 및, 악취방지 유닛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rating 100 includes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110, a connection bar 140 for coupling the grating components 110 to each other, and an odor prevention unit.

그레이팅 구성품(110)과 연결 바(140)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합성수지, 플라스틱, FRP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레이팅 구성품(110)은 평평한 금속판재가 벤딩되어 형성되는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금속판재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테두리 부분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지지부(112)를 이루고, 지지부(112)의 내측인 직사각형 부분은 본체부(113)가 된다. 그리고, 지지부(112)의 양쪽 단부는 연결 바(140)와 결합된다.The grating component 110 and the connection bar 14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aluminum alloy, synthetic resin, plastic, FRP, or the like. The grating component 110 is formed by bending a flat metal plate, and two edge portions facing each other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metal plate are vertically bent to form the support part 112, and the rectangular part inside the support part 112 is It becomes the body part 113.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112 are coupled to the connection bar 140.

지지부(112)는 본체부(113)의 긴 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후, 연결 바(140)를 짧은 변쪽에 설치하면 긴 변의 폭(w)을 갖는 그레이팅(100)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art 112 is formed on the long side of the body part 113. This is because, after arranging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1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f the connecting bar 140 is installed on the short side, the grating 100 having a long side width w can be made.

본체부(113)는 실질적인 사각 형상, 바람직하게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본체부(113)는 지지부(112) 보다 바깥쪽으로 약간 더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지지부(112)의 끝단과 연결 바(140)의 결합이 본체부(113)의 아래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결합이 본체부(113)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The main body 113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preferably a rectangular shape. The main body 113 is preferably extended slightly more outward than the support 112, and accordingly, the coupling of the end of the support 112 and the connection bar 140 is made under the main body 113. This structure is advantageous because the coupling can be protected by the body portion 113.

본체부(113)의 양쪽 단부에는 엠보싱(117)이 아래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117)은 본체부(113)와 수평부(144)를 결합시키는 스팟 용접이 효율적으로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스팟 용접은 두 금속을 밀착시킨 후 전기를 공급하여 두 금속을 결합시키는 것인데, 만약 엠보싱(117)이 없으면 용접을 위한 전기 소모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Embossing 117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13 to protrude downward. The embossing 117 allows spot welding that combines the main body 113 and the horizontal portion 144 to be efficiently performed. As is known, spot welding is a method of bonding two metals by supplying electricity after contacting two metals. If there is no embossing 117,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for welding increases.

엠보싱이 본체부(113)에 형성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엠보싱은 수평부(144)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s an alternative to the embossing being formed on the body portion 113, the embossing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144.

바람직하게, 지지부(112)의 끝단과 본체부(113) 사이에는 홈(114)이 존재할 수 있다. 이 홈(114)에는 수평부(144)가 삽입된 후 엠보싱(117)과 스팟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Preferably, a groove 114 may exist between the end of the support part 112 and the body part 113. After the horizontal portion 144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4, it may be combined with the embossing 117 by spot welding.

본체부(113)에는 여러 개의 배수구(111)와 미끄럼 방지돌기(116)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11)는 본체부(113)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금속 판재에 관통홀을 먼저 천공한 후, 이 관통홀을 확장(버어링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버어링 가공)에 의해 배수구(111)에는 플랜지부(도 9a의 111b)와 곡면부(111a)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drain holes 111 and non-slip protrusions 116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13. The drain hole 111 is formed to penetrate the main body 113, and may be formed by first drilling a through hole in a metal plate, and then expanding the through hole (burring processing). A flange portion (111b in FIG. 9A) and a curved portion 111a are formed in the drain hole 111 by the expansion (burring processing).

도면에는 원형의 배수구(111)가 도시되어 있으나, 물(우수 등)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의 배수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a circular drain hole 111 is shown in the drawing, a drain hole 111 of various shapes may be formed within a limit capable of smoothly discharging water (excellent water, etc.).

배수구(111)의 상단 둘레에는 곡면부(111a)가 형성되고 배수구(111)의 둘레 아래에는 플랜지부(111b)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11b)는 본체부(113)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수구(111)에는 악취 방지용 마개(150) 또는 미끄럼 방지용 마개가 설치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A curved portion 111a may be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drain hole 111 and a flange portion 111b may be formed below the circumference of the drain hole 111. The flange portion 111b serves to increase the load-bearing force of the body portion 113. The drain hole 111 is provided with a stopper 150 for preventing odor or a stopper for preventing sli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미끄럼 방지 돌기(116)는 본체부(113)에서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non-slip protrusion 116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main body 113.

연결 바(140)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띠 형상의 막대로서, 두 개 이상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을 서로 결합시킨다. 연결 바(140)는 본체부(113) 끝단의 엠보싱(117) 및/또는 지지부(112)의 끝단과 용접으로 결합된다. 연결 바(140)는 만들고자 하는 그레이팅(10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on bar 140 is a strip-shaped rod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s two or more grating components 110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bar 140 is coupled by welding to the end of the body part 113 and the embossing 117 and/or the end of the support part 112.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bar 140 has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of the grating 100 to be made.

연결 바(140)는 그레이팅 구성품(110)을 서로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그레이팅의 하중 지지력을 증가(보강)시키는 역할도 한다. The connection bar 140 not only couples the grating components 110 to each other, but also serves to increase (reinforce)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grating.

연결 바(140)는 수직부(142)와, 수직부(142)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1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연결 바(140)는

Figure pat00001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13)는 지지부(112) 보다 바깥쪽으로 약간 더 연장되는데, 이에 따라 수평부(144)가 홈(114)에 삽입되었을 때 연결 바(140)는 본체부(113)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연결 바(140)가 본체부(113)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Figure pat00002
형 단면 구조가 I형 단면 구조보다 직하중에 대한 저항력 및 비틀림 응력에 대한 저항성 높고 효율성이 높으므로 유리하다. The connection bar 140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142 and a horizontal portion 144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42. That is, the connection bar 140 is
Figure pat00001
It can have a cross-section of a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13 extends slightly more outward than the support 112, and accordingly, when the horizontal part 144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4, the connection bar 140 is the main body 113 It will be located under the In this structure, the connection bar 140 may be protected by the main body 113,
Figure pat00002
The type cross-sectional structure is advantageous because it has higher resistance to direct load and torsional stress than the I-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has higher efficiency.

