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756A - Teeth setup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setup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Teeth setup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setup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756A
KR20210048756A KR1020190132800A KR20190132800A KR20210048756A KR 20210048756 A KR20210048756 A KR 20210048756A KR 1020190132800 A KR1020190132800 A KR 1020190132800A KR 20190132800 A KR20190132800 A KR 20190132800A KR 20210048756 A KR20210048756 A KR 20210048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ata
tooth
type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9030B1 (en
Inventor
왕건
유혜리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030B1/en
Publication of KR2021004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35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adapted for acquisition of images from more than one imaging mode, e.g. combining MRI and optical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61C2007/004Automatic construction of a set of axes for a tooth or a plurality of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orthodontic design method and a device theref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thodontic desig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obtaining a measurement value for each diagnostic item through analysis of clinical data of a patient; classifying a patient type using the obtained measurement value for each diagnostic item; and automatically setting teeth in accordance with the classified patient type. Accordingly, diagnosis and analysis of the clinical data of the patient, the classification of the patient type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and a setup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classified patient type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through a single program.

Description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Teeth setup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setup apparatus therefor}Orthodontic desig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Teeth setup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setup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영상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교정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establishment technology.

치열이 바르지 않고 상하의 치아 교합이 비정상적인 상태를 부정교합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부정교합은 저작, 발음상의 문제와 같은 기능적인 문제점과 얼굴에 대한 미적인 문제점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충치와 잇몸질환과 같은 건강상의 문제점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정교합을 정상교합으로 만들기 위한 치아 교정치료가 시행되어야 한다. 적합한 치료 시술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치아교정 치료를 하기 이전에, 임상 데이터로부터 교정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이상적인 형태로 치아가 배열되도록 가상의 셋업 데이터를 제작하는 셋업(Setup) 작업이 요구된다. 이러한 과정은 치과용 캐드(Computer Aided Design: CAD)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진다.A condition in which the teeth are not right and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abnormal is called malocclusion. Such malocclusion may cause functional problems such as mastication and pronunciation problems and aesthetic problems for the face, as well as health problems such as tooth decay and gum disease. Therefore, orthodontic treatment must be performed to make this malocclusion a normal bite. In order to determine a suitable treatment method, a setup work is required to create virtual setup data so that teeth are arranged in an ideal shape by establishing an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from clinical data before performing orthodontic treatment. This process is done through the Computer Aided Design (CAD) program.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을 이용한 치아 셋업 작업을 진행할 때,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진단 과정이 선행 되어야 한다. 현재 치과 교정 치료 시, 별도의 진단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행한다. 그리고 분석 결과 값을 가져와서 환자의 치료계획을 수립한다. 그 후, 계획된 대로 치아를 수동으로 셋업 한다. 이러한 절차는 매번 새롭게 분석하고 계산해야 해서 절차상의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많은 시간과 노력,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작업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When setting up a tooth using a dental CAD program, a diagnosis process us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should be preceded. In the current orthodontic treatment,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patient's diagnostic data through a separate diagnostic program. Then, the patient's treatment plan is established by taking the analysis result value. After that, the teeth are set up manually as planned. This procedure has to be analyzed and calculated anew each time, so there is a hassle in the procedure. Therefore, it has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time, effort, and user input work.

일 실시 예에 따라, 교정치료를 위한 데이터 셋업 시 사용자 조작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고, 사용자가 신속하게 환자의 임상 데이터에 데이터 분석을 적용할 수 있는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e propose a correction desig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user convenience by minimizing user manipulation when setting up data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llowing users to quickly apply data analysis to patient clinical data. .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방법은, 안모 구조, 골격 구조 및 치아 구조에 따라 진단항목을 분류하는 단계와, 분류된 진단항목 별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상태에서,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설정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각 진단항목을 계측함에 따라 계측 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진단항목 별 계측 값을 이용하여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와, 분류된 환자 유형에 따라 치아를 자동으로 셋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orthodontic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classifying diagnosis items according to facial structure, skeletal structure, and tooth structure, and obtaining clinical data of a patient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is set for each classified diagnosis item. And obtaining a measurement value by measuring each diagnosis item with reference to at least one of the set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classifying the patient type using the measured value for each obtained diagnosis item; and And automatically setting up the teeth accordingly.

임상 데이터는 환자의 안모 스캔 데이터, 두부 방사선 사진, 정면 방사선 사진, 치아 모델 데이터, CT 데이터 및 파노라믹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두 개를 정합한 정합 데이터를 포함하며, 계측 값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안모 분석을 통해 안모 계측 값을 획득하고,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골격 분석을 통해 골격 계측 값을 획득하며,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치아 분석을 통해 치아 계측 값을 획득할 수 있다.The clinical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patient's facial scan data, head radiograph, frontal radiograph, tooth model data, CT data, and panoramic data, or includes registration data obtained by matching at least two of them. In the step of acquiring, the facial hair measurement value is obtained through facial analysis us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the skeletal measurement value is obtained through the skeletal analysis us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and the tooth Measured values can be obtained.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는, 안모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안모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로서, 상순의 돌출도(Upper Lip to E-line), 비순각(Nasiolabial Angle) 및 하순의 돌출도(Lower Lip to E-line)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계측 값으로부터 각각 환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The step of classifying the patient type is classification of the patient type using the facial hair measurement values obtained through facial analysis.The upper lip to E-line, the nasiolabial angle, and the lower lip are classified. Lip to E-line), each patient type may be classified from each measurement value of at least one.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는, 골격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골격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로서, 골격의 수직관계 요소, 골격-치아 관계 요소 및 골격의 수직-수평 관계 요소 각각에서 얻어지는 계측 값으로부터 각각 환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골격의 수직관계 요소는 FMA(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 SN-MP (°) 및 PFH(Posterior Facial Height) / AFH(Anterior Facial Height)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골격-치아 관계 요소는 IMPA(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 FMIA(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 및 L1 to A-Pog (m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골격의 수직-수평 관계 요소는 EI(Extraction Index)를 포함하며, EI(Extraction Index)는 골격의 수직관계 요소(Overbite Depth Indicator: ODI), 골격의 수평관계 요소(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APDI), 절치간 각도 요소(Interincisor Angle: LLA), 상순의 돌출도(Upper Lip to E-line) (mm) 및 하순의 돌출도(Lower Lip to E-line) (mm)를 이용하여 계측한 값일 수 있다.The step of classifying the patient type is classification of the patient type using the skeletal measurement values obtained through skeletal analysis, and each of the measured values obtained from the vertical relation elements of the skeleton, the skeletal-tooth relation elements, and the vertical-horizontal relation elements of the skeleton. Classify patient types. The vertical relationship element of the skeleton includes at least one of FMA (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 SN-MP (°), and PFH (Posterior Facial Height) / AFH (Anterior Facial Height) (%), and skeletal-tooth The relationship ele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IMPA) (°), 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FMIA) (°), and L1 to A-Pog (mm), and the vertical-horizontal relationship element of the skeleton is EI ( Extraction Index), and the EI (Extraction Index) includes an overbite depth indicator (ODI), an 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APDI), an interincisor angle (LLA), It may be a value measured using the upper lip to E-line (mm) and the lower lip to E-line (mm).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는, 치아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치아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로서, 악 내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 및 악 간 관계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으로부터 각각 환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악 내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은 상악의 치아 길이 및 치열 궁 길이 간 부조화 요소(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x ALD) (mm), 하악의 치아 길이 및 치열 궁 길이 간 부조화 요소(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n ALD) (mm) 및 교합평면 요소(Curve of Spee) (m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악 간 관계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은 볼튼 비율에 따른 상악의 초과량 요소(Bolton excess in Mx) (mm), 볼튼 비율에 따른 하악의 초과량 요소(Bolton excess in Mn) (mm) 및 하악 전치부의 배열관계 요소(Irregularity Index) (m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lassifying the patient type, a patient type is classified using a tooth measurement value obtained through tooth analysis, and a patient type may be classified from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from an intramaxillary element and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from an intermaxillary relationship element. The measured values obtained from the intramaxillary elements are the 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x ALD) (mm), the 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n) and the 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n). ALD) (mm) and at least one of the Curve of Spee (mm), and the measured value obtained from the intermaxillary relationship element is the Bolton excess in Mx (mm) (mm ), the mandible excess in Mn (mm) according to the Bolton ratio, and an Irregularity Index (mm) of the mandibular anterior teeth.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에서, 다수의 환자 유형이 혼재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when a plurality of patient types are mixed, the main typ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치아를 자동으로 셋업하는 단계는, 분류된 각 환자유형 별로 디지털 셋업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각 진단항목에서 그 계측 값이 정상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정상범위 값으로 조정하기 위한 셋업을 수행하여 셋업 결과를 제공하되, 환자유형이 발치 유형인 경우 치아 발치를 자동으로 수행한 셋업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라 셋업 결과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s of automatically setting up teeth include generating digital setup data for each categorized patient type, and performing setup to adjust to a normal range when the measured value exceeds the normal range in each diagnostic item. Providing a result, but when the patient type is an extraction type, providing a setup result of automatically performing tooth extraction, and correcting the setup result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교정 디자인 방법은, 임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두 데이터 간 정합을 수행하고, 정합이 수행된 데이터 또는 임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개별치아를 분리하여 분리된 개별치아를 대상으로 특징정보를 추출하며, 임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정보를 추출하는 준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thodontic design method performs registration between two data constituting clinical data, separates individual teeth from at least one of the data on which the registration has been performed or two data constituting the clinical data, and provides feature information for the separated individual teeth. The extrac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paration step of extracting referenc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two data constituting the clinical data.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장치는, 안모 구조, 골격 구조 및 치아 구조에 따라 진단항목을 분류하고, 분류된 진단항목 별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상태에서,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설정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각 진단항목을 계측함에 따라 계측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진단항목 별 계측 값을 이용하여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분류된 환자 유형에 따라 치아를 자동으로 셋업하는 데이터 셋업부를 포함한다.The orthodontic desig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lassifies diagnosis items according to facial structure, skeletal structure, and tooth structure, and acquires clinical data of a patient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point and a connection line is set for each classified diagnosis item, A data analysis unit that obtains measurement values by measuring each diagnosis item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the set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and classifies the patient type by using the obtained measurement value for each diagnosis item, and the tooth according to the classified patient type. It includes a data setup unit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데이터 분석부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안모 구조 분석을 통해 안모 계측 값을 획득하는 안모 분석부와,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골격 구조 분석을 통해 골격 계측 값을 획득하는 골격 분석부와,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치아 구조 분석을 통해 치아 계측 값을 획득하는 치아 분석부와, 안모 구조, 골격 구조 및 치아 구조 분석에 따라 진단항목 별로 환자 유형을 발치 유형, 비 발치 유형 및 혼합 유형으로 분류하는 환자 유형 분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analysis unit includes a facial analysis unit that acquires facial hair measurement values through facial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a skeletal analysis unit that acquires skeletal measurement values through skeletal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and A tooth analysis unit that acquires tooth measurement values through tooth structure analysis using clinical data, and patients who classify patient types by diagnosis items into extraction type, non-extraction type, and mixed type according to facial structure, skeletal structure, and tooth structure analysis. It may include a type classification unit.

