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857B1 -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857B1
KR102320857B1 KR1020190158331A KR20190158331A KR102320857B1 KR 102320857 B1 KR102320857 B1 KR 102320857B1 KR 1020190158331 A KR1020190158331 A KR 1020190158331A KR 20190158331 A KR20190158331 A KR 20190158331A KR 102320857 B1 KR102320857 B1 KR 102320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central incisor
determining
extraction
fa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9172A (en
Inventor
최규옥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857B1/en
Publication of KR20210069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1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8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Device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rised tomographs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61B6/5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4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an ionising-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and a non-ionising 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e.g. X-ray and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Abstract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는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 위치를 설정한 후 설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중심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발치 및 비발치를 포함한 환자유형을 결정한다.A calibration design method and apparatus are disclosed. An orthodontic design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rmine a patient type including tooth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hrough simulation based on the set upper central central incisor position afte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the facial change.

Description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of}Orthodontic desig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영상분석 및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분석을 통한 디지털 교정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mage analysis and process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digital correction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establishment technology through image analysis.

치열이 바르지 않고 상하의 치아 교합이 비정상적인 상태를 부정교합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부정교합은 저작, 발음상의 문제와 같은 기능적인 문제점과 얼굴에 대한 미적인 문제점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충치와 잇몸질환과 같은 건강상의 문제점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정교합을 정상교합으로 만들기 위한 치아 교정치료가 시행되어야 한다. 적합한 치료 시술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치아교정 치료를 하기 이전에, 교정 소프트웨어에서 임상 데이터로부터 교정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이상적인 형태로 치아가 배열되도록 가상의 셋업 데이터를 제작하는 셋업(Setup) 작업이 요구된다.Malocclusion is a condit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not aligned properly and the occlusion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is abnormal. Such malocclusion may cause functional problems such as mastication and pronunciation problems and aesthetic problems on the face, as well as health problems such as tooth decay and gum disease. Therefore, orthodontic treatment to make this malocclusion into a normal occlusion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treatment method, before orthodontic treatment,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are established from clinical data in orthodontic software, and virtual setup data is created so that the teeth are arranged in an ideal shape. is required

일반적인 교정 소프트웨어에서는 두부 측면(Cephalo-Lateral) 사진 등을 이용한 2차원적인 계측 값 분석 후 평균 값 대비 편차를 이용하여 발치 또는 비발치 유형을 포함한 환자유형을 결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2차원 분석은 실제 3차원적인 치아 위치를 설정 하는데 어려움이 발생 시킬 수 있다. 또한, 발치, 비발치 유형을 선택해야 할 때, 특히 발치 및 비발치의 경계(Borderline)에 있을 때는 의사의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나아가, 2차원적인 골격 구조 중심의 계측 값 분석 및 시뮬레이션은 안모 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어서 환자의 치료 후 만족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In general orthodontic software, after two-dimensional measurement value analysis using a cephalo-lateral photograph, the patient type including extraction or non-extraction type is determined using the deviation from the average value. However, this two-dimensional analysis may cause difficulties in setting the actual three-dimensional tooth position.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type of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especially when it is at the borderline between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it is often dependent on the experience of the doctor. Furthermore, analysis and simulation of measurement values centered on the two-dimensional skeletal structure cannot accurately predict facial changes, which may reduce patient satisfaction after treatment.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교정 치료계획 수립 시 안모 변화를 예측하는 안모 구조 중심의 계측 값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다 정확한 교정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환자의 치료 후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We propose an orthodontic design method and device that can establish a more accurate orthodontic treatment plan and increase patient satisfaction after treatment through analysis and simulation of measurement values centered on facial structure that predicts facial changes when establishing an orthodontic treatment plan using software. .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방법은, 환자의 중절치 이동량에 따른 안모 변화를 제공하는 단계와,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치 및 비발치를 포함한 환자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orthodontic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a facial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of the central incisor of the patient,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the facial change, and performing extraction and extraction through simulation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central incisor. and determining the patient type, including non-extraction.

안모 변화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환자로부터 획득된 안모 스캔 데이터에서, 상악 중절치가 소정 거리 들어갈 때 상순이 들어가는 거리와, 하악 중절치가 소정 거리 들어갈 때 하순이 들어가는 거리와, 상악 중절치가 소정 거리 들어갈 때 증가하는 비순각 중 적어도 하나를 계측하여 안모 변화를 보여줄 수 있다.In the step of providing the facial change, in the facial scan data acquired from the patient, the distance that the upper labia enters when the central central incisors of the maxilla enter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distance that the lower labia enters when the central incisors of the lower jaw enter the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en the central incisors of the maxilla enter the predetermined distance. At least one of the increasing nasolabial angles may be measured to show facial changes.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상에서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수직, 수평 및 정면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임상 데이터는 환자의 CT 데이터 또는 CT 데이터와 두부 사진을 정합한 정합 데이터일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entral central incisor, the vertical, horizontal, and frontal positions of the central central incisors of the maxilla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n three dimensions may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The clinical data may be CT data of a patient or registration data obtained by matching the CT data and the head photograph.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측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을 기준으로 SN 연결선, FH 연결선, PP 연결선 및 NA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와 형성하는 각도를 계측하는 단계와,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악 중절치의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is to measure the angle formed with at least one of the SN connection line, FH connection line, PP connection line, and NA connection line based o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pex extension line that changes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n the clinical data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determin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reference value being changeable by the user.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측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가 상순 하방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악 중절치의 수직위치를 결정하며, 미리 설정된 거리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is determined so that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which changes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n the lateral clinical data, is located at a preset distance below the upper lip, and the preset distance value is determined by the user. can be changed by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정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상악 중절치 정면을 설정하는 단계와, 정면 설정 이후, 환자의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를 대상으로 FACC과 교합평면에 대한 수선이 이루는 근원심 각도를 계측하는 단계와,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entral central incisor is the step of setting the front of the central incisor in the frontal direction clinical data, and after setting the frontal setting, the FACC and the repair to the occlusal plane are performed for the central incisor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atient's facial appearance. Measuring the mesiodistal angle formed, and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e reference value being changeable by the user.

교정 디자인 방법은, 상악 중절치 위치 결정 이후, 하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측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하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 하악골(Mandibular) 연결선 및 NB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와 형성하는 각도를 계측하는 단계와,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하악 중절치의 측면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The orthodontic design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lower central incisor position after determining the upper central incisor pos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includes measuring the angle formed with at least on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xis extension line, the mandibular connection line, and the NB connection line based on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axis extension line in the clinical data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determin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by comparing the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reference value being changeable by the user.

하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정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하악 중절치 정면을 설정하는 단계와, 하악 중절치를 대상으로 FACC과 교합평면에 대한 수선이 이루는 근원심 각도를 계측하는 단계와,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하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entral mandibular incisor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the frontal mandibular central incisor from the clinical data in the frontal direction, measuring the mesiodistal angle between the FACC and the perpendicular to the occlusal plane for the central mandibular incisor, and the measured angle. and determining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by comparing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reference value being changeable by the user.

환자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위치가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기준으로 악궁 라인을 따라 나머지 개별치아들을 배열하는 단계와, 치아배열로부터 비발치 치료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비발치 치료 불가 시 발치를 결정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치치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the patient type includes arranging the remaining individual teeth along the arch lin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etermined upper central incisor, determining whether non-extraction treatment is possible from the tooth arrangement, and determining extraction if non-extraction treatment is not possible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ooth extraction through the simulation.

발치치아를 결정하는 단계는, 치아배열에서 소정의 치아를 선택하여 발치 시에 개별치아들의 치아 이동량을 예측하는 단계와, 예측되는 치아 이동량과 미리 설정된 한계점을 비교하여 발치치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tooth to be extracted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 predetermined tooth from the tooth arrangement and predicting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of individual teeth at the time of tooth extraction, and determining the tooth to be extract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amount of tooth movement with a preset threshold. can do.