한편, 연결 바(140)는,

Figure pat00003
형 단면을 대신하여,
Figure pat00004
형 단면 또는
Figure pat00005
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bar 140,
Figure pat00003
In place of the mold section,
Figure pat00004
Mold cross section or
Figure pat00005
It can also have a type cross section.

도 2 ~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지지부(112)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후, 수평부(144)를 홈(114)에 삽입하고 수평부(144)와 엠보싱(117)을 용접(스팟 용접 등)하고 지지부(112)의 끝단과 수직부(142)를 용접하면 연결 바(140)에 의해서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서로 결합된다. 연결 바(140)와 본체부(113)의 결합 및, 연결 바(140)와 지지부(112) 끝단의 결합을 위해 용접이 이용될 수 있지만 볼팅, 리벳 등 다른 통상의 결합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2 to 3, after arranging the support parts 112 of neighboring grating components 110 to contact each other, the horizontal part 144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4, and the horizontal part 144 and the embossing ( When 117 is welded (spot welding, etc.) and the end of the support part 112 and the vertical part 142 are welded, neighboring grating components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bar 140. Welding may be used for the coupling of the connection bar 140 and the main body 113, and for coupling the ends of the connection bar 140 and the support 112, but other conventional coupling means such as bolting and rivets may also be used. .

그레이팅(100)은 지지부(112)가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기존 그레이팅(1)의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 그레이팅의 윗면에 설치되는 크로스 바)가 필요하지 않다. 기존에는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의 제작 및 결합(용접)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100)은 이러한 베어링 바(3)와 크로스 바(4)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 단가와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The grating 100 does not require the bearing bar 3 and the cross bar 4 (cross ba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of the existing grating 1 because the support part 112 supports the load. In the past, it took a lot of time and cost to manufacture and combine (welding) the bearing bar 3 and the cross bar 4, but the gratin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aring bar 3 and a cross bar 4 Because it is not required, product unit cost and manufacturing time can be reduced.

악취방지 유닛은 악취가 위로 올라오지 않도록 배수구(111)를 밀폐하되, 배수구(111)에 소정량의 물이 수용된 경우에는 아래로 회동하여 물이 아래로 배출되도록 한다. The odor prevention unit seals the drain 111 so that the odor does not rise upward, but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drain 111, it rotates downward so that the water is discharged downward.

도 2와 도 4a ~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악취방지 유닛은 결합부(151)와 악취 방지용 마개(153) 및 간격 유지재(159)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4A to 5B, the odor prevention unit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151, a odor prevention stopper 153, and a gap-holding material 159.

결합부(151)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본체부(1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본체부(113)의 아랫면에 결합된다. 결합부(151)는 금속, 플라스틱, 고무,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151)는 접착제, 양면 테이프, 용접 등에 의해서 본체부(113)의 아랫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151 is a rod-shaped member, formed to extend lo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3,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3. The coupling part 151 may be made of metal, plastic, rubber, aluminum alloy,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15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3 by adhesive, double-sided tape, welding, or the like.

도 4b와 도 6a ~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부(151)에는 악취 방지용 마개(153)와 마주보는 면에 홈라인(152c)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6a~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부(151)는 평판부(152a)와, 평판부(152a)에서 수직 또는 수직과 가깝게 경사지도록 형성된 두 개의 측부(152b)를 구비하는데, 두 개의 측부(152b)가 소정 간격으로 평판부(152a)에 형성된 것에 의해 홈라인(152c)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4B and 6A to 6B, a groove line 152c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odor preventing stopper 153 in the coupling portion 151 to extend long.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6a to 6b, the coupling portion 151 includes a flat plate portion 152a and two side portions 152b formed to be inclined vertically or close to the vertical in the flat plate portion 152a. The groove lines 152c are formed by the side portions 152b of the dogs formed on the flat plate portions 152a at predetermined intervals.

평판부(152a)는 본체부(113)의 아랫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두 측부(152b)의 내측면 끝단에는 제1 돌출부(152d)가 각각 형성되고 외측면 끝단에는 제2 돌출부(152e)가 각각 형성된다. The flat plate portion 152a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3. Further, a first protrusion 152d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two side portions 152b, and a second protrusion 152e is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two side portions 152b, respectively.

돌기라인(156)이 홈 라인(152c)에 삽입될 때 제1 돌출부(152d)가 돌기라인(156) 하단의 요홈(156a)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부(151)와 악취 방지용 마개(153)가 체결된다. 이를 위해, 두 측부(152b)는 돌기라인(156)이 홈 라인(152c)에 삽입될 때에는 바깥쪽으로 휘어질 수 있고 상기 삽입이 완료되어 제1 돌출부(152d)가 요홈(156a)에 체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는 정도로 탄성력과 복원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protrusion line 15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line 152c, the first protrusion 152d is fastened to the groove 156a at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line 156, so that the coupling part 151 and the stopper 153 for preventing odor Is concluded. To this end, the two side portions 152b can be bent outward when the protrusion line 15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line 152c, and when the insertion is completed and the first protrusion 152d is fastened to the groove 156a, the original It is desirable to have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returned to the shape of.

