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287A - Weight balancing system, and bridge inspection vehicle used it, and weight balancing method - Google Patents

Weight balancing system, and bridge inspection vehicle used it, and weight balanc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287A
KR20210049287A KR1020190133390A KR20190133390A KR20210049287A KR 20210049287 A KR20210049287 A KR 20210049287A KR 1020190133390 A KR1020190133390 A KR 1020190133390A KR 20190133390 A KR20190133390 A KR 20190133390A KR 20210049287 A KR20210049287 A KR 20210049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ork
bridge inspection
driv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승옥
Original Assignee
신승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옥 filed Critical 신승옥
Priority to KR1020190133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9287A/en
Publication of KR20210049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2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4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balancing system for a bridge inspection vehicle, a bridge inspection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weight balancing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overturning of a vehicle by balancing the weight of a structure on a chassis during work or driving so that a vehicle body load is not unbalanced, and can prevent accidents by improving vehicle body stability during work and driving. A weight balancing system installed in a bridge inspection vehicle comprises: a lift; a plurality of rooms for accommodating the weight by dividing a space in the chassis of a special vehicle i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cylinder driving unit for driving a cylinder connected to the weight to move the weight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room.

Description

교량점검차의 무게 밸런싱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교량점검차 및 무게 밸런싱 방법{WEIGHT BALANCING SYSTEM, AND BRIDGE INSPECTION VEHICLE USED IT, AND WEIGHT BALANCING METHOD}The weight balancing system of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and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equipped with it and the weight balancing method {WEIGHT BALANCING SYSTEM, AND BRIDGE INSPECTION VEHICLE USED IT, AND WEIGHT BALANCING METHOD}

본 발명은 교량점검차의 무게 밸런싱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교량점검차 및 무게 밸런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중 혹은 주행 중 차대 위 구조물의 무게 밸런싱을 맞춰 차체 하중이 편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 및 주행 중 차체 안정성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교량점검차의 무게 밸런싱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교량점검차 및 무게 밸런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balancing system of a bridge inspection vehicle, a bridge inspection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weight balancing method.More specifically, the vehicle overturns by balancing the weight of the structure on the vehicle body during work or driving so that the body load is not bia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balancing system for a bridge inspection vehicle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improving vehicle body stability during work and driving, and a bridge inspection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weight balancing method.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현장이나 건축물작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특수차량이 사용되고 있다. 이 같은 특수차량에는 고소작업차, 교량작업차, 고가사다리차, 고가굴절탑차 등이 있으며, 사람이 탑승한 작업대를 작업위치로 이동시켜 다양한 공중 작업을 하도록 하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various special vehicles are used at construction sites or building work sites. Such special vehicles include high place work cars, bridge work cars, elevated ladder cars, and elevated refraction trucks, and are used in a form that moves a worktable on which a person is boarded to a work position to perform various aerial work.

최근 이러한 특수차량들은 이동식차량에 탑재형으로 만들어져 기동성을 확보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these special vehicles have been made to be mounted on mobile vehicles, and thus, there is a trend to secure maneuverability.

이 중 고소작업차는 고층건물과 같은 구조물에 하중이 많이 나가는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량이며, 최근에는 작업자를 탑승시키고 설치하려는 구조물을 함께 적재하여 고공에서 설치하거나 이미 설치한 구조물을 정비 또는 교체하는 작업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high-altitude work vehicles are vehicles used to raise or lower heavy loads on structures such as high-rise buildings. It is widely used for replacement work.

이와 같은 중량물 운반을 위한 운반용 고소작업차와 시설물 정비 및 교체를 위한 작업용 고소작업차는 작업의 안정성과 기동성을 확보하여야 함은 물론,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량에 그 길이가 신축되는 붐대를 설치하고,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작업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stability of work, as well as to secure work stability and maneuverability, a boom that extends and contracts the length of the vehicle is installed. , It is being develop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is being used efficiently and widely in the current work site.

또한 교량점검차는 차량의 차대에 유압식 곤돌라 또는 리프터를 부착하여 이것을 점검원이 타고 교량 하부의 점검 등을 실시하는 특수차량으로, 다단으로 굴절된 붐대의 말단에 교량 점검대가 마련되고 이 교량 점검대를 교량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량 점검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a bridge inspection vehicle is a special vehicle in which a hydraulic gondola or lifter is attached to the chassis of the vehicle and the inspector rides it to perform inspections of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and a bridge inspection platform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oom that is bent in multiple stages. It can be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so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conveniently perform the bridge inspection.

이 같이 고소작업차나 교량점검차는 차량 밖으로 위치되는 신축된 붐대나 교량 점검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작업 중 전복을 방지하기 위해서 아웃트리거를 필수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As such, an outrigger is essential to support the newly constructed boom or bridge inspection platform located outside the vehicle and to prevent overturning during work.

즉 특수차량의 작업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그 길이가 신축되는 아웃트리거가 차체의 프레임 양측단에 설치되어 작업시 아웃트리거의 작동으로 차체의 하중을 아웃트리거가 지지해 주게 됨으로서 차체의 전복을 방지하며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in order to secure the working stability of a special vehicle, outriggers whose length is extended in the lateral direction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ram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outriggers support the load of the vehicle body by the operation of the outrigger during work, thereby overturning the vehicle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secure the stability of the work.

이 같은 아웃트리거는 아우트리거 하우징에 인입되어 있다가 구동 실린더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인출되는 수평 작동대, 및 수평 작동대의 선단에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신축 동작하도록 구성된 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아우트리거들은 차체로부터 사다리붐, 굴절붐 등이 전개된 상태에서, 차량을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Such an outrigg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operating platform that is inserted into the outrigger housing and is drawn out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 driving cylinder, and a leg that is coupled to the tip of the horizontal operating platform and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in a vertical direction. These outriggers stably support the vehicle on the ground while the ladder boom, articulated boom, and the like are deployed from the vehicle body.

하지만 최근 특수차량에 보다 넓은 작업 반경이 요구되면서 붐대의 신축범위가 넓어져 붐대의 최대 전개시 아웃트리거의 지지력을 초과하여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 사례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더군다나 복잡한 현장 작업 상황에 따라 아웃트리거의 수평 작동대 인출량이 작은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차량의 밸런스를 아웃트리거에만 의존해 작업을 진행하는 것에 많은 위험성이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However, as special vehicles require a wider working radius, the expansion range of the boom is widened, and accidents often occur in which the vehicle is overturned by exceeding the support capacity of the outrigger when the boom is fully deployed. Furthermore,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lot of danger in relying on the balance of the vehicle to proceed with the work by relying only on the outrigger because the outrigger's horizontal operating table withdrawal amount is often small depending on the complex field work situ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 중 혹은 주행 중 차대 위 구조물의 무게 밸런싱을 맞춰 차체 하중이 편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 및 주행 중 차체 안정성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교량점검차의 무게 밸런싱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교량점검차 및 무게 밸런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event the vehicle from overturning by balancing the weight of the structure on the vehicle chassis during operation or driving so that the vehicle body load is not biased. It is to provide a weight balancing system for a bridge inspection vehicle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improving the vehicle body stability, and a bridge inspection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weight balanc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점검차의 무게 밸런싱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교량점검차 및 무게 밸런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중 혹은 주행 중 차대 위 구조물의 무게 밸런싱을 맞춰 차체 하중이 편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 및 주행 중 차체 안정성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교량점검차의 무게 밸런싱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교량점검차 및 무게 밸런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balancing system of a bridge inspection vehicle and a bridge inspection vehicle and a weight balancing method equipped with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balancing system of a bridge inspection vehicle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preventing overturning of the vehicle and improving vehicle body stability during work and driving, and a bridge inspection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nd a weight balanc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중 혹은 주행 중 차대 위 구조물의 무게 밸런싱을 맞춰 차체 하중이 편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 및 주행 중 차체 안정성을 향상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overturning by adjusting the weight of the structure on the chassis during work or driving so that the vehicle body load is not biased, and to improve the vehicle body stability during work and driving,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t works.

