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147A -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 Google Patents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147A
KR20210048147A KR1020190132062A KR20190132062A KR20210048147A KR 20210048147 A KR20210048147 A KR 20210048147A KR 1020190132062 A KR1020190132062 A KR 1020190132062A KR 20190132062 A KR20190132062 A KR 20190132062A KR 20210048147 A KR20210048147 A KR 20210048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ing
robot
coding robot
card
engl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013B1 (ko
Inventor
정 석 윤
Original Assignee
정 석 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석 윤 filed Critical 정 석 윤
Priority to KR102019013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0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Abstract

본 발명은 바코드를 이용하면서도 코딩로봇과 별개의 스캐너를 구비하지 않고 코딩로봇 저면에 부착되는 적외선센서를 사용하며, 어린이들에게 코딩을 이해시키면서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Coding robot set by which English-learning for children is possible}
본 발명은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코드를 이용하면서도 코딩로봇과 별개의 스캐너를 구비하지 않고 코딩로봇 저면에 부착되는 적외선센서를 사용하며, 어린이들에게 코딩을 이해시키면서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에 관한 것이다.
코딩이란 주어진 명령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입력하는 것을 말하는데, 좀 더 넓은 의미에서는 프로그램을 만든다는 뜻의 '프로그래밍'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프로그램을 만들 때, 어떤 일을 어떻게 수행하게 할지 먼저 계획을 세우는데, 예를 들어 "A상황에서는 B를 실시하도록, C라는 상황이 닥치면 A로 돌아갈 수 있도록"과 같은 프로그램 구상이 모두 끝나면, 그 명령을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입력해 주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코딩이다.
과거에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모두 알아야만 코딩을 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코딩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누구든지 손쉽게 배울 수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어린이들이 코딩을 놀이처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리모콘을 통한 코딩으로 조종되며 장애물을 감지하고 라인을 따라가는 등의 기능을 하는 코딩로봇이 다수 시판되고 있으며,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로봇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장치 및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880606호 “로봇동작 프로그래밍 장치 및 방법”에는, 로봇의 부위별 부분 동작을 위한 지령 정보가 수록된 바코드 카드를 스캐너로 스캐닝한 후 무선 송출하여 로봇에 내장된 프로그래밍 장치로 전송하는 방식을 통해 로봇의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그래밍을 실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162083호 “바코드 스캐너 및 바코드 인식방법 및 로봇 동작 프로그램 작성장치 및 로봇 동작 프로그램 작성방법”에는 제1바코드와 제2바코드로 구성된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제1 바코드에 대응하는 제2 바코드의 데이터 값을 토대로 명령어를 판독하고, 판독된 명령어를 토대로 로봇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방식은 바코드 스캐너가 고가이며, 어린이들이 바코드를 스캔할 때 정확한 위치를 잡지 못하면 바코드 인식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카드에 바코드를 붙일 경우 카드의 미관이 좋지 않게 되며, 로봇과 별개의 스캐너를 이용하므로 어린이들이 로봇에게 카드에 표시된 동작명령을 지시한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로봇에게 바코드 카드에 표시된 동작명령을 지시한다는 것을 이해하여 로봇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고 하더라도 그 외에 다른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로봇 동작만으로는 어린이들이 쉽게 흥미를 잃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해 오다가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제880606호 “로봇동작 프로그래밍 장치 및 방법”(2008. 5. 8. 공개) 등록특허 제1162083호 “바코드 스캐너 및 바코드 인식방법 및 로봇 동작 프로그램 작성장치 및 로봇 동작 프로그램 작성방법”(2012. 6. 27. 등록)
