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173A -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173A
KR20210048173A KR1020190132119A KR20190132119A KR20210048173A KR 20210048173 A KR20210048173 A KR 20210048173A KR 1020190132119 A KR1020190132119 A KR 1020190132119A KR 20190132119 A KR20190132119 A KR 20190132119A KR 20210048173 A KR20210048173 A KR 20210048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interactive
terminal
interfac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13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8173A/ko
Publication of KR20210048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대화형 로봇이 분석하여 스타일링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매칭된 후보상품이미지정보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대화형 로봇이 사용자의 의도를 구체화하는 질의정보를 최종상품이 선택되기까지 복수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정확하게 확인 및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SING INTERACTIVE ROBOT AND IMAGE MATCHING}
본 발명은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대화형 로봇이 분석하여 스타일링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매칭된 후보상품이미지정보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대화형 로봇이 사용자의 의도를 구체화하는 질의정보를 최종상품이 선택되기까지 복수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정확하게 확인 및 구매할 수 있는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저장 장치의 대용량화에 따라, 인터넷 상에는 텍스트 형식의 문서뿐만 아니라, 사진, 동영상 등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서들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는데, 근래에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개인 블로그 문화의 영향으로 그 증가 속도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인터넷 상에 방대한 양의 이미지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검색 사이트들이 제공하는 이미지 검색 인터페이스는 아직 텍스트 검색 인터페이스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근래 형상 인식 기술에 기초하여 상품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상품들에 대한 표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이미지 데이터 중 상품이 존재하는 영역 또는 상품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품 영역의 이미지를 표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표본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해당 영역에 나타난 상품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 데이터와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한 이미지에 해당하는 상품 정보만을 단편적으로 제시하는 수준이어서, 해당 상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17016호(2011.02.16.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대화형 로봇이 분석하여 스타일링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매칭된 후보상품이미지정보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대화형 로봇이 사용자의 의도를 구체화하는 질의정보를 최종상품이 선택되기까지 복수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정확하게 확인 및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대상체(107)에 대한 이미지정보(i1)를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사용자(113)로부터 상기 단말기(101)의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상품정보요청정보(i3)를,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상기 이미지정보(i1)를 분석하여 추출한 스타일링정보(i5)에 매칭된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를 인가받아,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상기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상기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에 대응되며 사용자(113)의 의도를 구체화하는 질의정보(i9)를 인가받아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113)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질의정보(i9)에 대응되는 상품선택정보(i11)를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3)와, 입력부(111)를 포함하는 단말기(101) 및 대화형 로봇(115)을 포함하되, (a)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대상체(107)에 대한 이미지정보(i1)를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고, (b)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사용자(113)로부터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상품정보요청정보(i3)를,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며, (c)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상기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상기 이미지정보(i1)를 분석하여 추출한 스타일링정보(i5)에 매칭된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를 인가받아,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고, (d)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상기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상기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에 대응되며 상기 사용자(113)의 의도를 구체화하는 질의정보(i9)를 인가받아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113)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질의정보(i9)에 대응되는 상품선택정보(i11)를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대화형 로봇이 분석하여 스타일링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매칭된 후보상품이미지정보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대화형 로봇이 사용자의 의도를 구체화하는 질의정보를 최종상품이 선택되기까지 복수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정확하게 확인 및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의 각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의 각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은, (a)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대상체(107)에 대한 이미지정보(i1)를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 (b)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사용자(113)로부터 단말기(101)의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상품정보요청정보(i3)를,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 (c)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이미지정보(i1)를 분석하여 추출한 스타일링정보(i5)에 매칭된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를 인가받아,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 및 (d)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에 대응되며 사용자(113)의 의도를 구체화하는 질의정보(i9)를 인가받아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고, 사용자(113)로부터 인가되는, 질의정보(i9)에 대응되는 상품선택정보(i11)를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먼저, (a) 단계는,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대상체(107)에 대한 이미지정보(i1)를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단말기(101)는 일예로 스마트폰 등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대상체(107)는, 일예로 의류, 신발 등 잡화일 수도 있고, 의류, 신발, 가방, 시계, 반지, 목걸이 등을 착용하고 있는 사람, 마네킹 등일 수도 있다.