환자 유형 분류부는 안모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안모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로서, 상순의 돌출도(Upper Lip to E-line), 비순각(Nasiolabial Angle) 및 하순의 돌출도(Lower Lip to E-line)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계측 값으로부터 각각 환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nit classifies patient types using facial hair measurement values obtained through facial analysis, and includes upper lip to E-line, nasiolabial angle, and lower lip to E-line. line), each patient type may be classified from each measurement value.

환자 유형 분류부는 골격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골격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로서, 골격의 수직관계 요소, 골격-치아 관계 요소, 골격의 수직-수평 관계 요소 각각에서 얻어지는 계측 값으로부터 각각 환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nit classifies patient types using skeletal measurement values obtained through skeletal analysis, and classifies each patient type from measurement values obtained from each of the skeletal vertical relationship element, skeletal-tooth relationship element, and skeletal vertical-horizontal relationship element. can do.

환자 유형 분류부는 치아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치아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로서, 악 내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 및 악 간 관계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으로부터 각각 환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nit is a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sing a tooth measurement value obtained through tooth analysis, and may classify a patient type from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from an intra-jaw element and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from an inter-jaw relationship element.

데이터 셋업부는 분류된 각 환자유형 별로 디지털 셋업 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진단항목에서 그 계측 값이 정상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정상범위 값으로 조정하기 위한 셋업을 수행하여 셋업 결과를 제공하되, 환자유형이 발치 유형인 경우 치아 발치를 자동으로 수행한 셋업 결과를 제공하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라 셋업 결과를 보정할 수 있다.The data setup unit generates digital setup data for each categorized patient type, and if the measured value in each diagnostic item exceeds the normal range, it performs setup to adjust it to the normal range value and provides the setup result. In the case of extraction type, it provides the setup result of automatically performing tooth extraction, and the setup result can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input.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단일의 교정 디자인 프로그램이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입력 받기만 하면, 진단, 분석, 치료계획 및 셋업 과정까지 연속적으로 실행하여 절차 상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다양한 분석방법을 사용자가 신속하게 환자 데이터에 접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orthodontic desig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long as a single orthodontic design program receives clinical data of a patient, diagnosis, analysis, treatment planning, and setup are continuously executed to reduce the hassle of procedures, Various analysis methods can be quickly applied to patient data by users.

예를 들어, 교정치료 환자의 임상 데이터 진단 및 분석, 분석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분류된 환자 유형에 따른 셋업 과정까지 단일의 프로그램을 통해 연속적으로 자동 수행함에 따라 복잡한 작업을 최소화 하면서 사용자의 노력과 시간을 절약하고 쉽고 빠르게 교정 작업이 가능하다. 이때, 환자의 임상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진단항목 별로 계측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진단항목 별 계측 값을 이용하여 환자 유형을 자동으로 분류 가능하다. 또한, 환자 유형 결과뿐만 아니라 환자 유형 별 셋업 데이터까지를 자동으로 제시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도모하고, 사용자의 자유로운 셋업 수정을 통해 치료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diagnosis and analysis of clinical data of patients with orthodontic treatment, patient typ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alysis, and setup process according to the classified patient type are continuously performed automatically through a single program, minimizing the user's effort and It saves time and enables quick and easy calibra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obtain a measurement value for each diagnosis item through analysis of the patient's clinical data, and automatically classify the patient type using the obtained measurement value for each diagnosis item. In addition, by automatically presenting not only the patient type result but also the setup data for each patient type,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treatment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user's free set-up modification.

나아가, 분석대상이 되는 진단항목을 새롭게 조합하고 진단항목 별 계측점 및 연결선을 재정의한 후 재정의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각 진단항목 별로 안모(Facial), 골격(Skeletal) 및 치아(Dental)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에 따라 보다 정확하며 객관적으로 환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Furthermore, after newly combining the diagnostic items to be analyzed and redefining the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for each diagnostic item, refer to at least one of the redefined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and ), it is possible to classify patient types more accurately and obj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데이터 처리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데이터 분석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단항목 별 계측점 및 연결선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단항목 별 계측 값에 따른 발치 다각형 차트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유형에 따라 임상 데이터를 디지털 셋업 데이터로 배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pper Lip to E-line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asiolabial Angle (°)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ower Lip to E-line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MA(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MP (°)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FH(Posterior Facial Height) / AFH(Anterior Facial Height) (%)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MPA(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MIA(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1 to A-Pog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I(Extraction Index)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x ALD(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olton (excess in Mx)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ALD(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olton (excess in Mn)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urve of Spee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rregularity Index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libration desig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ata processing unit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ata analysis unit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 calibration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for each diagnosis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n extraction polygon chart according to measurement values for each diagnosis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rranging clinical data as digital setup data according to a patient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n Upper Lip to E-line (mm)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 Nasiolabial Angle (°)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 measurement value of Lower Lip to E-line (m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 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FMA) (°)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SN-MP (°) measurement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 measurement value of a posterior facial height (PFH) / anterior facial height (AFH)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n 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IMPA) (°)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sing a 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FMIA) (°)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L1 to A-Pog (mm) measurement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2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n extraction index (EI)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Mx ALD (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m) measurement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and 25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a patient type using a Bolton (excess in Mx) (mm)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 measurement value of Mn ALD (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and 28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a patient type using a measured value of Bolton (excess in Mn) (m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 measurement value of Curve of Spee (m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and 31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n Irregularity Index (mm)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possessor,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user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Combinations of each block of the attached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may be execut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xecution engine), and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re us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As can be mounted,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gener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chart.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in which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contain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chart.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a series of operation steps ar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create a computer-executable process.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in the block diagram and in each step in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art of code contain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nd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mentioned in the blocks or steps.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also possible for function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and the blocks or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a corresponding function as necessary.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libration desig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실제 치과에서 치아 교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치과용 캐드 공정을 수행한다. 교정을 위한 치과용 캐드 공정이란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통해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진단 및 분석을 거쳐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치료계획에 따라 가상의 치아 셋업 데이터를 제작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본 실시 예는 단일의 교정 디자인 프로그램이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입력 받기만 하면, 진단, 분석, 치료계획 및 셋업 과정까지 연속적으로 실행하여 절차 상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다양한 분석방법을 사용자가 신속하게 환자 데이터에 접목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orthodontic design apparatus 1 performs a dental CAD process to help correct teeth in an actual dentistry. The dental CAD process for orthodontics acquires patient clinical data, establishes a treatment plan through diagnosis and analysis using clinical data through control by a computer program, and produces virtual tooth setup data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treatment plan. It means a series of processes. In this embodiment, as long as a single calibration design program receives patient clinical data, diagnosis, analysis, treatment planning, and setup processes are continuously executed to reduce the hassle of procedures, and users can quickly use various analysis methods. So that it can be grafted into.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치과용 캐드 프로그램으로서 교정 디자인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전자장치와, 전자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PC, 스마트폰, 휴대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있다.The orthodontic desig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 orthodontic design program as a dental CAD program, and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a network. Electronic devices include computers, notebook computers, laptop computers, tablet PCs, smartphones, mobile phones, personal media players (PMP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the like.

이하,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교정 디자인 장치(1)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the calibration design apparatus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alibration desig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10, a storage unit 12, a control unit 14, an input unit 16, and an output unit 18.

데이터 획득부(10)는 교정치료 환자로부터 임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교정치료를 위해 필요한 임상 데이터는 치아 모델 데이터, CT 데이터, 파노라믹 데이터, 안모(Face) 스캔 데이터, 두부 방사선 사진(Cephalometric X-ray) 데이터, 정면 방사선 사진(PA X-ray) 데이터 등이 있다.The data acquisition unit 10 acquires clinical data from orthodontic treatment patients. Clinical data required for orthodontic treatment includes tooth model data, CT data, panoramic data, face scan data, cephalometric X-ray data, and frontal radiograph (PA X-ray) data. have.

여기서, 치아 모델 데이터는 구강 스캔 데이터, 치아 모델 스캔 데이터 등 치아 외형을 나타내는 데이터들을 의미하며, 본 설명에서는 구강 스캔 데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tooth model data refers to data representing the appearance of teeth such as oral scan data and tooth model scan data, and in this description, oral scan data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저장부(12)에는 교정 디자인 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2)는 제어부(14)의 데이터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 stores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calibration design apparatus 1 and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 storage unit 12 may provide data to the control unit 14 for data analysis by the control unit 14.

제어부(14)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교정치료 환자의 임상 데이터 진단 및 분석, 분석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분류된 환자 유형에 따른 치아 셋업 과정까지를 연속적으로 수행 하면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치아 셋업 과정은 기준범위에서 벗어나 있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정상범위로 배열하여 가상의 디지털 셋업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임상 데이터 진단 과정, 분석 과정 및 치아 셋업 과정이 각각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지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단일의 프로그램을 통해 일련의 진단, 분석 및 셋업 과정을 연속으로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4)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진단항목 별로 계측 값을 획득하고 진단항목 별 계측 값을 이용하여 환자 유형을 자동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분류된 환자 유형에 따라 치아를 자동으로 셋업한다. 이에 따라, 환자 유형 분류뿐만 아니라 환자 유형 별 치아 셋업 결과까지를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보이는 화면정보를 구성하고, 임상 데이터에 가상의 디지털 셋업 데이터를 배열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4 controls each component while continuously performing diagnosis and analysis of clinical data of orthodontic patients through control by a computer program, classification of patient types according to analysis, and tooth setup process according to the classified patient types. . The tooth setup process refers to a process of generating virtual digital setup data by arranging clinical data of a patient out of the reference range into a normal range. In general, the clinical data diagnosis process, analysis process, and tooth setup process are each performed through separate programs, but the control unit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tinuously performs a series of diagnosis, analysis, and setup processes through a single program. do.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 obtains the measured value for each diagnosis item through analysis of the patient's clinical data, and automatically classifies the patient type using the measured value for each diagnosis item. And it automatically sets up teeth according to the categorized patient types. Accordingly, not only patient type classification but also tooth setup results for each patient type can be automatically presented through a program. The control unit 14 configures scree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output unit 18 and performs a simulation of arranging virtual digital setup data in clinical data.

출력부(18)는 임상 데이터와 제어부(14)를 통해 생성되는 환자 유형 분류 결과, 디지털 셋업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한다.The output unit 18 displays a screen including clinical data, patient type classification results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4, digital setup data, and the like.