본 발명은 바코드를 이용하면서도 코딩로봇과 별개의 스캐너를 구비하지 않고 코딩로봇 저면에 부착되는 저가의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코딩로봇 의 제작원가를 낮추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로봇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학습할 뿐만 아니라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정확한 위치를 잡아 스캐닝할 필요 없이 바코드를 코딩로봇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코딩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적외선센서를 이용하면서도 주파수 대역필터를 사용하여 코딩로봇이 주변 조명장치의 빛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코딩로봇의 오작동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는, 동작을 위한 이동수단(11)이 설치된 코딩로봇(10); 상기 코딩로봇(10) 내에 미리 설정된 코딩로봇(10)의 동작 및 음성출력 명령어에 대응하는 바코드패턴(21)이 코딩로봇(10)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하단에 표시되고 나머지 부분에는 음성출력되는 영어단어 발음에 해당하는 형상(22)이 도시되며, 그 상면을 따라 상기 코딩로봇(10)이 이동하는 코딩카드(20); 상기 코딩로봇(10)의 저면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인식하는 적외선 센서(30); 상기 코딩로봇(10) 내에 형성되어 미리 설정된 코딩로봇의 동작 및 음성출력 명령어가 저장되는 저장부(40); 상기 적외선 센서(30)에 의해 인식된 바코드패턴(21)의 동작 및 음성출력 정보와 매칭되는 동작 및 음성출력 명령어를 판독하여 그에 따라 코딩로봇(10)의 동작 및 음성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50); 상기 제어부(50)가 제어하는 음성출력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60); 상기 코딩로봇(10)의 외면에 형성되고 코딩로봇(10)이 동작 및 음성출력을 수행토록 하는 버튼(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코드패턴(21)은 검정색으로 표기되는 바의 두께 및 스페이스의 폭의 비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코딩로봇(10)의 동작 및 음성출력 명령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딩카드(20)는 코딩로봇(10)의 이동 후 각 코딩카드별로 어린이 영어학습을 위한 영어단어 발음이 음성출력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어린이 영어학습을 위한 영어단어 발음이 음성출력되는 영어단어는 숫자, 동물, 색깔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주제별로 각 주제마다 다수개의 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딩카드(20)는 전후좌우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코딩로봇(10)이 이동하면서 해당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먼저 인식할 수 있는 구조로 각 코딩카드(20)를 연결하여 코딩로봇 이동판(28)을 만들어 코딩로봇(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인식하는 상기 적외선 센서(30)는 하나의 적외선 발광소자(31)와 하나의 적외선 수광소자(32)로 구성되며,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31)는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향해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며 적외선 수광소자(32)는 발광소자(31)로부터 송출되어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딩로봇의 동작 및 음성출력’에 음성출력되는 영어단어 발음에 해당하는 소리출력을 위한 구성이 추가되어 ‘코딩로봇의 동작, 음성 및 소리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31)에 의해 송출된 적외선 신호가 코딩카드(20)의 상면에 부딪혀 되돌아오면 적외선 수광소자(32)에 이 신호가 감지되며, 상기 수광소자(32)는 감지된 신호 중 주변 조명기구에서 출력되는 빛이 통과하지 않도록 설정된 주파수 대역필터(33)의 통과대역을 통과한 적외선 신호만을 제어부(50)에 전달하여 주위의 밝은 빛으로 인한 코딩로봇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코드를 이용하면서도 코딩로봇과 별개의 스캐너를 구비하지 않고 코딩로봇 저면에 