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179A - Sight recovery apparatus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induction - Google Patents

Sight recovery apparatus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in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179A
KR20210048179A KR1020190132126A KR20190132126A KR20210048179A KR 20210048179 A KR20210048179 A KR 20210048179A KR 1020190132126 A KR1020190132126 A KR 1020190132126A KR 20190132126 A KR20190132126 A KR 20190132126A KR 20210048179 A KR20210048179 A KR 20210048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user
eyepiece
movement
ey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15674B1 (en
Inventor
정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린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린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린더블유
Priority to KR1020190132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674B1/en
Publication of KR2021004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1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6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63B2071/0661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 A63B2071/0666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worn on the head or face, e.g. combined with goggles or glass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ht recovery apparatus through virtual reality (VR)-based eye movement induction. More specifically, the sight recovery apparatus comprises: a head mounted display (HMD) frame to be worn on a user's head; a display unit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both eyes of the user wearing the HMD frame to output a VR imag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R including movement of an object to the display unit to induce movement of the muscles around the eyeball through eye movement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VR image. Accordingly, the VR image includ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is provided while the user is wearing the sight recovery apparatus on the hea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muscles around the eyeball is induced through the eye movement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VR image, thereby providing a sight recovery effect by helping the user in easily exercising the eyeball in the right way and strengthening the muscles around the eyeball.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SIGHT RECOVERY APPARATUS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INDUCTION}Vision recovery device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SIGHT RECOVERY APPARATUS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INDUCTION}

본 발명은 시력 회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on recover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vision recovery device through the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종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각종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는 투과(see-through)형과 밀폐(see-closed)형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투과형은 주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용으로 사용되고, 밀폐형은 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Various wearable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ccording to the trend of lightening and miniaturization of digital devices. A head mounted display, which is a type of wearable device, refers to various devices that can be worn by a user to receive multimedia contents and the like. These head-mounted displays (HMD) are divided into see-through type and see-closed type, and the transmissive type is mainly used for Augmented Reality (AR), and the sealed type is mainly used for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Reality, VR).

도 1은 일반적인 안경 형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밴드 형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외부의 빛이 차단되는 밀폐형으로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형태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eneral glasses-type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eneral band-shaped head mounted display (HMD). In particular, the head-mounted display as shown in FIG. 2 is a sealed type in which external light is blocked, and is suitable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to a user.

한편,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사용 시간이 길어지면서, 눈의 피로, 안구 건조, 시력 저하 등 눈과 관련된 다양한 질병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현대인들은 가까운 물체를 장시간 보는 경우가 많고 강한 자극을 주는 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서, 연령에 관계없이 시력 저하가 발생하여 큰 문제가 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use time of computers and smartphones increases, various diseases related to the eyes such as eye fatigue, dry eyes, and decreased vision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modern people often look at a nearby object for a long time and the time to be exposed to strong stimulating light is long, so that vision deterioration occurs regardless of age, which is a big problem.

안구운동은 눈을 감싸는 주변 근육을 운동시켜, 시력 저하를 막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안구운동을 통해 시력 회복 또는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안구운동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개인이 올바른 방법으로 충분한 시간 동안 안구운동을 꾸준히 하기는 어려운 한계가 있다.
Eye movements work out the muscles surrounding the eyes to prevent visual acuity from deteriorating and to restore or improve vision through continuous eye movements. However, the awareness of the eye movements is insufficient, and the individual has sufficient time in the correct way. There is a difficult limit to steadily performing eye movements.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789153호(발명의 명칭: 가상현실 기반의 EMDR 안구 운동의 몰입형 제공 방법, 등록일자: 2017년 10월 17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No. 10-1789153 (name of the invention: immersive provision method of EMDR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registration date: October 17, 2017) has been disclosed. .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오브젝트의 이동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여, 가상현실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는 눈의 움직임을 통해 안구 주변 근육의 운동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올바른 방법으로 쉽게 안구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안구 주변 근육을 강화하여 시력 회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and provides a virtual reality image including movement of an object in a state worn by the user on the head, Virtual reality-based eyeball that induces movement of the muscles around the eyeball through the movement of the eye that tracks movement, helping the user to perform eye movement easily in the correct way, and reinforcing the muscles around the eyeball to obtain a vision recovery effec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restoring vision through exercise induc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는,A vision recovery device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시력 회복 장치로서,As a vision recovery device,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HMD 프레임;HMD frame that the user can wear on the head;