또한 아웃트리거에 대한 차량 밸런스 의존도를 낮춰 현장 상황에 따른 아웃트리거의 인출량에 구애되지 않고 더 나아가 아웃트리거가 없이도 차량 밸런스를 안정적으로 맞출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dependence on the vehicle balance on the outrigger so that the vehicle balance can be stably adjust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amount of withdrawal of the outrigger according to the on-site situation.

또한 무게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중량물의 이동이 주행 여부, 아웃트리거 인출 여부 그리고 붐대 전개 방향에 맞춰 자동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수동 조작 실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ovement of the heavy object to balance the weight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whether the outrigger is taken out, and the direction of the boom stan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caused by manual manipulation mistakes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소작업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고소작업차에 적용되는 무게 밸런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고소작업차의 차대에 탑재되는 무게 밸런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고소작업차에서 무게 밸런싱 시스템의 중량물 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량점검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교량점검차에 적용되는 무게 밸런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교량점검차의 차대에 탑재되는 무게 밸런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교량점검차에서 무게 밸런싱 시스템의 중량물 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 밸런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erial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eight balancing system applied to an aerial vehicl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weight balancing system mounted on the chassis of the aerial vehicl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a heavy object of a weight balancing system in an aerial vehicle.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ridge inspection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eight balancing system applied to a bridge inspection vehicle.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weight balancing system mounted on the chassis of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a heavy object of a weight balancing system in a bridge inspection vehicle.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avy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eight balanc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수차량은 고소작업차, 교량작업차, 고가사다리차, 고가굴절탑차 등 주행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며 사람 또는 장비가 탑승한 작업대를 작업위치로 이동시켜 다양한 공중 작업을 하도록 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A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through driving, such as an aerial work car, a bridge work car, an elevated ladder car, and an elevated articulated truck, and moves the work table on which a person or equipment is boarded to a work position to perform various aerial work. It means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소작업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erial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특수차량 중 고소작업차의 경우 고소작업 장치(200)가 탑재차량(100)의 차대(110)에 설치되어 이동 및 운용이 이루어질 것이다. 여기에서 차대(110)는 탑재차량(100)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는 짐칸으로, 하부에는 바퀴가 장착되고 측면에는 아웃트리거(120)가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고소작업 장치(200)가 탑재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 in the case of an aerial vehicle among special vehicles, the aerial vehicle 200 is installed on the chassis 110 of the vehicle 100 to be moved and operated. Here, the chassis 110 is a luggage compartmen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0, and wheels are mounted on the lower side, and the outrigger 120 is installed to be withdrawn on the side, and the aerial work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do.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 장치(200)는 탑재차량(100)에 적재되어 이동 및 운용이 이루어질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탑재차량(100)으로는 트럭과 같이 자유롭게 이동되는 차량이 이용될 수 있으며, 크레인과 같은 특수자동차가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탑재차량(100)은 고소작업 장치(200)가 탑재될 수 있는 차대(110)를 후방에 가지며, 고소작업 장치(200)를 구동시킬 때 장비차량을 지지하는 아우트리거(12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erial work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aded on the vehicle 100 to be moved and operated. Here, as the onboard vehicle 100, a freely moving vehicle such as a truck may be used, and a special vehicle such as a crane may be used. The mounted vehicle 100 has a chassis 110 on which the aerial work device 200 can be mounted at the rear, and an outrigger 120 that supports the equipment vehicle when driving the aerial work device 200 is provided. I can.

상기 고소작업 장치(200)는 상부 구조물의 기복, 신축 및 회전을 지지하도록 차대(110)에 설치되는 선회대(210)와, 상기 선회대(210)에 결합되어 작업위치까지의 수직상승을 담당하는 붐대(220)와, 상기 붐대(220)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를 탑승시키는 작업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차대(110)에는 고소작업 장치(200)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콘솔(240)이 마련된다. The high place working device 200 is a pivot 210 installed on the chassis 110 to support the undulation, expansion, and rotation of the upper structure, and is coupled to the pivot 210 to handle vertical elevation to the working pos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om stand 220 and a worktable 230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boom stand 220 to board the worker, and the operation of the aerial work device 200 on the chassis 110 An adjustable console 240 is provided.

여기에서 상기 선회대(210)는 차대(110) 상에서 모터 등이 내장된 구동테이블 상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회대(210)와 상기 붐대(220)의 사이에는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돌출 및 흡인 동작에 의해 상기 붐대(220)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메인붐 실린더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붐대(220)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붐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때 붐대(220)를 구성하는 각 붐은 상호 연결되는 체인으로 신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작업대(230)는 수평 유지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작업대(230)의 저면 및 상기 붐대(220)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230)는 작업자 및 작업 수행을 위한 여러 공구가 탑재되는 구조로서 바(Bar) 형태의 프레임을 격자 형태로 결합시킨 소위 케이지(Cage)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turning table 210 is installed on a driving table in which a motor or the like is embedded on the chassis 110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a main boom cylind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boom stand 220 is coupled between the pivot 210 and the boom stand 220 by protruding and suctioning the piston rod according to hydraulic control. In addition, the boom stand 220 is configured by sequentially inserting a plurality of booms so that the length thereof can be adjusted. At this time, each boom constituting the boom stand 220 will be expandable and contracted with a chain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worktable 230 will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worktable 230 and the tip of the boom 220 so as to be rotated while maintaining the level. In addition, the worktable 230 is a structure in which a worker and various tools for performing work are mounted, and may be configured in a so-called cage form in which a bar-shaped frame is combined in a grid form.