부착되는 저가의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코딩로봇 의 제작원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로봇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학습할 뿐만 아니라 영어학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정확한 위치를 잡아 스캐닝할 필요 없이 바코드를 코딩로봇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외선센서를 이용하면서도 주파수 대역필터를 사용하여 코딩로봇이 주변 조명장치의 빛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코딩로봇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코딩로봇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코딩카드의 예시도,
도 3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동물 주제의 로봇이동판의 예시도, (b)는 본 발명에 의한 숫자 주제의 로봇이동판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의 동작 및 음성출력을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선행기술과 다른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바코드를 이용하면서도 코딩로봇과 별개의 스캐너를 구비하지 않고 코딩로봇 저면에 부착되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며, 코딩카드의 하단에는 코딩로봇의 동작 및 음성출력을 위한 명령정보를 바코드패턴으로 표시하고, 코딩카드의 나머지 부분에는 음성출력되는 영어단어 발음에 해당하는 형상을 도시하여 어린이들에게 사전 정보를 제공하여 흥미를 유발하는 한편, 바코드패턴이 표시되더라도 코딩카드의 미관이 그리 나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코딩로봇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코딩카드의 예시도, 도 3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동물 주제의 로봇이동판의 예시도, (b)는 본 발명에 의한 숫자 주제의 로봇이동판의 예시도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100)는, 동작을 위한 이동수단(11)이 설치된 코딩로봇(10); 상기 코딩로봇(10) 내에 미리 설정된 코딩로봇의 동작 및 음성출력 명령어에 대응하는 바코드패턴(21)이 코딩로봇(10)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하단에 표시되고 나머지 부분에는 음성출력되는 영어단어 발음에 해당하는 형상(22)이 도시되며, 그 상면을 따라 상기 코딩로봇(10)이 이동하는 코딩카드(20); 상기 코딩로봇(10)의 저면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인식하는 적외선 센서(30); 상기 코딩로봇(10) 내에 형성되어 미리 설정된 코딩로봇의 동작 및 음성출력 명령어가 저장되는 저장부(40); 상기 적외선 센서(30)에 의해 인식된 바코드패턴(21)의 동작 및 음성출력 정보와 매칭되는 동작 및 음성출력 명령어를 판독하여 그에 따라 코딩로봇(10)의 동작 및 음성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50); 상기 제어부(50)가 제어하는 음성출력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60); 상기 코딩로봇(10)의 외면에 형성되고 코딩로봇(10)이 동작 및 음성출력을 수행토록 하는 버튼(70);을 포함한다.
상기 코딩로봇(10)의 동작을 위한 이동수단(11)은 바퀴(12)와 구동모터(13)로서 코딩로봇(10)은 좌·우측 바퀴가 각각의 좌·우측 구동모터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이동한다.
상기 바코드패턴(21)은 검정색으로 표기되는 바의 두께 및 스페이스의 폭의 비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코딩로봇(10)의 동작 및 음성출력 명령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코딩카드(20)는 코딩 프로그램을 시작시키는 ‘시작’카드(23); 코딩로봇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직진’카드(24), 코딩로봇을 오른쪽으로 90°회전시키는 ‘우회전’카드(25), 코딩로봇을 왼쪽으로 90°회전시키는 ‘좌회전’카드(26); 코딩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종료’카드(27)를 포함한다.
상기 코딩카드(20)는 코딩로봇(10)의 이동 후 각 코딩카드별로 어린이 영어학습을 위한 영어단어 발음이 음성출력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린이 영어학습을 위한 영어단어 발음이 음성출력되는 영어단어는 숫자, 동물, 색깔 등 10개의 주제별로 각 주제마다 10개의 카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숫자를 주제로 해서는 one, two, three, four, five 등을 나타내는 카드, 동물을 주제로 해서는 dog, cat, monkey, tiger, penguin 등을 나타내는 카드, 색깔을 주제로 해서는 white, black, grey, brown, red, blue, green, yellow 등을 나타내는 카드이다.