상기 HMD 프레임을 착용한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disposed in front of both eyes of a user wearing the HMD frame to output a virtual reality image; And

오브젝트의 이동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 제어하여, 상기 가상현실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는 눈의 움직임을 통해 안구 주변 근육의 운동을 유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The configuration comprises a control unit that outputs and controls a virtual reality image including movement of an object to the display unit, and induces movement of muscles around the eyeball through movement of the eye that tracks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It is characterized by the top.

바람직하게는, 상기 HMD 프레임은,Preferably, the HMD frame,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의 빛이 차단되는 프레임 구조를 갖는 헬멧(helmet) 형태 또는 고글(goggles)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elmet or goggles having a frame structure in which external light is blocked while the user wears it on the head.

바람직하게는,Preferably,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양안에 전달하며, 상기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대응하는 좌안 접안부 및 우안 접안부를 포함하는 접안부; 및An eyepiece unit that transmits the virtual reality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to both eyes of the user, and includes a left eyepiece and a right eyepiec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respectively; And

상기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의 위치에 따라 상기 좌안 접안부 및 우안 접안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접안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n eyepiece posi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eft eyepiece and the right eyepie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left eye and right ey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안 위치 조절부는,More preferably, the eyepiece position adjustment unit,

상기 HMD 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되며, 상기 좌안 접안부 및 우안 접안부 각각의 위치를 조절하는 2개의 조절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t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MD frame,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wo control buttons for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left eyepiece and the right eyepie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Preferably, the control unit,

3차원 도형 형태인 상기 오브젝트의 형상, 모양, 색상 및 각도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변경되면서,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 제어할 수 있다.
Whi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the shape, shape, color, and angle of the object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figure is changed, a virtual reality image in which the object moves along a preset trajectory may be output and controll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Mor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 제어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궤적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virtual reality imag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preset trajectory may be controlled to be changed at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현실 영상은,Preferably, the virtual reality image,

검정색 배경 및 임계값 이상의 명도를 갖는 상기 오브젝트로 구성되며, 상기 검정색 배경에서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
It is composed of a black background and the object having a brightnes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nd the object moves on the black background to focus a user's gaz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력 회복 장치는,Preferably, the vision recovery device,

상기 가상현실 영상과 상기 사용자의 양안의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을 맞추는 초점 조절부;A focus adjustment unit for focusing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reality image and both eyes of the user;

상기 시력 회복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s control signal for the vision recovery device;

상기 시력 회복 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vision recovery device; And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witch unit for on/off of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오브젝트의 이동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여, 가상현실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는 눈의 움직임을 통해 안구 주변 근육의 운동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올바른 방법으로 쉽게 안구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안구 주변 근육을 강화하여 시력 회복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recovering vision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including movement of an object in a state worn by the user on the head,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By inducing the movement of the muscles around the eyeball through the movement of the eye that tracks the eyeball, the user can easily exercise the eyeball in a correct way, and strengthen the muscles around the eyeball to obtain a vision recovery effect.

도 1은 일반적인 안경 형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밴드 형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오브젝트의 변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eneral glasses-type head mounted display (HMD).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eneral band-type head mounted display (HMD).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sion recovery apparatus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vision recovery apparatus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for example,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vision recovery device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for example, a deformation of an object provided through a vision recovery apparatus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bottom view of a vision recovery apparatus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that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certain component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는 HMD 프레임(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접안부(140), 접안 위치 조절부(150), 초점 조절부(160), 입력부(170), 전원 공급부(180) 및 스위치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sion recovery apparatus 100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in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in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vision recovery device 100 through. 3 and 4, the apparatus 100 for recovering vision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HMD frame 110, a display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The eyepiece 140, the eyepiece position adjustment unit 150, the focus adjustment unit 160, the input unit 170, the power supply unit 180, and the switch unit 190 may be further included. I can.