도 2는 고소작업차에 적용되는 무게 밸런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고소작업차의 차대에 탑재되는 무게 밸런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고소작업차에서 무게 밸런싱 시스템의 중량물 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weight balancing system applied to an aerial vehicle,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weight balancing system mounted on a chassis of an aerial vehicle, and FIG. 4 is a weight balancing in an aerial vehicle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moving a heavy object of the system.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고소작업차에 적용되는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중량물(420)과, 상기 차대(110) 내를 차량의 주행방향과 수직한 폭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중량물(420)을 수용시키는 다수의 밸런스룸(414)과, 상기 밸런스룸(414)에서 상기 중량물(420)을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양방향 실린더(433)를 구동시키기 위한 실린더 구동부(430)와, 상기 밸런스룸(414) 내에서 중량물(420)의 위치를 검지하는 밸런스 검지부(440)와, 차량의 아웃트리거(120) 인출 여부를 검지하는 제 1 작동 검지부(450)와, 붐대(220)의 작업 방향을 검지하는 제 2 작동 검지부(460)와, 상기 차량의 작업특성값이 설정되는 설정부(470)와, 제 1 작동 검지부(450) 및 제 2 작동 검지부(460)의 작동 검지 결과에 따라 차량에 적절한 조치를 출력하는 조치 출력부(480) 그리고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밸런스 제어부(4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 to 4,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applied to an aerial vehicle is divided into a heavy object 420 and a space within the chassis 110 i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 plurality of balance rooms 414 accommodating the heavy objects 420, and a cylinder driving unit 430 for driving a bidirectional cylinder 433 moving the heavy objects 420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in the balance room 414, and , A balance detection unit 440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heavy object 420 within the balance room 414, a first operation detection unit 450 that detects whether the outrigger 120 of the vehicle is withdrawn, and the boom stand 220 The operation detection result of the second operation detection unit 460 for detecting the working direction of, the setting unit 470 for setting the working characteristic value of the vehicle, and the first operation detection unit 450 and the second operation detection unit 46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ction output unit 480 for outputting an appropriate action to the vehicle and a balance control unit 490 for controlling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상기 중량물(420)은 고중량을 가지게 형성되어 차대(110) 내에서 이동하면서 이동된 부위에 하중을 가하게 된다. 이 같은 중량물(420)은 다수개가 차대(110)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개별 중량물(420)은 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중량물(420)은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슬라이딩 수단(4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수단(421)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변형이 적으며 높은 슬립성을 가지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수지를 패드 형태로 만들어 제작할 수 있으며, 중량물(420)의 하부에 부착되어 중량물(420)의 이동을 원활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수단(421)은 패드 형태 외에 롤러나 볼 형태로 만들어져 중량물(420)이 쉽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으며, 중량물(420)을 수평 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면 그 형태나 재질에 제한은 없다. The heavy object 420 is formed to have a high weight and applies a load to the moved portion while moving within the chassis 110. A plurality of such heavy objects 4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hassis 110, and individual heavy objects 420 may be made of steel. Referring to FIG. 9, the heavy object 420 may include a sliding means 421 at the lower portion to enable smooth movement. The sliding means 421 can be manufactured by making an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resin having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low deformation and high slip properties in the form of a pad, and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vy object 420 It is possible to make the movement of the heavy object 420 smoothly. In addition, the sliding means 421 can be made in the form of a roller or a ball in addition to the pad shape, so that the heavy object 420 can be easily slid, and if the heavy object 420 can be easi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hape or material is limited. There is no.

상기 밸런스룸(414)은 내부에 상기 중량물(420)을 수용하며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며, 차대(110) 내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게 된다. 각각의 밸런스룸(41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방향과 수직한 폭방향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내부 공간의 전체적인 길이는 상기 중량물(420)의 길이 보다 크게 만들어진다. 이 같은 각각의 밸런스룸(414)은 차대(110) 내에서 반드시 서로 인접할 필요는 없으며, 별도의 방해물(아웃트리거, 선회대 등)이 없는 차대(110)의 부위에 주행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면 된다. The balance room 414 has a space in which the heavy object 420 can be accommodated and moved, and a plurality of the balance rooms 414 are installed in the chassis 110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Each balance room 414 has an inner spac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3,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inner spac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heavy object 420. It is made large. Each of these balance rooms 414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within the chassis 110, and are parallel to the portion of the chassis 110 without separate obstructions (outriggers, turntables, etc.) along the driving direction. It just needs to be arranged.

도 4를 참조하면, 밸런스룸(414)에는 유압 또는 공압의 공급에 따라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양방향 실린더(433)가 구비되며, 이 양방향 실린더(433)에는 중량물(420)이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량물(420)은 폭방향의 중심 위치(도 4의 (a)), 폭방향의 좌측 위치(도 4의 (b)), 폭방향의 우측 위치(도 4의 (a))로 이동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balance room 414 includes a bidirectional cylinder 433 that moves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according to the supply of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and a heavy object 420 is coupled to the bidirectional cylinder 433. Therefore, the heavy object 420 moves to the center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Fig. 4(a)), the left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Fig. 4(b)), and the right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Fig. 4(a)). Can be.

실제 고소작업차는 주행시에는 차대(110) 위의 고소작업 장치(200)가 차대(110)의 중심에 고정되어 그 하중이 차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부위에 가해지게 되지만, 작업시에는 붐대(220)의 전개 및 굴절 방향 그리고 작업대(230)의 움직임에 의해 그 하중이 차대(110)의 중심은 물론 차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어디에서든 가해질 수 있다. 이 같은 고소작업 장치(200)의 하중에 의해 차량이 전복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아웃트리거(120)가 차대(110)에 탑재되지만 최근 특수차량에 보다 넓은 작업 반경이 요구되면서 붐대(220)의 신축범위가 넓어져 붐대(220)의 최대 전개시 아웃트리거(120)의 지지력을 초과하여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 사례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더군다나 복잡한 현장 작업 상황에 따라 아웃트리거(120)의 수평 작동대 인출량이 작은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차량의 밸런스를 아웃트리거(120)에만 의존해 작업을 진행하는 것에 많은 위험성이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In the actual high place work vehicle, when driving, the aerial work device 200 on the chassis 110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chassis 110 so that the load is applied to the center part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ssis 110. The load may be applied from the center of the chassis 110 as well a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assis 110 as well as the center of the chassis 110 by the unfolding and refraction directions of the boom base 220 and the movement of the work platform 230. The outrigger 120 is mounted on the chassis 110 to prevent the vehicle from overturning by the load of the high place work device 200, but recently a wider working radius is required for a special vehicle, and the expansion range of the boom 220 When the boom is widened and the maximum deployment of the boom unit 220 exceeds the support force of the outrigger 120, accidents in which the vehicle is overturned frequently occur. Furthermore,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lot of danger in relying on the balance of the vehicle only to the outrigger 120 because the horizontal operating table withdrawal amount of the outrigger 120 is small frequently according to the complex field work situation.

본 발명에서는 고소작업차의 주행 상태에서는 밸런스룸(414) 내의 중량물(420)이 차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부위에 자동적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주행시 차체 안정성을 배가시키며, 고소작업차의 작업 상태에서는 붐대(220)의 작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밸런스룸(414) 내의 중량물(420)을 이동시켜 차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측의 무게 밸런스를 맞춤으로써 차대(110)에서 하중이 작업 방향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iving state of the high place work vehicle, the weight 420 in the balance room 414 is automatically positioned at the center portion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ssis 110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body while driving. In the working state, the weights 420 in the balance room 414 ar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working direction of the boom 220 to balance the weights on the left and right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ssis 110. This prevents the phenomenon of being biased in the working direction.

이때 상기 밸런스룸(414)에는 밸런스 검지부(440)가 설치되게 된다. 밸런스 검지부(4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스룸(414)의 좌측 위치, 중심 위치 및 우측 위치에 설치되어 중량물(420)의 현재 위치를 검지하게 된다. 이 같은 밸런스 검지부(440)는 다양한 물체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balance detection unit 440 is installed in the balance room 414. As shown in FIG. 4, the balance detection unit 440 is installed at the left, center, and right positions of the balance room 414 to detec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heavy object 420. The balance detection unit 440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object detection sensors.

상기 제 1 작동 검지부(450)는 차량의 아웃트리거(120) 인출 여부를 검지하게 된다. 이 같은 제 1 작동 검지부(450)는 아웃트리거(120)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 인출감지 센서로부터 인출 및 인입 신호를 전달받아 아웃트리거의 현재 상태를 검지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operation detection unit 450 detects whether the outrigger 120 is withdrawn from the vehicle. The first operation detection unit 450 can detect the current state of the outrigger by receiving the withdrawal and incoming signals from the outrigger withdrawal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outrigger 120.

상기 제 2 작동 검지부(460)는 붐대(220)의 작업 방향을 검지하게 된다. 이 같은 제 2 작동 검지부(460)는 선회대(210)를 회전시키는 구동테이블의 회전감지 센서로부터 회전각도 신호를 전달받아 붐대(220)의 현재 작업 방향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econd operation detection unit 460 detects the working direction of the boom stand 220. The second operation detection unit 460 can detect the current working direction of the boom stand 220 by receiving a rotation angle signal from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of the driving table that rotates the turntable 210.