이에 따라 어린이들이 코딩로봇(10)에게 코딩카드(20)에 표시된 동작 및 음성출력 명령을 지시한다는 것을 이해하기 용이하며, 코딩로봇(10)이 이동하면서 어린이들은 단순히 영어단어를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각 주제의 개념을 학습하여 각 주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면서 총 100개의 영어단어를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영어단어 발음의 음성출력은 어린이들의 학습효과를 위하여 각 코딩카드(20)마다 2번씩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딩카드(20)는 전후좌우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코딩로봇(10)이 이동하면서 해당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먼저 인식할 수 있는 구조로 각 코딩카드(20)를 연결하여 코딩로봇 이동판(28)을 만들어 코딩로봇(10)이 정교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딩카드(20)의 하단에 바코드패턴(21)이 표시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30)는 코딩로봇(10)의 저면 전방에 위치하므로 코딩로봇(10)은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먼저 인식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코딩 시작을 위한 ‘시작’카드(23)의 경우, 어린이들이 ‘시작’카드(23) 위에 코딩로봇(10)을 놓는 것으로 코딩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므로 코딩로봇(10) 저면 전방에 위치한 적외선센서(30)가 ‘시작’카드(23)의 바코드패턴(21)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시작’카드(23)에는 그 상단에 바코드패턴(21)을 표시한다.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인식하는 상기 적외선 센서(30)는 하나의 적외선 발광소자(31)와 하나의 적외선 수광소자(32)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소자(31)에서 송출된 빛이 직접 수광소자(32)에 들어가지 않도록 발광소자(31)와 수광소자(32) 사이는 얇은 판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31)는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향해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며 적외선 수광소자(32)는 발광소자(31)로부터 송출되어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출력부(60)는 제어부(50)가 제어하는 음성출력에 따라 영어단어 발음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로 구성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100)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코딩로봇의 동작 및 음성출력’에 음성출력되는 영어단어 발음에 해당하는 소리출력을 위한 구성이 추가되어 ‘코딩로봇의 동작, 음성 및 소리출력’이 수행된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60)는 음성출력 전 또는 후에 추가로 음성출력되는 영어단어 발음에 해당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게 하여, 예를 들어 ‘dog’가 표시된 코딩카드에서는 개짓는 소리, ‘cat’가 표시된 코딩카드에서는 고양이 우는 소리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100)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의 구성에 주파수 대역필터(BPF : Band Pass Filter)가 추가된다.
주파수 대역필터는 특정한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만을 통과시키거나 제거할 때 2개의 차단주파수를 설정하여 차단주파수 사이의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그 이상과 그 이하의 주파수를 제거하는 필터이며, 차단주파수를 설정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적외선은 파장이 약 780∼1,000nm인 전자기파이며, 형광등에서 출력되는 빛은 약 900nm의 파장을 가지므로 적외선과 형광등 등 주변 조명기구에서 출력되는 빛이 상호 간에 간섭 현상이 발생하여 코딩 로봇이 오동작을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발광소자(31)에 의해 송출된 적외선 신호가 코딩카드(20)의 상면에 부딪혀 되돌아오면 적외선 수광소자(32)에 이 신호가 감지된다. 상기 수광소자(32)는 감지된 신호 중 형광등 등 주변 조명기구에서 출력되는 빛이 통과하지 않도록 설정된 주파수 대역필터(33)의 통과대역을 통과한 적외선 신호만을 제어부(50)에 전달하여 주위의 밝은 빛으로 인한 코딩 로봇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2, 3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60)는 스피커부 외에 램프부를 설치하여 코딩로봇에 구비된 램프를 감빡거리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거나 적외선 센서에 의해 인식되는 바코드패턴과 매칭되는 램프의 색깔을 표시하게 할 수 있으며, 코딩로봇(10)에는 코딩카드의 바코드패턴으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창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들 구성은 시판되고 있는 코딩로봇들의 구성을 통해서 구현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로봇의 동작, 음성 및 소리출력을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코딩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코딩로봇(10)의 버튼(70)을 켜고 ‘시작’카드(23) 위에 코딩로봇(10)을 위치시킨다. 그러면 코딩로봇(10)의 저면에 설치된 적외선센서(30)가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인식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30)에 의해 인식된 바코드패턴(21)의 동작, 음성 및 소리출력 정보와 매칭되는 동작, 음성 및 소리출력 명령어를 판독하여 그에 따라 코딩로봇(10)의 동작, 음성 및 소리출력이 제어되어 코딩로봇(10)이 이동하면서 음성 및 소리를 출력하며, 코딩로봇(10)이 ‘종료’카드(27)까지 이동하면 코딩프로그램이 종료된다.