그리고, 간격 유지재(159)가 결합부(151)에 끼워질 때 간격 유지재(159)의 체결돌기(159a)가 제2 돌출부(152e)와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부(151)와 간격 유지재(159)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이 용이하도록 제2 돌출부(152e)의 바깥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 유지재(159)가 결합부(151)에 끼워질 때, 상기 경사면을 따라 체결돌기(159a)가 이동하면 간격 유지재(159)가 옆으로 벌어지고 체결돌기(159a)와 제2 돌출부(152e)의 체결이 완료되면 벌어진 간격 유지재(159)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된다. 이를 위해, 간격 유지재(159)는 탄성력과 복원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when the space retaining member 159 is fit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151, the coupling portion 151 and the distance are maintained by the fastening protrusion 159a of the space retaining member 159 being fastened with the second protrusion 152e. The material 159 is fast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152e is formed to be inclined to facilitate the fastening. When the spacing member 159 is fit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151,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159a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the spacing member 159 opens to the side,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59a and the second protrusion ( When the fastening of 152e) is completed, the gap holding member 159 that has been opene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To this end, the spacing member 159 preferably has an elastic force and a restoring force.

도 1과 도 9a~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부(151)는 두 배수구(111)의 플랜지부(111b) 사이에서 본체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조는 결합부(151)가 양측의 플랜지부(111b)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므로 유리하고 마개(153)가 플랜지부(111b)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하는 데에도 유리하다.As shown in FIGS. 1 and 9a to 9b, the coupling portion 151 is preferably installed to exten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3 between the flange portions 111b of the two drains 111, This structure is advantageous because the coupling portion 151 can be protected by the flange portions 111b on both sides, and is also advantageous in ensuring that the stopper 15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lange portion 111b.

한편, 도 7a ~ 7b는 결합부(151)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결합부(151)의 내부면 양측에는 제1 돌출부(152d)가 형성된다. 제1 돌출부(152d)는 돌기라인(156)의 하단에 체결될 수 있다. 이 결합부(151)는 간격 유지재(159)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악취방지용 마개(153)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제2 실시예에서 더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FIGS. 7A to 7B show modified examples of the coupling part 151. First protrusions 152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151. The first protrusion 152d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line 156. This coupling part 151 can be effectively used when the gap holding material 159 is not required, for example, when the odor preventing stopper 153 is provided integrally, which will be described further in the second embodiment. It should be.

악취 방지용 마개(153)는 연결부(154)와, 연결부(154)의 끝단에 형성된 덮개부(155) 및, 연결부(154)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결합부(151)에 결합되는 돌기라인(156)을 포함할 수 있다. 악취 방지용 마개(153)는 플라스틱, 고무, 스틸,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dor prevention stopper 153 includes a connection part 154, a cover part 155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154, and a protrusion line 156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nnection part 154 and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51 It may include. The odor prevention stopper 153 may be made of plastic, rubber, steel, aluminum allo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돌기라인(156)은 연결부(154)에서 결합부(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라인(156)이 홈라인(152c)에 삽입 및 체결되는 것에 의해 마개(153)가 결합부(151)의 아랫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돌기라인(156)의 하단에는 요홈(156a)이 형성되어 있는데, 돌기라인(156)이 홈라인(152c)에 삽입되었을 때 제1 돌출부(152d)가 요홈(156a)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마개(153)가 결합부(151)에 결합된다. The protrusion line 156 is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51 in the connection portion 154. As described above, the cap 153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151 by inserting and fastening the protruding line 156 into the home line 152c. Specifically, a groove 156a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line 156, and when the protrusion line 156 is inserted into the groove line 152c, the first protrusion 152d is fastened to the groove 156a. Thus, the stopper 153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51.

이와 같이, 악취 방지용 마개(153)가 결합부(151)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면, 마개(153)가 파손될 경우 파손된 마개(153)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경제적이다. 이에 비해, 다수 개의 마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일부 마개만 파손되더라도 전체 마개를 교체해야 하므로 불리하다. In this way, when the stopper 153 for preventing odor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coupling part 151, only the damaged stopper 153 needs to be replaced when the stopper 153 is damaged, so maintenance and repair are convenient and economical. In contrast,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stoppers are integrally formed, it is disadvantageous because the entire stopper must be replaced even if only some of the stoppers are damaged.

연결부(154)는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덮개부(155)가 그 상부의 물 무게로 인해 아래로 회동한 후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덮개부(155)의 상부에 수용된 물이 소정 무게를 넘어서면 도 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덮개부(155)가 연결부(154)의 탄성력을 이겨내면서 아래로 회동하고, 물이 제거되면 연결부(154)의 탄성력에 의해서 덮개부(155)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The connection part 154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this is to allow the cover part 155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after being rotated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water thereon. That is,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part 155 exceeds a predetermined weight, the cover part 155 rotates downward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part 154 as shown in FIG. 9B, and when the water is removed, the connection part ( The cover portion 155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154).

덮개부(155)는 테두리부(155a) 및, 테두리부(155a)에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삽입 가이드부(155b)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덮개부(155)가 연결부(154)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덮개부(155)는 연결부(154)의 한쪽 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cover portion 155 may include an edge portion 155a and an insertion guide portion 155b extending so as to protrude from the edge portion 155a. In the drawings, the cover part 155 is shown to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art 154, but the cover part 155 may be formed only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154.

삽입 가이드부(155b)는 배수구(1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갖고 배수구(111)와 형합하는 형상을 갖되, 배수구(111)의 내경 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삽입 가이드부(155b)는 배수구(111)에 용이하게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다(즉, 삽입 가이드부(155b)가 배수구(111)에 억지끼움되는 것이 아님). 상기 삽입에 의해, 덮개부(155)의 좌우 방향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55b has an upwardly convex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111 and has a shape that matches the drain hole 111, but has an outer diameter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hole 111. Accordingly,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55b can be easily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drain hole 111 (that is,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55b is not forcibly fitted into the drain hole 111). By the insertion, separation of the cover part 155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prevented.