교정 디자인 방법은, 결정된 환자유형에 맞게 교정치료 후의 최종 치아배열을 재생성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thodontic design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generating the final tooth arrangement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atient type.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장치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안모 변화 분석을 위한 진단항목을 분류하고 분류된 진단항목 별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상태에서, 획득된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환자의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치 및 비발치를 포함한 환자유형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치료계획에 따른 치아배열을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n orthodontic desig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clinical data of a patient, classifies diagnostic items for facial change analysis, and sets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point and a connection line for each classified diagnostic item.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atient's facial appearance by analyzing clinical data, and determines the patient type including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hrough simulation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the tooth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treatment plan It includes an output unit that

제어부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상에서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수직, 수평 및 정면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analyze the patient's clinical data to determine vertical, horizontal, and frontal positions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n three dimensions.

제어부는 위치가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기준으로 악궁 라인을 따라 나머지 개별치아들을 배열한 후 치아배열로부터 비발치 치료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비발치 치료 불가 시 발치를 결정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치치아를 결정하되, 치아배열에서 소정의 치아를 선택하여 발치 시에 개별치아들의 치아 이동량을 예측함에 따라 발치치아를 결정할 수 있다.After arranging the remaining individual teeth along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position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non-extraction treatment is possible from the tooth arrangement, and if non-extraction treatment is not possible, determines extraction and determines the extracted tooth through simulation, By selecting a predetermined tooth from the tooth arrangement and predicting the tooth movement amount of individual teeth at the time of extraction, the tooth to be extracted can be determined.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안모 구조를 분석하여 안모 변화를 예측하면서 교정치료 계획을 수립함에 따라 안모 중심의 교정 치료가 가능하다. 골격 중심의 교정 치료에 비해 안모 중심의 교정 치료는 안모의 변화를 예측해 볼 수 있어 치료 시 환자의 심미적인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orthodontic design method and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ace-centered orthodontic treatment is possible by analyzing the facial structure to predict facial changes and establishing an orthodontic treatment plan. Compared to skeletal-centered orthodontic treatment, facial-centered orthodontic treatment can predict changes in the facial expression, thereby increasing the aesthetic satisfaction of patients during treatment.

특히,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치료계획을 수립함에 따라 안모 변화를 가장 잘 반영할 수 있어 안모 중심의 적절한 치료 상태를 확인해 줄 수 있다. 이때, 상악 중절치 위치를 수평, 수직 및 정면 방향에서 3차원으로 결정한 후 위치가 결정된 상악 중절치의 위치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치, 비발치 환자유형을 선택함으로써 3차원적인 치아이동에 따른 치료 후 안모를 예측해 볼 수 있다.In particular, b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facial changes, performing simulations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nd establishing a treatment plan accordingly, facial changes can be best reflected to confirm the proper treatment status centered on the face. can At this time, afte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in three dimensions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frontal directions, and selecting the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patient type through simul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central central incisor, the facial appearance af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tooth movement is predicted. can see.

3차원적인 계측 값 분석 및 시뮬레이션은, 2차원적인 계측 값 분석 및 시뮬레이션 시 문제 되었던 실제 3차원적 치아 위치를 설정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과, 발치, 비발치 여부를 선택을 해야 하거나 발치 및 비발치의 경계(Borderline)에 있을 때 의사가 경험에 의존하여 실수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value analysis and simulation is difficult when setting the actual three-dimensional tooth position, which was a problem during the two-dimensional measurement value analysis and simulation, and it is necessary to choose whether to extract or not, or the boundary between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 Borderline, where doctors rely on experience to solve problems that make mistak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이동 및 분석을 위해 치아영상을 분할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내 치아 외형을 형성하는 치아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절치 이동량에 따른 입술 변화를 보여주는 안모 측면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절치 이동량에 따른 비순각(Nasolabial Angle) 변화를 보여주는 안모 측면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수직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중절치 위치에 대한 하악 중절치의 측면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중절치 위치에 대한 하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치아배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치 결정 시 발치할 치아를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전후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libration desig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ividing a tooth image for tooth movement and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tooth image forming the tooth outline in the occlusal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ide face image showing changes in the li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entral inci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the face showing a change in the Nasolabial Ang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entral inci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ccording to facial chan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facial chan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facial chan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tooth arrangement center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selecting a tooth to be extracted when determining tooth ex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simulation resul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calibration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Each block in the accompanying block diagram and combinations of steps in the flowchart may be execut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xecution engine), which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re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It may be mounted so that its instructions, which are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cre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chart.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since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is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create a computer-executable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or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compris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nd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blocks or steps referred to in the block or steps.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also possible for functions to occur out of sequenc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wo blocks or step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and also the blocks or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s, if necessary.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libration desig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실제 치과에서 치아 교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교정 디자인을 수행한다. 교정 디자인 작업이란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어를 통해 임상 데이터를 이용한 진단 및 분석을 거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치료계획에 따라 치아를 재배열한 가상의 치아 셋업 데이터를 제작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performs orthodontic design to help straighten teeth in actual dentistry. Orthodontic design work is a virtual tooth setup in which the patient's clinical data is acquired, the treatment plan is established by performing a simulation through diagnosis and analysis using the clinical data through software control, and the teeth ar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treatment plan. It refers to a series of processes that create data.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장치(1)는 교정 디자인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전자장치와, 전자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PC, 스마트폰, 휴대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있다.The calibration desig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 calibration design program, and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a network.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ersonal media player (PMP),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장치(1)는 환자의 안모 구조를 분석하여 안모 변화를 예측하면서 교정치료 계획을 수립함에 따라 안모 중심의 교정 치료가 가능하다. 골격 중심의 교정 치료에 비해 안모 중심의 교정 치료는 안모의 변화를 예측해 볼 수 있어 치료 시 환자의 심미적인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alyzes the facial structure of the patient and predicts facial changes while establishing an orthodontic treatment plan, thereby enabling facial-centered orthodontic treatment. Compared to skeletal-centered orthodontic treatment, facial-centered orthodontic treatment can predict changes in the facial expression, thereby increasing the aesthetic satisfaction of patients during treatment.

안모 변화 중심의 교정 치료를 위해 우선적으로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한 후 치료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상악 중절치 위치를 수평, 수직 및 정면 방향에서 3차원적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위치가 결정된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중심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치(Extraction), 비발치(Non-Extraction) 환자유형을 결정함으로써 3차원적인 치아이동에 따른 치료 후 안모 변화를 예측해 볼 수 있다.For orthodontic treatment focusing on facial changes, first,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s determined, and then a treatment plan is established.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is determined three-dimensionally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frontal directions. And by determining the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patient types through simulation centering on the position of the determined maxillary central incisor, it is possible to predict facial changes after treatment according to three-dimensional tooth movement.

또한, 안모 변화 중심의 교정 치료를 위해 3차원적인 계측 값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자 한다. 3차원적인 계측 값 분석 및 시뮬레이션 기반 교정 치료계획 수립방법은, 2차원적인 계측 값 분석 및 시뮬레이션 시 문제 되었던 실제 3차원적 치아 위치를 설정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과, 발치, 비발치 여부를 선택을 해야 하거나 발치 및 비발치의 경계(Borderline)에 있을 때 의사가 경험에 의존하여 실수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we intend to perform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value analysis and simulat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centered on facial changes. The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value analysis and simulation-based orthodontic treatment plan establishment method has difficulties in setting the actual three-dimensional tooth position, which was a problem during the two-dimensional measurement value analysis and simulation, and it is necessary to choose whether to extract or not. When you are at the borderline between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you can solve the problem of making mistakes that doctors rely on experience.