HMD 프레임(110)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장치의 프레임 구성이다. 이러한 HMD 프레임(110)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의 빛이 차단되는 프레임 구조를 갖는 헬멧(helmet) 형태 또는 고글(goggles)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HMD 프레임(110)이 헬멧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헬멧과 헬멧의 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HMD 프레임(110)이 고글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밴드 프레임과, 밴드 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는 고글 프레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MD frame 110 is a frame configuration of a device that a user can wear on his or her head. The HMD frame 11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elmet or goggles having a frame structure in which external light is blocked while the user wears it on the head. Here, when the HMD frame 110 has a helmet shape, it may be configured with a helmet worn on the user's head and a display frame structure disposed in front of the helmet. In addition, when the HMD frame 1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goggles, it may be configured with a band frame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head and a goggle frame structure tha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band frame.

디스플레이부(120)는, HMD 프레임(110)을 착용한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는, 안구 주변 근육의 운동을 유도하여 시력 회복을 돕기 위한 가상현실 영상이 사용자의 양안에 제공될 수 있도록 영상 광을 출력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both eyes of a user wearing the HMD frame 110 to output a virtual reality image. That is, the display 120 may output image light so that a virtual reality image for assisting visual acuity recovery by inducing movement of muscles around the eyeball may be provided to both eyes of the user.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영상을 제공하는 2개의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부(120)를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를 2개의 디스플레이로 구성하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을 위해 영상 광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20 may be configured with two displays each providing an image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f the user. When the display unit 120 is composed of two displays, image light can be adjusted for the left and right eyes of a user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제어부(130)는, 오브젝트의 이동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 제어하여, 가상현실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이동을 추적하는 눈의 움직임을 통해 안구 주변 근육의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outputs and controls a virtual reality image including movement of an object to the display unit 120 to induce movement of the muscles around the eyeball through the movement of the eye that tracks the movement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can do.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가상현실 영상은, 배경(10)과 오브젝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오브젝트(20)는 붉은색으로 표시된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붉은색 선 및 화살표는 사용자의 뷰 필드(view field)에 제공되는 것은 아니고, 오브젝트(20)의 궤적을 설명하기 위해 표시한 것이다. 미리 설정된 궤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 등일 수 있으며, 삼각형, 원, 회오리형 등 다양할 수 있다.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for example, a virtual reality image provided to a user through the apparatus 100 for recovering vision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the virtual reality image provided through the vision recovery apparatus 100 through induction of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ground 10 and an object 20 ), and the object 20 may move along a preset trajectory indicated in red. Here, the red lines and arrows are not provided to the user's view field, but are displayed to describe the trajectory of the object 20. The preset trajectory may be a rectangle, a square as shown in FIG. 5, a star as shown in FIG. 6, or the like, and may be various, such as a triangle, a circle, and a tornado.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 영상은, 검정색 배경(10) 및 임계값 이상의 명도를 갖는 오브젝트(20)로 구성되며, 검정색 배경(10)에서 오브젝트(20)가 이동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 즉, 배경(10)과 오브젝트(20)의 명도 차이를 이용해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이동하는 오브젝트(20)를 밝기가 임계값 이상으로 밝은 작은 도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브젝트(20)에 시선을 고정하기 쉽게 하여 안구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10)에는 입체 효과를 주는 선 또는 점 요소를 부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입체적인 상자 안을 들여다보는 것 같은 효과를 주어, 가상현실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virtual reality image is composed of a black background 10 and an object 20 having a brightnes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nd the object 20 moves in the black background 10 to focus the user's gaze. . That is, the user's concentration is improved by using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between the background 10 and the object 20, and the moving object 20 is composed of a small figure whose brightness exceeds the threshold value, so that the user can Eye movement effect can be enhanced by making it easier to fix the gaze.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by adding a line or dot element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background 10, the user is given an effect as if looking inside a three-dimensional box. You can increase your concentration.