그리고, 삽입 가이드부(155b)가 배수구(111)에 삽입된 경우, 삽입 가이드부(155b)의 상면은 그레이팅(100)의 표면(윗면)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삽입 가이드부(155b)의 상부에 약간의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nd, when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55b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111,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55b is preferably lower than th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100, which is This is to allow some water to be stored at the top.

테두리부(155a)는 연결부(154)의 탄성력에 의해 플랜지부(111b)의 하단에 밀착된다. 테두리부(155a)와 삽입 가이드부(155b)는 서로 협력하여 배수구(111)를 밀폐함으로서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 The rim portion (155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lange portion (111b)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54). The rim portion 155a and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55b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seal the drain 111 to prevent an odor from rising.

악취 방지용 마개(153)는, 도 5a~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중앙의 돌기라인(156)을 중심으로 본체부(113)를 향해서 소정 각도(θ)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덮개부(155)가 배수구(111)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하여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고 도 9b와 같이 덮개부(155)가 아래로 회동된 후 원위치로 잘 복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dor prevention stopper 153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toward the main body 113 around the protrusion line 156 at the center, as shown in FIGS. 5A to 5B. This is to prevent the odor from rising by allowing the cover part 155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drain hole 111, and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cover part 155 is rotated downward as shown in FIG. 9B.

상기 각도(θ)는 1˚~ 15˚가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각도(θ)가 1˚ 보다 작으면 덮개부(155)의 밀착력이 부족하여 악취가 올라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각도(θ)가 15˚ 보다 크면 덮개부(155) 위에 우수가 저장된 경우에도 덮개부(155)가 아래로 회동하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The angle (θ) is preferably 1˚ to 15˚. If the angle (θ) is less than 1˚,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odor may rise due to insufficient adhesion of the cover part 155, and if the angle θ is greater than 15˚, rainwater is stored on the cover part 155 Even in this cas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cover part 155 does not rotate downward.

상기 각도(θ)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상기 각도(θ)와 함께, 도 10a~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악취 방지용 마개(153)의 내부에 탄성 부재(157)가 매설될 수 있다. As an alternative to the angle θ or together with the angle θ, as shown in FIGS. 10A to 10B, an elastic member 157 may be embedded in the odor preventing stopper 153.

탄성 부재(157)는 악취 방지용 마개(153)의 길이 방향(결합부와 직각이 되는 방향)을 따라 악취 방지용 마개(153)의 내부에 매설될 수 있는데, 악취 방지용 마개(153)의 중앙 또는 양측에 매설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57 may be buried in the odor preventing stopper 15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odor preventing stopper 153, the center or both sides of the odor preventing stopper 153 Can be buried in.

탄성 부재(157)는 마개(153)가 아래로 회동된 후 원위치로 잘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고 마개(153)의 수명을 늘린다. The elastic member 157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topper 153 can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being rotated downward and extends the life of the stopper 153.

탄성 부재(157)로는 봉 형상의 스프링, 사각형 판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은 스틸,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As the elastic member 157, a rod-shaped spring, a square leaf spring, or the like may be used. In addition, the spring may be made of steel, plastic, stainless steel, or the like.

위에서는 덮개부(155)가 테두리부(155a)와 삽입 가이드부(155b)를 포함하고 삽입 가이드부(155b)가 위로 돌출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도 11a~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덮개부(155)는 배수구(111)를 덮는 면적을 가진 평면으로 이루어지되 덮개부(155)와 연결부(154)가 돌기라인(156)을 중심으로 본체부(113)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마개(153)는 경사 각도(θ)가 존재하기 때문에 덮개부(155)가 배수구(111)의 하단에 밀착될 수 있다. In the abo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part 155 includes the rim part 155a and the insertion guide part 155b and the insertion guide part 155b protrudes upward has been described, but as shown in FIGS. 11A to 11B, the cover part ( The 155 may be formed in a plane having an area covering the drain hole 111, bu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part 155 and the connection part 154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body part 113 around the protrusion line 156. Since the stopper 153 has an inclination angle θ, the cover part 155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drain hole 111.

한편, 간격 유지재(159)는 결합부(151)에 설치되어 악취방지용 마개(153)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간격 유지재(159)는 마개(153)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On the other hand, the gap holding member 159 is installed on the coupling portion 151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between the odor preventing stopper 153. The spacing member 159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between the plugs 153.

도 8a~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격 유지재(159)는

Figure pat00006
형상의 단면을 갖는데, 그 끝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체결 돌기(159a)를 구비한다.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격 유지재(159)가 결합부(151)에 끼워질 때, 체결 돌기(159a)는 제2 돌출부(152e)에 체결된다. 체결 돌기(159a)가 제2 돌출부(152e)에 체결되면 간격 유지재(159)가 결합부(151)에 고정되므로 마개(153)의 위치가 고정되고, 이에 따라 덮개부(155)가 배수구(1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8a to 8b, the space keeping member 159 is
Figure pat00006
It has a cross-section of a shape, and has a fastening protrusion 159a protruding inward at its end. As shown in FIG. 4B, when the space retaining member 159 is fit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151, the fastening protrusion 159a is fastened to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152e.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159a is fastened to the second protrusion 152e, since the spacer 159 is fixed to the coupling part 151, the position of the stopper 153 is fixed, and accordingly, the cover part 155 is 111) can be prevented.

제2 실시예Embodiment 2

도 1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악취방지용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E-E' 단면도이다. 도 12a~12b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11b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12A is a plan view showing a stopper for preventing odor of a grat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12A. Among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s of FIGS. 12A to 12B,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FIGS. 1 to 11B denote the same components.