이하,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교정 디자인 장치(1)의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alibration design device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calibration design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10 , a storage unit 12 , a control unit 14 , an input unit 16 , and an output unit 18 .

데이터 획득부(10)는 환자로부터 임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교정치료를 위해 필요한 임상 데이터는 두부 측면(Cephalo-Lateral) 사진, CT 데이터, 파노라믹 데이터, 안모(Face) 스캔 데이터, 두부 방사선 사진(Cephalometric X-ray) 데이터, 정면 방사선 사진(PA X-ray) 데이터 등이 있다.The data acquisition unit 10 acquires clinical data from a patient. Clinical data necessary for orthodontic treatment include cephalo-lateral photographs, CT data, panoramic data, face scan data, cephalometric X-ray data, and frontal radiographs (PA X-rays). ray) data, etc.

스캔 데이터는 손상된 치아를 포함한 실제 치아들의 정보를 가진 데이터이다. 스캔 데이터는 환자의 구강을 본떠 생성한 석고 모형을 3D 스캐너(3D Scanner)로 스캐닝하여 획득하는 치아 모델 스캔 데이터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구강 내 3D 스캐너(3D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여 획득하는 구강 스캔 데이터일 수 있다. 획득된 스캔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The scan data is data having information on actual teeth including damaged teeth. The scan data may be dental model scan data obtained by scanning a plaster model created by imitating a patient's oral cavity with a 3D scanner.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oral scan data obtained by scanning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using a 3D intra-oral scanner. The acquired scan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

CT 데이터는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를 사용하여 환자의 두부 단층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각각의 단층 이미지에서 치아 부분의 경계를 분할(Segmentation)한 후 하나로 취합함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데이터와 CT 데이터는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상악 치아 아래에서 상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벌린 상태에서 하악 치아 위에서 하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다문 상태에서 국소부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구강 방사선 사진 등을 포함한다. 획득된 CT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CT 데이터는 CBCT 데이터일 수 있다. CT 데이터는 3차원 형태의 데이터일 수 있다.CT data may be obtained by generating tomographic images of the patient's head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segmenting the tooth boundaries in each tomography image, and combining them into one. These scan data and CT data are images obtained by imaging the maxillary teeth under the maxillary teeth with the patient’s mouth open, images obtained by imaging the mandibular teeth above the mandibular teeth with the patient’s mouth open, and local area imaging with the mouth closed. images, oral radiographs, etc. The acquired CT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 The CT data may be CBCT data. The CT data may be data in a three-dimensional form.

제어부(14)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 분석 이전에, 데이터를 준비한다. 데이터 준비는 데이터 간 정합, 개별치아 분리, 특징정보 추출, 기준정보 추출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정합은 임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두 데이터 간을 정합하는 것으로, 두 데이터는 두부 사진과 CT 데이터, 두부 방사선 사진 데이터와 CT 데이터, 구강 스캔 데이터와 CT 데이터가 각각 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 prepares data prior to analyz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Data preparation may include matching between data, separating individual teeth, extracting feature information, and extracting reference information. Data registration refers to matching between two data constituting clinical data, and the two data may be head radiograph and CT data, head radiograph data and CT data, and oral scan data and CT data, respectively.

제어부(14)는 정합이 수행된 데이터 또는 임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개별치아를 분리한다. 개별치아 분리는 치아번호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개별치아를 대상으로 특징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특징정보는 예를 들어, 치축(Tooth Axis), 교합점, 치아 방향, 주변치아와의 컨택 포인트(Contact Point), FACC(Facial Axis of the Clinical Crown), FA 포인트(Facial Axis Point) 등이 있다. FA 포인트는 FACC의 중점이다. The control unit 14 separates the individual teeth from at least one of data on which registration is performed or two data constituting clinical data. Individual tooth sepa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tooth number. Also, it is possible to extract feature information from the separated individual teet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a tooth axis, an occlusal point, a tooth direction, a contact point with surrounding teeth, a Facial Axis of the Clinical Crown (FACC), a FA point, and the like. FA points are the focal point of FACC.

제어부(14)는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한 후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중심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치, 비발치를 포함한 환자유형을 결정한다. 이때,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함에 따라 안모 중심의 교정 치료가 가능하다. 골격 중심의 교정 치료에 비해 안모 중심의 교정 치료는 안모의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어 치료 시 환자의 심미적인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Afte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the facial change, the controller 14 determines the patient type including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hrough simulation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central central incisor. In this case, facial correction treatment is possible b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ccording to facial changes. Compared to skeletal-centered orthodontic treatment, facial-centered orthodontic treatment can check the amount of facial changes, which can increase the aesthetic satisfaction of patients during treatment.

제어부(14)는 CT 데이터 또는 CT 데이터와 다른 임상 데이터(예를 들어, 두부 사진)를 정합한 정합 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적인 치아 이동 시뮬레이션을 거쳐 환자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2차원적인 데이터 분석은 실제 2차원 치아 위치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발치, 비발치를 선택해야 하거나 발치 및 비발치의 경계(Borderline)에 있을 때는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2차원 분석은 실제 3차원적인 치아 위치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 may determine the patient type through a three-dimensional tooth movement simulation by analyzing the CT data or matching data obtained by matching the CT data and other clinical data (eg, a head photograph). In two-dimensional data analysis, it may be difficult to determine the actual two-dimensional tooth position, and when it is necessary to select extraction or non-extraction, or when it is at the borderline between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it often relies on experience. This two-dimensional analysis may cause difficulties in determining the actual three-dimensional tooth position.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임상 데이터의 3차원 분석을 통해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 위치를 수직, 수평, 정면 방향으로 결정한다.The controller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the facial change in the vertical, horizontal, and frontal directions through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clinical data.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상악 중절치의 수평위치 결정을 위해, 측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을 기준으로 SN 연결선, FH 연결선, PP 연결선 및 NA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와 형성하는 각도를 계측한다. 이어서,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악 중절치의 수평위치를 결정한다.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상악 중절치의 수평위치 결정 실시 예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E.g. In order to determine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e control unit 14 forms with at least one of the SN connection line, the FH connection line, the PP connection line, and the NA connection line based on the apical axis extension lin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at changes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n the clinical data in the lateral direction. Measure the angle. Next,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reference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

상악 중절치의 수직위치 결정을 위해, 제어부(14)는 측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가 상순 하방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악 중절치의 수직위치를 결정한다. 미리 설정된 거리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상악 중절치의 수직위치 결정 실시 예는 도 7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For determin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e control unit 14 determine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so that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which change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n the lateral clinical data, are located below a preset distance from the lower upper labial region. The preset distance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

상악 중절치의 정면위치 결정을 위해, 제어부(14)는 정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를 대상으로 FACC과 교합평면에 대한 수선이 이루는 근원심 각도를 계측한다. 이어서,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상악 중절치의 정면위치 결정 실시 예는 도 8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To determine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the controller 14 measures the mesio-distal angle between the FACC and the perpendicular to the occlusal plane for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that change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n the clinical data in the frontal direction. Then,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e reference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

제어부(14)는 상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한 이후에, 제어부(14)는 하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하악 중절치의 측면 및 정면 방향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After the controller 14 determines the upper central incisor position, the controller 14 may determine the lower central incisor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s in the lateral and frontal directions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하악 중절치의 측면위치 결정을 위해, 제어부(14)는 측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하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 하악골(Mandibular) 연결선 및 NB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와 형성하는 각도를 계측한다. 이어서,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하악 중절치의 수평위치를 결정한다.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하악 중절치의 측면위치 결정 실시 예는 도 9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For example, in order to determine the lateral position of the central mandibular incisor, the control unit 14 forms with at least one of a central maxillary central incisor axial extension line, a mandibular connection line, and an NB connection line based on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axial extension line in the clinical data in the lateral direction. Measure the angle. Next,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reference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