입력부(16)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디지털 셋업 데이터에 대한 이동, 회전과 같은 사용자 수정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입력부(16)는 환자 유형 분류를 위한 진단항목을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진단항목 별로 환자 유형 분류를 위한 기준 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16 receives a user manipulation signal. For example, through the output unit 18, an operation signal for user modification such as movement and rotation of digital setup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is input. The input unit 16 may receive a user manipulation signal for adding, deleting, or changing a diagnosis item for classifying a patient type. In addition, a reference value for classifying patient types for each diagnosis item can be input from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4)는 데이터 처리부(140), 데이터 분석부(142) 및 데이터 셋업부(144)를 포함한다.1 and 2, the control unit 14 includes a data processing unit 140, a data analysis unit 142, and a data setup unit 144.

데이터 처리부(140)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준비한다. 데이터 준비는 데이터 간 정합, 개별치아 분리, 특징정보 추출, 기준정보 추출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40)의 세부 구성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The data processing unit 140 prepares data for analyzing clinical data of a patient. Data preparation may include data matching, individual tooth separation, feature information extraction, and reference information extraction.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ata process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데이터 분석부(142)는 임상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진단항목 별로 계측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진단항목 별 계측 값을 이용하여 환자 유형을 분류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부(142)는 안모 구조, 골격 구조 및 치아 구조에 따라 진단항목을 분류하고, 분류된 진단항목 별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상태에서,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설정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각 진단항목을 계측함에 따라 계측 값을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진단항목 별 계측 값을 이용하여 환자 유형을 분류한다. 예를 들어, 환자 유형 판단을 위한 기준 값을 설정한 후, 진단항목 별 계측 값과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진단항목 별로 환자 유형을 분류한다. 데이터 분석부(142)의 세부 구성은 도 4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The data analysis unit 142 obtains a measurement value for each diagnosis item through clinical data analysis, and classifies the patient type using the obtained measurement value for each diagnosis item. The data analysis unit 1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classifies diagnosis items according to facial structure, skeletal structure, and tooth structure, and acquires clinical data of a patient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is set for each classified diagnosis item. And,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the set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each diagnostic item is measured to obtain a measurement value. Then, the patient type is classified using the measured values for each diagnosis item obtained. For example, after setting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the patient type, the measured value for each diagnosis item and the set reference value are compared to classify the patient type by diagnosis item.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ata analysis unit 142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데이터 셋업부(144)는 데이터 분석부(142)에서 분류된 환자 유형에 따라 치아를 자동으로 셋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셋업부(144)는 분류된 각 환자유형 별로 디지털 셋업 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진단항목에서 그 계측 값이 정상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정상범위 값으로 조정하기 위한 셋업을 수행하여 셋업 결과를 제공한다. 환자유형이 발치 유형인 경우 치아 발치를 자동으로 수행한 셋업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라 셋업 결과를 보정할 수도 있다.The data setup unit 144 automatically sets up teeth according to the patient types classified by the data analysis unit 142. The data setup unit 144 according to an embodiment generates digital setup data for each classified patient type, and performs setup for adjusting to a normal range value when the measured value exceeds the normal range in each diagnostic item. Provides setup results. If the patient type is an extraction typ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result of the setup of automatically performing tooth extraction. Furthermore, the setup result may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user manipulation inpu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데이터 처리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ata processing unit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40)는 데이터 정합부(1400), 치아 분리부(1402), 특징 추출부(1404) 및 기준 추출부(1406)를 포함한다.1 to 3, the data processing unit 140 includes a data matching unit 1400, a tooth separation unit 1402, a feature extraction unit 1404, and a reference extraction unit 1406.

데이터 정합부(1400)는 임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두 데이터 간 정합을 수행한다. 정합은 두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맞추는 것이다. 두 데이터는 정면 방사선 사진 데이터와 CT 데이터, 두부 방사선 사진 데이터와 CT 데이터, 구강 스캔 데이터와 CT 데이터가 각각 될 수 있다.The data matching unit 1400 matches between two data constituting clinical data. Matching is to mat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wo data. The two data may be frontal radiograph data and CT data, head radiograph data and CT data, oral scan data and CT data, respectively.

치아 분리부(1402)는 정합이 수행된 데이터 또는 임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개별치아를 분리한다. 개별치아 분리는 치아번호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The tooth separation unit 1402 separates individual teeth from at least one of data on which registration has been performed or two data constituting clinical data. Separation of individual teeth can be performed using a tooth number.

특징 추출부(1404)는 치아 분리부(1402)에서 분리된 개별치아를 대상으로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수정할 수 있다. 특징정보는 예를 들어, 치축, 교합점, 치아 방향, 주변치아와의 컨택 포인트(Contact Point), FACC(Facial Axis of the Clinical Crown), FA 포인트(Facial Axis Point) 등이 있다. FA 포인트는 FACC의 중점이다.The feature extracting unit 1404 may extract feature information for the individual teeth separated by the tooth separation unit 1402 and correct it. Feature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tooth axis, occlusal point, tooth direction, contact point with surrounding teeth, FACC (Facial Axis of the Clinical Crown), FA point, and the like. FA points are the focus of FACC.

기준 추출부(1406)는 임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정보를 추출하고 수정한다. 예를 들어, 기준 추출부(1406)는 상하악 치아 모델 및 안면, 골격 상의 중앙선(Midsagittal line), 교합평면 등을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수정할 수 있다.The reference extraction unit 1406 extracts and corrects at least one reference information of two data constituting clinical data. For example, the reference extraction unit 1406 may extract and correct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an upper and lower tooth model and a face, a midsagittal line on a skeleton, an occlusal plane, and the lik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2의 데이터 분석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ata analysis unit of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분석부(142)는 안모 분석부(1420), 골격 분석부(1422), 치아 분석부(1424) 및 환자 유형 분류부(1426)를 포함한다.1, 2 and 4, the data analysis unit 142 includes a facial hair analysis unit 1420, a skeleton analysis unit 1422, a tooth analysis unit 1424, and a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nit 1426. .

안모 분석부(1420)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 예를 들어, 안모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안모 구조 분석을 통해 안모 계측 값을 획득한다. 골격 분석부(1422)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 예를 들어 두부 방사선 사진 및 정면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골격 구조 분석을 통해 골격 계측 값을 획득한다. 치아 분석부(1424)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 예를 들어 구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치아 구조 분석을 통해 치아 계측 값을 획득한다.The facial hair analysis unit 1420 acquires a facial hair measurement value through facial structure analysis using clinical data of a patient, for example, facial hair scan data. The skeleton analysis unit 1422 obtains a skeletal measurement value through analysis of a skeleton structure using clinical data of a patient, for example, a head radiograph and a front radiograph. The tooth analysis unit 1424 obtains a tooth measurement value through analysis of a tooth structure using clinical data of a patient, for example, oral scan data.

환자 유형 분류부(1426)는 안모 구조, 골격 구조 및 치아 구조 분석에 따라 진단항목 별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및 혼합(Borderline) 유형으로 구분한다. 혼합(Borderline) 유형은 발치(Extraction)와 비 발치(Non-Extraction)의 경계에 위치하는 유형이다.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nit 1426 classifies patient types for each diagnosis item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types according to facial structure, skeletal structure, and tooth structure analysis. The borderline type is a type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부(1426)는 안모 구조 내 상순의 돌출도, 비순각 및 하순의 돌출도 각각에서 얻어진 계측 값으로부터 발치 및 비 발치 유형을 분류한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nit 1426 according to an embodiment classifies the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ypes from measured values obtained from the protrusion of the upper lip, the protrusion of the nasolabial leg, and the protrusion of the lower lip in the facial structure. An embodiment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부(1426)는 골격 구조의 수직관계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으로부터 발치 및 비 발치 유형을 분류하고, 골격-치아 관계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으로부터 발치 및 비 발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골격 구조의 수직관계 요소, 골격의 수평관계 요소, 절치간 각도 요소 및 상순과 하순의 돌출도 요소를 포함하는 골격의 수직-수평 관계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으로부터 발치 및 비 발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13 내지 도 22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nit 1426 according to an embodiment classifies the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ypes from the measured values obtained from the vertical relationship element of the skeletal structure, and classifies the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ypes from the measurement values obtained from the skeletal-tooth relationship element. can do. In addition,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ypes can be classified from the measurement values obtained from the vertical-horizontal relationship elements of the skeleton, including the vertical relationship element of the skeleton structure, the horizontal relationship element of the skeleton, the angle element between the incisors, and the protrusion of the upper and lower lip. I can. An embodiment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22.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부(1426)는 상하악의 치아 길이 및 치열 궁 길이 간 부조화 요소와 교합평면 요소를 포함하는 악 내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으로부터 발치 및 비 발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볼튼 비율에 따른 상하악의 초과량 요소와 하악 전치부의 배열관계 요소를 포함하는 악 간 관계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으로부터 발치 및 비 발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23 내지 도 31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nit 1426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lassify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ypes from measurement values obtained from intra-maxillary elements including an occlusal plane element and an incongruity element between the tooth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jaw and the length of the dentition arch. In addition,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ypes can be classified from the measured values obtained from the intermaxillary relation elements including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excess element and the mandibular anterior tooth arrangement rela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Bolton ratio. An embodiment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3 to 3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calibration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교정 디자인 장치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교정 디자인을 위한 준비를 수행한다(S510). 환자의 임상 데이터는 구강 스캔 데이터, CT 데이터, 파노라믹 데이터, 안모(Face) 스캔 데이터, 두부 방사선 사진(Cephalometric X-ray) 데이터, 정면 방사선 사진(PA X-ray)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orthodontic design apparatus acquires clinical data of a patient and prepares for a correction design (S510). The patient's clinical data includes oral scan data, CT data, panoramic data, face scan data, cephalometric X-ray data, and frontal radiograph (PA X-ray) data.

준비 단계(S510)에서, 교정 디자인 장치는 임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두 데이터 간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정합은 두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맞추는 것이다. 두 데이터는 정면 방사선 사진 데이터와 CT 데이터, 두부 방사선 사진 데이터와 CT 데이터, 구강 스캔 데이터와 CT 데이터가 각각 될 수 있다. 정합이 수행된 데이터 또는 임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개별치아를 분리하고 분리된 개별치아를 대상으로 특징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수정할 수 있다. 개별치아 분리는 치아번호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특징정보는 예를 들어, 치축, 교합점, 치아 방향, 주변치아와의 컨택 포인트(Contact Point), FACC(Facial Axis of the Clinical Crown), FA 포인트(Facial Axis Point) 등이 있다. FA 포인트는 FACC의 중점이다. 또한, 교정 디자인 장치는 상하악 치아 모델 및 안면, 골격 상의 중앙선(Midsagittal line), 교합평면 등을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수정할 수 있다.In the preparation step S510, the calibration design apparatus may perform matching between two data constituting clinical data. Matching is to matc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wo data. The two data may be frontal radiograph data and CT data, head radiograph data and CT data, oral scan data and CT data, respectively. Individual teeth can be separated from at least one of the data on which the registration has been performed or the two data constituting the clinical data, and feature information is extracted for the separated individual teeth, and this can be corrected. Separation of individual teeth can be performed using a tooth number. Feature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tooth axis, occlusal point, tooth direction, contact point with surrounding teeth, FACC (Facial Axis of the Clinical Crown), FA point, and the like. FA points are the focus of FACC. In addition, the orthodontic design apparatus may extract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a maxillary and mandibular tooth model and a face, a midsagittal line on a skeleton, an occlusal plane, and the like, and correct them.