100 : 본 발명에 의한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10 : 코딩로봇 11 : 이동수단
12 : 바퀴 13 : 구동모터
20 : 코딩카드 21 : 바코드패턴
22 : 영어단어 발음에 해당하는 형상
23 : ‘시작’카드 24 :‘직진’카드
25 : ‘우회전’카드 26 :‘좌회전’카드
27 : ‘종료’카드 28 : 코딩로봇 이동판
30 : 적외선 센서 31 : 적외선 발광소자
32 : 적외선 수광소자 33 : 주파수대역필터
40 : 저장부 50 : 제어부
60 : 출력부 70 : 버튼

Claims (7)

  1. 동작을 위한 이동수단(11)이 설치된 코딩로봇(10); 상기 코딩로봇(10) 내에 미리 설정된 코딩로봇(10)의 동작 및 음성출력 명령어에 대응하는 바코드패턴(21)이 코딩로봇(10)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하단에 표시되고 나머지 부분에는 음성출력되는 영어단어 발음에 해당하는 형상(22)이 도시되며, 그 상면을 따라 상기 코딩로봇(10)이 이동하는 코딩카드(20); 상기 코딩로봇(10)의 저면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인식하는 적외선 센서(30); 상기 코딩로봇(10) 내에 형성되어 미리 설정된 코딩로봇의 동작 및 음성출력 명령어가 저장되는 저장부(40); 상기 적외선 센서(30)에 의해 인식된 바코드패턴(21)의 동작 및 음성출력 정보와 매칭되는 동작 및 음성출력 명령어를 판독하여 그에 따라 코딩로봇(10)의 동작 및 음성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50); 상기 제어부(50)가 제어하는 음성출력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60); 상기 코딩로봇(10)의 외면에 형성되고 코딩로봇(10)이 동작 및 음성출력을 수행토록 하는 버튼(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패턴(21)은 검정색으로 표기되는 바의 두께 및 스페이스의 폭의 비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코딩로봇(10)의 동작 및 음성출력 명령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카드(20)는 코딩로봇(10)의 이동 후 각 코딩카드별로 어린이 영어학습을 위한 영어단어 발음이 음성출력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어린이 영어학습을 위한 영어단어 발음이 음성출력되는 영어단어는 숫자, 동물, 색깔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주제별로 각 주제마다 다수개의 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카드(20)는 전후좌우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코딩로봇(10)이 이동하면서 해당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먼저 인식할 수 있는 구조로 각 코딩카드(20)를 연결하여 코딩로봇 이동판(28)을 만들어 코딩로봇(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인식하는 상기 적외선 센서(30)는 하나의 적외선 발광소자(31)와 하나의 적외선 수광소자(32)로 구성되며,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31)는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을 향해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며 적외선 수광소자(32)는 발광소자(31)로부터 송출되어 코딩카드(20)의 바코드패턴(21)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로봇의 동작 및 음성출력’에 음성출력되는 영어단어 발음에 해당하는 소리출력을 위한 구성이 추가되어 ‘코딩로봇의 동작, 음성 및 소리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31)에 의해 송출된 적외선 신호가 코딩카드(20)의 상면에 부딪혀 되돌아오면 적외선 수광소자(32)에 이 신호가 감지되며,
    상기 수광소자(32)는 감지된 신호 중 주변 조명기구에서 출력되는 빛이 통과하지 않도록 설정된 주파수 대역필터(33)의 통과대역을 통과한 적외선 신호만을 제어부(50)에 전달하여 주위의 밝은 빛으로 인한 코딩로봇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KR1020190132062A 2019-10-23 2019-10-23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KR102253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62A KR102253013B1 (ko) 2019-10-23 2019-10-23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062A KR102253013B1 (ko) 2019-10-23 2019-10-23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147A true KR20210048147A (ko) 2021-05-03
KR102253013B1 KR102253013B1 (ko) 2021-05-14

Family