하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을 위해, 정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하악 중절치의 정면을 설정하고, 하악 중절치를 대상으로 FACC과 교합평면에 대한 수선이 이루는 근원심 각도를 계측한다. 이어서,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하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한다. 하악 중절치의 정면위치 결정 실시 예는 도 10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To determine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s, the frontal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s is set from the frontal clinical data, and the mesio-distal angle between the FACC and the perpendicular to the occlusal plane is measured for the central mandibular incisors. Next,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0 .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치 및 비발치를 포함한 환자유형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위치가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기준으로 악궁 라인을 따라 나머지 개별치아들을 배열한다. 이어서, 치아배열로부터 비발치 치료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비발치 치료가능 시 환자유형을 비발치 유형을 결정한다. 이에 비해, 비발치 치료 불가 시 발치를 결정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치치아를 결정한다. 발치치아 결정을 위해, 치아배열에서 소정의 치아를 선택하여 발치 시에 개별치아들의 치아 이동량을 예측한다. 그리고 예측되는 치아 이동량과 미리 설정된 한계점을 비교하여 발치치아를 결정할 수 있다. 발치치아 결정 실시 예는 도 12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The controller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rmines the patient type including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hrough simulation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central incisor.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 arranges the remaining individual teeth along the arch lin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etermined upper central incisor. T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tooth arrangement whether non-extraction treatment is possible, and when non-extraction treatment is possible, the patient type is determined as the non-extraction type. On the other hand, when non-extraction treatment is not possible, extraction is determined, and extraction teeth are determined through simulation. In order to determine a tooth to be extracted, a tooth movement amount of individual teeth is predicted at the time of extraction by selecting a predetermined tooth from a tooth arrangement. In addition, the extracted tooth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tooth movement amount with a preset threshold. An embodiment of determining the tooth extra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2 .

제어부(14)는 결정된 환자유형에 맞게 교정치료 후의 최종 치아배열을 재생성하며, 출력부()는 최종 치아배열을 치아영상, 예를 들어 CT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13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The control unit 14 regenerates the final tooth arrangement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atient type, and the output unit 14 may display the final arrangement of teeth on a dental image, for example, a CT image. An embodi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3 .

저장부(12)에는 교정 디자인 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2)는 제어부(14)의 데이터 분석을 위해 데이터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 stores various data such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calibration design device 1 and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 storage unit 12 may provide data to the control unit 14 for data analysis of the control unit 14 .

출력부(18)는 임상 데이터와 제어부(14)를 통해 생성되는 환자유형 분류 결과(발치, 비발치 여부), 치아배열 등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한다.The output unit 18 displays a screen including clinical data, a patient type classification result (whether tooth extraction or non-extraction), and a tooth arrangement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4 .

입력부(16)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치아배열 데이터에 대한 이동, 회전과 같은 사용자 수정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입력부(16)는 환자유형 분류를 위한 진단항목을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진단항목 별로 환자유형 분류를 위한 기준 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16 receives a user manipulation signal. For example, an operation signal for user correction such as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tooth arrangement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is received through the output unit 18 . The input unit 16 may receive a user manipulation signal for adding, deleting, or changing a diagnostic item for patient type classification. In addition, a reference value for categorizing a patient type for each diagnosis item may be input from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이동 및 분석을 위해 치아영상을 분할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gmenting a tooth image for tooth movement and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치아영상, 예를 들어, CT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아영역을 좌, 우, 전치 및 구치로 4분할 한다. 좌, 우 영역은 중앙선(Midline)을 기준으로 분할할 수 있다. 심미적 치료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전치 및 구치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전치와 구치는 해부학적으로 놓여진 위치가 상이하다. 해부학적 위치에 따르면, 전치는 정준선을 기준으로 양쪽의 세 개씩, 좌우 총 6개의 치아를 말한다. 구치는 전치 뒤에 있는 치아를 의미한다. 전치와 구치는 형태학적 특징이 상이하다. 형태학적 특징에 따르면, 치관의 형태를 보고 전치와 구치를 구별할 수 있는데, 전치는 교두를 가지고 있지 않고 절단면 또는 첨두가 있다. 그리고 구치는 교두가 존재한다. 또한, 대합 치와의 교합 면의 넓이를 보고 전치와 구치를 구별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 by analyzing a dental image, for example, CT data, a tooth region is divided into left, right,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The left and right regions may be divided based on a midline. Anterior and posterior regions can be divided to establish an esthetic treatment plan. Anterior teeth and molars are anatomically positio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natomical location, anterior teeth refer to three teeth on each side and a total of six teeth on the left and right based on the midline. Molars are the teeth behind the anterior teeth.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have differen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terior teeth and molars can be distinguished by looking at the shape of the crown. And the molars have cusps.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width of the occlusal surface with the opposing teeth, it is also possible to distinguish the anterior teeth from the posterior teeth.

도 2에는 치아 이동량을 확인하기 위해 영상 내 모눈종이가 표시된다. 모눈종이는 이동량 확인을 위한 가이드로, 소프트에어에서 선택 옵션 사항에 해당한다. 이하, 후술되는 도면들의 영상에도 표시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 하기로 한다.In FIG. 2, a grid paper in the image is displayed to confirm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The grid paper is a guide for checking the amount of movement and is an optional option in the software. Hereinafter, they may also be displayed in the images of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bu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합면 내 치아 외형을 형성하는 치아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tooth image forming the tooth outline in the occlusal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치료 전, 후를 비교하기 위해 교합면에서 치아 외형을 형성한다. 6 전치는 접촉(Contact) 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치아 외형을 형성한다. 이에 비해, 구치는 교합면 형태 그대로 치아 외형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tooth outline is formed on the occlusal surface to compare before and after treatment. 6 The anterior teeth form the tooth shape including the contact part. In contrast, the posterior teeth form the shape of the teeth as they are in the shape of the occlusal surfa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절치 이동량에 따른 입술 변화를 보여주는 안모 측면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ide face image showing changes in the li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entral inci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안모 측면영상에서 상악 중절치가 X (mm) 들어가면, 환자의 상순이 Y (mm) 들어간다(X : Y). 또한, 하악 중절치가 X' (mm) 들어가면, 환자의 하순이 Y' (mm) 들어간다(X' : Y'). 상순 또는 하순의 들어가는 정도는 안모 측면영상에서 Pn(Pronasale)-Pog'(Soft tissue Pogonion) 연결선의 돌출되는 정도로 알 수 있다. Pn(Pronasale)은 코 끝의 가장 돌출된 부분이고, Pog'(Soft tissue Pogonion)는 턱골의 최전방점이다.Referring to FIG. 4 , wh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enters X (mm) in the facial lateral image, the patient's upper labia enters Y (mm) (X : Y). Also, i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enters X' (mm), the patient's lower labia enters Y' (mm) (X' : Y'). The degree of entry of the upper or lower lip can be known by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Pn (Pronasale)-Pog' (Soft tissue Pogonion) connection line in the facial lateral image. Pn (Pronasale) is the most protruding part of the tip of the nose, and Pog' (Soft tissue Pogonion) is the frontmost point of the jawbone.