상기 그레이팅은, 제1 실시예의 그레이팅과 비교하여, 다수 개의 악취방지용 마개(153)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제1 실시예의 그레이팅은 서로 분리되도록 제작된 각각의 악취방지용 마개(153)가 결합부(151)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었으나, 제2 실시예의 그레이팅은 다수 개의 악취방지용 마개(153)가 돌기라인(156)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돌기라인(156)이 이웃하는 마개(153)를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복수 개의 마개(153)가 일체로 연결된다. Compared with the grating of the first embodiment, the grating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dor-preventing plugs 153 are integrally provided. In the grating of the first embodiment, each of the odor-preventing plugs 153, which are manufact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detachably coup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oupling portion 151, but the grating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 plurality of odor-preventing plugs 153. Has a structure integrally formed by the protruding line 156. That is, the protrusion line 156 extends to connect the neighboring plugs 153 to each other, so that the plurality of plugs 153 are integrally connected.

마개(153)는 돌기라인(156)을 홈라인(152c)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결합부(151)에 체결될 수 있다. The stopper 153 may be fastened to the coupling portion 151 by inserting the protrusion line 156 into the home line 152c.

제3 실시예Embodiment 3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 구비된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4a는 상기 그레이팅에 구비된 미끄럼 방지용 마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14b는 도 14a의 F-F'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a는 미끄럼 방지용 마개와 악취방지용 마개가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5b는 악취방지용 마개가 아래로 회동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15b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12b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연결 바(140)에 의해 결합되어 그레이팅을 이룬다. 13 is a plan view showing a grating component provided in a gratin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A is a plan view showing a non-slip stopper provided in the grating, and FIG. 1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F' of FIG. 14A. And, FIG. 1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anti-slip stopper and the odor preventing stopper are installed in the drain, and FIG. 1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odor preventing stopper is rotated downward. Among the reference numerals of FIGS. 13 to 15B,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FIGS. 1 to 12B denote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110 are coupled by a connection bar 140 to form a grating.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그레이팅은, 제1,2 실시예의 그레이팅과 비교하여, 미끄럼 방지용 마개(160)가 배수구(111)에 추가로 삽입 설치되었다는 차이점이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grating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anti-slip stopper 160 is additionally inserted into the drain 111 compared to the grating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미끄럼 방지용 마개(160)는 몸체(161)와, 몸체(161)의 상단에 형성된 구획부(163) 및, 구획부(163)의 중앙에서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160)는 플라스틱, 고무, 스틸,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non-slip stopper 160 may include a body 161, a partition 163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body 161, and a protrusion 165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partition 163. The stopper 160 may be made of plastic, rubber, steel, aluminum alloy,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몸체(161)는 배수구(111) 상단의 곡면부(111a)와 형합하는 걸림부(162)를 갖고, 배수구(111)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관통부가 형성된다. 즉, 배수구(111) 상단 둘레에는 배수구(111)를 천공할 때의 버링 작업으로 인해 곡면부(111a)가 형성되는데, 몸체(161)의 상단 외주면은 곡면부(111a)와 형합하는 걸림부(162)로 형성된다. The body 161 has a hooking portion 162 that fits with the curved portion 111a at the top of the drain 111 and is inserted into the drain 111 and installed therein, and a through portion is formed therein. That is, a curved portion 111a is formed around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drain hole 111 due to the burring operation when drilling the drain hole 111, a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61 is a locking portion ( 162).

그리고, 몸체(161)의 하단에는 걸림턱(166)이 형성된다. 걸림턱(166)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된 부분이다. 따라서, 마개(160)를 배수구(111) 상측에서 끼워 넣으면 걸림턱(166)이 곡면부(111a)를 타고 슬라이딩 되면서 아래로 이동하여 걸림턱(166)이 플랜지부(111b)의 하단에 걸리게 된다. 이 때, 몸체(161)의 내부는 비어 있으므로 걸림턱(166)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배수구(111)에 삽입된 후 걸림턱(166)이 플랜지부(111b)의 하단에 걸리면 걸림턱(166)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마개(160)는 몸체(161)의 상단이 곡면부(111a)와 형합되도록 형성되는 구성과, 걸림턱(166)이 플랜지부(111b)의 하단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임의 이탈이 방지된다.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166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161. The locking jaw 166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a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Therefore, when the stopper 160 is inserted from the top of the drain 111, the locking jaw 166 slides along the curved portion 111a and moves downward so that the locking jaw 166 is caught at the lower end of the flange portion 111b. . At this time, since the inside of the body 161 is empty, the locking jaw 166 is elastically deformed and inserted into the drain 111 and then the locking jaw 166 is caught at the lower end of the flange portion 111b. )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In this way, the stopper 160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61 is mated with the curved portion 111a, and the locking protrusion 166 is prevented from any separation by being caught on the lower end of the flange portion 111b. .

구획부(163)는 관통부를 구획하여 작은 구멍(163a)을 형성한다. 도면에는

Figure pat00007
형상의 구획부(163)가 형성되어 있으나, 구획부(163)는 큰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고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partition part 163 divides the through part to form a small hole 163a. On the drawing
Figure pat00007
Although the partition part 163 of the shape is formed, the partition part 163 may have various shapes as long as it can filter out large foreign substances and support a load.

돌출부(165)는 구획부(163)의 중앙에서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65)는 그레이팅의 윗면에서 마찰력을 크게 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한다. The protrusion 165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partition 163. The protrusion 165 prevents slipping 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미끄럼 방지용 마개(160) 제조시, 다양한 컬러 염료 및/또는 형광 염료를 추가하여 안전을 위한 식별성을 높이고 디자인 심미감을 우수하게 할 수도 있다.When manufacturing the anti-slip stopper 160, various color dyes and/or fluorescent dyes may be added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for safety and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design.

한편, 제3 실시예에서, 결합부(151)는 두 배수구(111)의 플랜지부(111b) 사이에서 본체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악취방지용 마개(153)는 결합부(151)에 결합된다. 악취방지용 마개(153)로는 도 5a~5b, 도 10a~10b, 도 11a~11b, 도 12a~12b의 마개(153)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 151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1 between the flange portion (111b) of the two drains 111, the odor prevention stopper 153 is a coupling portion ( 151). As the odor preventing stopper 153, any one of the stoppers 153 of FIGS. 5A-5B, 10A-10B, 11A-11B, and 12A-12B may be selectively provided.