ID=7591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062A KR102253013B1 (ko) 2019-10-23 2019-10-23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267A (ko) 2021-11-22 2023-05-31 이수연 복수의 메인 코딩 블록으로부터 획득되는 커맨드를 이용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606B1 (ko) 2006-11-03 2009-01-30 (주)로보트론 로봇 동작 프로그래밍 장치 및 그 방법
KR101162083B1 (ko) 2010-09-16 2012-07-04 (주)로보트론 바코드 스캐너 및 바코드 인식 방법 및 로봇 동작 프로그램 작성 장치 및 로봇 동작 프로그램 작성 방법
JP2018149221A (ja) * 2017-03-15 2018-09-27 株式会社Icon 学習用玩具及びこれに使用するパネル
KR20190011034A (ko) * 2017-07-24 2019-02-01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의 교육용 게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606B1 (ko) 2006-11-03 2009-01-30 (주)로보트론 로봇 동작 프로그래밍 장치 및 그 방법
KR101162083B1 (ko) 2010-09-16 2012-07-04 (주)로보트론 바코드 스캐너 및 바코드 인식 방법 및 로봇 동작 프로그램 작성 장치 및 로봇 동작 프로그램 작성 방법
JP2018149221A (ja) * 2017-03-15 2018-09-27 株式会社Icon 学習用玩具及びこれに使用するパネル
KR20190011034A (ko) * 2017-07-24 2019-02-01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의 교육용 게임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UBO Robot teaches Coding, Language and Maths to Kids in simple way* *
알버트의 코딩스쿨, 알버트의 영어스쿨-영어카드'먹깨비 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013B1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927B1 (ko) 블록을 이용한 알고리즘 교육 장치
CN106504614B (zh) 一种积木式编程的教育机器人
CN105137887B (zh) 基于编程板的实物化编程方法及其在机器人领域的应用
CN203300127U (zh) 儿童教学监护机器人
US9719851B2 (en) IR sensor embedded in direct LED backlight and LCD panels and assemblies for receiving IR command codes from a remote
KR20130100558A (ko) 지능형 로봇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53013B1 (ko)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KR101676676B1 (ko) 저항과 자석이 내장된 카드키 및 보드를 이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용 키트 및 방법
CN208953961U (zh) 一种基于图形化编程的可拼接的智能小车
CN111932985A (zh) 一种编程语言实物化积木编程系统
KR102290934B1 (ko) 코딩 학습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코딩 학습 시스템
KR100919602B1 (ko) 알에프아이디, 알에프, 아이알디에이통신을 이용한 다국어및 물체인식 교육용 로봇
KR20180031910A (ko) 로봇 동작 제어 보드,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동작 제어 보드 어셈블리
CN213159402U (zh) 一种编程语言实物化积木编程系统
JP2001188087A (ja) センサー手段と、これを利用した認識装置
JP2018163547A (ja) プログラム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100598311B1 (ko) 지능로봇실습키트 및 지능로봇을 이용한 지능로봇교육시스템
KR101494600B1 (ko) 교육용 또는 완구용 음성인식 기반 로봇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제어방법
JP2009154240A (ja) ロボット、その行動制御方法およびその行動制御プログラム
KR102391628B1 (ko) 증강현실과 연계 동작 가능한 스마트 코딩블록 시스템
KR102137973B1 (ko) 카드 판독 기능을 구비한 교육용 로봇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292318B1 (ko) 교육용 로봇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로봇 컨트롤러
KR101428597B1 (ko) 오디오와 비디오의 동시 재생 기능을 갖는 학습용 펜
JP2022100572A (ja) プログラム実行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200094375A (ko)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완구용 로봇 및 완구용 로봇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