이어서, 교정 디자인 장치는 임상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진단항목 별로 계측 값을 획득한다(S520). 임상 데이터 분석을 위해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 안모 스캔 데이터, 두부 방사선 사진 데이터, 정면 방사선 사진 데이터, CT 데이터가 정합된 형태의 데이터를 기본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calibration design apparatus acquires a measurement value for each diagnosis item through clinical data analysis (S520). For clinical data analysis, data in the form of matching patient's oral scan data, facial hair scan data, head radiograph data, frontal radiograph data, and CT data can be provided as a basic screen.

진단항목 별 계측 값 획득 단계(S520)에서, 교정 디자인 장치는 진단항목을 크게 안모, 골격 및 치아로 분류하고, 안모, 골격 및 치아 별로 추가로 세 분류할 수 있다. 이어서, 분류된 진단항목 별로 계측점 및 연결선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준비 단계(S510)에서 추출한 개별치아의 특징정보, 각 데이터의 위상정보 및 기준정보로부터 진단항목 별 계측점 및 연결선을 설정한다. 진단항목 별 계측점 및 연결선 설정 예는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계측을 위한 진단항목 별 계측점 및 연결선이 모두 사전에 설정된 상태에서, 교정 디자인 장치는 설정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각 진단항목을 계측함에 따라 계측 값을 얻는다.In the step of acquiring measurement values for each diagnosis item (S520), the orthodontic design apparatus may largely classify the diagnosis items into faces, skeletons, and teeth, and may further classify them into faces, skeletons, and teeth. Subsequently,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are set for each classified diagnosis item. For example,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for each diagnosis item are set from feature information of individual teeth extracted in the preparation step (S510), phase information of each data, and reference information. An example of setting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for each diagnosis item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In a state in which all the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for each diagnostic item for measurement are set in advance, the calibration design apparatus obtains measurement values by measuring each diagnostic item using at least one of the set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이어서, 교정 디자인 장치는 진단항목 별 계측 값을 이용하여 환자 유형을 분류한다(S530). 환자 유형은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및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혼합(Borderline)은 발치(Extraction)와 비 발치(Non-Extraction)의 경계에 위치하는 유형이다. 이때, 교정 디자인 장치는 진단항목 별로 유형 판단을 위한 기준 값을 설정하고, 진단항목 별 계측 값과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진단항목 별로 환자 유형을 분류한다. 예를 들어, 진단항목이 UL to E-line (mm)인 경우, 계측 값이 기준 값 1보다 크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기준 값 -3보다 작으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기준 값 -3과 1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으로 분류한다. 계측 값에 따른 환자 유형 분류 예는 도 8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Subsequently, the calibration design apparatus classifies the patient type by using the measured value for each diagnosis item (S530). Patient types can be divid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Borderline is a type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At this time, the calibration design apparatus sets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for each diagnosis item, compares the measured value for each diagnosis item with the set reference value, and classifies the patient type for each diagnosis item. For example, if the diagnostic item is UL to E-line (mm), if the measured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1, it is an extraction type, and if 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3, it is a non-extraction type. If the reference value is between -3 and 1, it is classified as a borderline type.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according to measured value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환자 유형 분류 단계(S530)에서, 교정 디자인 장치는 안모, 골격 및 치아의 세부 항목 별 계측 값을 이용하여 환자 유형 분류가 가능하다.In 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step (S530), the orthodontic design apparatus may classify the patient type using measurement values for each detailed item of face, skeleton, and teeth.

안모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안모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들면, 교정 디자인 장치는 1-1. 상순의 돌출도(Upper Lip to E-line) (mm), 1-2. 비순각(Nasiolabial Angle (°), 1-3. 하순의 돌출도(Lower Lip to E-line) (mm), 각각에서 얻어진 계측 값으로부터 발치 및 비 발치 유형을 분류한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Classification of patient types using facial hair measurement values obtained through facial analysis. For example,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is 1-1. Upper Lip to E-line (mm), 1-2. Nasiolabial Angle (°), 1-3. Lower Lip to E-line (mm), and classify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ypes from the measured values obtained from each. I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10 and 11.

골격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골격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들면, 교정 디자인 장치는 골격의 수직관계 요소, 골격-치아 관계 요소, 골격의 수직-수평 관계 요소 각각에서 얻어진 계측 값으로부터 발치 및 비 발치 유형을 분류한다. 골격의 수직관계 요소는 2-1. FMA(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 2-2. SN-MP (°), 2-3. PFH(Posterior Facial Height) / AFH(Anterior Facial Height) (%)를 포함한다. 골격-치아 관계 요소는 2-4. IMPA(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 2-5. FMIA(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 2-6. L1 to A-Pog (mm)를 포함한다. 골격의 수직-수평 관계 요소는 2-7. EI(Extraction Index)를 포함한다. 2-7. EI(Extraction Index)는 골격의 수직관계 요소 ODI(Overbite Depth Indicator), 골격의 수평관계 요소 APDI(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절치간 각도 요소 LLA(Interincisor Angle), 상순의 돌출도(Upper Lip to E-line) (mm), 하순의 돌출도(Lower Lip to E-line) (mm)를 이용하여 계측된다. 골격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실시 예는 도 12 내지 도 22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Classification of patient types using skeletal measurement values obtained through skeletal analysis.For example,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is used to extract extractions and ratios from measurement values obtained from each of the skeletal vertical relation element, skeletal-tooth relation element, and vertical-horizontal relation element Classify the type of extraction. The vertical relationship element of the skeleton is 2-1. 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FMA) (°), 2-2. SN-MP (°), 2-3. Includes PFH (Posterior Facial Height) / AFH (Anterior Facial Height) (%). The skeletal-tooth relationship element is 2-4. IMPA (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 2-5. FMIA (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 2-6. Includes L1 to A-Pog (mm). The vertical-horizontal relationship element of the skeleton is 2-7. Includes EI (Extraction Index). 2-7. EI (Extraction Index) is the vertical relation element ODI (Overbite Depth Indicator) of the skeleton, the horizontal relation element APDI (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of the skeleton, the inter-incisor angle element LLA (Interincisor Angle), and the upper lip to E- It is measured using line) (mm) and Lower Lip to E-line (mm).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skeletal measurement value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22.

치아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치아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들면, 교정 디자인 장치는 악 내 요소 및 악 간 관계 요소 각각에서 얻어진 계측 값으로부터 발치 및 비 발치 유형을 분류한다. 악 내 요소는 3-1. 상악의 치아 길이 및 치열 궁 길이 간 부조화 요소 Mx ALD (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m), 3-3. 하악의 치아 길이 및 치열 궁 길이 간 부조화 요소 Mn ALD(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m), 3-5. 교합평면 요소 Curve of Spee (mm)를 포함할 수 있다. 악 간 관계 요소는 3-2. 볼튼 비율에 따른 상악의 초과량 요소 Bolton (excess in Mx) (mm), 3-4. 볼튼 비율에 따른 하악의 초과량 요소 Bolton (excess in Mn) (mm), 3-6. 하악 전치부의 배열관계 요소 Irregularity Index (mm)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실시 예는 도 23 내지 도 31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Classification of patient types using tooth measurement values obtained through tooth analysis For example, the orthodontic design apparatus classifies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ypes from measurement values obtained from each of the intra-jaw element and the inter-jaw relationship element. The element within evil is 3-1. Incongruity between maxillary tooth length and dentition arch length Mx ALD (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m), 3-3. 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factor Mn 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ALD) (mm), 3-5. It may include the occlusal plane element Curve of Spee (mm). The ele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vil is 3-2. Bolton (excess in Mx) (mm), 3-4. Bolton (excess in Mn) (mm), 3-6. It may include an Irregularity Index (mm) of an arrangement-related element of the mandibular anterior teeth.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tooth measurement value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3 to 31.

환자 유형 분류 단계(S530)에서, 교정 디자인 장치는 환자 유형 분류 결과 다수의 환자 유형(발치/비 발치/혼합 유형)이 혼재하여 도출된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 유형(Main case)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많이 나온 환자 유형을 주 유형으로 결정하고 나머지 유형을 함께 제시할 수 있다. 또는 진단항목 별로 가중치를 미리 설정하고 가중치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해당 진단항목의 환자 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In 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step (S530), when a plurality of patient types (extraction/non-extraction/mixed types) are mixed as a result of 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determines the main case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I can. For example, you can decide the type of patient with the most occurrence as the main type, and present the rest of the types together. Alternatively, the weights for each diagnosis item can be set in advance, and the patient types of the corresponding diagnosis items can be present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weight.