한편, 제어부(130)는, 3차원 도형 형태인 오브젝트(20)의 형상, 모양, 색상 및 각도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변경되면서,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오브젝트(20)가 이동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 제어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20)는 사각형, 삼각형, 원, 별 등 2차원 도형일 수 있으나, 육면체, 사면체, 구, 입체별 등 다양한 형태의 3차원 도형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30, whi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the shape, shape, color, and angle of the object 20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figure is changed, and the object 20 moves along a preset trajectory. It is possible to output and control virtual reality images. That is, the object 20 may be a two-dimensional figure such as a square, a triangle, a circle, and a star, but may be a three-dimensional figure of various shapes such as a hexahedron, a tetrahedron, a sphere, and a three-dimensional star.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오브젝트(20)의 변형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는 정육면체에서 삼각뿔 형태로 형상이 변경되는 모습이 예를 들어 도시되었다. 제어부(130)는, 형상뿐 아니라, 색상이 변경되거나, 형상과 색상이 함께 변경될 수 있고, 오브젝트(20)의 각도 또는 자세가 변경되어, 도 7에 도시된 예와 같이, 삼각뿔의 바닥면, 정면 등 다양한 각도로 도형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오브젝트(20)의 형상, 모양, 색상 및 각도 등의 변경은, 연속적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브젝트(20)의 변경을 통해서 사용자의 흥미를 자극하고, 단순한 형태의 오브젝트(20)의 이동을 추적할 때보다 사용자의 집중도를 높이고 안구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for example, a deformation of an object 20 provided through the vision recovery apparatus 100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hape is changed from a cube to a triangular pyramid. The control unit 130 may change not only the shape, but also the color, the shape and the color together, and the angle or posture of the object 20 is changed,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bottom surface of the triangular pyramid. , You can display the figure at various angles, such as the front. In addition, changes in the shape, shape, color, and angle of the object 20 may be made to be continuously and naturally. Such a change of the object 20 stimulates the user's interest,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er's concentration and maximize the eye movement effect than when tracking the movement of the simple object 20.

또한, 제어부(13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가상현실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궤적이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형태의 궤적을 따라 오브젝트(20)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이동한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 형태의 궤적으로 미리 설정된 궤적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궤적의 변경은 오브젝트(20)가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궤적을 변경함으로써, 안구 주변의 여러 근육을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output and control a virtual reality image to the display unit 12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ntrol a preset trajectory to be chang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at is, after the object 20 moves for a predetermined time along the rectangular trajectory as illustrated in FIG. 5, the preset trajectory may be changed to the star-shaped trajectory as illustrated in FIG. 6. In this case, the trajectory may be changed so that the object 20 moves continuously and naturally. By changing the preset trajectory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exercise various muscles around the eyeball.

한편, 오브젝트(20)는,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일정한 가속도로 가속 또는 감속하면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속도 또는 가속도는 사용자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추후 상세히 설명할 입력부(170)를 이용해 사용자가 오브젝트(20)의 이동 속도 또는 가속도를 직접 조절할 수 있고, 제어부(130)가 사용자의 오브젝트(20) 이동 추적 성공률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object 20 may move at a constant speed along a preset trajectory, and may move while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at a constant accel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is case, the speed or accelerat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r, and the user may directly adjust the moving speed or acceleration of the object 20 using the input unit 170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nd the control unit 130 20) It can also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uccess rate of movement tracking.

접안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사용자의 양안에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의 접안부(140)는,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사용자의 양안에 전달하며,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대응하는 좌안 접안부(141) 및 우안 접안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안부(140)는 사용자의 양안에 대응되는 2개의 원통형일 수 있으며, 렌즈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눈에 제공할 수 있다.
The eyepiece 140 may transmit a virtual reality image output to the display 120 to both eyes of the user. 8 is a view showing a bottom view of a vision recovery apparatus 100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eyepiece 140 of the apparatus 100 for recovering vision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with a virtual reality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20. It is transmitted to both eyes of the user, and may include a left eyepiece 141 and a right eyepiece 142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the eyepiece 140 may have two cylindrical shapes corresponding to both eyes of the user, and may be provided with a lens to optimize the virtual reality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20 and provide it to the user's eyes.