상악 중절치 이동량에 따른 상순 변화량과, 하악 중절치 이동량에 따른 하순 변화량은 사용자가 설정 할 수 있다. 교정 계획 수립 시에, 환자 또는 치과의사에 따라 원하는 안모 변화가 다르기 때문이다.The amount of change in the upper order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of the upper central incisors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lower order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of the lower central incisors can be set by the user. This is because, when establishing an orthodontic plan, desired facial changes are different for each patient or dentis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절치 이동량에 따른 비순각(Nasolabial Angle) 변화를 보여주는 안모 측면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the face showing a change in the Nasolabial Ang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안모 측면영상에서 상악 중절치가 X (mm) 들어가면, 비순각이 Y (°) 증가한다(X : Y).Referring to FIG. 5 , wh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enters X (mm) in the facial lateral image, the nasal angle increases by Y (°) (X: 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a facial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측면의 임상 데이터(60)에서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의 수평위치를 결정한다. 상악 중절치의 수평위치는 상악 중절치를 전, 후방적으로 조정해 가면서 결정되는 위치이다. 임상 데이터(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두부 사진(62)과 3차원 CT 데이터(64)를 정합한 정합 데이터일 수 있다. 3차원 CT 데이터(64)를 이용함에 따라 실제 3차원 치아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6 ,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determines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facial change in the side clinical data 60 .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is determined by adjusting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nteriorly and posteriorly. As shown in FIG. 6 , the clinical data 60 may be matched data obtained by matching the patient's head photograph 62 and the 3D CT data 64 .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CT data 64, an actual three-dimensional tooth position can be derived.

상악 중절치의 수평위치 결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는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600), SN 연결선(SN Plane), FH 연결선(FH Plane), PP 연결선(Palatal Plane) 및 NA 연결선(NA Plane) 등이 있다.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determin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is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extension line 600, SN connecting line (SN Plane), FH connecting line (FH Plane), PP connecting line (Palatal Plane), and NA connecting line (NA) that change according to facial changes. Plane), etc.

SN 연결선(SN Plane)은 S-N을 잇는 선으로 전두개저를 표시한다. S(Sella)는 Sella turcica의 중점이다. N(Nasion)은 frontonasal suture의 최저방점이다. FH 연결선(FH Plane)은 Po-Or을 잇는 선으로, 안이 평면을 표시한다. Po(Porion)은 외이공의 최상방점이고, Or(Orbitale)은 안와의 최하방점이다. PP 연결선(Palatal Plane)은 PNS-ANS를 연결한 선으로, 구개평면을 표시한다. PNS(Posterior nasal spine)는 경구개의 후비극이고, ANS(Anterior nasal spine)는 경구개의 전비극이다. NA 연결선(NA Plane)은 N-A를 연결하는 선이다. A점(Point A)은 상악 기저골과 치조돌기 사이의 곡선상에서 최후방점이다.The SN connection line (SN Plane) is a line connecting S-N and marks the frontal cranial base. S (Sella) is the focal point of Sella turcica. N(Nasion) is the lowest point of the frontonasal suture. The FH connecting line (FH Plane) is a line connecting Po-Or, and the inside indicates the plane. Po (Porion) is the apex of the external foramen, and Or (Orbital) is the lowest point of the orbit. The PP connection line (Palatal Plane) is a line connecting the PNS-ANS and marks the palatal plane. The posterior nasal spine (PNS) is the posterior nasal spine of the hard palate, and the anterior nasal spine (ANS) is the anterior nasal spine of the hard palate. The NA connection line (NA Plane) is a line connecting N-A. Point A is the most posterior point on the curve between the maxillary basal bone and the alveolar process.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600) 및 SN 연결선(SN Plane) 간 각도(°)(①),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600) 및 FH 연결선(FH Plane) 간 각도(°)(②),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600) 및 PP 연결선(Palatal Plane) 간 각도(°)(③),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600) 및 NA 연결선(NA Plane) 간 각도(°)(④)를 각각 계측한다. 그리고 계측된 각도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계측된 각 각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600)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상악 중절치의 수평위치를 결정한다.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measures the angle (°) (①)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xial extension line 600 and the SN connection line (SN Plane), and the angle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xial extension line 600 and the FH connection line (FH plane) (°) ( ②), the angle (°)(③)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pical extension line 600 and the PP connection line (Palatal Plane), and the angle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xis extension line 600 and the NA connection line (NA Plane) (°)(④), respectively. measure Then,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valu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xial extension line 6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easured angle value coincides with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preset reference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수직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a facial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측면의 임상 데이터(60)에서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의 수직위치를 결정한다. 상악 중절치의 수직위치는 상악 중절치를 상, 하방적으로 조정해 가면서 결정되는 위치이다. 임상 데이터(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두부 사진(62)과 3차원 CT 데이터(64)를 정합한 정합 데이터일 수 있다. 3차원 CT 데이터(64)를 이용함에 따라 실제 3차원 치아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7 ,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determine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facial change in the side clinical data 60 .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is determined by adjusting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up and down. As shown in FIG. 7 , the clinical data 60 may be matched data obtained by matching the patient's head photograph 62 and the 3D CT data 64 .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CT data 64, an actual three-dimensional tooth position can be derived.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임상 데이터(60)에서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700)가 상순 하방(710)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mm)(①)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악 중절치의 수직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거리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determine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so that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700, which change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n the clinical data 60, are located below a preset distance (mm) (①) from the upper labial and lower 710. decide In this case, the preset distance value may be changed by the user.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a facial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정면의 임상 데이터(60)에서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한다. 임상 데이터(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두부 사진(62)과 3차원 CT 데이터(64)를 정합한 정합 데이터일 수 있다. 3차원 CT 데이터(64)를 이용함에 따라 실제 3차원 치아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8 ,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determines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facial change in the frontal clinical data 60 . As shown in FIG. 8 , the clinical data 60 may be matched data obtained by matching the patient's head photograph 62 and the 3D CT data 64 .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CT data 64, an actual three-dimensional tooth position can be derived.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상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악 중절치 정면을 설정한다. 이를 위해 Andrew's 6 keys - 경사(Angulation)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를 대상으로 FACC(Facial axis of the clinical crown: FACC)(800)와, 교합평면(Occ plane)(810)에 대한 수선(Occ plane 수직선)(810)이 이루는 근원심 각도를 계측한다. 이어서,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계측된 각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악 중절치 정면의 위치를 조정한다.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sets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in order to determine the frontal positions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You can use Andrew's 6 keys - Angulation for this. At this time, the facial axis  of the clinical crown (FACC) 800 and the Occ plane vertical line 810 to the occlusal plane 810 targeting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atient's facial features ) to measure the mesio-distal angle formed by Then,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position of the front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is adjus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easured angle value coincides with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preset reference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중절치 위치에 대한 하악 중절치의 측면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상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한 후, 측면의 임상 데이터에서 교합관계를 고려하여 상악 중절치 위치에 대한 하악 중절치의 측면위치를 결정한다. 임상 데이터(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두부 사진(62)과 3차원 CT 데이터(64)를 정합한 정합 데이터일 수 있다. 3차원 CT 데이터(64)를 이용함에 따라 실제 3차원 치아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9 ,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central central incisor of the mandible, and then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lateral position of the central incisor of the mandible in consideration of the occlusal relationship in the clinical data of the side. As shown in FIG. 9 , the clinical data 60 may be matched data obtained by matching the patient's head photograph 62 and the 3D CT data 64 .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CT data 64, an actual three-dimensional tooth position can be derived.

하악 중절치의 측면위치 결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는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600), 하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900), 하악골 연결선(Mandibular Plane) 및 NB 연결선(NB Plane) 등이 있다.Information necessary for determin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includes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pical extension line 600,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apical extension line 900, the mandibular bone connection line (Mandibular Plane), and the NB connection line (NB Plane).

하악골 연결선(Mandibular Plane)은 Go-Me을 잇는 선이다. Go(Gonion)은 하악하연의 접선과 하악지 후연의 접선의 교차점이며, Me(Menton)는 하악결합 외형선 상 최하방점으로 하악선의 교차선 상에 있다. NB 연결선(NB Plane)은 N-B를 잇는 선이다. N(Nasion)은 frontonasal suture의 최저방점이다. B점(Point B)는 하악치조돌기와 Pogonion 사이의 곡선 상에서 최후방점이다.The Mandibular Plane is a line connecting Go-Me. Go(Gonion) is the intersection of the tangent of the lower edge of the mandible and the tangent of the trailing edge of the mandible, and Me(Menton) is the lowest point on the outline of the mandibular joint and it is on the intersection of the mandible. The NB connection line (NB Plane) is a line connecting N-B. N(Nasion) is the lowest point of the frontonasal suture. Point B is the most posterior point on the curve between the mandibular alveolar process and the pogonion.