이어서, 교정 디자인 장치는 분류된 환자 유형에 따라 치아를 자동으로 셋업한다(S540). 교정 디자인 장치는 각 진단항목 별로 발치/비 발치/혼합 유형에 해당하는 계측 값이 존재하는 경우, 자동으로 각 유형 별 셋업을 제시한다. 세 가지 유형이 혼재하는 경우 가장 많이 나온 환자 유형 또는 가중치가 가장 높은 진단항목에 해당하는 환자 유형을 주 유형(Main case)으로 분류하여 환자 유형을 제시하고, 셋업 결과는 각 진단항목 별로 발치, 비 발치를 포함한 환자 유형을 모두 제시할 수 있다. 환자 유형 분류를 통해 치료 대상의 발치, 비 발치 여부가 결정되면 교정 디자인 장치는 치아를 자동 배열한다. 이때, 분석을 통한 각 진단항목에서의 계측 값이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항목이 있으면 이를 정상범위 값으로 조정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진단항목 중 Mx ALD(상악 공간 과부족) 값이 -5.6mm 인 경우, 이 값을 기준 값인 0으로 돌리기 위한 치아 배열을 자동으로 시행한다. 분석 값 중 문제 항목(기준 범위 초과)의 결과 값을 기준 값으로 돌리기 위한 치아 배열을 시행한다. 또한, 환자 유형 분류 상 발치 유형의 경우 치아 발치를 자동으로 시행한 셋업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자동 제시된 셋업 결과는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치아의 이동, 회전 및 그룹치아의 이동 및 회전을 토해 셋업 결과를 수정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orthodontic design apparatus automatically sets up the teeth according to the classified patient types (S540). The calibration design device automatically presents the setup for each type when there is a measurement valu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ion/non-extraction/mixing type for each diagnostic item. When the three types are mixed, the patient type with the highest weight or the patient type with the highest weight is classified as the main case and the patient type is presented, and the set-up result is determined by extraction and ratio for each diagnosis item. All patient types, including tooth extraction, can be presented.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automatically arranges the teeth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object to be extracted or non-extracted is determined through 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At this time, if there is an item in which the measured value in each diagnostic item through analysis exceeds the standard range, it is adjusted to the normal range value. For example, if the Mx ALD (maxillary space excess or deficiency) value is -5.6mm among the patient's diagnostic items, the teeth are automatically arranged to return this value to the reference value of 0. Tooth arrangement is performed to return the result value of the problem item (exceeding the reference range) to the reference value among the analysis valu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traction type according to 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the setup result of automatically performing tooth extraction is presented to the user. The automatically presented setup results can be modified by the us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odify the setup result by vomiting movement and rotation of individual teeth and movement and rotation of group teeth.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단항목 별 계측점 및 연결선을 도시한 도면이다.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for each diagnosis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교정 디자인 장치는 분석대상이 되는 진단항목을 진단항목을 새롭게 조합하고 진단항목 별 계측점 및 연결선을 재정의한다. 예를 들어, 진단항목을 크게 안모(Facial) 구조, 골격(Skeletal) 구조 및 치아(Dental) 구조로 분류한다. 안모 구조는 다시 정모로부터의 대칭관계, 측모로부터의 연조직으로 세 분류할 수 있다. 골격 구조는 다시 정모로부터의 대칭관계, 측모로부터의 수직관계, 수평관계, 수직-수평 관계, 골격-치아 관계로 세 분류할 수 있다. 치아 구조는 다시 악 내와 악 간 관계로 세 분류할 수 있다. 안모 구조는 환자의 안모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고, 골격 구조는 환자의 두부 방사선 사진 및 정면 방사선 사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악 내 및 악 간 관계를 포함하는 치아 구조는 환자의 구강 스캔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도 6에서의 비고는 각 진단항목의 분석법을 포함하는 포괄 분석방법의 이름 또는 제안자 이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하여 분류한 진단항목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추가, 삭제 또는 변경 가능하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calibration design apparatus newly combines diagnosis items with diagnosis items to be analyzed, and redefines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for each diagnosis item. For example, the diagnostic item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facial structure, skeletal structure, and dental structure. The facial structure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ymmetric relationship from the spermatozoa and soft tissue from the side hair. The skeletal structur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ymmetric relationship from the regular hair, vertical relationship from the side hair, horizontal relationship, vertical-horizontal relationship, and skeleton-tooth relationship. The tooth structure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intramaxillary and intermaxillary relationships. The facial structure can be analyzed using the patient's facial scan data, the skeletal structure can be analyzed using the patient's head radiograph and frontal radiograph data, and the tooth structure including the intramaxillary and intermaxillary relationships is the patient's It can be analyzed using the oral scan data of. Note in FIG. 6 is the name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method or the name of the proposer including the analysis method of each diagnostic item. Diagnosis items classifi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can be added, deleted, or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단항목 별 계측 값에 따른 발치 다각형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traction polygon chart according to measurement values for each diagnosis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진단항목 별 계측 값에 따라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도 8의 발치 다각형 차트(Extraction Polygonal Chart)이다. 예를 들어, 진단항목이 1-1. UL to E-line (mm)인 경우, 계측 값이 기준 값 1보다 크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기준 값 -3보다 작으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기준 값 -3과 1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도 8을 참조로 하여 진단항목 별 환자유형 분류를 위한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수정 가능하며, 향후 업데이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patient types can b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according to measurement values for each diagnosis item. This graph is shown in the extraction polygonal chart of FIG. 8. For example, the diagnosis item is 1-1. For UL to E-line (mm), if the measured valu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1, it is an extraction type, and if 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3,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between the reference values -3 and 1. This is a Borderline type. Referring to FIG. 8, a reference value for classifying patient types by diagnosis items can be modified by a user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future update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자 유형에 따라 임상 데이터를 디지털 셋업 데이터로 배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rranging clinical data as digital setup data according to a patient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분석을 통한 각 진단항목에서의 계측 값이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항목이 있으면 이를 정상범위 값으로 조정하여 디지털 셋업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임상 데이터(좌측)를 대상으로 진단항목 중 ALD Mx 값이 -6.2mm 인 경우, 이 값을 기준 값인 0으로 돌리고, ALD Mn 값이 -4.3mm 인 경우, 이 값을 기준 값인 0으로 돌리기 위한 치아 배열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디지털 셋업 데이터(우측)를 생성한다.Referring to FIG. 9, if there is an item in which the measured value in each diagnostic item through analysis exceeds the reference range, digital setup data is generated by adjusting it to a normal range value. For example, if the ALD Mx value is -6.2mm among the diagnostic items for the patient's clinical data (left), this value is returned to the reference value of 0, and if the ALD Mn value is -4.3mm, this value is used as the reference. Digital setup data (right) is generated by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tooth arrangement to return to the value 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pper Lip to E-line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a patient type using an Upper Lip to E-line (mm)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1-1. Upper Lip to E-line (mm)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1-1. Upper Lip to E-line (mm)는 환자의 안모 중 측모를 대상으로 Pn(Pronasale)-Pog'(Soft tissue Pogonion) 연결선을 기준으로 상순의 돌출도를 나타낸다. Pn(Pronasale)은 코 끝의 가장 돌출된 부분이고, Pog'(Soft tissue Pogonion)는 턱골의 최전방점이다.Referring to Figure 10,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is 1-1.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of Upper Lip to E-line (mm),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1-1. Upper Lip to E-line (mm) represents the protrusion of the upper lip based on the Pn(Pronasale)-Pog'(Soft tissue Pogonion) connection line for the side hair of the patient's facial hair. Pn (Pronasale) is the most protruding part of the tip of the nose, and Pog' (Soft tissue Pogonion) is the most anterior point of the jawbone.

1.1 UL to E-line (mm)에 대한 계측 값이 1보다 크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3보다 작으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3과 1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1.1 If the measured value for UL to E-line (mm) is greater than 1, it is an extraction type, if it is less than -3,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if it is between -3 and 1, it is a borderline type. to be.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asiolabial Angle (°)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a patient type using a Nasiolabial Angle (°)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1-2. Nasiolabial Angle (°)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1-2. Nasiolabial Angle (°)은 코 밑과 인중을 잇는 연조직 윤곽선의 심미성과 구강 돌출도를 확인하기 위한 비순각 요소로서, 비주 Cm(Columellanasi)-비주 끝 Sn(Subnasale)-홍순 Ls(Vermilion border)이 이루는 각도이다.Referring to Figure 11,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is 1-2. Based on the Nasiolabial Angle (°) measurement value,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1-2. Nasiolabial Angle (°) is a nasolabial angle element to confirm the esthetics and oral protrusion of the soft tissue outline connecting the lower part of the nose and the throat. It's an angle.

1-2. Nasiolabial Angle (°)에 대한 계측 값이 85°보다 작으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105°보다 크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85°와 105°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1-2. If the measured value for Nasiolabial Angle (°) is less than 85°, it is an extraction type, if it is greater than 105°,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if it is between 85° and 105°, it is a borderline type.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ower Lip to E-line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a patient type using a measurement value of Lower Lip to E-line (m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1-3. Lower Lip to E-line (mm)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1-3. Lower Lip to E-line는 환자의 안모 중 측모를 대상으로 Pn(Pronasale)-Pog'(Soft tissue Pogonion) 연결선을 기준으로 하순의 돌출도를 나타낸다. Pn(Pronasale)은 코 끝의 가장 돌출된 부분이고, Pog'(Soft tissue Pogonion)는 턱골의 최전방점이다.Referring to Figure 12,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is 1-3.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of Lower Lip to E-line (mm),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1-3. Lower Lip to E-line represents the protrusion of the lower lip based on the Pn (Pronasale)-Pog' (Soft tissue Pogonion) connection line for the side hair of the patient's facial hair. Pn (Pronasale) is the most protruding part of the tip of the nose, and Pog' (Soft tissue Pogonion) is the most anterior point of the jawbone.

1.3 Lower Lip to E-line에 대한 계측 값이 5보다 크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1보다 작으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1과 5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1.3 If the measured value for Lower Lip to E-line is greater than 5, it is an extraction type, if it is less than -1,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if it is between -1 and 5, it is a borderline type.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MA(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 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FMA) (°)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2-1. FMA(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2-1. FMA(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는 골격구조 중 측모를 대상으로 수직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요소로서, Po(Porion)-Or(Orbitale)을 잇는 선 FH Plane과 Go(Gonion)-Me(Menton)을 잇는 선 Mandibular Plane 사이의 각을 의미한다. Po(Porion)은 외이공의 최상방점이고, Or(Orbitale)은 안와의 최하방점이며, Go(Gonion)은 하악하연의 접선과 하악지 후연의 접선의 교차점이며, Me(Menton)는 하악결합 외형선 상 최하방점으로 하악선의 교차선 상에 있다.Referring to Figure 13,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is 2-1.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based on the FMA (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 measurement value. 2-1. FMA (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 is an element for confirming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ateral hairs of the skeletal structure, and the line connecting Po(Porion)-Or(Orbitale) FH Plane and Go(Gonion)-Me(Menton) ) Means the angle between the Mandibular Plane. Po (Porion) is the uppermost point of the external ear hole, Or (Orbitale) is the lowest point of the orbit, Go (Gonion) is the intersection of the tangent line of the mandibular lower edge and the posterior edge of the mandible, Me (Menton) is the mandibular joint outline It is on the line of intersection of the mandibular line as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int.

2-1. FMA(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에 대한 계측 값이 30°보다 크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20°보다 작으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20°와 30°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2-1. If the measured value for 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FMA) (°) is greater than 30°, it is an extraction type, if it is less than 20°,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if it is between 20° and 30°, it is a mixed ( Borderline) type.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MP (°)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SN-MP (°) measurement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2-2. SN-MP (°)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2-2. SN-MP (°)는 골격구조 중 측모를 대상으로 수직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요소로서, S(Sella)-N(Nasion)을 잇는 선 SN Plane과 Go(Gonion)-Me(Menton)을 잇는 선 Mandibular Plane 사이의 각을 의미한다. Go(Gonion)은 하악하연의 접선과 하악지 후연의 접선의 교차점이며, Me(Menton)는 하악결합 외형선 상 최하방점으로 하악선의 교차선 상에 있다.Referring to Figure 14,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is 2-2. Based on the SN-MP (°) measurement value,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2-2. SN-MP (°) is an element for confirming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ateral hairs of the skeletal structure, a line connecting S(Sella)-N(Nasion) and a line connecting SN Plane and Go(Gonion)-Me(Menton) It means the angle between the mandibular planes. Go(Gonion) is the intersection of the mandibular inferior edge and the mandibular posterior edge, and Me(Menton) is the lowest point on the mandibular coupling outline and is on the intersection of the mandibular line.