접안 위치 조절부(150)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의 위치에 따라 좌안 접안부(141) 및 우안 접안부(14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안 위치 조절부(150)는, HMD 프레임(110)의 외면에 구비되며, 좌안 접안부(141) 및 우안 접안부(142) 각각의 위치를 조절하는 2개의 조절 버튼(151, 1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조절 버튼(151)을 좌우로 조절하여 좌안 접안부(141)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고, 우측의 조절 버튼(152)을 이용해 우안 접안부(142)의 위치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안 위치 조절부(150)를 이용해,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눈의 위치에 맞추어 접안부(140)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오브젝트(20)에 초점을 쉽게 맞출 수 있고, 안구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eyepiece position adjusting unit 150 may adjust the positions of the left eyepiece 141 and the right eyepiece 142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user's left and right eyes. More specifically, the eyepiece position adjustment unit 15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MD frame 110, and two adjustment buttons 151 and 152 for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left eyepiece 141 and the right eyepiece 142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left eyepiece 141 can be adjusted left and right by adjusting the left adjustment button 151 left and right, and the position of the right eyepiece 142 using the right adjustment button 152 Can be adjusted left or right. In this way, by using the eyepiece position adjusting unit 150, the eyepiece 14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different eye positions for each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ocus on the object 20, and the user who performs eye movement Can minimize eye strain.

초점 조절부(160)는, 가상현실 영상과 사용자의 양안의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점 조절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MD 프레임(110)의 외면에 구비되며, 초점 조절부(160)를 회전시켜 미세한 초점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초점 조절부(160)는, 제어부(130)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접안부(140)의 렌즈 위치 등을 조절함으로써, 가상현실 영상과 사용자의 양안의 거리를 조절해 사용자가 가상현실 영상에 초점을 맞추기 쉽게 할 수 있다.
The focus adjustment unit 160 may focus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reality image and both eyes of the user. More specifically, the focus adjustment unit 16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MD frame 110 as illustrated in FIG. 4, and may enable fine focus adjustment by rotating the focus adjustment unit 160. The focus adjustment unit 160 interlocks with the control unit 130 to adjust the size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20, or adjusts the lens position of the eyepiece 140, so that the virtual reality image and the user's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both eyes, users can easily focus on the virtual reality image.

입력부(170)는, 시력 회복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70)는 HMD 프레임(110)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입력부(170)를 통해 가상현실 영상의 출력 제어, 볼륨 제어 등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70 may input a user's control signal for the vision recovery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4, the input unit 17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MD frame 110, and the user inputs control signals such as output control of virtual reality images and volume control through the input unit 170. can do.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는, 시력 회복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80) 및 전원 공급부(180)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동공을 추적하는 센서부(미도시), HMD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PS 모듈(미도시),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vision recovery apparatus 100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 18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witch unit 190 for on/off, a sensor unit (not shown) for tracking the user's pupil, and a GPS module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by being mounted on the HMD frame 110 (Not shown),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센서부는, 동공 추적 센서로서, 오브젝트(20)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동공을 추적하는 동공 추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센서부에서 수집한 동공 추적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가 안구운동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수집한 동공 추적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서버와 공유함으로써, 서버에서 사용자가 안구운동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Here, the sensor unit, as a pupil tracking sensor, may collect pupil tracking information that tracks the pupil of the user looking at the object 20, and the control unit 130 uses the pupil track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to allow the user to You can determine if you are exercising properly.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performing eye movement properly by sharing the collected pupil tracking information with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또한, 제어부(130)는, 오브젝트(20)가 이동하는 미리 설정된 궤적과 동공 추적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시선의 일치율이 임계값보다 낮은 궤적을 추출하고, 추출된 궤적으로 미리 설정된 궤적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잘 안되는 안구운동을 더 많이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130)는, 오브젝트(20)가 이동하는 미리 설정된 궤적과 동공 추적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시선의 일치율이 임계값보다 낮으면, 오브젝트(20)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켜 사용자가 좀 더 쉽게 오브젝트(20)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extracts a trajectory in which the matching rate of the user's gaze using the pupil tracking information and the preset trajectory on which the object 20 moves is lower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changes the preset trajectory with the extracted trajectory, You can induce more eye movements that do not work w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matching rate of the user's gaze using the pre-set trajectory on which the object 20 moves and the pupil tracking information is low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30 reduces the moving speed of the object 20 so that the user can It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object 20 can be more easily tracked.