도 1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악취방지용 마개(153)는 테두리부(155a)가 걸림턱(166)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덮개부(155) 위에 물이 소정량 저장되면 도 1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덮개부(155)가 아래로 회동하고, 덮개부(155) 위의 물이 제거되면 덮개부(155)가 원위치로 복귀된다.As shown in FIG. 15A, the odor prevention stopper 153 is installed so that the rim portion 155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cking jaw 166, and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tored on the cover portion 155, the cover portion as shown in FIG. 15B When 155 is rotated downward and the water on the cover portion 155 is removed, the cover portion 155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제4 실시예Embodiment 4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악취방지 유닛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7a는 상기 악취방지 유닛이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7b는 상기 악취방지 유닛이 배수구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악취방지용 마개가 아래로 회동된 것을 보여준다. 도 16~17b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15b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1~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수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연결 바(140)에 의해 결합되어 그레이팅을 이룬다. 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a grating odor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the odor prevention unit is installed in a drain hole. And, Figure 17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odor preven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drain, showing that the stopper for preventing odor is rotated downward. Among the reference numerals of FIGS. 16 to 17B,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FIGS. 1 to 15B denote the same components. And,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 plurality of grating components 110 are coupled by a connection bar 140 to form a grating.

상기 그레이팅은, 전술한 실시예의 그레이팅과 비교하여, 악취방지 유닛의 결합부(151)와 마개(153)가 일체로 형성되었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결합부(151)는

Figure pat00008
단면 형상을 갖고 플랜지부(111b) 사이에서 본체부(113)의 아랫면에 결합되고, 연결부(154)는 결합부(151)의 양쪽 하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덮개부(155)는 연결부(154)의 끝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결합부(151)와 본체부(113)의 아랫면은 접착제, 양면 테이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155)는 플랜지부(111b)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데, 덮개부(155) 위에 물이 소정량 저장되면 도 1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무게에 의해서 아래로 회동되고 물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The grating is different from the grating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151 and the stopper 153 of the odor prevention unit are integrally formed. That is, the coupling part 151 is
Figure pat00008
It has a cross-sectional shape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3 between the flange portions 111b, the connection portion 154 is formed to extend integrally from both lower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151, and the cover portion 155 is a connection portion It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end of (154). The coupling portion 15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3 may be coupled by a method such as an adhesive, double-sided tape, or welding. And, the cover part 155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lange part 111b, and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tored on the cover part 155, it is rotated downward by its weight and the water is removed as shown in FIG. 17B. If so,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한편, 도 18a는 배수구(111)에 미끄럼 방지용 마개(160)가 더 설치된 그레이팅 구성품을 보여주고, 도 18b는 악취방지용 마개가 아래로 회동된 것을 보여준다.On the other hand, FIG. 18A shows a grating component in which a non-slip stopper 160 is further installed in the drain 111, and FIG. 18B shows that the stopper for odor prevention is rotated downward.

미끄럼 방지용 마개(160)는, 도 14a~14b의 미끄럼 방지용 마개(160)와 비교하여, 걸림턱(166)이 없고 그 높이가 낮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155)는 플랜지부(111b)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1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덮개부(155) 위에 물이 소정량 저장되면 그 무게에 의해서 아래로 회동되고, 물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The anti-slip stopper 160 has a difference in that it does not have a locking jaw 166 and has a low height compared to the anti-slip stopper 160 of FIGS. 14A to 14B. Accordingly, the cover portion 155 is instal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lange portion 111b. And, as shown in FIG. 18B,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tored on the cover portion 155, it is rotated downward by its weight, and when the water is removed,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1, 100 : 그레이팅 110 : 그레이팅 구성품
111 : 배수구 111a : 곡면부
111b : 플랜지부 112 : 지지부
113 : 본체부 114 : 홈
116 : 미끄럼 방지 돌기 117 : 엠보싱
140 : 연결 바 142 : 수직부
144 : 수평부 150 : 악취방지 유닛
151 : 결합부 152a : 평판부
152b : 측부 152c : 홈 라인
152d : 제1 돌출부 152e : 제2 돌출부
153 : 악취방지용 마개 154 : 연결부
155 : 덮개부 155a : 테두리부
155b : 삽입 가이드부
156 : 돌기라인 156a : 요홈
157 : 탄성 부재 159 : 간격 유지재
159a : 체결돌기 160 : 미끄럼 방지용 마개
161 : 몸체 162 : 걸림부
163 : 구획부 163a : 작은 구멍
165 : 돌출부 166 : 걸림턱
1, 100: grating 110: grating components
111: drain hole 111a: curved portion
111b: flange portion 112: support portion
113: main body 114: groove
116: anti-slip protrusion 117: embossing
140: connecting bar 142: vertical part
144: horizontal part 150: odor prevention unit
151: coupling portion 152a: flat plate portion
152b: side 152c: groove line
152d: first protrusion 152e: second protrusion
153: stopper for odor prevention 154: connection part
155: cover portion 155a: rim portion
155b: insertion guide part
156: protruding line 156a: concave
157: elastic member 159: spacing member
159a: fastening protrusion 160: non-slip stopper
161: body 162: locking part
163: compartment 163a: small hole
165: protrusion 166: locking jaw

Claims (11)