상기 설정부(470)는 해당 특수차량의 작업특성값이 설정되어 저장되게 된다. 예컨데 고소작업차의 경우 붐대(220)가 차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어디로든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시 하중이 붐대(220)의 작업 방향으로 편중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고소작업차의 경우 고소작업 장치(200)의 다양한 작업 반경을 대비해 무게 밸런싱 시스템은 3 곳의 하중위치를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달리 교량점검차는 붐대가 차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한 방향(좌측 또는 우측)으로만 전개되기 때문에 작업시 하중 역시 한 방향으로만 편중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교량점검차의 경우 교량점검 장치(500)의 일방향 작업 반경을 대비해 무게 밸런싱 시스템은 2 곳의 하중위치만을 이동할 수 있으면 된다. The setting unit 470 sets and stores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corresponding special vehic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high place work vehicle, the boom stand 220 can move to either the left or the right sid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ssis 110, and accordingly, the load is biased toward the working direction of the boom stand 220 during work. Therefore, in the case of a high place work vehicle, the weight balancing system must be able to move three load positions in preparation for various working radii of the high place work device 200. In contrast, in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since the boom is deployed in only one direction (left or right)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ndercarriage 110, the load during operation is also biased in only one direction. Therefore, in the case of a bridge inspection vehicle, the weight balancing system needs to be able to move only two load positions in relation to the one-way working radius of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이 같이 특수차량의 작업 특성에 따라 작업특성값은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데 고소작업차의 경우 "양방향 하중 이동"으로 작업특성값이 설정되고, 교량점검차의 경우 "단방향 하중 이동"으로 작업특성값이 설정될 수 있다. As such,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s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ork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vehicle. For example,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 is set as "two-way load movement" in the case of an aerial vehicle, and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 is "one-way load movement" in the case of a bridge inspection vehicle. Value can be set.

상기 조치 출력부(490)는 작업자의 작업용 하중 밸런싱 명령이나 주행용 하중 밸런싱 명령에 따라 상기 밸런스 검지부(440)를 통해 획득된 중량물(42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 1 작동 검지부(450) 및 제 2 작동 검지부(460)의 작동 검지 결과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아웃트리거 제어나 중량물의 이동 제어를 실시한다. The action output unit 49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heavy object 420 obtained through the balance detection unit 440 according to an operator's work load balancing command or driving load balancing command, and the first operation detection unit 450 )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detection result of the second operation detection unit 460 are compared to perform outrigger control or movement control of a heavy objec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치 출력부(490)는 작업용 하중 밸런싱 명령을 작업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작업용 하중 밸런싱 명령은 고소작업 장치(200)를 통한 작업시 하중 밸런스를 자동적으로 맞추도록 해 작업중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명령으로, 작업 하중의 균형을 위해 중량물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중량물의 이동은 안전을 위해 반드시 아웃트리거(120)의 인출 상태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치 출력부(480)는 아웃 트리거(120)의 인출을 직접 제어하거나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작업자에게 알리는 알림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ction output unit 490 may receive a work load balancing command from an operator. The work load balancing command is a command to automatically balance the load during work through the high place work device 200 to prevent overturning during work, and the movement of the heavy object is made to balance the work load.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heavy object can be performed only in the withdrawal state of the outrigger 120 for safety, and the action output unit 480 directly controls the withdrawal of the outrigger 120 or provides a notification to notify the operator that the withdrawal is performed. It can be turned on.

또한 조치 출력부(490)는 주행용 하중 밸런싱 명령을 작업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주행용 하중 밸런싱 명령은 고소작업차의 주행을 위해 하중 밸런스를 중앙에 맞추도록 해 주행중 한쪽으로 하중이 쏠려 전복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명령으로, 아웃트리거(120)를 차량에 인입시키기 위해 중량물의 중앙 이동이 먼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중량물의 이동은 안전을 위해 반드시 아웃트리거가 인출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중량물을 먼저 중앙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조치 출력부(480)는 아웃트리거(120)의 인입을 직접 제어하거나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작업자에게 알리는 알림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별도의 주행가능 상태등을 점등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ction output unit 490 may receive a driving load balancing command from an operator. The driving load balancing command is a command to adjust the load balance to the center for the operation of the high place work vehicle and prevent the load from being overturned by being pushed to one side during driving.In order to bring the outrigger 120 into the vehicle, a heavy object The center movement is done first. That is, the movement of the heavy object must be performed in the state in which the outrigger is withdrawn for safety, and the action output unit 480 directly controls the inflow of the outrigger 120 or in the state in which the heavy object is first moved to the center. You can turn on a notification light to notify the operator.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turn on a separate driving status light.

또한 작업용 하중에 대한 밸런싱 수행시, 제 2 작동 검지부(460)를 통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붐대의 작업 반경을 확인하고, 이에 상응하게 붐대(220)의 작업 반경과 반대편으로 중량물(420)의 하중이 가해질 수 있도록 실린더 구동부(430)를 통해 양방향 실린더(433)를 구동시켜 중량물(420)을 붐대(220)의 작업 반경과 반대편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에서의 전체적인 작업 하중의 균형을 맞추게 된다. 또한 주행용 하중에 대한 밸런싱 수행시에는 붐대(220)가 접혀 차대(110)의 중심부위에 놓인 상태에서 실린더 구동부(430)를 통해 양방향 실린더(433)를 구동시켜 중량물(420)을 차대(110)의 중심부위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에서의 전체적인 주행 하중이 중심에 맞춰지게 한다. In addition, when balancing the work load, the second operation detection unit 460 checks the working radius of the boom unit that changes in real time, and accordingly, the load of the heavy object 420 is opposite to the working radius of the boom unit 220. The two-way cylinder 433 is driven through the cylinder driving unit 430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move the heavy object 420 to the opposite side of the working radius of the boom unit 220, thereby balancing the overall working load in the vehicle. In addition, when balancing the driving load, the boom rest 220 is folded and placed on the center of the chassis 110, and the two-way cylinder 433 is driven through the cylinder driving unit 430 to transfer the heavy object 420 to the chassis 110. By moving over the center of the vehicle, the overall driving load in the vehicle is centered.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량점검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ridge inspection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를 참조하면 특수차량 중 교량점검차의 경우 교량점검 장치(500)가 탑재차량(100)의 차대(110)에 설치되어 이동 및 운용이 이루어질 것이다. 여기에서 차대(110)는 탑재차량(100)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는 짐칸으로, 하부에는 바퀴가 장착되고 측면에는 아웃트리거(120)가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교량점검 장치(500)가 탑재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in the case of a bridge inspection vehicle among special vehicles, a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is installed on the chassis 110 of the mounted vehicle 100 to be moved and operated. Here, the undercarriage 110 is a luggage compartmen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ounted vehicle 100, and wheels are mounted on the lower side and an outrigger 120 is installed to be withdrawn on the side, and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do.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 장치(500)는 탑재차량(100)에 적재되어 이동 및 운용이 이루어질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탑재차량(100)으로는 트럭과 같이 자유롭게 이동되는 차량이 이용될 수 있으며, 크레인과 같은 특수자동차가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탑재차량(100)은 교량점검 장치(500)가 탑재될 수 있는 차대(110)를 후방에 가지며, 교량점검 장치(500)를 구동시킬 때 장비차량을 지지하는 아우트리거(12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oaded on the onboard vehicle 100 to be moved and operated. Here, as the onboard vehicle 100, a freely moving vehicle such as a truck may be used, and a special vehicle such as a crane may be used. The mounted vehicle 100 has a chassis 110 on which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can be mounted at the rear, and an outrigger 120 supporting the equipment vehicle when driving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is provided. I can.