또한, GPS 모듈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통신부는 서버 또는 다른 시력 회복 장치(100)의 통신부와 연동하여 연결 접속되고, 서버로부터 가상현실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센싱 정보 등 각종 정보가 서로 공유될 수 있도록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3G/4G/5G 및 LTE를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 USB 등의 유선 통신 방식 등이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PS module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nected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er or other vision recovery device 100, and receives virtual reality image data from the server, or various information such as sensing information is exchanged with each other.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so that they can be shared. In this case,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communication unit applies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including 3G/4G/5G and LTE, and wired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USB, etc.,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한편, 접안 위치 조절부(150), 초점 조절부(160), 입력부(170), 스위치부(190)는 각각 HMD 프레임(110)의 상, 하, 좌, 우 등 일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HMD 프레임(110)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디바이스에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eyepiece position adjustment unit 150, the focus adjustment unit 160, the input unit 170, and the switch unit 19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MD frame 110, such as top, bottom, left, right, etc. ,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formed in a separate device connected to the HMD frame 110 by wire.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에 따르면,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오브젝트(20)의 이동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여, 가상현실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20)의 이동을 추적하는 눈의 움직임을 통해 안구 주변 근육의 운동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가 올바른 방법으로 쉽게 안구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안구 주변 근육을 강화하여 시력 회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pparatus 100 for recovering vision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reality image including movement of the object 20 is provided while the user wears it on the head, thereby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mage. By inducing the movement of the muscles around the eyeball through the movement of the eye that tracks the movement of the object 20 included in,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eye movement in a correct way, and strengthen the muscles around the eyeball to restore vision. You can get it.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modified or applied in various way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배경
20: 오브젝트
100: 시력 회복 장치
110: HMD 프레임
120: 디스플레이부
130: 제어부
140: 접안부
141: 좌안 접안부
142: 우안 접안부
150: 접안 위치 조절부
151, 152: 조절 버튼
160: 초점 조절부
170: 입력부
180: 전원 공급부
190: 스위치부
10: background
20: object
100: vision recovery device
110: HMD frame
120: display unit
130: control unit
140: eyepiece
141: left eye eyepiece
142: right eye eyepiece
150: eyepiece position adjustment unit
151, 152: control button
160: focus adjustment unit
170: input unit
180: power supply
190: switch unit

Claims (8)

시력 회복 장치(100)로서,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HMD 프레임(110);
상기 HMD 프레임(110)을 착용한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0); 및
오브젝트(20)의 이동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 제어하여, 상기 가상현실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20)의 이동을 추적하는 눈의 움직임을 통해 안구 주변 근육의 운동을 유도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
As the vision recovery device 100,
HMD frame 110 that the user can wear on the head;
A display unit 120 disposed in front of both eyes of a user wearing the HMD frame 110 to output a virtual reality image; And
Movement of the muscles around the eyeball through eye movement that tracks the movement of the object 20 included in the virtual reality image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including the movement of the object 20 to the display unit 120 A vision recovery apparatus 100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130 to indu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MD 프레임(110)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의 빛이 차단되는 프레임 구조를 갖는 헬멧(helmet) 형태 또는 고글(goggles)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MD frame (110),
Vision recovery device 100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elmet or goggles having a frame structure in which external light is blocked while the user wears it on the hea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되는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양안에 전달하며, 상기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대응하는 좌안 접안부(141) 및 우안 접안부(142)를 포함하는 접안부(140); 및
상기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의 위치에 따라 상기 좌안 접안부(141) 및 우안 접안부(142)의 위치를 조절하는 접안 위치 조절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
The method of claim 1,
An eyepiece 140 including a left eyepiece 141 and a right eyepiece 142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respectively transmitting the virtual reality image output to the display 120 to both eyes of the user ; And
It further comprises an eyepiece position adjusting unit 150 for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left eyepiece 141 and the right eyepiece 142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left eye and right eye. Through the vision recovery device (1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 위치 조절부(150)는,
상기 HMD 프레임(110)의 외면에 구비되며, 상기 좌안 접안부(141) 및 우안 접안부(142) 각각의 위치를 조절하는 2개의 조절 버튼(151, 15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yepiece position adjustment unit 150,
It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MD frame 11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adjustment buttons (151, 152) for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left eye eyepiece 141 and the right eye eyepiece 142, virtual Vision recovery device 100 through reality-based eye movement indu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3차원 도형 형태인 상기 오브젝트(20)의 형상, 모양, 색상 및 각도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변경되면서, 미리 설정된 궤적을 따라 상기 오브젝트(20)가 이동하는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130,
Output control of a virtual reality image in which the object 20 moves along a preset trajectory whi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the shape, shape, color, and angle of the object 20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figure is changed. The apparatus 100 for recovering vision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 제어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궤적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130,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to the display unit 12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controlling the preset trajectory to be changed at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ion recovery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induction Device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영상은,
검정색 배경(10) 및 임계값 이상의 명도를 갖는 상기 오브젝트(20)로 구성되며, 상기 검정색 배경(10)에서 상기 오브젝트(20)가 이동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irtual reality image,
It is composed of a black background 10 and the object 20 having a brightnes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20 moves in the black background 10 to focus the user's gaze, based on virtual reality Vision recovery device 100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력 회복 장치(100)는,
상기 가상현실 영상과 상기 사용자의 양안의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을 맞추는 초점 조절부(160);
상기 시력 회복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170);
상기 시력 회복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80); 및
상기 전원 공급부(180)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10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vision recovery device (100),
A focus adjustment unit 160 for focusing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irtual reality image and both eyes of the user;
An input unit 170 for inputting a user's control signal for the vision recovery device 100;
A power supply unit 180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vision recovery device 100; And
The apparatus 100 for recovering vision through induction of eye movement based on virtual re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witch unit 190 for on/off of the power supply unit 180.
KR1020190132126A 2019-10-23 2019-10-23 Sight recovery apparatus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induction KR1023156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126A KR102315674B1 (en) 2019-10-23 2019-10-23 Sight recovery apparatus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in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126A KR102315674B1 (en) 2019-10-23 2019-10-23 Sight recovery apparatus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in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179A true KR20210048179A (en) 2021-05-03
KR102315674B1 KR102315674B1 (en) 2021-11-12