여러 개의 배수구(111)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본체부(113); 및,
본체부(113)의 아랫면에 결합되어 배수구(111)를 밀폐하는 악취방지 유닛(150);을 포함하고,
악취방지 유닛(150)은,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본체부(113)의 아랫면에 결합된 결합부(151); 및,
배수구(111)의 아랫면을 밀폐하도록 결합부(151)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악취 방지용 마개(153);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부(151)에는 홈라인(152c) 또는 돌기라인이 형성되며,
악취 방지용 마개(153)는,
결합부(151)에 결합되되, 결합부(151)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된 연결부(154); 및,
배수구(111)를 밀폐하도록 연결부(154)의 단부에 마련된 덮개부(155);를 포함하고,
연결부(154)에는 상기 홈라인(152c) 또는 돌기라인과 결합되는 돌기라인(156) 또는 홈라인이 형성되고,
연결부(154)는 덮개부(155)를 배수구(111)에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며, 덮개부(155) 위에 물이 저장되면 물의 하중에 의해 덮개부(155)가 아래로 회동하여 배수구(111)가 개방되고, 상기 물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덮개부(155)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A body portion 113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drain holes 1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udes; an odor prevention unit 15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3 to seal the drain 111,
The odor prevention unit 150,
A coupling portion 151 formed to extend in a lengthwise direction in a rod shape a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3; And,
Includes; a plurality of odor-preventing plugs 153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coupling portion 151 to seal the lower surface of the drain hole 111,
A groove line 152c or a protrusion line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15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dor prevention stopper 153,
Doedo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51, the coupling portion 154 extending to one or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151; And,
Including; a cover portion 155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54 to seal the drain hole 111,
The connection part 154 has a protrusion line 156 or a groove line coupled to the groove line 152c or the protrusion line,
The connection part 154 has an elastic force that makes the cover part 155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 hole 111, and when water is stored on the cover part 155, the cover part 155 is rotated downward by the load of water, and the drain hole 111 Is opened, and when the water is removed, the cover part 155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n elastic force.
여러 개의 배수구(111)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본체부(113); 및,
본체부(113)의 아랫면에 결합되어 배수구(111)를 밀폐하는 악취방지 유닛(150);을 포함하고,
악취방지 유닛(150)은,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본체부(113)의 아랫면에 결합되는 결합부(151); 및,
소정 간격으로 결합부(151)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54); 및,
배수구(111)를 밀폐하도록 연결부(154)의 단부에 마련된 덮개부(155);를 포함하고,
연결부(154)는 덮개부(155)를 배수구(111)에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며, 덮개부(155) 위에 물이 저장되면 물의 하중에 의해 덮개부(155)가 아래로 회동하여 배수구(111)가 개방되고, 상기 물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덮개부(155)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A body portion 113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drain holes 1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udes; an odor prevention unit 150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3 to seal the drain 111,
The odor prevention unit 150,
A coupling portion 151 formed to extend in a lengthwise direction in a rod shape and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3; And,
A connection portion 154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151 to one or both sid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Including; a cover portion 155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54 to seal the drain hole 111,
The connection part 154 has an elastic force that makes the cover part 155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 hole 111, and when water is stored on the cover part 155, the cover part 155 is rotated downward by the load of water, and the drain hole 111 Is opened, and when the water is removed, the cover part 155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n elastic for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덮개부(155)가 배수구(111)에 밀착되도록, 연결부(154)가 중앙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본체부(113)를 향하여 1˚~ 15˚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Gra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ortion 155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 hole 111, and the connection portion 154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center toward the body portion 113 toward the body portion 113 by 1˚ to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부(154)는 결합부(151)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연결부(154)의 내부 또는 덮개부(155)와 연결부(154)의 내부에는 결합부(151)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탄성부재(157)가 매설되고,
탄성부재(157)는 덮개부(155)가 배수구(111)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nection part 154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coupling part 151, and the elastic member ( 157) is buried,
The elastic member 157 is grating, characterized in that apply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cover portion 15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 hole 111.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151)에 설치되어 악취 방지용 마개(15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재(159);를 포함하며,
결합부(151)의 홈라인(152c)은 결합부(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홈라인(152c)의 양측 내부에는 제1 돌출부(152d)가 형성되며, 돌기라인(156)이 홈 라인(152c)에 삽입될 때 제1 돌출부(152d)가 돌기라인(156) 하단의 요홈(156a)에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결합부(151)와 악취 방지용 마개(153)가 체결되며,
홈라인(152c)의 양측 외부에는 제2 돌출부(152e)가 형성되고 간격 유지재(159)의 내측에는 체결돌기(159a)가 형성되며, 제2 돌출부(152e)와 체결돌기(159a)가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간격 유지재(159)가 결합부(151)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악취 방지용 마개(153)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The method of claim 1,
Includes; a gap-holding member 159 installed on the coupling part 151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stopper 153 for preventing odors,
The groove lines 152c of the coupling portion 151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51, and first protrusions 152d are formed inside both sides of the groove line 152c, and the projection line 156 Whe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line 152c, the first protrusion 152d is fastened to the groove 156a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line 156, so that the coupling part 151 and the stopper 153 for preventing odor are fastened,
A second protrusion 152e is formed outside both sides of the groove line 152c, and a fastening protrusion 159a is formed inside the space holder 159, and the second protrusion 152e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59a are fastened. Gra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holding member 159 is fixed to the coupling portion 151 by being,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stopper 153 for preventing odor is fixed.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151)에는 홈라인(152c)이 형성되고 연결부(154)에는 돌기라인(156)이 형성되며, 돌기라인(156)이 홈라인(152c)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악취 방지용 마개(153)가 결합부(151)에 체결되고,
돌기라인(156)은 이웃하는 악취 방지용 마개(153)를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복수 개의 악취 방지용 마개(153)가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The method of claim 1,
A groove line 152c is formed in the coupling part 151 and a protruding line 156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154, and the stopper 153 for preventing odor by fastening the protruding line 156 to the home line 152c. Is fastened to the coupling portion 151,
Gra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line 156 extends to connect the neighboring odor prevention stoppers 153 to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odor prevention stoppers 153 are integrally connected.
제3항에 있어서,
덮개부(155)는,
연결부(154)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테두리부(155a); 및,
테두리부(155a)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된 삽입 가이드부(155b);를 포함하고,
삽입 가이드부(155b)의 외경은 배수구(111)의 내경 보다 작고, 이에 따라 삽입 가이드부(155b)가 연결부(154)의 탄성력에 의해 배수구(111)에 용이하게 삽입되며,
상기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 가이드부(155b)는 덮개부(155)가 배수구(111)로부터 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The method of claim 3,
The cover part 155,
An edge portion (155a)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54 and formed; And,
Including; an insertion guide portion (155b) formed to extend and protrude from the edge portion (155a),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guide part 155b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drain hole 111, and accordingly, the insertion guide part 155b is easily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11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part 154,
In the inserted state, the insertion guide portion (155b) is grating,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the cover portion (155) from lateral separation from the drain hole (111).
제3항에 있어서,
덮개부(155)는 연결부(154)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배수구(111)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진 평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The method of claim 3,
The cover portion 155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54,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ting is made of a flat plane having an area capable of covering the drain (111).
제3항에 있어서,
배수구(111)에는 미끄럼방지용 마개(160)가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미끄럼방지용 마개(160)는,
배수구(111)에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관통부가 형성된 몸체(161);
상기 관통부를 구획하여 작은 구멍(163a)으로 만드는 구획부(163); 및,
구획부(163)의 중앙에서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165);를 포함하고,
몸체(161)의 상단 둘레에는 걸림부(161a)가 형성되고, 작은 구멍(163a)은 몸체(161)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걸림부(161a)가 배수구(111)의 상단 둘레에 걸리도록 설치되면 돌출부(165)가 그레이팅의 윗면 보다 위로 돌출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The method of claim 3,
The drain hole 111 is installed so that a non-slip stopper 160 is inserted,
The non-slip stopper 160,
A body 161 inserted into the drain 111 and formed with a through part therein;
A partition part 163 making a small hole 163a by partitioning the through part; And,
Including; a protrusion 165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partition 163,
A locking portion (161a) is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body 161, and a small hole (163a) is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161 up and down,
Grating,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ocking portion (161a) is installed to be caught around the upper end of the drain hole 111, the protrusion 165 protrudes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to prevent slipp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은 본체부(113)와 지지부(112)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연결 바(140)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서로 밀착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지지부(112)는 본체부(113)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10)의 지지부(112)가 서로 접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부(112) 또는 본체부(113)의 양쪽 단부가 연결바(140)에 용접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이웃하는 그레이팅 구성품(110)이 결합되고,
본체부(113)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부(112)와 연결 바(140)가 지지하고,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던 베어링 바(3) 및, 베어링 바(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그레이팅 윗면에 설치되던 크로스 바(4)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The method of claim 3,
The grating is made by at least two grating components 110 having a main body 113 and a support 112 being close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 connection bar 140,
The support part 112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downward from two sides facing each other of the body part 113,
Both ends of the support part 112 or the main body part 113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140 by welding or fastening members while the support part 112 of the neighboring grating component 110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being a neighboring grating component 110 is combined,
The load acting on the body part 113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112 and the connection bar 140, and in order to maintain the space between the bearing bar 3 and the bearing bar 3 installed to support the load Gra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include a cross bar (4)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ating.
제10항에 있어서,
연결 바(140)는 그 상단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의 연장된 부분(144)이 본체부(113)를 지지하거나, 그 하단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의 연장된 부분이 지지부(112)의 양쪽 하단의 홈에 삽입되거나, 그 상단과 하단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nection bar 140 has an upper e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extended portion 144 at the upper end supporting the main body 113, or the lower e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extended portion at the lower end supporting unit 112 Grating,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grooves of both lower ends of the, or the upper and lower ends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KR1020190133560A 2019-10-25 2019-10-25 Grating having bad smell preventive stoppers being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in the drain thereof and being prevented from arbitrary breakaway KR202100493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560A KR20210049352A (en) 2019-10-25 2019-10-25 Grating having bad smell preventive stoppers being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in the drain thereof and being prevented from arbitrary breaka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560A KR20210049352A (en) 2019-10-25 2019-10-25 Grating having bad smell preventive stoppers being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in the drain thereof and being prevented from arbitrary breakaw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352A true KR20210049352A (en) 2021-05-06

