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861A -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861A
KR20210048861A KR1020190133068A KR20190133068A KR20210048861A KR 20210048861 A KR20210048861 A KR 20210048861A KR 1020190133068 A KR1020190133068 A KR 1020190133068A KR 20190133068 A KR20190133068 A KR 20190133068A KR 20210048861 A KR20210048861 A KR 20210048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giarism
thesis
index
inspection
f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722B1 (ko
Inventor
유진호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3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7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9Phrasal analysis, e.g. finite state techniques or chu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논문 심사를 통해 최종 논문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논문 심사를 위한 본 심사와 최종 제출을 위한 최종 논문 확정을 통한 논문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최종 논문의 표절 검사를 통한 논문 관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논문의 본 심사 전에 표절검사 엔진과 검사서버로 구성된 표절검사 수단을 이용하여 표절여부를 산출하는 표절보고서를 통해 표절검사 시행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1표절지수를 검사서버를 통해 획득하는 제 1단계; 상기 단계에서 획득한 제 1표절지수가 저장된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상의 블록체인 서버에 저장하는 제 2단계; 상기 본 심사를 마친 논문에 대하여 편집 후 최종 완료된 최종 논문에 대한 표절검사 시행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2표절지수를 검사서버를 통해 획득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획득한 제 2표절지수가 저장된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상의 블록체인 서버에 저장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Blockchain-based Paper Plagiarism Inspection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논문의 표절검사 결과를 블록체인 기반을 관리하여 해당 논문의 향후 다양한 논란의 문제를 사전에 예방 및 관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 대중화됨에 따라, 일반인들은 손쉽게 웹의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되면서, 논문, 기술문서 등 많은 문서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얻어진 원본 문서들로부터 표절되어 작성되고 있다. 자기소개서, 독후감, 레포트, 논문 등의 문서 작성 시, 인터넷으로 관련 주제의 전문 자료, 레포트 자료, 블로그 글, 카페 글 등을 쉽게 구할 수 있어, 표절 행위는 하나의 문서를 놓고 베끼는 것을 넘어서 여러 문서로부터 짜깁기하는 형태로 점점 더 정교화 되고 있다. 짜깁기(splicing)는 크게 단락 단위나 문장 단위로 발생하기도 하고, 문장보다 작은 구절 단위로도 발생한다.
종래 문서의 표절을 탐지하는 방법은 문서와 문서간 1:1 비교에 기반을 두고, 검사 대상이 되는 문서와 가장 유사한 문서들을 찾아 서로 비교하여 A 문서와 B 문서가 몇 퍼센트 유사하다는 유사도 값을 계산할 수 있으나, A 문서가 전체 비교문서 집합으로부터 얼만큼 짜깁기 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종합 표절률을 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문서 표절률 산출 방법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표절률 산출 방법에 있어서, 원본 문서에 포함된 문장의 어절을 기 설정된 청크(chunk) 개수 단위로 묶어 복수 개의 색인키를 생성하는 단계(a), 검사 문서에 포함된 문장의 어절을 기 설정된 청크(chunk) 개수 단위로 묶어 복수 개의 탐색키를 생성하는 단계(b), 상기 복수 개의 탐색키를 상기 색인키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탐색키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c), 상기 단계(c)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탐색키에 포함된 어절의 개수를 계산하는 단계(d) 및 상기 계산된 어절의 개수가 검사 문서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여 검사 문서의 종합 표절률을 산출하는 단계(e)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b)는 검사 문서에 포함된 문장의 어절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절씩 이동할 때 마다 기 설정된 청크(chunk) 개수 단위로 묶어 복수 개의 탐색 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단순히 해당 논문의 표절률 정보만 산출하는 것으로, 논문 표절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검증 이력 관리와 검증 정보(검증자, 검증일자 등)에 관한 정보를 임의적으로 조작하지 못하도록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논문 이력관리의 주요 기술적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470547호, KR 10-1572021호, KR 10-1580784호, KR 10-0863943호, KR 10-1254247호, KR 10-071799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논문의 