교정 디자인 장치(1)는 하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900) 및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600) 간 각도(°)(①), 하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900) 및 하악골 연결선(Mandibular Plane) 간 각도(°)(②), 하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900) 및 NB 연결선(NB Plane) 간 각도(°)(③)를 각각 계측한다. 그리고 계측된 각 각도 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계측된 각 각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하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900)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하악 중절치의 측면위치를 결정한다.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is the angle (°) (①) between the pubis extension line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900) and the pubis extension lin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600), the angle (°) between the central incisors extension line (900) of the mandible and the mandibular plane (°) Measure (②), the angle (°) (③) between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extension line 900 and the NB connection line (NB Plane), respectively. And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value with the preset reference value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axial extension line 90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easured angle value matches the preset reference value. . The preset reference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악 중절치 위치에 대한 하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상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한 후, 정면의 임상 데이터(60)에서 상악 중절치 위치에 대한 하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한다. 임상 데이터(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두부 사진(62)과 3차원 CT 데이터(64)를 정합한 정합 데이터일 수 있다. 3차원 CT 데이터(64)를 이용함에 따라 실제 3차원 치아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10 ,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then determines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in the frontal clinical data 60 . As shown in FIG. 10 , the clinical data 60 may be matched data obtained by matching the patient's head photograph 62 and the 3D CT data 64 .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CT data 64, an actual three-dimensional tooth position can be derived.

교정 디자인 장치(1)는 하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하악 중절치 정면을 설정한다. 이를 위해 Andrew's 6 keys - 경사(Angulation)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하악 중절치를 대상으로 FACC(Facial axis of the clinical crown: FACC)(900)와, 교합평면(Occ plane)(910)에 대한 수선(Occ plane 수직선)(910)이 이루는 근원심 각도를 계측한다. 이어서,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계측된 각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하악 중절치 정면의 위치를 조정한다.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하악 중절치의 정면위치 설정 시 상, 하악 교합관계 및 치료 한계점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에 상, 하악 관계의 평균치를 적용하여 하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sets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s in order to determine the frontal positions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s. You can use Andrew's 6 keys - Angulation for this. At this time, the mesiodistal angle formed by the facial axis  of the clinical crown (FACC) 900 and the perpendicular (Occ plane vertical line) 910 to the occlusal plane 910 was measured for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do. Then,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position of the front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is adjus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easured angle value coincides with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preset reference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When setting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the upper and lower occlusal relationships and treatment limitations can be additionally considered.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may be determined by applying an average val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s to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central central incisor.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치아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tooth arrangement centering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임상 데이터, 예를 들어 환자의 CT 데이터(64)를 분석하여 비발치 치료 여부를 결정한다. 비발치 치료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CT 데이터(64)의 교합면에서 위치가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1100)를 기준으로 악궁 라인(Arch line)을 따라 나머지 개별치아들을 배열한다. 상악 중절치 위치(1100)는 수직, 수평 및 정면 방향에서 각각 결정된 위치이다.1 and 11 ,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analyzes clinical data, for example, CT data 64 of a patient to determine whether to treat non-extraction treatment.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treat non-extraction treatment, the remaining individual teeth are arranged along the arch lin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1100 determined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CT data 64 .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position 1100 is a position determined in the vertical, horizontal and frontal directions, respectively.

이어서, 악궁 라인(Arch line)을 따라 배열된 치아배열로부터 비발치 치료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 하악 교합관계 및 치료 한계점을 고려하여 비발치 치료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발치 치료 시 치아이동을 시뮬레이션 해 보고, 치아이동이 한계점을 넘는지 여부를 확인해 봄에 따라 비발치 치료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비발치 치료 가능 시 비발치로 치료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이에 비해, 비발치 치료 불가 시 발치를 결정하고 치료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non-extraction treatment is possible from the tooth arrangement arranged along the arch lin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non-extraction treatment i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upper and lower occlusal relationships and treatment limitation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non-extraction treatment is possible by simulating tooth movement during non-extraction treatment and checking whether tooth movement exceeds a threshold. If non-extraction treatment is possible, treatment simulation is performed with non-extraction treatment. In contrast, when non-extraction treatment is not possible, extraction is decided and treatment simulation is perform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치 결정 시 발치할 치아를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lecting a tooth to be extracted when determining tooth ex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임상 데이터, 예를 들어 환자의 CT 데이터(64)의 3차원 분석을 통해 상, 하악 교합관계 및 치료 한계점을 고려하여 발치치아를 포함한 발치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 전치를 배열한 후, 치아배열에서 소정의 치아를 발치 했을 때 개별치아들(전치부, 구치부)의 치아 이동량을 예측해 보고 치아 이동량 예측결과를 이용하여 발치치아를 결정한다. 우선 #4 치아를 발치 했을 때 개별치아들의 이동량을 확인해 본다. 도 12에서는 발치치아로 #4 치아를 선택한 후 시뮬레이션 해보면 우측(도면의 좌측) 발치공간은 Xmm이고, 우측 구치부의 치아 이동량은 Xmm이다. 또한 좌측(도면의 우측) 발치공간은 Ymm이고, 좌측 구치부의 치아 이동량은 Ymm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치아 이동량이 미리 설정한 치료 한계점을 넘은 경우 #4 치아는 발치치아로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5 치아를 선택하여 동일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최종 발치치아를 결정한다.1 and 12,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includes an extraction tooth in consideration of upper and lower occlusal relationships and treatment limitations through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clinical data, for example, CT data 64 of a pati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extraction conditions. For example, after arranging 6 anterior teeth, when a predetermined tooth is extracted from the tooth arrangement, the tooth movement amount of individual teeth (anterior and posterior) is predicted, and the extracted tooth is determined using the tooth movement amount prediction result. First, check the amount of movement of individual teeth when the #4 tooth is extracted. In FIG. 12 , after selecting tooth #4 as an extraction tooth, the right (left side of the drawing) extraction space is Xmm, and the tooth movement amount of the right posterior part is Xmm.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eft (right side of the drawing) tooth extraction space is Ymm, and the tooth movement amount of the left posterior part is Ymm.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of tooth movement exceeds a preset treatment threshold, the #4 tooth is determined to be unsuitable as an extraction tooth. In this case, the final extracted tooth is determined after performing the same simulation by selecting tooth #5.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료 전후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simulation resul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13을 참조하면, 교정 디자인 장치(1)는 결정된 환자유형을 치아배열에 입력하여 환자유형에 맞게 교정치료 후의 최종 치아배열을 재생성 한다. 도 13의 1300은 교정치료 전 치아배열이고, 1310은 교정치료 후의 최종 치아배열을 나타낸다. CT 데이터(64)를 통해 3차원적 치아이동 시뮬레이션을 하기 때문에 발치, 비발치 선택 후 바람직한 치료 상태 확인이 가능하다.1 and 13,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regenerates the final tooth arrangement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atient type by inputting the determined patient type into the tooth arrangement. In FIG. 13, reference numeral 1300 denotes a tooth arrangement before orthodontic treatment, and reference numeral 1310 denotes a final tooth arrangement after orthodontic treatment. Since a three-dimensional tooth movement simul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CT data 64,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esired treatment status after selecting tooth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 디자인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calibration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면, 교정 디자인 장치(1)는 환자의 중절치 이동량에 따른 안모 변화를 제공한다(S1410). 예를 들어, 환자로부터 획득된 안모 스캔 데이터에서, 상악 중절치가 소정 거리 들어갈 때 상순이 들어가는 거리를 계측하여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안면 스캔 데이터에서, 하악 중절치가 소정 거리 들어갈 때 하순이 들어가는 거리를 보여줄 수 있다. 안면 스캔 데이터에서, 상악 중절치가 소정 거리 들어갈 때 증가하는 비순각을 보여줄 수 있다. 1 and 14,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provides a facial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of the central incisor of the patient (S1410). For example, in facial scan data obtained from a patient, when the upper central incisor enters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istance through which the upper labia enters may be measured and displayed. In addition, in the face scan data, it is possible to show the distance the lower lip enters when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enters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acial scan data, it may show an increasing nasal angle wh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is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이어서,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한다(S1420). 상악 중절치의 위치 결정 단계(S1420)에서, 교정 디자인 장치(1)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상에서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수직, 수평 및 정면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임상 데이터는 환자의 CT 데이터 또는 CT 데이터와 두부 사진을 정합한 정합 데이터로, 3차원 데이터이다.Next,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the facial change (S1420). In the determining of the position of the central central incisor ( S1420 ), the orthodontic design apparatus 1 may analyze the patient's clinical data to determine the vertical, horizontal, and frontal positions of the central central incisors in the maxilla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n three dimensions. In this case, the clinical data is the CT data of the patient or the matching data obtained by matching the CT data and the head photograph, and is three-dimensional data.