상기 교량점검 장치(500)는 상부 구조물의 기복, 신축 및 회전을 지지하도록 차대(110)에 설치되는 선회대(510)와, 상기 선회대(510)에 결합되어 작업위치까지의 길이연장을 담당하는 붐대(520)와, 중공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붐대(520)의 말단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수직붐(530)과, 상기 수직붐(530)의 말단에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길이 신축을 통해 교량 하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점검용 보랑(5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차대(110)에는 교량점검 장치(500)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는 콘솔(550)이 마련된다.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is in charge of extending the length to the working position by being coupled to the slewing table 510 installed on the chassis 110 to support the undulation, expansion, and rotation of the upper structure. A vertical boom 530 that is made of a boom stand 520 and a hollow member that can slide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end of the boom stand 520,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boom 530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spection borang 540 provided to inspect the lower part of the bridge through extension of the length of the bridge, and the chassis 110 includes a console 550 that can adjust the operation of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It is prepared.

여기에서 상기 선회대(510)는 차대(110) 상에서 모터 등이 내장된 구동테이블 상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회대(510)와 상기 붐대(520)의 사이에는 유압제어에 따른 피스톤로드의 돌출 및 흡인 동작에 의해 상기 붐대(520)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메인붐 실린더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붐대(520)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붐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붐대(520)를 구성하는 각 붐은 상호 연결되는 체인으로 신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점검용 보랑(540)은 교량의 하부 각 부분을 검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점검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점검자는 이 이동통로를 걸어다니면서 안전하게 교량의 저면과 하부 각 부위를 점검하거나 부속 교환 등 유지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turning table 510 is installed on a driving table in which a motor or the like is embedded on the chassis 110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between the pivot 510 and the boom stand 520, a main boom cylind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boom stand 520 by protruding and sucking the piston rod according to hydraulic control is coupled. In addition, the boom stand 520 may be configured by sequentially inserting a plurality of booms so as to adjust the length thereof. At this time, each boom constituting the boom stand 520 will be expandable and contracted with a chain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inspection borang 540 is for inspecting each lower part of the bridge, and provides a moving path for the inspector. The inspector can safely inspect the bottom and lower parts of the bridge or perform maintenance work such as replacement of parts while walking along this moving passage.

이때 교량점검차에서는 탑재차량(100)이 교량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붐대(520)와 수직붐(530) 그리고 점검용 보랑(540)이 탑재차량(100)의 정해진 일측부로만 기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붐대(220)가 탑재차량(100)의 양측부로 모두 기동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와 무게 이동 위치가 보다 간소화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the boom 520, the vertical boom 530, and the inspection borang 540 are operated only on one side of the mounted vehicle 100 while the mounted vehicle 100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In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the high place work vehicle and the weight movement position in which the boom stand 220 can be maneuvered to both sides of the mounted vehicle 100 may be more simplified.

즉 고소작업차에서는 중량물(420)이 주행 상태를 대비한 중심위치와 고소작업 장치(200)의 다양한 작업 반경을 대비한 좌우측의 위치를 더해 모두 3 곳의 위치이동이 필요하지만, 교량점검차에서는 중량물(420)이 주행 상태를 대비한 중심위치와 교량점검 장치(500)의 일방향 작업 반경을 대비한 좌측 또는 우측의 위치를 더해 모두 2 곳의 위치이동만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high place work vehicle, it is necessary to move all three positions by adding the center position for the heavy object 420 in preparation for the driving state and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for the various working radii of the high place work device 200, but in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the heavy object By adding the center position for this driving state and the left or right position for the one-way working radius of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only two positional movements are required.

도 6은 교량점검차에 적용되는 무게 밸런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7은 교량점검차의 차대에 탑재되는 무게 밸런싱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교량점검차에서 무게 밸런싱 시스템의 중량물 이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weight balancing system applied to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eight balancing system mounted on the chassis of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Figure 8 is a weight of the weight balancing system in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ving process.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교량점검차에 적용되는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중량물(420)과, 상기 차대(110) 내를 차량의 주행방향과 수직한 폭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중량물(420)을 수용시키도록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센터룸(411) 및 작업룸(412)과, 상기 센터룸(411)과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중량물(420)을 센터룸(411) 및 작업룸(412)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단방향 실린더(431)가 내장되는 실린더룸(413)과, 상기 단방향 실린더(431)를 구동시키기 위한 실린더 구동부(430)와, 상기 센터룸(411) 및 작업룸(412)에서 중량물(420)의 위치를 검지하는 밸런스 검지부(440)와, 차량의 아웃트리거(120) 인출 여부를 검지하는 제 1 작동 검지부(450)와, 상기 차량의 작업특성값이 설정되는 설정부(470)와, 제 1 작동 검지부(450)의 작동 검지 결과에 따라 차량에 적절한 조치를 출력하는 조치 출력부(480) 그리고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밸런스 제어부(4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6 to 8,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applied to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comprises a heavy object 420 and a space within the chassis 110 i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center room 411 and the working room 412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o accommodate the 420, and the center room 411 is formed side by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heavy object 420 is placed in the center room ( 411) and a cylinder room 413 in which a one-way cylinder 431 for moving in the working room 412 is built, a cylinder driving part 430 for driving the one-way cylinder 431, and the center room 411 And a balance detection unit 440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heavy object 420 in the work room 412, a first operation detection unit 450 that detects whether the outrigger 120 of the vehicle is withdrawn, and a work characteristic value of the vehicle. The set setting unit 470, an action output unit 480 for outputting an appropriate action to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operation detection unit 450, and a balance control unit 490 for controlling each of the components.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중량물(420)은 고중량을 가지게 형성되어 차대(110) 내에서 이동하면서 이동된 부위에 하중을 가하게 된다. 이 같은 중량물(420)은 다수개가 차대(110)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개별 중량물(420)은 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중량물(420)은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슬라이딩 수단(4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수단(421)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변형이 적으며 높은 슬립성을 가지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수지를 패드 형태로 만들어 제작할 수 있으며, 중량물(420)의 하부에 부착되어 중량물(420)의 이동을 원활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수단(421)은 패드 형태 외에 롤러나 볼 형태로 만들어져 중량물(420)이 쉽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으며, 중량물(420)을 수평 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면 그 형태나 재질에 제한은 없다. The heavy object 420 is formed to have a high weight and applies a load to the moved portion while moving within the chassis 110. A plurality of such heavy objects 4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hassis 110, and individual heavy objects 420 may be made of steel. Referring to FIG. 9, the heavy object 420 may include a sliding means 421 at the lower portion to enable smooth movement. The sliding means 421 can be manufactured by making an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resin having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low deformation and high slip properties in the form of a pad, and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vy object 420 It is possible to make the movement of the heavy object 420 smoothly. In addition, the sliding means 421 can be made in the form of a roller or a ball in addition to the pad shape, so that the heavy object 420 can be easily slid, and if the heavy object 420 can be easi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hape or material is limited. There is no.