그리고 대상체(107)에 대한 이미지정보(i1)는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되는데, 이미지정보(i1)는, 사용자(113)가 촬영부(105)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정보(i1)일 수 있다.
그리고 촬영부(105)는, 스마트폰 등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모듈이 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이미지정보(i1)는 단말기(101)에 기저장되어 있는 이미지정보일 수도 있고, 사용자(113)가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에 표시된 이미지를 캡쳐하여 생성한 이미지정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03)는, 이미지정보(i1)에 포함된 모든 상품정보(상품이미지)를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1) 또는 이와 통신하는 후술할 대화형 로봇(115)에서 대상체(107)에 대한 이미지정보(i1)의 초기 분석이 안되거나 불완전할 경우, 디스플레이부(103)는, 선택형의 키워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선택형의 키워드정보는 대화형 로봇(115)이 단말기(101)로 제공할 수 있음).
이러한 선택형 키워드정보의 일예는, '1. 셔츠가디건 2. 청바지 3. 시계 4. 반지 5. 목걸이 6. 가방 7. 직접입력'이 될 수 있다.
한편,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은,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에 표시되는 것으로, 하측의 텍스트, 이모티콘, 이미지(사진, 동영상 등) 등을 작성(입력)할 수 있는 영역과, 그 상측의 대화 내용의 히스토리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획된다.
이어서, (b) 단계는,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사용자(113)로부터 단말기(101)의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상품정보요청정보(i3)를,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일예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정보요청정보(i3)는, 이미지정보(i1)가 '사람이 입고 있는 바지'인 경우, '바지 찾아줘'와 같은 텍스트 형식의 정보일 수 있다.
물론, 다른 예로, 이미지정보(i1)가 '사람이 입고 있는 셔츠'인 경우, 상품정보요청정보(i3)는, '셔츠 찾아줘'와 같은 텍스트 형식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3)에 상술한 선택형 키워드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상품정보요청정보(i3)는, '선택번호' 또는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일 수 있다(일예로, '1. 셔츠가디건'인 경우, '1' 또는 '셔츠가디건').
그리고 입력부(111)는 디스플레이부(103)에 별도로 표시되는 입력인터페이스(천지인 자판 등)일 수도 있고, 단말기(101)에 별도로 연결되는 입력장치(키보드 등)일 수도 있다.
이어서, (c) 단계는,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이미지정보(i1)를 분석하여 추출한 스타일링정보(i5)에 매칭된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를 인가받아,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대화형 로봇(115)은 일예로 챗봇(chatbot)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화형 로봇(115)은, 이미지정보(i1)를 분석하여 스타일링정보(i5)를 추출한다.
물론, 대화형 로봇(115)은, 스타일링정보(i5)의 추출시, 사용자(113)의 기존 구매내역정보 및/또는 사용자(113)의 신체정보(키, 몸무게, 얼굴형, 체형, 헤어스타일, 얼굴색 등)(구매내역정보 및/또는 신체정보는 별도의 서버에 보관되고 그로부터 인가받은 정보일 수도 있고, 대화형 로봇(115)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일 수도 있음)을 토대로, 이미지정보(i1)에 매칭되는, 또는 이미지정보(i1)와 유사한 정보를 스타일링정보(i5)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타일링정보(i5)는, 일예로, 이미지정보(i1)가 '사람이 입고 있는 바지'인 경우, 바지의 색깔, 바지의 종류(청바지, 면바지, 트레이닝바지, 반바지 등), 바지의 스타일(일자바지, 나팔바지, 치노팬츠, 롤업팬츠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03)는,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스타일링정보(i5)에 매칭된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를 인가받아 표시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는, 스타일링정보(i5)에 포함된 여러 정보들(상술한 바지의 색깔, 바지의 종류, 바지의 스타일 등)에 부합되는 상품의 이미지정보로서, 디스플레이부(103)에 표시되는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대화형 로봇(115)은 상술한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를 인터넷 등 통신망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이어서, (d) 단계는,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에 대응되며 사용자(113)의 의도를 구체화하는 질의정보(i9)를 인가받아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고, 사용자(113)로부터 인가되는, 질의정보(i9)에 대응되는 상품선택정보(i11)를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질의정보(i9)는 사용자(113)의 의도를 구체화하기 위해 대화형 로봇(115)이 단말기(101)로 인가하는 정보로서, 일예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브랜드를 원하세요?'와 같은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품선택정보(i11)는, 일예로, 질의정보(i9)가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떤 브랜드를 원하세요?'인 경우, '****(브랜드명) 찾아줘.'와 같은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d) 단계에서 질의정보(i9)와 상품선택정보(i11)가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되는 것은, 사용자(113)로부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최종상품선택정보(i3)가 입력되기까지 복수회 반복되되, 질의정보(i9)는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되는 상품선택정보(i11)에 따라 변경된다.