상악 중절치의 위치 결정 단계(S1420)에서,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상악 중절치의 수평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을 기준으로 SN 연결선, FH 연결선, PP 연결선 및 NA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와 형성하는 각도를 계측하고,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악 중절치의 수평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 S1420 ),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may determine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For example, in clinical data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angle formed with at least one of the SN connection line, FH connection line, PP connection line, and NA connection line is measured based o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xial extension line that changes according to facial changes, and the measured angle and the pre-measured angle are measure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et reference values.

상악 중절치의 위치 결정 단계(S1420)에서,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상악 중절치의 수직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가 상순 하방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악 중절치의 수직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 S1420 ),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may determin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For example, in clinical data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which changes according to a facial change, is located below a preset distance from the lower part of the upper labia.

상악 중절치의 위치 결정 단계(S1420)에서,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상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상악 중절치 정면을 설정하고, 정면 설정 이후, 환자의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를 대상으로 FACC과 교합평면에 대한 수선이 이루는 근원심 각도를 계측한다. 그리고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positioning step (S1420)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may determine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For example, the frontal maxillary central incisor is set in frontal clinical data, and after the frontal setting, the mesio-distal angle between the FACC and the perpendicular to the occlusal plane is measured for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patient's facial changes. And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상악 중절치 위치 결정 이후, 교정 디자인 장치(1)는 하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데, 하악 중절치의 측면위치 및 정면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After determining the upper central incisor position,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may determine the lower central incisor position, and may determine the lateral position and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하악 중절치의 측면위치 결정 시,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측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하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 하악골(Mandibular) 연결선 및 NB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와 형성하는 각도를 계측한 후,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하악 중절치의 측면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When determin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measures the angle formed with at least one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xial extension line, the mandibular connection line, and the NB connection line based on the central mandibular central incisor extension line in the lateral clinical data. After that,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하악 중절치의 정면위치 결정 시,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정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하악 중절치 정면을 설정한 후, 하악 중절치를 대상으로 FACC과 교합평면에 대한 수선이 이루는 근원심 각도를 계측한다. 이어서,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하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한다.When determining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sets the frontal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from the frontal clinical data, and then measures the mesio-distal angle between the FACC and the perpendicular to the occlusal plane for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Next,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다음으로, 교정 디자인 장치(1)는 위치가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기준으로 악궁 라인을 따라 나머지 개별치아들을 배열한다(S1430). 그리고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치 및 비발치를 포함한 환자유형을 결정한다(S1440). 예를 들어, 치아배열로부터 비발치 치료가능 여부를 판단 하는데, 비발치 치료 불가 시 발치를 결정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발치치아를 결정한다. 발차치아 결정 예를 들면, 치아배열에서 소정의 치아를 선택하여 발치 시에 개별치아들의 치아 이동량을 예측한 후, 예측되는 치아 이동량과 미리 설정된 한계점을 비교하여 발치치아를 결정한다.Next,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arranges the remaining individual teeth along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position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S1430). And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he patient type including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is determined through simulation (S1440).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whether non-extraction treatment is possible from the tooth arrangement. Determination of extracted teeth For example, after selecting a predetermined tooth from a tooth arrangement and predicting the tooth movement amount of individual teeth during extraction, the extracted tooth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tooth movement amount with a preset threshold.