2-2. SN-MP (°)에 대한 계측 값이 34°보다 크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30°보다 작으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30°와 34°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2-2. If the measured value for SN-MP (°) is greater than 34°, it is an extraction type, if it is less than 30°,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if it is between 30° and 34°, it is a borderline type. .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FH(Posterior Facial Height) / AFH(Anterior Facial Height) (%)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measurement values of PFH (Posterior Facial Height) / AFH (Anterior Facial Height)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2-3. PFH(Posterior Facial Height) / AFH(Anterior Facial Height) (%)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2-3. PFH(Posterior Facial Height) / AFH(Anterior Facial Height) (%)는 골격구조 중 측모를 대상으로 수직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요소로서, 전안모 고경 AFH(Anterior Facial Height)에 대한 후안모 고경 PFH(Posterior Facial Height)의 비율이다. 전안모 고경 AFH(Anterior Facial Height)은 N(Nasion)과 Me(Menton)을 잇는 선의 길이이고, 후안모 고경 PFH(Posterior Facial Height)은 S(Sella)와 Go(Gonion)를 잇는 선의 길이이다.Referring to Figure 15,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is 2-3.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s of PFH (Posterior Facial Height) / AFH (Anterior Facial Height) (%),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2-3. PFH (Posterior Facial Height) / AFH (Anterior Facial Height) (%) is an element to check the vertical relationship with the lateral hair of the skeletal structure. Facial Height). The anterior facial height (AFH) is the length of the line connecting N (Nasion) and Me (Menton), and the posterior facial height (PFH) is the length of the line connecting S (Sella) and Go (Gonion).

2-3. PFH(Posterior Facial Height) / AFH(Anterior Facial Height) (%)에 대한 계측 값이 61% 보다 작으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69° 보다 크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61%와 69%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2-3. If the measured value for Posterior Facial Height (PFH) / Anterior Facial Height (AFH) (%) is less than 61%, it is an extraction type, and if it is greater than 69°,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61% and If it is between 69%, it is a Borderline type.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MPA(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n 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IMPA) (°)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2-4. IMPA(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2-4. IMPA(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는 골격구조 중 측모를 대상으로 한 골격-치아 관계 요소로서, 하악 기저골에 대한 하악 중절치 관계를 나타낸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Go(Gonion)-Me(Menton)을 잇는 선 Mandibular Plane과 하악 중절치 치축 사이의 각이다.Referring to Figure 16,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2-4.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IMPA (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 2-4. IMPA (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 is a skeletal-tooth relationship element targeting the lateral hair of the skeletal structure, and represents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relationship to the mandibular basal bone. Expressed by this formula, it is the angle between the mandibular plane and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tooth axis connecting Go(Gonion)-Me(Menton).

2-4. IMPA(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에 대한 계측 값이 100° 보다 크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90° 보다 작으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90°와 100°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2-4. If the measured value for 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IMPA) (°) is greater than 100°, it is an extraction type, if it is less than 90°,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if it is between 90° and 100°, it is a mixed ( Borderline) type.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FMIA(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 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FMIA) (°)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2-5. FMIA(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2-5. FMIA(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는 골격구조 중 측모를 대상으로 한 골격-치아 관계 요소로서, 두개 구조에 대한 하악 중절치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Po(Porion)-Or(Orbitale)을 잇는 선 FH Plane과 하악 중절치 치축 사이의 각이다.Referring to Figure 17,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is 2-5.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FMIA (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 2-5. FMIA (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 is a skeletal-tooth relationship element targeting lateral hairs among skeletal structures, and represents the relationship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to the cranial structure. Expressed by this formula, it is the angle between the line FH Plane connecting Po(Porion)-Or(Orbitale) and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tooth axis.

2-5. FMIA(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에 대한 계측 값이 55° 보다 작으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65° 보다 크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55°와 65°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2-5. If the measured value for the 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FMIA) (°) is less than 55°, it is an extraction type, if it is greater than 65°,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if it is between 55° and 65°, it is a mixed ( Borderline) type.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1 to A-Pog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L1 to A-Pog (mm) measurement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2-6. L1 to A-Pog (mm)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2-6. L1 to A-Pog (mm)는 골격구조 중 측모를 대상으로 골격-치아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요소로서, 하악 중절치 전단에서 A-Pog 선을 이르는 거리이다. 조화로운 안모에서 하악 절치 순면은 A-Pog 선의 전방(+)에 위치한다.Referring to Figure 18,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is 2-6.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of L1 to A-Pog (mm),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2-6. L1 to A-Pog (mm) is an element for confirming the skeletal-tooth relationship in the lateral hair of the skeletal structure, and is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to the A-Pog line. In harmonious facial hair, the mandibular incisor labial surface is located anterior (+) of the A-Pog line.

2-6. L1 to A-Pog (mm)에 대한 계측 값이 6 mm 보다 크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2 mm 보다 작으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2 mm 와 6 mm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2-6. If the measured value for L1 to A-Pog (mm) is greater than 6 mm, it is an extraction type, if it is less than 2 mm,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if it is between 2 mm and 6 mm, it is a borderline. It is a type.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I(Extraction Index)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9 to 22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EI (Extraction Index) measurement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세부적으로 도 19는 EI(Extraction Index) 계측에 필요한 ODI(Overbite Depth Indicator) 값 계측 예, 도 20은 EI(Extraction Index) 계측에 필요한 APDI(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계측 예, 도 21은 EI(Extraction Index) 계측에 필요한 절치간 각도 요소 LLA(Interincisor Angle), E-선에 대한 상순 돌출도(Upper Lip to E-line: UL) (mm) 및 E-선에 대한 하순 돌출도(Lower Lip to E-line: LL) (mm) 계측 예, 도 22는 EI(Extraction Index) 계측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In more detail, FIG. 19 is an example of measuring an ODI (Overbite Depth Indicator) value required for EI (Extraction Index) measurement, FIG. 20 is an example of APDI (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measurement required for EI (Extraction Index) measurement, and FIG. Index) Interincisor angle (LLA), the upper lip to E-line (UL) (mm) for the E-line, and the lower lip to E for the E-line. -line: LL) (mm) measurement example, FIG. 2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easurement of an extraction index (EI), respectively.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2-7. EI(Extraction Index)는 골격의 수직-수평 관계 요소로서, 골격 수직관계 요소 ODI(Overbite Depth Indicator)(①+②), 골격 수평관계 요소 APDI(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③+④+⑤), 절치간 각도 요소 LLA(Interincisor Angle)(⑥), E-선에 대한 상순 돌출도(Upper Lip to E-line: UL)(⑦) 및 E-선에 대한 하순 돌출도(Lower Lip to E-line: LL)(⑧)를 고려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EI = ODI + APDI + (130-LLA)/5 - (UL+LL)이다.19 to 22, 2-7. The EI (Extraction Index) is a vertical-horizontal relationship element of the skeleton, and the skeleton vertical relationship element ODI (Overbite Depth Indicator) (①+②), the skeleton horizontal relation element APDI (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③+④+⑤), incisors Interincisor Angle (LLA) (⑥), Upper Lip to E-line (UL) (⑦) and Lower Lip to E-line: Consider LL)(⑧). If this is expressed as an equation, EI = ODI + APDI + (130-LLA)/5-(UL+LL).

도 19를 참조하면, ODI(Overbite Depth Indicator)는 ①∠AB to MP Plane(A-B Plane과 Mandibular Plane이 이루는 각)과 ②∠PP Plane to FH Plane(FH Plane과 Palatal Plane이 이루는 각)을 합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9, an ODI (Overbite Depth Indicator) is a sum of ①∠AB to MP Plane (Angle formed by AB Plane and Mandibular Plane) and ②∠PP Plane to FH Plane (Angle formed by FH Plane and Palatal Plane). .

도 20을 참조하면, APDI(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는 ③∠Facial Plane to FH Plane(Facial Plane과 FH Plane이 이루는 각)과, ④∠AB Plane to Facial Plane(AB Plane과 Facial Plane이 이루는 각)과, ⑤∠PP Plane to FH Plane(PP Plane과 FH Plane이 이루는 각)을 합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20, APDI (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includes ③∠Facial Plane to FH Plane (Angle formed by Facial Plane and FH Plane), and ④∠AB Plane to Facial Plane (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 ⑤∠PP Plane to FH Plane (the angle formed by PP Plane and FH Plane) is summed.

2-7. EI(Extraction Index)에 대한 계측 값이 146 보다 작으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162 보다 크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146과 162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2-7. If the measured value for the EI (Extraction Index) is less than 146, it is an extraction type, if it is greater than 162,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if it is between 146 and 162, it is a borderline type.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x ALD(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a patient type using a measurement value of Mx ALD (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을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3-1. Mx ALD(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m)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3-1. Mx ALD(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m)은 상악의 치아 길이 및 치열 궁 길이 간 부조화 요소로서, 상악의 제1 대구치 간 치열궁 길이와 제1 대구치 간 각 치아크기 합의 차를 의미한다.Referring to Figure 23,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3-1. Based on the Mx ALD (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m) measurement value,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3-1. Mx ALD (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m) is an incongruity factor between the tooth length and the arch length of the maxilla, and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m of the size of each tooth between the first molar and the first molar arch length of the maxilla.

3-1. Mx ALD(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m)에 대한 계측 값이 -9 mm 보다 작으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4 mm 보다 크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9 mm 와 -4 mm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3-1. If the measured value for Mx ALD (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m) is less than -9 mm, it is an extraction type, and if it is greater than -4 mm,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9 mm and -4 If it is between mm, it is a Borderline type.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olton (excess in Mx)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4 and 2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Bolton (excess in Mx) (mm) measurement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3-2. Bolton (excess in Mx) (mm)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3-2. Bolton (excess in Mx) (mm)는 볼튼 비율에 따른 상악의 초과량 요소를 의미한다. 볼튼 비율은 상악 절치 폭경의 합 : 하악 절치 폭경의 합이 100:77.2이 될 때 가장 보기 좋다는 심미적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악 절치 폭경의 합이 30.9일 때 상악 절치 폭경의 합이 40이면 볼튼 비율을 만족한다. 이때, 실제로 하악 절치 폭경의 합이 30.9이고, 상악 절치 폭경의 합이 41이면, 볼튼 비율에 비해 하악 기준 상악 초과된 값은 1mm(41-40)이다.24 and 25,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is 3-2. Bolton (excess in Mx) (mm)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based on measured values. 3-2. Bolton (excess in Mx) (mm) means the maxillary excess factor according to the Bolton ratio. Bolton ratio refers to the aesthetic ratio that looks best when the sum of the maxillary incisor widths: the sum of the mandibular incisor widths is 100:77.2. For example, if the sum of the mandibular incisor widths is 30.9 and the sum of the maxillary incisor widths is 40, the Bolton ratio is satisfied. At this time, if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mandibular incisors is actually 30.9 and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maxillary incisors is 41, the value exceeding the mandible reference maxilla compared to the Bolton ratio is 1 mm (41-40).