표절검사 결과를 기록해 이력 관리를 행할 때 블록체인 기반을 통해 표절검사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차후 발생할 수 있는 해당 논문의 표절 논란이나 윤리성 논란과 같은 사회적 논란에 대하여 사전에 예방 및 대응할 수 있는 표절검사 이력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논문 심사를 통해 최종 논문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논문 심사를 위한 본 심사와 최종 제출을 위한 최종 논문 확정을 통한 논문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최종 논문의 표절 검사를 통한 논문 관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논문의 본 심사 전에 표절검사 엔진과 검사서버로 구성된 표절검사 수단을 이용하여 표절여부를 산출하는 표절보고서를 통해 표절검사 시행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1표절지수를 검사서버를 통해 획득하는 제 1단계; 상기 단계에서 획득한 제 1표절지수가 저장된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상의 블록체인 서버에 저장하는 제 2단계; 상기 본 심사를 마친 논문에 대하여 편집 후 최종 완료된 최종 논문에 대한 표절검사 시행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2표절지수를 검사서버를 통해 획득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획득한 제 2표절지수가 저장된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상의 블록체인 서버에 저장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절검사 엔진은, 검사 대상이 되는 논문에 포함된 단어, 어절을 단위 개수로 묶어 복수의 색인키를 생성하고, 여기서 생성된 색인키를 통해 선행 문헌(선행 문헌, 선행 자료)과 하여 제 1표절지수, 제 2표절지수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논문에 대한 검증 요청이 발생된 경우 기 저장된 해당 논문의 블록에 대해 검증 요청에 따른 요청 정보(요청자, 요청 일자, 요청 범위)를 블록에 다시 저장하도록 명령신호를 보내어 검증 요청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논문에 대한 검증 요청이 발생한 경우 해당 요청 정보를 사용 단말기로 제공하여 검증 승인 여부를 수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단계는, 대상 논문의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인용되는 선행 문헌의 갯수를 기록하는 문헌갯수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에 그 값을 포함하여 상기 제 2단계 과정에서 상기 블록체인 서버의 블록에 함께 저장하며, 상기 제 4단계를 통해 최종 논문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저장된 후 외부 사용자를 통해 해당 논문의 표절 여부를 재검증 할 때 상기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에 포함된 인용 문헌갯수를 확인하여 해당 논문의 표절지수가 타당하게 산출되었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사용자를 통해 해당 논문의 표절 여부를 재검증 할 때, 외부 사용자가 사용하는 논문과 해당 논문의 일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 산출 과정에서 해당 논문에 고유의 ID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상기 외부 사용자가 재검증에 사용되는 논문을 상기 고유 ID를 통해 일치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논문 심사를 통해 최종 논문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논문 심사를 위한 본 심사와 최종 제출을 위한 최종 논문 확정을 통한 논문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최종 논문의 표절 검사를 통한 논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논문의 본 심사 전에 표절검사 엔진과 검사서버로 구성된 표절검사 수단을 이용하여 표절여부를 산출하는 표절보고서를 통해 표절검사 시행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1표절지수와, 상기 본 심사를 마친 논문에 대하여 편집 후 최종 완료된 최종 논문에 대한 표절검사 시행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2표절지수를 제공하는 검사서버; 상기 검사서버를 통해 획득한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를 포함하는 논문 표절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기반에 저장하기 위한 블록체인 서버; 및 외부로부터 블록체인상에 저장된 논문 표절 정보 확인 요청이 발생한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요청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수락 여부를 획득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검사서버는, 상기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해당 논문 검증에 적용된 인용 문헌에 대하나 문헌갯수값을 산출하고 이를 포함하여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해당 논문이 외부로부터 논문 표절 정보 확인 요청이 발생할 경우 외부에서 비교하고자 하는 논문과 상기 해당 논문과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최종 저장되는 해당 논문으로 고유 ID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논문 표절검사 이력 관리 시스템은 기존의 논문 심사 프로세스 중 표절검사 결과를 블록에 기록하며, 표절지수 검증으로 사전에 학위 논문, 저널 게재 논문의 표절을 방지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연구자들의 리스크 예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 