Family

ID=7591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560A KR20210049352A (en) 2019-10-25 2019-10-25 Grating having bad smell preventive stoppers being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in the drain thereof and being prevented from arbitrary breaka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935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8256B1 (en) Drainage grate assembly
US6899240B2 (en) Subgrade vault
US7066685B2 (en) Drainage grate
US11015331B1 (en) Drainage grating structure
KR102040487B1 (en) Grating manufactured by coupling grating components made from metal plate and, grating assembly manufactured by coupling the grating
KR20210049352A (en) Grating having bad smell preventive stoppers being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in the drain thereof and being prevented from arbitrary breakaway
JP6165938B1 (en) Drainage unit
KR101400081B1 (en) Drain module having slope grating
KR101599329B1 (en) One body type drainage trench
KR102335040B1 (en) Grating of non-slip type
JP6360463B2 (en) Groove lid with curb body
KR102232208B1 (en) Grating manufactured by coupling grating components made from metal plate and,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US7326000B2 (en) Block for embankment
KR101365250B1 (en) Steel Grating
KR101916353B1 (en) Grating manhole
JP3789451B2 (en) Groove cover for side groove
KR100837654B1 (en) Assembly type grating
KR102049984B1 (en) Compressive strength enhanced drain grating
KR102582396B1 (en) Safety cover for drainage grating
KR20170139353A (en) Grating for drainage
KR102582393B1 (en) Rain gutter cover for public roads
KR102325842B1 (en) Square cell trench grating
NL1016495C2 (en) Greenhouse or warehouse gutter with supports for glass panels and roof rods, has collection channels for leakage water provided in these supports
KR100523415B1 (en) Steel grating
JP4158052B2 (en) Side groove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