도 8을 참조하면 한 조를 이루는 실린더룸(413), 센터룸(411) 및 작업룸(412)은 차량의 주행방향과 수직한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며, 이 같은 게 된다. 또한 실린더룸(413), 센터룸(411) 및 작업룸(412)은 한 조를 이루어 차대(110) 내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센터룸(411) 및 작업룸(412)은 내부에 상기 중량물(420)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센터룸(411)과 이웃한 실린더룸(413)의 단방향 실린더(431)에 중량물(42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단방향 실린더(431)의 구동에 따라 중량물(420)은 상기 센터룸(411) 및 작업룸(412)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이 한 조를 이루는 실린더룸(413), 센터룸(411) 및 작업룸(412)은 차대(110) 내에서 반드시 다른 조와 서로 인접할 필요는 없으며, 별도의 방해물(아웃트리거, 선회대 등)이 없는 차대(110)의 부위에 주행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면 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cylinder room 413, the center room 411, and the working room 412 constituting a pair are formed in parallel i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ylinder room 413, the center room 411, and the work room 412 are formed in a pair, and a plurality of them are installed in the chassis 110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center room 411 and the work room 412 can accommodate the heavy object 420 therein, and the heavy object 420 in the one-way cylinder 431 of the cylinder room 413 adjacent to the center room 411 Is combined. Accordingly, the weight 420 moves the center room 411 and the work room 412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one-way cylinder 431. The cylinder room 413, the center room 411, and the work room 412 forming a pair as described above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within the chassis 110, and separate obstacles (outriggers, turning tables, etc.) ) It is only necessary to b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n the portion of the chassis 110 that does not have a ).

도 8을 참조하면, 실린더룸(413)에는 유압 또는 공압의 공급에 따라 폭방향으로 직진력을 제공하는 단방향 실린더(431)가 구비되며, 이 단방향 실린더(431)에는 중량물(420)이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량물(420)은 폭방향의 중심 위치(도 8의 (a))와 폭방향의 측부 위치(도 8의 (b))로 이동될 수 있다. 8, the cylinder room 413 is provided with a one-way cylinder 431 that provides a straight forward force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 to the supply of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and a heavy object 420 is coupled to the one-way cylinder 431. do. Accordingly, the heavy object 420 may be moved to a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FIG. 8(a)) and a sid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FIG. 8(b)).

실제 교량점검차는 주행시에는 차대(110) 위의 교량점검 장치(500)가 차대(110)의 중심에 고정되어 그 하중이 차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심 부위에 가해지게 되지만, 작업시에는 붐대(520), 수직붐(530) 및 점검용 보랑(540)이 전개되는 한 방향으로만 그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같은 교량점검 장치(500)의 하중에 의해 차량이 전복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아웃트리거(120)가 차대(110)에 탑재되지만 최근 특수차량에 보다 넓은 작업 반경이 요구되고 있고 특히 교량점검 장치(500) 자체가 비대하고 무게가 굉장히 무겁기 때문에 아웃트리거(120)의 지지력을 초과하여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 사례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더군다나 복잡한 현장 작업 상황에 따라 아웃트리거(120)의 수평 작동대 인출량이 작은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차량의 밸런스를 아웃트리거(120)에만 의존해 작업을 진행하는 것에 많은 위험성이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When the actual bridge inspection vehicle is running,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on the chassis 110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chassis 110 so that the load is applied to the center part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ssis 110, but during operation The load may be applied to only one direction in which the boom stand 520, the vertical boom 530, and the inspection borang 540 are deployed. In order to prevent the vehicle from overturning by the load of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the outrigger 120 is mounted on the chassis 110, but recently a wider working radius is required for special vehicles, and in particular,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 Because the body itself is large and the weight is very heavy, accident cases in which the vehicle is overturned by exceeding the support capacity of the outrigger 120 are frequently occurring. Furthermore,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lot of danger in relying on the balance of the vehicle only to the outrigger 120 because the horizontal operating table withdrawal amount of the outrigger 120 is small frequently according to the complex field work situation.

본 발명에서는 교량점검차의 주행 상태에서는 차대(110) 내 중량물(420)들이 센터룸(411)에 자동적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주행시 차체 안정성을 배가시키며, 교량점검차의 작업 상태에서는 붐대(520), 수직붐(530) 및 점검용 보랑(540)이 전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있는 작업룸(412)으로 중량물(420)을 이동시켜 차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측의 무게 밸런스를 맞춤으로써 차대(110)에서 하중이 작업 방향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iving state of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the weights 420 in the vehicle chassis 110 are automatically positioned in the center room 411 to double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body during driving, and in the working state of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the boom rod 520 and the vertical boom By moving the heavy object 420 to the work room 412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530 and the inspection borang 540 are deployed, the weight balanc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s adjusted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ssis 110 It prevents the phenomenon that the load is biased in the working direction at (110).

이때 상기 센터룸(411)과 작업룸(412)에는 밸런스 검지부(440)가 설치되게 된다. 밸런스 검지부(4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룸(411)과 작업룸(412)에 각각 설치되어 중량물(420)의 현재 위치를 검지하게 된다. 이 같은 밸런스 검지부(440)는 다양한 물체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balance detection unit 440 is installed in the center room 411 and the work room 412. The balance detection unit 440 is installed in the center room 411 and the work room 412,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8 to detec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heavy object 420. The balance detection unit 440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object detection sensors.

상기 제 1 작동 검지부(450)는 차량의 아웃트리거(120) 인출 여부를 검지하게 된다. 이 같은 제 1 작동 검지부(450)는 아웃트리거(120)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 인출감지 센서로부터 인출 및 인입 신호를 전달받아 아웃트리거의 현재 상태를 검지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operation detection unit 450 detects whether the outrigger 120 is withdrawn from the vehicle. The first operation detection unit 450 can detect the current state of the outrigger by receiving the withdrawal and incoming signals from the outrigger withdrawal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outrigger 120.

상기 설정부(470)는 해당 특수차량의 작업특성값이 설정되어 저장되게 된다. 예컨데 고소작업차의 경우 붐대(220)가 차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어디로든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시 하중이 붐대(220)의 작업 방향으로 편중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고소작업차의 경우 고소작업 장치(200)의 다양한 작업 반경을 대비해 무게 밸런싱 시스템은 3 곳의 하중위치를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달리 교량점검차는 붐대가 차대(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한 방향(좌측 또는 우측)으로만 전개되기 때문에 작업시 하중 역시 한 방향으로만 편중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교량점검차의 경우 교량점검 장치(500)의 일방향 작업 반경을 대비해 무게 밸런싱 시스템은 2 곳의 하중위치만을 이동할 수 있으면 된다. The setting unit 470 sets and stores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corresponding special vehic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high place work vehicle, the boom stand 220 can move to either the left or the right sid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hassis 110, and accordingly, the load is biased toward the working direction of the boom stand 220 during work. Therefore, in the case of a high place work vehicle, the weight balancing system must be able to move three load positions in preparation for various working radii of the high place work device 200. In contrast, in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since the boom is deployed in only one direction (left or right)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ndercarriage 110, the load during operation is also biased in only one direction. Therefore, in the case of a bridge inspection vehicle, the weight balancing system needs to be able to move only two load positions in relation to the one-way working radius of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이 같이 특수차량의 작업 특성에 따라 작업특성값은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데 고소작업차의 경우 "양방향 하중 이동"으로 작업특성값이 설정되고, 교량점검차의 경우 "단방향 하중 이동"으로 작업특성값이 설정될 수 있다. As such,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s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ork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vehicle. For example,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 is set as "two-way load movement" in the case of an aerial vehicle, and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 is "one-way load movement" in the case of a bridge inspection vehicle. Value can be set.