하악 기준 상악의 초과량이 4 mm보다 크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0 mm 이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0 mm 와 4 mm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If the mandibular reference maxillary excess is greater than 4 mm, it is an extraction type, if it is 0 mm,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if it is between 0 mm and 4 mm, it is a borderline type.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n ALD(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a patient type using a measurement value of Mn ALD (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을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3-3. Mn ALD(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m)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3-3. Mn ALD(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m)은 하악의 치아 길이 및 치열 궁 길이 간 부조화 요소로서, 하악의 제1 대구치 간 치열궁 길이와 제1 대구치 간 각 치아크기 합의 차를 의미한다.Referring to Figure 26,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3-3. Based on the Mn ALD (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m) measurement value,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3-3. Mn ALD (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m) is an incongruity factor between the length of the teeth of the mandible and the length of the dentition, and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arch length between the first molar teeth of the mandible and the size of each tooth between the first molars.

3-3. Mn ALD(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m)에 대한 계측 값이 -9 mm 보다 작으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4 mm 보다 크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9 mm 와 -4 mm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3-3. If the measured value for Mn ALD (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m) is less than -9 mm, it is an extraction type, and if it is greater than -4 mm,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9 mm and -4 If it is between mm, it is a Borderline type.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olton (excess in Mn)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7 and 2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Bolton (excess in Mn) (mm) measurement valu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3-4. Bolton (excess in Mn) (mm)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3-4. Bolton (excess in Mn) (mm)는 볼튼 비율에 따른 하악의 초과량 요소를 의미한다. 볼튼 비율은 상악 절치 폭경의 합 : 하악 절치 폭경의 합이 100:77.2이 될 때 가장 보기 좋다는 심미적 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악 절치 폭경의 합이 30.9일 때 상악 절치 폭경의 합이 40이면 볼튼 비율을 만족한다. 이때, 실제로 하악 절치 폭경의 합이 31.9이고, 상악 절치 폭경의 합이 40이면, 볼튼 비율에 비해 상악 기준 하악 초과된 값은 1mm(31.9-30.9)이다.27 and 28,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is 3-4. Bolton (excess in Mn) (mm)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based on the measured value. 3-4. Bolton (excess in Mn) (mm) refers to the mandibular excess factor according to the Bolton ratio. Bolton ratio refers to the aesthetic ratio that looks best when the sum of the maxillary incisor widths: the sum of the mandibular incisor widths is 100:77.2. For example, if the sum of the mandibular incisor widths is 30.9 and the sum of the maxillary incisor widths is 40, the Bolton ratio is satisfied. At this time, if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mandibular incisors is actually 31.9 and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maxillary incisors is 40, the value exceeding the maxillary reference mandible compared to the Bolton ratio is 1 mm (31.9-30.9).

상악 기준 하악의 초과량이 4 mm보다 크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0 mm 이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0 mm 와 4 mm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If the maxillary reference mandibular excess is greater than 4 mm, it is an extraction type, if it is 0 mm,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if it is between 0 mm and 4 mm, it is a borderline type.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urve of Spee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a patient type using a measurement value of Curve of Spee (m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를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3-5. Curve of Spee (mm)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3-5. Curve of Spee (mm)는 교합평면 요소로서, 하악 전치 절단연(중점) - 하악 제2 대구치 원심협측교두를 연결하는 수평면에서 가장 치은 쪽에 위치한 교두 간의 수직거리를 의미한다.Referring to Figure 29,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is 3-5.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of Curve of Spee (mm), the patient type is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3-5. Curve of Spee (mm) is an occlusal plane element, and mean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cusps located at the most gingival side in the horizontal plane connecting the mandibular anterior incisal edge (midpoint)-the distal buccal cusps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3-5. Curve of Spee (mm)에 대한 계측 값이 6 mm 보다 크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2 mm 보다 작으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2 mm 와 6 mm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3-5. If the measurement value for Curve of Spee (mm) is greater than 6 mm, it is an extraction type, if it is less than 2 mm,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if it is between 2 mm and 6 mm, it is a borderline type. . However,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may be changed.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rregularity Index (mm)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0 and 31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classifying patient types using an Irregularity Index (mm)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보철 디자인 장치는 3-6. Irregularity Index (mm) 계측 값을 기반으로 환자 유형을 발치(Extraction), 비 발치(Non-Extraction), 혼합(Borderline)으로 구분한다. 3-6. Irregularity Index (mm)는 하악 전치부의 배열관계 요소로서, 치아번호 #33~#43 인접면에서 해부학적 컨택 지점(Contact Point)을 벗어난 거리를 측정한 것이다. 이는 도 30 및 도 31에서 A+B+C+D+E에 해당한다.30 and 31, the prosthetic design device is 3-6.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Irregularity Index (mm), patient types are classified into Extraction, Non-Extraction, and Borderline. 3-6. The Irregularity Index (mm) is an arrangement-related element of the mandibular anterior teeth, which is a measure of the distance away from the anatomical contact point from the adjacent surface of tooth number #33~#43. This corresponds to A+B+C+D+E in FIGS. 30 and 31.