이어서, 교정 디자인 장치(1)는 결정된 환자유형에 맞게 교정치료 후의 최종 치아배열을 재생성 한다(S1450).Then, the orthodontic design device 1 regenerates the final tooth arrangement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atient type (S145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발명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focusing on the embodiments there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odified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환자의 중절치 이동량에 따른 안모 변화를 제공하는 단계;
중절치 이동량에 따른 안모 변화를 확인한 후 확인된 안모 변화에 따라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악 중절치 위치 결정 이후, 하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기준으로 악궁 라인을 따라 나머지 개별치아들을 배열하고, 치아배열로부터 발치 및 비발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발치 판단 시에, 치아배열에서 소정의 치아를 선택하여 발치 시의 개별치아들의 치아 이동량을 예측하며,
예측되는 치아 이동량과 미리 설정된 한계점을 비교하여 치아 이동량이 미리 설정한 치료 한계점을 넘는 경우 다른 치아를 발치치아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providing a facial chan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entral incisor of the patient;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central incisor according to the confirmed facial change after confirming the facial change according to the central incisor movement amount;
After determining the upper central incisor position, determining the lower central incisor position; and
arranging the remaining individual teeth along the arch line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central incisor, and determining whether tooth extraction or non-extraction is performed from the tooth arrangement; including,
When determining tooth extraction, a predetermined tooth is selected from the tooth arrangement to predict the tooth movement amount of individual teeth at the time of extraction,
An orthodontic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y comparing a predicted tooth movement amount with a preset threshold, and selecting another tooth as an extraction tooth when the tooth movement amount exceeds a preset treatment threshold.
제 1 항에 있어서, 안모 변화를 제공하는 단계는
환자로부터 획득된 안모 스캔 데이터에서, 상악 중절치가 소정 거리 들어갈 때 상순이 들어가는 거리와, 하악 중절치가 소정 거리 들어갈 때 하순이 들어가는 거리와, 상악 중절치가 소정 거리 들어갈 때 증가하는 비순각 중 적어도 하나를 계측하여 안모 변화를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providing a facial change comprises:
In the facial scan data obtained from the patient,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at which the upper labia enters when the central central incisors of the maxilla enter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istance where the lower labia enters when the central incisors of the mandible enter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non-labial angle that increases when the central incisors of the maxilla enter a predetermined distance. Orthodontic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y measuring the facial changes.
제 1 항에 있어서,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상에서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수직, 수평 및 정면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comprises:
An orthodontic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horizontal and frontal positions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n 3D by analyz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제 3 항에 있어서, 임상 데이터는
환자의 CT 데이터 또는 CT 데이터와 두부 사진을 정합한 정합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linical data is
An orthodontic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ient's CT data or CT data and matching data obtained by matching the head photograph.
제 1 항에 있어서,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측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을 기준으로 SN 연결선, FH 연결선, PP 연결선 및 NA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와 형성하는 각도를 계측하는 단계; 및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악 중절치의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comprises:
measuring an angle formed with at least one of an SN connection line, an FH connection line, a PP connection line, and an NA connection line based o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xial extension line that changes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n the clinical data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determining a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includes,
A calibration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erence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측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가 상순 하방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악 중절치의 수직위치를 결정하며,
미리 설정된 거리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comprises:
Determin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so that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which changes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n the lateral clinical data, is located at a preset distance below the upper labial,
A calibration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et distance value is changeable by a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정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상악 중절치 정면을 설정하는 단계;
정면 설정 이후, 환자의 안모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상악 중절치를 대상으로 FACC과 교합평면에 대한 수선이 이루는 근원심 각도를 계측하는 단계; 및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comprises:
setting the frontal maxillary central incisor frontal in the frontal direction clinical data;
After the frontal setting, measuring the mesio-distal angle between the FACC and the perpendicular to the occlusal plane for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atient's facial features; and
determining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includes,
A calibration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erence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하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측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하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악 중절치 치축 연장선, 하악골(Mandibular) 연결선 및 NB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와 형성하는 각도를 계측하는 단계; 및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하악 중절치의 측면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etermining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position comprises:
measuring an angle formed with at least one of a maxillary central incisor apical extension line, a mandibular connection line, and an NB connection line based on the central mandibular central incisor extension line in the clinical data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determin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includes,
A calibration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erence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제 8 항에 있어서, 하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정면 방향의 임상 데이터에서 하악 중절치 정면을 설정하는 단계;
하악 중절치를 대상으로 FACC과 교합평면에 대한 수선이 이루는 근원심 각도를 계측하는 단계; 및
계측된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하악 중절치의 정면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기준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position comprises:
setting the frontal mandibular central incisor in the frontal direction clinical data;
Measuring the mesiodistal angle between the FACC and the perpendicular to the occlusal plane for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and
determining the front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by comparing the measured angl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includes,
A calibration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erence value can be changed by the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교정 디자인 방법은
발치 및 비발치 여부를 포함하는 환자유형에 맞게 교정치료 후의 최종 치아배열을 재생성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libration design method is
Regenerating the final tooth arrangement afte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atient type including whether or not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Calibration desig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안모 변화 분석을 위한 진단항목을 분류하고 분류된 진단항목 별로 계측점 및 연결선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된 상태에서, 획득된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환자의 중절치 이동량에 따른 안모 변화를 제공하고, 중절치 이동량에 따른 안모 변화를 확인한 후 확인된 안모 변화에 따라 상악 중절치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악 중절치 위치 결정 이후 하악 중절치 위치를 결정하며, 결정된 상악 중절치 위치를 기준으로 악궁 라인을 따라 나머지 개별치아들을 배열하고, 치아배열로부터 발치 및 비발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치료계획에 따른 치아배열을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발치 판단 시에, 치아배열에서 소정의 치아를 선택하여 발치 시의 개별치아들의 치아 이동량을 예측한 후, 예측되는 치아 이동량과 미리 설정된 한계점을 비교하여 치아 이동량이 미리 설정한 치료 한계점을 넘는 경우 다른 치아를 발치치아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장치.
a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clinical data of a patient;
Classify diagnostic items for facial change analysis and provide facial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entral incisors of the patient by analyzing the acquired clinical data while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point and a connecting line is set for each classified diagnostic item, and After confirming the change,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firmed facial changes,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s is determined after the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is determined, the remaining individual teeth are arranged along the arch line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nd the teeth are arrange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oth extraction or non-extraction is performed; and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tooth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treatment plan; includes,
the control unit
When determining tooth extraction, after predicting the tooth movement amount of individual teeth at the time of extraction by selecting a predetermined tooth from the tooth arrangement, the predicted tooth movement amount is compared with a preset threshold point. Orthodontic desig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electing the tooth as an extraction tooth.
제 13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상에서 안모 변화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수직, 수평 및 정면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디자인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unit
An orthodontic desig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e vertical, horizontal, and frontal positions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ccording to facial changes in three dimensions by analyzing the patient's clinical data.
삭제delete
KR1020190158331A 2019-12-02 2019-12-02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of KR1023208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31A KR102320857B1 (en) 2019-12-02 2019-12-02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31A KR102320857B1 (en) 2019-12-02 2019-12-02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172A KR20210069172A (en) 2021-06-11
KR102320857B1 true KR102320857B1 (en) 2021-11-03

Family

ID=7637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331A KR102320857B1 (en) 2019-12-02 2019-12-02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8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908B1 (en) * 2021-08-13 2023-09-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classifying facial shape and denture design apparatus therefor
CN114224528B (en) * 2021-10-26 2023-07-18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Oral cavity digital twin model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interaction and establishment method
CN114469395A (en) * 2022-02-10 2022-05-13 北京非凡禾禾医疗器械有限公司 Tooth occlusion deformity correc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355B1 (en) * 2011-06-16 2012-04-26 김태원 System providing estimation information for teeth alignment and method thereof
KR101740385B1 (en) * 2016-07-06 2017-05-26 배기선 3d grid template for manufacturing digital set-up model and teeth alignment method of digital set-up model by 3d grid template
KR101829409B1 (en) * 2016-05-04 2018-02-19 주식회사 디오코 Method for correcting teeth in tooth correcton simulation device
KR101887198B1 (en) * 2016-06-20 2018-09-06 주식회사 디오코 Simulation method in orthodontics and facial plastic surgery simulation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629B1 (en) * 2017-12-07 2020-03-06 이혜주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structure of teeth and jawbone of pati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355B1 (en) * 2011-06-16 2012-04-26 김태원 System providing estimation information for teeth alignment and method thereof
KR101829409B1 (en) * 2016-05-04 2018-02-19 주식회사 디오코 Method for correcting teeth in tooth correcton simulation device
KR101887198B1 (en) * 2016-06-20 2018-09-06 주식회사 디오코 Simulation method in orthodontics and facial plastic surgery simulation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KR101740385B1 (en) * 2016-07-06 2017-05-26 배기선 3d grid template for manufacturing digital set-up model and teeth alignment method of digital set-up model by 3d grid tem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172A (en)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4290B1 (en) Computer-assisted creation of a custom tooth set-up using facial analysis
CN106137414B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arget dentition layout
Creed et al. A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linear measurements obtained from cone beam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s and digital models
US11896452B2 (en) Method for virtual setup with mixed dentition
KR102320857B1 (en)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apparatus thereof
KR20100016180A (en) Method for deriving shape information
JP2008136865A (en) Automatic tooth movement measuring method employing three-dimensional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 and program for it
KR20130044932A (en) An image matching method for orthodontics and production method for orthodontics device using the same
KR20200070706A (en) Desig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dental implant surgery that determines a crown position by reflecting a relationship between adjacent teeth and a an antagonistic teeth
US20230132126A1 (en) Methods for generating facial lines for dental treatment planning
KR102372962B1 (en) Method Of Determinating Cephalometric Prameters For Orthodontic Diagnosis From Three Dimensional CBCT Images Taken In Natural Head Posi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KR102269030B1 (en) Teeth setup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setup apparatus therefor
KR2020010044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rating Implant Diagnosis Image
Zimmermann et al. The Impa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n Dentistry
CN112419476A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three-dimensional virtual image of dental patient
KR102350098B1 (en) Method for generating arch line and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EP3998985B1 (en) Virtual articulation in orthodontic and dental treatment planning
KR20220118074A (en) Method for establishing orthodontic treatment plan and apparatus thereof
Park et al. Consideration of root position in virtual tooth setup for extraction treatment: A comparative study of simulated and actual treatment results
KR102347493B1 (en) Method for tooth arrangement design and apparatus thereof
KR102474299B1 (en) Method for fabricating digital denture and apparatus thereof
KR102506836B1 (en) Method for tooth arrangement design and apparatus thereof
KR20200021261A (en) Dental CAD apparatus using characteristic of mirroring teeth and operating method the dental CAD apparatus
KR102388411B1 (en) Method for fabricating tray, data transfer method and simulation apparatus therefor
Kumar et al. Contemporary digital software applications in orthodontics: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