특성상 논문이 작성되던 시점에 기록된 논문과 그 표절지수를 신뢰할 수 있으며, 논문 심사 프로세스를 따르며 표절검사 이력을 블록에 기록해두면 향후 논문에 표절 논란, 연구자의 윤리성 논란이 발생하는 경우 기록해 두었던 표절검사 이력을 공개하여 연구자의 표절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그 결과로 표절 및 윤리성 등의 논란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예로 문서 표절 산출방법의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학위 논문 심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에서 블록체인상에 저장된 하나의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하나의 블록을 블록체인화 방식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은, 논문 심사를 통해 최종 논문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논문 심사를 위한 본 심사와 최종 제출을 위한 최종 논문 확정을 통한 논문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최종 논문의 표절 검사를 통한 논문 관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논문의 본 심사 전에 표절검사 엔진과 검사서버로 구성된 표절검사 수단을 이용하여 표절여부를 산출하는 표절보고서를 통해 표절검사 시행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1표절지수를 검사서버를 통해 획득하는 제 1단계; 상기 단계에서 획득한 제 1표절지수가 저장된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상의 블록체인 서버에 저장하는 제 2단계; 상기 본 심사를 마친 논문에 대하여 편집 후 최종 완료된 최종 논문에 대한 표절검사 시행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2표절지수를 검사서버를 통해 획득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획득한 제 2표절지수가 저장된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상의 블록체인 서버에 저장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은 학위 논문 심사 프로세스에서 논문의 본 심사와 최종 논문 등록 과정에서 발행할 수 있는 논문의 표절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논문의 표절지수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고 해당 논문의 검사 이력도 마찬가지로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함에 따라 연구자의 저널 논문 투고 시 또는 심사 후 게재 확정에 따른 표절검사를 수행하여 사회적 윤리성 등의 논란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을 주요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학위 논문 심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연구자는 학위취득을 위해 논문 심사 프로세스를 거치는데, 논문 심사 신청 후 석사학위의 경우 3인, 박사학위의 경우 5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으로부터 1회의 예비심사, 1회의 본 심사를 수행한다. 본 심사 전에 작성된 논문으로 카피킬러의 표절검사 후 표절 보고서를 본 심사에 논문과 함께 제출하여 심사를 받는다. 이때 표절검사 결과를 블록의 트랜젝션으로 받아 기록해 둔다. 이 블록에는 표절검사 시행 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 표절지수가 기록된다. 이때, 본 심사에서 표절 검사를 통해 획득되는 표절지수는 제 1표절지수에 해당한다.
본 심사에서 통과된 논문은 수정과 편집을 거쳐 최종 완료하여 제본 후 제출하는데 이때 연구자는 최종 논문의 표절검사 보고서도 함께 제출한다. 이 표절검사 결과 역시 블록의 트랜젝션으로 받아 기록해 둔다. 이 블록에도 표절검사 시행 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 표절지수가 기록된다. 이때, 최종 논문 확정에 따른 표절 검사를 통해 획득되는 표절지수는 제 2표절지수에 해당한다.
현재 두 번에 걸쳐 제출한 표절검사 보고서는 논문 통과를 위한 절차상의 참고자료로 활용되는데 그치며, 이 후 논문과 관련된 논란 발생 시 참고자료로 활용되어 논란을 잠재울 수 있는 역할을 하기는 어려운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저널에 게재하는 논문은 저널에서 심사과정이나 출판 전에 연구자에게 표절검사 보고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에 게재된 논문에 논란이 생기는 경우 더욱 연구자들이 곤란한 상황을 겪게 된다.
따라서, 학위논문 심사 프로세스에서처럼 연구자가 저널에 논문 투고 시 표절검사를 하고, 심사 후 게재가 확정된 논문에 대해서도 표절검사를 하여 그 결과를 블록의 트랜젝션으로 받아 기록해 둔다. 이를 통해 표절검사 이력을 통해 연구자의 표절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그 결과로 표절 및 윤리성 등의 논란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에서 블록체인상에 저장된 하나의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블록에는 블록체인 기술에서 적용되는 해쉬함수가 헤더에 포함되어 있으며, 블록을 구성하는 각 트랜잭션에는 해당 논문 정보를 포함한다. 트랜잭션에는 기본적으로 표절검사 시행 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 표절지수를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표절지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절검사 엔진을 통해 산출된 표절지수값이 저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단계는, 대상 논문의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인용되는 선행 문헌의 갯수를 기록하는 문헌갯수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에 그 값을 포함하여 상기 제 2단계 과정에서 상기 블록체인 서버의 블록에 함께 저장한다.