3-6. Irregularity Index (mm)에 대한 계측 값이 6.5 mm 보다 크면 발치(Extraction) 유형이고, 3.5 mm 보다 작으면 비 발치(Non-Extraction) 유형이며, 3.5 mm 와 6 mm 사이이면 혼합(Borderline) 유형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유형 판단을 위한 수치는 변경 가능하다3-6. If the measured value for the Irregularity Index (mm) is greater than 6.5 mm, it is an extraction type, if it is less than 3.5 mm, it is a non-extraction type, and if it is between 3.5 mm and 6 mm, it is a borderline typ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umerical value for determining the type can be changed.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발명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around the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 descrip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안모 구조, 골격 구조 및 치아 구조에 따라 분류된 진단항목 별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상태에서,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설정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각 진단항목을 계측함에 따라 계측 값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진단항목 별 계측 값을 이용하여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 및
분류된 환자 유형에 따라 치아를 자동으로 셋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When at least one of the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is set for each diagnosis ite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acial structure, skeletal structure, and tooth structure, the patient's clinical data is acquired, and each diagnosis item is measured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the set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Obtaining a measurement value accordingly;
Classifying a patient type by using the acquired measurement value for each diagnosis item; And
Automatically setting up teeth according to the categorized patient types;
Calibration design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임상 데이터는 환자의 안모 스캔 데이터, 두부 방사선 사진, 정면 방사선 사진, 치아 모델 데이터, CT 데이터 및 파노라믹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두 개를 정합한 정합 데이터를 포함하며,
계측 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안모 분석을 통해 안모 계측 값을 획득하고,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골격 분석을 통해 골격 계측 값을 획득하며,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치아 분석을 통해 치아 계측 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linical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patient's facial scan data, head radiograph, frontal radiograph, tooth model data, CT data, and panoramic data, or includes registration data obtained by matching at least two of them,
The step of acquiring the measurement value is
Acquires facial measurement values through facial analysis us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acquires skeletal measurement values through skeletal analysis us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and acquires tooth measurement values through tooth analysis us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Calibration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는
안모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안모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로서, 상순의 돌출도(Upper Lip to E-line), 비순각(Nasiolabial Angle) 및 하순의 돌출도(Lower Lip to E-line)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계측 값으로부터 각각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classifying patient types comprises:
As a classification of patient type using facial hair measurement values obtained through facial analysis, at least one of upper lip to E-line, nasiolabial angle, and lower lip to E-line. A calibration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each patient type is classified from one respective measurement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는
골격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골격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로서, 골격의 수직관계 요소, 골격-치아 관계 요소 및 골격의 수직-수평 관계 요소 각각에서 얻어지는 계측 값으로부터 각각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classifying patient types comprises:
Classification of patient types using skeletal measurement values obtained through skeletal analysis, characterized by classifying patient types from measurement values obtained from each of the skeletal vertical relationship element, skeletal-tooth relationship element, and skeletal vertical-horizontal relationship element. How to design orthodontic.
제 4 항에 있어서,
골격의 수직관계 요소는 FMA(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 SN-MP (°) 및 PFH(Posterior Facial Height) / AFH(Anterior Facial Height) (%)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골격-치아 관계 요소는 IMPA(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 FMIA(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 및 L1 to A-Pog (m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골격의 수직-수평 관계 요소는 EI(Extraction Index)를 포함하며,
EI(Extraction Index)는 골격의 수직관계 요소(Overbite Depth Indicator: ODI), 골격의 수평관계 요소(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APDI), 절치간 각도 요소(Interincisor Angle: LLA), 상순의 돌출도(Upper Lip to E-line) (mm) 및 하순의 돌출도(Lower Lip to E-line) (mm)를 이용하여 계측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vertical relationship element of the skeleton includes at least one of FMA (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 SN-MP (°), and PFH (Posterior Facial Height) / AFH (Anterior Facial Height) (%),
The skeletal-tooth relationship ele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Incisor Mandibular Plane Angle (IMPA) (°), Frankfort Mandibular Incisor Angle (FMIA) (°), and L1 to A-Pog (mm),
The vertical-horizontal relationship element of the skeleton includes EI (Extraction Index),
EI (Extraction Index) is the vertical relationship element of the skeleton (Overbite Depth Indicator: ODI), the horizontal relationship element of the skeleton (Anteroposterior Dysplasia Indicator: APDI), the interincisor angle (LLA), and the upper lip. Calibration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measured by using to E-line (mm) and Lower Lip to E-line (mm).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는
치아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치아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로서, 악 내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 및 악 간 관계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으로부터 각각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classifying patient types comprises:
A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sing a tooth measurement value obtained through tooth analysis, wherein the patient type is classified from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from an intra-jaw element and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from an inter-jaw relationship element.
제 6 항에 있어서,
악 내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은
상악의 치아 길이 및 치열 궁 길이 간 부조화 요소(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x ALD) (mm), 하악의 치아 길이 및 치열 궁 길이 간 부조화 요소(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n ALD) (mm) 및 교합평면 요소(Curve of Spee) (m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악 간 관계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은
볼튼 비율에 따른 상악의 초과량 요소(Bolton excess in Mx) (mm), 볼튼 비율에 따른 하악의 초과량 요소(Bolton excess in Mn) (mm) 및 하악 전치부의 배열관계 요소(Irregularity Index) (m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measurement values obtained from the elements in the evil are
Maxillary Arch Length Discrepancy (Mx ALD) (mm), Mandibular Arch Length Discrepancy (Mn ALD) (mm) and occlusal plan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Curve of Spee) (mm),
The measurement values obtained from the elemen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ils are
Bolton excess in Mx (mm) according to Bolton ratio, mandible excess in Mn according to Bolton ratio (mm), and Irregularity Index (mm) of the mandibular anterior teeth (mm) ) Calibration design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는
다수의 환자 유형이 혼재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classifying patient types comprises:
Correction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when multiple patient types are mixed, the main typ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제 1 항에 있어서, 치아를 자동으로 셋업하는 단계는
분류된 각 환자유형 별로 디지털 셋업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각 진단항목에서 그 계측 값이 정상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정상범위 값으로 조정하기 위한 셋업을 수행하여 셋업 결과를 제공하되, 환자유형이 발치 유형인 경우 치아 발치를 자동으로 수행한 셋업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라 셋업 결과를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utomatically setting up the teeth
Generating digital setup data for each classified patient type;
In each diagnostic item, if the measured value exceeds the normal range, setup to adjust to the normal range value is performed and the setup result is provided, but if the patient type is an extraction type, the setup result of automatically performing tooth extraction is provided. step; And
Correcting a setup result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input;
Calibration design method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교정 디자인 방법은
임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두 데이터 간 정합을 수행하고, 정합이 수행된 데이터 또는 임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개별치아를 분리하여 분리된 개별치아를 대상으로 특징정보를 추출하며, 임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정보를 추출하는 준비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libration design method
It performs registration between two data constituting clinical data, separates individual teeth from at least one of the data on which the registration was performed or two data constituting clinical data, and extracts feature information for the separated individual teeth, and clinical data A preparation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reference information from among the two pieces of data constituting a;
Calibration design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안모 구조, 골격 구조 및 치아 구조에 따라 진단항목을 분류하고, 분류된 진단항목 별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상태에서,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설정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각 진단항목을 계측함에 따라 계측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진단항목 별 계측 값을 이용하여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분류된 환자 유형에 따라 치아를 자동으로 셋업하는 데이터 셋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장치.
Classify diagnostic items according to facial structure, skeletal structure, and tooth structure, obtain clinical data of the patient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are set for each classified diagnosis item, and refer to at least one of the set measurement points and connection lines. A data analysis unit that obtains a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measurement of each diagnosis item and classifies a patient type by using the obtained measurement value for each diagnosis item; And
A data setup unit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teeth according to the classified patient types;
Orthodontic design device comprising a.
제 11 항에 있어서, 데이터 분석부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안모 구조 분석을 통해 안모 계측 값을 획득하는 안모 분석부;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골격 구조 분석을 통해 골격 계측 값을 획득하는 골격 분석부;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치아 구조 분석을 통해 치아 계측 값을 획득하는 치아 분석부; 및
안모 구조, 골격 구조 및 치아 구조 분석에 따라 진단항목 별로 환자 유형을 발치 유형, 비 발치 유형 및 혼합 유형으로 분류하는 환자 유형 분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ata analysis unit
A facial hair analysis unit that obtains a facial hair measurement value through facial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Skeletal analysis unit for obtaining a skeletal measurement value through skeletal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A tooth analysis unit that obtains a tooth measurement value through tooth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And
A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patient types into extraction types, non-extraction types, and mixed types for each diagnosis item according to facial structure, skeletal structure, and tooth structure analysis;
Orthodontic design device comprising a.
제 12 항에 있어서, 환자 유형 분류부는
안모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안모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로서, 상순의 돌출도(Upper Lip to E-line), 비순각(Nasiolabial Angle) 및 하순의 돌출도(Lower Lip to E-line)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계측 값으로부터 각각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nit
As a classification of patient type using facial hair measurement values obtained through facial analysis, at least one of upper lip to E-line, nasiolabial angle, and lower lip to E-line. Orthodontic desig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patient type is classified from one respective measurement value.
제 12 항에 있어서, 환자 유형 분류부는
골격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골격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로서, 골격의 수직관계 요소, 골격-치아 관계 요소, 골격의 수직-수평 관계 요소 각각에서 얻어지는 계측 값으로부터 각각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nit
Classification of patient types using skeletal measurement values obtained through skeletal analysis, characterized by classifying patient types from measurement values obtained from each of the skeletal vertical relationship element, skeletal-tooth relationship element, and skeletal vertical-horizontal relationship element. Orthodontic design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환자 유형 분류부는
치아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치아 계측 값을 이용한 환자 유형 분류로서, 악 내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 및 악 간 관계 요소에서 얻어진 계측 값으로부터 각각 환자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nit
A patient type classification using a tooth measurement value obtained through tooth analysis, wherein the patient type is classified from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from an intra-jaw element and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from an inter-jaw relationship element.
제 11 항에 있어서, 데이터 셋업부는
분류된 각 환자유형 별로 디지털 셋업 데이터를 생성하고,
각 진단항목에서 그 계측 값이 정상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정상범위 값으로 조정하기 위한 셋업을 수행하여 셋업 결과를 제공하되, 환자유형이 발치 유형인 경우 치아 발치를 자동으로 수행한 셋업 결과를 제공하며,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라 셋업 결과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ata setup unit
Generate digital setup data for each categorized patient type,
In each diagnostic item, if the measured value exceeds the normal range, setup to adjust to the normal range value is performed and the setup result is provided, but if the patient type is an extraction type, the setup result of automatically performing tooth extraction is provided. ,
Calibration desig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rrecting the setup result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input.
KR1020190132800A 2019-10-24 2019-10-24 Teeth setup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setup apparatus therefor KR102269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800A KR102269030B1 (en) 2019-10-24 2019-10-24 Teeth setup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setup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800A KR102269030B1 (en) 2019-10-24 2019-10-24 Teeth setup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setup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756A true KR20210048756A (en) 2021-05-04
KR102269030B1 KR102269030B1 (en) 2021-06-24

Family

ID=7591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800A KR102269030B1 (en) 2019-10-24 2019-10-24 Teeth setup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setup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0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302B1 (en) * 2021-07-13 2024-02-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matching dental treatment data and digital dentistry apparatus therefor
KR20240048384A (en) * 2022-10-06 2024-04-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rthodontic treatment plan
KR102615964B1 (en) * 2023-10-17 2023-12-20 주식회사 올소비트 A method of setting orthodontic target using 3D orthodontic scan photographs and lateral head radiographs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318A (en) 2001-03-08 2002-09-14 김정만 Method for forming orthodontic brace
KR20050082526A (en) * 2004-02-19 2005-08-24 차경석 Method for providing processing data for straightening teeth
KR20110096961A (en) * 2010-02-24 2011-08-31 박영석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production of orthodontic appliance components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treatment system
KR101138355B1 (en) * 2011-06-16 2012-04-26 김태원 System providing estimation information for teeth alignment and method thereof
KR20130008238A (en) * 2011-07-12 2013-01-22 (주)쓰리디아이티 Image matching data creation method for orthognathic surgery and orthodontic treatment simulation and manufactur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surgey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122027A1 (en) * 2012-10-31 2014-05-01 Ormco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o perform digital orthodontics at one or more sites
KR20160004862A (en) * 2014-07-04 2016-01-13 주식회사 인스바이오 Patient specific virtual set-up and its simulation and the method manufacturing Orthodontics device or Orthodontics guidance
CN106137414A (en) * 2015-04-14 2016-11-23 上海时代天使医疗器械有限公司 Determine the method and system of target dentition layout
KR20160140326A (en)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디오코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ooth in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applying th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storing the same
KR101723652B1 (en) * 2016-04-22 2017-04-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70125263A (en) * 2016-05-04 2017-11-14 주식회사 디오코 Method for correcting teeth in tooth correcton simulation device
KR20190067609A (en) * 2017-12-07 2019-06-17 이혜주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structure of teeth and jawbone of patient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318A (en) 2001-03-08 2002-09-14 김정만 Method for forming orthodontic brace
KR20050082526A (en) * 2004-02-19 2005-08-24 차경석 Method for providing processing data for straightening teeth
KR20110096961A (en) * 2010-02-24 2011-08-31 박영석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production of orthodontic appliance components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treatment system
KR101138355B1 (en) * 2011-06-16 2012-04-26 김태원 System providing estimation information for teeth alignment and method thereof
KR20130008238A (en) * 2011-07-12 2013-01-22 (주)쓰리디아이티 Image matching data creation method for orthognathic surgery and orthodontic treatment simulation and manufactur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surgey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122027A1 (en) * 2012-10-31 2014-05-01 Ormco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o perform digital orthodontics at one or more sites
KR20160004862A (en) * 2014-07-04 2016-01-13 주식회사 인스바이오 Patient specific virtual set-up and its simulation and the method manufacturing Orthodontics device or Orthodontics guidance
CN106137414A (en) * 2015-04-14 2016-11-23 上海时代天使医疗器械有限公司 Determine the method and system of target dentition layout
KR20160140326A (en)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디오코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ooth in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applying th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storing the same
KR101723652B1 (en) * 2016-04-22 2017-04-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a tooth chart,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70125263A (en) * 2016-05-04 2017-11-14 주식회사 디오코 Method for correcting teeth in tooth correcton simulation device
KR20190067609A (en) * 2017-12-07 2019-06-17 이혜주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structure of teeth and jawbone of pat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030B1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mar et al. The application of parameters for comprehensive smile esthetics by digital smile design programs: A review of literature
KR101590330B1 (en) Method for deriving shape information
CN111631831B (en) Method of creating a dental appliance
CN106137414B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arget dentition layout
JP3131919U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orthodontic treatment results
US71601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the outcome of an orthodontic treatment
EP2134290B1 (en) Computer-assisted creation of a custom tooth set-up using facial analysis
Tarraf et al. Present and the future of digital orthodontics✰
KR101380771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planning
JP6757671B2 (en) Virtual secondary processing method for gingival model
JP2012520702A (en)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virtual dental models
KR102221530B1 (en) Desig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dental implant surgery that determines a crown position by reflecting a relationship between adjacent teeth and a an antagonistic teeth
JP2011521767A (en) Designing a custom dental prosthesis using digital images of a patient
KR102269030B1 (en) Teeth setup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setup apparatus therefor
CN112690913B (en) Tooth orthodontic plan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Charette et al.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imaging as a primary diagnostic tool for computer-guided surgery and CAD-CAM interim removable and fixed dental prostheses
KR102320857B1 (en)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of
KR102232293B1 (en) Method for planning implant surgery using automatic implant creatio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dental image processing device for the same
KR20220118074A (en) Method for establishing orthodontic treatment plan and apparatus thereof
EP3998985A1 (en) Virtual articulation in orthodontic and dental treatment planning
Gómez-Gómez et al. Influence of Hyrax screw position on dental movement and cortical bone: a study of finite elements
Beldiman et al. Digital smile design in prosthodontics–an overview
KR102347493B1 (en) Method for tooth arrangement design and apparatus thereof
KR102506836B1 (en) Method for tooth arrangement design and apparatus thereof
KR102388411B1 (en) Method for fabricating tray, data transfer method and simulation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