여기서, 최종상품선택정보(i3)는, 일예로, '**** 바지로 선택할께.', '**** 바지 구입처 알려줘'와 같은 텍스트 정보일 수 있으며, '선택', '확정', '구입', '사는 곳', '파는 곳', '쇼핑몰' 등 사용자(113)의 최종선택에 연관되는 또는 매칭되는 표현의 포함 여부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e)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최종상품선택정보(i13)에 대응되는 상품의 구매처URL정보(i15)를 인가받아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물론, 사용자(113)는, 디스플레이부(103)에 표시된 구매처URL정보(i15)를 터치하여, 구매처URL정보(i15)와 링크된 쇼핑몰 사이트 등에 접속함으로써, 최종상품선택정보(i13)에 대응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처URL정보(i15)는, 디스플레이부(103)에 표시되는 상품이미지에 링크됨으로써, 사용자(113)가 상품이미지를 클릭함에 따라 해당 쇼핑몰 사이트 등에 접속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e) 단계에서 대화형 로봇(1125)은, 상품(최종상품선택정보(i13)에 대응되는 상품)의 구매가격순서에 따라 구매처URL정보(i15)를 복수개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3)와, 입력부(111)를 포함하는 단말기(101) 및 대화형 로봇(115)을 포함하되, (a)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대상체(107)에 대한 이미지정보(i1)를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고, (b)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사용자(113)로부터 단말기(101)의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상품정보요청정보(i3)를,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며, (c)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이미지정보(i1)를 분석하여 추출한 스타일링정보(i5)에 매칭된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를 인가받아,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고, (d)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에 대응되며 사용자(113)의 의도를 구체화하는 질의정보(i9)를 인가받아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고, 사용자(113)로부터 인가되는, 질의정보(i9)에 대응되는 상품선택정보(i11)를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질의정보(i9)와 상기 상품선택정보(i11)가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되는 것은, 사용자(113)로부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최종상품선택정보(i13)가 입력되기까지 복수회 반복되되, 질의정보(i9)는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되는 상품선택정보(i11)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e)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최종상품선택정보(i13)에 대응되는 상품의 구매처URL정보(i15)를 인가받아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할 수 있다.
더불어,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대화형 로봇(115)이, 상품의 구매가격순서에 따라 구매처URL정보(i15)를 복수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단말기(101)는, 대상체(105)를 촬영하는 촬영부(105)를 더 포함하며, 이미지정보(i1)는, 촬영부(105)에 의해 촬영된 정보일 수 있다.