상기 조치 출력부(490)는 작업자의 작업용 하중 밸런싱 명령이나 주행용 하중 밸런싱 명령에 따라 상기 밸런스 검지부(440)를 통해 획득된 중량물(42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 1 작동 검지부(450)의 작동 검지 결과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아웃트리거 제어나 중량물의 이동 제어를 실시한다. The action output unit 49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heavy object 420 obtained through the balance detection unit 440 according to an operator's work load balancing command or driving load balancing command, and the first operation detection unit 450 Perform outrigger control or movement control of heavy objects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detection result of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치 출력부(490)는 작업용 하중 밸런싱 명령을 작업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작업용 하중 밸런싱 명령은 교량점검 장치(500)를 통한 작업시 하중 밸런스를 자동적으로 맞추도록 해 작업중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명령으로, 작업 하중의 균형을 위해 중량물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중량물의 이동은 안전을 위해 반드시 아웃트리거(120)의 인출 상태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치 출력부(480)는 아웃 트리거(120)의 인출을 직접 제어하거나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작업자에게 알리는 알림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action output unit 490 may receive a work load balancing command from an operator. The work load balancing command is a command to automatically balance the load during work through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to prevent overturning during work, and the movement of the heavy object is made to balance the work load.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heavy object can be performed only in the withdrawal state of the outrigger 120 for safety, and the action output unit 480 directly controls the withdrawal of the outrigger 120 or provides a notification to notify the operator that the withdrawal is performed. It can be turned on.

또한 조치 출력부(490)는 주행용 하중 밸런싱 명령을 작업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주행용 하중 밸런싱 명령은 교량점검차의 주행을 위해 하중 밸런스를 중앙에 맞추도록 해 주행중 한쪽으로 하중이 쏠려 전복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명령으로, 아웃트리거(120)를 차량에 인입시키기 위해 중량물의 중앙 이동이 먼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중량물의 이동은 안전을 위해 반드시 아웃트리거가 인출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중량물을 먼저 중앙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조치 출력부(480)는 아웃트리거(120)의 인입을 직접 제어하거나 인입이 이루어지도록 작업자에게 알리는 알림등을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별도의 주행가능 상태등을 점등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ction output unit 490 may receive a driving load balancing command from an operator. The driving load balancing command is a command to adjust the load balance to the center for the driving of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to prevent the load from being overturned by being pushed to one side during driving.The center of the heavy object to bring the outrigger 120 into the vehicle The movement comes first. That is, the movement of the heavy object must be performed in the state in which the outrigger is withdrawn for safety, and the action output unit 480 directly controls the inflow of the outrigger 120 or in the state in which the heavy object is first moved to the center. You can turn on a notification light to notify the operator.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turn on a separate driving status light.

또한 작업용 하중에 대한 밸런싱 수행시, 작업 반경은 일측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에 상응하게 작업 반경과 반대편으로 중량물(420)의 하중이 가해질 수 있도록 실린더 구동부(430)를 통해 단방향 실린더(431)를 구동시켜 중량물(420)을 작업 반경과 반대편인 작업룸(41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에서의 전체적인 작업 하중의 균형을 맞추게 된다. 또한 주행용 하중에 대한 밸런싱 수행시에는 실린더 구동부(430)를 통해 단방향 실린더(431)를 구동시켜 중량물(420)을 차대(110)의 중심부위인 센터룸(41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에서의 전체적인 주행 하중이 중심에 맞춰지게 한다. In addition, when balancing the working load, the working radius is fixed to one side, and accordingly, the one-way cylinder 431 is driven through the cylinder driving unit 430 so that the load of the heavy object 420 can be appli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working radius. Thus, by moving the heavy object 420 to the work room 412 opposite the work radius, the overall work load in the vehicle is balanced. In addition, when balancing the driving load, the one-way cylinder 431 is driven through the cylinder driving unit 430 to move the heavy object 420 to the center room 411 above the center of the chassis 110, thereby driving overall driving in the vehicle. Let the load be centered.

이제 도 10을 참조하여 고소작업차나 교량점검차와 같은 특수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 밸런싱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Now with reference to FIG.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weight balanc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applied to a special vehicle such as an aerial vehicle or a bridge inspection vehicl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 밸런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eight balanc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탑재차량(100)에 설치된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이 구동될 것이다(S10). Referring to FIG. 10, first,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installed in the onboard vehicle 100 will be driven (S10).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먼저 밸런스 검지부(440)를 통해 중량물(420)의 현재 위치에 대한 검지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중량물 밸런스를 체크하게 된다(S12).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first checks the balance of the heavy object of the vehicle by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o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heavy object 420 through the balance detection unit 440 (S12).

이후 상기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작업자로부터 입력될수 있는 작업용 하중에 대한 밸런싱 명령을 수신하게 된다(S14). Thereafter,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receives a balancing command for a work load that can be input from an operator (S14).

상기 작업용 하중에 대한 밸런싱 명령은 차량에 탑재된 고소작업 장치(200)나 교량점검 장치(500)를 전개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 이 작업에 대비해 전체적인 하중 밸런스를 맞추는 작업에 대한 명령이다. The balancing command for the work load is a command for the work to balance the overall load in preparation for this work when performing work by deploying the aerial work device 200 or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mounted on the vehicle.

이때 작업용 하중에 대한 밸런싱 명령은 별도의 작업자 입력 없이 고소작업 장치(200)나 교량점검 장치(500)의 기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balancing command for the working load may be automatically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erial work device 200 or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without a separate operator input.

작업용 하중 밸런싱 명령에 따라 상기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제 1 작동 검지부(450)를 통해 아웃트리거(120)의 상태를 검지하게 된다(S16). According to the work load balancing command,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detects the state of the outrigger 120 through the first operation detection unit 450 (S16).

검지 결과, 상기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제 1 작동 검지부(450)의 검지 결과를 통해 아웃트리거(120)가 인출되어 지면에 잭이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8), 아웃트리거(120)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이면 콘솔(240)에 아웃트리거 인출 신호를 전달하여 아웃트리거(120)가 먼저 지면에 설치되도록 한다(S20). As a result of detection,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determines whether the outrigger 120 is pulled out throug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operation detection unit 450 and a jack is installed on the ground (S18), and the outrigger 120 If is not withdrawn, an outrigger withdraw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sole 240 so that the outrigger 120 is first installed on the ground (S20).

추후에 이루어질 중량물(420)의 이동은 아웃트리거(120)가 인출되어 설치된 상황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안전상 바람직하며, 특히 이 같은 절차는 기존 장비의 사용자가 기존 장비의 사용법과 동일한 사용법으로 장비를 사용해도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For safety reasons, the movement of the heavy object 420 to be made in the future is preferably performed only in the situation where the outrigger 120 is withdrawn and installed.In particular, this procedure is a problem even if the user of the existing equipment uses the equipment in the same way as the existing equipment. It is to ensure that there is no.

이후 상기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설정부(470)를 참조하여 해당 차량의 작업특성값을 검토하게 된다(S22). Thereafter,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reviews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 of the vehicle with reference to the setting unit 470 (S22).

설정부(470)에서 특수차량의 작업 특성에 따라 작업특성값은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데 고소작업차의 경우 "양방향 하중 이동"으로 작업특성값이 설정되고, 교량점검차의 경우 "단방향 하중 이동"으로 작업특성값이 설정될 수 있다. In the setting unit 470,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ork characteristic of the special vehicle. For example,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 is set as "two-way load movement" in the case of an aerial vehicle, and "one-way load movement" in the case of a bridge inspection vehicle.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 can be set with ".

상기 설정부(470)를 통한 작업특성값 검토 결과 "단방향 하중 이동"으로 작업특성값이 검토된 경우, 이는 교량점검차로 인식될 것이며, 상기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실린더 구동부(430)를 통해 단방향 실린더(431)를 구동시켜 중량물(420)을 중앙의 센터룸(411)에서 측부의 작업룸(412)으로 이동시키게 된다(S24). If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 is reviewed as "unidirectional load movement" as a result of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 review through the setting unit 470, it will be recognized as a bridge inspection vehicle, and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is through the cylinder drive unit 430 The one-way cylinder 431 is driven to move the heavy object 420 from the central center room 411 to the side work room 412 (S24).