Family

ID=7591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126A KR102315674B1 (en) 2019-10-23 2019-10-23 Sight recovery apparatus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in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67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237B1 (en) * 2013-09-23 2014-06-17 주식회사 아이쏠 Eye-muscle trainning device
KR101874861B1 (en)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첸트랄 Ey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light and dark
KR20180076023A (en)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첸트랄 Ey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object tracking
KR101934019B1 (en) * 2018-08-24 2018-12-31 주식회사 휴메닉 Mixed reality-based recogni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aged peop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237B1 (en) * 2013-09-23 2014-06-17 주식회사 아이쏠 Eye-muscle trainning device
KR101874861B1 (en)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첸트랄 Ey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light and dark
KR20180076023A (en)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첸트랄 Ey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object tracking
KR101934019B1 (en) * 2018-08-24 2018-12-31 주식회사 휴메닉 Mixed reality-based recogni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aged peop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674B1 (en)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1936B2 (en) Wearable image manipulation and control system with micro-displays and augmentation of vision and sensing in augmented reality glasses
US102316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or a synthetic 3-dimensional information for the measurement of human ocular performance
US10200680B2 (en) Eye gaze responsive virtual reality headset
KR101934019B1 (en) Mixed reality-based recogni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aged people
CN108421252B (en) Game realization method based on AR equipment and AR equipment
KR101971937B1 (en) Mixed reality-based recogni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aged people
JP2014219621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program
CN106444023A (en) Super-large field angle binocular stereoscopic display transmission type augmented reality system
WO2020014705A1 (en) Wearable image manipulation and control system with micro-displays and augmentation of vision and sensing in augmented reality glasses
KR101203921B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ing an eye tracking and local based service
CN205195880U (en) Watch equipment and watch system
CN107307981B (en) Control method of head-mounted display device
CN106331681A (en) Image display method of head-mounted display
US111570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8051100A (en) Exercise training device, program and display method
CN106126143A (en) A kind of image adjusting method being applied to head-mounted display and head-mounted display
KR102315681B1 (en) Sight recovery apparatus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perspective movement induction
US11743447B2 (en) Gaze tracking apparatus and systems
US1025567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imulating the effects of vision defects
US106021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performing display control
Shen et al. Visuomotor influence of attached robotic neck augmentation
KR102315674B1 (en) Sight recovery apparatus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induction
JP2017079389A (en)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315680B1 (en) Sight recovery apparatus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iris movement induction
CN212789785U (en) Household VR cinem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