이상,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단말기(101)와 대화형 로봇(115)의 구체적 기능 및 프로세스는, 앞의 대화형 로봇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단말기
103 : 디스플레이부
105 : 촬영부
107 : 대상체
109 : 대화형 인터페이스창
111 : 입력부
113 : 사용자
115 : 대화형 로봇
i1 : 이미지정보
i3 : 상품정보요청정보
i5 : 스타일링정보
i7 : 후보상품이미지정보
i9 : 질의정보
i11 : 상품선택정보
i13 : 최종상품선택정보
i15 : 구매처URL정보

Claims (5)

  1. (a) 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03)가, 대상체(107)에 대한 이미지정보(i1)를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사용자(113)로부터 상기 단말기(101)의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상품정보요청정보(i3)를,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상기 이미지정보(i1)를 분석하여 추출한 스타일링정보(i5)에 매칭된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를 인가받아,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상기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상기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에 대응되며 사용자(113)의 의도를 구체화하는 질의정보(i9)를 인가받아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113)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질의정보(i9)에 대응되는 상품선택정보(i11)를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질의정보(i9)와 상기 상품선택정보(i11)가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되는 것은,
    상기 사용자(113)로부터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최종상품선택정보(i13)가 입력되기까지 복수회 반복되되, 상기 질의정보(i9)는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되는 상기 상품선택정보(i11)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e)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상기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상기 최종상품선택정보(i13)에 대응되는 상품의 구매처URL정보(i15)를 인가받아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대화형 로봇(115)은,
    상기 상품의 구매가격순서에 따라 상기 구매처URL정보(i15)를 복수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로봇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5.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3)와, 입력부(111)를 포함하는 단말기(101) 및 대화형 로봇(115)을 포함하되,
    (a)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대상체(107)에 대한 이미지정보(i1)를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고,
    (b)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사용자(113)로부터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상품정보요청정보(i3)를,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며,
    (c)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상기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상기 이미지정보(i1)를 분석하여 추출한 스타일링정보(i5)에 매칭된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를 인가받아,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고,
    (d) 상기 단말기(101)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3)가, 상기 대화형 로봇(115)으로부터 상기 후보상품이미지정보(i7)에 대응되며 상기 사용자(113)의 의도를 구체화하는 질의정보(i9)를 인가받아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113)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질의정보(i9)에 대응되는 상품선택정보(i11)를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창(109)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90132119A 2019-10-23 2019-10-23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48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119A KR20210048173A (ko) 2019-10-23 2019-10-23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119A KR20210048173A (ko) 2019-10-23 2019-10-23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173A true KR20210048173A (ko) 2021-05-03

Family

ID=7591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119A KR20210048173A (ko) 2019-10-23 2019-10-23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81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016B1 (ko) 2008-10-22 2011-02-23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이미지 매칭에 기초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016B1 (ko) 2008-10-22 2011-02-23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이미지 매칭에 기초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26528B (zh) 时尚偏好分析
RU2731362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покупках в видео прямой трансляции
WO2020171535A2 (ko) 사용자의 체형 및 구매 이력을 이용하여 패션 아이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443158B1 (ko) 사용자 관심 기반의 상품정보 추천 시스템
TW201907350A (zh) 線下導購方法和裝置
WO2020085786A1 (ko) 스타일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6971336A (zh) 在线购物的方法及装置
JP6120467B1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164959A (zh) 行为事件测量系统和相关方法
JP2019020986A (ja) 人流分析方法、人流分析装置、及び人流分析システム
KR102295459B1 (ko) 사용자에게 날짜를 이용하여 패션 아이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JP2007249319A (ja) 画面の表示方法
KR20220019737A (ko) 패션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02572B1 (ko)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7228278A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141802A2 (ko) 사용자에게 날짜를 이용하여 패션 아이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20200380228A1 (en) Product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210048173A (ko) 대화형 로봇과 이미지 매칭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87082A (ko) 이동통신 단말기, 영상 분석을 이용한 제품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107556A1 (ko) 사용자 이벤트 정보 기반 추천 아이템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N114491213A (zh) 基于图像的商品搜索方法和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79916B1 (ko)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30027800A (ko) 아이템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스타일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627449A (zh) 模型训练方法及装置、标签确定方法及装置
KR20160005180A (ko) 복수 기업이 패션모델을 공유하여 이용하는 온라인 쇼윈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