또한 상기 설정부(470)를 통한 작업특성값 검토 결과 "양방향 하중 이동"으로 작업특성값이 검토된 경우, 이는 고소작업차로 인식될 것이며, 상기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먼저 제 2 작동 검지부(460)를 통해 현재 붐대(220)의 작업 방향을 검지하게 된다(S26). 이를 통해 고소작업차의 작업 방향을 검지한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실린더 구동부(430)를 통해 양방향 실린더(433)를 구동시켜 밸런스룸(414) 내의 중량물(420)을 현재 붐대(220)의 작업 방향과 반대편으로 이동시키게 된다(S28). In addition, when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 is reviewed as "bidirectional load movement" as a result of the work characteristic value review through the setting unit 470, it will be recognized as a high place work vehicle, and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first starts with a second operation detection unit ( Through 460, the current working direction of the boom unit 220 is detected (S26). Through this,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which detects the working direction of the aerial work vehicle, drives the two-way cylinder 433 through the cylinder driving unit 430 to transfer the weight 420 in the balance room 414 to the current boom stand 220. It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to the working direction (S28).

이때 상술한 제 S26 단계의 제 2 작동 검지 단계와 제 S28 단계의 중량물 이동 단계는 고소작업차의 작업 시간 동안 병행해서 계속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중량물(420)이 작업 반향과 반대편으로 이동하는 과정이 붐대(220)의 작업 상황과 연동되도록 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second operation detection step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operation detection step and the weight movement step of the S28 step are continuously performed in parallel during the working time of the aerial work vehicle, so that the process of moving the heavy object 420 to the opposite side of the work reverberation is performed by the boom stand ( 220) will be linked to the work situation.

이후 상기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작업자로부터 입력될수 있는 주행용 하중에 대한 밸런싱 명령을 수신하게 된다(S30). Thereafter,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receives a balancing command for a running load that can be input from an operator (S30).

상기 주행용 하중에 대한 밸런싱 명령은 고소작업 장치(200)나 교량점검 장치(500)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할 때 이 주행에 대비해 전체적인 하중 밸런스를 맞추는 작업에 대한 명령이다. The balancing command for the driving load is a command for a task of matching the overall load balance for this driving when the vehicle moves while the aerial work device 200 or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is mounted on the vehicle.

이때 주행용 하중에 대한 밸런싱 명령은 별도의 작업자 입력 없이 고소작업 장치(200)나 교량점검 장치(500)의 언폴딩에 따라 자동적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balancing command for the running load may be automatically input according to the unfolding of the aerial work device 200 or the bridge inspection device 500 without a separate operator input.

주행용 하중 밸런싱 명령에 따라 상기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밸런스 검지부(440)를 통해 중량물(420)의 현재 위치에 대한 검지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중량물 밸런스를 체크하게 된다(S32). According to the driving load balancing command,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checks the balance of the heavy object of the vehicle by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o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heavy object 420 through the balance detection unit 440 (S32).

체크 결과, 상기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밸런스 검지부(440)의 검지 결과를 통해 중량물(420)의 현재 위치가 중앙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4), 중량물(420)의 현재 위치가 중앙이 아닌 경우 실린더 구동부(430)를 통해 실린더를 구동시켜 중량물(420)을 중앙으로 이동시키게 된다(S36).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heavy object 420 is the center throug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balance detection unit 440 (S34),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heavy object 420 is not the center. In this case, the heavy object 420 is moved to the center by driving the cylinder through the cylinder driving unit 430 (S36).

이때 고소작업차의 경우 밸런스룸(414) 내에서 중량물(420)은 중앙 위치로 이동하게 될 것이며, 교량점검차의 경우 작업룸(412)에서 센터룸(411)으로 중량물(420)이 이동하게 될 것이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high place work vehicle, the heavy object 420 will move to the central position within the balance room 414, and in the case of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the heavy object 420 will move from the work room 412 to the center room 411. will be.

이후 상기 무게 밸런싱 시스템(400)은 콘솔(240)에 아웃트리거 인입 신호를 전달하여 아웃트리거(120)가 지면에서 철수되어 차대(110) 내로 인입되도록 한다(S38). Thereafter, the weight balancing system 400 transmits an outrigger entry signal to the console 240 so that the outrigger 120 is withdrawn from the ground and introduced into the chassis 110 (S38).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se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탑재차량 200 : 고소작업 장치
400 : 무게 밸런싱 시스템 500 : 교량점검 장치
100: mounted vehicle 200: high place work device
400: weight balancing system 500: bridge inspection device

Claims (1)

교량점검차에 설치되는 무게 밸런싱 시스템으로서,
중량물;
상기 특수차량의 차대 내에서 차량의 주행방향과 수직한 폭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상기 중량물을 수용시키는 다수의 룸; 및
상기 중량물과 연결된 실린더를 구동시켜 상기 룸에서 상기 중량물을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밸런싱 시스템.
As a weight balancing system installed in the bridge inspection vehicle,
lift;
A plurality of rooms for accommodating the heavy objects by dividing a space within the chassis of the special vehicle i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cylinder driving unit for moving the heavy object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room by driving a cylinder connected to the heavy object; Weight balancing system comprising a.
KR1020190133390A 2019-10-25 2019-10-25 Weight balancing system, and bridge inspection vehicle used it, and weight balancing method KR202100492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390A KR20210049287A (en) 2019-10-25 2019-10-25 Weight balancing system, and bridge inspection vehicle used it, and weight balanc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390A KR20210049287A (en) 2019-10-25 2019-10-25 Weight balancing system, and bridge inspection vehicle used it, and weight balanc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287A true KR20210049287A (en) 2021-05-06

Family

ID=7591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390A KR20210049287A (en) 2019-10-25 2019-10-25 Weight balancing system, and bridge inspection vehicle used it, and weight balanc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928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979B1 (en) * 2022-01-27 2022-08-22 고관석 Vehicle for bridge inspeci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979B1 (en) * 2022-01-27 2022-08-22 고관석 Vehicle for bridge inspeci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7109B2 (en) Automated human personnel fall arresting system and method
US5772183A (en) Portable lifting apparatus for demountable positioning in an overhead location
US20080217279A1 (en) Working Boom, Especially for Large Manipulators and Mobile Concrete Pumps
US9744386B2 (en) Self-standing fall arrest system
US20050173192A1 (en) Work platform for an overhead crane
US3703243A (en) Straddle carrier
CN205603095U (en) Engineering work crane
KR101229085B1 (en) Differential pressure-type load detecting device and a boom controlling apparatus of a high-place working vehicle utilizing the same
CN102774757A (en) Engineering machinery
KR20210049287A (en) Weight balancing system, and bridge inspection vehicle used it, and weight balancing method
KR102297603B1 (en) Weight balancing system, and special vehicle used it, and weight balancing method
KR20210049286A (en) Weight balancing system, and high place operation vehicle used it, and weight balancing method
WO2003013999A2 (en) Mobile load handling apparatus
US10081288B1 (en) Emergency utility vehicle with high-clearance folding outriggers
JP5869760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mobile crane
US3848751A (en) Side boom pipe laying machine
KR102152456B1 (en) Anti-fall system of a sophisticated work vehicle
JP2012051687A (en) High-place work vehicle
JPH10330094A (en) High lift work vehicle
JP2017043457A (en) Step mechanism arranged at moving crane
JP3671341B2 (en) Boom device
JP2674975B2 (en) Crane device with work platform for high places
CN111362207A (en) High-precision positioning operation device for overhead working truck
CN214656459U (en) Operating platform
KR102390718B1 (en) Aerial lift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