여기서, 인용되는 문헌갯수의 데이터를 차후 표절 여부를 재검증하는 절차에서 제 3자를 통해 해당 논문이 적절하게 검증됐는지 여부를 확인할 때 해당 논문의 검증 시점에서 충분히 인용 문허를 참고했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과정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4단계를 통해 최종 논문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저장된 후 외부 사용자를 통해 해당 논문의 표절 여부를 재검증 할 때 상기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에 포함된 인용 문헌갯수를 확인하여 해당 논문의 표절지수가 타당하게 산출되었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사용자를 통해 해당 논문의 표절 여부를 재검증 할 때, 외부 사용자가 사용하는 논문과 해당 논문의 일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 산출 과정에서 해당 논문에 고유의 ID를 할당한다. 상기 고유의 ID라 하면, 해당 논문이 블록체인에 저장될 때 확정된 논문 데이터를 가지고 고유 ID를 부과하게 되며, 차후 제 3자를 통하여 논문이 재검증될 때 제 3자가 적용하는 논문이 상기 해당 논문과 일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고유의 ID를 제공하게 되고 이것을 통해 재검증시 두 논문(해당 논문과 제 3자가 적용하는 비교대상 논문)의 일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부 사용자가 재검증에 사용되는 논문을 상기 고유 ID를 통해 일치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하나의 블록을 블록체인화 방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수의 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논물 표절 검사 방법은 다수의 블록에 저장된 하나의 논문의 표절 검사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논문의 표절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블록체인상에 저장된 논문의 표절 검사 이력 정보를 호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논물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은, 도 5에서 개략적인 구성도를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논문에 대하여 표절지수를 산출하는 제 1표출지수와 제 2표절지수의 산출은 검사서버(200)를 통해 획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검사서버(200)에는 표절지수를 산출하는 표절검사 엔진(11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표절검사 엔진은 검사 대상이 되는 논문에 포함된 단어, 어절을 단위 개수로 묶어 복수의 색인키를 생성하고, 여기서 생성된 색인키를 통해 선행 문헌(선행 문헌, 선행 자료)과 하여 제 1표절지수, 제 2표절지수를 산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본 심사 시 표절지수에 해당하는 제 1표절지수와 최종 확정 논문에 해당하는 표절지수에 대한 제 2표절지수를 포함하여 개별적으로 획득한 후 블록체인 서버(300)의 블록에 저장함으로써, 최종 연구 논문의 투고나 게재시에 발생할 수 있는 표절 논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400)는 외부로부터 블록에 저장된 논문 정보의 이력을 모니터링 할 경우 해당 정보를 관리 감독하는 것으로, 이력 정보를 호출하는 외부 단말기가 발생할 경우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즉, 연구자한테 제공한다. 누구로부터 어떤 요청이 발생하였는지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가 제공함으로써 논문 이력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기존의 논문 심사 프로세스 중 표절검사 결과를 블록에 기록하며, 표절지수 검증으로 사전에 학위 논문, 저널 게재 논문의 표절을 방지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연구자들의 리스크 예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표절검사 엔진
200 : 검사서버 300 : 블록체인서버
40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6)

  1. 논문 심사를 통해 최종 논문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논문 심사를 위한 본 심사와 최종 제출을 위한 최종 논문 확정을 통한 논문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최종 논문의 표절 검사를 통한 논문 관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논문의 본 심사 전에 표절검사 엔진과 검사서버로 구성된 표절검사 수단을 이용하여 표절여부를 산출하는 표절보고서를 통해 표절검사 시행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1표절지수를 검사서버를 통해 획득하는 제 1단계;
    상기 단계에서 획득한 제 1표절지수가 저장된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상의 블록체인 서버에 저장하는 제 2단계;
    상기 본 심사를 마친 논문에 대하여 편집 후 최종 완료된 최종 논문에 대한 표절검사 시행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2표절지수를 검사서버를 통해 획득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획득한 제 2표절지수가 저장된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상의 블록체인 서버에 저장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절검사 엔진은,
    검사 대상이 되는 논문에 포함된 단어, 어절을 단위 개수로 묶어 복수의 색인키를 생성하고, 여기서 생성된 색인키를 통해 선행 문헌(선행 문헌, 선행 자료)과 하여 제 1표절지수, 제 2표절지수를 산출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논문에 대한 검증 요청이 발생된 경우 기 저장된 해당 논문의 블록에 대해 검증 요청에 따른 요청 정보(요청자, 요청 일자, 요청 범위)를 블록에 다시 저장하도록 명령신호를 보내어 검증 요청 정보를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임의의 논문에 대한 검증 요청이 발생한 경우 해당 요청 정보를 사용 단말기로 제공하여 검증 승인 여부를 수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
  5. 논문 심사를 통해 최종 논문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논문 심사를 위한 본 심사와 최종 제출을 위한 최종 논문 확정을 통한 논문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최종 논문의 표절 검사를 통한 논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해당 논문의 본 심사 전에 표절검사 엔진과 검사서버로 구성된 표절검사 수단을 이용하여 표절여부를 산출하는 표절보고서를 통해 표절검사 시행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1표절지수와, 상기 본 심사를 마친 논문에 대하여 편집 후 최종 완료된 최종 논문에 대한 표절검사 시행일자, 기관(개인), 논문 제목, 저자정보를 포함하는 제 2표절지수를 제공하는 검사서버;
    상기 검사서버를 통해 획득한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를 포함하는 논문 표절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여 블록체인 기반에 저장하기 위한 블록체인 서버; 및
    외부로부터 블록체인상에 저장된 논문 표절 정보 확인 요청이 발생한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요청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수락 여부를 획득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서버는,
    상기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해당 논문 검증에 적용된 인용 문헌에 대하나 문헌갯수값을 산출하고 이를 포함하여 제 1표절지수와 제 2표절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해당 논문이 외부로부터 논문 표절 정보 확인 요청이 발생할 경우 외부에서 비교하고자 하는 논문과 상기 해당 논문과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최종 저장되는 해당 논문으로 고유 ID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시스템.
KR1020190133068A 2019-10-24 2019-10-24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 KR102332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68A KR102332722B1 (ko) 2019-10-24 2019-10-24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68A KR102332722B1 (ko) 2019-10-24 2019-10-24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861A true KR20210048861A (ko) 2021-05-04
KR102332722B1 KR102332722B1 (ko) 2021-11-29

Family

ID=7591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068A KR102332722B1 (ko) 2019-10-24 2019-10-24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7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452B1 (ko) * 2022-01-24 2022-11-21 (주)레오테크코리아 고객 맞춤형 광고 승인 플랫폼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943B1 (ko) 2007-10-04 2008-10-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절탐색 방법 및 장치
KR101264151B1 (ko) * 2012-10-24 2013-05-14 주식회사 무하유 문서 표절률 산출 장치 및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470547B1 (ko) 2014-08-29 2014-12-10 주식회사 무하유 독음데이터를 이용한 문서 표절률 산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20170084823A (ko) * 2016-01-13 2017-07-21 (주)이스웨이 컨텐츠 관리 시스템을 지원하는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
KR102032780B1 (ko) * 2018-05-15 2019-10-17 주식회사유니타스(Unitas Co.,Ltd) 출처 증명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국가위험 지표 및 항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943B1 (ko) 2007-10-04 2008-10-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절탐색 방법 및 장치
KR101264151B1 (ko) * 2012-10-24 2013-05-14 주식회사 무하유 문서 표절률 산출 장치 및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470547B1 (ko) 2014-08-29 2014-12-10 주식회사 무하유 독음데이터를 이용한 문서 표절률 산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20170084823A (ko) * 2016-01-13 2017-07-21 (주)이스웨이 컨텐츠 관리 시스템을 지원하는 논문 관리 방법 및 논문 관리 시스템
KR102032780B1 (ko) * 2018-05-15 2019-10-17 주식회사유니타스(Unitas Co.,Ltd) 출처 증명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국가위험 지표 및 항목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452B1 (ko) * 2022-01-24 2022-11-21 (주)레오테크코리아 고객 맞춤형 광고 승인 플랫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722B1 (ko)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8886B (zh) 用于经由区块链进行评论验证和可信度评分的方法和系统
US11632238B2 (en) Traceability of edits to digital documents via distributed ledgers
CN110495132B (zh) 用于在分布式网络节点内生成、上传和执行代码区块的系统和方法
US20190372769A1 (en) Blockchain-universal document identification
US9122729B2 (en) Chain-of-custody for archived data
AU2018202830A1 (en) Digital Asset Platform
CN111602166B (zh) 在区块链上提供可遍历键值数据存储的方法和设备
KR101264151B1 (ko) 문서 표절률 산출 장치 및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10929615B2 (en) Tone analysis of legal documents
CN111966968A (zh) 基于区块链的版权保护方法及系统
US20190272392A1 (en) Method for custody and provenance of digital documentation
US201903703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digital documentation of subjects using hash chains
US20210390201A1 (en) Distributed Ledger Interface System for Background Verification of an Individual
Konashevych ‘GoLand Registry’Case Study: Blockchain/DLT Adoption in Land Administration in Afghanistan
KR102332722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논문 표절 검사를 통한 관리 방법
Ismail et al. The Admissibility of Digital Document According to Syariah Law: A Preliminary Analysis
US20200334274A1 (en) Quick data structuring comput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9690795B1 (en) Data repository configured for facilitating point in time retrieval of content
CN111061844A (zh) 基于语义网的企业合同审核系统及方法
Gazis et al. A Blockchain Cloud Computing Middleware for Academic Manuscript Submission
WO2022143123A1 (zh) 一种基于区块链的信息存储系统、方法及服务器
WO2019019456A1 (zh) 理赔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2560055B (zh) 一种基于pki技术的可信电子证照系统及工作方法
CN116720773B (zh) 基于分块评标的招标方法和装置
KR102630870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